KR102191418B1 -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418B1
KR102191418B1 KR1020190011585A KR20190011585A KR102191418B1 KR 102191418 B1 KR102191418 B1 KR 102191418B1 KR 1020190011585 A KR1020190011585 A KR 1020190011585A KR 20190011585 A KR20190011585 A KR 20190011585A KR 102191418 B1 KR102191418 B1 KR 10219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terminal pin
electrically connected
protrusion
intermedi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187A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김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윤 filed Critical 김성윤
Publication of KR2020006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전기 플러그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장치(load)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 및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공을 포함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은 상기 인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MULTI- CONNECTABLE ELECTRIC PLU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플러그를 중첩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플러그에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여러 대의 전자 기기를 콘센트에 연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를 이용한다. 그러나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려면 별도로 멀티 콘센트를 구매해야 하고, 바닥에 멀티 콘센트를 내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 공간 활용에 있어 불편하고 정리가 잘 되지 않으면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다. 이렇듯 많은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전자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렇듯 여러 대의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발명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더 나아가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플러그 각각에 대한 전력 차단 방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멀티 콘센트를 쓰지 않고도 복수의 전자 기기를 다중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장치(load)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 및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공을 포함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은 상기 인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입공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인입공에 삽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일단은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관 및 상기 전원선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는 상기 인입관은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인입관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을 갖는 중간연결부가 상기 인입관 돌출부의 인근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중간연결부 돌출부를 갖되, 상기 중간연결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의 반지름은 상기 인입관 돌출부의 반지름보다 짧으며, 상기 인입관 돌출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의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고 원호 형상을 갖는 상기 스위치부가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입관 돌출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기고, 상기 인입관 돌출부,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 및 상기 스위치부 각각의 원호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는 복수의 플러그를 중첩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멀티 콘센트가 없어도 복수의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착함으로써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제거하지 않고서도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박스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100)는 단자핀(110), 전원선(120) 및 인입공(130)을 포함한다.
단자핀(110)은 콘센트에 삽입되는 핀이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단자핀(110)이 사용된다.
전원선(120)은 단자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장치(load)에 전기를 공급한다.
인입공(130)은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될 수 있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은 인입공(130)에 삽입되어 해당 플러그의 단자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는 전기 플러그(100)의 인입공(130)으로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110)이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전기 플러그가 중첩적으로 연결되고, 중첩적 연결로서 멀티 콘센트가 없이도 여러 대의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100)는 인입관 및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관은 적어도 하나의 인입공(1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인입공(130)에 삽입되면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과 인입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부는 일단은 단자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인입관 및 전원선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는 인입공(130)으로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되면 해당 전기 플러그(100)의 단자핀(110)과 직접 연결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는 인입관 및 스위치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는 해당 전기 플러그의 부하에 연결되는 전기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전기 플러그로 연결되는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박스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100)는 단자핀(110), 전원선(120), 인입공(130), 인입관(140), 인입관 돌출부(140a), 중간연결부(160),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및 스위치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핀(110), 전원선(120), 인입공(130) 및 인입관(14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시하였기에 생략하고 인입관 돌출부(140a), 중간연결부(160),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및 스위치부(1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인입관 돌출부(140a)는 인입관(140)의 일단에 돌출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인입관(140) 및 인입관 돌출부(140a)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중간연결부(160)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모두 전도체의 성질을 갖는다.
중간연결부(160)는 전원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을 가지면서 인입관 돌출부(140a)의 인근에 위치한다.
또한 중간연결부(160)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를 갖되, 중간연결부(160)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의 원호형상 모서리의 반지름은 인입관 돌출부(140a)의 반지름보다 짧다.
스위치부(150)는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의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고 원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스위치부(150)는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기게 된다.
스위치부(150)의 두께를 한정한 것은 스위치부(150)가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각각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인입관 돌출부(140a),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및 스위치부(150) 각각의 원호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각각의 원호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스위치부(150)가 원호의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인입관 돌출부(140a),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투시도이다.
도 3(a)는 스위치부(150)가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에 모두 접촉이 끊어져 있어서 부하장치 및 또 다른 전기 플러그 모두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스위치부(150)가 인입관 돌출부(140a)에만 접촉되고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에는 접촉되지 않아서 또 다른 전기 플러그에만 전기가 공급되고 부하장치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c)는 스위치부(150)가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에 모두 접촉되어 부하장치 및 또 다른 전기 플러그 모두에 전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d)는 스위치부(150)가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에만 접촉되고 인입관 돌출부(140a)에는 접촉되지 않아서 부하장치에만 전기가 공급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기 플러그 110 : 단자핀
120 : 전원선 130 : 인입공
140 : 인입관 140a : 인입관 돌출부
150 : 스위치부 150a : 스위치부 손잡이
160 : 중간연결부 160a : 중간연결부 돌출부

Claims (3)

  1. 단자핀(110);
    상기 단자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장치(load)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120);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인입공(130);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입공(1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 다른 전기 플러그의 단자핀이 인입공(13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관(140); 및
    일단은 상기 단자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관(140) 및 상기 전원선(12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관(140)은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인입관 돌출부(140a)를 갖고,
    상기 전원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을 갖는 중간연결부(160)가 상기 인입관 돌출부(140a)의 인근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160)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를 갖되, 상기 중간연결부(160)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의 반지름은 상기 인입관 돌출부(140a)의 반지름보다 짧으며,
    상기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의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고, 원호 형상을 갖는 상기 스위치부(150)가 원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입관 돌출부(140a) 및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기고,
    상기 인입관 돌출부(140a), 상기 중간연결부 돌출부(160a) 및 상기 스위치부(150) 각각의 원호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2. 삭제
  3. 삭제
KR1020190011585A 2018-11-22 2019-01-30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102191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5119 2018-11-22
KR2020180005119 2018-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87A KR20200060187A (ko) 2020-05-29
KR102191418B1 true KR102191418B1 (ko) 2020-12-18

Family

ID=7091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85A KR102191418B1 (ko) 2018-11-22 2019-01-30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4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177A (ja) * 2004-11-23 2008-06-19 テデスキ、テクノロジーズ、プロプライエタリ、リミテッド 電源接続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641U (ko) * 1993-05-21 1994-12-10 강신식 플러그 겸용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177A (ja) * 2004-11-23 2008-06-19 テデスキ、テクノロジーズ、プロプライエタリ、リミテッド 電源接続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87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JP4537416B2 (ja) 電気的なコンタクト
JP5730445B2 (ja)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US20100144164A1 (en) Power cord assembly
US20120282814A1 (en) In-line multiport plug and system
KR20190127129A (ko)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US7950941B1 (en) Extension socket assembly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CN202749625U (zh) 音视频连接器改良结构
US5984703A (en) Plug-in connection for electrical leads
US10109961B1 (en) Plug structure
US6270370B1 (en)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WO2017041707A1 (zh) 电涌保护器底座
KR102232610B1 (ko) 멀티 콘센트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0419219Y1 (ko) 전기 플러그가 꽂히지 않은 경우에 콘센트의 내부와 외부가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멀티탭
CN203660204U (zh) 插座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CN219436295U (zh) 一种排插
KR20120116721A (ko) 콘센트
KR102660371B1 (ko) 전기 커넥터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0419218Y1 (ko)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