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66B1 -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66B1
KR102187266B1 KR1020190115330A KR20190115330A KR102187266B1 KR 102187266 B1 KR102187266 B1 KR 102187266B1 KR 1020190115330 A KR1020190115330 A KR 1020190115330A KR 20190115330 A KR20190115330 A KR 20190115330A KR 102187266 B1 KR102187266 B1 KR 10218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particle
manufacturing
magnetic fiel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재현
장보승
한승훈
박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19011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9Magnetised or magnetisa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009Materials therefor
    • G02F1/0036Magneto-optical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absorption or magneto-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magnetophor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18Dia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s, i.e. materials with low susceptibility and no hystere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51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in the form of particles, e.g. rapid quenched powders or ribbon fla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 H01F1/44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characterised by magnetoviscosity, e.g. magnetorheological, magnetothixotropic, magnetodilatant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which comprises: a dispersion step to disperse a first particle, whose one or more opt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color of reflected light, spectrum of reflected light, and strength and penetration of the reflected light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a second particle, which is reconfigured by being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in a liquid medium, thereby manufacturing a dispersion solution; a capsule manufacturing step to turn the dispersion solution into a capsule by using a medium which is penetrated by the light; and a step of printing the capsule on a substrate and forming a security device lay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cond particle to be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allow the first particle to b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 to reversibly change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s by the first particle, and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are reconfigured from its initial configuration into another one.

Description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본 발명은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재배열되는 입자와 보는 각도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입자를 이용하여 보는 각도나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색가변 또는 입체 효과를 구현하는 보안 인쇄층을 포함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viewing angle or light source using particles that are moved or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nd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including a security printing layer that implements a color change or three-dimensional effect depending on the location.

자기 색 가변 안료를 이용한 보안 매체는 다양한 보안 인식 수단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보안, 정품 인증 등의 각각의 용도에 맞는 구조를 가진 제품으로 제조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매체 중 육안으로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위조 및 변조 장치는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 보안 인쇄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육안 식별은 명시적(overt) 기능을 이용한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가변 효과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가변 효과를 일으키는 기술이 필요하다.Security media using magnetic color variable pigments are manufactured and used as products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each purpose, such as security and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by various security recognition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Among these security media, counterfeit and forgery devices capable of identifying authenticity with the naked eye have excellent ease of use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security printing field. Such visual identification is done by using an overt function, and for this, a technique for generating a variable effect to the extent that the variable effect can be clearly recognized visually is required.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8612호에서는 기재 사이에 삽입된 색 가변층에 포함된 자성체와 일반 안료가 용매의 비중과 외력에 의해 일방으로 편재되도록 구성하여 외부 자기장, 중력 등의 요인에 의해 색 가변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보안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가 필요하거나, 색 가변 효과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자가 인식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색 가변이 뚜렷하지 않아 인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18612, the magnetic material and general pigment included in the color variable layer inserted between the substrates are configured to be unevenly distributed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olvent and the external force, so that the external magnetic field, gravity, etc. The color variation effect is caused by a factor. Using this effect, various types of security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but this requires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or the user must be aware of prior information on the color change effect,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because the color change is not clear.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when experiencing.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24763호에서는 위변조 방지용 인쇄물을 구성하는 정보 전달층은 광학 가변성 잉크(optically variable pigment, OVP), 열감응 잉크, UV 잉크, 형광 잉크 또는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제1 가변층 및 자기 색 가변 물질(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ink, MTX)에 의해 형성된 제2 가변층으로 구성되어 자기 색 가변 물질에 의한 자기장에 대한 색 가변 효과에 더하여 다양한 잉크의 조합에 의한 색 가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24763,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layer constituting the forgery prevention printout is any one of optically variable pigment (OVP), thermal ink, UV ink, fluorescent ink, or hologram, or these It is composed of a first variable layer formed by a combination of and a second variable layer formed by 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ink (MTX), in addition to the color variable effect on the magnetic field by the magnetic color variable material. The color variation effect can be realized by the combination of.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색 가변 효과는 주위 환경에 따라 색 가변을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한 색 가변 효과 외에 추가적인 보안 인식 수단이 부가될 필요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lor change effect of the prior art may not clearly confirm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dditional security recognition means need to be added in addition to the simple color change effec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861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186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24763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247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재배열되는 입자와 보는 각도에 따라 광학적 특성(색상, 반사광의 스펙트럼, 반사도, 투과도 등)이 변화되는 입자를 이용하여 보는 각도나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거나 특정 패턴이 변화되거나 또는 입체 효과를 구현하는 보안 인쇄층을 포함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articles that are moved or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nd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color, spectrum of reflected light, reflectivity, transmittance, etc.)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including a security printing layer that changes colors or changes a specific pattern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or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effec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color), 반사광의 스펙트럼(spectrum), 반사광의 세기 또는 투과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 및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여 재배열(reconfiguration)되는 제2 입자를 광경화 혹은 열경화 되는 액상 매질 내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분산 단계; 상기 분산액을 기재의 표면에 인쇄하여 보안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 단계;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입자를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입자의 이동 또는 회전을 유도하여 특정한 색, 패턴, 반사광 스펙트럼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외부에서 광 또는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초기 배열(configuration)에서 다른 배열로 재배열(reconfiguration)되되, 상기 재배열은 비가역적인 것으로서 가변된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배열이 경화되어 보안 소자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y on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or the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Or a dispersion step of preparing a dispersion by dispersing the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nd second particles that are reconfigured by moving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in a liquid medium to be photocured or thermally cured; A printing step of forming a security print layer by printing the dispersion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ming security information consisting of a specific color, pattern, reflected light spectrum or image by inducing movement or rotation of the first particle by applying a magnetic field from the outside to move or rotate the second particle; By applying light or heat from the outside,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rearranged from the initial configuration to a different arrangement, but the rearrangement is irreversible, an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chang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curing the array to form a security element lay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Color), 반사광의 스펙트럼(Spectrum), 반사광의 세기 또는 투과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 및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여 재배열(reconfiguration)되는 제2 입자를 액상 매질 내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분산 단계; 상기 분산액을 광투과되는 매질을 사용하여 캡슐화 시키는 캡슐 제조 단계; 상기 캡슐을 기재에 인쇄하여 보안소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제2 입자가 이동하며,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입자가 이동되어 상기 제1 입자에 의한 색상, 패턴 또는 입체효과가 가역적으로 변하여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초기 배열(configuration)에서 다른 배열로 재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es any on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or the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 dispersion step of preparing a dispersion by dispersing in a liquid medium the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nd second particles that are moved and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 capsule manufacturing step of encapsulating the dispersion using a light-transmitting medium; Printing the capsule on a substrate to form a security device layer;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particles are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the first particles ar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 by the particles is reversibly changed, an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rearranged in different arrangements in the initial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분산 단계를 통해 제조한 분산액을 광투과되는 매질을 사용하여 캡슐화시키는 캡슐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안 소자층을 캡슐을 포함하는 보안 소자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device layer may be formed as a security device layer including a capsule by additionally including an encapsulation step of encapsulating the dispersion prepared through the dispersing step using a light-transmitting medium.

또한, 상기 제1 입자는 Fe, Ni, C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강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강자성체는 착자를 통해 자화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cle may be compos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element of Fe, Ni, and Co, and the ferromagnetic material may be magnetized through magnetization.

또한, 상기 제2 입자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광결정 현상을 발현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보안 소자층이 광결정 광학 효과를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cles may be regularly arranged so as to develop a photonic crystal phenomenon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so that the security element layer may implement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또한, 상기 제1 입자는 판상(flake) 형태 입자, 적어도 일면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거울(Mirror)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금속 광택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양면의 색상이 서로 다른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자이며,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5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cles are flake-shaped particles,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color or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an angle,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exhibits a mirror characteristic,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exhibits metallic luster characteristics, Any one or more particle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on both sides may have a diameter of 1 to 50 μm.

또한, 상기 제1 입자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한 물질을 사용하여,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제2 입자 및 상기 제1 입자가 복합적으로 이동하여 제1 입자에 의한 광학 특성 및 제2 입자에 의한 광학 특성이 함께 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ic material as the first particle, the second particle and the first particle are combinedly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thereby affec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Optical properties due to can be expressed together.

또한, 상기 제2 입자는 자성체이며, 상기 제2 입자는 강자성체 입자, 초상자성체 입자, 구형(Sphere) 형태 입자, 판상(flake) 형태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영동(magnetophoretic) 구동을 하는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유동(magnetorheological) 구동을 하는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며, 상기 입자의 직경이 10㎚ 내지 1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cle is a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particle is a ferromagnetic particle, a superparamagnetic particle, a sphere-shaped particle, a flake-shaped particle, a particle that performs a magnetophoretic drive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y one or more of the particles that are magnetorheologically driven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may have a diameter of 10 nm to 10 μm.

또한, 상기 제2 입자는 Fe, Ni, Co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element of Fe, Ni, and Co.

또한, 상기 제2 입자의 밀도는 상기 제1 입자의 밀도와 같거나 또는 더 크며, 상기 제2 입자에 대한 상기 제1 입자의 밀도비는 1.1 이상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second particles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density ratio of the first particles to the second particles may be 1.1 or more.

또한, 상기 기재 및 상기 보안 인쇄층 사이에 광흡수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absorption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ecurity printing layer.

또한, 상기 제2 입자는 자기장 인가시 하부로 편재되어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cles may be localized to the bottom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form a light absorbing layer.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에 형성된 상기 보안정보는 패턴 또는 이미지이며, 상기 패턴 또는 이미지는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 QR 코드, 숫자, 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information formed on the security element layer may be a pattern or an image, and the pattern or image may be one or more of a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barcode, a QR code, a number, and a letter.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은 OVP(optically variable pigment), 펄(pearl), 발광 안료, 축광 안료, 콜레스테릭 액정 안료, 자외선 반응 물질, 적외선 반응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device layer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n optically variable pigment (OVP), pearl, a luminescent pigment, a photoluminescent pigment,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pigment, an ultraviolet reactive material, and an infrared reactive material. .

또한, 상기 보안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security information may be arranging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상기 액상 매질은 광경화 되는 물질이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은 자외선 영역의 광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medium may be a material to be photocured, an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may be light in an ultraviolet region.

또한, 비가역적으로 경화된 상기 보안 소자층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또는 구부림(Bending) 또는 늘림(Stretching)에 의해 굴곡, 수축 또는 팽창하는 구조적 변화에 의하여 상기 보안정보가 변경되어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irreversibly hardened security element layer may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security information due to a structural change in which the security element layer is bent, contracted or expanded by external pressure or bending or stretching.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광 또는 열을 인가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광 또는 열 비해 더 강한 강도의 광 또는 더 높은 온도의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ing of the security element layer may include: a first step of fixing a position by applying light or heat while applying a magnetic field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second step of additionally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by applying light of a stronger intensity or heat of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light or heat of the first step.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 색상, 스펙트럼,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광특성이 변화되는 가변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variable layer in which at least one of a color, a spectrum, and an intensity of reflected light is chang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or below the security element layer.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1차 자기장을 인가하여 특정 부분을 경화시키는 단계; 2차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특정 부분 외의 부분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forming the security device layer may include curing a specific portion by applying a primary magnetic field; It may include the step of hardening a portion other than the specific portion by applying a secondary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보는 각도 또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하는 시변각 광학 효과 및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하는 광결정 광학 효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may include a time-varying optical effect in which optical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in which optical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a magnetic field applied from the outside. .

또한,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재배열되는 입자와 보는 각도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입자를 이용하여 색 가변 또는 입체 효과를 구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particles that are moved or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nd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hereby implementing various types of color variations or three-dimensional effects. It can provide forgery and tamper prot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에서 광 또는 열을 인가하여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비가역적으로 경화시키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서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과 제2 입자의 광결정 특성이 동시에 발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사진 이미지로서, 광흡수층이 없는 상태의 광학적 특성(a) 및 광흡수층으로 흑색이 적용된 상태의 광학적 특성(b)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자인 광결정 입자의 이동으로 비자화성 입자인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이 나타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5의 인쇄 단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이미지로 제1 입자가 유도 배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인가 배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b)에 따른 자기 배향을 사용하여 얻어진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1은 자화성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인쇄된 필름의 자기 배향 이미지이다.
도 12는 비자화성 가변 플레이크와 광결정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인쇄된 필름의 자기 배향 이미지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for irreversibly curing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by applying light or heat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first particle and photonic crystal characteristics of a second particle are simultaneously expressed in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2.
FIG. 4 is a photographic image of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2,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a) without a light absorbing layer and optical characteristics (b) with black applied as a light absorbing layer to be.
5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s, which are non-magnetic particles, appear due to the movement of the photonic crystal particles, which are the second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particles are inductively oriented as a cross-sec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of FIG. 5.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image of a counterfeit and tamper resistant device obtained using the magnetic orientation according to Fig. 7(b).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microcapsule manufactured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9.
11 is a magnetic orientation image of a film on which microcapsules including magnetizable variable flakes are printed.
12 is a magnetic orientation image of a film on which microcapsules including nonmagnetic variable flakes and photonic crystal particles are prin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 반사광의 스펙트럼, 반사광의 세기 또는 투과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 및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여 재배열(reconfiguration) 되는 제2 입자를 광경화 또는 열경화 되는 액상 매질 내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분산 단계; 상기 분산액을 기재의 표면에 인쇄하여 보안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 단계;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입자를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입자의 이동 또는 회전을 유도하여 특정한 색, 패턴, 반사광 스펙트럼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외부에서 광 또는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초기 배열(configuration)에서 다른 배열로 재배열(reconfiguration)되되, 상기 재배열은 비가역적인 것으로서 가변된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배열이 경화되어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particle and magnetic field whose optical properties change one or mor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or the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 dispersion step of preparing a dispersion by dispersing the second particles, which are moved and rearranged by application, in a liquid medium to be photocured or thermally cured; A printing step of forming a security print layer by printing the dispersion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ming security information consisting of a specific color, pattern, reflected light spectrum or image by inducing movement or rotation of the first particle by applying a magnetic field from the outside to move or rotate the second particle; By applying light or heat from the outside,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rearranged from the initial configuration to a different arrangement, but the rearrangement is irreversible, an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changed. The array is cured to form a security element layer.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manufactured by this manufacturing method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즉, 상기 보안 소자층 내에는 제1 입자와 제2 입자가 배열되어 도 1(a)에서와 같이 불규칙적인 또는 규칙적인 배열을 이룰 수 있으며, 외부 자기장에 의해 제1 입자와 제2 입자들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반응하여 상기 기재의 표면에 특정하게 배열됨으로써 특정 패턴 또는 이미지가 형성되어 보안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arranged in the security element layer to form an irregular or regular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a), an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directly Alternatively, by indirectly reacting and specifically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pecific pattern or image may be formed to constitute security information.

이러한 보안정보는 보안 소자층을 관찰 또는 관측하여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 QR 코드, 숫자, 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특정 회사의 로고, 상표, 마크, 아이콘 등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안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is security information is for observing or observing the security element layer to visually identify whether forgery or tampering, and may be any one or more of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barcodes, QR codes, numbers, and characters, It can include all visually identifiable security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company's logo, trademark, mark, or icon.

즉, 상기 보안 소자층 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제1 입자와 제2 입자는 각각의 고유의 광학 특성(색상, 반사도, 반사스펙트럼 등)을 가지며, 이는 기재 상에 잉크로 인쇄된 패턴 또는 이미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ranged regularly or irregularly in the security element layer each have their own optical characteristics (color, reflectivity, reflection spectrum, etc.), which is a pattern or image printed with ink on the substrate. It plays the same role as.

상기 제1 입자는, 입자의 형태가 판상(flake) 형태 입자, 적어도 일면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거울(mirror)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금속 광택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양면의 색상이 서로 다른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자를 적용할 수 있는데, 시각적 효과의 구현을 고려하여 직경이 1㎛ 내지 50㎛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article is a particle having a shape of a flake, at least one side of which changes color or reflected light according to an angle, at least one side of which exhibits a mirror property, and at least one side has a metallic luster property. Any one or more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on both sides may be applied, and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 μm to 50 μm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realization of visual effects.

상기 제1 입자는 광학적 효과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색 변화나 입체 효과를 통한 시각적 인지가 용이하도록 입자의 형태를 다양화하고 있다. 상기 제1 입자로 비자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입자만 선택적으로 외부 자기장에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에 이해 상기 제1 입자의 이동을 간접적으로 유도하게 하여 색 가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보안 정보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자로 자성체 또는 자성체와 비자성체가 적층 코팅 되거나 혼합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자기장에 따라 상기 제1 입자 및 상기 제2 입자가 동시에 외부 자기장에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제1 입자 및 제2 입자에 의한 광학 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하거나,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보안 정보의 변화를 복합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The first particles implement an optical effect, and the shape of the particles is diversified to facilitate visual recognition through color change or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e case of using a nonmagnetic material as the first particles, only the second particles are selectively reacted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is understood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icles is indirectly induced, thereby realizing a color change effect. Or change the security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r the location of the light source. When a magnetic material or a material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and a non-magnetic material are laminated or coated as the first particle is used,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are simultaneously reacted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according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The optical effect of the particles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or the security information can be changed in combin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r the location of the light source.

또한, 상기 제1 입자로 자성체 또는 자성체와 비자성체가 적층 코팅 되거나 혼합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자기장에 따라 상기 제1 입자만으로도 광학 효과를 구현하거나,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보안 정보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magnetic material or a material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and a non-magnetic material are laminated or coated as the first particle is used, an optical effect may be realized with only the first particle according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or secu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location of the light source. Can cause changes in

또한, 상기 제2 입자는 자성체로서, 강자성체 입자, 초상자성체 입자, 입자의 형태가 구형인 입자, 입자 형태가 판상 형태인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영동(magnetophoretic) 구동을 하는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유동(magnetorheological) 구동을 하는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자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시각적 효과의 구현 및 광결정의 형성을 고려하여 직경이 10㎚ 내지 1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cles are magnetic substances, such as ferromagnetic particles, superparamagnetic particles, particles having a spherical shape, particles having a plate shape, particles driving magnetophoretic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external magnetic fields. As a result, any one or more of the particles that are magnetorheologically driven may be applied, and those having a diameter of 10 nm to 10 μm may also be used in consideration of realization of visual effects and formation of photonic crystals.

상기 제2 입자로서 사용되는 강자성체 입자, 초상자성체 입자, 자기영동 입자, 자기유동 입자 등의 자성체는 출원인의 종래기술(등록특허 10-1715058호, 등록특허 10-1335719호 등)에 따른 광결정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입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구형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판상 형태의 입자를 적용할 수도 있다.Magnetic materials such as ferromagnetic particles, superparamagnetic particles, magnetophoretic particles, and magnetic fluid particles used as the second particles exhibit photonic cryst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pplicant's prior art (Registration Patent No. 10-1715058, Registration Patent No. 10-1335719, etc.). Particles that can be displayed may be used, but plate-shaped particles may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spherical but also visual effects.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은 OVP(optically variable pigment), 펄(pearl), 발광 안료, 축광 안료, 콜레스테릭 액정 안료, 자외선 흡수 또는 반사 물질, 적외선 흡수 또는 반사 물질, 온도에 따른 색 변화 또는 투과도 변화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성분의 부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의한 반응이나 광의 입사에 따른 안료의 색 변화 효과를 제1 및 제2 입자에 의한 광학 효과와 결합한 형태의 광학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urity element layer is an optically variable pigment (OVP), pearl, luminescent pigment, phosphorescent pigment, cholesteric liquid crystal pigment, ultraviolet absorbing or reflecting material, infrared absorbing or reflecting material, color change or transmittance depending on temperature Any one or more of the change material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Visually counterfeit because the addition of these additional components can induce an optical effect in the form of combining the optical effect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s with the reaction of the wavelength of incident light or the color change effect of the pigment according to the incidence of ligh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ability to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ampering.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는 상기 보안 소자층 내에 분산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를 분산한 후 상기 분산액을 광투과되는 매질을 사용하여 캡슐화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may be dispersed in the security device layer and configured, but separately from this,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may be dispersed and the dispersion liquid may be encapsulated using a light-transmitting medium.

이러한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도 1(b)에서와 같이 제1 입자와 제2 입자를 포함하는 캡슐이 내포된 보안 소자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캡슐화 기술은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공개특허 10-2018-0018612호, 공개특허 10-2019-0022302호, 등록특허 10-1778198호 등)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3㎛이상 300㎛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 형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캡슐을 포함하는 보안 소자층은 제1 입자와 제2 입자의 배열을 단위 셀 형태로 형성하여 색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에 입자가 분산된 보안 소자층과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When such a manufacturing method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form a security device layer in which a capsule including first particles and second particles is enclosed as shown in FIG. 1(b). Such encapsulation technology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known in the patents filed by the applicant (Publication Patent 10-2018-0018612, Publication 10-2019-0022302, Registered Patent 10-1778198, etc.). It can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300 μm micro-sized capsule. Since the security device layer including the capsule induces a color change by forming an arrangement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in the form of a unit cel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isual effect different from the security device layer in which the particles are dispersed.

또한,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의 비중 차이를 통해 상기 제2 입자가 보안인쇄층의 상단에 위치하여 광학적 특성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데, 제2 입자의 비중에 대한 제1 입자의 비중의 상대값은 1.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8.0일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the second particle may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ecurity printing layer to maximize the optical property effec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particle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particle The relative value of may be 1.05 or more, preferably 1.05 to 8.0.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2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는 기재의 표면에 인쇄된 상기 보안 인쇄층 상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존재하는데(초기상태),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기장에 반응하는 상기 제2 입자의 위치 또는 배열이 변하게 되며(단계 1), 이 상태에서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면 상기 보안 인쇄층이 비가역적으로 경화되기 때문에 상기 입자의 배열이 고정화되게 된다(단계 2). 따라서 입자의 배열과 고정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 1과 단계 2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거의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적용하는 입자의 종류와 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2,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exist in a regular or irregularly arranged state on the security print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itial state),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device,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reacting to the magnetic field is changed (step 1), and irreversibly curing the security printing layer when irradiated with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in this state. The arrangement is fixed (step 2). Accordingly, in order to perform the arrangement and immobilization of particles, the steps 1 and 2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but may be performed almost simultaneously,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combination of particles to be applied.

또한,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입자도 함께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을 통해 인쇄된 보안 인쇄층을 특정한 패턴이나 이미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자가 비자성체인 경우 상기 제1 입자는 제1 입자의 이동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1 입자가 자성체를 포함한 경우 상기 제1 입자의 위치는 제1 입자의 이동과 제2 입자의 이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특정한 패턴이나 이미지는 주로 색상, 입체 효과, 발광 효과 등의 입자의 재배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광학적 효과를 의미하며, 바코드, QR 코드, 숫자, 문자, 로고, 상표, 마크, 아이콘 등의 인쇄된 정보 자체가 입자의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particle also move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 the security print layer print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formed in a specific pattern or image. When the first particle is non-magnetic, the first particle is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icle, and when the first particle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the position of the first particle is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icle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 It is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movements. These specific patterns or images mainly refer to optic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rearranging particles such as color,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uminous effect. Printed barcodes, QR codes, numbers, letters, logos, trademarks, marks, icons, etc. It does not mean that the information itself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또한, 별도의 광 흡수층이 없는 경우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이 인쇄된 기재의 난반사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색 선명도가 낮을 수 있다. 이때 제2 입자의 이동은 단순 정보 표시로의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광 흡수층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상기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입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가장 이상적으로 블랙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블랙의 정도가 높아질 경우 이에 대비하여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입자의 색상에 따라 파장 및 선명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light absorbing layer, color clarity may be low becaus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s are affected by diffuse reflection of the printed substrate. At this time, since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does not only serve as a simple information display, but may implement a light absorbing layer function,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s may be improved. The second particles may have various colors, but ideally, black particles may be used. When the degree of black increase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s may be improved in contrast. In addition, there may be differences in wavelength and clarity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econd particle.

또한, 상기 경화를 위해 조사되는 광으로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함유하는 상기 보안 인쇄층의 비가역적 경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함께 열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열 경화성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열에 의해서도 비가역적 경화가 일어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wavelength in the ultraviolet region as the light irradiated for the curing, through which irreversible curing of the security printing layer contain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an be easily achieved. In addition, when a thermosetting resin is used together with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is used alone, irreversible curing may occur even by heat.

또한, 비가역적 경화를 통해 상기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파장의 광이나 특정 온도의 열을 인가하되, 외부에서 광 또는 열을 인가하여 입자의 위치를 고정하고(제1 단계), 이어서 상기 제1 단계보다 더 강한 강도의 광 또는 더 높은 온도의 열을 인가하여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제2 단계)로 나누어 경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1차 자기장을 인가하여 특정 부분을 우선적으로 경화시킨 후, 2차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특정 부분 외의 부분을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비가역적 경화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자기장의 세기나 파장을 달리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액상 매질을 사용하여 경화를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보안 정보 자체를 서로 다른 입자의 배열로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forming the security element layer through irreversible cur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r heat of a specific temperature is applied, but the position of the particles is fixed by applying light or heat from the outside (step 1), and then The cu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into a step of additionally fixing by applying light of a stronger intensity or heat of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step (second step). In addition, irreversible hardening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rimary magnetic field to cure a specific part preferentially and then curing a part other than the specific part by applying a secondary magnetic field.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B. The wavelength can be changed, and curing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by using a liquid medium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is process, the security information itself may be compositely composed of an array of different particles.

즉, 상기 경화 과정을 전술한 바와 같이 2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면, 제조된 보안 소자층 내에서 입자가 배열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외부의 에너지에 의해 입자의 배열이 바뀌거나 열화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입자 배열이 다른 영역을 구성하여 광결정 효과가 서로 다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That is, if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eps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of particles in the manufactured security element layer is stably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phenomenon that the arrangement of particles is changed or deteriorated by external energy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regions having different particle arrangements may be formed so that different photonic crystal effects may occur.

또한, 상기 보안 소자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 반사광의 스펙트럼, 반사광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특성이 변화되는 가변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안 소자층 자체의 광학 효과와 더불어 상기 가변층의 광학 효과가 추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층을 부가한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또 다른 광학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element layer itself is formed by additionally forming a variable layer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and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t the top or bottom of the security device layer. In addition to the optical effect of, the optical effect of the variable layer may be added.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evident device to which such a variable layer is add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other optical effect.

이와 같이 비가역적으로 경화되어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면 도 2의 단계 3에서와 같이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 변화, 패턴 변화, 입체 효과, 발광 효과 등의 광학 효과가 가변 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는 각도를 달리하거나 광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특정 기재에 인쇄된 보안요소를 가압하거나 늘리거나 구부림으로써 색상 변화, 패턴 변화, 입체 효과, 발광 효과 등의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security element layer is formed by irreversibly curing in this way, the optical effects such as color change, pattern chang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uminous effect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s in step 3 of FIG. Or, simpl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light source makes it easy to recognize whether it is forged or altered. Alternatively, visual effects such as color change, pattern chang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uminous effect may be displayed by pressing, stretching, or bending a security element printed on a specific substrate.

또한, 상기 제2 입자로서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회전 또는 재배열될 수 있는 판상 형태의 입자를 채용하면,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재배열된 후 상기 보안 소자층 내에서 도 3(a)에서와 같은 배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모두 판상 형태의 입자로 함으로써 도 3(a)에서와 같은 광학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열에서는 보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색상, 입체 효과, 발광 효과 등의 시각적 효과가 뚜렷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인쇄된 정보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특정 기재에 인쇄된 보안 소자층을 가압하거나 구부림으로써 색상 변화, 패턴 변화, 입체 효과, 발광 효과 등의 광학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a plate-shaped particle that can be moved, rotated, or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is employed as the second particle, it is rearr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 and then in the security element layer, Fig. 3(a) ) Can form the same arrangement as in. By using both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into plate-shaped particles, the optical effect as shown in Fig. 3(a) can be realized.In this arrangement, visual effects such as color,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uminous eff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ing angle Since is clearly express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printed information is forged or altered. Alternatively, optical effects such as color change, pattern chang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uminous effect may be implemented by pressing or bending the security element layer printed on a specific substrate.

또한, 상기 제1 입자로서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회전 또는 재배열될 수 있는 입자를 채용하면,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제2 입자와 상기 제1 입자가 각각 자기장에 따라 이동, 회전 또는 재배열 됨으로써, 보는 각도 또는 외부 광원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에 의한 복합된 색상변화, 입체 효과, 발광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제1 입자 및 제2 입자가 외부 자기장에 따라 반응하는 경우, 제1 입자 및 제2 입자가 외부 자기장에 따른 이동 및 재배열 현상이 다르게 발현되도록 구성하거나, 각도에 따른 광학 특성(색상, 반사도, 반사 스펙트럼 등)을 서로 대조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입자들에 의한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에 의한 위조 및 변조 여부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particles that can be moved, rotated, or re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re employed as the first particles, the second particles and the first particles move, rotate or move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By rearranging, it is possible to induce a complex color chang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luminous effect by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or position of an external light source. When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react according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configured to exhibit different movement and rearrangement phenomena according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or optical properties (color, reflectivity, By selecting the reflection spectrum, etc.) in contras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or not forgery or modulation is caused by different visual effects by each particle.

이러한 보안 소자층을 적용하여 기재에 패턴을 형성한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보는 각도에 따라 뚜렷한 원형 패턴 형상이 시각적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제품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상기 원형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by applying such a security element layer, referring to FIG. 4, a distinct circular pattern shape is visu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so that whether the product is forged or altered can be confirmed by recognizing the circular pattern. do.

또한, 상기 제2 입자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규칙적 재배열을 통해 광결정을 구성하는 입자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입자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배열될 때 광결정 현상을 발현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보안 소자층은 도 3(b)와 같은데, 이러한 보안 소자층은 보는 각도에 따른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따른 특정 광결정 패턴이 형성되고, 형성된 광결정 패턴의 각도에 따른 색가변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시변각 광학 효과와 광결정 광학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입자들에 의한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에 의한 위조 및 변조 여부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econd particles, particles constituting the photonic crystal may be applied through regular re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is case, the second particles are regularly arranged to develop a photonic crystal phenomenon when they are arrang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Can be arranged as. The security device layer formed through this process is shown in Fig. 3(b). In this security device layer, a specific photonic crystal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as well as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formed photonic crystal pattern. Since the color-changing effect can be simultaneously expressed, a time-varying optical effect and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or not forgery or alteration is caused by different visual effects by each particle.

이러한 보안 소자층을 적용하여 기재에 원형 패턴을 형성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특정한 보는 각도에서의 패턴이 시각적으로 뚜렷이 인식 가능하게 됨과 함께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원형 패턴의 일정 부분에 형성된 광결정 패턴이 가변되기 때문에 시변각 광학 효과와 광결정 광학 효과의 동시 구현을 통해 제품의 위조 및 변조 여부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s an example of forming a circular pattern on a substrate by applying such a security element layer, a pattern at a specific viewing angle is visually clearly recognizable, and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circular pattern. Since the formed photonic crystal pattern is variabl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a product is forged or altered through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a time-varying optical effect and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입자로는 판상 형태 입자 적어도 일면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미러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금속 광택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양면의 색상이 서로 다른 입자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입자를 판상 형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른 색상 변화나 입체 효과를 얻을 수도 있는데,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나 거울(mirror) 특성, 금속 광택 특성이 있는 입자를 사용하면 보는 각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입자의 양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짐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입자의 일면에서 양면이 보일 때 색이 가변 되는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일면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거울(mirror)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금속 광택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양면의 색상이 서로 다른 입자는 입자의 일면과 타면의 광학적 특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구형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광학적 특성의 발현을 위해 판상 형태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particl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late-shaped particles is a particle whose color or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an angle, at least one surface is a particle having a mirror characteristic, at least one surface is a particle having a metallic luster characteristic, and both sides Particles of different colors may be applied. As shown in FIG. 6, by using plate-shaped particles as the first particles, color change or three-dimensional effect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However, if you use particles that change the reflected light, or particles with a mirror property or metallic luster property,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can be made more pronounced. 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particles have different colors, a phenomenon in which colors are changed when both sides of the particles are seen from one sid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may occur. In this case, at least one side of the particles whose color or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the angle, at least one side of the particles exhibiting mirror properties, at least one side of the particles exhibiting metallic luster properties, and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on both sides of the particles As the optical properti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different, spherical particles may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plate-shaped particles in order to express optical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 방법으로서 비가역적 경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제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may be manufactured without performing an irreversible curing process.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 반사광의 스펙트럼, 반사광의 세기 또는 투과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 및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재배열되는 제2 입자를 액상 매질 내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분산 단계; 상기 분산액을 광투과되는 매질을 사용하여 캡슐화 시키는 캡슐 제조 단계; 상기 캡슐을 기재에 인쇄하여 보안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rst particles and magnetic fields whose optical properties of any one or mor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or the transmittanc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 dispersion step of preparing a dispersion by dispersing the second particles moved or rearranged by application in a liquid medium; A capsule manufacturing step of encapsulating the dispersion using a light-transmitting mediu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a security element layer by printing the capsule on a substrate.

이와 같이 제조된 보안 소자층은 상기 캡슐 내에서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가 분산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제2 입자가 이동하며,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입자의 이동이 색상, 패턴 또는 입체효과가 변하게 되며, 상기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다시 상기 제1 입자와 제2 입자가 분산된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입자의 배열이 초기 배열과 가변된 배열 상태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하게 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capsule, the second particles are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the second particles ar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icles changes, and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removed,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s return to the dispersed state, so the arrangement of the particles is changed from the initial arrangement. Changes reversibly between them.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크기, 비중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고, OVP(optically variable pigment), 펄(pearl), 발광 안료, 축광 안료, 콜레스테릭 액정 안료, 자외선 발광 또는 흡수 물질, 적외선 발광 또는 흡수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안 소자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 색상, 스펙트럼,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광특성이 변화되는 가변층이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또 다른 형태의 광학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s may use particles of various shapes, sizes, and specific gravity, and as described above, optically variable pigments, pearls, luminescent pigments, phosphorescent pigments, cholesteric liquid crystal pigments,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additional components of ultraviolet light emitting or absorbing material, infrared light emitting or absorbing material, and among the color, spectrum, and intensity of reflected ligh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on or below the security element layer. Another type of optical effect can be implemented because at least one variable layer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may be additionally formed.

또한, 가역적으로 입자의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서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 여부에 따라 광학 효과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또 다른 용도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시변각 광학 효과와 광결정 광학 효과의 적절한 조합에 따른 다양한 보안 정보 표시가 가능하며, 이를 제품에 부착하거나 인쇄함으로써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품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that can reversibly change the position of a particle, since the optical effec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a counterfeit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for another use can be configured. Therefore, the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various secu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a visually variable optical effect and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and by attaching or printing it on the produc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whether it is genuine. do.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보안 소자층을 적용할 때 이를 디지털 데이터화할 수도 있는데, 가변되는 색, 패턴, 입체효과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코드로 미리 설정해 두고 삽입할 정보를 이진수 코드 및 픽셀화하여 정보를 생성한 후 이진수 코드에 따른 전자기장 신호의 변환 및 출력을 통해 데이터가 코딩되어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보안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when the security element layer is applied, it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Information on variable colors, patterns, and three-dimensional effects is preset as a designated code, and the information to be inserted is converted into binary code and pixel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data is coded through conversion and output of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ccording to a binary code, so that the security information of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can be checked.

이 경우, 시각적으로 색 가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보안정보를 스캔 또는 촬영하여 복수의 픽셀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픽셀 영역의 색상을 이진수 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이진수 코드를 식별하여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보안 정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사되는 광의 방향에 따라서도 보안정보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캔 또는 촬영 시 특정 각도에서만 보안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보안성능을 강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캔 또는 촬영은 카메라를 통해 수행하며, 상기 픽셀 영역을 이진수 코드로 변환하고 다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기기나 컴퓨터를 활용하여 정품인증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instead of visually checking the color variation effect, security information is scanned or photographed to select a plurality of pixel areas, convert the color of the pixel area to binary code, and identify the binary code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data. In this way, security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since the security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rradiated light, the security performance may be enhanced so that the security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ly at a specific angle during the scanning or photographing. Therefore, the scanning or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rough a camera, and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pixel area into a binary code and displaying the data again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or application. Therefore, using a smart device or computer equipped with a camera You can activate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광학 효과와 광결정 효과를 적절히 배합하여 다양한 보안정보를 다중 보안 확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어 종래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비해 범용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보안 물품에 활용이 가능하다.Therefore, by appl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security information in a multiple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by properly combining the optical effect and the photonic crystal effect,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And can be used for various security items.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reference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를 포함하는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표 1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the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location of the light source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 by weight)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crylate monomer 60~7060~70 2-메틸-4-메틸싸이오페닐-2-몰포린프로판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epropane 5~105-10 2,4-디에틸싸이옥산톤2,4-diethylthioxanthone 5~105-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7~207-20

상기 제1 입자로는 자성을 가지며 D90이 약 20㎛인 보라-진청색(purple to dark blue)의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다.As the first particle, a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of purple to dark blue color having magnetic and D90 of about 20 μm was used.

표 1에 기재된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여 보안 인쇄층을 형성하였고,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자기배향시켜 이미지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형성하였다. 자기 배향된 보안 인쇄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 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to form a security printing layer,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consisting of an image by self-aligning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by exposure to a magnetic field of a specific pattern. Formed. The self-oriented security printed matter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mW/cm2, and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No.No.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1#One 29.9829.98 28.6828.68 1.051.05

배향된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보안 인쇄물은 명암 식별이 용이하지 않았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은 1.05를 나타내었다.The security print containing the oriented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was not easy to identify the contrast, and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effect moving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vity ratio of the bright and dark zones of the printout was 1.05.

[실시예 2][Example 2]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와 외부 자기장 인가 시 입자가 재배열되는 제2 입자를 포함하는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for photocuring including a first particle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and a second particle whose particles are rearranged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crylate monomer 50~6050~60 2-메틸-4-메틸싸이오페닐-2-몰포린프로판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epropane 5~105-10 2,4-디에틸싸이옥산톤2,4-diethylthioxanthone 5~105-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7~207-20 제2입자(자기색가변 광결정 소재)Second particle (magnetic color vari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 7~207-20

상기 제1 입자로는 실시예 1과 같은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고, 제2 입자로는 자기장 인가시 가시광선파장(480~650㎚)을 반사하는 구형의 광결정 입자를 사용하였다.As the first particles,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as in Example 1 were used, and as the second particles, spherical photonic crystal particles that reflect a visible wavelength (480 to 650 nm)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were used.

표 3에 기재된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여 보안 인쇄층을 형성하였고,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자기 배향 시킴과 동시에 광결정 입자도 자기배열을 이루어 보안정보를 형성하였다. 자기 배향 된 보안인쇄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 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3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to form a security printing layer, and exposed to a magnetic field of a specific pattern to self-orient th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and at the same time photonic crystal grains Security information was formed by self-arrangement. The self-oriented security print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mW/㎠, and the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No.No.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2#2 18.7118.71 18.518.5 1.011.01

배향된 제1 입자와 제2 입자를 포함하는 보안인쇄물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명암 식별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은 1.01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security print including the oriented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was not easy to identify the contrast as in Example 1, and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effect moving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vity ratio of the bright zone and dark zone of the printout was 1.01, which showed similar results.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의 낮은 광학적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표 5와 같은 조성의 광경화용 컬러잉크를 제조하여 기재에 인쇄 및 경화를 진행하였고, 이후 표 1 및 표 3에 따른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인쇄하여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광경화용 컬러잉크층은 종이에 제1 입자와 제2 입자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광흡수층 역할을 하여 제1 입자와 제2 입자에 의해 나타나는 특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 하였다.In order to improve the low optical effect in Examples 1 and 2, a photocuring color ink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5 was prepared and printed and cured on the substrate, and then 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s 1 and 3 Was printed to evaluate the optical properties. The photocuring color ink layer was expected to improve the properties exhibited by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s by acting as a light absorbing layer as well as preventing the absorption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into the paper.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crylate monomer 70~8070~80 2-메틸-4-메틸싸이오페닐-2-몰포린프로판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epropane 5~105-10 2,4-디에틸싸이옥산톤2,4-diethylthioxanthone 5~105-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안료 (Carbon Black)Pigment (Carbon Black) 7~207-20

표 5에 기재된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실크스크린 인쇄(42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였고, 조성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켰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5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420 mesh), and the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mW/cm2.

표 1 및 표 3에 따른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 및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화성 광학 가변 자성 플레이크를 자기배향 시켰다. 이렇게 자기 배향된 코팅 조성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 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s 1 and 3 was applied to a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and exposed to a magnetic field of a specific pattern to self-align th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agnetic flakes. The self-oriented coating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 mW/cm 2, and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No.No.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Bright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Reflectanc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3#3 11.4811.48 2.832.83 4.064.06 #4#4 8.828.82 3.183.18 2.772.77

컬러층 상단에 인쇄 및 경화된 표 1에 따른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보안인쇄물은 실시예 1의 결과와 대비하여 명암 식별이 더 용이하였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도 4.06을 나타낼 정도로 우수한 대조비를 나타내었다.The security print containing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according to Table 1 printed and cured on the top of the color layer was easier to identify the contrast compared to the results of Example 1, and produced a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mov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I could confirm. The ratio of the reflectivity of the bright zone and the dark zone of the printout also showed an excellent contrast ratio of 4.06.

또한, 제1 입자와 제2 입자를 포함하는 보안 인쇄물은 실시예 2의 결과 대비하여 명암 식별이 더 용이하였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도 2.77의 대조비를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ecurity print including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was easier to identify the contrast compared to the result of Example 2,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three-dimensional effect moving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ratio of the reflectivity of the bright and dark zones of the printout also showed a contrast ratio of 2.77.

이러한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실시예 2에 따른 보안 인쇄물의 색 대비 효과(a)에 비해 실시예 3의 색 대비 효과(b)가 더욱 뚜렷해 지는 결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This result is as shown in FIG. 4, which can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that the color contrast effect (b) of the third embodiment becomes more pronounced compared to the color contrast effect (a) of the security pr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 4][Example 4]

인쇄 층의 광학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표 5의 광경화용 컬러잉크의 안료 종류를 변경하여 광흡수층의 특성에 변화를 주었다. In order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rinted layer, the pigment types of the photocuring color ink of Table 5 were changed to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Black과 Blue 안료가 각각 분산되어 있는 광경화용 컬러잉크들을 실크스크린 인쇄(42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였고, 조성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켰다. Color inks for photocuring in which Black and Blue pigments are respectively dispersed were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420 mesh), and the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mW/cm2.

표 3에 따른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 및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화성 광학 가변 자성 플레이크를 자기 배향 시켰다. 이렇게 자기 배향된 코팅 조성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4과 같다.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 3 was applied to a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and exposed to a magnetic field of a specific pattern to self-align th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agnetic flakes. The self-oriented coating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mW/cm2, and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5#5 8.828.82 3.183.18 2.772.77 #6#6 7.347.34 2.872.87 2.562.56

표 7의 결과로부터 광흡수층의 색상이 변화됨으로써 색가변 특성 및 광결정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results of Table 7,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change characteristics and photonic crystal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실시예 5][Example 5]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와 외부 자기장 인가 시 입자가 재배열되는 제2 입자를 포함하는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표 8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for photocuring comprising a first particle whose optical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and a second particle rearranged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8.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crylate monomer 50~6050~60 2-메틸-4-메틸싸이오페닐-2-몰포린프로판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epropane 5~105-10 2,4-디에틸싸이옥산톤2,4-diethylthioxanthone 5~105-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표10 First particle (non-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Table 10 7~207-20 제2입자(자기색가변 광결정 소재)Second particle (magnetic color vari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 7~207-20

상기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는 아래의 표 9에서와 같이 D90이 약 50㎛의 다양한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고, 자기색가변 광결정 소재는 자기장 인가시 가시광선파장(480~650nm)을 반사하는 구형의 광결정 입자를 사용하였다.As for 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s, various optically variable flakes having a D90 of about 50 μm were used as shown in Table 9 below, and the magnetochromic photonic crystal material has a spherical shape that reflects a visible wavelength (480-650 nm)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Photonic crystal particles were used.

기재materials 사이즈 (μm / D10~D90)Size (μm / D10~D90) 사이즈 (μm / D50)Size (μm / D50) Mica Flakes(#7)Mica Flakes(#7) 6~456~45 18~2318~23 Glass Flakes(#8)Glass Flakes(#8) 6~416~41 16~2016-20 Mirror Flakes(#9)Mirror Flakes(#9) 9~1509~150 45~7045~70

표 9의 광흡수층을 인쇄 및 경화한 후 표 8에 따른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였고,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제1 입자와 제2 입자를 자기 배향 시켰다. 이렇게 자기 배향된 코팅 조성물은 330mW/㎠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 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After printing and curing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able 9, 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 8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and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were magnetically exposed by exposure to a magnetic field of a specific pattern. Oriented. The self-oriented coating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 mW/cm 2, and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0.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7#7 19.6819.68 14.7314.73 1.341.34 #8#8 15.9815.98 11.5711.57 1.381.38 #9#9 23.7223.72 19.7619.76 1.201.20

표 10에 따른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보안 인쇄물은 명암 식별이 용이하였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은 약 1.3을 나타내었다. 비록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보안인쇄물 대비 CR ratio는 낮지만 충분히 입체효과 등의 광학특성이 개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의 사이즈는 D90 45, 150㎛을 사용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의 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제2 입자에 의한 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한 광학적 효과를 표현함에 효과적이다. 이는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인쇄물은 각도에 따라 패턴의 가변 효과가 뚜렷이 확인되는 것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The security print including 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s according to Table 10 was easy to identify the contrast,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effect moving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vity ratio of the bright and dark zones of the printout was about 1.3. Although the CR ratio was low compared to the security print including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it was confirmed that optical properties such as three-dimensional effects were sufficiently disclos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s is D90 45, 150㎛, but preferably, the use of flakes of 25㎛ or less facilitates the orientation by the second particles, resulting in an optical effect. It is effective in expressing.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as shown in FIGS. 5 and 8, the variable effect of the pattern is clearly confirmed in the security print according to the angle.

이 경우, 플레이크가 배열되는 각도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층 내에 수직 또는 기울어진 입자(a) 및 수평으로 배열되는 입자(b)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보는 각도에 따른 광학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크의 배열은 도 7에서와 같이 인쇄층의 양단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at which the flakes are arranged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As shown in FIG. 6, vertical or inclined particles (a) and horizontally arranged particles (b) may be differently configured in one layer, Opt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may be realized. The arrangement of the flakes can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at both ends of the printed layer as shown in FIG. 7.

[실시예 6][Example 6]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와 외부 자기장 인가시 입자가 재배열되는 제2 입자를 포함하는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표 11에 따른 조성으로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for photocuring comprising a first particle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and a second particle that is rearranged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 11.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crylate monomer 50~6050~60 2-메틸-4-메틸싸이오페닐-2-몰포린프로판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epropane 5~105-10 2,4-디에틸싸이옥산톤2,4-diethylthioxanthone 5~105-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non-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7~207-20 제2입자(자화성 나노입자)Second particle (magnetizable nanoparticle) 7~207-20

상기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는 D90 약 50㎛의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고, 자화성 나노입자는 자기장 인가시 입자의 배열과 회전이 이루어 지는 특성을 갖고 있는 입자를 사용하였다.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s were used as optically variable flakes having a D90 of about 50 μm, and as the magnetizable nanoparticles, particles having a property of arranging and rotating particles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were used.

표 5에 따른 광흡수층을 인쇄 및 경화한 후 표 11에 따른 광경화용 코팅 조성물은 실크스크린 인쇄(300 메쉬)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였고, 특정 패턴의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화성 광학 가변 자성 플레이크를 자기 배향 시켰다. 이렇게 자기배향된 코팅 조성물은 330mW/㎠의 조건의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완전히 경화시킨후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2와 같다.After printing and curing the light absorbing layer according to Table 5, the photocuring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 11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by silkscreen printing (300 mesh), and th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agnetic flake was magnetically exposed to a specific pattern of magnetic field. Oriented. The self-aligned coating composition was completely cured by passing through a UV cur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 of 330 mW/cm 2, and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10#10 11.1911.19 8.968.96 1.251.25

표 12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보안 인쇄물은 명암 식별이 용이하였고,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입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물의 bright zone과 dark zone의 반사도 비율은 약 1.25를 나타내었다.Looking at the results of Table 12, the security print including 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 was easy to identify the contrast,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effect moving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vity ratio of the bright and dark zones of the printout was about 1.25.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은 자기장 인가 시 제1 입자로 인한 광학특성과 제2 입자의 배열 또는 이동으로 인한 복합적 광학적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같이 제2 입자의 이동과 배열, 회전에 의하여 제1 입자의 배향이 유도되고 이로 인해 광학적 특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2 입자로 자기 광결정 입자를 사용한 경우 제1 입자의 광학적 특성과 제2 입자의 광학적 특성의 조합으로 새로운 광학적 특성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여 기존의 보안인쇄용 코팅 조성물에 비해 보안성이 더 높고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보안인쇄용 코팅 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 Examples 1 to 6 show the results of optical properties due to the first particles and complex optical effects due to the arrangement or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ientation of the first particles is induced by the movement, arrangement, and rotation of the second particles as 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optical properties can be secured. In addition, when magneto-photonic crystal particles are used as the second particl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new optical properties can appea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econd particle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coating composition for security printing with high and improved optical properties.

또한, 실시예 7 내지 8을 통해 자기장 인가시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제1 입자의 색상, 패턴 또는 입체효과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가 효과적으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rough Examples 7 to 8, it was confirmed that 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in which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irst particle reversibly chang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is effectively manufactured.

[실시예 7][Example 7]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가변 잉크는 표 13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 하였다.The optically variable ink containing the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3.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이소 파라핀 오일Isoparaffin oil 85~9585~95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5~105-10

상기 제1 입자로는 D90이 약 20㎛의 검정-은색(Black to Silver) 자화성 광학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다. 표 13에 기재된 조성으로 잉크를 제조하여 캡슐화 공정을 통해 자화성 광학가변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표 14와 같다. As the first particles, black-to-silver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having a D90 of about 20 μm were used. An ink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3, and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icrocapsules were prepared through an encapsul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4.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젤라틴gelatin 10~1510-15 아라비아 검Arabian sword 10~1510-15 제 1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가변 잉크Optically variable ink containing first particles 70~8070~80

표 14에 따른 조성으로 제조한 캡슐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 그 광학적 특성을 평가 하였으며, 결과는 표 15와 같다.A film was prepared using a capsule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able 14, and its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5.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1#One 7.847.84 1.561.56 5.035.03

표 15의 결과로부터 자기장 인가시 Bright zone과 Dark zone이 극명히 대비 되며 대조비 5:1 이상의 Glittering effect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From the results of Table 15, when the magnetic field was applied, the bright zone and the dark zone were clearly contrasted, and a Glittering effect film with a contrast ratio of 5:1 or more could be manufactured.

또한, 상기와 같은 필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입자를 구성하여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색 가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은 자화성 가변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인쇄될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자기 배향이 발생하여 광학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film may exhibit a color variable effect by a magnetic field applied by constituting microparticles. In addition, when the microcapsules including magnetizable flakes are printed, the film including the microparticles generates magnetic orientation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s shown in FIG. 11 to realize an optical effect.

[실시예 8][Example 8]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와 외부 자기장 인가시 입자가 재배열되는 제2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가변 잉크는 표 16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Optically variable inks including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second particles whose particles are rearranged upon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6.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아이소 파라핀 오일Isoparaffin oil 60~8060~80 소르비탄 트라이 올레이트Sorbitan Tri-Olate 0.1~1.00.1~1.0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0.5~2.00.5~2.0 제1입자(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1~101-10 제2입자(자기색가변 광결정 소재)Second particle (magnetic color vari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 10~2010-20

상기 제1 입자로는 실시예 1과 같은 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고, 제2 입자로는 자기장 인가시 가시광선파장(480~650㎚)을 반사하는 구형의 광결정 입자를 사용하였다.As the first particles,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s as in Example 1 were used, and as the second particles, spherical photonic crystal particles that reflect a visible wavelength (480 to 650 nm)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were used.

표 16에 기재된 조성으로 잉크를 제조하여 캡슐화 공정을 통해 자화성 광학가변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표 17과 같다.An ink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6 to prepar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icrocapsules through an encapsul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7.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젤라틴gelatin 10~1510-15 아라비아 검Arabian sword 10~1510-15 제 1입자와 2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가변 잉크Optically variable ink containing first and second particles 70~8070~80

표 17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캡슐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8과 같다.A film was prepared using a capsule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17, and its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8.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1#One 11.4311.43 6.196.19 1.851.85

표 18의 결과로부터 자성 구동을 통해 색상이 변화되며 Glittering effect 또한 동시에 발현되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From the results of Table 18,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film in which the color was changed through magnetic driving and the Glittering effect was also simultaneously expressed.

[실시예 9][Example 9]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와 외부 자기장 인가시 입자가 영동하는 제2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가변 잉크는 표 19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Optically variable ink including first particles whose optical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second particles that the particles migrate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9.

성분ingredient 조성 (중량%)Composition (% by weight) 아이소 파라핀 오일Isoparaffin oil 75~8575~85 안료 분산용 고 분자량 공중 합체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for pigment dispersion 1~31~3 제1입자(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First particle (non-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flake) 10~2010-20 제2입자(자성 입자)Second particle (magnetic particle) 1~101-10

상기 제 1입자로는 비자화성 광학 가변 플레이크는 D90이 약 40㎛인 광학 가변 플레이크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 2입자로는 D90이 약 200nm인 자성 입자를 사용하였다.As the first particle, an optically variable flake having a D90 of about 40 μm was used as the non-magnetic optically variable flake, and a magnetic particle having a D90 of about 200 nm was used as the second particle.

표 19에 기재된 조성으로 잉크를 제조하여 캡슐화 공정을 통해 자화성 광학가변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표 20과 같다. An ink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9 to prepare magnetizable optically variable microcapsules through an encapsul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20.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젤라틴gelatin 10~1510-15 아라비아 검Arabian sword 10~1510-15 제 1입자와 2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가변 잉크Optically variable ink containing first and second particles 70~8070~80

표 20에 따라 제조한 캡슐을 이용하여 필름은 제조하고 그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21과 같다.A film was prepared using the capsule prepared according to Table 20, and its 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1.

No.No.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Bright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Reflectacne
/ Dark zone [%]
CR Ratio
(Bright/Dark)
CR Ratio
(Bright/Dark)
#1#One 8.968.96 4.414.41 2.032.03

표 21의 결과로부터 자성 구동을 통해 색상이 변화되며 Glittering effect 또한 동시에 발현되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비자화성 가변 플레이크와 광결정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인쇄될 경우 도 12에서와 같이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자기 배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광학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From the results of Table 21,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film in which the color was changed through magnetic driving and the Glittering effect was also express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when microcapsules including non-magnetic variable flakes and photonic crystal particles are printed, different optical effects can be implemented because magnetic orientation is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s shown in FIG. 12.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Examples should be view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의 색상(Color), 반사광의 스펙트럼(Spectrum), 반사광의 세기 또는 투과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제1 입자 및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여 재배열(reconfiguration)되는 제2 입자를 액상 매질 내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분산 단계;
상기 분산액을 광투과되는 매질을 사용하여 캡슐화 시키는 캡슐 제조 단계;
상기 캡슐을 기재에 인쇄하여 보안소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제2 입자가 이동하며,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입자가 이동되어 상기 제1 입자에 의한 색상, 패턴 또는 입체효과가 가역적으로 변하여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초기 배열(configuration)에서 다른 배열로 재배열되고,
각 캡슐에는 상기 제1 입자 및 상기 제2 입자가 각각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제1 입자는 판상 형태이고, 상기 제2 입자는 구형 형태이고,
각 캡슐 내에서 상기 제2 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입자의 배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first particle whose optical properties change one or more o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or the transmittance is chang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nd A dispersion step of dispersing the second particles to be reconfigured in a liquid medium to prepare a dispersion;
A capsule manufacturing step of encapsulating the dispersion using a light-transmitting medium;
Printing the capsule on a substrate to form a security device layer;
Including,
The second particles are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the first particles ar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to reversibly change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irst particles. Rearranged from the initial configuration of the particles to another arrangement,
Each capsule has a plurality of the first particles and the second particles, respectively,
The first particle has a plate shape, the second particle has a spherical shap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articles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particles within each caps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는 Fe, Ni, C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강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강자성체는 착자를 통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icle is compos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element of Fe, Ni, Co, the ferromagnetic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z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자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광결정 현상을 발현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ic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wherein the second particles are regularly arranged to exhibit a photonic crystal phenomenon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는 판상(flake) 형태 입자, 적어도 일면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반사광이 변화되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거울(Mirror)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적어도 일면이 금속 광택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 양면의 색상이 서로 다른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icles are flake-shaped particles,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color or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an angle,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exhibits a mirror characteristic,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exhibits metallic luster characteristic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evid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r more of particles of different col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한 물질을 사용하여,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제2 입자 및 상기 제1 입자가 복합적으로 이동하여 제1 입자에 의한 광학 특성 및 제2 입자에 의한 광학 특성이 함께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y using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ic material as the first particle, the second particle and the first particle are combinedly moved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so that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article and the optical property of the second partic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toge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자는 자성체이며,
상기 제2 입자는 강자성체 입자, 초상자성체 입자, 구형(Sphere) 형태 입자, 판상(flake) 형태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영동(magnetophoretic) 구동을 하는 입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유동(magnetorheological) 구동을 하는 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icle is a magnetic material,
The second particles are ferromagnetic particles, superparamagnetic particles, sphere-shaped particles, flake-shaped particles, particles that are magnetophoretic driven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magnetorheologically driven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r more of the particles to per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자는 Fe, Ni, Co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ic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element of Fe, Ni, and C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및 상기 보안소자 층 사이에 광흡수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 absorbing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ecurity devic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자는 자기장 인가시 하부로 편재되어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ic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to form a light absorption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소자 층에 형성된 보안정보는 패턴 또는 이미지이며,
상기 패턴 또는 이미지는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 QR 코드, 숫자, 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urity information formed on the security device layer is a pattern or image,
The pattern or image is one or more of a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barcode, a QR code, a number, and a charac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소자 층은 OVP(optically variable pigment), 펄(pearl), 발광 안료, 축광 안료, 콜레스테릭 액정 안료, 자외선 반응 물질, 적외선 반응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urity device layer is a counterfe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y one or more of OVP (optically variable pigment), pearl, luminescent pigment, photoluminescent pigment, cholesteric liquid crystal pigment, ultraviolet reactive material, and infrared reactiv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mper-resistan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의 초기 배열에서 다른 배열로 재배열되는 것은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를 초기 배열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rearranged from the initial arrangement to the other arrangement comprises rearranging the first particle and the second particle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initial arrang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소자 층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또는 구부림(Bending) 또는 늘림(Stretching)에 의해 굴곡, 수축 또는 팽창하는 구조적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입자에 의한 색상, 패턴 또는 입체효과가 변경되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urity element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pattern, or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irst particles is changed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bending, contraction, or expansion due to external pressure or bending or stretch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소자 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보는 각도 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 색상, 스펙트럼,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광특성이 변화되는 가변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abrication of an anti-counterfeiting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variable layer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lor, spectrum, and intensity of reflected ligh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is additionally formed above or below the security element layer 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보는 각도 또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하는 시변각 광학 효과 및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하는 광결정 광학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gery and tampering prevention device comprises a time-varying optical effect in which optical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r a position of a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a photonic crystal optical effect in which optical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a magnetic field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mper-resistant device.
청구항 1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A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unterfeit and tamper-resista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190115330A 2019-09-19 2019-09-19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KR102187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30A KR102187266B1 (en) 2019-09-19 2019-09-19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30A KR102187266B1 (en) 2019-09-19 2019-09-19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88 Division 2019-06-05 2019-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66B1 true KR102187266B1 (en) 2020-12-04

Family

ID=7377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30A KR102187266B1 (en) 2019-09-19 2019-09-19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295A1 (en)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나노브릭 Method f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orging and falsif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3183A (en) * 2007-12-11 2010-12-01 德国捷德有限公司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KR101170585B1 (en) * 2004-12-09 2012-08-01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Security element having a viewing-angle dependent aspect, method of producing the security element and items comprising the security element
KR20170062372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나노브릭 Display Device for Certifying Genuin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20170124763A (en)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나노브릭 Publications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Comprising Optically Variable Materials
KR20180018612A (en) 2018-01-30 2018-02-21 주식회사 나노브릭 A color changeabl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585B1 (en) * 2004-12-09 2012-08-01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Security element having a viewing-angle dependent aspect, method of producing the security element and items comprising the security element
CN101903183A (en) * 2007-12-11 2010-12-01 德国捷德有限公司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KR20170062372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나노브릭 Display Device for Certifying Genuin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20170124763A (en)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나노브릭 Publications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Comprising Optically Variable Materials
KR20180018612A (en) 2018-01-30 2018-02-21 주식회사 나노브릭 A color changeab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295A1 (en)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나노브릭 Method f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orging and fals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994801U (en) Anti-counterfeiting and anti-counterfeiting device
RU2645926C2 (en) Optical effect layers showing viewing angle-dependent optical effect; processes and devices for their production; items carrying optical effect layer; and uses thereof
RU2655355C2 (en) Optical effect layers showing viewing angle dependent optical effect; processes and devices for their production; items carrying optical effect layer and uses thereof
CN105980068B (en) Method for producing an effect layer
RU2607811C2 (en) Protective thread
JP6051432B2 (en) Mechanism for displaying dynamic visual motion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09626B (en) Magnetic assembli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optical effect layers comprising oriented non-spherical magnetic or magnetizable pigment particles
KR101622379B1 (en) Magnetism generating appatus for anti-counterfeit apparatus and anti-counterfeit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210200A1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Comprising Optically Variable Colour Layer
TWI829734B (en) Optical effect layers,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curity documents, decorative elements, and objects comprising the same
CN103052896B (en) Composite anti-fake film and composite anti-fake method
KR101476412B1 (en) Anti-counterfeit apparatus
CN101903183A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KR20100085979A (en) Photonic crystal security device and method
KR20150081257A (en) Irreversibly magnetically induced images or patterns
KR10237388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ans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including Photonic Crystal Materials Complex
KR101335719B1 (en) Hybrid anti-counterfeit film, method of the same, hybrid anti-counterfeit method, and hybrid anti-counterfeit set
CN113671732A (en) Anti-counterfeiting modification device compris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DE102011116491A1 (en) Microcapsule and use of the same, microcapsules having security element and with the same equipped disk
KR10218726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KR2020012148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KR102632606B1 (en) Security article having security serial color code using magnetically photonic color changable ink
KR20200050112A (en) Anti-counterfei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213772A1 (en) Security medium printed on which color code for security information is printed using 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i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1003797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nti-counterfei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