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971B1 -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71B1
KR102186971B1 KR1020180098704A KR20180098704A KR102186971B1 KR 102186971 B1 KR102186971 B1 KR 102186971B1 KR 1020180098704 A KR1020180098704 A KR 1020180098704A KR 20180098704 A KR20180098704 A KR 20180098704A KR 102186971 B1 KR102186971 B1 KR 10218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ir
body case
termin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23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그로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로빅 filed Critical (주)그로빅
Priority to KR102018009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특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노트북과 같이 본체 케이스를 폴딩하여 휴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단자부에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를 펼쳐 태양광을 통한 전원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로 상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된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태양전지(21)가 상하, 좌우로 정렬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태양광패널(2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상기 태양광패널(20)를 통해 얻어진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전원저장부(30);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가 상호 접철가능도록 하는 힌지연결부(40);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중공부(41)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단자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50)는 상기 중공부(41)에 끼움결합되되 한 쌍의 접속단자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구(51)와, 상기 끼움구(51)의 외주연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단 외주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편(52)과, 상기 밀착편(52)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55)가 돌출된 수용부(54)가 마련된 수용구(5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저장부(3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SUNLIGHT CHARGE POWER SUPPLY APPARATUS OF NOTEBOOK TYPE}
본 발명은 노특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노트북과 같이 본체 케이스를 폴딩하여 휴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단자부에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를 펼쳐 태양광을 통한 전원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전자기술의 발달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 및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업무상 또는 개인 용도로 다양한 전자기기가 휴대하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양한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동작을 위해 일정한 전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전자기기에 본래 장착된 밧데리로는 일정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더욱 성능이 향상된 개인휴대용 전자기기의 밧데리 개발에 많은 업체나 발명가들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밧데리가 개발된다 하여도 일정한 사용수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외부전원공급 없이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밖에 없는 기술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외부에서 별도로 입력되는 전원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휴대기기에 소정의 태양전지판을 부착하여 비상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안출된 바 있으나, 개인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와 제조의 어려움으로 이의 사용이 불편하고 소량의 전원공급만이 가능하여 일시적인 비상전원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취급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으로 그 상용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539호의 태양 에너지 충전 폴딩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노트북과 같이 한 쌍의 본체 케이스를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접어 폴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노트북이나 핸드폰 등 여러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를 펼쳐 상기 힌지연결부에 설치된 단자부에 별도의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를 펼쳐 태양광을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전원저장부에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로 상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된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태양전지(21)가 상하, 좌우로 정렬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태양광패널(2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상기 태양광패널(20)를 통해 얻어진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전원저장부(30);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가 상호 접철가능도록 하는 힌지연결부(40);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중공부(41)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단자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50)는 상기 중공부(41)에 끼움결합되되 한 쌍의 접속단자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구(51)와, 상기 끼움구(51)의 외주연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단 외주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편(52)과, 상기 밀착편(52)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55)가 돌출된 수용부(54)가 마련된 수용구(5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저장부(3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본체 케이스를 폴딩시킬 수 있어 휴대의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힌지연결부에 설치된 단자부에 별도의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야외에서 충전이 가능함음물론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에 전자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에 전자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는 상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20)과,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원저장부(30)와,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가 접철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힌지연결부(40)와, 상기 힌지연결부(40)에 설치되는 단자부(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는 평상시에는 노트북과 같이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를 상기 힌지연결부(40)를 중심으로 접어 폴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노트북이나 핸드폰 등 여러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를 펼쳐 상기 단자부(50)에 별도의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7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를 펼쳐 태양광을 통해 상기 전원저장부(30)에 전원이 저장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로 상측면이 개구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에는 파지돌출구(11)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접철된 상태에서 펼치는 경우 상기 파지돌출구(11)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전원저장부(3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패널(20)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된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태양전지(21)가 상하, 좌우로 정렬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21)는 통상의 태양전지가 0.6V, 0.1A~3A의 전류를 생성하므로 각 태양전지의 연결갯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원을 획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통상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규격에 맞도록 1.5V~12V 범위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각 태양전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연결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통상의 기술로 충분히 구현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기가 필요한 외부 전자기기의 전원규격이나 사용전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0)에는 교류변환장치(인버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저장부(3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상기 태양광패널(20)을 통해 얻어진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21)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저장부(30)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저장부(30)에 저장된 전원을 후술되는 상기 단자부(50)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40)는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가 상호 접철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중공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1)에는 후술되는 상기 단자부(5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50)는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전원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부(41)에 끼움결합되되 한 쌍의 접속단자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구(51)와, 상기 끼움구(51)의 외주연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단 외주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편(52)과, 상기 밀착편(52)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55)가 돌출된 수용부(54)가 마련된 수용구(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구(51)에 돌출형성된 상기 접속단자(55)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저장부(30)에 저장된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자기기(70)에 전원을 충전하는 경우, 별도의 전원연결잭(60)을 상기 수용구(53)의 수용부(54) 내부로 밀어 넣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케이스 11: 파지돌출구
12: 충전표시등 20: 태양광패널
21: 태양전지 30: 전원저장부
40: 힌지연결부 41: 중공부
50: 단자부 51: 끼움구
52: 밀착편 53: 수용구
54: 수용부 55: 접속단자
60: 전원연결잭

Claims (2)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로 상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된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태양전지(21)가 상하, 좌우로 정렬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태양광패널(2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상기 태양광패널(20)를 통해 얻어진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전원저장부(30);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 케이스(10)가 상호 접철가능도록 하는 힌지연결부(40);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중공부(41)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단자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50)는 상기 중공부(41)에 끼움결합되되 한 쌍의 접속단자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구(51)와, 상기 끼움구(51)의 외주연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40)의 길이방향 일측단 외주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편(52)과, 상기 밀착편(52)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55)가 돌출된 수용부(54)가 마련된 수용구(5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저장부(3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2. 삭제
KR1020180098704A 2018-08-23 2018-08-23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KR10218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04A KR102186971B1 (ko) 2018-08-23 2018-08-23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04A KR102186971B1 (ko) 2018-08-23 2018-08-23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23A KR20200022723A (ko) 2020-03-04
KR102186971B1 true KR102186971B1 (ko) 2020-12-07

Family

ID=6978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04A KR102186971B1 (ko) 2018-08-23 2018-08-23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6527B (zh) * 2022-08-22 2023-03-31 广西鼎旭同辉农业投资有限公司 一种可适应地形的便携式光伏供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442A (ja) 2002-02-05 2003-08-15 Kukan Kikaku Co Ltd ノートパソコン用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144A (ko) * 1998-09-09 2000-04-06 이수근 태양전지를이용한휴대용다중전원장치
KR20080112622A (ko) * 2007-06-21 2008-12-26 (주)우리솔라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442A (ja) 2002-02-05 2003-08-15 Kukan Kikaku Co Ltd ノートパソコン用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23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7076B2 (en) Standby battery product and stackable charging system thereof
US8593106B2 (en) Dual-chargeable battery pack in a power supply
CN201252411Y (zh) 具有多个电源输出端口和usb端口的电源供应装置
CN201226514Y (zh) 手机便携式移动电源
KR102186971B1 (ko) 노트북형 태양광 충전 전원공급장치
JP3147740U (ja) 携帯型折畳みソーラー充電装置
KR20080112622A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CN202663159U (zh) 移动电源
CN201122674Y (zh) 数据线
CN204669024U (zh) 一种太阳能多功能充电包
CN206117218U (zh) 一种移动电源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TWM464916U (zh) 分區充電與各區串聯放電之移動式電源
CN203151183U (zh) 一种便携式太阳能充电器
WO2019119743A1 (zh) 可拆分太阳能充电装置
CN204794191U (zh) 一种太阳能充电器
CN204441667U (zh) 一种可使用干电池自主充电的便携式数据线
CN203951436U (zh) 一种便携式太阳能充电移动电源
CN213213145U (zh) 一种适用于电子秤的新能源移动电源
CN210404765U (zh) 锂电池保护电路
CN211508641U (zh) 一种红外感应的充电宝控制电路
CN202759488U (zh) 太阳能充电手机
CN102790415A (zh) 腰包式太阳能充电器
CN207021738U (zh) 一种充电装置
CN201478411U (zh) 多用usb充电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