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800B1 -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800B1
KR102185800B1 KR1020200110141A KR20200110141A KR102185800B1 KR 102185800 B1 KR102185800 B1 KR 102185800B1 KR 1020200110141 A KR1020200110141 A KR 1020200110141A KR 20200110141 A KR20200110141 A KR 20200110141A KR 102185800 B1 KR102185800 B1 KR 10218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ing
terminal
server
information
dir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래
Original Assignee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11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800B1/ko
Priority to US17/395,321 priority patent/US113168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제어 명령에 따라 미리 지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바이스 단말과 통신하고, 공유 가능한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지정된 조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공유에 대해 허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device sharing and development system for multi-platform application}
본 발명은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해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각광을 받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의 생활을 포함한 비즈니스 업무가 디지털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기관 등이 자체적으로 서버나 운영환경을 구성하지 않고 서비스로 제공하는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은 데이터나 자원이 외부 클라우드 상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형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협력과 공유라는 새로운 방식의 업무 환경으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에 적응하기 위해 협업과 공유를 지원할 수 있는 업무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플랫폼과 데스크탑 PC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시장이 구분되어 있다. 모바일 생태계는 애플의 iOS, 구글의 Android 등 상호 호환성이 결여된 모바일 운영체제가 등장함에 따라 특정 운영체제를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이 늘어나면서 한 번의 개발로 iOS, Android 및 Windows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일 앱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하이브리드 앱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클라우드 기반으로 모바일과 데스크탑 PC을 통합 지원하는 개발/운영 도구는 아직 상품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3366호 (2012.06.15. 공개) - 업무 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디바이스 공유가 가능하게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플랫폼을 가지는 단말들에 대해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하는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제어 명령에 따라 미리 지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바이스 단말과 통신하고, 공유 가능한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지정된 조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공유에 대해 허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제1 네트워크와,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단말과 연결된 제2 네트워크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기능과 디바이스 제어 정보 전달 프록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는, 공유 가능한 상기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와;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 상태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하는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바이스 공유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보낸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안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 단말에 관한 연결 단말 정보, 공유 가능한 사용자 및 그룹과 각각의 권한을 설정한 권한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 요청하여 응답받거나 주기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다비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디바이스 위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 공유를 위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고객 단말 혹은 직원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과 상기 직원 단말은 화면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업무 지원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단말에 공유할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디바이스 공유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등록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정보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통해 상기 공유 요청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권한 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목록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사용 요청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네트워크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상기 디바이스 단말을 추출하는 단계와; 인접한 상기 디바이스 단말에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통해 확인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부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정렬하여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디바이스 공유가 가능하게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플랫폼을 가지는 단말들에 대해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측(업무 지원 단말)의 구성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고객 단말과 직원 단말 사이의 업무 화면 공유 예시도,
도 6은 스크린 뷰에 관한 도면,
도 7은 업무 지원을 위한 화면 공유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디바이스 공유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측(업무 지원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업무 처리 중에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필요한 업무에 대해 사용자 단말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1)은 업무 지원 서버(10), 고객 단말(60), 직원 단말(50), 디바이스 단말(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무 지원 서버(10), 고객 단말(60), 직원 단말(50), 디바이스 단말(9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직원 단말(50)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인 직원이 운용하는 단말 장치이다. 단말 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원 관련 애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함)이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 가능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운영체제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일 수 있다.
고객 단말(60)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인 고객이 소지하거나 운용하는 단말 장치이다. 고객 단말(60)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원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 가능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운영체제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단말(90)은 업무 처리에 필요한 하드웨어 디바이스(95)에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해당 디바이스(95)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이다. 디바이스 단말(90)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원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드를 통해서 설치 가능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운영체제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95)는 업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95)에는 카드발급기, OTP 발급기, 프린터, 스캐너(신분증 스캐너, 문서 스캐너 등), 유심 인증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지원 서버(10)는 고객 단말(60), 직원 단말(50) 및 디바이스 단말(90)과 통신하고,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 단말(90)에 직접 연결된 하드웨어 디바이스(95)를 사용자 단말(고객 단말(60) 또는 직원 단말(50))에서 공유 가능하게 하여, 해당 디바이스(95)가 요구되는 서비스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는 서버 장치이다.
또한, 업무 지원 서버(10)는 고객 단말(60)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 혹은 일부를 직원 단말(50)로 전달하여 화면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업무 지원 서버(10)는 실행 아키텍처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11), 업무 공유 서버(12), 세션 관리 서버(13), 푸시 서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운영 아키텍처에 포함되는 모니터링 서버(15), 플러그인 관리 서버(16), 사용자 계정 관리 서버(17), 업데이트 서버(18)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사용자 단말(고객 단말(60) 또는 직원 단말(50)) 및 디바이스 단말(90)과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의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디바이스 단말(90)로 전달하여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 단말(90)에 연결된 디바이스 리스트 및 상태를 관리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디바이스(95)를 다른 단말(사용자 단말)에서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 공유 요청에 대한 수신, 발신, 유효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95)의 상태, 권한 등에 관해서도 관리할 수 있다.
업무 공유 서버(12)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고객, 직원 등)의 접속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사용자 간의 화면 및/또는 데이터 공유를 위해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계 기능을 제공한다.
세션 관리 서버(13)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API 게이트웨이(API Gateway)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 및 인증을 관리한다.
푸시 서버(14)는 애플리케이션에 각종 공지, 뉴스 등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모니터링 서버(15)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직원 단말(50), 고객 단말(60), 디바이스 단말(90)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에 대응하게 할 수 있고, 요청에 따라 단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인 관리 서버(16)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계하는 플러그인을 등록하고 관리한다. 빌드 프로세스와 연동하여 필요한 플러그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관리 서버(17)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고객, 직원 등)의 계정을 관리한다.
업데이트 서버(18)는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 또는 관련 파일들을 배포, 설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드 후 설치된 사용자 단말(고객 단말(60) 혹은 직원 단말(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71), 웹뷰 모듈(72), 인터페이스 모듈(73), 업데이트 모듈(74), 모니터링 모듈(75), 공유 모듈(76), 화상/음성 모듈(77), 디바이스/플러그인 관리 모듈(78)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1)은 업무 지원 서버(10)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파일을 송수신한다. 통신 모듈(71)은 3G, 4G, 5G 등의 이동통신장치 및/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유선랜 등의 근거리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1)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파일은 암호화 모듈(미도시)을 통해 암호화되어, 해킹 등에 대비할 수 있다.
웹뷰 모듈(72)은 애플리케이션(80)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모듈(73)은 네이티브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 네이티브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업데이트 모듈(74)은 업데이트 서버(18)에서 배포하는 파일들을 통신 모듈(71)을 통해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 또는 관련 모듈을 업데이트한다.
모니터링 모듈(75)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단말 상태에 대한 각종 데이터 및 로그를 수집하고, 통신 모듈(71)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15)로 전송한다.
화상/음성 모듈(77)은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비대면(혹은 언택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직원과 고객 간에 화상 통화 혹은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음성 통화의 경우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화상 통화의 경우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플러그인 관리 모듈(78)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계하는 디바이스 및 플러그인을 관리한다. 관리하는 디바이스에는 공유 가능한 하드웨어 디바이스(95)가 포함될 수 있다.
공유 모듈(76)은 디바이스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공유 기능은 특정 디바이스 단말(90)에 연결된 디바이스(95)(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발급기 등)를 해당 디바이스(95)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고객 단말(60) 혹은 직원 단말(50))에서도 접근하여 해당 디바이스(95)를 통한 업무 수행(프린트물 출력, 카드발급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유 모듈(76)은 업무 공유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업무 공유에는 화면 공유 및/또는 데이터 공유가 포함될 수 있다.
업무 공유 기능, 특히 화면 공유 기능은 상호 연결을 희망하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업무 지원을 위한 연결이 수립되면, 고객 단말(60)의 화면 전체 혹은 일부가 공유되어 직원 단말(50)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직원이 고객 단말(60)을 직접 핸들링하지 않고서도 고객이 필요로 하는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거나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 및/또는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의 금융권의 프로세스 디지털 환경에서, 금융영업직원이 ODS(Out Door Sales), 모바일 브랜치(Mobile Branch)와 같은 환경에서 고객과 직원 간의 전자서명, 상품설계, 결제요청 등의 업무를 기기의 기종과 상관없이 협업하고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장이나 카드 없이 생체인증 시스템과 연동한 디지털 키오스크에도 이용될 수 있다.
국방 분야에서 보안이 필수적인 함정 전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무기, 센서 등의 다양한 하드웨어에 대한 접근 및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높은 수준의 보안 요구사항을 지원하며, 네트워크 단절 시 정상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오프라인 실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닝 분야에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인터렉티브가 가능하게 하여, 교사의 학습과 강좌 내용을 원격에 있는 학생의 단말과 공유하여 이러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차 칠판과 학생들의 단말을 공유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협업 수업이 가능하고, 푸시 기능을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 간의 인터렉티브 협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공영역의 대민서비스로는 공항/항만 등의 입/출국 시 본인 인증을 위한 키오스크, 무인민원발급기와 고객의 단말 환경과의 공유가 가능하게 하고, 공공기관의 대국민 대면/비대면 공유 서비스가 가능하다.
디지털트윈 기반의 제조환경에서는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물리적인 사물과 시스템의 동적 시뮬레이션을 디지털화하고, 생산 설비의 설계, 운영, 유지보수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단말 환경, 현장 작업자의 가상화 교육을 협업과 공유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의료 분야에서는 IoT 기기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대한 실시간 공유를 지원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 구축에 활용되고, 의료기기와 EMR(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연동이 이용될 수 있다.
협업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공동 작업, 공동 소유, 수평 관계 속에서 지식 공유와 실시간 코드 리뷰가 가능한 공유 개발도구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업무 지원 방법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융권 ODS에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고객 단말과 직원 단말 사이의 업무 화면 공유 예시도이며, 도 6은 스크린 뷰에 관한 도면이다.
스마트 점포에서의 고객 응대 프로세스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고객이 영업점 방문 시 업무를 직원 대면 처리를 할 것인지 스스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단계 S100).
고객 스스로 업무 처리하는 경우, ATM(Automated Teller Machine)에서 입금/출금/송금 처리를 수행하거나 STM(Smart Teller Machine, Self Teller Machine)에서 카드 신규/재발급, OTP 발급, 통장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의 영업점 창구업무를 직접 처리할 수 있다(단계 S105).
직원 대면 업무 처리 고객의 경우, 제1 고객 단말(61)(모바일폰, 스마트폰)에 은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은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직원 단말(50)과 제1 고객 단말(61)이 연계하여 화면/데이터 공유를 통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15).
은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창구에 마련되어 있는 제2 고객 단말(62)(은행 소유의 태블릿 혹은 PC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직원 단말(50)을 연계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20).
여기서, 제1 고객 단말(61)과 제2 고객 단말(62)은 은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로서, 그 소유는 고객과 은행으로 차이가 있지만, 은행 업무 처리 과정에서 둘 다 고객이 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단계 S115에서 직원 단말(50)과 제1 고객 단말(61)이 연계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공유를 원하는 단말을 식별하고 상호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우선 직원 단말(50)에서 식별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생성하여 표시한다(단계 S200).
제1 고객 단말(61)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원 단말(50)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공유 대상이 되는 직원 단말(50)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직원 단말(50)과 제1 고객 단말(61) 간에 상호 연결이 수립되어 공유가 시작될 수 있다(단계 S205).
여기서, 식별 코드의 생성이 직원 단말(50)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고객 단말(61)에서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직원 단말(50)에서 이를 촬영하여 상호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호 연결 수립을 희망하는 두 단말이 있을 경우, 임의의 단말에서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다른 단말에서는 생성된 식별 코드를 촬영하고 식별 코드를 생성한 단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두 단말 간에 공유(화면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상호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상호 연결이 수립된 경우, 공유된 제1 고객 단말(61)의 화면 중 필요한 업무 화면을 공유한다(단계 S210). 업무 화면 공유는 제1 고객 단말(61)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전체 혹은 미리 지정된 일부 영역(화면 영역 A)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공유 대상이 되는 제1 고객 단말(61)의 업무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그 영역이 정해질 수도 있다. 즉, 제1 고객 단말(61)의 화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 드래그 등의 제스처를 통해 선택한 하나 이상의 영역이 공유 대상이 되게 할 수 있다.
직원 단말(50)에서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공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A 부분에 공유 화면(고객 화면)이 표시되고, B와 C 부분에는 공유 화면 내용에 상응하여 원활한 업무 처리를 위한 내용들(업무 영역, 공통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객 단말(61)과 직원 단말(50) 사이에 업무 화면 공유가 이루어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직원 단말(50)의 지정된 영역(A)에는 고객 화면이 미러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1 고객 단말(61)에서는 공유되는 화면을 통해 고객 입력이 필요한 항목들을 출력하여 고객 입력을 받을 수 있다(단계 S215). 이 경우 고객 입력 항목을 최소화하여 고객 불편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객 입력에 따라 카드 발급 업무, OTP 발급 업무, 바이오 정보 등록 등의 수신 업무 처리, 대출 신청 전자서명 등의 여신 업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고객 단말(61)에 설치된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문, 홍채 등을 이용한 바이오 인증 매체를 등록하여, 이후 창구 ATM(혹은 STM) 기기에서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S220). 이때 제1 고객 단말(61)에서는 바이오 인증 정보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인증 결과만이 전송되어, 민감한 개인 정보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업점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기, 카드형 OTP 발급기, 프린터 등의 은행 디바이스를 직원 단말(50)과 연결하여, 이전 창구에서 처리한 업무를 처리하게 할 수 있다(단계 S225). 혹은 은행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이 있는 경우, 제1 고객 단말(61) 혹은 직원 단말(50)에서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통해 은행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디바이스 단말을 통한 디바이스 제어가 이루어져 하드웨어를 이용한 필요 업무가 처리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업무 지원을 위해 서로 다른 두 기기 간에 화면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두 기기에는 다른 사양의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PC까지 다양한 기기의 해상도에 맞춰 동일한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할 수 있는 원소스 멀티유즈(OSMU, One Source Multi Use) 방식의 스크린 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유 화면을 일정 비율로 확대 혹은 축소하여 PC와 태블릿 혹은 스마트폰에서 동일한 고객 화면이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원 단말(50)에서는 고객 화면과 업무 영역에 대해서는 스크린 뷰가 적용되어 고객 화면 미러링에 따른 화면 스크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를 표시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면 가로 스크롤과 세로 스크롤이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도록 화면 크기를 변경하는 스크린 뷰 기능을 통해 스크롤 요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업무 지원을 위한 화면 공유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경우에는 제1 고객 단말(61)에서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고객 단말(61)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고객으로부터 공유 요청 입력이 있는 경우, 업무 지원 서버(10)에 업무 공유를 위한 토큰(Token) 생성을 요청한다(단계 S300). 업무 지원 서버(10), 특히 업무 공유 서버(12)에서는 단말에서의 요청에 따라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토큰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제1 고객 단말(61)은 토큰 생성 요청에 상응하여 수신한 응답에 포함된 토큰과 접속 정보(인증 정보가 포함된 암호화된 URL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305).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QR 코드일 수 있다.
생성된 식별 코드는 공유를 희망하는 직원 단말(50)로 전달된다(단계 S310). 식별 코드의 전달 방법으로는 제1 고객 단말(61)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직원 단말(50)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직원 단말(50)에서는 식별 코드와 로그인한 직원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화면 요청을 업무 지원 서버(10)에 전송한다(단계 S315). 세션 관리 서버(13)와 사용자 계정 관리 서버(17)를 이용하여 직원 단말(50)을 사용하는 직원이 필요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고객이 공유한 화면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식별 코드)를 업무 공유 서버(12)에 전달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업무 지원 서버(10)에서는 직원 단말(50)의 공유 화면 요청에 포함된 토큰을 앞서 단계 S300에서 생성한 토큰과 비교하여 정당한 요청인지를 검증하고, 두 토큰이 동일할 경우 공유 화면에 대한 접근을 허가한다.
이후 업무 지원 서버(10)에서는 접속 정보에 따라 제1 고객 단말(6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공유 화면에 접근하고(단계 S320), 공유 화면을 직원 단말(50)로 전달하여 제1 고객 단말(61)과 직원 단말(50) 사이에 상호 연결이 수립되어 화면 공유(데이터 공유가 포함될 수도 있음)가 이루어지게 한다.
화면 공유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직원은 고객 단말에 접근하여 원활한 업무 처리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화면 공유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디바이스 공유 과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고객이 소지한 제1 고객 단말(61)을 통한 화면 공유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은행이 소유한 제2 고객 단말(62)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화면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객 단말(62)의 경우에는 고객이 로그인하기 위해 고객 신분증을 직원이 확인하거나 은행에 등록된 고객의 생체정보(정맥, 지문 등)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고객 인증을 수행한 이후, 고객이 희망하는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화면 공유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식별 코드를 고객 단말이 아닌 직원 단말에서 생성하여 출력하고, 이를 고객 단말에서 촬영하여 상호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업무 지원 방법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10은 디바이스 공유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 점포에서의 디바이스 공유 프로세스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고객 단말(61)과 직원 단말(50)은 화면 공유가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화면 공유 상태에서 고객 혹은 은행 직원이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중에 각종 은행 디바이스(95)에 대한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요구되는 은행 업무에는 카드 발급기를 통한 카드 발급, OTP 발급기를 통한 OTP 발급, 통장 프린터를 통한 통장 발급 또는 통장 정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은행 직원은 직원 단말(50)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공유 서버(특히,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10).
혹은 고객이 제1 고객 단말(61)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직원 단말(50)로 요청하고(단계 S400), 이를 직원 단말(50)이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전달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95)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90)로 해당 요청을 전달한다(단계 S420).
여기서,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보낸 단말과 관련하여 사용자 권한을 확인하고,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권한에 대한 확인은 업무 지원 서버(10)의 세션 관리 서버(1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단말(90)은 전달된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95)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여, 공유 사용을 허가한다(단계 S430).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는 공유 사용이 허가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업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111),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113), 디바이스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기능과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프록시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111)는 공유 가능한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111)는 공유 가능하거나 공유가 요구되는 디바이스(95)에 대해 해당 디바이스(95)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90)을 파악하고, 디바이스 정보와 디바이스 단말 정보를 연계하여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시킬 수 있다.
임의의 디바이스 단말(90)에 연결된 디바이스(95) 중에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장비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선택된 디바이스(95) 별로 사용자, 그룹, 권한을 설정받는다.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 연결 단말 정보, 설정 정보는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113)는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디바이스(95)에 대해 현 상태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단말(90)에서는 디바이스 사용 가부(ON, OFF, IN USE, AVAILABLE), 디바이스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113)의 요청에 의해 혹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15)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디바이스 공유 요청이 있을 경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요청을 보낸 사용자(요청자)의 권한을 확인하고,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안에서 접근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권한 없는 사용자의 요청의 경우에는 접근 제어를 허가하지 않는다. 제한된 권한의 사용자의 요청의 경우에는 접근 제어를 허가하되, 제한된 범위 안에서의 요청에 대해서만 디바이스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부(115)는 디바이스 공유 요청에 포함된 요청자의 위치 정보와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디바이스 위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게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공유 사용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디바이스 등록 절차는 다음과 같다.
디바이스 단말(90)에서는 공유할 디바이스(95)가 연결된 경우,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디바이스 등록을 진행한다(단계 S500).
디바이스 등록 과정에서 전달되는 디바이스 정보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 정보, 공유 가능한 사용자 및/또는 그룹 및 각각의 권한에 대한 권한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과정에서 전송된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11)에서 관리하는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정보 동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상태 업데이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디바이스 단말(90)은 디바이스 공유 서버(11)의 요청이 있을 경우 혹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연결된 디바이스(95)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단계 S505). 디바이스 상태 정보에는 디바이스 사용 가부(ON, OFF, IN USE, AVAILABLE), 디바이스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 사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고객 단말(60) 및/또는 직원 단말(50))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정보를 디바이스 공유 서버(11)에 요청한다(단계 S510).
디바이스 공유 서버(11)에서는 디바이스 공유 정보를 요청한 요청자에 대한 권한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우선순위를 설정한다(단계 S515).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요청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지 검사한다. 그리고 요청자의 네트워크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디바이스 단말 목록을 추출한다. 인접한 디바이스 단말에 연결된 디바이스 목록 정보를 필요한 디바이스 종류로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통해 확인한 디바이스 단말의 로그인 여부, 디바이스 사용 가부에 따라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정렬한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생성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된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을 요청자(사용자 단말)에 전달한다(단계 S520). 또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요청자의 권한을 고려하지 않고, 디바이스 사용 상태만을 고려하여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고, 요청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요청자는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디바이스부터 순차적으로 공유 사용 요청을 할 수 있다(단계 S525). 여기서, 우선순위는 참고용으로 제시된 데이터이며, 요청자는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 중에서 임의의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공유 사용 요청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공유 사용 요청이 수신되면,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요청자가 공유 사용이 허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530).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요청자가 공유 사용이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에 한해 공유 사용을 허가한다(단계 S535). 공유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에는 공유 사용 요청이 거부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다만, 앞서 단계 S520에서 디바이스 목록을 전달할 때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로 한정하여 디바이스 목록을 보낸 경우라면, 단계 S530 및 S535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디바이스 목록 중 선택한 디바이스에 대해 업무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사용 명령을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전송한다(단계 S540).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는 이 디바이스 사용 명령을 디바이스 단말(90)로 전달한다(단계 S545).
디바이스 단말(90)은 디바이스 사용 명령에 상응하는 디바이스(95)에 대해 디바이스 사용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95)를 제어한다(단계 S550). 이러한 디바이스 제어에 의해 요청자가 원하는 업무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단말(90)은 제어 결과를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전송한다(단계 S555). 디바이스 공유 서버(11)로 전송된 디바이스 제어 결과는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디바이스 단말이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도 디바이스 공유 가능하여, 기존의 프린터 공유와는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제1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디바이스 단말과 연결된 제2 네트워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서 상호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에 연동된 장비를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하고, 태블릿에 블루투스로 연결된 장비를 PC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것과 같이 서로 상이한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두 기기 사이에서 화면 공유를 통해 업무 지원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업무 지원 서버(10)의 각 구성요소들은 실행 아키텍처(디바이스 공유 서버(11), 업무 공유 서버(12), 세션 관리 서버(13), 푸시 서버(14) 등)와 운영 아키텍처(모니터링 서버(15), 플러그인 관리 서버(16), 사용자 계정 관리 서버(17), 업데이트 서버(18)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에 추가적으로 개발 아키텍처에 포함되는 빌드 배포 마스터 서버(30)가 포함될 수 있다. 빌드 배포 마스터 서버(30)는 개발자와 서비스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배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빌드 노드(31)와 배포 노드(32)를 관리하고 제어한다.
빌드 노드(31)는 안드로이드, iOS, Windows, Linux, Kiosk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배포 노드(32)는 앱 스토어(App Store),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Microsoft Store) 등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스토어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거나 자체 업데이트 서버(18)을 이용하여 직접 배포한다.
전술한 업무 지원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업무 지원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업무 지원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업무 지원 시스템 10: 업무 지원 서버
11: 디바이스 공유 서버 12: 업무 공유 서버
13: 세션 관리 서버 14: 푸시 서버
15: 모니터링 서버 16: 플러그인 관리 서버
17: 사용자 계정 관리 서버 18: 업데이트 서버
50: 직원 단말 60: 고객 단말
61: 제1 고객 단말 62: 제2 고객 단말
71: 통신 모듈 72: 웹뷰 모듈
73: 인터페이스 모듈 74: 업데이트 모듈
75: 모니터링 모듈 76: 공유 모듈
77: 화상/음성 모듈 78: 디바이스/플러그인 관리 모듈
80: 애플리케이션 90: 디바이스 단말
95: 디바이스 111: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
113: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 115: 디바이스 제어부

Claims (10)

  1.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제어 명령에 따라 미리 지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바이스 단말과 통신하고, 공유 가능한 상기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지정된 조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공유에 대해 허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공유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기능과 디바이스 제어 정보 전달 프록시 서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는,
    공유 가능한 상기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관리부와;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 상태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하는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바이스 공유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공유 요청을 보낸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안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디바이스 위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 공유를 위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제1 네트워크와,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단말과 연결된 제2 네트워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 단말에 관한 연결 단말 정보, 공유 가능한 사용자 및 그룹과 각각의 권한을 설정한 권한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동기화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상태 확인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 요청하여 응답받거나 주기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고객 단말 혹은 직원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과 상기 직원 단말은 화면 공유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9. 사용자 단말, 디바이스 단말 및 디바이스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 단말에 공유할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등록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정보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통해 상기 공유 요청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권한 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목록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가 상기 공유 사용 요청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공유 서버는 디바이스 디렉토리 기능과 디바이스 제어 정보 전달 프록시 서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등록된 디바이스 위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 공유를 위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게 하고,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디렉토리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네트워크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상기 디바이스 단말을 추출하는 단계와;
    인접한 상기 디바이스 단말에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통해 확인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부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정렬하여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방법.
  10. 삭제
KR1020200110141A 2020-08-31 2020-08-31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KR10218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41A KR102185800B1 (ko) 2020-08-31 2020-08-31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US17/395,321 US11316859B2 (en) 2020-08-31 2021-08-05 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device sharing and development system for multi-platform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41A KR102185800B1 (ko) 2020-08-31 2020-08-31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800B1 true KR102185800B1 (ko) 2020-12-02

Family

ID=7379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41A KR102185800B1 (ko) 2020-08-31 2020-08-31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16859B2 (ko)
KR (1) KR102185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39219B2 (en) * 2021-08-16 2024-07-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personalized user environments
CN115022277B (zh) * 2022-06-22 2024-05-1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双栈网络下的业务处理方法、装置以及设备
CN117056110B (zh) * 2023-08-17 2024-02-23 北京优特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故障排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863A (ja) * 2003-05-16 2004-12-02 Hitachi Ltd 端末装置とデバイスの対応付け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20063366A (ko)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케이티 업무 지원 시스템
KR101639991B1 (ko) * 2015-11-24 2016-07-15 이준엽 망분리 환경에서의 스풀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6692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이지메이션 클라우드 기반의 실행 화면 공유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20101852A (ja) * 2018-12-19 2020-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共用プリンタシステム、端末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556B2 (en) * 2002-03-01 2007-11-13 Enterasys Networks, Inc. Location discovery in a data network
JP2003316650A (ja) * 2002-04-18 2003-11-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携帯情報機器、セキュリティ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7213A (ko) 2011-04-14 2012-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협력 업무 지원 시스템
US9131147B2 (en) * 2011-10-07 2015-09-08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cting on multiple people crowding a small display for information sharing
KR101468779B1 (ko) 2012-11-29 2014-12-03 중소기업은행 업무 문의사항 조회 서비스를 통한 은행 업무 지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14413B2 (ja) * 2013-09-06 2018-10-31 株式会社リコー 文書印刷システム
US10372632B2 (en) * 2014-11-19 2019-08-06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16167793A (ja) * 2015-03-03 2016-09-15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909802B2 (ja) * 2015-12-02 2021-07-28 シティファ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itifyd, Inc. 車両駐車及び公共輸送ビーコンシステム
US10554697B1 (en) * 2016-06-14 2020-02-04 Open Invention Network Llc Browser application selection and navigation operations in a co-browsing environment
US10042591B2 (en) * 2016-12-13 2018-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CA3065340A1 (en) * 2017-06-05 2018-12-13 Citifyd, Inc. Parking objects detection system
KR102145667B1 (ko) 2018-09-20 2020-08-18 (주)에니아소프트 종합 행정정보제공기능을 갖는 무인 민원업무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863A (ja) * 2003-05-16 2004-12-02 Hitachi Ltd 端末装置とデバイスの対応付け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20063366A (ko)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케이티 업무 지원 시스템
KR101639991B1 (ko) * 2015-11-24 2016-07-15 이준엽 망분리 환경에서의 스풀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6692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이지메이션 클라우드 기반의 실행 화면 공유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20101852A (ja) * 2018-12-19 2020-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共用プリンタシステム、端末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0170A1 (en) 2022-03-03
US11316859B2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392B1 (ko)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KR102185800B1 (ko)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US10686655B2 (en) Proximity and context aware mobile workspaces in enterprise systems
CN101410803B (zh) 用于提供对计算环境的访问的方法和***
CN103441986B (zh) 一种瘦客户端模式的数据资源安全管控方法
US11005840B2 (e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secured information systems using authentication tokens and multi-device authentication prompts
CN112764943B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82072B2 (en) 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screen sharing and development system for multi-platform application
KR10268118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를 통한 비대면 원격 업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164359A (ja) 認証システム
CN111754658B (zh) 培训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983483B1 (ko) 복수계정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346882B (zh) 一种在手持装置上进行交易的方法以及一种服务器
RU273165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риз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US20230007004A1 (en) Account provisioning manager
JP6905645B1 (ja) ログインしたユーザidを個人情報と照合するユーザid通知方法及びシステム
TWI768307B (zh) 開源軟體整合方法
CN114745164B (zh)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10071903A (ko) 국군장병 전용 금융자산관리 시스템
JP2021189868A (ja) 医療情報保管プログラム及び医療情報保管管理装置
US20180321957A1 (en) Non-coding application solution
WO2021091415A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риз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KR20200142449A (ko) 모바일 명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CN116702108A (zh) 鉴权方法、装置和***
Robiette Managing access to electronic information: progress and pro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