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211B1 - Non-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Non-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211B1
KR102183211B1 KR1020180165836A KR20180165836A KR102183211B1 KR 102183211 B1 KR102183211 B1 KR 102183211B1 KR 1020180165836 A KR1020180165836 A KR 1020180165836A KR 20180165836 A KR20180165836 A KR 20180165836A KR 102183211 B1 KR102183211 B1 KR 10218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carcass ply
circumferential surface
spokes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6883A (en
Inventor
정진선
Original Assignee
유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21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5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foam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60C2007/1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Abstract

본 발명은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카카스플라이와, 상기 카카스플라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구비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가 형성되는 타이어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and in particular, a carcass ply coup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heel fixed to an axle of a vehicle, an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at regular intervals to elastically deform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It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ok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to be formed, a rubber layer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kes, and a tire body having a t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layer.

Description

비공기압 타이어{NON-PNEUMATIC TIRE}Non-pneumatic tire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며, 타이어 이탈을 방지하고, 운전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of a vehicle, preventing tire separation, and ensuring stability during driving.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어는 공기압 타이어이다. 그런데, 이러한 내부 공기압 구조의 차량용 타이어는 타이어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성능발휘 및 안전성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공기압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주행중에 지면 굴곡 또는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충격으로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Generally, tires used in vehicles are pneumatic tires. However, the tire for a vehicle having such an internal pneumatic pressure structur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tire, and it is inconvenient to frequently check the pneumatic pressure, which is absolutely critical for performance and safet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safety in that the tire may be damaged due to ground bending or driving shock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while driving.

비공기압 타이어는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와 달리, 압축공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설계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압 손실 또는 부족함으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 Unlike these pneumatic tires, since the non-pneumatic tire is a design method that does not use compressed air at all, it is free from the risk of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driving due to a loss or insufficient air pressure.

비공기압 타이어는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되었는 바, 그 중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0038274호의 경우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본체 및 접지면으로 기능하는 원주방향 연장형 크라운 부분과 그에 접하는 연장형 사이드월로 구성된 기술이다. Various non-pneumatic tire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Among th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0038274 is composed of a body made of elastic material, a circumferentially extending crown part functioning as a ground plane, and an extended sidewall in contact with it. It's technology.

또한, 타이어의 부하를 지지하는 보강된 환형밴드와, 휠 또는 허브 간의 부하력을 인장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다수의 웹 스포크를 포함하는 비공기압식 타이어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27984호에 제안되어 있다. In addition,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reinforced annular band supporting the load of the tire and a plurality of web spokes that transmits the load force between the wheel or hub in a tensioned stat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4-0027984. hav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비공기압 타이어의 경우에는 보강된 환형밴드의 흴 사이에서 차량의 부하를 지지하는 웹 스포크는 차량의 코너링의 경우 시 발생하는 고하중을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여 차량의 조종안정성 및 핸들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지게차와 같은 특수목적 차량의 경우 좁은공간에서 큰 방향전환이 필요한 극한 상황에서는 이들 웹 스포크의 파손으로 차량전복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non-pneumatic tires, the web spokes that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between the reinforced annular bands do not sufficiently support the high load that occurs in the case of cornering of the vehicle, so the steering stability and handling of the vehicle The performance will decrea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pecial purpose vehicle such as a forklif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se web spokes may be damaged and lead to a rollover of the vehicle in an extreme situation where a large direction change is required in a narrow spa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386호 : 비 공기식 자동차용 타이어)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70386: Non-pneumatic automobile ti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0935호 : 무공압 타이어)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10935: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고부하 또는 극한 상황에서의 외력에 저항하여 타이어의 본래 형상인 원형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조종안정성 및 핸들링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안전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sist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vehicle under high load or extreme conditions, reducing the phenomenon that the steering stability and handl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re deteriorated by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tire as i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neumatic tire that can improve driving safety and ride comf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카카스플라이와, 상기 카카스플라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구비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가 형성되는 타이어 본체를 구비한다.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rcass ply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heel fixed to the axle of a vehicle, an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A tire body having spoke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portion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rubber layer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kes, and a tire body having a tread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layer.

상기 스포크는 반구형 공극이 상기 휠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2완충부를 구비한다.In the spokes, a hemispherical voi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to form a first buffer part in contact with the carcass ply, and a gap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buffer part to contact the carcass ply. It has a second buffer.

상기 고무층은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이너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커버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와 상기 커버고무 사이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외력에 의한 타이어 형태 복원력을 보강하기 위한 형상유지부재를 구비한다.The rubber layer reinforces the tire shape restoring force by an external forc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the cover rubber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ub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inner rubber and the cover rubber It is provided with a shape holding member for.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무층의 내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매립되게 형성되는 스틸코드를 구비한다.The shape retaining member includes a steel cord formed to be embedded in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inside the rubber lay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ffer unit.

상기 고무층은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이너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커버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와 상기 커버고무 사이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타이어의 슬립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편하중 방지부재를 구비한다.The rubber layer is an inner rubber coupl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a cover rubber coupl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rubber,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between the inner rubber and the cover rubber to prevent slip and separation of the tire. It is provided with an uneven load preventing member for.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는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형성된 와이어를 결속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구비한다.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includes a wire fixing portion for binding wir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rubber layer.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는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형성된 편하중 완충판이 일체화된 고정부를 구비한다.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has a fixing part in which the unbalanced load buffer plat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rubber layer are integrated.

상기 스포크는 상기 휠 내측 양단과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상기 휠의 둘레방향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단방지부재를 구비한다.The spokes are provided with shear prevention members including wires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wheel and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rubber layer, and are repeatedly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unit.

상기 전단방지부재는 전단하중 완충판을 더 구비한다.The shear preven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shear load buffer plate.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는 스포크에 형성된 제1완충부, 제2완충부, 전단방지부재와 고무층에 형성된 형상유지부재, 편하중방지부재가 타이어에 작용하는 외력을 타이어 전체의 영역으로 분산시키고, 타이어의 본래 형상인 원형 형상이 탄력적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차량의 조종안정성 및 핸들링 성능의 안정적 유지에 따른 승차감 향상과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The non-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tire by the first buffer part, the second buffer part, the shear prevention member, the shape-maintaining member formed in the rubber layer, and the unbalanced load prevention member formed on the spokes to the entire area of the tire, By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tire elastical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ide comfort and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by stably maintaining the steering stability and handl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공기압 타이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공기압 타이어의 고무층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고무층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고무층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non-pneumatic tire shown in Figure 1;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ubber layer of the non-pneumatic tire shown in FIG. 2;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ubber layer of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ubber layer of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okes of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spokes of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1)는 타이어 휠(70)의 둘레에 배치되어 타이어 휠(70)의 둘레를 감싸는 카카스 플라이(50)와,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의 둘레에 부착되는 복수의 완충부(34)를 갖는 스포크(30)와, 상기 스포크(30) 위에 부착되어 상기 스포크(30)를 감싸는 고무층(13)과, 1 to 2, the non-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round the tire wheel 70 to wrap the carcass ply 50 around the tire wheel 70. ), a spoke 30 having a plurality of buffer portions 34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carcass ply 50, and a rubber layer 13 attached to the spokes 30 and surrounding the spokes 30, ,

상기 고무층(13)에 부착된 트레드 캡(11)을 포함하는 트레드(10)를 구비한다.A tread 10 including a tread cap 11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13 is provided.

상기 휠(70)은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와 별도의 가공공정으로 제작하되, 차축이 연결되는 상기 허브(73)와 허브(73)의 외측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된 림(71)을 구비한다.The wheel 70 is manufactured by a separate processing process from the carcass ply 50, and is formed concav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hub 73 and the hub 73 to which the axles are connected, and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im 7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상기 카카스 플라이(50)는 상기 휠(7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포크(30) 사이에 결합된다.The carcass ply 50 is coupled between the spokes 3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70.

상기 스포크(30)는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의 외주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와 상기 고무층(13)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완충부(34)를 구비한다.The spokes 30 are formed integrally between the carcass ply 50 and the rubber layer 13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50 to elastically deform a buffer portio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34).

상기 트레드(10)는 노면에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고무층(13)과 상기 고무층(13) 위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층(13)을 감싸는 트레드 캡(11)을 구비한다. The tread 10 is formed on the rubber layer 13 and the rubber layer 13 as a portion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includes a tread cap 11 surrounding the rubber layer 13.

한편, 상기 트레드 캡(11)의 외주면에는 다양한 트레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드 캡(11)은 상기 스포크(30)나 상기 고무층(13)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강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강력한 접착제를 통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고무층(13)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various tread pattern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ead cap 11. Like the spokes 30 and the rubber layer 13, the tread cap 11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strong elasticity, and may be formed on the rubber layer 13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on through a strong adhesive. .

상기 완충부(34)는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와 상기 고무층(13) 사이에서 반구형 형상으로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완충부(31)와 상기 제1완충부(31)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의 외주면에 따라 형성된 제2완충부(33)를 구비한다.The buffer part 34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between the carcass ply 50 and the rubber layer 13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50 and the first buffer part 31 A second buffer part 33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5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arts 31.

상기 제1완충부(31)와 제2완충부(33)는 차량의 하중에 대응하기 위해 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hock absorber 31 and the second shock absorber 33 may be formed in a cell shape to correspond to the load of the vehicl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무층(13)은 상기 완충부(34)와 상기 트레드 캡(11) 사이에, 상기 완충부(34)의 둘레방향으로 이너고무(137)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고무(137)의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외부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b)와 상기 고정구(b)에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c)가 형성된 편하중 방지부재(135)와,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의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스틸코어(a)가 형성된 형상유지부재(133)와, 상기 형상유지부재(133)의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상기 트레드 캡(11)이 형성되는 커버고무(13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rubber layer 13 has an inner rubber 137 formed between the buffer unit 34 and the tread cap 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ffer unit 34, and the inner rubber layer 13 An unbalanced load prevention member 135 having a wire fixture (b) for coping with an external shock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137 and a wire (c) for binding to the fixture (b), and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A shape holding member 133 having a steel core (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35, and a cover rubber 131 having the tread cap 11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pe holding member 133 Equipped.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는 상기 고무층(13) 내부 양 끝단에 상기 와이어(c)를 감거나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부(b)를 구비한다.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135 is provided with a wire fixing portion (b) capable of winding or fixing the wire (c)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rubber layer (13).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c)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b)에 교차하여 감거나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부(b)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wire (c) may further include a wire fixing portion (b) capable of being wound or fixed by crossing the wire fixing member (b).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재(133)는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의 외주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층 또는 복층으로 매립형성되는 스틸코드(a)를 구비한다. 상기 스틸코드(a)에는 폴리에스텔, 나일론, 레이온, 스틸 등의 강성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133 includes a steel cord (a) embedded in a single layer or a double lay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even load preventing member 135. For the steel cord (a), a rigid material such as polyester, nylon, rayon, and steel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는 차량의 주행중 지면상태 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목적 차량의 경우 좁은공간에서 큰 방향전환이 필요한 극한 상황에서의 운전상황으로 타이어(1)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상기 트레드(10)의 팽창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의 원형 복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135 is in the case of a ground state while a vehicle is running or a special purpose vehicle such as a forklift in an extreme situation where a large direction change is required in a narrow space. It serves to improve the circular restoration function of the tire 1 by limiting the expansion of the tread 10 due to a load or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1 i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tire 1.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트레드(10)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타이어(1)의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타이어(1)의 높이는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1)의 폭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상기 트레드(10)의 고무층(13) 사이 즉,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의 와이어 고정부(b)에 결합된 와이어(c)에 의해 상기 타이어(1)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트레드(10)의 변형이 제한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레드(10)를 변형시키려는 힘이 상기 타이어(1)의 탄성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타이어(1)의 원형 복원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In more detail, when a force acts on the tread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compressive force of the tire 1 acts, so that the height of the tire 1 decreases, and accordingly, the tire 1 Deform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width, that is, between the rubber layer 13 of the tread 10, that is, the tire by the wire (c) coupl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b) of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135). The deformation of the tread 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of (1) increases is limited, and accordingly, the force to deform the tread 10 acts as an elastic force of the tire 1, so that the tire 1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original restoration function of th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는 상기 고무층(13) 내부 양 끝단에 일체로 제작된 편하중 고정부(d)와 편하중 완충판(e)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상기 트레드(10)의 팽창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의 원형 복원기능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135 further includes an unbalanced load fixing part (d) and an unbalanced load buffer plate (e) integrally manufactured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rubber layer 13, so that the tire By limiting the expansion of the tread 10 due to a load or vibration applied to (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ircular restoration function of the tire 1.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재(133)는 상기 완충부(34)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고무층(13)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스틸코드(a)를 단층 또는 복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횡방향 즉,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트레드(10)를 변형시키려는 힘이 상기 타이어(1)의 탄성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타이어(1)의 원형 복원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hape-holding member 133 comprises the steel cord (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ubber layer 13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unit 34 in a single layer or a double layer, so that the tire 1 When a load is applied, the force to deform the tread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applied, acts as an elastic force of the tire 1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the tire 1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포크(30)는 상기 카카스 플라이(50)의 외주면을 따라 제1완충부(31) 사이에 횡방향으로 상기 카카스 플라이(50) 일측과 상기 고무층(13) 일측사이에 와이어 또는 전단하중 완충판으로 형성된 전단방지부재(35)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6 to 7, the spokes 3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5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ushioning part 31 and one side of the carcass ply 50 A shear preventing member 35 formed of a wire or a shear load buffer plate between one side of the rubber layer 13 is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전단방지부재(35)는 차량의 주행 중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135)와 함께 이중의 스포크 구조를 갖게 되어 외부 충격 흡수율이 더욱 증진되므로,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비공기압 타이어 전체의 손상 및 차량의 진동을 더욱 저감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r prevention member 35 has a double spok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iased load prevention member 135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continuously appli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ince the external shock absorption rate is further improved,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reducing the damage to the entire non-pneumatic tire and vibration of the vehicle due to external shock.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1)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타이어(1)를 변형시키려는 외력이 상기 제1완충부(31), 제2완충부(33) 및 형상유지부재(133), 편하중방지부재(135), 전단방지부재(35)의 기능을 통해 원주방향으로 분산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1)에서 탄성이 발생되는 범위가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1) 전체가 탄성체의 역할을 향상시킬 수 있다. Until now,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force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tire 1 or to deform the tire 1 is applied to the first buffer part 31, the second buffer part 33, and the shape maintenance. It is distribu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the functions of the member 133,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135, and the shearing preventing member 35, and accordingly, the range in which elasticity is generated in the tire 1 is formed to be wider, so that the tire ( 1) The entire role of the elastic bod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은 외력의 분산으로 인해 상기 타이어(1) 구동시에 발생되는 구동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dispersion of the external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driving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tire 1 is driven can be improved.

이로 인해, 비공기압 타이어의 내구성능 향상 뿐만 아니라 차량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고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잘 분산시킴으로써 더불어 차량의 승차감 향상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non-pneumatic tire is improved, but also the ability to improve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can be expected by improv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dispersing the impact well from the road surfa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에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트레드 11 : 트레드 캡 13 : 고무층
131 : 커버고무 133 : 형상유지부재 135 : 편하중 방지부재
137 : 이너고무
(a) : 스틸코드 (b) : 와이어 고정부 (c) : 고정부 (d) : 편하중 고정부
30 : 스포크 31 : 제1완충부 33 : 제2완충부 35 : 전단방지부재
50 : 카커스플라이
70 : 휠 71 : 허브 73 : 림
10: tread 11: tread cap 13: rubber layer
131: cover rubber 133: shape holding member 135: uneven load prevention member
137: inner rubber
(a): Steel cord (b): Wire fixing part (c): Fixed part (d): Unbalanced load fixing part
30: spokes 31: first buffer portion 33: second buffer portion 35: shear prevention member
50: Carcass fly
70: wheel 71: hub 73: rim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카카스플라이와,
상기 카카스플라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구비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가 형성되는 타이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이너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커버고무와, 상기 이너고무와 상기 커버고무 사이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타이어의 슬립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편하중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편하중 방지부재는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형성된 와이어를 결속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A carcass ply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fix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A spok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portion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A rubber layer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kes,
And a tire body having a t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layer,
The rubber layer is an inner rubber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a cover rubber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ubb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inner rubber and the cover rubber to prevent slip and separation of the tire. It is provided with an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for,
The non-pneumatic tire, wherein the unbalanced load preventing member includes wire fixing portions for binding wir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rubber layer.
삭제delete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카카스플라이와,
상기 카카스플라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구비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가 형성되는 타이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포크는 반구형 공극이 상기 휠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는 상기 휠 내측 양단과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상기 휠의 둘레방향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단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A carcass ply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fix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A spok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portion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A rubber layer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kes,
And a tire body having a t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layer,
In the spokes, a hemispherical voi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to form a first buffer part in contact with the carcass ply, and a gap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buffer part to contact the carcass ply. Including a second buffer,
The spokes are non-pneumatic ti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kes have shear prevention members including wires that are repetiti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cushioning portion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t both ends of the wheel and both ends of the rubber layer. .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카카스플라이와,
상기 카카스플라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구비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가 형성되는 타이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포크는 반구형 공극이 상기 휠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카카스플라이에 접하는 제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는 상기 휠 내측 양단과 상기 고무층 내측 양단에 상기 휠의 둘레방향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 사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전단하중 완충판을 포함하는 전단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A carcass ply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fix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A spok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cass pl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portion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A rubber layer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kes,
And a tire body having a t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layer,
In the spokes, a hemispherical voi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to form a first buffer part in contact with the carcass ply, and a gap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buffer part to contact the carcass ply. Including a second buffer,
The spok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ear-preventing member including a shear load buffer plate that is repeatedly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portion by being vertically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t both inner ends of the wheel and the inner both ends of the rubber layer. Pneumatic tires.
KR1020180165836A 2018-12-20 2018-12-20 Non-pneumatic tire KR102183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36A KR102183211B1 (en) 2018-12-20 2018-12-20 Non-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36A KR102183211B1 (en) 2018-12-20 2018-12-20 Non-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883A KR20200076883A (en) 2020-06-30
KR102183211B1 true KR102183211B1 (en) 2020-11-25

Family

ID=711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836A KR102183211B1 (en) 2018-12-20 2018-12-20 Non-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2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971B1 (en) 2021-12-06 2023-04-14 에버런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non-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and non-pneumatic tir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230162334A (en) 2022-05-20 2023-11-28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with improved ground contact characterist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940B (en) * 2022-04-11 2023-09-05 浙江皓元实业有限公司 High-strength wear-resistant aluminum alloy hub and forging devic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922A (en) * 2012-11-27 2013-02-28 Yokohama Rubber Co Ltd:The Non-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8193T1 (en) 2001-08-24 2007-11-15 Michelin Soc Tech NON-PNEUMATIC TIRE
US7546862B2 (en) 2005-05-06 2009-06-16 New Tech Tire Llc Non-pneumatic vehicle tire
JP6604139B2 (en) * 2015-10-22 2019-11-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Airless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922A (en) * 2012-11-27 2013-02-28 Yokohama Rubber Co Ltd:The Non-pneumatic t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971B1 (en) 2021-12-06 2023-04-14 에버런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non-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and non-pneumatic tir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230162334A (en) 2022-05-20 2023-11-28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with improved ground contact characterist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883A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78B1 (en) Non-pneumatic tire
EP2772367B1 (en) Non-pneumatic tire with reinforcing member having plate wire structure
KR102183211B1 (en) Non-pneumatic tire
JP5530258B2 (en) Non-pneumatic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21364B2 (en) Non-pneumatic tire
KR20120005963A (en) Pneumatic tire
KR101053915B1 (en) Pneumatic Tires
JP2001301422A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pneumatic tire
US6401773B1 (en) Puncture-compensating tire
KR20130037808A (en) Non-pneumatic tire
JP6076704B2 (en) Non-pneumatic tire
KR101722715B1 (en) Non-pneumatic tire
KR101147859B1 (en) Non pneumatic tire with reinforced sidepiece
JP5543846B2 (en) Non-pneumatic tire
EP3686032B1 (en) A non-pneumatic tire
KR101670585B1 (en) Non-Pneumatic Tire
KR101495100B1 (en) Non pneumatic tire
US11607911B2 (en) Non-pneumatic tire with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in tread part
KR20230019706A (en) Non-pneumatic tire
CN210363210U (en) Non-inflatable tyre
US4336833A (en) Tubeless pneumatic tires
JP2013018427A (en) Non-pneumatic tire
KR102656639B1 (en) Non-pneumatic tire
CN210851873U (en) Wheel with anti-collision or rollover function
JP4354553B2 (en) Heavy duty radial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