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09B1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09B1
KR102180909B1 KR1020190088651A KR20190088651A KR102180909B1 KR 102180909 B1 KR102180909 B1 KR 102180909B1 KR 1020190088651 A KR1020190088651 A KR 1020190088651A KR 20190088651 A KR20190088651 A KR 20190088651A KR 102180909 B1 KR102180909 B1 KR 10218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unit
elevator
shutt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선덕
Original Assignee
서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덕 filed Critical 서선덕
Priority to KR102019008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elevator, which comprises: an elevating unit provided with a doo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boarding a passenger; a base unit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space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elevating unit up and down, and having an open space formed in the board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unit; a vertical moving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unit and providing power for vertical movement to the elevating unit; and a shutter unit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vating unit to shield the open space on a lower side of the elevating unit. When the elevating unit moves upward, the shutter unit blocks the open space on a lower part of the elevating unit, and, when the elevating unit moves downward, the shutter unit shields the open space on an upper side of the elevating unit.

Description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ELEVATOR}Elevator that can be installed separately {ELEVATOR}

본 발명은 기존에 건축된 건물의 외벽에 별도의 독립적이고 분리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that can be installed separately and separately on the exterior wall of an existing building.

최근 전원생활이나 교외에서 자연친화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을 별도로 건축하여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1층보다는 2층 또는 3층의 고층 단독주택을 짓는 세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s interest in rural life or nature-friendly life in the suburbs has increased, more and more people are building rural or detached houses separately.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households building high-rise detached houses with two or three floors rather than the first floor.

이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일정층을 초과하는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건물에서 각 층마다 이동할 시 계단이 아닌 엘리베이터를 활용함으로써, 편안하고 쉽게 층별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elevators are generally installed in buildings exceeding a certain floor. Users can move from floor to floor comfortably and easily by using elevators instead of stairs when moving from building to floor.

그런데 건축법 상 엘리베이터는 6층 이상으로써 바닥면적이 2000m2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6층 미만의 건물은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However, since elevators are required to be installed in buildings with a floor area of 2000m2 or more, as elevators are 6 stories or more according to the Building Law, most buildings with less than 6 stories do not have elevators.

특히, 3층 미만의 상가건물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지어지고 있는 3층 미만의 단독주택의 경우의 모든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In particular,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elevators are not installed in all buildings in the case of commercial buildings with less than three floors or detached houses with less than three floors recently built as described above.

그런데 실제로 거주하거나 내부에서 장사를 하는 상인들은 비록 3층 미만의 저층 건물이라 할지라도 층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더불어 장애인들은 저층 건물에서도 층별 이동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은데, 저층 건물에 별도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종래 특허는 아래와 같다. However, merchants who actually live or do business inside may need an elevator to move floor by floor, even in low-rise buildings with less than 3 floors, and in addition, it is often necessar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elevators to move floor by floor even in low-rise buildings. ,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elevator cannot be installed in a low-rise building.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patent for an elevator that can be installed separately is as follows.

특허등록번호 제10-0992596호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Patent Registration No. 10-0992596'Upper open type double floor elevator'

그런데, 이러한 종래 특허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ate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건물의 통로에 설치를 하는 경우, 통로에 별도의 문을 설치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단순히 통로에 개구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가 다른 층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개구가 노출되어 있어 안전성이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First of all, when installing in the passage of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door must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passage. In the case of installing by simply forming an opening in the pass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vator door must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because the opening is exposed in the process of waiting for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door is on another floor, which can seriously threaten safety .

또한, 일반적으로 별도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도르래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도르래 및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전체 구조를 설치하는 비용이 보통 3천만원 내지 5천만원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고, 엘리베이터 설치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levators that are generally installed separately move up and down in a pulley method, and the cost of installing the pulley and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elevator is usually 30 to 50 million w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There is this long-running problem.

마찬가지로, 건축물의 개구에 엘리베이터 탑승을 위한 별도의 도어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Likewise, since a separate door for boarding an elevator must be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costs and time consume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crease.

또한, 엘리베이터 동작을 위한 별도의 기계실과 제어실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machine room and a control room are required for elevator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과 시간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afety while installing at low cost and time.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전면 및 후면에 통로가 형성되고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승하강부; 다 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하강부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후면의 통로 방향으로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는 개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승하강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부에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위치하지 않는 전면 및 후면의 상기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상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하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상부수용박스;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하부수용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며, 승객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상기 본체부의 전면 및 후면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탑승하거나 외부로 내릴 수 있다.An elev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ith passage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 door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 elevating portion provided with a fixed coupl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 bas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providing a reciprocating spac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can reciprocate up and down, and an open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nd alight in the front and rear passageways where the door uni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 An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and providing power for vertical movement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a shutter unit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shielding the open space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where the elevating portion is not located, wherein the shutter unit includes an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door side of the elevating portion. An upper roller shutter connected to an upper end to shield an open space above the elevating por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downward; A lower roller shutt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door side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shielding an open space below the elevating por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upward; An upper receiving box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receiving and receiving the upper roller shutter; And a lower receiving box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receiving the lower roller shutter to be withdrawn and drawn in, wherei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upward, the shutter portion shields the open space below the elevating por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downward, the shutter portion shields the open space above the elevating portion, and when the door portion is opened, the passenger selectively boards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assages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Or you can get off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하단에 배치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right east portion, a hydraulic pump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A hydraulic cylind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hydraulic pump to receive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shaf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art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또한,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상승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제거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ydraulic pump is operated to generat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shaft moves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elevating portion rises, and when the hydraulic pump is operated to remove th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shaft is opera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The elevating portion may descend while moving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의 외벽에 별도로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that can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has the following effects.

우선, 승하강부가 상승 및 하강하는 경우, 개방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높은 안전성의 효과가 있다. First, when the elevating part rises and descends, a shutter part shielding the open space is formed, so that a safety accident does not occur when a user boards an elevator, thereby providing high safety effects.

또한, 건물 내에서의 층별 이동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의 다른 층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건물의 고층 역시 1층처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입구를 건물의 외부나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ve not only by floor within the building, but also to other floors within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high rise of the building can be used like the first floor.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selectively install the elevator entrance outside or inside the building, flexible install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또한, 엘리베이터가 도르래 형식이 아닌 유압펌프 및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하운동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르래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의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moves up and down using a hydraulic pump and cylinder rather than a pulley type, it is more safe than the existing pulley method, and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time and co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또한, 기존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도 외부벽의 간단한 보수를 통해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imple installation is possible because it can be installed through simple repair of the outer wall even in a building without an elevator in the past.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 및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작은 면적과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 and equipment such as a machine room like a conventional elevator,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small area and a small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후면 사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비용과 시간이 저렴하면서도 기존 엘리베이터(100)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건물에 별도로 분리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분리 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100)를 간략하게 “엘리베이터(100)”라 호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late to an elevator 100 that can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building while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existing elevator 100 while being inexpensive in cost and time. Hereinafter, the detachable elevator 100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elevator 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상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후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는 베이스부(110), 승하강부(120), 상하이동부(150), 가이드부(113) 및 셔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10, an elevating unit 120, an up/down unit 150, a guide unit 113, and a shutter unit. I can.

베이스부(110)는 엘리베이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왕복이동하기 위한 왕복공간을 포함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베이스부(110)는 다 수의 프레임에 의해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왕복공간 역시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unit 110 is a means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elevator 100 and includes a reciprocating space for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unit 120 to reciprocate up and down. In detail, the base unit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y a plurality of frames, and thus the reciprocating space may also have a rectangular shape.

더욱 상세히, 베이스부(110)는 다 수의 세로프레임(111),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하면 직사각 형상이 되는 4 개의 세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1) 간에 연결되는 다 수의 가로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4 개의 세로프레임(111)이 축을 형성하고, 다 수의 가로프레임(112)이 세로프레임(111) 간의 결합력을 단단하게 지지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bas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1, preferably four vertical frames 111 that become rectangular when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111 (112) may be included. As such, the four vertical frames 111 form a shaft,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2 firmly suppor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vertical frames 111 to have a more robust shape.

또한, 다 수의 프레임은 내부 왕복공간의 전후 길이 및 양 측 길이가 승하강부(120)의 전후 길이 및 양측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로프레임(111)의 길이는 승하강부(120)의 세로길이보다 2배 이상 길어짐에 따라, 내부에 승하강부(120)가 상하이동하기 위한 긴 직사각 형상의 왕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rame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lengths and both side lengths of the internal reciprocating space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and both side lengths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111 As the length of the steel portion 120 is more than two time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a long rectangular reciprocating space for the elevating portion 120 to move up and down may be formed therein.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 사이에는 외장재 등과 같은 마감재가 배치되어 내부의 왕복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외부에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되는 경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an exterior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s so that the reciprocating space insi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is has an effect of increasing safety when the elevator 100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다만, 베이스부(110)의 전면, 상세히,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왕복공간의 전면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100)가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건물 내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하여 승객이 승하강부(120)로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owever,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110, in detail, the front of the reciprocating space formed in the base portion 110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is is to ensure that when the elevator 100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t is connected to the passage in the building so that the passengers can board and get off the elevating unit 120.

승하강부(120)는 베이스부(110) 내의 왕복공간을 상하 이동할 수 있고, 내부에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하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승하강부(120)는 승하차공간을 형성하고 전면 또는 전면 및 후면에 개구형태의 통로가 배치된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도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20 may move up and down the reciprocating space within the base unit 110, and a boarding and disembarkation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nd alight may be formed therein. In detail, the elevating part 120 forms a boarding and disembarkation space, and a main body 121 in which an opening-type passage is disposed in the front or front and rear sides, and a door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or sealing the passage of the main body 121 ( 122).

본체부(121)는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전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직사각형태의 통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개구는 베이스부(110)의 전면과 연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물내의 사용자가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21 may have a rectangular box shape and a rectangular passage opening through which a person can pass. The passage opening may communicate with the front of the base unit 110, through which a user in the building can board and get off.

또한, 본체부(121) 양 측면에는 외부에 상하이동부(150)가 결합할 수 있는 고정결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150)는 고정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승하강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내부에 승객이 타고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부(123)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21)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ixed coupling portions 123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50 can be coupl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1. The shanghai east part 150 is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art 123 so that the elevating part 120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elevating part 120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even when a passenger is riding inside. A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ortions 123 may be disposed, and preferably, a total of four may be dispos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도어부(122)는 통로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상세히, 도어부(122)는 상하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승객이 승하강부(120)에 탑승하거나 내리는 [[우]] 에는 통로개구를 개방하고,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통로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The door part 122 may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passage opening. In detail, the door part 122 may be driven to slide in an up-down direction or in both directions, and during the [[Right]] when a passenger is boarding or unloading the elevating portion 120 , the passage opening is opened, and the elevating portion 120 In the process of moving up and down, the passage opening can be sealed.

상하이동부(150)는 본체부(121)의 양 측면, 상세히 본체부(121)의 양 측면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승하강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왕복공간을 상하 왕복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parts 15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in detail, fixed coupling parts 12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so that the elevating part 120 is a reciprocating space of the base part 110 It can provide a driving force that can move up and down reciprocating.

상세히, 상하이동부(150)는,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를 포함할 수 있고, 더불어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가]] 서로 겹치거나 서로 밀어내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식 펌프(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Shanghai ET 150,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oil may include a compression (153), with the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oil compression 153, [[a]] the naedorok overlaps or push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hydraulic pump 151 to provide power.

유압식 실린더(152)는 유압축(153)[[를]]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압식 펌프(15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수단이다. 상세히, 유압식 실린더(152)는 유압식 펌프(151)와 연결되어, 유압식 펌프(151)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유압축(153) 로 전달하여 유압축(153) 상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The hydraulic cylinder 1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hydraulic shaft 153 [[the]], and is a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hydraulic pump 151. In detail, the hydraulic cylinder 152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ump 151, to transmi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ump 151 to the oil compression 153 coming from means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oil compressed 153 up and down to be.

유압축(153) 유압식 실린더(152)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유압식 펌프(151)에서 생성된 동력을 유압식 실린더(152)로부터 공급받아 상하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유압축(153) 고정결합부(123)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결합부(123)가 유압축(153)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승하강부(120) 역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Oil compression (153) is a means which can move up and down reciprocating received in wrapped by a hydraulic cylinder (152) state, supplies the power generated by the hydraulic pump 151 from the hydraulic cylinder 152. Specifically, the oil compression 153 is reciprocating in and can be fixed to the fixed coupling part 123, so that while the fixed engaging portion 123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oil compression 153 seungha gangbu 120 also down You can move.

유압식 펌프(151)는 베이스부(110)의 하단, 상세히 승하강부(120)의 하측 지면 근처에 배치되어 유압식 실린더(152)로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다. 유압식 펌프(15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고 별도의 차별성 있는 부분이 없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hydraulic pump 151 is a means capable of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152 by being disposed near the bottom of the base unit 110 and in detail near the lower ground of the elevating unit 120. The hydraulic pump 151 is a generally used configuration and does not have a separate distinctive p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 유압식 펌프(151)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부(121)의 양 측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는]] 본체부(121)의 양 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유압식 펌프(151)로부터 각각 동일한 유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에 제공되는 유압이 동일해지고, 양 측의 유압축(153) 동일한 범위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승하강부(120)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안정적이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oil compression 153 is to be connected to each operation in the fixed engaging portions 12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ydraulic pump 151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 ends and the body portion 121 of the I can. Preferably, the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hydraulic shaft 153 [[I]]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and receive the sam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pump 151, respectively. I can. Accordingly, as the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oil compression hydraulic pressure becomes equal to that provided in the 153, and both side oil compression 153 is vertically movable in the same range, the ground does not tilt the seungha gangbu 120 It has the effect of stably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가이드부(113)는 베이스부(110)의 양측 내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이동부(150)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승하강부(120)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승하강부(120)를 가이드하는 수단이다.The guide unit 113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rom both inner surfaces of the base unit 110 so that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portions 120 reciprocating up and down by the up and down part 150 can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a means to guide the elevating portion 120 so that.

상세히, 가이드부(113)는 승하강부(120)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의 일단, 또는 상하이동부(150)의 유압축(153)의 일측단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이동부(150)가 작동하는경우, 고정결합부(123)나 유압축(153)[[가]] 가이드부(1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직선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guide part 113 may be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ed coupling part 123 disposed on the elevating part 120, or to one end of the hydraulic shaft 153 of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part 150, and thus ET 150 is when operating, the fixed coupling part 123 and oil compression 153, [[a]] the guide portion 113 so that the seungha gangbu 120 moves sliding to linear motion up and down along the can do.

셔터부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즉 개방된 공간 중 승하강부(1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전면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어,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경우 승하강부(120)가 위치하지 않는 베이스부(110)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다. The shutter unit is a means capable of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that is, a space other than the space occupied by the elevating unit 120 among the open spaces. In detail, the shutter unit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front ends of the elevating unit 120, and when the elevating unit 120 moves up and down, the front of the base unit 110 where the elevating unit 120 is not located can be closed. have.

셔터부는 승하강부(120) 상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셔터부(130)와,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하셔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한다.The shutter unit may include an upper shutter unit 130 that shields the space above the elevating unit 120 and a lower shutter unit 140 that shields the space below the elevating unit 12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hutter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상셔터부(130)는 상부수용박스(131)와, 상부수용박스(131) 내에 수납되어 승하강부(120)의 왕복이동에 따라 베이스부(110) 전면 공간 중 승하강부(120) 상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상부롤러셔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hutter unit 13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iving box 131 and the upper receiving box 131, an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unit 120, the space above the elevating unit 120 of the front space of the base unit 110 It may include an upper roller shutter 132 that can shield the.

상부수용박스(131)는 베이스부(110)의 상단 내면, 즉 베이스부(110) 상단의 왕복공간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부롤러셔터(13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부수용박스(131)는 전면에 상부롤러셔터(132)가 롤링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상부입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receiving box 131 is dispos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that is, on the reciprocating spac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unit 110, and may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therein. . In detail, the upper receiving box 131 may have an upper inlet and outlet through which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is ro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receiving box 131.

상부롤러셔터(132)는 상부수용박스(131) 내에 롤링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단이 승하강부(120)의 본체부(121) 전면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하방으로 이동할때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풀리고 상부입출구를 통해 인출되면서 베이스부(110)의 전면 공간을 차폐할 수 있고, 반대로 승하강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되면서 상부입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is accommodated in a rolled state in the upper receiving box 131, and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front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21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portion 120 moves downward,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is released from the rolling and is drawn out through the upper entrance and exit to shield the front sp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conversely, the elevating portion 120 When moving upward,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may be drawn in through the upper inlet and outlet while rolling.

또한,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합성수지 등이 다단으로 연결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rolled, and for example, may have a material and shape in which a synthetic resin that is not easily torn is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하셔터부(140)는 하부수용박스(141)와, 하부수용박스(141) 내에 수납되어 승하강부(120)의 왕복이동에 따라 베이스부(110) 전면 공간 중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하부롤러셔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hutter unit 1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ceiving box 141 and the lower receiving box 141, so that the space below the elevating unit 120 of the front space of the base unit 110 is reciprocate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unit 120. It may include a lower roller shutter 142 that can be shielded.

하부수용박스(141)는 베이스부(110)의 하단 내면, 즉 베이스부(110) 하단의 왕복공간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하부롤러셔터(14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수용박스(141)는 전면에 하부롤러셔터(142)가 롤링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하부입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receiving box 141 is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that is, on the reciprocating space side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unit 110, and may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therein. . In detail, the lower receiving box 141 may have a lower inlet or outlet through which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is roll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하부롤러셔터(142)는 하부수용박스(141) 내에 롤링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단이 승하강부(120)의 본체부(121) 전면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할때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풀리고 하부입출구를 통해 인출되면서 베이스부(110)의 전면 공간을 차폐할 수 있고, 반대로 승하강부(1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되면서 하부입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is accommodated in a rolled state in the lower receiving box 141, and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front of the body portion 121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portion 120 moves upward,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is released from the rolling and is drawn out through the lower inlet and outlet, thereby shielding the front sp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conversely, the elevating portion 120 When moving downward,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may be drawn in through the lower inlet and outlet while rolling.

또한,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합성수지 등이 다단으로 연결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rolled, and for example, may have a material and shape in which synthetic resins that are not easily torn a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엘리베이터(100)는 전면이 건물의 외벽에 접촉하도록 결합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건물 내부의 통로와 엘리베이터(100) 전면은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엘리베이버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예를 설명하나, 다 수의 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FIG. 6, the elevator 100 may be coupled and installed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or 100 contact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passage inside the building and the front of the elevator 1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elow, an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goes up from the first floor to the second floor is explained, but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applied to multiple floors.

엘리베이터(100)의 승하강부(120)가 1층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셔터부(130)의 상부롤러셔터(132)가 베이스부(110)의 전면공간 중 승하강부(120) 상측공간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층 통로의 사용자에게는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된 공간의 상부롤러셔터(132)가 보여질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elevating portion 120 of the elevator 100 is on the first floor,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of the upper shutter portion 130 shields the upper space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of the front space of the base portion 110 It can be kept in one stat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passage on the second floor can see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of the space in which the elevator 100 is installed.

이 상태에서 2층의 사용자가 버튼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100)를 작동시키면, 유압식 펌프(151)가 작동하여 승하강부(120) 양 측에 설치된 두 개의 유압식 실린더(152)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유압식 실린더(152)는 각각에 배치된 유압축(153)[[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결합부(123)에 의해 유압축(153)[[와]] 연결된 승하강부(12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결합부(123) 또는 유압축(153)[[는]] 가이드부(113)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승하강부(120)가 안정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n the second floor operates the elevator 100 through a button or the like, the hydraulic pump 151 operates to provide power to the two hydraulic cylinders 15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unit 120. have. Furthermore, two hydraulic cylinders 152 the oil compression 153, [[a]] the can be moved upward, whereby oil compression 153 by the fixed coupling part 123 according placed in each [[and ]] and the elevating part 120 connected to it can move upward. In this process, the fixed coupling part 123 or the hydraulic shaft 153 [[A]] can be gu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y the guide part 113, so that the elevating part 120 is stably upward. Will be moved.

이와 동시에, 상셔터부(130)의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되면서 상부수용박스(131)에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하셔터부(140)의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풀리면서 하부수용박스(14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의 상측 및 하측의 공간, 즉 베이스의 개구된 전면공간이 상부롤러셔터(132) 및 하부롤러셔터(142)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of the upper shutter unit 130 is drawn into the upper receiving box 131 while being roll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of the lower shutter unit 140 receives the lower part while the rolling is released. It can be withdrawn from the box 141.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that is, the open front space of the base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that is shielded by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and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또한, 2층에 승하강부(120)가 도착한 경우에는 상부롤러셔터(132)는 상부수용박스(131)에 완전히 인입될 수 있고, 동시에 하부롤러셔터(142)는 완전히 인출되어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vating unit 120 arrives on the second floor, the upper roller shutter 132 can be completely retracted into the upper receiving box 13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roller shutter 142 is completely withdrawn and the elevating unit 120 The lower space can be shielded.

즉,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베이스부(110)의 전면공간이 상셔터부(130) 및 하셔터부(14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됨에 따라, 건물에 별도의 엘리베이터(100)용 도어를 설치할 필요없이 통로 개구만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100)를 설치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as the elevating unit 120 moves up and down, the front space of the base unit 110 is completely shielded by the upper shutter unit 130 and the lower shutter unit 140, so that a separate elevator 100 is provided in the building. If the elevator 10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passage opening is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door for), it can be used immediately, so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time while maintaining high safety.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후면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서 구조 및 배치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건물 외부에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건물의 2층 내부로 갈 수 있는 구조이다. 아래에서는 기존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구조 및 배치가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생략된 구조는 기존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니 생략한다. 7 and 8,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and arrangement in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hanged, so that a user can go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loor of the building through the elevator. to be. Hereinafte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portion in which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are changed will be described, and the omitted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existing elevator, and thu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공간과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후면이 건물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건물에 설치된 경우,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 즉 1층 공간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고, 반대로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 즉 2층 공간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In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lower sp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a rear upper space of the base portion 110' may be opened. In addition, it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ar of the base unit 110 ′ is coupled to the building. When 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building, the front lower side of the base unit 110', that is, the first floor space may be in an open state, and conversely, the rear upper side of the base unit 110', that is, the second floor space may be in an open state. have.

또한, 승하강부(120‘)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부(122’a, 122’b)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하강부(12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도어부(122’a)를 통해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수 있고, 승하강부(120)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부(122’b)를 통해 건물의 2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portion 120' may have door portions 122'a and 122'b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user can board the elevato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door portion 122'a formed in the front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and the rear door portion 122'b formed at the rear of the elevating portion 120 ) To go to the second floor of the building.

이 경우, 상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전면 하측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반대로 하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후면 상측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1층에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 즉 2층 공간이 상셔터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승하강부(120‘)가 2층에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 즉 1층 외부공간이 하셔터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승객들이 안전하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고, 더불어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hutter unit may be installed to shield the front lower spac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120', and conversely, the lower shutter unit may be installed to shield the rear upper spac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120 ′.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portion 120' is on the first floor,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110', that is, the second floor space may be shielded by the upper shutter portion, and the elevating portion 120' is on the second floor. If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ase unit 110 ′, that is, the outer space on the first floor may be shielded by the lower shutter unit. Accordingly,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can safely board and alight, and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are inexpensiv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엘리베이터 110 ... 베이스부
120 ... 승하강부 130 ... 상셔터부
140 ... 하셔터부 150 ... 상하이동부
100 ... elevator 110 ... base part
120 ... elevating part 130 ... upper shutter part
140 ... Lower Shutter 150 ... East Shanghai

Claims (5)

전면 및 후면에 통로가 형성되고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승하강부;
다 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하강부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후면의 통로 방향으로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는 개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승하강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부에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위치하지 않는 전면 및 후면의 상기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상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하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상부수용박스;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하부수용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며,
승객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상기 본체부의 전면 및 후면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탑승하거나 외부로 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 main body portion with a passag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 door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and a fixed combination that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move up and down An elevating unit provided with an additional;
A bas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providing a reciprocating spac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can reciprocate up and down, and an open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nd alight in the front and rear passageways where the door uni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
An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and providing power for vertical movement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Includes; a shutter unit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vating portion to shield the open spa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where the elevating portion is not located, and
The shutter unit,
An upper roller shutt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n upper end of the door side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shielding an open space above the elevating por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downward;
A lower roller shutt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door side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shielding an open space below the elevating por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moves upward;
An upper receiving box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receiving and receiving the upper roller shutter; And
Includes; a lower receiving box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receiving the lower roller shutter to be withdrawn and drawn in,
When the elevating part moves upward, the shutter part shields the open space below the elevating part, and when the elevating part moves downward, the shutter part shields the open space above the elevating part,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portion is opened, the passenger can selectively enter the accommodation space or get off the outside through one or more passages of the front and rear passages of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하단에 배치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ast of Shanghai,
A hydraulic pump disposed below the base portion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A hydraulic cylind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hydraulic pump to receive hydraulic pressure; And
An elevator including a hydraulic shaf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art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상승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제거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hydraulic pump operates to generat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shaft moves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elevating portion rises,
When the hydraulic pump is operated to remove th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shaft moves down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elevation part descends.
KR1020190088651A 2019-07-23 2019-07-23 Elevator KR102180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51A KR102180909B1 (en) 2019-07-23 2019-07-23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51A KR102180909B1 (en) 2019-07-23 2019-07-23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909B1 true KR102180909B1 (en) 2020-11-19

Family

ID=7367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651A KR102180909B1 (en) 2019-07-23 2019-07-23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0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5A (en) * 1992-12-29 1994-07-19 San F Kogyo Kk Lifting device
JP2002226155A (en) * 2001-01-26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Hydraulic elevator
JP2002241065A (en) * 2001-02-13 200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Pedestrian overpass device
CN2542634Y (en) * 2002-04-16 2003-04-02 李军 Domestic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5A (en) * 1992-12-29 1994-07-19 San F Kogyo Kk Lifting device
JP2002226155A (en) * 2001-01-26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Hydraulic elevator
JP2002241065A (en) * 2001-02-13 200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Pedestrian overpass device
CN2542634Y (en) * 2002-04-16 2003-04-02 李军 Domestic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CN109476462B (en) Elevator device
CN106276511B (en) Telescopic single double-deck elevator powered by switchable system
KR102180909B1 (en) Elevator
EP1195346A1 (en) Elevator device
CN210084692U (en) Sundry elevator with conveying belt inside
KR101160644B1 (en) The elevator using air pressure
ES2178607A1 (en) Hoistwayless elevator system
CN212450167U (en) Additional elevator for public passage
JPWO2002024565A1 (en) Elevator system and its inspection method
ITMI20010728A1 (en) HYDRAULIC DRIVE FOR ELEVATORS AND LOADERS WITH BELT STROKE CONTROL UNIT
KR102337522B1 (en) Elevator Door Upper Support Assembly
KR102293442B1 (en) Elevator Door System
CN109052110B (en) Elevator for old building reconstruction
JP2016145092A (en) Elevator device
CN111792496A (en) Sundry elevator with conveying belt inside
JP6895130B2 (en) Landing doors and exhaust methods with the function of exhausting the elevator hoistway
CN211898892U (en) Urban rail transit ultra-deep elevator rescue channel
JP2016204139A (en) Foreign matter discharge device for elevator door sill groove
CN117125576A (en) Old district service-entering additional elevator
CN221459547U (en) Traction device of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JP2003089484A (en) Elevator for building
US20170210598A1 (en) Elevator system
CA1176185A (en) Hydraulic elevators
KR101811535B1 (en)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