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277B1 -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 Google Patents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277B1
KR102180277B1 KR1020200098643A KR20200098643A KR102180277B1 KR 102180277 B1 KR102180277 B1 KR 102180277B1 KR 1020200098643 A KR1020200098643 A KR 1020200098643A KR 20200098643 A KR20200098643 A KR 20200098643A KR 102180277 B1 KR102180277 B1 KR 10218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mperature
plug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도록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삽입홀과 각각 연통되는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며 형성되는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각각 접촉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연결부; 각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전 재질로 구비되는 한쌍의 단자몸체와, 각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각각 한쌍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내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는 한쌍의 전원단자부; 및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측에 고정단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자유단의 외면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외면이 내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round type temperature detecting and current breaking socket}
본 발명은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과 연결되며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면 코드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는 일측이 외부의 접지면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플러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지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지부가 상기 콘센트의 접지단자부에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옥내 배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접지단자부를 통해 접지되어 콘센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대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접지라인이 상기 걸림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상기 접지라인은 끝단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걸림대를 관통하는 연장나사부재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장나사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콘센트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성되지 않아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26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도록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삽입홀과 각각 연통되는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며 형성되는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각각 접촉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연결부; 각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전 재질로 구비되는 한쌍의 단자몸체와, 각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각각 한쌍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내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는 한쌍의 전원단자부; 및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측에 고정단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자유단의 외면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외면이 내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되,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의 외면을 감싸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접촉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되어 상기 라운드접촉부를 양측으로 가압 변형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장착공간에 대향되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라운드접촉부의 내면에 면접촉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우징부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 상승시 일측이 개구된 링형인 온도감지차단부의 자유단이 고정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플러그연결부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전원플러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각 플러그연결부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접촉부가 연장 형성되어 각 자유단의 외면이 라운드접촉부의 내면에 면접촉 형합되어 자유단의 팽창 변형시 플러그연결부가 연동 확장되므로 사용자가 전원플러그를 삽입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근원적으로 차단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온도감지차단부가 장착공간의 타측에 원형 단면 형상으로 상향 연장 돌설된 고정돌기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고정단이 고정돌기의 후측단 외면과 라운드접촉부의 단부 내면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단이 안정적으로 팽창 변형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고정단이 고정돌기의 후측단 외면과 라운드접촉부의 단부측 내면 사이로 삽입 및 고정되고, 자유단이 고정돌기의 외측면과 라운드접촉부의 내면 사이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만으로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7에서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커버부가 분리되어 하우징부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예로써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와 콘센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300)는 하우징부(210), 전원연결부(20), 전원단자부(230) 및 온도감지차단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도록 전원삽입홀(211)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삽입홀(211)과 각각 연통되는 한쌍의 장착공간(212)이 구획격벽(21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2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212)이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210)에 상기 장착공간(212)이 상기 구획격벽(216)에 의해 구획되며 2개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삽입홀(211)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전원삽입홀(211)의 상측은 상기 장착공간(212) 중 어느 하나로 연통되며 하측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삽입홀(211)은 각 상기 장착공간(212)마다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착공간(212)을 복수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의 폭방향 중앙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구획격벽(21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장착공간(212)에 배치되는 각 상기 전원연결부(20) 및 각 상기 전원단자부(230)는 및 상기 각 구획격벽(216)에 의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획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원측 연결라인(1a) 간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획격벽(216)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부에는 접지부재(60)가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부재(6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접지걸림대(70)에 통전나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60) 및 상기 접지걸림대(70)의 구성은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부(20)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삽입홀(211)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각각 접촉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전원연결부(20)는 각 상기 전원삽입홀(211)의 상측에 대응되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20)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연결부(20)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전원단자부(230) 측으로 탄발 가압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연결부(20)가 총 4개 구비되며 상기 전원단자부(230)가 총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전원연결부(20)는 각 상기 전원단자부(230)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연결부(20)는 밀착지지부(20a), 탄성부(20b,20c) 및 접촉부(20d)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밀착지지부(20a)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각 상기 밀착지지부(20a)는 상기 전원단자부(230)에 구비된 단자몸체(231)의 외측벽부가 밀착되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대향 내면과 반대되는 내면에 밀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부(20a)의 상단부에는 상기 단자몸체(231) 상측부의 하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지지부가 절곡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클립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개구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수직높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20b,20c)는 상기 밀착지지부(20a)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20b,20c)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간에 일체로 다단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0d)는 상기 탄성부(20b,20c)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구비되며, 제1접촉연장부(20e) 및 제2접촉연장부(20f)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는 상기 탄성부(20b,20c)로부터 각각 일체로 절곡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단자몸체(231)의 외측벽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210)의 폭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 및 상기 탄성부(20b,20c)가 연결된 부분이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는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의 단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절곡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단자몸체(231)의 외측벽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 및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가 연결된 부분은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 및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에 각 상기 전원삽입홀(211)에 인접하게 이격된 위치에 풀러삽입홀(21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300)는 상기 풀러삽입홀(211a)에 슬라이드 삽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전원연결부(20)의 제2접촉연장부(20f)의 하부와 대향 접촉 배치되어 상기 전원연결부(20)가 탄발 변형되도록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풀러부(2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러부(21)는 상기 풀러삽입홀(211a)에 슬라이드 삽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전원연결부(20)와 대향 접촉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러부(21)는 복수개 구비되되 각 상기 풀러삽입홀(211a) 마다 각각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풀러부(21)는 상기 풀러삽입홀(211a)의 내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러부(21)의 상단부에는 가압지지편(1a)이 상향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지지편(1a)은 상기 전원연결부(20)의 하측에 대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러삽입홀(211a)은 상기 장착공간(2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삽입홀(211)은 상기 풀러삽입홀(211a)로부터 상기 하우징부(2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삽입홀(211)을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상기 전원단자부(2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풀러부(21)는 상기 전원연결부(20)의 하측에 대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지지편(1a)은 상기 접촉부(20d)와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조작시 상기 접촉부(20d)에 상기 가압지지편(1a)가 밀착되어 가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러부(21)가 상기 풀러삽입홀(211a)의 개구측을 통해 가압 조작되면 상측을 향해, 즉 상기 전원연결부(20)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0d)는 상기 가압지지편(1a)이 밀착되어 상측을 향해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부(20)는 상기 절곡지지부에 의해 상측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풀러부(21)의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지지편(1a)의 단부에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20d)가 상기 가압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경사면의 경사각은 각각 대응되도록 대면 배치되는 제2연장접촉부(20d)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부(20d)는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조작시 상기 가압경사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가압됨에 따라 가압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면서도 탄발 변형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어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러부(21)가 상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가압 조작되면 상기 탄성부(20b,20c)가 탄발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접촉부(20d)가 상측을 향해 탄발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 및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가 연결된 부분이 탄발 변형되어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가 상기 제1접촉연장부(20e)에 인접하도록 탄발적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접촉연장부(20f)는 상기 풀러부(21)의 가압력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전원단자부(230)와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전원삽입홀(211)에 삽입하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상기 접촉부(20d) 및 상기 전원단자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는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전원단자부(230)와 접촉시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상기 접촉부(20d) 및 상기 전원단자부(23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풀러부(21)를 가압 조작하는 외력을 해제하면 각 상기 전원연결부(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러부(21)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20)가 탄발적으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접촉부(20d) 및 그와 상호 대향되는 전원단자부(23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상기 접촉부(20d)에 의해 탄발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는 상기 전원단자부(230) 및 상기 접촉부(20d) 사이에 탄발적으로 가압되어 물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는 상기 접촉부(20d)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원단자부(230)에 밀착되므로 상기 전원단자부(230)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플러그(P1,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러부(21)는 상기 전원연결부(2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은 상기 풀러부(21)를 가압 조작하여 상기 접촉부(20d)에 의해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전원삽입홀(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은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조작만으로도 상기 전원연결부(20)에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풀러부(21)를 가압한 후 각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삽입하고 상기 풀러부(2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전원연결부(20)의 내부에는 각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의해 탄발적으로 가압 고정된다. 이에 따라, 피복이 벗겨진 각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각 상기 전원삽입홀(211)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의해 탄발적으로 물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가 외부로 노출되던 종래와 달리, 설치 작업시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 등의 각종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단자부(230)는 각 상기 전원연결부(20)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단자몸체(2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부(230)는 구리를 포함하는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몸체(231)의 외측벽부의 내면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끝단부(1c)와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몸체(231)의 상측부 하면이 상기 전원연결부(20)의 상단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부(230)는 각 상기 단자몸체로(231)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한쌍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내면측에 형성된 중공부(234)에 전원플러그(P1,P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플러그연결부(232,23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중앙측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단부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링형돌기(215)가 상향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는 상기 단자몸체(231)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단자몸체(231)의 후단부에서 상기 링형돌기(215)의 전단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이 직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는 직선형으로 연장된 영역의 단부로부터 상기 링형돌기(215)의 상측에 대응되는 영역을 통과하며 더 연장되되 상기 링형돌기(215)의 상측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외면을 감싸도록 폭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감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라운드지게 형성된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내면측에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지게 형성된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하면이 상기 링형돌기(215)의 상면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234)에 삽입되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내면측에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 및 상기 단자몸체(231)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대면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단부에 형합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5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는 형합고정홈부(53)가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합고정홈부(53)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형합부(PA)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플러그의 형합부(PA)가 형합되어 끼움 삽입됨에 따라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고정홈부(53)의 바닥면에는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34)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전원단자홀(5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합고정홈부(5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접지부재(60)의 상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단자홀(52)이 상기 전원단자홀(51)과 이격되며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전원단자홀(51)은 상기 링형돌기(215) 및 상기 중공부(234)의 상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각 상기 전원단자홀(51)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의 형합부(PA)가 상기 형합고정홈부(53)에 형합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전원단자홀(5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에 의해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양측으로 팽창되어 전선케이블의 하중에 의해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수직 배치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와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 내면측에 고정단(241)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단(24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자유단(242,243)의 외면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 내면에 면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기 고정단(24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상기 전원플러그(P1,P2)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외면이 내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210) 내부의 공기온도와 상기 하우징부(210) 내부에 배치된 각 구성요소들의 온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구리 재질의 평판이 내면에 배치되고 구리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철 재질의 평판이 외면에 배치되어 상호간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241)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242,243)이 라운드진 형태에서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 열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안전온도는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의 자유단(242,243)이 팽창 열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상기 전원플러그(P1,P2)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242,243)의 가압을 통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를 연동 가압하여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과전류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에 의해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한편,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에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의 외면을 감싸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접촉부(235,23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는 상기 중공부(234)가 형성된 영역에서부터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내면 윤곽을 갖도록 폭방향 양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각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각 단부의 내면이 상호 밀착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을 향하여 직선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241)은 후술되는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242,243)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24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되어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를 양측으로 가압 변형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장착공간(212)에 대향되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단(241)과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호 일체로 형성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의 형상이 일측이 개구된 링형으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자유단(242,243)의 외면은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에 면접촉 형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에 원형 단면 형상의 고정돌기(213)가 상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13)는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상기 고정돌기(213)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241)의 내면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에 면접촉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고정단(241)의 외면이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에 면접촉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유단(242,243)의 내면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외측면에 면접촉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자유단(242,243)의 외면이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에 면접촉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13)의 직경은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유단(242,243)의 폭은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일측에는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된 각 상기 자유단(242,243)의 단부가 상호 구획되도록 상기 장착공간(212)에 대향되는 일측을 향하여 스토퍼돌기(214)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214)의 연장 길이는 상기 자유단(242,243)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각 상기 자유단(242,243)의 외면이 각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과 면접촉 배치되되,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에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각 상기 자유단(242,243)이 팽창 열변형되어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됨에 따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을 가압하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양측으로 연동 가압되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와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호 분리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에서 미만인 상태로 재하강하면, 각 상기 자유단(242,243)이 폭방향 내측으로 수축되어 각 상기 자유단(242,243)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돌기(214)에 접촉되고 각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 및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탄발력에 의해 폭방향 내측으로 수축 복원되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와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한쌍의 각 상기 전원단자부(230)는 상기 커버부(50)의 설치전 상측이 개구된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측으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한쌍의 각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측으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241)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단부측 내면 사이로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외측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 사이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쌍의 각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를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측으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으로 삽입하되, 상기 고정단(241)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단부측 내면 사이로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외측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 사이로 삽입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300)에는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 내면측에 고정단(241)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단(24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212)의 일측을 향하여 각각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자유단(242,243)의 외면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 내면에 면접촉되고, 외면이 내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2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일측이 개구된 링형의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기 고정단(24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전원플러그(P1,P2)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가 형성되어 각 자유단(242,243)의 외면이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에 면접촉 형합되므로 상기 자유단(242,243)의 팽창 변형시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연동 확장되므로 사용자가 전원플러그(P1,P2)를 삽입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근원적으로 차단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가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에 원형 단면 형상으로 상향 연장 돌설된 고정돌기(213)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고정단(241)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단부 내면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242,243)이 안정적으로 팽창 변형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일측에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된 각 상기 자유단(242,243)의 단부가 상호 구획되도록 상기 장착공간(212)에 대향되는 일측을 향하여 상기 스토퍼돌기(214)가 연장 돌설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유단(242,243)의 수축시 각 단부가 상기 스토퍼돌기(214)에 걸림 안내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한쌍의 각 상기 온도감지차단부(240)를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측으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212)의 타측으로 삽입하되, 상기 고정단(241)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후측단 외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단부측 내면 사이로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자유단(242,243)이 상기 고정돌기(213)의 외측면과 상기 라운드접촉부(235,236)의 내면 사이로 삽입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만으로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13)의 직경이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되고, 상기 하우징부(2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유단(242,243)의 폭은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되어 상기 자유단(242,243)의 팽창 변형시 상기 플러그연결부(232,233)가 상기 전원플러그(P1,P2)로부터 이격되기 위한 상기 자유단(242,243)의 이동 궤적 및 가압력이 확보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a: 전원측 연결라인 210: 하우징부
211: 전원삽입홀 212: 장착공간
213: 고정돌기 214: 스토퍼돌기
20: 전원연결부 230: 전원단자부
231: 단자몸체 232,233: 플러그연결부
234: 중공부 235,236: 라운드접촉부
240: 온도감지차단부 241: 고정단
242,243: 자유단 50: 커버부
60: 접지부재 70: 접지걸림대
P1,P2: 전원플러그
300: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laims (5)

  1.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도록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삽입홀과 각각 연통되는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며 형성되는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각각 접촉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연결부;
    각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전 재질로 구비되는 한쌍의 단자몸체와, 각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각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각각 한쌍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내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는 한쌍의 전원단자부; 및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측에 고정단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자유단의 외면이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 내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양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외면이 내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되,
    각 상기 플러그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의 외면을 감싸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접촉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측으로 팽창 변형되어 상기 라운드접촉부를 양측으로 가압 변형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장착공간에 대향되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라운드접촉부의 내면에 면접촉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원형 단면 형상의 고정돌기가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온도감지차단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에는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된 각 상기 자유단의 단부가 상호 구획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 대향되는 일측을 향하여 스토퍼돌기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직경은 상기 전원플러그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유단의 폭은 상기 전원플러그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0200098643A 2020-08-06 2020-08-06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43A KR102180277B1 (ko) 2020-08-06 2020-08-06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43A KR102180277B1 (ko) 2020-08-06 2020-08-06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277B1 true KR102180277B1 (ko) 2020-11-18

Family

ID=7369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43A KR102180277B1 (ko) 2020-08-06 2020-08-06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8998A (zh) * 2021-01-06 2021-05-07 刘明 一种电气工程用外接插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158U (ja) * 1991-03-14 1992-09-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コンセント
KR20080107189A (ko) * 2007-06-05 2008-12-10 한국전기연구원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KR20180122813A (ko) *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스필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158U (ja) * 1991-03-14 1992-09-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コンセント
KR20080107189A (ko) * 2007-06-05 2008-12-10 한국전기연구원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KR20180122813A (ko) *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스필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8998A (zh) * 2021-01-06 2021-05-07 刘明 一种电气工程用外接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9449B2 (en) Safety receptacle with jacketed internal switches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KR20170010711A (ko) 이동식 소켓들을 위한 가압 레일의 배열
KR101708102B1 (ko) 전기 연결 요소
US9431755B2 (en) Current-carrying lead and plug connector having such a current-carrying lead
US7601014B2 (en) High-voltage rubber cone plug-in connector
KR102180277B1 (ko)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US5158475A (en) Solenoid
KR20170013393A (ko) 케이블 변형 완화부
KR102180278B1 (ko) 엠보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2B1 (ko) 팽창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9865969B2 (en) Connector assembly which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structural member via a fixing member
US7563126B2 (en) Terminal board component and screwless connector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US4527849A (en) Snap-in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devices
KR102185587B1 (ko)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5B1 (ko) 플런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N107431311B (zh) 电子设备
KR102612467B1 (ko) 탄성지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1099896B1 (ko) 조정 가능한 케이블 커넥터 와이어 가이드 및 이를통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02588B1 (ko)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KR102612449B1 (ko) 이중원호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47B1 (ko) 이중접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N117223173A (zh) 具有过度伸展保护装置的夹紧弹簧接触装置和具有至少一个这种夹紧弹簧接触装置的插接连接器嵌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