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992B1 - 커넥터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992B1
KR102179992B1 KR1020190145166A KR20190145166A KR102179992B1 KR 102179992 B1 KR102179992 B1 KR 102179992B1 KR 1020190145166 A KR1020190145166 A KR 1020190145166A KR 20190145166 A KR20190145166 A KR 20190145166A KR 102179992 B1 KR102179992 B1 KR 10217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hanger
spa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장착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착장치는 커넥터(30)가 자동차용 블럭이나 모듈 등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이나 모듈의 프레임(10)에는 커넥터(30)가 장착되는 커넥터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공간(11)은 제1측벽(12)과 제2측벽(14)에 의해 주변과 구획된다. 상기 제2측벽(14)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제1하우징걸이(16)가 있어서 커넥터(30)의 선단몸체(33)의 상면을 걸어 고정한다. 상기 제1측벽(12)의 후단에는 상기 커넥터(30)의 후단몸체(34)의 상면을 걸어 고정하는 제2하우징걸이(20)가 있다. 상기 후단몸체(34)는 선단몸체(33)의 중심에 대해서 높이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의 하단 높이가 상기 후단몸체(34)의 상면 높이와 같도록 함에 의해 커넥터(30)의 삽입방향이 정확하게 되어야 커넥터공간(11)에 커넥터(30)가 안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착장치{Connector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커넥터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에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중에서 자동차용 블럭이나 특정한 모듈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커넥터를 특정한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커넥터클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자동차용 블럭의 몸체나 특정한 모듈의 몸체에는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구조를 활용하여 커넥터를 장착함에 있어서, 커넥터의 장착방향이 잘못되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반대로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커넥터가 몸체에 방향이 틀리게 장착된 경우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를 몸체에서 분리하고 방향을 정확하게 해서 장착한 후에 상대 커넥터와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591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가 고정부에 특정한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선단몸체와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후단몸체가 있는 커넥터를 장착하는 커넥터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위치되는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공간을 주변과 구획하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이나 제2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걸이턱이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 걸어지는 제1하우징걸이와, 상기 제1측벽이나 제2측벽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에 제2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하우징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걸이는 커넥터공간의 바닥에 직립되는 제2걸이몸체의 자유단부에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이몸체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2하우징걸이와 반대쪽의 제1측벽이나 제2측벽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후단걸이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1하우징걸이의 제1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 상면의 높이와 같다.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의 제2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의 상면의 높이와 같다.
삭제
상기 커넥터공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가 걸어지는 선단걸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단몸체와 상기 선단몸체의 후면에 높이방향으로 편심된 후단몸체가 있는 커넥터가 위치되는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공간을 주변과 구획하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2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걸이턱이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 걸어지는 제1하우징걸이와, 상기 제1측벽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에 제2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하우징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걸이는 커넥터공간의 바닥에 직립되는 제2걸이몸체의 자유단부에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이몸체의 내면은 상기 커넥터의 후단몸체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선단몸체와 후단몸체를 가지는 하우징에서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선단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하면까지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의 후단에는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후단걸이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1하우징걸이의 제1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 상면의 높이와 같다.
상기 커넥터공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가 걸어지는 선단걸이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의 제2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의 상면의 높이와 같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후단에 있는 후단몸체가 선단몸체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서, 후단몸체가 걸어지는 제2하우징걸이를 후단몸체의 편심위치를 고려하여 높이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커넥터의 하우징이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걸이가 후단몸체에 걸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커넥터가 프레임에 장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를 프레임에 장착할 때, 작업자가 항상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커넥터가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도 2에서와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커넥터 후단쪽에서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 장착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 실시례에 커넥터가 정확하게 장착된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의 (b)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의 방향이 달라져 장착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 장착장치는 자동차용 블럭 또는 특정한 모듈의 프레임(10)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10)은 자동차용 블럭의 것이다. 물론, 도면에는 상기 프레임(10)의 극히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커넥터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공간(11)은 전후 방향과 상방향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공간(11)의 일측면을 구획하도록 제1측벽(12)이 있다. 상기 제1측벽(12)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 일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벽(12)은 상기 선단몸체(33)의 전체를 가리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일부는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측벽(12)이 소정의 구간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높이가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12)과 마주보게 제2측벽(14)이 있다. 상기 제2측벽(14)은 제1측벽(12)과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측벽(14)은 그 높이가 제1측벽(12)과 달리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측벽(14)에서도 위치에 따라 그 높이가 제2측벽(14)의 다른 부분과 달리 되어 있다.
상기 제2측벽(14)에서 상기 커넥터공간(11)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걸이단(14')이 있다. 상기 후단걸이단(14')은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의 후단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후단걸이단(14')은 커넥터(30)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단걸이단(14')은 상기 제2측벽(14)에서 상기 제1측벽(12)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측벽(14)의 소정 구간에 제1하우징걸이(16)가 있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는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가 상기 커넥터공간(11)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선단몸체(33)의 상면을 걸어 잡아준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는 제1걸이몸체(18)가 상기 제2측벽(14)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10)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몸체(18)는 제2측벽(14)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걸이몸체(18)의 내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제2측벽(14)의 내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같게 된다. 상기 제1걸이몸체(18)의 자유단부에는 제1걸이턱(18')이 있다. 상기 제1걸이턱(18')은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 상면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걸이턱(18')의 하단 높이, 즉 상기 커넥터공간(11)의 바닥에서부터 시작하는 높이는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낮게 된다.
상기 제1측벽(12)의 후단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제2하우징걸이(20)가 있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후단걸이단(14')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제1측벽(12)의 내면보다 더 상기 제2측벽(14)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를 걸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후단걸이단(14')과 같이 하우징(32)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프레임(10)의 표면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제2걸이몸체(22)와 상기 제2걸이몸체(22)의 자유단부에 돌출되어 있는 제2걸이턱(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걸이턱(22')은 상기 제2측벽(14)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걸이턱(22') 하단의 높이는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 상면과 같거나 조금 낮게 된다. 이는 상기 제2걸이턱(22')이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 상면에 걸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의 높이는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의 위치와 관련이 있다. 상기 제2걸이턱(22')의 하단 높이는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의 상면 높이(H)와 같거나 약간 낮아야 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하우징(32)의 후단몸체(34)는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의 후단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있어야 한다.
상기 커넥터공간(11)의 선단에는 선단걸이(24)가 있다. 상기 선단걸이(24)는 상기 커넥터공간(11)의 선단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표면에 직립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선단걸이(24)는 하우징(32)의 선단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위치된 커넥터(30)가 커넥터공간(11)의 전방으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걸이(24)가 돌출된 정도는 하우징(32)의 터미널공간(32')을 가리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장착되는 커넥터(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터미널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공간(3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공간(32')에는 또한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이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32)은 선단몸체(33)와 후단몸체(34)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몸체(33)는 상기 하우징(32)의 전반부를 구성하고, 상기 후단몸체(34)는 상기 하우징(32)의 후반부를 구성한다. 상기 선단몸체(33)의 내부에 있는 터미널공간(32')은 상대적으로 횡단면적이 상기 후단몸체(34)의 횡단면적보다는 크다. 상기 선단몸체(33)의 내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이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후단몸체(34)에 있는 터미널공간(32')에는 터미널의 바렐부가 위치된다.
한편, 상기 선단몸체(33)의 후면에서 상기 후단몸체(34)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후단몸체(34)는 상기 선단몸체(33)의 후면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있다. 상기 후단몸체(34)의 위치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단몸체(34)의 상면과 선단몸체(33)의 상면 사이의 길이(A)는 상기 후단몸체(34)의 하면과 선단몸체(33)의 하면 사이의 길이(a)보다 길다.
이와 같이 후단몸체(34)가 선단몸체(33)의 중심에서 높이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음으로 해서 커넥터(30)가 뒤집어져서 커넥터공간(11)에 장착되는 것이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하우징(32)의 터미널공간(32') 내에는 키코드(36)가 있다. 상기 키코드(36)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이 상기 선단몸체(33)의 터미널공간(32')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대 하우징에는 상기 키코드(36)가 삽입되는 홈이 있어서, 홈의 방향이 상기 키코드(36)와 대응되지 않으면 상대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32)의 터미널공간(32')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키코드(36)는 돌출 정도가 다른 것 2개가 나란히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장착되는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공간(11)의 상방에서 상기 커넥터공간(11) 내부로 상기 커넥터(3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와 제2하우징걸이(20)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된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의 제1걸이턱(18')이 상기 하우징(32)의 선단몸체(33)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제1걸이턱(18')이 상기 선단몸체(33)의 상면을 만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는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이 후단몸체(34)의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제2걸이턱(22')이 상기 후단몸체(34)의 상면을 만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와 제2하우징걸이(20)가 탄성변형될 때는 상기 제1걸이턱(18')과 제2걸이턱(2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안착되면, 상기 제1측벽(12)과 제2측벽(14)이 선단몸체(33)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의 제1걸이몸체(18)도 상기 선단몸체(33)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측벽(14)의 후단에 있는 후단걸이단(14')은 상기 선단몸체(33)의 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커넥터(3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선단몸체(33)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후단걸이단(14')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단걸이단(14')이 걸어주는 선단몸체(33)의 후면 가장자리와 반대쪽 가장자리를 상기 제2하우징걸이(20)가 걸어주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는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32)이 커넥터공간(11)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이 상기 후단몸체(34)의 상면에 걸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하우징걸이(16)의 제1걸이턱(18')은 상기 선단몸체(33)의 상면에 걸어져서 커넥터(30)가 커넥터공간(11)에서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상기 커넥터(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몸체(33)의 터미널공간(32')으로 상대 커넥터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키코드(36)의 존재에 의해 터미널공간(32')으로 방향이 바뀌어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정확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대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30)에 결합할 때, 정해진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삽입하면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커넥터공간(11)에 정확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는 정확한 방향으로 커넥터(30)가 커넥터공간(1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후단몸체(34)의 상면에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이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30)가 180도 회전되어 커넥터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단몸체(34)가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에 걸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30)의 방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로 작업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30)가 도 7의 (a) 상태에서 90도만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커넥터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하우징걸이(20)의 제2걸이턱(22')에 상기 후단몸체(34)가 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커넥터(30)의 방향이 제대로 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커넥터(30)의 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삽입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측벽(14)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1하우징걸이(16)가 있고, 상기 제1하우징걸이(16)가 있는 제2측벽(14)과 마주보는 제1측벽(12) 후단에 제2하우징걸이(20)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측벽(1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1하우징걸이(16)가 있고, 제1측벽(12)의 반대쪽에 있는 제2측벽의 후단에 제2하우징걸이(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제1측벽(12) 쪽에 제1하우징걸이(16)와 제2하우징걸이(20)가 모두 있거나, 제2측벽(14)쪽에 제1하우징걸이(16)와 제2하우징걸이(20)가 모두 있을 수도 있다.
10: 프레임 11: 커넥터공간
12: 제1측벽 14: 제2측벽
14': 후단걸이단 16: 제1하우징걸이
18: 제1걸이몸체 18'; 제1걸이턱
20; 제2하우징걸이 22: 제2걸이몸체
22'; 제2걸이턱 24: 선단걸이
30: 커넥터 32; 하우징
32': 터미널공간 33; 선단몸체
34: 후단몸체 36: 키코드

Claims (13)

  1.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선단몸체와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후단몸체가 있는 커넥터를 장착하는 커넥터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위치되는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공간을 주변과 구획하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이나 제2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걸이턱이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 걸어지는 제1하우징걸이와,
    상기 제1측벽이나 제2측벽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에 제2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하우징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걸이는 커넥터공간의 바닥에 직립되는 제2걸이몸체의 자유단부에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이몸체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 외면에 밀착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2하우징걸이와 반대쪽의 제1측벽이나 제2측벽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후단걸이단이 더 구비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1하우징걸이의 제1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 상면의 높이와 같은 커넥터 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의 제2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의 상면의 높이와 같은 커넥터 장착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가 걸어지는 선단걸이가 구비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7. 선단몸체와 상기 선단몸체의 후면에 높이방향으로 편심된 후단몸체가 있는 커넥터가 위치되는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공간을 주변과 구획하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2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걸이턱이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 걸어지는 제1하우징걸이와,
    상기 제1측벽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에 제2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하우징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걸이는 커넥터공간의 바닥에 직립되는 제2걸이몸체의 자유단부에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이몸체의 내면은 상기 커넥터의 후단몸체 외면에 밀착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선단몸체와 후단몸체를 가지는 하우징에서 상기 선단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상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선단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후단몸체의 하면까지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후단에는 상기 선단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후단걸이단이 더 구비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1하우징걸이의 제1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 상면의 높이와 같은 커넥터 장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몸체가 걸어지는 선단걸이가 구비되는 커넥터 장착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제2하우징걸이의 제2걸이턱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몸체의 상면의 높이와 같은 커넥터 장착장치.
  13. 삭제
KR1020190145166A 2019-11-13 2019-11-13 커넥터 장착장치 KR10217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66A KR102179992B1 (ko) 2019-11-13 2019-11-13 커넥터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66A KR102179992B1 (ko) 2019-11-13 2019-11-13 커넥터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992B1 true KR102179992B1 (ko) 2020-11-17

Family

ID=7364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66A KR102179992B1 (ko) 2019-11-13 2019-11-13 커넥터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9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70U (ja) * 1993-11-10 1995-06-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ホルダー
KR100759123B1 (ko) 2005-11-14 2007-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JP2012016117A (ja) * 2010-06-30 2012-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70U (ja) * 1993-11-10 1995-06-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ホルダー
KR100759123B1 (ko) 2005-11-14 2007-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JP2012016117A (ja) * 2010-06-30 2012-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468B2 (ja) コネクタ
US10859234B2 (en) Lighting unit
KR102353873B1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US5545061A (en) Panel lock connector
KR102179992B1 (ko) 커넥터 장착장치
WO2018070196A1 (ja) コネクタ
KR20220008630A (ko) 커넥터 장치
US8622596B2 (en) Automotive interior lamp
JP3899961B2 (ja) コネクタホルダー
CN104203508B (zh) 用于电气设备的连接装置
BR112020011110A2 (pt) conjunto de conectores com bloqueio secundário independente com membro de posicionamento resiliente
US20130058119A1 (en) Vehicle room lamp
KR20220005701A (ko) 커넥터 장착장치
JP6183233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N108006970B (zh) 壳体组件及热水器
KR102567021B1 (ko) 커넥터
CN210064807U (zh) 电梯操作盘
KR20120073696A (ko) 커넥터
JP2002218624A (ja) 起立配索用プロテクタ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CN208209176U (zh) 车载usb组件及其安装结构
KR102499821B1 (ko) 터미널용 리어홀더
CN217062660U (zh) 一种usb连接器
KR200366471Y1 (ko) 헤드램프커넥터와 와이어커넥터의 결합구조
KR102600826B1 (ko) 전지 커넥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