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97B1 - 숯불보관함 - Google Patents

숯불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97B1
KR102179697B1 KR1020190088223A KR20190088223A KR102179697B1 KR 102179697 B1 KR102179697 B1 KR 102179697B1 KR 1020190088223 A KR1020190088223 A KR 1020190088223A KR 20190088223 A KR20190088223 A KR 20190088223A KR 102179697 B1 KR102179697 B1 KR 10217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storage unit
dust
water
charcoa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관
Original Assignee
송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관 filed Critical 송영관
Priority to KR102019008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용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수납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저면에서 상기 숯불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낙하 가능하도록 형성된 망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숯불보관함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본 발명은, 고기 따위를 익히거가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숯불로부터 발생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숯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숯불로 고기를 익히거나 구우면, 숯불에서 나오는 복사열이 고기 겉면에 얇은 막을 만들어 육즙을 가두어, 숯불로 구운 고기가 가장 육즙이 많고 부드럽다.
또한, 숯불은 가스불에 비해 약 4배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데,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은 고기의 표면을 빠르고 균일하게 구워 풍미를 잃지 않게 하고,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육즙의 손실을 줄이고 고기의 식감을 좋게 한다.
위와 같은 장점 때문에, 고기를 익히거나 구울 때 숯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번 연소된 숯불은 완전 연소가 될 때까지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한번 연소된 숯불을 임시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숯불은 연소시 발생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은, 주변 공기를 오염시켜 식당 등의 환경을 나쁘게 하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숯불의 재활용을 위해 임시보관할 때 상기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하고, 나아가 숯불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숯불보관함에 대한 새로운 기술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20-1997-0000345 A1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된 숯불로부터 발생된 분진을 하부에 저수된 물에 흡착시켜 부유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숯불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숯불용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수납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저면에서 상기 숯불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낙하 가능하도록 형성된 망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진을 거르기 위해 형성된 망상의 거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판의 매쉬 크기가 상기 바닥판의 매쉬 크기보다 작아서, 큰 크기의 분진을 회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분진을 상기 저수부로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격벽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되어 부유하는 분진의 이동을 가로막아 상기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되, 상기 복수 격벽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상기 숯불보관함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상기 저수부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한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구리,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보관함은, 내부에 보관된 숯불로부터 발생된 분진을 하부에 저수된 물에 흡착시켜 부유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분진이 하부에 저수된 물에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걸러내어, 분진이 물에 낙하함으로써 튀는 물에 의해 숯불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보관함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통풍구에 의해 숯불보관함 내부는 자연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분진을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 내상부에 위치한 격벽을 이용하여 숯불보관함 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에 낙하시킬 수 있고, 나아가 격벽에 슬릿을 형성하여 숯불보관함 내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저수부의 바닥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열 전도도가 높은 소재 또는 형태를 구현하여, 상기 숯불보관함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에 결벽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숯불을 담는 숯불용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10, 120)와, 상기 수납부(110, 120)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111, 122)와, 상기 수납부(110, 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납부(110, 120)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130)를 포함하여, 고기 따위를 익히거가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숯불로부터 발생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숯불보관함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수납부(110, 120)는 숯불이 담긴 숯불용기(미도시)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수납부(110, 12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고, 수납부(110, 12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수납부(110, 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납부, 즉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가 적층된 형태임을 가정하기로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수납부(110, 1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용기의 용이한 출납을 위해 일면이 방형(方形)인 육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납부(110, 120)는 일 면에 개폐가능한 도어(11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 122)의 배치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최상부에 위치한 수납부(110)는 상면에 도어(111, 1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은 수납부(110)는 전면에 도어(111, 1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에 위치한 제1 도어(111)는 제1 도어손잡이(113)에 의해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냄으로써 상면후방에 위치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제1 도어(111)에 의해 개방된 제1 수납부(110)에는 내부에 숯불용기가 인출입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면에 위치한 제2 도어(122)는 제2 도어손잡이(123)에 의해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냄으로써 전면하방에 위치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제2 도어(122)에 의해 개방된 제2 수납부(120)에는 내부에 숯불용기가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도어(122)는 서랍처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제2 수납부(120)의 일 면이 개폐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 120)는 저면에 숯불용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아래에 위치한 저수부(130)로 낙하할 수 있도록 망(網)상의 바닥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10, 120)의 바닥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망으로 이루어져 분진이 아래로 낙하될 수 있고, 낙하한 분진은 숯불보관함(100)의 하부에 위치한 저수부(130)로 유도되어 저수된 물에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에 흡착된 분진은 더 이상 숯불보관함(100) 내부 및/또는 외부로 부유하지 않아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망상의 바닥판(115)의 메쉬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거름판(140)의 메쉬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쉬의 크기가 커서 메쉬가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비교적 큰 크기의 분진도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거름판(140)은 저수부(130)의 상부, 구체적인 예로 수납부(110, 120)와 저수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수납부(110, 120) 내 수용된 숯불용기로부터 발행하여 저수부(130)로 낙하하는 분진 중 비교적 크기가 큰 분진을 거를 수 있다.
거름판(1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판틀(141)과 그 내측에 형성된 거름망(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거름망(142)은 비교적 크기가 큰 분진이 저수부(130)로 낙하하지 않도록 걸러내어, 크기가 큰 분진이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고 차단하기 때문에, 저수된 물로부터 튀어오른 물방울에 의해 숯불보관함(100) 내부, 특히 숯불용기 내 숯이 젖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거름망(142)의 메쉬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115)의 메쉬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142)의 메쉬 크기가 작더라도 이는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 유동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판(140) 위에 배치된 수납부(110, 120) 내부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110, 120) 내부에 자연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외기가 유출입되는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수납부(110, 120)에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름판(140)은 전방에 설치된 손잡이 따위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될 수 있고, 작업자는 거름판(140)을 인출하여 거름판(140)에 의해 걸러진 분진을 쓰레기통에 털어 쉽게 버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 120)는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112)와, 수납부(110, 120)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납부(110)가 제2 수납부(120) 위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 제1 통풍구(112)는 상기 제1 수납부(110)에, 그리고 제2 통풍구(121)는 상기 제2 수납부(120)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 각각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각 수납부(110, 120)에 수용되는 숯불용기의 용기하부 높이에 형성되어, 숯불용기 내 숯불 열기에 의해 각 수납부(110, 120) 내 공기가 상승할 때 그 아래부분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되, 외기가 숯불보관함(10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각 수납부(110, 120) 하부, 즉 각 수납부(110, 120)에 수납된 숯불용기의 용기높이 미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110, 120) 내부의 공기는, 도 4에 도시한 방향으로 자연 대류될 수 있다.
이렇게 수납부(110, 120) 내부의 공기가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에 의해 자연 대류되기 때문에, 숯불보관함(100) 내 발생되어 대류 흐름에 따라 부유하는 분진은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로 유도되어, 숯불보관함(100) 내부는 물론이고 그 주변에 까지도 분진이 부유되는 것을 차단하여 분진에 의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통풍구(112) 외측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풍구(112)를 통해 외기를 숯불보관함(10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모터 따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제2 통풍구(121) 외측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통풍구(121)를 통해 숯불보관함(100) 내기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모터 따위에 회전하는 제2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팬을 이용하여, 숯불보관함(100) 내상부에서 유입된 외기는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내하부로 유도될 수 있으며, 공기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숯불보관함(100) 내 부유하는 분진은 관성에 의해 저수부(130) 내 저수된 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110, 120)는 수납부(110, 120)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117a~11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에 결벽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17a~117c)은 수납부(110, 120) 내상부, 구체적으로 천장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격벽(117a~117c)의 설치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부유하는 분진을 가로막음으로써, 부유하는 분진을 저수부(130) 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수납부(110, 120) 내 격벽(117a~117c)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격벽(117a~117c)은 서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격벽(117a~117c)이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h1~h3)가 상이하도록, 다시 말해 복수 격벽(117a~117c)의 높이(h1~h3)가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높이의 격벽(117a~117c)이 수납부(110, 120)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부(110, 120) 내 부유하는 분진의 높이와 무관하게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저수부(130)로 낙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벽(117a~117c)의 설치 방향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에 의해 형성되는 숯불보관함(100) 내 자연 대류의 방향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복수의 격벽(117a~117c)은 수납부(110, 120) 내 자연 대류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납부(110, 120) 내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지 않도록 격벽(117a~117c)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1~S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격벽(117a~117c)에 형성된 슬릿(S1~S6)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격벽(117a~117c)의 높이에 따라, 높이(h1)가 낮은 격벽(117a)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 형태의 슬릿(S1~S3)만 형성되고, 그 다음 높은 높이(h2)의 격벽(117b)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태의 슬릿(S4~S6)만 형성되며, 높이(h3)가 가장 높은 격벽(117c)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 형태의 슬릿(S1~S3)와 함께 홈 형태의 슬릿(S4~S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릿(S1~S6)이 형성된 격벽(117a~117c)은,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형성되는 자연 대류 흐름에 의해 부유하는 분진을 차단하여 거름판(140)으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류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의 하부에는 저수부(130)가 배치되되, 저수부(13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13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151~15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저수부(130)는 다리(151~154)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저수부(130)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숯불보관함(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저수부(130)의 온도를 공냉식으로 낮춤으로써,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촉진시켜 수납부(110, 120) 내 자연 대류 현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숯불보관함(100)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151~154)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열 전도성이 높은 구리, 구리보다 열 전도성이 낮지만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합금, 물에 대한 내부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요철(凹凸)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냉각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수부(130)의 외측 저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드레인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저수부(130) 내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수부(13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함(1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저수함(131)은 서랍 따위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개폐 가능하여, 사용자는 저수함(131)을 전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물을 버리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숯불보관함 110: 제1 수납부
111: 제1 도어 112: 제1 통풍구
113: 제1 도어손잡이 115: 바닥판
117a~117c: 격벽 120: 제2 수납부
121: 제2 통풍구 122: 제2 도어
123: 제2 도어손잡이 130: 저수부
131; 저수함 140: 거름판
141: 거름판틀 142: 거름망
151~154: 다리 160: 바닥면
S1~S6: 슬릿

Claims (7)

  1. 숯불용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수납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저면에서 상기 숯불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낙하 가능하도록 형성된 망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분진을 상기 저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격벽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되어 부유하는 분진의 이동을 가로막아 상기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되, 상기 복수 격벽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진을 거르기 위해 형성된 망상의 거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판의 매쉬 크기가 상기 바닥판의 매쉬 크기보다 작아서, 큰 크기의 분진을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상기 숯불보관함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상기 저수부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한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구리,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KR1020190088223A 2019-07-22 2019-07-22 숯불보관함 KR10217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ko) 2019-07-22 2019-07-22 숯불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ko) 2019-07-22 2019-07-22 숯불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697B1 true KR102179697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ko) 2019-07-22 2019-07-22 숯불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6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5U (ko) 1995-06-16 1997-01-21 김재완 숯불 보관로
KR200309608Y1 (ko) * 2003-01-17 2003-04-08 이승규 숯불 점화장치
KR100945716B1 (ko)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숯 점화장치
KR101134364B1 (ko) * 2011-05-30 2012-04-09 신정호 숯 점화장치
KR20160000212U (ko) * 2014-07-10 2016-01-20 임영일 숯불의 먼지제거장치
EP3367857A1 (en) * 2015-10-30 2018-09-05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hot air and fluid introduced thereinto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5U (ko) 1995-06-16 1997-01-21 김재완 숯불 보관로
KR200309608Y1 (ko) * 2003-01-17 2003-04-08 이승규 숯불 점화장치
KR100945716B1 (ko)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숯 점화장치
KR101134364B1 (ko) * 2011-05-30 2012-04-09 신정호 숯 점화장치
KR20160000212U (ko) * 2014-07-10 2016-01-20 임영일 숯불의 먼지제거장치
EP3367857A1 (en) * 2015-10-30 2018-09-05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hot air and fluid introduced therein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0379B (zh) 空气炸锅
RU2737519C2 (ru) Мультипечь
US10694892B2 (en) Internal chimney system for grills and smokers
RU2656199C1 (ru) Крышка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испарений в аэрогриле
EP3003105B1 (en) Air-based fryer pan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US2902026A (en) Portable barbecue pits
US5577490A (en) Exhaust hood for a plurality of diverse heating or cooking devices
US20030226452A1 (en) Forced convection and radiant heat cooking
US20090320882A1 (en) Barbecue smoker
KR20130004314A (ko) 개선된 수직형 그릴
US2124837A (en) Broiler for use by campers
KR20080024948A (ko) 요리용 석쇠 조립체
KR102179697B1 (ko) 숯불보관함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US3263596A (en) Filtered deep fryer
KR20120030741A (ko) 숯불구이기
CA3108117A1 (en) Smoker device
US3025784A (en) Portable grill
CN206026097U (zh) 空气炸锅及分隔件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9689575B2 (en) Indoor grill
TWM511213U (zh) 環保烤爐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200196698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