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070B1 -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 Google Patents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070B1
KR102178070B1 KR1020190078091A KR20190078091A KR102178070B1 KR 102178070 B1 KR102178070 B1 KR 102178070B1 KR 1020190078091 A KR1020190078091 A KR 1020190078091A KR 20190078091 A KR20190078091 A KR 20190078091A KR 102178070 B1 KR102178070 B1 KR 10217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ooden
plate
pai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섭
권기현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9007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0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horizont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block standardized to construct a country house, a ″silver town″ house, a leisure house, a neighborhood facility house, etc. using wood as the main material, and a wood panel using the same. The wood block comprises: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air of horizontal plates horizontally fixed and installed on grooves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s at heigh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vertical plate vertically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The space defined by the horizontal plates is used as an insulator accommodation space and an air layer formation spac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ood block, deformation such as twisting or bending does not occur even if a long period elapses, the strength of a wall is increased, and soundproof and insulating effects are high. Also, the wood blocks have standardized sizes and thus the wood blocks and wood panels can be manufactured in a factory to shorten construction tim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본 발명은 목재를 주된 재료로 하는 전원 주택, 실버타운 주택, 레져용 주택, 근린생활시설 주택 등을 시공하기 위한 정형화된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재 블록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측면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세로로 설치된 세로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세로 판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단열재 수용공간과 공기층 형성공간으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의 구조에 의하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뒤틀림 또는 휨 등의 변형이 되지 않고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며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높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이 정형화된 규격으로 인하여 목재 블록 및 목재 패널이 공장에서 제조 가능하게 됨으로써 건축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건축비용이 절감되는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ized wood block for constructing a country house, a silver town house, a leisure house,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house, etc. using wood as a main material, and a wood panel using them, wherein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for the wood block. In a space formed by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a time, a pair of horizontal plates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in a groove form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s, and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 is configured to include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 plates to be used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space for forming an air layer. It is not deformed, the strength of the wall is increased, and the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effect is high.In addition, due to the standardized standards of the above wooden blocks, wooden blocks and wooden panels can b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which shortens the construction time and thereby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It relates to saving wood blocks and wood panels using them.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나 생각에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이러한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에 따라 최근 다양한 형태의 많은 목조 주택이 시공되고 있다.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improve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and thoughts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In recent years, many wooden houses of various types are being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se people.

그러나 종래의 목조 주택에 있어서, 벽체에 사용되는 목재는, 통나무를 그대로 다듬은 단일의 긴 원목을 사용함으로써, 목재의 무게나 부피 등으로 인하여 운송이나 하역과정이 여전히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있어서도 이러한 목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되고, 전문적인 인력만이 이러한 목재를 다루어 목조 주택을 건축할 수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ooden house, the timber used for the wall is a single long log that has been trimmed as it is, so not only is it not easy to transport or unload the process due to the weight or volume of the timber, but also in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capable of lifting the timber was required, and only skilled personnel were able to manipulate the timber to build a wooden house.

기존 목조 건축은 작업 특성 상 많은 인력과 건축 기간이 길어 일반 콘크리트 건축 보다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목조 건축에서는 목재의 특성으로 인해 목재의 힘이 약하고, 휨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건조를 잘하여야 하고 문제가 예상 되는 곳에는 이를 대체하는 원부자재(예. 합판, 철골조, 경우에 따라서는 흙이나 콘크리트 등)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Existing wooden constructions require more manpower and longer construction periods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are more expensive than general concrete constructions.In particular, wooden constructions require good drying because the strength of the wood is weak and warpage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ood.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use raw and subsidiary materials (eg plywood, steel frame, in some cases soil or concrete, etc.) to replace them where problems are expected.

또한, 목조 주택의 벽체에 사용하는 목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목재가 변형되어 건축물의 문과 창문이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건축시 벽체를 이루는 목재와 목재 사이에 틈이 쉽게 생겨 바람이나 비가 침습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wood used for the wall of a wooden house is deformed over time, causing the door and window of the building to warp, and when building, a gap between the wood and the wood forming the wall is easily formed, causing wind or rain to invad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ends to occur in the case of the

상기와 같은 목재 주택 시공에 관한 기술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407호, 제10-2014-0143684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90486호, 제 10-1583552호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wooden house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2011-0118407, 10-2014-0143684, and 10-0490486, 10-1583552.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목재를 주된 재료로 하는 전원 주택, 실버타운 주택, 레져용 주택, 근린생활시설 주택 등을 시공하기 위한 정형화된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재 블록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측면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세로로 설치된 세로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세로 판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단열재 수용공간과 공기층 형성공간으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의 구조에 의하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뒤틀림 또는 휨 등의 변형이 되지 않고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며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높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이 정형화된 규격으로 인하여 목재 블록 및 목재 패널이 공장에서 제조 가능하게 됨으로써 건축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건축비용이 절감되는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tandardized wooden blocks for constructing rural houses, silver town houses, leisure house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houses, etc., which use wood as the main material, and they It relates to a wood panel using, wherein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ood block, and a pair of horizontally fixed installation in a groove formed at a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 By including a horizontal plate of and a vertical plat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and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 is used as an insulation receiving space and an air layer forming space,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ooden block, it is not deformed such as warping or warping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the strength of the wall is increased, the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effect is hig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ooden block and a wooden panel using them, which shortens construction time 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in a factory,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측면 판재의 내부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공간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목재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세로 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측면 판재 및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세로 판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세로 판재를 사용하여 상기 측면 판재 및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3개의 공간 중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공기층 형성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ode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groove formed at a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side plate. In a wooden block formed with a pair of horizontal plates fixedly installed, and a square-shaped space formed by the pair of side plates and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being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the one A vertical plate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a pair of horizontal plates to divide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The vertical plate divides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into three spaces using a pair of vertical plat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enter of the three spaces formed by the pair of vertical plates The space formed in is used as an air layer form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서 상부에 위치한 가로 판재의 상면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로 판재의 하면에 상기 측면 판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각각 보강 판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plate, reinforcing plates ar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세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3개의 공간 중 상기 공기층 형성공간의 양측 공간은 단열재 수용공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단열재가 난연성 단열 소재를 압축 성형한 직사각형 판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three spaces formed by the pair of vertical plates, the spaces on both sides of the air layer forming space are used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is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med by compression molding a flame-retardant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은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목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목재 블록 간의 결합이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의 하단부가 맞닿았을 때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과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목재 패널의 최상층 목재 블록의 상부 또는 최하층 목재 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목재 블록에서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마감 연결판재를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od panel that arranges and combines the wood block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wood blocks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of the wood block located at the top and the wood located at the bottom.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 formed when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of the block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wood block located at the top and the wood block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top or The lowermost layer of the wooden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ed connect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in a spac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ooden block by the horizontal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할 때 상기 목재 블록에서 내부가 노출되는 단부에는 단부 덮개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ooden blocks are arranged and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end cover is installed at an e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ooden block to finish.

또한, 본 발명은 창문 또는 문이 설치되는 상부에 위치한 목조 블록은 그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 내에 강재 파이프 또는 H 빔 등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ngth of the wooden block located above the window or door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steel pipe or H beam in the air layer forming space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연결판재에 대하여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좌우측 부분을 강도 보강용으로 목재 연결판재(41a)를 설치하고 가운데 부분을 단열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열재(41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ooden connecting plate 41a is installed for strength reinforcement by dividing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into three spaces, and an insulating material 41b is installed to reinforce the insulation in the middle part. To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은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목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목재 블록 간의 결합은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와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가 맞닿아 형성된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과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목재 블록에서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그 공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마감 연결판재를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od panel that arranges and combines the wood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wood blocks is a side plate of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right side.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s where the side plat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eft and right wooden blocks are fixedly coupled, and the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plate in the wooden bloc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ed connecting plat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pace is fixedly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측면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세로로 설치된 세로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세로 판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단열재 수용공간과 공기층 형성공간으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의 구조에 의하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뒤틀림 또는 휨 등의 변형이 되지 않고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며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높은 효과가 있다.The wood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air of horizontal plates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in grooves formed at a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s, By including vertical plate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so that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s is used as a space for receiving an insulation material and a space for forming an air layer, the structure of the wood block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even after a long time elapses, deformation such as warping or bending is not performed, the strength of the wall is increased, and soun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ar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각 목재 블록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게 함으로써, 각 목재 블록 사이에 결합 틈새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이 정형화된 규격으로 인하여 목재 블록 및 목재 패널이 공장에서 제조 가능하게 됨으로써 건축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건축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wood blocks having the above struc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to be fixedly coupled us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between each wood block, thereby creating a coupling gap between each wood block. It can be removed, and due to the standardized standard of the wood blocks as described above, wood blocks and wood panels can b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tim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의 일실시예의 외관도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서 목재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서 목재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서 목재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 및 목재 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한 2층 목조 주택의 일실시예 외관도
도 6는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일층 내부 외관도
도8은 도 5에서 이층 내부 외관도
도 9는 도 5에서 일층 내부 단면도를 볼 수 있게 도시한 도면
1 is an exter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woode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to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ood blocks are arranged and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and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portions are joined by arranging wooden block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ood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and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portions are joined by arranging wooden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wood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ior view of an embodiment of a two-story wooden house constructed using wood blocks and wood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first floor interior exterior view in Figure 5
Figure 8 is a two-story internal appearance in Figure 5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floor in FIG. 5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은 목재를 주된 재료로 하는 전원 주택, 실버타운 주택, 레져용 주택, 근린생활시설 주택 등을 시공하기 위한 정형화된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ood blocks and wood panels using th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ized wood block for constructing a rural house, a silver town house, a leisure house,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house, etc. using wood as the main material, and a wood panel using them. As a resul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11)와, 상기 측면 판재(11)의 상부 및 하부 측면의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12)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세로로 설치된 세로 판재(13)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 판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단열재(15)를 설치할 수 있는 단열재 수용공간(14)과 공기층 형성공간(16)으로 사용된다.The wooden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11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1, and the height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plate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composed of a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fixedly install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plate, and a vertical plate 13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and the like. The space partitioned by this is used a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and the air layer forming space 16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can be installed.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에서 상부에 위치한 가로 판재(12)의 상면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로 판재(12)의 하면에 상기 측면 판재(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각각 보강 판재(19)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 판재(19)는 상기 측면 판재(11)에서 상기 가로 판재(12)를 설치기 위한 홈 부분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찬재(11)에 의하여 형성된 외부 치수의 변형을 막기 위한 보강 용도로 사용된다.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plate 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12 positioned at the upp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12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horizontal plate 12, each reinforcing plate 19 ) Can be installed.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19 prevents deformation of the groove portion for installing the horizontal plate 12 in the side plate 11 and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external dimensions formed by the pair of side plate 11 It is used for reinforcement purposes.

상기 대략 250mm 정도의 간격(외부 치수)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11)는 상기 가로 판재(12)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홈을 상부 및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치수를 상기 대략 250mm 정도의 간격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치수로 할 수 있다.The pair of side plates 11 installed at an interval of about 250 mm (external dimensions) have grooves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horizontal plate 12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mensions are not limited to the spacing of about 250 mm, and may be various dimensions as necessary.

상기 측면 판재(11)에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로부터 10~30mm정도에 위치한 부분에 상기 가로 판재(12)의 두께만큼의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한 쌍의 가로 판재(12)를 삽입하여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를 견고히 고정 설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착제가 응고되는 시간이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와 병행 또는 상기 접착제 대신에 가는 못 또는 나사를 적절히 사용하여 시공 속도를 높힐 수 있다. 상기 측면 판재(11), 상기 가로 판재(12), 상기 세로 판재(13) 및 상기 보강 판재(19)의 방수처리가 된 합판이나 목재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10~30mm 정도로 한다.In the side plate 11, a groove of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plate 12 is formed in a portion located about 10 to 30 mm from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and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groove, a pair of horizontal plate 12 is formed. By inserting,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are firmly fixed and installed. In another embodiment, since there is a time for the adhesive to solidify, a thin nail or screw may be appropriately used in parallel with the adhesive or instead of the adhesive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The side plate 11, the horizontal plate 12, the vertical plate 13, and the reinforcing plate 19 are waterproofed plywood or wood, and the thickness is about 10 to 30 mm.

상기 목재 블록(10)은 길이 방향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목재 블록이고, 세로폭, 즉 높이를 대략 250mm 가로폭을 대략 250mm로 하고 길이방향으로 대략 2400mm의 길이를 가지게 하여 정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치수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치수로 할 수 있다).. The wooden block 10 is a wooden block formed long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vertical width, that is, a height of approximately 250 mm and a horizontal width of approximately 250 mm and a length of approximately 240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mensions are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 dimensions as necessary)..

상기 세로 판재(13)는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세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 판재(13)를 1개 설치할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의 중앙에 설치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판재(13)를 2개 설치할 경우 양 측면 판재(11)의 내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바람직하게는 20~50mm 정도)를 두고 설치한다. 상기 세로 판재(13)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홈을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의 내부 상부 및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세로 판재(13)를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에 상기 세로 판재(13)의 두께만큼 형성된 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상기 세로 판재(13)를 삽입하여 상기 세로 판재(13)를 견고히 고정 설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착제가 응고되는 시간이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와 병행 또는 상기 접착제 대신에 가는 못 또는 나사를 적절히 사용하여 시공 속도를 높힐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13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 12, and when one vertical plate 13 is installed,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horizontal plate 12 In the case of installing two vertical plates 13 as shown in FIG. 1, they ar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preferably about 20 to 50 mm) from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11. Grooves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vertical plate 13 a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to form the vertical plate 13 into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groove formed by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plate 13, the vertical plate 13 is inserted and the vertical plate 13 is firmly fixed and installed. In another embodiment, since there is a time for the adhesive to solidify, a thin nail or screw may be appropriately used in parallel with the adhesive or instead of the adhesive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상기 세로 판재(13)의 설치위치는 외부 온도, 단열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세로 판재(13)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상기 세로 판재(13)를 1개 설치할 경우 2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 공간에는 단열재(15)를 설치할 수 있는 단열재 수용공간(14)과 아무런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고 공기층만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16)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열재(15)가 설치되는 공간은 외벽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로 판재(13)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상기 세로 판재(13)를 2개 설치할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되고, 상기 2개의 세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3개의 공간 중 양측에 형성된 공간은 단열재(15)를 수용할 수 있는 단열재 수용공간(14)로 하고,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아무런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고 공기층만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16)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rtical plate 13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 13, when one vertical plate 13 is installed, two spaces are formed, and in each space, an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in which an insulating material 15 can be installed and no contents The air layer forming space 16 in which only the air layer is formed without being filled is form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15 is installed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uter wall side. On the other hand,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s 13 is divided into three spaces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12 when two vertical plates 13 are installed, and the two Among the three spaces formed by vertical plates, the space formed on both sides i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and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is an air layer forming space where no contents are filled and only an air layer is formed (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16).

또한,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14)에 수용되는 단열재(15)는 난연성 단열 소재를 압축 성형한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되어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14)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accommodat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obtained by compression-molding a flame-retardant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상기와 같이 상기 세로 판재(13)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을 상기 단열재(15)가 설치된 단열재 수용공간(14)과 아무런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고 공기층만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16)으로 활용함으로써, 외부와의 단열과 방음 및 층간 방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By utilizing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late 13 as described above a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receiving space 14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is installed and the air layer forming space 16 in which only an air layer is formed without filling any contents,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interlayer sound insulation effects can be maximized.

상기 목재 블록은 상기 측면 판재(11)에서 외부에 설치되는 면은 외부 마감판재(17)를 부착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면은 내부 마감판재(18)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목재 블록이 내부에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측면 판재(11)의 양 측면은 내부 마감판재(18)을 부착한다.In the wood block, an external finishing plate 17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installed outside of the side plate 11 and an inner finishing plate 18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installed inside. When the wood block is installed only inside,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1 are attached to the inner finishing plate 18.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2 내지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부 마감판재(17), 내부 마감판재(18) 및 보강 판재(19)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하였다].Next,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In FIGS. 2 to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uter finish plate 17, the inner finish plate 18,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9 ) Is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목재 블록들(10, 20, 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된 목재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목재 블록(10, 20, 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2의 (a) 내지 (c)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는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목재 패널이 고정 결합된 상태의 외관도이며, 도 2의 (c)는 중간 연결판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3개의 목재 블록들(10, 20, 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 결합하여 목재 패널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다양한 개수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하여 목재 패널을 완성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wooden blocks 10, 20, 3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mbined wooden panel may be manufactured. Referring to Figures 2 (a) to (c)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wooden blocks 10, 20, 30 are arranged and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as follows. Figure 2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fore assembly, Figure 2 (b) is an exter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ooden panel is fixedly coupled, Figure 2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late. FIG. 2 shows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oden panel is completed by arranging and fixing three wooden blocks 10, 20,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 reality, various numbers of wooden blocks are fixed. Can be combined to complete the wood panel.

목재 블록들(10, 20, 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목재 패널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20 또는 10)의 측면 판재(11)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10 또는 30)의 측면 판재(11)의 하단부가 맞닿았을 때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41)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20 또는 10)과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10 또는 30)을 고정 결합한다. The wooden panels 10, 20, and 3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mbined, as shown in Fig. 2 (a) and (b), the side surface of the wooden block 20 or 10 located on the upper side.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 formed when the upper end of the plate 11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1 of the wooden block 10 or 30 located at the lower part contact each other, The block 20 or 10 and the wooden block 10 or 30 located at the lower part are fixedly coupled.

상기 목재 블록(10, 20, 30)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공간은 보강 판재(19)가 설치된 경우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20 또는 10)의 하부에 설치된 보강 판재(19)의 하면와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10 또는 30) 의 상부에 설치된 보강 판재(19)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된다.The spac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wooden blocks 10, 20, 30 is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plate 19 installed under the wooden block 20 or 10 located above when the reinforcing plate 19 is installed. It become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19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block 10 or 30 located in.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상면은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20 또는 10)의 하부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하면은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10 또는 30)의 상부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ooden block 20 or 1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fixedly coupled by an adhesiv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a wooden block located at the lower part. Abutting the upper surface of (10 or 30) is fixedly bonded by an adhesive.

상기 중간 연결판재(41)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좌우측 부분을 강도 보강용으로 목재 연결판재(41a)를 설치하고 가운데 부분을 단열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열재(41b)를 설치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divided into three spaces as shown in Fig. 2(c), and a wooden connecting plate 41a is installed for strength reinforcement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and the middle portion is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to reinforce the insulation. (41b) can be installed.

상기와 같이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각 목재 블록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게 함으로써, 각 목재 블록 사이에 결합틈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wooden blocks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fixedly coupled between each of the wooden blocks us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removing a coupling gap between each wooden block.

또한, 상기 목재 패널의 최상층 목재 블록(도 2에서는 20)의 상부 또는 최하층 목재 블록(도 2에서는30)의 하부에는 상기 목재 블록에서 상기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대략 10~30mm정도)를 가지는 마감 연결판재(42)를 고정 설치하여 노출되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pac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uppermost wooden block (20 in FIG. 2) or the lowermost wooden block (30 in FIG. 2) of the wooden panel by the horizontal plate 12 in the wooden block (Approximately 10 ~ 30mm) by fixing the finished connection plate 42 having a fixed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exposed appearance beautifu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서 목재 블록(10, 20, 30, 40, 50, 6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구조를 도 3 의 (a) 및 (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는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목재 패널이 고정 결합된 상태의 외관도이다.In addi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wooden blocks 10, 20, 30, 40, 50, 6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rners are joined in the wood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It is as follows. Figure 3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fore assembly and Figure 3 (b) is an exter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ooden panel is fixedly coupled.

목재 블록(10, 20, 30, 40, 50, 6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구조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블록(10, 20, 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함에 있어서 상하에 배치된 목재 블록(20, 30)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고 가운데 위치한 목조 블록(10)의 측면 판재(11)의 폭만큼 뒤로 위치하게 하여 상기 목재 블록(10, 20, 30)의 직교 방향에서 결합되는 목재 블록(50)의 단부가 가운데 위치한 목조 블록(10)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지그재그 형식으로 결합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의 고정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wooden blocks 10, 20, 30, 40, 50, 6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join the corner portions is the wooden blocks 10, 20, as shown in Fig. 3(a) and (b). In arranging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ooden blocks 20 and 30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nd are positioned backward by the width of the side plate 11 of the wooden block 10 located in the middle. The ends of the wooden blocks 50 that are join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10, 20, 30 ar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wooden block 10 located in the middle, so that they are combined in a zigzag form. By do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xed coupling of the corner portion becomes more rigid.

상기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할 때 상기 목재 블록에서 내부가 노출되는 단부에는 단부 덮개(43)를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단부 덮개(43)에는 무늬 또는/및 색상을 부가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wooden blocks are arranged and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end cover 43 may be installed at an e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ooden block to enhance the appearance. A pattern or/and color may be added to the end cover 43 to enhance aesthetics.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목재 블록들(10, 20, 30)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된 목재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패널에서 목재 블록(10, 20, 30)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4의 (a) 및 (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는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목재 패널이 고정 결합된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2에서는 3개의 목재 블록들(10, 20, 30)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결합하여 목재 패널이 완성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다양한 개수의 목재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 결합하여 목재 패널을 완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bined wood panel by arranging the wood blocks 10, 20, 3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woo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en blocks 10, 20, 30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corner portions are combined Then it looks like this: Figure 4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fore assembly and Figure 4 (b) is an exter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ooden panel is fixedly coupled. FIG.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wooden panel is completed by fixing three wooden blocks 10, 20, 3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reality, various numbers of wooden block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fixed and combined to complete the wooden panel.

목재 블록(10, 20, 30)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인근 목재 블록들(20, 30)과 결합하는 구조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블록(20, 30) 간의 결합은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20)의 측면 판재(11)와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30)의 측면 판재(11)가 맞닿아 형성된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41)를 설치하여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20)과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30)을 고정 결합한다. 즉,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좌측면은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20)의 우측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우측면은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30)의 좌측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A structure in which the wooden blocks 10, 20, 30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mbined with neighboring wooden blocks 20, 30 is the wooden block 20, as shown in Figs. 4A and 4B. 30)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late 11 of the wood block 20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side plate 11 of the wood block 30 located on the right side abuts the formed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By installing, the wood block 20 located on the left and the wood block 30 located on the right are fixedly coupled.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wooden block 20 located on the left and fixedly coupled by an adhesive, and the right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a wooden block located on the right. It abuts on the left side of (30) and is firmly fixed and bonded by an adhesive.

상기 목재 블록(20, 30)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목재 블록(10)을 우측에 배치된 상기 목재 블록(20)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목재 블록(20)의 측면 판재(11)와 상기 목재 블록(10)의 우측면에 형성된 공간과 고정 결합되는 것이므로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10)에서 상기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우측에 형성된 공간만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블록(10)에서 우측에 형성된 공간의 두께와 동일한두께를 가진 중간연결판재(41)를 설치하여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10)과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20)을 고정 결합한다. 즉,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좌측면은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10)의 우측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중간 연결판재(41)의 우측면은 상기 목재 블록(20)의 측면 판재(11)의 외측면과 맞닿아 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In order to combine the wood blocks 20 and the wood blocks 10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ood blocks 20 and the wood blocks 20 arranged on the right side, the side plates 11 and the wood blocks of the wood block 20 Since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10), only the space formed on the right side by the horizontal plate 12 exists in the wood block 10 located on the left side, so in the wood block 10 located on the left side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pace formed on the right side is installed to fix the wood block 10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wood block 20 located on the right side.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fixedly coupled by an adhesiv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wooden block 10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 is the wooden block 20 It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1 and is firmly fixed and coupled by the adhesive.

상기와 같이 목재 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각 목재 블록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게 함으로써, 각 목재 블록 사이에 결합 틈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wooden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fixedly coupled between each of the wooden blocks us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removing a coupling gap between each wooden block.

상기 목재 블록(20)에서 상기 가로 판재(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그 공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마감 연결판재(42)를 고정 설치하여 노출되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The portion of the wood block 20 where the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plate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a finished connection plate 42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pace to be fixed and installed to enhance the exposed appearance. can do.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목재 블록과 목재 패널을 사용하여 목재 주택애 적용한 예를 도 5 내지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example of applying the wood block and wood panel as described above to a wood hou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 및 목재 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한 2층 목조 주택의 일실시예 외관도이고, 도 6는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일층 내부 외관도, 도8은 도 5에서 이층 내부 외관도, 도 9는 도 5에서 일층 내부 단면도를 볼 수 있게 도시한 도면이다.5 is an exterior view of an embodiment of a two-story wooden house constructed using wood blocks and wood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first-floor interior exterior view in FIG.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floor internal appearance in FIG. 5,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first floor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in FIG.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인 목조 주택은 기초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한 뒤 수평으로 기초 바닥면에 설치한 바닥용 목재 패널(110)과, 상기 바닥용 목재 패널(110)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한 뒤 수직으로 세워 벽체로 사용한 벽체용 목재 패널(120)과, 상기 벽체용 목재 패널(120)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한 뒤 수평으로 설치하여 1층 천정 겸 2층 바닥으로 사용한 천정 겸 바닥용 목재 패널(130)과, 상기 천정 겸 바닥용 목재 패널(130)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한 뒤 수직으로 세워 벽체로 사용한 벽체용 목재 패널(120)과, 상기 벽체용 목재 패널(120)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기 다수개의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한 뒤 수평으로 설치하여 목조 주책의 지붕으로 사용한 지붕용 목재 패널(14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9, the wooden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floor wooden panel 11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base floor after fixing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ase floor. , The wooden panel 120 for a wall used as a wall after fixing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in which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wooden panel 110 and then vertically mounted, the wall A wooden panel 130 for a ceiling and a floor used as a first floor and a second floor by fixing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panel 120 and then installing horizontally, and the ceiling and A wooden panel 120 for a wall used as a wall after fixing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in which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oden panel 130 for a floor, and then standing vertically, and the wooden for the wall The plurality of wooden block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panel 120 are fixedly coupled and then installed horizontally to be constructed of a wooden roof panel 140 used as a roof of a wooden main fence.

그 외 상기 벽체용 목재 패널(120)에는 필요 개소에 창문 및 문을 설치하며, 또한, 2층을 올라가는 계단의 경우 계단용 목재 패널(150)을 설치하고 기둥역할을 하는 목재 블록(10)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상기 계단용 목재 패널(150)이 상기 목재 블록(10)에 고정되게 한다. In addition, in the wooden panel for wall 120, windows and doors are installed in necessary places, and in the case of stairs going up the second floor, a wooden block for stairs 150 is installed and a wooden block 10 serving as a pillar is provided. It is arranged vertically so that the wooden panel 150 for stairs is fixed to the wooden block 10.

상기와 같이 창문 또는 문이 설치되는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강한 힘으로 받을 경우 찌그러들거나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창문 또는 문이 설치되는 상부에 위치한 목조 블록은 그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 내에 각재 파이프 또는 H 빔 등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desirabl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upper part where the window or door is installed because it will be crushed or twisted if it is subjected to strong force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reinforce the strength by installing a square pipe or an H beam in the formed air layer forming space.

상기 도 5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블록과 목재 패널은 다양한 크기의 목조 주택 시공은 물론이고 다양한 형상의 목조 주책을 완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9, the wooden block and the wood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wooden houses of various sizes as well as wooden notes of various shap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20, 30, 50, 60, 70: 목재 블록
11: 측면 판재 12: 가로 판재
13: 세로 판재 14: 단열재 수용공간
15: 단열재 16: 공기층 형성공간
17: 외부 마감판재 18: 내부 마감판재
19: 보강 판재
41: 중간 연결판재 41a: 목재 연결판재
41b: 단열재 42: 마감 연결판재
43: 단부 덮개
110: 바닥용 목재 패널 120: 벽체용 목재 패널
130: 천정 겸 바닥용 목재 패널 140: 지붕용 목재 패널
150: 계단용 목재 패널
10, 20, 30, 50, 60, 70: wooden blocks
11: side plate 12: horizontal plate
13: vertical plate 14: space for receiving insulation
15: insulation 16: air layer formation space
17: outer finish plate 18: inner finish plate
19: reinforcement plate
41: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41a: wooden connecting plate
41b: insulation 42: finished connecting plate
43: end cover
110: wooden panel for floor 120: wooden panel for wall
130: ceiling and floor wood panel 140: roof wood panel
150: wooden panels for stairs

Claims (9)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측면 판재의 내부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둔 높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판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공간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목재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판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세로 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측면 판재 및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세로 판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세로 판재를 사용하여 상기 측면 판재 및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3개의 공간 중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공기층 형성공간으로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록.
A pair of side plat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pair of horizontal plates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in grooves formed at a he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side plates, and the pair of side plates In the wooden block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space form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A vertical plate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side plates and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to partition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The vertical plate material divides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material and the horizontal plate material into three spaces using a pair of vertical plate material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hree spaces formed by the pair of vertical plates is used as an air layer formation space
Wood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 판재에서 상부에 위치한 가로 판재의 상면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로 판재의 하면에는 상기 측면 판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각각 보강 판재를 더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air of horizontal plates, a reinforcing plat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located at the top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located at the lower sid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plate.
Wood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된 3개의 공간 중 상기 공기층 형성공간의 양측 공간은 단열재 수용공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단열재는 난연성 단열 소재를 압축 성형한 직사각형 판재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Of the three spaces formed by the pair of vertical plates, the spaces on both sides of the air layer forming space are used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is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med by compression molding a flame retardant heat insulating material.
Wood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목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목재 블록 간의 결합은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의 하단부가 맞닿았을 때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과 상기 하부에 위치한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목재 패널의 최상층 목재 블록의 상부 또는 최하층 목재 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목재 블록에서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마감 연결판재를 고정 설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In a wooden panel which arranges and combines the wooden block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combination of the wooden blocks is achieved by install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of the wooden block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of the wooden block located at the lower part. The block and the wooden block located at the lower part are fixedly coupled,
Fixing and installing a finished connecting plate in a spac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wooden block by the horizontal plate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uppermost wooden block of the wooden panel
Woode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할 때 상기 목재 블록에서 내부가 노출되는 단부에는 단부 덮개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wooden blocks are arranged and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end cover is installed at the e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ooden block to finish
Wood panels,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창문 또는 문이 설치되는 상부에 위치한 목조 블록은 그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 형성공간 내에 강재 파이프 또는 H 빔 등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The method of claim 5,
A wooden block located at the top where a window or door is installed is to reinforce the strength by installing a steel pipe or H-beam, etc. in the air layer forming space formed therein.
Wood panels,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판재는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좌우측 부분을 강도 보강용으로 목재 연결판재(41a)를 설치하고 가운데 부분을 단열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열재(41b)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is divided into three spaces, and a wooden connecting plate 41a is installed for strength reinforcement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and an insulating material 41b is installed to reinforce the insulation in the middle part.
Wood panels, characterized by.
상기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목재 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목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목재 블록 간의 결합은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와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의 측면 판재가 맞닿아 형성된 공간 사이에 중간 연결판재를 설치하여 상기 좌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과 상기 우측에 위치한 목재 블록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목재 블록에서 상기 가로 판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그 공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마감 연결판재를 고정 설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In the wood panel of any one of the above claims 1, 2 and 4 arranged by placing the wood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bonding,
The coupling between the wood blocks is achieved by install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between the space formed by contacting the side plate of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side plate of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wood block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blocks are fixedly combined,
In the wooden block, the portion where the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fixedly installed with a finished connecting plat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pace
Wood panels, characterized by.
KR1020190078091A 2019-06-28 2019-06-28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KR102178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91A KR102178070B1 (en) 2019-06-28 2019-06-28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91A KR102178070B1 (en) 2019-06-28 2019-06-28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070B1 true KR102178070B1 (en) 2020-11-12

Family

ID=7339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91A KR102178070B1 (en) 2019-06-28 2019-06-28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0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14B1 (en) 2020-12-17 2021-08-30 주식회사 동림 Wood-module panel
KR102400979B1 (en) 2021-08-17 2022-06-23 주식회사 동림 Wood-module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51A (en) * 2007-07-24 2009-01-30 주현철 Lightweight uneven finishing block for constructiwooden structure
KR20120010865A (en) *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씨엠에프아시아 Wood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51A (en) * 2007-07-24 2009-01-30 주현철 Lightweight uneven finishing block for constructiwooden structure
KR20120010865A (en) *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씨엠에프아시아 Wood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14B1 (en) 2020-12-17 2021-08-30 주식회사 동림 Wood-module panel
KR102400979B1 (en) 2021-08-17 2022-06-23 주식회사 동림 Wood-module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3891A (en) Building structure with the means between spaced panels
US10011989B2 (en) Composite building panel
US2011023954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102178070B1 (en)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KR102154095B1 (en) Modular prefabricated house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4510726A (en)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EP1055036B1 (en) Modular building unit
US3603060A (en) Structural building system
JP2794110B2 (en) Prefab house
JPH07216980A (en) Method of assembling bamboo unit house
US3874134A (en) Modular building units
KR20020037002A (en) Assembly Korean-style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that Korean-style house structure of furniture building
KR20190001270U (en) Block wall for building and its assembly
KR20070080802A (en) Wall partition
RU101464U1 (en) TRIMMING BEAM (OPTIONS) AND FRAME BUILDING ASSEMBLY (OPTIONS)
RU2422603C1 (en) Block of slab retained form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KR100236544B1 (en) Executing method of the wooden house
EP2927385B1 (en) Construction panel of corrugated cardboard, assembly with this panel and method for assembling
KR100902670B1 (en) A construction pannel and instull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RU105640U1 (en) WOODEN COMBINED ELEMENT AND FENCING DESIGN OF WOODEN STRUCTURE ASSEMBLED FROM WOODEN COMBINED ELEMENTS
KR101925956B1 (en) Corner structure using block for constructing wall
JP2634744B2 (en) Unit building
KR102261802B1 (en) Prefabricated panel and prefabricated house building method using them
JPH05332036A (en) Multiple dwelling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