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55B1 - A functional toothbrush - Google Patents

A functional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55B1
KR102176455B1 KR1020200012976A KR20200012976A KR102176455B1 KR 102176455 B1 KR102176455 B1 KR 102176455B1 KR 1020200012976 A KR1020200012976 A KR 1020200012976A KR 20200012976 A KR20200012976 A KR 20200012976A KR 102176455 B1 KR102176455 B1 KR 10217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etachable
handle
unit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진
Original Assignee
김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진 filed Critical 김은진
Priority to KR102020001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toothbrush for protecting teeth and gums while allowing easy brushing of teeth provided in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a user′s tooth condition or brushing habit. The functional toothbrush comprises: a handle unit to be held by a hand of a user; an attachable/detachable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unit; a head unit formed to be attachable/detachable to/from the attachable/detachable unit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lurality of bristle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one side of the head unit to brush teeth.

Description

기능성 칫솔{A functional toothbrush}Functional toothbrush {A functional toothbrush}

본 발명은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치아 상태 또는 양치 습관에 관계없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까지 양치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치아와 잇몸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toothbrush, and in particular, to a functional toothbrush for protecting teeth and gums while allowing easy tooth brushing to teeth provided in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the user's tooth condition or brushing habit. .

칫솔은 구강 내부와 치아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위생도구로서, 사용자의 연령이나 치아 상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다.A toothbrush is a hygiene tool used to keep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teeth clean. Various types of toothbrushes ar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or tooth condition, and generally consists of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hand and a head part with a bristles. .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칫솔로 구강내 양치질하여 플러그(Plaque) 제거 및 잇몸병 예방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플러그 제거를 위해서는 구강내 깊숙한 곳의 치아까지 칫솔모를 도달시켜 골고루 양치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rder to maintain healthy teeth, it is necessary to brush your teeth in the mouth with a toothbrush to remove the plug and prevent gum disease, and for effective plug removal, it is important to reach the bristles evenly to the teeth deep in the oral cavity and brush your teeth evenly.

또한,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양치질을 할 때, 적절한 잇몸 마사지를 행하여 주거나 치아나 잇몸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감소시켜 잇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gum diseas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amage to the gums by performing an appropriate gum massage or reducing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teeth or gums when brushing teeth.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6315호(2013.04.03 등록)는 칫솔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일측으로는 사용시 치아에 접촉되는 솔부가 마련되고, 타측으로는 사용시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마련된 본체와, 접촉 평면과 함께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접촉 평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를 갖는 복수의 흡착부가 상기 손잡이부 배면에 형성된 흡착부 수용홈에 설치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천공된 핀 수용공; 상기 핀 수용공과 상기 흡착부 수용홈에 형성된 결합공에 힌지핀이 결합되어 상기 흡착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흡착부 수용홈은 흡착부의 지지부재가 수용되는 홈과 흡착부재가 수용되는 흡착부재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부재 수용홈에는 흡착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흡착부재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함으로써 흡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6315 (registered on April 3, 2013) describes toothbrush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one side is provided with a brush part that contacts the teeth during use, and the other side forms a body with a handle part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when using, and a space sealed together with the contact plane, and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A toothbrush hav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attached to a contact plane by a vehicle, comprising: a support membe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adsorption member; A pin receiving hole perforated at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A hinge pin is coupled to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pin receiving hole and the adsorption part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adsorption member is rotatable, and the adsorption part receiving groove is a groove in which a support member of the adsorption unit is accommodated and a suction member is accommodated It consists of a member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ption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adsorption member receiving groove to protect the shape of the adsorption member from being deformed to maintain the adsorption force.

한국등록특허 제10-1857103호(2018.05.04 등록)는 치은열구 칫솔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손잡이 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좌측헤드부와 우측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헤드부는 좌측 저부와, 상기 좌측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식모된 좌측 칫솔모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헤드부는 우측 저부와, 상기 우측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식모된 좌측 칫솔모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의 단면 중 상기 칫솔모 부분의 적어도 상부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헤드부와 우측헤드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헤드부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단부로 갈수록 칫솔모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도록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우측헤드부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로 갈수록 칫솔모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도록 칫솔모가 식모되며, 상기 좌측헤드부와 상기 우측헤드부는 상기 칫솔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일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측헤드부와 상기 우측헤드부와 맞닿는 우측헤드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헤드부는 상기 좌측헤드부와 맞닿는 좌측헤드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헤드부와 상기 우측헤드부는 상기 좌측헤드접촉부와 상기 우측 헤드접촉부가 서로 맞닿은 위치 또는 서로 이격된 위치의 두 위치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헤드부 또는 우측헤드부 중 하나가 상기 우측헤드접촉부 또는 상기 좌측헤드접촉부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우측헤드 또는 상기 좌측헤드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멈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의 헤드부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를 포함하고, 타측의 헤드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측헤드 접촉부와 상기 우측헤드접촉부가 서로 맞닿도록 회전된 때에 상기 요홈부와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여 상기 좌측헤드부와 상기 우측헤드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7103 (registered on May 4, 2018)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gingival toothbrush, an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n a toothbrush comprising a hea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in which a bristles are planted, the head portion Including a right head portion, the left head portion includes a left bottom portion and a left bristle that is planted to extend upward from the left bottom portion, and the right head portion is a right bottom portion and a left bristle that is plant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ight bottom portion Each includes, at least an upper portion of the bristle por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head portion in which the bristles are planted is configured to form a triangle, the left head portion and the right head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left end from the right end of the left head portion The bristles are plant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ristles becomes shorter as it goes to, and the bristles are plant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ristle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eft end of the right head to the right end, and the left and right heads are the length of the toothbrus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e mutually rotatable about one axis parallel to the direction, and includes a right hea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ft head portion and the right head portion, and the right head portion a left hea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ft head portion And the left head part and the right head part are configured so that the left head contact part and the right head contact part can be fixed at two posi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eft head part or the right head part One of the right head contact portion or the left head contact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top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right head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head to be support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one side has one or more grooves Includes a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d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and when the left head contact portion and the right head contact portion are rotated to contact each other, the concave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coupled to fix the left head and the right hea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le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칫솔은, 헤드가 손잡이로부터 거의 일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어금니)에는 제대로 닿지 않아 칫솔질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칫솔모가 마모되는 경우 칫솔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since the head extends from the handle in an almost straight shape, it is difficult to brush the teeth (molar teeth) provided in the oral cavity properly, and when the bristles are worn, the entire toothbrush is replac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cost was incurred because it had to be replaced with on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은열구 칫솔은, 칫솔모가 삼각형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치아 뿐만 아니라 칫솔이 잘 닿지 않는 치간 또는 치은열구까지 청소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어금니)에는 제대로 닿지 않아 구강 안쪽 치아를 칫솔질 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약한 힘을 주어 치아를 닦는 사용자의 경우 플러그 제거가 제대로 되지 않고, 강한 힘을 주어 치아를 닦는 사용자의 경우 치아가 마모되거나 잇몸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gingival fissure toothbrush, the bristles are formed at an angle in a triangular shape to clean not only teeth but also the interdental or gingival fissures that the toothbrush does not easily reach, but still teeth (molar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It is difficult to brush the teeth inside the oral cavity because it is not properly contacted.In the case of users who brush their teeth with weak force, the plug cannot be removed properly, and in the case of users who brush their teeth with strong force, the teeth are worn or the gums are damage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6315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6315 한국등록특허 제10-185710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71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 형성된 헤드부를 통해 사용자의 치아 상태 또는 양치 습관에 관계없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까지 칫솔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플러그를 제거하며,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 칫솔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rough a head portion bent at a preset angle, it is easy to brush the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the user's tooth condition or brushing habit. It provides a functional toothbrush to effectively remove the plug and protect the user's teeth and gums.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어, 치아를 닦기 위한 복수개의 칫솔모를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 detachab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A head part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and bent at a preset angle; And i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d portion, it provides a functional toothbrush including a plurality of bristles for brushing teeth.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는 제1 탈부착홈이 구비된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는 제1 헤드부재; 및 상기 제1 헤드부재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칫솔모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the extension member provided with a first detachable groove that is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ortion; A first head member extending forward or backward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And a plurality of first bristles insertion grooves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surfaces of the first head member to insert the bristl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탈부착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ubber packing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detachable groov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는 제2 탈부착홈이 구비된 제1 연장부재;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재;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연장부재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2 헤드부재; 및 상기 제2 헤드부재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칫솔모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a first extension member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groove that is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ortion; A second extension member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to the front or rear; A second head member bent and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xtension member at one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bristle insertion grooves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surfaces of the second head member to insert the bristl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biodegradable resi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칫솔모는, 모시, 면, 대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ristles are formed of any one or more of ramie, cotton, and bambo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잡는 형태에 따라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절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members to be bent according to the gripping shape when held by the user by h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곡부재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반구체; 및 상기 반구체를 삽입하여 회전하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member, a hemisphe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body for rotating by inserting the hemispher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측정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거리를 신호 처리하여 거리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거리측정부, 상기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a distance measurement uni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unit to measure a distance to a measurement object;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handle unit to generate a distance signal by signal processing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A display unit formed outside the handle unit to receive and display a distanc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n a scree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distance measur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GPS 위성을 통해 GPS신호를 수신받아 현재 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GPS부; 및 상기 GPS부에서 출력한 현재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a GPS unit formed inside the handle unit for receiving a GPS signal through a GPS satellite and outpu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unit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PS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치간칫솔용 헤드부; 및 상기 치간칫솔용 헤드부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치아 사이를 청소하기 위한 치간칫솔모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portion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 detachab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A head portion for an interdental toothbrush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ortion and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t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provides a functional toothbrush including an interdental bristle for cleaning between teeth.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간칫솔용 헤드부는,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는 탈부착홈이 구비된 치간칫솔용 연장부재; 상기 치간칫솔용 연장부재의 상단에서 양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치간칫솔용 헤드부재; 및 상기 치간칫솔용 헤드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치간칫솔모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 extension member for an interdental toothbrush provided with a detachable groove that is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ortion; A head member for an interdental toothbrush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to both sides and being obliquely form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And two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respectively,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interdental bristle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간칫솔모부는, 상기 2개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 형성되어, 치간 사이를 청소하기 위한 치간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dental bristle part, the main body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any one of the two fixing grooves; It is formed fixed o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dental bristles for cleaning the interdental.

본 발명에 의하면, 최적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헤드부를 통해 사용자의 치아 상태 또는 양치 습관에 관계없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까지 칫솔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치아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플러그의 제거가 구석구석까지 쉽게 되며,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을 보호하고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brush the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the user's teeth condition or brushing habit through the head portion bent at an optimal angle,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teeth is increased. Removal is easy to every nook and cranny, and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user's teeth and gums and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모가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헤드부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손실 및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istles are worn and need to be replaced, only the head portion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thereby reducing economic loss and material waste.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각도를 가지는 헤드부로 교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바꾸어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replaced with a head having a different ang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chang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user's teeth.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수지, 모시, 면, 대나무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ormed of eco-friendly biodegradable resin, ramie, cotton, and bamboo,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는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art of FIG. 1 as a first exampl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art of FIG. 1 as a second exampl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ead portion of FIG. 1 as a third exampl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ortion in FIG. 1 as a fourth exampl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andle part of FIG. 1 as another example.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handle of FIG. 1.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s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contex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to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성 칫솔(10)은, 손잡이부(100), 탈부착부(200), 헤드부(300), 칫솔모(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includes a handle part 100, a detachable part 200, a head part 300, and a bristle 400.

손잡이부(100)는, 일측에 탈부착부(200)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part 100 forms a detachable part 200 on one side, and allows the user to hold it by hand.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00)는, 친환경적이면서 자연적인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된 것으로, 폐기 시 땅속에 매립하여 생분해성 분해 기능에 의해 수개월 내지 수년 이내에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바이오매스 등으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part 100 is formed of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resin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pable of natural biodegradation, and is buried in the ground when discarded, and water, carbon dioxide, methane gas, within months to years by the biodegradable decomposition function, It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y being decomposed into biomass.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00)는, 직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굴곡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andle part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or a curved shape to improve a grip feeling.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00)는, 다른 일 측에 고리, 홀 등을 형성하여, 칫솔걸이 등과 같은 돌출된 부분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part 100 may form a ring, a hole, or the like on the other side, and hang it on a protruding portion such as a toothbrush hanger,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00)는,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andle part 10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its surface, so that the user's hand may prevent slipping.

탈부착부(200)는,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헤드부(300)가 탈부착 되도록 한다.The detachable part 2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100 so that the head part 300 is detachable.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200)는,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300)에 형성된 탈부착홈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part 20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andle part 100 and be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formed in the head part 300 to be fixed so as not to fall out. Of course, it can be made by various means such as.

헤드부(300)는, 탈부착부(200)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5도 내지 60도)로 절곡 형성된다.The head part 300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art 200 a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eg, 15 degrees to 60 degrees).

일 실시 예에서, 헤드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칫솔과 같이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용으로 크기가 작고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part 30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like a general toothbrush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to be small and round in size for an implant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칫솔모(400)는, 헤드부(300)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치아를 닦아준다.The bristle 40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head part 300 and cleans the user's teeth.

일 실시 예에서, 칫솔모(400)는, 일단이 헤드부(300)에 삽입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닿아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ristles 400 have one end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ead part 300 and the other end touches the user's oral cavity so that teeth can be brushed.

일 실시 예에서, 칫솔모(400)는, 모시, 면, 대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istles 400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of ramie, cotton, and bambo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잠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140.

잠금부(140)는,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탈부착부(200)에 의해 결합된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준다.The locking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300, respectively, and locks or unlocks between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300 coupled by the detachable portion 200 Let it go.

일 실시 예에서, 잠금부(140)는, 잠금부재(141), 잠금홈(142), 누름홈(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part 140 may be formed of a locking member 141, a locking groove 142, and a pressing groove 143.

잠금부재(141)는,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에 구비된 잠금홈(142)에 삽입 고정되어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시키거나,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에 구비된 잠금홈(142)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141 is formed extending at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locking groove 142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300 as shown in FIG. Lock between the head part 300, or, as shown in FIG. 3, to lock between the handle part 100 and the head part 300 by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42 provided in the head part 300 Can be released.

일 실시 예에서, 잠금부재(141)는, 헤드부(300)의 다른 일측단에 연장 형성되어,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홈(142)에 삽입 고정되어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시키거나, 반대로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홈(142)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141 is formed extending at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3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cking groove 142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the handle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lock between the and the head part 300, or, conversely,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42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part 100 to unlock the gap between the handle part 100 and the head part 300.

일 실시 예에서, 잠금부재(141)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단의 형상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141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shape of one end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잠금홈(142)은, 잠금부재(141)가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경우, 헤드부(3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부재(141)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The locking groove 14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portion 300 when the locking member 141 extends to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and is fixed by inserting the locking member 141.

일 실시 예에서, 잠금홈(142)은, 잠금부재(141)가 헤드부(300)의 다른 일측단에 연장 형성된 경우,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부재(141)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1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00 when the locking member 141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300 to insert and fix the locking member 141 I can make it.

누름홈(14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홈(142)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잠금부재(141)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The pressing groove 143, as shown in FIG. 3, is formed to be concave inside the locking groove 142, and forms a space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141 can be inserted when the user presses it.

일 실시 예에서, 누름홈(143)은, 사용자가 잠금부재(141)를 누름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부재(141)의 일부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잠금부재(141)의 일단이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잠금부재(141)가 잠금홈(142)으로부터 분리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member 141, the pressing groove 143 allows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141 to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141 is As the locking member 141 is l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the locking member 141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42 to release the locked state.

즉,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의 결합시 자연스럽게 잠금부재(141)가 잠금홈(142)에 삽입되면서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를 잠금시켜주며, 반대로 사용자가 누름홈(143) 쪽의 잠금부재(141)를 누르면 잠금부재(141)가 쉽게 들어 올려지게 되어 잠금 해제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칫솔질시 손잡이부(100)와 헤드부(300) 사이가 돌아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어 사용상 용이한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300 are coupled, the locking member 141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42 to lock between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300, and conversely, the user When the locking member 141 on the side of the pressing groove 143 is pressed, the locking member 141 is easily lifted and unlocked, so that when the user brushes the handle part 100 and the head part 300 It does not move and can be locked and unlocked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so it is easy to us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잠금부(140)는, 잠금부재(141)가 손잡이부(100)에 형성되고 잠금홈(142)과 누름홈(143)이 헤드부(30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잠금부재(141)가 헤드부(300)에 형성되고 잠금홈(142)과 누름홈(143)이 손잡이부(10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locking portion 14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having the locking member 141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locking groove 142 and the pressing groove 143 formed in the head portion 300, and However, in some cases, the locking member 141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300 and the locking groove 142 and the pressing groove 143 may b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00.

이처럼, 잠금부재(141)가 헤드부(300)에 형성되고 잠금홈(142)과 누름홈(143)이 손잡이부(100)에 형성될 경우, 잠금부재(141)가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되더라도 손잡이부(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헤드부(300)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cking member 141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300 and the locking groove 142 and the pressing groove 143 ar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00, the locking member 141 is damaged or broken by an external force. Even if this occurs, since only the head part 300,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the handle part 100,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one, the replacement cost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최적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헤드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치아 상태 또는 양치 습관에 관계없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까지 칫솔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칫솔모(400)와 치아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플러그의 제거가 구석구석까지 쉽게 되며,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을 보호하고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head portion 300 bent at an optimal angle, regardless of the user's tooth condition or brushing habits, it is possible to easily brush the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ristles 400 and the teeth is increased so that the removal of the plug is easy to every nook and cranny, and the user's teeth and gums can be protected and periodontal disease can be prevented.

또한, 칫솔모(400)가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헤드부(200)만 탈부착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 및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istles 400 are worn and need to be replaced, only the head part 200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art 200 and replaced with a new one, so economic loss and material waste can be reduced.

또한, 기 장착된 헤드부(300)와 다른 각도를 가지는 헤드부(300)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바꾸어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replaced with the head unit 300 having a different angle from the previously mounted head unit 300,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us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user's teeth.

또한, 기능성 칫솔(10)은,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수지, 모시, 면, 대나무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is formed of eco-friendly biodegradable resin, ramie, cotton, and bamboo,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도 5는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ortion of FIG. 1 as a first example,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ortion of FIG. 1 as a second example.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부(300)는, 연장부재(310), 제1 헤드부재(320), 제1 칫솔모 삽입홈(330)을 포함한다.5 to 6, the head part 300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310, a first head member 320, and a first bristle insertion groove 330.

연장부재(310)는, 탈부착부(200)에 탈부착 되는 제1 탈부착홈(311)이 구비되어, 탈부착부(200)로부터 탈부착 된다.The extension member 310 is provided with a first detachable groove 311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200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200.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재(31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부(100)와 제1 헤드부재(320) 사이를 연결해준다.In one embodiment, the extension member 31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connects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first head member 320.

제1 헤드부재(320)는, 연장부재(310)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된다.The first head member 320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310 forward or backwar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여기서, 전방은 칫솔모(400)가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칫솔모(40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fro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400 are formed, and the rear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400 are not formed.

일 실시 예에서, 제1 헤드부재(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1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에 접촉되는 면적을 높이고, 칫솔질시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여주어 힘이 약한 사람들도 용이하게 플러그를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head member 320 is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310, as shown in FIG. 5, to the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increa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when brushing, even people with weak power can easily remove the plug.

일 실시 예에서, 제1 헤드부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10)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에 접촉되는 면적을 높이고, 칫솔질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어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head member 320, as shown in FIG. 6,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310 to the rear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so that the teeth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when brushing, it minimizes tooth abrasion and damage to periodontal tissue due to brushing, and makes it easier for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to use.

제1 칫솔모 삽입홈(330)은, 제1 헤드부재(320)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에 칫솔모(400)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킨다.The first bristle insertion groove 330 is formed in a plurality on the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head member 320, and one end of the bristles 400 is inserted and fixed to each.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헤드부(300)는, 고무패킹(340)을 더 포함한다.The head portion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rubber packing 340.

고무패킹(340)은, 제1 탈부착홈(311)의 내부에 형성되어, 탈부착부(200)와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제1 탈부착홈(311)과 탈부착부(200)의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e rubber packing 340 is formed inside the first detachable groove 311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detachable part 20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etachable groove 311 and the detachable part 200 is not separated. .

일 실시 예에서, 고무패킹(340)은, 제1 탈부착홈(311)의 내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탈부착홈(311)의 입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ubber packing 340 may be form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first detachable groove 311 and may be formed only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detachable groove 311.

도 7는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있는 헤드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ortion of FIG. 1 as a third example, and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ad portion of FIG. 1 as a fourth example.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헤드부(300)는, 제1 연장부재(350), 제2 연장부재(360), 제2 헤드부재(370), 제2 칫솔모 삽입홈(380)을 포함한다.7 to 8, the head part 300 includes a first extension member 350, a second extension member 360, a second head member 370, and a second bristle insertion groove 380. do.

제1 연장부재(350)는, 탈부착부(200)에 탈부착 되는 제2 탈부착홈(351)이 구비되어, 탈부착부(200)로부터 탈부착 된다.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is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groove 351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200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200.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재(35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부(100)와 제2 연장부재(360) 사이를 연결해준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connects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second extension member 360.

일 실시 예에서, 제2 탈부착홈(310)는, 내부에 고무패킹(390)이 구비되어, 탈부착부(20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etachable groove 310 is provided with a rubber packing 390 therein, so that adhesion with the detachable part 200 may be increased.

제2 연장부재(360)는, 제1 연장부재(350)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된다.The second extension member 360 is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forward or backward.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재(3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35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extension member 360 may be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forward, as shown in FIG. 7.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재(3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350)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extension member 360 may be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to the rear, as shown in FIG. 8.

제2 헤드부재(370)는, 제2 연장부재(360)의 일측에서 제1 연장부재(350)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된다.The second head member 370 is bent and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xtension member 350 at one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360.

제2 칫솔모 삽입홈(380)은, 제2 헤드부재(370)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칫솔모(400)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킨다.The second bristle insertion groove 380 is formed in a plurality on the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second head member 370 to insert and fix one end of the bristle 4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니는 헤드부(300)는, 길이가 보다 연장되어 구강 안쪽까지 삽입이 더욱 용이하고, 최종적으로 제2 헤드부재(370)가 손잡이부(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칫솔질시 방향 및 각도를 전환하기가 쉬워져 편리하게 치아를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ad portion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longer length so that it is easier to insert into the oral cavity, and finally, the second head member 370 is formed parallel to the handle portion 100 when brushing. It is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and angle, so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brush your teeth conveniently.

도 9는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andle part of FIG. 1 as another example.

도 9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복수개의 절곡부재(1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handle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members 110.

절곡부재(110)는, 손잡이부(100)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잡는 형태에 따라 절곡되도록 한다.The bending member 11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handle portion 100 so that when the user holds it by hand, it is bent according to the gripping shape.

일 실시 예에서, 절곡부재(110)는, 반구체(111), 회전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member 110 may be formed of a hemisphere 111 and a rotating body 112.

반구체(11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체(112)에 삽입되어 회전체(1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hemisphere 111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body 112 so that the rotating body 112 can rotate.

회전체(112)는, 반구체(111)를 꽉 쪼이게 삽입하며, 반구체(111)의 반구 형태를 따라 회전한다.The rotator 112 inserts the hemisphere 111 tightly and rotates along the hemisphere shape of the hemisphere 111.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니는 절곡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되어, 각 손가락 사이별로 절곡되도록 할 수 있으며, 4개 이상의 복수개로도 가능하다.The bending member 1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in four, and can be bent between each finger, and a plurality of four or more are possible.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형태에 따라 회전체(112)가 회전하면서 손잡이부(100)가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어, 사용자의 손 크기 또는 잡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그립감을 대폭 향상시키고,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칫솔질시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handle part 100 is bent at various angles as the rotating body 112 rot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and, so that i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ser's hand or the way of holding it, greatly improving the grip feeling. And it can be accurately gripped, so that the hand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when brushing.

도 10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handle of FIG. 1.

도 10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삽입부(120), 이름표(12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handle part 100 includes an insertion part 120 and a name tag 121.

삽입부(120)는,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름표(121)를 삽입한다.The insertion part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100 to insert the name tag 121.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120)는, 양치질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재질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폴리에틸렌(PE), 테플론(telflon) 등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코팅제로 코팅하여 아이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part 120 may be coated with a waterproof material so that water does not enter during brushing. At this time, it is coated with an eco-friendly coating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polyethylene (PE) or teflon, so that children can use it safely.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120)는, 이름표(121)를 삽입한 이후에 입구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입구를 막아 이름표(121)가 빠지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inserting the name tag 121, the insertion unit 120 may close the entrance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so that the name tag 121 does not fall out.

이름표(121)는, 사용자의 이름이나 식별할 수 있는 문구를 표기하며, 삽입부(12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name tag 121 indicates a user's name or an identifiable phrase,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0.

일 실시 예에서, 이름표(121)는, 강하고 질긴 종이 재질(예를 들어, 마닐라지, 판지 등)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me tag 121 may be formed of a strong and tough paper material (eg, manila paper, cardboard, etc.).

일 실시 예에서, 이름표(121)는, 코팅제 위에 유성펜으로 이름 또는 문구를 표기하면 지워질 수 있기 때문에 표기한 후에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코팅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me tag 121 may be erased by marking the name or phrase on the coating agent with an oil pen, and thus may be coated with a polyethylene (PE) film after mark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기능성 칫솔(10)은, 손잡이부(100), 탈부착부(200), 헤드부(300), 칫솔모(400), 거리측정부(500), 제어부(600), 디스플레이부(700), 전원공급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부(100), 탈부착부(200), 헤드부(300), 칫솔모(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includes a handle part 100, a detachable part 200, a head part 300, a brush head 400, a distance measuring part 500, a control part 600, a display part (700), and a power supply unit (800). Here, since the handle part 100, the detachable part 200, the head part 300, and the bristles 4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거리측정부(500)는, 손잡이부(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측정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측정 대상체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의 하단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하고 싶은 모든 물체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면대, 컵 등일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ing unit 5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unit 100, measures a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ler 600. Here, the object to be measured may be any object for which the user wants to measure a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unit 100, and may be, for example, a sink or a cup.

일 실시 예에서, 거리측정부(500)는, 레이저 거리측정기로서, 광 송수신기 및 광 검출기가 구비되어, 측정 대상체로 레이저 광을 송출한 후에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를 감지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measuring unit 500 is a laser range finder, which is provided with an optical transceiver and an optical detector, and after transmitting the laser light to the measurement object, detects a laser reflected from the measurement object and returns to measure the distance. I can.

제어부(600)는,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거리측정부(500)에서 측정한 거리를 신호 처리하여 거리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거리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0)로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600 is formed inside the handle unit 100, processes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500 to generate a distance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stance signal to the display unit 700 do.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전원공급부(800)로부터 배터리 부족 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배터리 부족 여부를 디스플레이부(700)에 전달해 표시해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0 may check whether the battery is low from the power supply unit 800, and transmit and display the determined low battery status to the display unit 700.

디스플레이부(700)는, 손잡이부(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어부(600)에서 생성시킨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00 is formed outside the handle unit 100 to receive the distanc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600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700)는, 손잡이부(100)의 하부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600)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부족 여부, 거리신호를 표시해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7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handle unit 100 and may display whether a battery is low or a dista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0.

전원공급부(800)는, 거리측정부(500), 제어부(600), 디스플레이부(7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800 supplies necessary power to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500, the control unit 600, and the display unit 700.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800)는, 충전식 배터리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키며, 해당 충전된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800, as a rechargeable battery,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and charges it, and converts the charged power into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and supplies i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측정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호기심을 유발하고 어린이들이 양치질에 재미를 붙일 수 있도록 하여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thereby causing curiosity from the user and allowing children to have fun with brushing their teeth, thereby preventing tooth decay. hav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GPS부(510), 통신모듈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GPS unit 510 and a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GPS부(510)는,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GPS 위성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받아 현재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The GPS unit 510 is formed inside the handle unit 100 and receives a GPS signal through a GPS satellite and outpu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GPS부(510)는, 출력한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PS unit 510 may transmit the outpu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00.

이때, 제어부(600)는,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시 GPS부(51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부(520)로 전달하여, GPS부(510)에서 출력한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부(52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unit 51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upon request of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PS unit 51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통신모듈부(520)는, GPS부(510)에서 출력한 현재 위치 정보를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며, FDMA, TDMA, CDMA 등 다양한 접속방식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PS unit 5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antenna.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various access methods such as FDMA, TDMA, and CDMA are possible, but preferably,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have.

일 실시 예에서, 통신모듈부(520)는, 제어부(600)로부터 무선통신신호로 가공된 현재 위치 정보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may transmit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ignal processed into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로 요청시 제어부(600)가 통신모듈부(520)를 통해 GPS부(510)에서 출력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기능성 칫솔(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행을 가거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능성 칫솔(10)을 사용하는 경우 분실에 대한 방지 효과는 물론, 해당 기능성 칫솔(10)의 분실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eques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PS unit 5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functional toothbrush. Sinc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10) can be checked in real time, in case the user uses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while traveling or carrying, as well as preventing loss, it is easy to lose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Can be found.

또한, 학생들이 기능성 칫솔(10)을 휴대하여 수학여행을 가거나 외출하는 등 집을 비우는 경우에 부모들이 학생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parents can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tudent in real time when students are away from home, such as going on a school trip or going out with a functional toothbrush 1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알림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30.

알림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시,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약 3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The notification unit 130 counts the time during a user's manipulation and informs the user when a preset time (about 3 minutes) has elapsed.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30)는, 스위치, 타이머, 스피커,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notif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switch, a timer, a speaker, and a memory.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타이머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800)를 제어한다.The switch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80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by a time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타이머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공급부(8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간을 카운팅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600)로 정보를 전달한다.The timer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800 by operation of a switch, counts time,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0 when the time stored in the memory elapses.

이때, 제어부(600)는, 타이머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피커구동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스피커구동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6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imer and generates a speaker driving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peaker driving signal to the speaker.

스피커는, 제어부(600)로부터 스피커구동신호를 전달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The speaker receives a speaker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ler 600 and outputs a melody stored in the memory to notify the user.

메모리는, 바람직한 양치질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청각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멜로디를 저장한다.The memory stores a desired brushing time in advance, and stores a melody for outputting as an auditory signal so as to inform the user.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기능성 칫솔(10)은, 손잡이부(900), 탈부착부(1000),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치간칫솔모부(1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functional toothbrush 10 includes a handle part 900, a detachable part 1000, an interdental toothbrush head 1100, and an interdental brush head 1200.

손잡이부(9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handle part 900 is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is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탈부착부(1000)는, 손잡이부(9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를 탈부착 시키는 것으로,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detachable part 10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900 to attach and detach the head part 1100 for an interdental toothbrush, and it is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는, 탈부착부(1000)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5도 내지 60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is form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portion 1000, and is formed obliquely at a preset angle (eg, 15 degrees to 60 degrees).

즉,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각도의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부(1000)에 탈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user may use the head unit 1100 for an interdental toothbrush having an angle that suits him/herself by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it to the detachable unit 1000.

치간칫솔모부(1200)는,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치아 사이를 청소한다.The interdental bristle head portion 1200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to clean between teeth.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최적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를 통해 구강 안쪽에 구비되는 치아 사이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치간칫솔모부(1200)가 마모되는 경우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cleaned between the teeth provid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bent at an optimum angle, and the interdental bristle head portion 1200 If the is worn, only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1100 can be replaced and us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사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기 위한 잠금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부(1300)는, 잠금부재, 잠금홈, 누름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1300 for locking or unlocking between the handle unit 900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unit 1100, and the locking unit Reference numeral 1300 may be formed of a locking member, a locking groove, and a pressing groove.

잠금부재는, 손잡이부(9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에 구비되는 잠금홈에 삽입 고정되어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사이를 잠금시키거나, 반대로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에 구비되는 잠금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사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at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90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to lock between the handle portion 900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Or, conversely,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to unlock the handle portion 900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일 실시 예에서, 잠금부재는,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의 다른 일측단에 연장 형성되어, 손잡이부(900)에 구비되는 잠금홈에 삽입 고정되어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사이를 잠금시키거나, 반대로 손잡이부(900)에 구비되는 잠금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 사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100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inserted and fixed in the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900, the handle portion 900 and the head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It is possible to lock between the portions 1100 or, conversely,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900 to unlock the portion between the handle portion 900 and the head portion 1100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잠금홈은, 잠금부재가 손잡이부(9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경우,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900)에 구비된 잠금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Th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1100 when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at one end of the handle part 900, and inserts and fixes the 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handle part 900 .

잠금홈은, 잠금부재가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의 다른 일측단에 연장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부(9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에 구비된 잠금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Th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900 when the locking member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portion 1100, and is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1100 for the interdental toothbrush. Insert and fix.

누름홈은, 잠금홈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잠금부재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The pressing groove is formed to be concave inside the locking groove and forms a space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can be inserted when the user presses it.

즉, 사용자가 잠금부재를 누름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부재의 일부가 누름홈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잠금부재의 일단이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잠금부재가 잠금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member,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is brough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ressing groove, so th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l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nd the lock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unlocked.

여기서, 잠금부(13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잠금부(140)의 구성인 잠금부재, 잠금홈, 누름홈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locking unit 1300 is the same as a locking member, a locking groove, and a pressing groove, which are configurations of the locking unit 140 described in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치간칫솔용 헤드부(1100)는, 치간칫솔용 연장부재(1110),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 고정홈(1131, 1132)을 포함하며, 치간칫솔모부(1200)는, 본체(1210), 치간칫솔모(1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1100 includes an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1110, an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and fixing grooves 1131 and 1132, and the interdental bristle head 1200 ) Includes a main body 1210 and an interdental bristle 1220.

치간칫솔용 연장부재(1110)는, 탈부착부(1000)에 탈부착 되는 탈부착홈(1111)이 구비되어, 탈부착부(1000)로부터 탈부착 된다.The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111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groove 1111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1000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1000.

일 실시 예에서, 치간칫솔용 연장부재(111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부(900)와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 사이를 연결해준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111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connects the handle portion 900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홈(1111)은, 내부에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탈부착부(1000)와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탈부착부(10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groove 1111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packing therei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detachable part 1000 to prevent the detachable part 1000 from being separated.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는, 치간칫솔용 연장부재(1110)의 상단에서 양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1110 to both sides, and is formed obliquely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일 실시 예에서,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은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외측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as shown in the figure, one side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outside, the other side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upward toward the outside. I can.

고정홈(1131, 1132)은,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치간칫솔모부(1200)를 삽입 고정한다.The fixing grooves 1131 and 1132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respectively, to insert and fix the interdental bristle part 1200.

본체(1210)는, 2개의 고정홈(1131, 11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며, 일측에 치간칫솔모(1220)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210 is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any one of the two fixing grooves 1131 and 1132, and an interdental bristle 1220 is provided on one side.

치간칫솔모(1220)는, 일단이 본체(121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다른 일단이 사용자의 치간 사이를 청소한다.The interdental bristle 1220 has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0, and the other end cleans the user's interdental space.

일 실시 예에서, 치간칫솔모(1220)는, 사용자의 치간에 삽입되어 왕복운동 또는 회전운동 하여 치간을 청소할 수 있도록 얇은 와이어에 브러쉬가 심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의 두께는 0.4 내지 1.5mm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dental bristle 1220 may be a brush implanted in a thin wire so that the interdental bristles 1220 may be inserted into the user's interdental and reciprocated or rotated to clean the interdental. Here, the thickness of the wire may be 0.4 to 1.5mm.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기능성 칫솔(10)은,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된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에 구비된 고정홈(1132)에 치간칫솔모부(1200)를 삽입하는 경우에 치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넣어 청소하기에 용이하고, 반대로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된 치간칫솔용 헤드부재(1120)에 구비된 고정홈(1131)에 치간칫솔모부(1120)를 삽입하는 경우에 구강 안쪽에 삽입한 상태에서 치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어 청소하기에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편한 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 안쪽에 깊숙이 박혀있는 이물질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unctional toothbrush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terdental when inserting the interdental bristle part 1200 into the fixing groove 1132 provided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extending obliquely in the upward direction. It is easy to clean by putting it inward from the outside, and when inserting the interdental bristle head 1120 into the fixing groove 1131 provided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20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Since it is easy to clean by putting it from the inside of the interdental to the outside in the inserted state, the user can select and use it in a convenient way,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deep inside the interdental.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this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 기능성 칫솔
100, 900 : 손잡이부
110 : 절곡부재
111 : 반구체
112 : 회전체
120 : 삽입부
121 : 이름표
130 : 알림부
140, 1300 : 잠금부
141 : 잠금부재
142 : 잠금홈
143 : 누름홈
200, 1000 : 탈부착부
300 : 헤드부
310 : 연장부재
311 : 제1 탈부착홈
320 : 제1 헤드부재
330 : 제1 칫솔모 삽입홈
340, 390 : 고무패킹
350 : 제1 연장부재
351 : 제2 탈부착홈
360 : 제2 연장부재
370 : 제2 헤드부재
380 : 제2 칫솔모 삽입홈
400 : 칫솔모
500 : 거리측정부
510 : GPS부
520 : 통신모듈부
600 : 제어부
700 : 디스플레이부
800 : 전원공급부
1100 : 치간칫솔용 헤드부
1110 : 치간칫솔용 연장부재
1111 : 탈부착홈
1120 : 치간칫솔용 헤드부재
1131, 1132 : 고정홈
1200 : 치간칫솔모부
1210 : 본체
1220 : 치간칫솔모
10: functional toothbrush
100, 900: handle
110: bending member
111: hemisphere
112: rotating body
120: insertion part
121: name tag
130: notification unit
140, 1300: locking part
141: locking member
142: locking groove
143: push groove
200, 1000: detachable part
300: head
310: extension member
311: first detachable groove
320: first head member
330: first brush head insertion groove
340, 390: rubber packing
350: first extension member
351: second detachable groove
360: second extension member
370: second head member
380: 2nd brush head insertion groove
400: brush head
500: distance measuring unit
510: GPS unit
520: communication module unit
600: control unit
700: display unit
800: power supply
1100: Interdental toothbrush head
1110: Interdental toothbrush extension member
1111: detachable groove
1120: Interdental toothbrush head member
1131, 1132: fixed groove
1200: Interdental brush head
1210: main body
1220: Interdental brush head

Claims (5)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어, 치아를 닦기 위한 복수개의 칫솔모;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측정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거리를 신호 처리하여 거리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거리측정부, 상기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는 제1 탈부착홈이 구비된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는 제1 헤드부재; 및
상기 제1 헤드부재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칫솔모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잡는 형태에 따라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절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재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반구체; 및
상기 반구체를 삽입하여 회전하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칫솔.
A handle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 detachab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A head part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art and bent at a preset angle;
A plurality of bristles formed on the front of one side of the head and for brushing teeth;
A distance measurement uni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unit to measure a distance to a measurement object;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handle unit to generate a distance signal by signal processing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A display unit formed outside the handle unit to receive and display a distanc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n a screen;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head part,
An extension member provided with a first detachable groove that is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art;
A first head member extending forward or backward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And
It is formed in a plurality on the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head memb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istles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bristles,
The handle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members to be bent according to the gripping shape when the user holds it by hand,
The bending member,
Hemisphere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Functional toothbrush comprising a rotating body for rotating by inserting the hemisphe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탈부착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d portion,
Functional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ubber packing formed inside the first detachabl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탈부착부에 탈부착 되는 제2 탈부착홈이 구비된 제1 연장부재;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재;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연장부재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2 헤드부재; 및
상기 제2 헤드부재의 일측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칫솔모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d portion,
A first extension member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groove that is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art;
A second extension member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of 15 degrees to 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forward or backward;
A second head member bent and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xtension member at one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nd
A functional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lurality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ead memb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istles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bristles.
삭제delete
KR1020200012976A 2020-02-04 2020-02-04 A functional toothbrush KR102176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76A KR102176455B1 (en) 2020-02-04 2020-02-04 A functional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76A KR102176455B1 (en) 2020-02-04 2020-02-04 A functional tooth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455B1 true KR102176455B1 (en) 2020-11-09

Family

ID=734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76A KR102176455B1 (en) 2020-02-04 2020-02-04 A functional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032B1 (en) 2021-04-05 2022-01-13 김미리 Head replacement type toothbrush according to infant's grow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73U (en) * 1994-01-18 1995-08-18 구봉회 Handle detachable toothbrush
KR200466315Y1 (en) 2010-12-09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Tooth brush
KR101857103B1 (en) 2016-09-06 2018-05-11 최정우 Toothbrush for gingival sulc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73U (en) * 1994-01-18 1995-08-18 구봉회 Handle detachable toothbrush
KR200466315Y1 (en) 2010-12-09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Tooth brush
KR101857103B1 (en) 2016-09-06 2018-05-11 최정우 Toothbrush for gingival sulc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032B1 (en) 2021-04-05 2022-01-13 김미리 Head replacement type toothbrush according to infant's growth
KR20220138331A (en) 2021-04-05 2022-10-12 김미리 Toothpaste All-in-one Toothbru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4004Y2 (en)
KR101849164B1 (en) Disposable toothbrush
US20160287363A1 (en) Instructional Toothbrush
EP1727444B1 (en) Toothbrush
EP3476249A1 (en) Oral care implement sterilization system
JP4075004B1 (en) Illuminated system toothbrush
KR101109003B1 (e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KR102176455B1 (en) A functional toothbrush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US8033287B2 (en) Disposable, biodegradable, portable dental implement
US9510667B2 (en) Disposable toothbrush
US9032975B2 (en) Dental device
JP3130665U (en) toothbrush
US20080282487A1 (en) Disposable oral hygiene applicator
KR20070000185U (en) Capsule type portable toothbrush
KR200438714Y1 (en) Interdental toothbrush for refill
KR200393328Y1 (en) Toothbrush including toothpaste
WO2017213388A1 (en) Toothbrush having replaceable head
CN215685496U (en) Toothbrush capable of deeply cleaning groove teeth and wisdom teeth
CN212088576U (en) Toothbrush handle and toothbrush
KR101667321B1 (en) Chewing toothbrush
CN218390179U (en) 3D children toothbrush
KR200412084Y1 (en) Interdental brush
CN112568590B (en) Dual-purpose tooth brushing device integrating convenient storage
CN210408648U (en) Automatic soft-bristle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