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344B1 -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 Google Patents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344B1
KR102175344B1 KR1020180132804A KR20180132804A KR102175344B1 KR 102175344 B1 KR102175344 B1 KR 102175344B1 KR 1020180132804 A KR1020180132804 A KR 1020180132804A KR 20180132804 A KR20180132804 A KR 20180132804A KR 102175344 B1 KR102175344 B1 KR 10217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board
learning
connection part
i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0151A (en
Inventor
안천수
양선제
Original Assignee
안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천수 filed Critical 안천수
Priority to KR102018013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44B1/en
Publication of KR2020005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 H05K7/1451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with connections between circuit boards 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가 입력되는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가능하게 제1연결부가 구비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가 구비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and a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IoT learning using the same, and a first surfac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so that at least one cable for inputt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wherein hardware related to the IoT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formed.

Description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본 발명은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면으로 인터페이스보드를 구비함으로써 사물인터넷을 학습하기 위해 사물인터넷의 동작정보를 입력하는 초심자와 숙련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and a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IoT learning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beginners and skilled persons in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to learn the IoT by having an interface board on both sides. It relates to 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by all.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nternet of Objects)으로 정의되며, 고유 식별이 가능한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M2M(Machine to Machine)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사물지능통신 및 만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으로도 확장되어 인식되고 있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defined as the Internet between things or the Internet of Objects, and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created by things that can be uniquely identified is shared through the Internet. This is a concept developed from the existing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2M (Machine to Machine), and has been extended and recognized as IoT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Everything (IoE).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The Internet of Things can share information by connecting things through network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remote meter reading, smart home, and smart car, as well as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특히 심장박동 모니터링 장치는 사물인터넷의 대표적인 예로써, 부정맥을 앓고 있는 환자의 신체에 장치를 부착하고 작동시키면 심전도 검사 결과가 자동으로 기록돼 중앙관제센터로 보내지며, 중앙관제센터는 검사 결과를 전문가에게 전송해 임상보고서를 작성하고 이 보고서를 통해 환자와 적합한 의료진과 연결된다. 이렇게 사물인터넷은 점점 더 다양한 분야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heart rate monitoring devic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ternet of Things. When the device is attached to the body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rrhythmia and operated, the ECG test result is automatically recorded and sent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It is sent to the patient to create a clinical report, and through this report, the patient and appropriate medical staff are connected. In this way, the use of IoT is expanding to more and more diverse fields.

또한,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는 사물인터넷이 다양한 분야에서 보편화되는 것에 맞춰 사물인터넷의 개발을 교육하기 위한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즉, 사물인터넷을 실제 사물에 적용하기 위해 사물인터넷의 동작정보를 담은 학습유닛을 사용자 스스로 코딩 및 개발하는 실습을 진행하고, 이를 직접 학습용 개발보드에 연결된 LED 또는 모터 등과 같은 장치에 시험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systems are being developed to educate the development of IoT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ization of IoT in various fields. In other words, in order to apply the IoT to real objects, the user himself conducts a practice of coding and developing a learning unit conta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ests it on devices such as LEDs or motor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board for learning.

아울러, 이러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는 사물인터넷 개발자가 자신이 입력한 사물인터넷의 동작정보가 담긴 학습유닛을 시험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development board for IoT learning can test a learning unit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IoT input by the IoT developer.

이 때 사물인터넷의 동작정보를 입력하는 개인은 사물인터넷에 대해 초심자일 수도 있고, 숙련자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교육에 활용되는 개발보드 장치는 초심자 및 숙련자 모두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사물인터넷을 교육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학습용 개발보드가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At this time, the individual who input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IoT may be a beginner or a skilled person. Therefore, the development board device that uses the Internet of Things for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over both beginners and skilled people. Therefore, a system for educating users on the Internet of Things or a development board for learning is being developed through various research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410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41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으로 인터페이스보드를 구비하여 초심자 및 숙련자에게 사물인터넷의 동작정보를 입력하는 데 용이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interface board on both sides so that it is easy to inpu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to beginners and skilled persons, and it has an object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는 상면 또는 하면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가 입력되는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가능하게 제1연결부가 구비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가 구비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unit so that at least one cable for inputt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wherein hardware related to the IoT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여기서, 상기 제1면에는 케이블을 연결할 시 (+)극 및 (-)극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1연결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s for guiding the (+) pole and the (-) pole when the cable is connected is provided.

또,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al shape.

아울러,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핀으로 상기 제2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on the second surface.

또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보드는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일렬로 연결되거나 좌우로 나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terface boards may be connected in a lin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face boards, or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be connect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는 일측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받는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인터페이스보드가 연결되도록 제1면 연결부 및 제2면 연결부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제2인터페이스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면 연결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의 테두리 부분에 일렬로 구비되며, 상기 제1면 연결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as both s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interface board integrally form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hardware related to the IoT for receiv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second interface board having at least one of a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so as to be possible, and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a row on an edge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and th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는 일측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받는 상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학습유닛에 입력시킨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시험하도록 하는 제1인터페이스보드;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면 연결부 및 제2면 연결부가 구비된 제2인터페이스보드;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에 마련된 유닛장착부에 학습유닛이 장착된 후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 및 실행하는 것을 제어하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oT learning development 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rdware related to the IoT for receiving the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integrat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 first interface board formed to test the IoT oper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learning unit; A second interface board having at least one first surfac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interface board; And a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for controlling input and execution of IoT operation information after the learning unit is mounted on a unit mount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while the first interface board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are connected. To do.

본 발명에 따른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as both s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IoT learning us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초심자와 숙련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에 양면으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보드에는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받아 사물인터넷으로 동작하는 사물이 연결된다. 즉, 양면으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보드는 하나의 면이 초심자용으로 구분되고, 다른 하나의 면이 숙련자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초심자용으로 구비된 면에서는 인터페이스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항상 올바르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극과 (-)극의 위치가 올바른 방향을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초심자는 장치를 올바르고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써, 회로의 단락 등 하드웨어를 손상시키지 않고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First, it can be used by both beginners and experienced user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interface board provided on both sides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device. The interface board receives IoT operation information and connects an object operating as an IoT. In other words, the interface board provided on both sides can be divided on one side for beginners and the other side for experienced users, and on the side provided for beginners, the cable connecting the interface board can always be properly connect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 and (-) poles guide the correct direction. Accordingly, a beginner who connects hardware can learn to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without damaging the hardware such as a short circuit by correctly and easily connecting the device.

둘째, 사용자가 선호하는 형태로 하드웨어를 장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면으로 인터페이스보드가 구비되어 한쪽 면은 숙련자용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에 숙련된 사용자는 하드웨어 회로를 조립 및 연결할 시 각각의 인터페이스보드 및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를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로 조립 및 연결하여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 및 이를 테스트할 수 있다.Second, you can decorate your hardware in the form you pref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board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one side is provided for the skilled person. Accordingly, when assembling and connecting hardware circuits, users skilled in hardware assembly and connection can assemble and connect each interface board and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in their preferred form to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and test them. hav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의 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인터페이스보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 제2인터페이스보드 및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가 연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의 제1면이 제2인터페이스보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의 제2면이 제2인터페이스보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의 제2면이 제2인터페이스보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oth sides of a first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development board for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of a first interface board, a second interface board, and a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first surface of a first interface board is connected to and used in a second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second surface of a first interface board is connected to and used in a second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second surface of a first interface board is connected to and used in a second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combined and us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 ca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oth sides of a first interface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는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포함하고,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는 양면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1면(110) 및 제2면(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as both s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terface board 100, and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a first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as both sides. It may be composed of a surface 110 and a second surface 120.

인터페이스보드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연결된 PC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소스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학습시킨 후 학습유닛(400)의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학습유닛(400)과 기타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구성이다.The interface board is a learning to test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unit 400 after the user learns the IoT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learning unit 400 through the source code created using a PC connected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It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unit 400 and other devices.

제1면(110)은 초심자용으로 구비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상면으로써, 제1연결부(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연결부(111)는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조립 및 연결할 시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을 용이하게 도와주기 위한 구성이다. 제1연결부(111)는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제1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10 is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provided for beginners and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11.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is a configuration to facilitate hardware assembly and connection when an unskilled user assembles and connects hardwa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gon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on the first surface 110.

예를 들어, 제1연결부(111)는 제1면(110)이 외부 장치와 결합될 시 케이블(5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500)은 (+)극 및 (-)극이 해당 극에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단락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에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들은 이러한 관련지식이 부족하거나 부주의함으로 인해 (+)극 및 (-)극에 대한 케이블(500) 연결이 잘못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면(110)에 대한 케이블(500) 연결에 대해 항상 (+)극 및 (-)극이 올바르게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500)과 제1연결부(111)의 형태가 (+)극 및 (-)극이 올바르게 맞춰져서 연결될 때만 연결이 가능하고, 그 반대로는 연결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11 may be connected by a cable 500 when the first surface 11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cable 500 may not cause a short circuit only when the (+) and (-) poles are correct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le. However, users who are not skilled in hardware assembly and connection may erroneously connect the cable 500 to the (+) and (-) poles due to lack or carelessness in this related knowledge. Therefore, for the connection of the cable 500 to the first side 110, the shape of the cable 500 and the first connector 111 is positive and negative so that the (+) and (-) poles are always correctly connected. Connect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 pole is properly aligned and connected, and vice versa.

즉, 전용으로 제작된 케이블(500) 및 제1연결부(111)의 형태에 단차를 형성하고, 제1연결부(111)는 케이블(500)을 감싸는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함으로써, 케이블(500)이 제1연결부(111)에 삽입될 시 (+)극 및 (-)극의 방향이 올바르게 맞춰져서 삽입될 때에만 삽입이 가능하며, 그 반대로는 단차로 인해 삽입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심자는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용이하게 조립 및 연결할 수 있다.That is, a step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cable 50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that are manufactured exclusively,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surrounding the cable 500, so that the cable 500 is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11, insert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directions of the (+) and (-) poles are correctly aligned and inserted, and vice versa, the insertion is impossible due to a step difference. Therefore,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and connect hardware to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여기서, 하드웨어는 LED,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입출력 주변기기들과, DC모터, 서보모터와 같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입출력 주변기기들 및 적외선센서, 조도센서와 같은 아날로그 입출력 주변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받는 사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hardware may include digital input/output peripherals such as LEDs and switches, PWM (Pulse Width Modulation) input/output peripherals such as DC motors and servo motors, and analog input/output peripherals such as infrared sensors and illuminance sensors. It means an object that receives motion information. Such hardwar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도1에서는 크기가 작은 센서 및 LED가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크기에 따라 더 큰 기기들도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1 shows that a sensor and an LED having a small siz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but devices that are larg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may also be used.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

제2면(120)은 숙련자용으로 구비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하면으로써, 제2연결부(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연결부(121)는 숙련된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조립 및 연결할 시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의 자유도와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연결부(121)는 제2면(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120 is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provided for the skilled person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121. The second connector 121 is formed to reflect the freedom and preference of hardware assembly and connection when assembling and connecting hardware by an experienced user, and the second connector 121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n the second surface 120. It can be provided as.

예를 들어, 제2연결부(121)는 제2면(120)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핀으로 형성되어 브레드보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브레드보드에 연결 시에는 다수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브레드보드에 연결해야 하므로, 숙련자는 하드웨어 회로의 형상을 자신의 선호에 부합하도록 장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or 12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120 to be connected to a breadboard or the like. When connecting to the breadboard, since a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must be connected to the breadboard, the skilled person can decorate the shape of the hardware circuit to suit his or her preference.

이와 같은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는 실시하기에 따라 제1면(110)이 하면으로 구비되고, 제2면(120)이 상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양면 중에서 제1면(110)이 상면 또는 하면으로 구비되면, 제2면(120)은 제1면(110)의 반대의 면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실시예로 고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면(110)을 상면, 제2면(120)을 하면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surface 110 as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20 as the upper surface according to implementation. Therefore, if the first surface 110 is provided as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mong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the second surface 120 is provided a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by fixing as one embodiment.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urface 110 is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20 is the lower surface.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interface boar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는 대략 브레드보드 형태로써, 제1면 연결부(210) 및 제2면 연결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ximately breadboard shape and includes a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210 and a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220.

제1면 연결부(210)는 브레드보드 형태의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서 제1면(110)에 형성된 제1연결부(111)와 케이블(5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111)와 동일하게 케이블(500)이 연결될 수 있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면 연결부(210)는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서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may be a first connection pa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able 50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0 in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in the form of a breadboard. In the same manner as 111), the cable 50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gonal shape to which it can be connected. Th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210 is dispos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제2면 연결부(220)는 제2면(120)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써, 내부에 제2연결부(121)로 형성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연결부(121)는 제2면 연결부(22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면 연결부(220)는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서 테두리 부분에 복수로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has a shape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20 can be inserted, and has an empty shape so that the pin formed as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can be inserted therein. Is forme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or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rface connector 2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220 is provided in plural at the edge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또한,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는 제1면 연결부(210) 및 제2면 연결부(220)가 구비된 반대의 면에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와 연결될 수 있는 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has a pin (not show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on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and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220 are provided. Can be.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300 for learning developmen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는 유닛장착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전원부(330), 제어부(34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 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development board body 300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mounting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 power supply unit 330, a control unit 340 and a second interface board connection unit 350. It may include.

유닛장착부(310)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의 대략 중앙 부분에 학습유닛(400)이 장착되어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와 연결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유닛장착부(310)에는 하나의 학습유닛(400)이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를 통해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The unit mounting unit 310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ing unit 400 is mount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300 to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300. In this unit mounting unit 310, one learning unit 400 is mounted by using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in common, so that the user operates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learning unit 400 through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You can enter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320)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장착된 학습유닛(400)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해주는 구성이다. 여기서 학습유닛(400)에 저장된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학습유닛(400)이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장착된 후 경과된 시간 등이 저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20)에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에 도시되진 않을 수도 있지만 학습유닛(400)에는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 이전에 저장했던 소스코드,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를 사용하기 위해 설정한 환경 및 세팅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20 is a component that shows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unit 400 mounted on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I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unit 400, the user's name, the time elapsed after the learn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may be stored, and may be shown on the display unit 320. have. In addition, although it may not be shown on the display unit 320, the learning unit 400 includes a source code previously stored by the user to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 set to use the development board body 300 for learning. And settings and the like may be stored.

전원부(330)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 또는 인터페이스보드에 인가되는 DC전압을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330)에는 공급전원선택부(332)와 연결된 전원스위치(334)가 구비되어 공급전원선택부(332)가 공급전원부(331) 및 출력전원부(333)과 연결됨으로써, 5V, 3.3V, 또는 1.5V 등 다양한 전자회로 동작전압으로 인가받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30 is a component capable of selecting and supplying a DC voltage applied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or the interface board. The power supply unit 330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334 connected to the supply power selection unit 332, and the supply power selection unit 332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wer supply unit 331 and the output power supply unit 333, so that 5V, 3.3V Or, the user can select to be applied with various electronic circuit operating voltages such as 1.5V.

제어부(340)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장착된 학습유닛(400)이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디스플레이부(320)에 사용자 정보를 도시하는 것과, 학습유닛(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설정을 로딩하는 것을 제어 및 실행하는 등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의 구성들 간의 동작 프로세스를 제어 및 실행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340 shows the process of inputt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learning unit 400 mounted on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and the user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320, and stored in the learning unit 400. It is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and executes an operation process between components of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such as controlling and executing loading of user settings.

제2인터페이스보드 연결부(350)는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의 핀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The second interface board connection unit 35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inserting a pin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도3에 도시된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실시하기에 따라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앞서 설명한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shown in FIG. 3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제2인터페이스보드(200) 및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가 연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도이다.4 is an overal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nd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는 학습유닛(400)이 유닛장착부(310)에 장착되어 사물인터넷 동작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이러한 학습유닛(400)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교대로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learn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unit mounting unit 310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to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is learning unit 400 can be used for other users. Can be mounted alternately by

즉, 사물인터넷을 교육하기 위한 학교 또는 교육현장 등에서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실습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학습유닛(400)을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의 유닛장착부(310)에 장착시킨 후 PC 등을 통하여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That is, a user who designs and develops IoT operation information at a school or an education site for teaching the IoT, and who practices it, installs the learning unit 400 possessed by him/her into the unit mounting unit 310 of the development board body 300 for learning. After installing it on, you can input IoT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a PC or the like.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학습시킨 후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 연결된 LED, 스위치, 모터, 적외선센서 및 조도센서 등을 학습유닛(400)이 동작시키는 테스트 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유닛장착부(310)에 장착시킨 학습유닛(400)을 유닛장착부(31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한 사용자가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유한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시키는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After learning the IoT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learning unit 400, the learning unit 400 reads LEDs, switches, motors, infrared sensors, and illuminance sensor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Whe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test is completed, the learning unit 400 mounted on the unit mounting unit 310 is separated from the unit mounting unit 310 so that a user can use the learning unit ( 400), the entire process of inputt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이후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학습시킬 때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의 유닛장착부(310)에 자신의 학습유닛(400)을 장착시키고,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학습유닛(400)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학습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another user learns IoT operation information on his or her learning unit 400, install his or her own learning unit 400 on the unit mounting unit 310 of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300, and use the same serie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ocess of, the learning unit 400 can learn the IoT motion information.

또한,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와 연결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도 다른 사용자가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를 사용함에 따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로 교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connected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are also the first interface boards used by other users as other users use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It can be replaced with 100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여기서, 학습유닛(400)이 유닛장착부(310)에 장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유닛(400)에 형성된 걸림고리(미도시)가 유닛장착부(310))에 형성된 걸림부(미도시)에 끼워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학습유닛(400)이 유닛장착부(310)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arn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unit mounting unit 31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a locking ring (not shown) formed on the learning unit 400 is inserted into a locking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unit mounting portion 3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learn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unit mounting portion 310. Can be mounted on.

이와 같은 예시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학습유닛(400)과 유닛장착부(310)의 상호간 구조는 학습유닛(400)과 유닛장착부(310)가 탈착구조로 연결이 가능하면 사용이 가능하다.Such an example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mutual structure of the learning unit 400 and the unit mounting unit 310 can be used as long as the learning unit 400 and the unit mounting unit 310 are connec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1면(110)이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first surface 11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nd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1면(110)은 초심자용으로 구비된 면으로써,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에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들이 케이블(500)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surface 11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a surface provided for beginners, so that users who are not skilled in hardware assembly and connection can easily connect the cable 500. do.

즉,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는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1연결부(111)와 연결될 수 있는 제1면 연결부(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는 복수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에 각각 제1연결부(111)에 케이블(500)을 연결하고, 이를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의 제1면 연결부(210)에 연결함으로써,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와 연결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21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Therefore, an unskilled user connects the cable 500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and connects it to the connection part 210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hus,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결과적으로, 연결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를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최종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하드웨어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하여 사물인터넷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다.As a result, by finally connecting the connected first interface board 100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each hardw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oT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entered to test the operation of the IoT.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2면(120)이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2면(120)이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connected to and used in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nd u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2면(120)은 숙련자용으로 구비된 면으로써, 하드웨어 조립 및 연결에 숙련되어 있는 사용자들이 제2연결부(121)를 통해 브레드보드와 같은 제2면 연결부(220)에 복수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자신이 선호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6 and 7,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s provided for the skilled person, and users who are skilled in assembling and connecting hardware have a second connection part 121 Through it, the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can be freely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220 such as a breadboard in a shape that they prefer.

즉,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는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의 제2연결부(121)와 연결될 수 있는 제2면 연결부(2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숙련된 사용자는 복수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도6과 같이, 제2인터페이스보드(200)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제2면 연결부(220)에 연결할 시 한쪽 테두리 부분에 모아서 일렬로 연결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형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surface connection unit 22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1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220 provided on the rim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as shown in FIG. 6, the experienced user collects the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and connects them in a line. By doing so, it can also be connected in a shape that increase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hardware.

또한, 도7과 같이, 복수의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는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의 테두리 부분에 좌우로 구비된 제2면 연결부(220)에 제2연결부(121)가 연결됨으로써, 제1인터페이스보드(100)가 제2인터페이스보드(200) 상에 고르게 분포된 형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first interface boards 100 are connect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21 to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s 22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dge of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in an evenly distributed shape.

이처럼 숙련된 사용자는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의 제2면(120)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를 통해 제2인터페이스보드(200)에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를 자신이 선호하는 회로 형상으로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As such, an experienced user prefers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from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121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It can be freely connected in shape.

이후 연결된 제1인터페이스보드(100) 및 제2인터페이스보드(200)를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300)에 최종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제1인터페이스보드(100)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LED, 각종 센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에 입력시키고, 사물인터넷 동작을 테스트 할 수 있다.Then, by finally connecting the connected first interface board 100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200 to the learning development board main body 300, each LED integrally formed with the IoT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interface board 100 , It can be input to hardware such as various sensors, and the IoT operation can be test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will be seen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인터페이스보드
110 : 제1면
111 : 제1연결부
120 : 제2면
121 : 제2연결부
200 : 제2인터페이스보드
210 : 제1면 연결부
220 : 제2면 연결부
300 :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
310 : 유닛장착부
320 : 디스플레이부
330 : 전원부
331 : 공급전원부
332 : 공급전원선택부
333 : 출력전원부
334 : 전원스위치
340 : 제어부
350 : 제2인터페이스보드 연결부
400 : 학습유닛
500 : 케이블
100: first interface board
110: first page
111: first connection
120: second side
121: second connection
200: second interface board
210: first side connection
220: second side connection
300: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310: unit mounting part
320: display unit
330: power supply
331: power supply unit
332: supply power selection unit
333: output power unit
334: power switch
340: control unit
350: second interface board connection
400: learning unit
500: cable

Claims (7)

상면 또는 하면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가 입력되는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가능하게 제1연결부가 구비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가 구비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인터페이스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연결되도록 제1면 연결부 및 제2면 연결부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2인터페이스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는 상기 제1면 연결부에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면 연결부에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되는 것을 통해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에 양면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A first surfac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so that at least one cable for inputting IoT oper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interface board is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by integrally forming hardware related to the IoT,
A second interface board is provided in which at least on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are respectively formed so that the first interface boar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The first interface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both sides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by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Interface board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는 케이블을 연결할 시 (+)극 및 (-)극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1연결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 of the interfac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or for guiding the (+) pole and the (-) pole when a cable is connected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is a double-sided interfac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핀으로 상기 제2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ide interfac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ide.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보드는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일렬로 연결되거나 좌우로 나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보드.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interface boards can be used as both sides of the interfac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nected in a lin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on each or divided into left and right.
삭제delete 일측에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받도록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가능하게 제1연결부가 구비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가 구비된 제2면 중에서 상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하드웨어가 어느 하나의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학습유닛에 입력시킨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시험하도록 하는 제1인터페이스보드;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면 연결부 및 제2면 연결부가 구비된 제2인터페이스보드;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에 마련된 유닛장착부에 학습유닛이 장착된 후 사물인터넷 동작정보를 입력 및 실행하는 것을 제어하는 학습용 개발보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인터페이스보드는 상기 제1면 연결부에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면 연결부에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되는 것을 통해 상기 제2인터페이스보드에 양면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
Among the first surfac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so that at least one cable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to receive Io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surfac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A first interface board in which hardware related to the IoT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to test IoT oper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learning unit;
A second interface board having at least one first surfac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interface board; And
Including; a learning development board body for controlling input and execution of IoT operation information after the learning unit is mounted on a unit mount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while the first interface board and the second interface board are connected,
The first interface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both sides to the second interface board by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first surface connect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the second surface connection part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IoT learning.
KR1020180132804A 2018-11-01 2018-11-01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KR1021753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04A KR102175344B1 (en) 2018-11-01 2018-11-01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04A KR102175344B1 (en) 2018-11-01 2018-11-01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51A KR20200050151A (en) 2020-05-11
KR102175344B1 true KR102175344B1 (en) 2020-11-06

Family

ID=7072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804A KR102175344B1 (en) 2018-11-01 2018-11-01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3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66B1 (en) * 2015-11-23 2016-04-25 주식회사 사이엑스 Education Drone for Circuit assemble and Program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77Y1 (en) * 2008-05-02 2010-05-20 주식회사 한백전자 Kit of Humanoid Robot Module for Education
KR101064316B1 (en) * 2008-12-24 2011-09-14 김진완 Circuit practice apparatus of micro controller unit
KR101126608B1 (en) * 2009-12-03 2012-04-12 주식회사 하이로시 Multi Function Complex Connection Type Circuit Test Device
KR20160094102A (en)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헬로긱스 System for education of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66B1 (en) * 2015-11-23 2016-04-25 주식회사 사이엑스 Education Drone for Circuit assemble and Program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51A (en)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6521C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256568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44630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740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a person's behavior
Rosenthal et al. Design, implementation, and case study of a pragmatic vibrotactile belt
US20140297035A1 (en) Educational robotic systems and methods
US20190289716A1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Gómez et al. AmICog–mobile technologies to assist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in the work place
Katterfeldt et al. Talkoo: A new paradigm for physical computing at school
KR102175344B1 (en)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s and development board device for learning Internet-of-things using interface boards available on both side
KR101946546B1 (en) Internet of things learning developing board apparatus, input metho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KR101897976B1 (en) Reading room with concentrates management room and concentrated management system for reading room
KR102021818B1 (en) block
Petrovič et al. Deployment of Remotely-Accessible Robotics Laboratory.
US10148036B2 (en) Multi-platform modular device
KR102410334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or apparatu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Noble Building a LEGO-based Robotics Platform for a 3 rd Grade Classroom
Sadler The anatomy of creative computing: enabling novices to prototype smart devices
Senaratne et al. TronicBoards: An Accessible Electronics Toolki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nning Career redux
EP4006880A1 (en) Method for simulating an electrical circuit,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and simulating component
CN106028779A (en) Generation methods of electronic component module, circuit unit generation method and circuit assembly
Nürnberg et al. An introductory microcontroller programming laboratory course for first-year students
KR101906781B1 (en) Educational Platform for Microrobot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Bose et al. STEM Education Needs STEM Ta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