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48B1 - 게임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48B1
KR102175048B1 KR1020200079010A KR20200079010A KR102175048B1 KR 102175048 B1 KR102175048 B1 KR 102175048B1 KR 1020200079010 A KR1020200079010 A KR 1020200079010A KR 20200079010 A KR20200079010 A KR 20200079010A KR 102175048 B1 KR102175048 B1 KR 10217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wire
unit
adjustment b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주식회사 에스지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주식회사 에스지메이트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20007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게임 조작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탑승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탑승 유닛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조정바;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 조작 장치{GAME CONTROLLER}
본 발명은 게임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가상 현실 게임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게임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좌석에 앉아 화면상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따라 게임 콘트롤러에 구비된 버튼 또는, 간단한 조작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게임 시스템은 유저에게 시각과 청각 이외의 체험을 제공하는 기능은 구현할 수 없었으며, 보다 다양한 공감각적인 체험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유저의 행위를 감지하여 게임에 반영하는 모션 동작인식 센서 등이 탑재된 다양한 형태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특히 1인칭 슈팅 (fist person shooting, FPS) 게임의 경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를 착용하고 가상 현실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3836호,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유저의 동작 체감형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게임 유저가 공중에서 조작하는 게임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호, 1993836호,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등록일 : 2019.06.21
본 발명은 게임 유저의 조작에 따라 유저의 몸을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게임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게임 조작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탑승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가 결합되어 탑승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탑승 유닛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조정바;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레일에는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 유닛은,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탑승부와 결합하여 탑승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되,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조정바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감지 유닛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 및 상기 감지 유닛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로 구성되어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 및 상기 가압핀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2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2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3 압력 센서와 제4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어부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1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2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2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3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4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4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로부터 가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압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유저가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게임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유저가 프레임에 매달려 있어 실제 하늘을 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레일(120) 및 이동 유닛(1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 및 감지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230)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1000)는 프레임(100),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200), 상기 탑승부(200)의 조정하기 위한 모터(300), 및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게임 유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전체적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삼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며 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탑승부(200)는 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되고, 와이어(10)에 의해 지지된다. 즉, 탑승부(200)는 와이어(10)에 의해 프레임(100)에 매달려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와이어(10)가 잘 움직일 수 있도록 도르레(2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는 탑승부(200)를 고정하는 고정 레일(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0)은 프레임(100)의 뒤쪽 부분에 상하 세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탑승부(200)를 상기 고정 레일(120)에 결합하여 탑승부(200)가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레일(12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레일(120) 없이 탑승부(200)가 와이어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에는 원하지 않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와 같이 고정 레일(120)을 추가하고, 탑승부(200)를 고정 레일(120)에 결합하는 경우 탑승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고정 레일(12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 레일(120)에는 고정 레일(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는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131), 상기 탑승부(200)와 결합하여 탑승부를 고정하는 고정부(132), 및 상기 이동부(131)와 고정부(132)를 연결하되,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33)에 의해 고정부(1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탑승부(200)가 고정 레일(120)에 결합되도라도 중심바(212)를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게임 유저는 프레임(100) 공간 내에서 좌우, 상하, 앞뒤로 모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탑승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탑승부(200)는 상기 와이어(10)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210),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게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부착된 조정바(220), 및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탑승 유닛(210)은 유저가 탑승할 때 유저를 지지하고 뼈대 역할을 하는 중심바(212)와 상기 중심바(212)에 날개 모양으로 교차하면서 유저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부착된 크로스바(214)가 전방과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전방에 부착되는 크로스바는 유저가 탑승했을 때 복부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후방에 부착되는 크로스바는 다리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탑승부(200)에 게임 유저가 탑승했을 때 유저가 바라보는 방향이 전방이다. 본 발명에서 방향을 나타낼 때는 유저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상기 크로스바(214)의 상부에는 와이어(10)를 체결하기 위한 고리 모양의 체결부(215)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215)는 와이어(1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리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중심바(212)의 전방 끝단에는 조정바(220)를 고정하기 위한 조정바 고정 기둥(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바(212)를 중심으로 크로스바(214)는 아래 방향으로 고정되고, 조정바 고정기둥(216)은 위쪽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바(220)는 조정바 고정 기둥(216)에 연결부재(217)에 의해 체결되어 탑승 유닛(210)에 고정된다.
상기 조정바(220)는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조정바(220)에는 손잡이(222)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에는 게임 컨텐츠를 조작하는 버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팅 게임의 경우 발사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7)는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부(218) 및 각도 조절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18) 및 각도 조절부(219)의 상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218)는 조임 나사(B1)를 풀어서 상부에 끼워지는 연결 부재를 넣거나 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219)는 두 개의 연결 부재가 조임 나사(B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조임 나사(B2)를 풀어서 두 연결 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유닛(230)은 조정바(220)의 가운데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정바(220)는 감지 유닛(230)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221) 및 상기 감지 유닛(230)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2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는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른쪽과 왼쪽은 유저를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을 의미한다.
상기 감지 유닛(230)은 상기 조정바(22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H)이 형성된 하우징(231), 상기 하우징(231)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240), 및 상기 조정바(220)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2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1)은 상기 압력 센서(240)가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232)와 하부 플레이트(234)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바(22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23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2)와 하부 플레이트(234)에는 압력 센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바(220)는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31)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관통홀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40)는 상부 플레이트(232)에 2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 플레이트(234)에 2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240)는 상기 제1 조정바(22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241), 상기 제1 조정바(22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242), 상기 제2 조정바(222)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243), 및 상기 제2 조정바(222)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24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에 대응되는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301, 302, 303, 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301)는 유저 상체쪽 크로스바의 오른쪽과 연결되고, 제2 모터(320)는 유저 하체쪽 크스로바의 오른쪽과 연결되고, 제3 모터는 유저 상체쪽 크르스바의 왼쪽과 연결되고, 제4 모터는 유저 하체쪽 크로스바의 왼쪽과 연결된다.
상기 몸체(233)에는 압력 센서(24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236) 및 상기 가압핀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홀(2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핀(236)은 중앙 부분에 리브가 돌출되어 있고, 안착홀(237)은 상기 리브(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압핀(236)은 상기 제1 내지 4 압력 센서들(241, 242, 243, 24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들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센서들(241, 242, 243, 244)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핀(236)은 센서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기능과 모양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상기 몸체(233)의 일측면에는 상기 조정바(220)를 축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238)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축(238)을 중심으로 조정바(220)는 시소와 운동과 같은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몸체(233)에 형성된 관통홀(H)은 조정바(220)의 지름보다 넓게 형성되고, 조정바(2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239)이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H1)은 조정바(220) 보다 지름이 크므로, 유저가 조정바(220)를 누르게 되면 고정축(238)이 힌지 역할을 하면서 고정축(238) 반대편이 올라가게 된다. 조정바가 올라가면서 가압핀(236)을 밀어 올리게 되고, 가압핀(236)은 상부 플레이트에 있는 압력 센서(241)를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유저가 조정바(220)를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축(238) 반대편이 내려가게 되고 가압핀(236-1)을 아래로 밀게 되고, 가압핀(236-1)은 압력 센서(242)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2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300)를 제어한다. 모터(300)의 동작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탑승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왼쪽으로 몸을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3차원 공간에서는 상체만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왼쪽 조정바 즉,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제2 조정바(222)를 누르고 반대쪽의 제1 조정바(221)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2 조정바(222)가 눌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2 조정바(222)가 상승하면서 상부 플레이트(232)의 왼쪽에 위치한 제3 압력 센서(243)가 가압되고, 제1 조정바(221) 들어 올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1 조정바(221)가 하강하며서 하부 플레이트(234)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242)가 가압된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유저가 좌회전함을 인식하고 제2 모터(302)와 제3 모터(303)에 연결된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하고, 제1 모터(301)와 제4 모터(304)에 연결된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에 가압되는 압력이 크면 모터의 구동력을 크게 제어하여 탑승부가 빨리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구동 정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 값과 그에 대응되넌 모터 구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부호(H2)은 연결부재(217)를 결합하기 위한 홀을 표시한 것이다.
도 6은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왼쪽은 게임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은 유저가 착용한 HMD(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보이는 게임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유저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유저가 직하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유저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자 할 경우에, 유저는 오른쪽 조정바 즉,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제1 조정바(221)를 누르고 반대쪽의 제2 조정바(222)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1 조정바(221)가 눌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1 조정바(221)가 상승하면서 상부 플레이트(232)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241)가 가압되고, 제2 조정바(222) 들어올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2 조정바(222)가 하강하며서 하부 플레이트(234)의 왼쪽에 위치한 제4 압력 센서(244)가 가압된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유저가 오른쪽으로 축회전 함을 인식하고 제1 모터(301)와 제4 모터(304)에 연결된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하고, 제2 모터(302)와 제3 모터(303)에 연결된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체는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하체의 오른쪽은 아래로, 왼쪽은 위로 움직이면서 몸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유저가 급하강하고자 할 경우에, 유저는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를 동시에 들어올리게 된다. 양쪽이 동시에 당겨지면서 하부 플레이트의 제2 압력 센서(242)와 제4 압력센서(244)가 가압된다.
제어부(400)를 가압 신호를 하부플레이트에 있는 두 개의 센서가 동시에 가압되는 경우 급하강으로 판단하여 제2 모터(302)와 제4 (304)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모터(301)와 제3 모터(303)는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앞쪽의 와이어는 길어지면서 상체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뒤쪽 하체의 와이어는 짧아지면서 하체는 올라가게 되면서 유저는 급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저는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를 밀거나(누름) 당기면서(들어올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20 : 고정 레일
130 : 이동 유닛 200 : 탑승부
210 : 탑승 유닛 220 : 조정바
230 : 감지 유닛 231 : 하우징
232 : 상부 플레이트 233 : 몸체
234 : 하부 플레이트 240 : 압력 센서
236 : 가압핀 237 : 안착홀
300 : 모터 400 : 제어부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탑승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가 결합되어 탑승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고정 레일이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탑승 유닛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조정바;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 레일에는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 유닛은,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탑승부와 결합하여 탑승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되,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
    상기 조정바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감지 유닛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 및 상기 감지 유닛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로 구성되어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는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게임 조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 및 상기 가압핀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2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2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3 압력 센서와 제4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어부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1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2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2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3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4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4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로부터 가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압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KR1020200079010A 2020-06-29 2020-06-29 게임 조작 장치 KR102175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10A KR102175048B1 (ko) 2020-06-29 2020-06-29 게임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10A KR102175048B1 (ko) 2020-06-29 2020-06-29 게임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048B1 true KR102175048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10A KR102175048B1 (ko) 2020-06-29 2020-06-29 게임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515A (ko) * 2012-03-02 2013-09-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계 스포츠 시뮬레이터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
KR20180106351A (ko) * 2017-03-20 2018-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를 위한 조향 제어장치
KR101993836B1 (ko) 2017-02-03 2019-06-28 옥철식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20190136098A (ko) * 2017-04-25 2019-12-09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모션 시뮬레이션 놀이공원 어트랙션
KR2020006197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515A (ko) * 2012-03-02 2013-09-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계 스포츠 시뮬레이터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
KR101993836B1 (ko) 2017-02-03 2019-06-28 옥철식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20180106351A (ko) * 2017-03-20 2018-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를 위한 조향 제어장치
KR20190136098A (ko) * 2017-04-25 2019-12-09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모션 시뮬레이션 놀이공원 어트랙션
KR2020006197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332B (zh) 坐式运动模拟游乐园景点
US108095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virtual reality for an amusement attraction
JP7295136B2 (ja) 対話型アニメキャラクターヘッドステム及び方法
JP2008036099A (ja) 揺動装置及び揺動装置の制御方法
US7717711B2 (en) Collapsible motion platform
CN104067160A (zh) 使用眼睛跟踪在显示屏中使图像内容居中的方法
JP4074101B2 (ja) 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KR102175048B1 (ko) 게임 조작 장치
KR102175043B1 (ko) 게임 조작 장치
EP3883429B1 (en) Collapsible hanging chair and virtual reality simulator comprising such hanging chair
US20190321735A1 (en) Trackless amusement ride
KR102534268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US20230397737A1 (en) Immersive couch
JP6316385B1 (ja) 演出出力玩具
KR101847770B1 (ko) 거북목 방지장치
JP4579948B2 (ja) 遊技機
US8602836B2 (en) Prank apparatus with amusement effect
JP3208319U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KR102239347B1 (ko) 체공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JP6845824B2 (ja) 演出出力玩具
JP4261882B2 (ja) 観覧車のゴンドラ
JP4815606B2 (ja) 乗り物酔い訓練装置
JP6476023B2 (ja) 自動式形象玩具
JP2020103782A (ja) 空間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