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17B1 -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17B1
KR102174817B1 KR1020130148525A KR20130148525A KR102174817B1 KR 102174817 B1 KR102174817 B1 KR 102174817B1 KR 1020130148525 A KR1020130148525 A KR 1020130148525A KR 20130148525 A KR20130148525 A KR 20130148525A KR 102174817 B1 KR102174817 B1 KR 10217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touch
touch driving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763A (ko
Inventor
김주한
김철세
김진성
한만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17B1/ko
Priority to TW103137054A priority patent/TWI539345B/zh
Priority to EP14193419.0A priority patent/EP2879027B1/en
Priority to US14/547,373 priority patent/US9323375B2/en
Priority to JP2014237504A priority patent/JP5947360B2/ja
Priority to CN201410720606.2A priority patent/CN104679326B/zh
Publication of KR2015006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전극들;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 1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1 전극들; 상기 제 1-1 전극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다른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크기 보다 큰 제 2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2 전극들; 및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2 전극들 사이에는 2개의 제 1-1 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들이 사용자와 가전기기 또는 각종 정보통신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센서(touch sensor)가 제안되었다.
터치센서는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센서는 구조에 따라서, 상판 부착형(add-on type)과 상판 일체형(on-cell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상판 부착형은 표시장치와 터치 센서가 형성된 터치 패널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표시장치의 상판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상판 일체형은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표면에 터치센서를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상판 부착형은 표시장치 위에 완성된 터치 패널이 올라가 장착되는 구조로 두께가 두껍고, 표시장치의 밝기가 어두워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판 일체형의 경우, 표시장치의 상면에 별도의 터치센서가 형성된 구조로 상판 부착형 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구동전극층과 센싱전극층 및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층 때문에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가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미국 등록특허 US 7,859,521와 같은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7,859,521에 개시된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용 공통전극을 분할하여 터치구동을 위한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싱전극들을 겸용하게 함으로써 터치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여부 및 터치위치를 인식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은 동일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전극들끼리 배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터치 구동전극들은 구동전극 콘택홀을 통해 터치 구동전극 배선들에 연결되고, 터치 센싱전극들은 센싱전극 콘택홀에 의해 터치 센싱전극 배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전극 배선 및 터치 센싱전극 배선이 복잡하고, 특히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구동전극 배선들의 연결 및 터치 센싱전극과 터치 센싱전극 배선들의 연결을 위해 많은 콘택홀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개구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을 위한 복잡한 배선들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센싱전극 간의 상호 정전용량을 감소시키고, 터치 센서의 터치 전극과 표시장치의 신호배선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감축시킴으로써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전극들;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 1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1 전극들; 상기 제 1-1 전극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다른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크기 보다 큰 제 2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2 전극들; 및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2 전극들 사이에는 2개의 제 1-1 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은 공통전극과 터치 구동전극의 기능을 겸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터치 센싱전극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은 공통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의 기능을 겸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터치 구동전극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전극에 대응하는 픽셀영역들에는 픽셀전극들이 하나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2 전극에 대응하는 픽셀영역들에는 픽셀전극들이 2개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전극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2라인의 픽셀전극들 사이에는 각각의 픽셀전극을 위한 2개의 게이트 라인이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 각각과 접촉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1-1 및 1-2 전극의 저항을 감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 각각에 상기 제 2전극의 방향을 따라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의 저항을 감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극 저항감축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전극과 상기 1-2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병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제 1-1 및 제 1-2 전극들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병목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병목부와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전극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 2 병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셀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제 1 보호막 상에 형성되어 제 1 보호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1-1 내지 제 1-2 전극들은 상기 픽셀전극들을 커버하는 제 2 보호막 상에서 상기 픽셀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1 및 1-2 전극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제 1 보호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픽셀전극들은 상기 제 1-1 및 제 1-2 전극들을 커버하는 제 2 보호막 상에서 상기 제 1-1 및 1-2 전극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셀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을 연결하고 그 저항을 감축시키기 위한 배선들을 데이터 라인 또는 게이트 라인과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개구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시장치의 픽셀전극,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설계에 대응하여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 터치 센싱전극 및 배선관계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이 불필요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해상도의 제품 및 대면적 제품에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전극이 1라인의 픽셀전극들에 대응하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과, 2라인의 픽셀전극들에 대응하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터치 센싱전극을 제 1-1 터치 구동전극과 제 1-2 터치 구동전극 사이에 배치하며,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2라인의 픽셀전극 사이에 게이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게이트 라인과 중첩되는 터치 센싱전극을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치 센싱전극 수의 감축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 및 기생 정전용량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 TU에서의 공통전극들(터치 구동 전극들), 터치 센싱전극들, 및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공통전극이 픽셀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3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픽셀전극이 공통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3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 TU에서의 공통전극들(터치 구동 전극들), 터치 센싱전극들, 및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a는 공통전극이 필셀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7에 도시된 영역 R2를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I-I' 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a는 픽셀통전극이 공통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7에 도시된 영역 R2를 도시한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III-III'라인 및 IV-IV'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생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패널(LCP)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는 제 1 기판(SUB1)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과 서로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D1, D2), 게이트 라인들(G1, G2)과 데이터 라인들(D1, D2)이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셀들과, 게이트 라인들(G1, G2), 데이터 라인들(D1, D2)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 액정 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픽셀 전극들(Px), 및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들(Px)과 전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공통전극들(도시생략)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어레이(CFA)는 제 2 기판(SUB2) 상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 및 컬러필터(도시생략)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제 1 기판(SUB1)과 제 2 기판(SUB2)의 외면에는 각각 편광판(POL1, POL2)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제 1 및 제 2 기판들(SUB1, SUB2)의 내면에는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도시생략)이 각각 형성된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컬러필터 어레이(CFA)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 사이에는 액정 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coluumn spacer)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통전극들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제 2 기판(SUB2)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는 픽셀 전극(Px)과 함께 제 1 기판(SUB1) 상에 형성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평전계 구동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COM)은 제 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복수의 전극들(Tx1, Tx2)로 이루어진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분할된 공통전극들은 제 2 방향, 즉 y축 방향으로는 배열되어 복수의 열(column)을 구성하는 전극들로 도시되어 있으며,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각각은 후술하는 복수의 터치 센싱전극들(Rx1~Rx8)과 교차하는 영역마다 y축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좁은 폭을 갖는 병목부들(Tb)을 구비한다. 즉,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은 y 축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이 제 1 병목부들(Tb1)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은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마찬가지로 y 축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1~Tx28)이 제 2 병목부들(Tb2)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각각에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 Tb2)을 각각 경유하도록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 Tc21~Tc23)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과 이들을 연결하는 y축 방향의 제 1 병목부들(Tb1)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은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1~Tx28)과 이들을 연결하는 y축 방향의 제 2 병목부들(Tb2)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고저항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의 저항을 낮추어 주고,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은 제 2 터치 구동전극(Tx2)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고저항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의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센싱 센싱전극들(Rx1~Rx8)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고, 제 1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TW1)을 통해 제 1 터치 구동 라우팅 패드(TP1)에 연결된다.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 또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고, 제 2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TW2)을 통해 제 2 터치 구동 라우팅 패드(TP2)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치 구동전극들이 2개의 터치 구동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예, 즉,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 Tc12, Tc13)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1 터치 구동라인과, 제 2 터치 구동전극(Tx2)과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21, Tc22, Tc23)로 이루어지는 제 2 터치 구동라인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 Tc12, Tc13)이 사용되고, 제 2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21, Tc22, Tc23)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각의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두개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이 이용되거나, 4개 또는 그 이상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 사이(즉, Tx11, Tx21과 Tx21, Tx22 사이, Tx12, Tx22와 Tx13, Tx23 사이, Tx13, Tx23과 Tx14, Tx24 사이, Tx14, Tx24와 Tx15, Tx25 사이, Tx15, Tx25와 Tx16, Tx26 사이, Tx16, Tx26과 Tx17, Tx27 사이, Tx17, Tx27과 Tx18, Tx28 사이)와 최하측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8, Tx28) 하부에서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 Tb2) 및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과 교차하도록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의 각각은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Tb2)과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병목부들(Rb)을 구비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에도 저항감축을 위한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Rc14, Rc21~Rc24)이 각각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은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제 1 내지 제 4 터치 센싱전극들(Rx1~Rx4)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내지 제 4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Rc14)과, 제 5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들(Rx5~Rx8)과 각각 접촉하는 제 5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21~Rc24)에 의해 2개의 단위로 그룹화 되어 제 1 터치 센싱라인(Rx1~Rx4, Rc11~Rc14)과 제 2 터치 센싱라인(Rx5~Rx8, Rc21~Rc24)을 구성한다.
제 1 터치 센싱라인(Rx1~Rx4, Rc11~Rc14)은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며,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RW1)을 통해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RP1)에 연결된다. 제 2 터치 센싱라인(Rx5~Rx8, Rc5~Rc8) 또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며,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RW2)을 통해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RP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과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들(Rx1~Rx8)로 이루어지며, 터치 인식을 위한 단위 터치 인식 블록(TU)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과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들(Rc11~Rc14, Rc21~Rc24)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과 복수의 터치 센싱전극들을 적절히 그룹화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과 8개의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에 의해 4개의 단위 터치 인식 블록들(TU)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 설명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은 모두 공통전극(COM)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수평전계방식 표시장치에 있어 이들은 픽셀전극(Px)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제 1 기판(SUB1)에 형성되고, 픽셀 전극(Px)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공통전극(COM)으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 Tx21~Tx28)의 각각은 1라인분의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단위 픽셀전극은 색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서브픽셀들로 이루어 짐)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 Tx21~Tx28)의 각각은 1라인분의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 각각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전극들(Rx1~Rx8)은 게이트 라인과 1:1로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게이트 라인 n개 당 하나의 관계로 규칙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공통전극들(터치 구동전극들)과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 TU에서의 공통전극들(터치 구동 전극), 터치 센싱전극들, 및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3개의 다른 단위 터치인식 영역도 도 3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TU)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의 각 영역에 대응하여 각 구동전극 패턴의 배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픽셀전극들(Px)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8)의 각 영역에는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들이 x축 방향으로 1행 배열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위 픽셀전극들(각각의 단위 픽셀전극은 3개이 서브픽셀전극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 서브픽셀전극은 픽셀전극으로 칭함)이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 Tx13, Tx14)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a및 도 4b를 참조하여,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이 픽셀전극의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공통전극이 픽셀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3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2개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1, Tx12)의 일부 영역과 그에 인접한 2개의 터치 센싱전극(Rx1, Rx2)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R1에 배치되는 픽셀전극들(Px)(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Px는 색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서브픽셀들로서, 3개의 서브픽셀이 하나의 단위 픽셀전극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이하, 각 서브픽셀을 단순히 픽셀전극이라 칭함)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기판(SUB1)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과,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전극들(Px)과, 상기 픽셀전극들(Px)과 대향하는 공통전극들(C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공통전극(COM)이 터치 구동전극(Tx)의 기능을 겸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공통전극(COM), 터치 구동전극(Tx),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Tx), 또는 터치 구동전극 겸용 공통전극(COM)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GL)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하는 활성층(A),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형성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기판(SU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게이트 전극(G)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활성층(A)과, 활성층(A)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전극의 하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버텀 구조(gate bottom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제 1 보호막(PAS1)이 형성되고, 제 1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를 위한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과 제 1 보호막(PAS1)에는 드레인 전극(D)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콘택홀(CH)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영역들 내에 각각 픽셀전극(Px)이 형성된다. 픽셀전극(Px)은 유기 절연막(INS)과 제 1 보호막(PAS1)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인접한 픽셀전극들(Px) 사이에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터치 센싱전극들(Rx1, Rx2)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 Rx2)의 각각은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Tb1)와 교차하는 영역의 폭이 좁게 형성된 병목부(Rb)를 포함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 Rx2) 상에는 각각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하게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 Rc12)이 형성된다.
픽셀전극들(Px)과 터치 센싱전극 패턴들(Tx11, Tx12), 및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Rc12)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2 보호막(PAS2)이 형성된다.
제 2 보호막(PAS) 상에는 데이터 라인(DL)과 중첩되게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다.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은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1)의 병목부(Tb1)을 경우하고, 후술하는 터치 센싱전극의 병목부(Rb)와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공통전극 겸용의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은 픽셀전극(Px)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의 각각은 픽셀전극(Px)과의 사이에 수평전계가 형성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슬릿(SL)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기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픽셀전극(Px)은 슬릿이 없도록 형성되고, 제 2 보호층(PAS2) 상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은 슬릿(SL)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a및 도 5b를 참조하여, 픽셀전극이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의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픽셀전극이 공통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3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기판(SUB1)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과,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전극들(Px)과, 상기 픽셀전극들(Px)과 대향하는 공통전극들(C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통전극(COM)이 터치 구동전극(Tx)의 기능을 겸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공통전극(COM), 터치 구동전극(Tx),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Tx), 또는 터치 구동전극 겸용 공통전극(COM)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GL)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하는 활성층(A),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형성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기판(SU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게이트 전극(G)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활성층(A)과, 활성층(A)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전극의 하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버텀 구조(gate bottom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제 1 보호막(PAS1)이 형성되고, 제 1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를 위한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에는 드레인 전극(D)의 일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 1 보호막(PAS)을 노출시키는 제 1 콘택홀(CH1)이 형성된다.
제 1 콘택홀(CH1)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1 병목부(Tb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공통전극(COM) 겸용의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 상에는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데이터 라인(DL)을 따라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Tb1)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과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2 보호막(PAS2)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의 제 1 콘택홀(CH1)을 통해 노출되는 제 1 보호막(PAS1)과, 제 2 보호막(PAS2)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 콘택홀(CH2)이 형성된다.
제 2 콘택홀(CH2)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방향(x축 방향)으로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들(Rc11, Rc12)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들(Rc11, Rc12)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영역들 내에 각각 픽셀전극(Px)이 형성되고, 또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픽셀전극들(Px) 사이에는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Rc11)을 커버하도록 게이트 라인(GL)과 평행하게 터치 센싱전극(Rx1, Rx2)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Rx1, Rx2)은 터치 구동전극패턴들(Tx11, Tx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터치 센싱전극(Rx1, Rx2)의 각각은 이웃하는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을 연결하는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Tb1)과 교차하는 영역에서 병목부(Rb)를 갖도록 형성된다.
픽셀전극들(Px)은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픽셀전극들(Px)의 각각은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과의 사이에 수평전계가 형성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슬릿(SL)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기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은 슬릿이 없도록 형성되고, 제 2 보호층(PAS2) 상에 형성되는 픽셀전극(Px)은 슬릿(SL)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단위 픽셀전극,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설계에 대응하여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 터치 센싱전극 및 배선관계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이 불필요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해상도의 제품 및 대면적 제품에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COM)은 제 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복수의 전극들(Tx1, Tx2)로 이루어진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분할된 공통전극들은 제 2 방향, 즉 y축 방향으로는 배열되어 복수의 열(column)을 구성하는 전극들로 도시되어 있으며,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각각은 후술하는 복수의 터치 센싱전극들(Rx1~Rx4)과 교차하는 영역마다 y축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좁은 폭을 갖는 병목부들(Tb)을 구비한다. 즉,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은 y 축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6)이 제 1 병목부들(Tb1)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은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마찬가지로 y 축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1~Tx26)이 제 2 병목부들(Tb2)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은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6, Tx21~Tx26)로 이루어진다.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은 제 1 크기를 갖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3, Tx14)과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의 크기보다 대략 2배 정도의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2, Tx15)로 이루어진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은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1),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 2개의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4),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5), 및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6)의 순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은 제 1 크기를 갖는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1, Tx23, Tx24)과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의 크기보다 대략 2배 정도의 제 2 크기를 갖는 제 2-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2, Tx25)로 이루어진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은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21), 제 2-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22), 2개의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3, Tx24), 제 2-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25), 및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26)의 순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의 각각에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 Tb2)을 각각 경유하도록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 Tc21~Tc23)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Tx16)과 이들을 연결하는 y축 방향의 제 1 병목부들(Tb1)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은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21~Tx26)과 이들을 연결하는 y축 방향의 제 2 병목부들(Tb2)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고저항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제 1 터치 구동전극(Tx1)의 저항을 낮추어 주고,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은 제 2 터치 구동전극(Tx2)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고저항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제 2 터치 구동전극(Tx2)의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11~Tc13)은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센싱 센싱전극들(Rx1~Rx6)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고, 제 1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TW1)을 통해 제 1 터치 구동 라우팅 패드(TP1)에 연결된다.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들(Tc21~Tc23) 또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6)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고, 제 2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TW2)을 통해 제 2 터치 구동 라우팅 패드(TP2)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치 구동전극들이 2개의 터치 구동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예, 즉, 제 1 터치 구동전극(Tx1)과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 Tc12, Tc13)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1 터치 구동라인과, 제 2 터치 구동전극(Tx2)과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21, Tc22, Tc23)로 이루어지는 제 2 터치 구동라인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 Tc12, Tc13)이 사용되고, 제 2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21, Tc22, Tc23)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각의 터치 구동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두개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이 이용되거나, 4개 또는 그 이상의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1 및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과 제 1-2 및 제 2-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 사이(Tx11, Tx21과 Tx21, Tx22 사이, Tx12, Tx22와 Tx13, Tx23 사이, Tx13, Tx23과 Tx14, Tx24 사이, Tx14, Tx24와 Tx15, Tx25 사이, Tx15, Tx25와 Tx16, Tx26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 Tb2) 및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과 교차하도록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의 각각은 제 1 및 제 2 병목부들(Tb1, Tb2)과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병목부들(Rb)을 구비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에도 저항감축을 위한 제 1 내지 제 4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Rc12, Rc21~Rc22)이 각각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은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제 1 및 제 2 터치 센싱전극들(Rx1~Rx2)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11~Rc12)과, 제 3 및 제 4 터치 센싱전극들(Rx3~Rx4)과 각각 접촉하는 제 3 및 제 4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들(Rc21~Rc22)에 의해 2개의 단위로 그룹화 되어 제 1 터치 센싱라인(Rx1~Rx2, Rc11~Rc12)과 제 2 터치 센싱라인(Rx3~Rx4, Rc21~Rc22)을 구성한다.
제 1 터치 센싱라인(Rx1~Rx2, Rc11~Rc12)은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며,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RW1)을 통해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RP1)에 연결된다. 제 2 터치 센싱라인(Rx3~Rx4, Rc21~Rc22) 또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 및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서 하나로 연결되며,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RW2)을 통해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RP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과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들(Rx1~Rx8)로 이루어지며, 터치 인식을 위한 단위 터치 인식 블록(TU)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과 제 1 내지 제 4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들(Rc11~Rc12, Rc21~Rc22)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과 복수의 터치 센싱전극들을 적절히 그룹화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과 4개의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에 의해 4개의 단위 터치 인식 블록들(TU)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 설명한 터치 구동전극들(Tx1, Tx2)은 모두 공통전극(COM)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수평전계방식 표시장치에 있어 이들은 픽셀전극(Px)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제 1 기판(SUB1)에 형성되고, 픽셀 전극(Px)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공통전극(COM)으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제 1 크기의 제 1-1 및 제 2-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3, Tx14, Tx16; Tx21, Tx23, Tx24, Tx26)의 각각은 1라인 분의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단위 픽셀전극은 색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서브픽셀들을 포함함)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공통전극(COM)으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제 2 크기의 제 1-2 및 제 2-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2, Tx15; Tx22, Tx25)의 각각은 2라인 분의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Tc11~Tc13, Tc21~Tc23) 각각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전극들(Rx1~Rx4)은 게이트 라인과 1:1로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게이트 라인 n개 당 하나의 관계로 규칙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공통전극들(터치 구동전극들)과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 TU에서의 공통전극들(터치 구동 전극), 터치 센싱전극들, 및 픽셀전극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3개의 다른 단위 터치인식 영역도 도 6에 도시된 단위 터치인식 영역(TU)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크기를 갖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3)의 각 영역에 대응하여 1라인분의 복수의 픽셀전극들(Px)이 배치된다.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의 영역에 대응하여 2라인분의 복수의 픽셀전극들(Px)이 배치된다. 또, 제 1-1 및 제 1-2 크기를 갖는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2, Tx13)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들(Rx1, Rx2)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구동전극이 제 1 크기를 갖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1, Tx13, Tx14, Tx16)과,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2, Tx15)을 포함하고,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2, Tx15)의 각각에 대응하여 2라인의 픽셀전극들이 배치되며, 2 라인의 픽셀전극들 사이에 각 라인의 픽셀전극들을 위한 2개의 게이트 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다르다.
다음으로, 도 8a및 도 8b를 참조하여,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이 픽셀전극의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공통전극이 필셀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7에 도시된 영역 R2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I-I' 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의 일부 영역과 그에 인접한 1개의 터치 센싱전극(Rx2)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R2에 배치되는 픽셀전극들(Px)(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Px는 색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서브픽셀들로서, 3개의 서브픽셀이 하나의 단위 픽셀전극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이하, 각 서브픽셀을 단순히 픽셀전극이라 칭함)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기판(SUB1)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과,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전극들(Px)과, 상기 픽셀전극들(Px)과 대향하는 공통전극들(C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공통전극(COM)이 터치 구동전극(Tx)의 기능을 겸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공통전극(COM), 터치 구동전극(Tx),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Tx), 또는 터치 구동전극 겸용 공통전극(COM)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GL)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하는 활성층(A),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형성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기판(SU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게이트 전극(G)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활성층(A)과, 활성층(A)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전극의 하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버텀 구조(gate bottom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제 1 보호막(PAS1)이 형성되고, 제 1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를 위한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과 제 1 보호막(PAS1)에는 드레인 전극(D)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콘택홀(CH)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영역들 내에 각각 픽셀전극(Px)이 형성된다. 픽셀전극(Px)은 유기 절연막(INS)과 제 1 보호막(PAS1)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후술하는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를 갖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과 제 1 크기를 갖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 사이에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터치 센싱전극(Rx2)이 형성된다(도 8a 참조). 터치 센싱전극(Rx2)은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Tb1)와 교차하는 영역의 폭이 좁게 형성된 병목부(Rb)를 포함한다. 터치 센싱전극(Rx2) 상에는 각각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하게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Rc12)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Rx2)과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Rc12)은 게이트 라인(GL)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할 경우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Rc12)에 의해 개구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픽셀전극들(Px)과 터치 센싱전극(Rx2), 및 터치 센싱전극 저항감축 배선(Rc11,Rc12)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2 보호막(PAS2)이 형성된다.
제 2 보호막(PAS) 상에는 데이터 라인(DL)과 중첩되게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다.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은 터치 센싱전극의 병목부(Rb)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공통전극 겸용의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이 병목부(Tc)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은 터치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Tc1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은 적어도 일부분이 픽셀전극(Px)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의 각각은 픽셀전극(Px)과의 사이에 수평전계가 형성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슬릿(SL)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기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픽셀전극(Px)은 슬릿이 없도록 형성되고, 제 2 보호층(PAS2) 상에 형성되는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은 슬릿(SL)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a및 도 9b를 참조하여, 픽셀전극이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의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픽셀통전극이 공통전극 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의 도 7에 도시된 영역 R2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III-III'라인 및 IV-IV'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기판(SUB1)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과,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전극들(Px)과, 상기 픽셀전극들(Px)과 대향하는 공통전극들(C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통전극(COM)이 터치 구동전극(Tx)의 기능을 겸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공통전극(COM), 터치 구동전극(Tx), 공통전극 겸용 터치 구동전극(Tx), 또는 터치 구동전극 겸용 공통전극(COM)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GL)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하는 활성층(A),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형성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기판(SU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게이트 전극(G)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활성층(A)과, 활성층(A)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전극의 하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버텀 구조(gate bottom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전극이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게이트 탑 구조(gate top structrue)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제 1 보호막(PAS1)이 형성되고, 제 1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를 위한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에는 드레인 전극(D)의 일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 1 보호막(PAS)을 노출시키는 제 1 콘택홀(CH1)이 형성된다.
제 1 콘택홀(CH1)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1 병목부(Tb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공통전극(COM) 겸용의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이 형성된다.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 상에는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데이터 라인(DL)을 따라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Tb1)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데이터 라인(DL)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면, 개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과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 배선(Tc11)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INS) 상에는 제 2 보호막(PAS2)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INS)의 제 1 콘택홀(CH1)을 통해 노출되는 제 1 보호막(PAS1)과 제 2 보호막(PAS2)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 콘택홀(CH2)이 형성된다.
제 2 콘택홀(CH2)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 사이에서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방향(x축 방향)으로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Rc12)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Rc12)이 형성된 제 2 보호막(PAS2) 상에는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영역들 내에 각각 픽셀전극(Px)이 형성된다. 또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2, Tx13) 사이에는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Rc12)을 커버하도록 게이트 라인(GL)과 평행하게 터치 센싱전극(Rx2)이 형성된다. 즉, 터치 센싱전극(Rx2)은 제 1-2 터치 구동전극패턴(Tx12)과 제 1-1 터치 구동전극패턴(Tx13)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터치 센싱전극(Rx2)은 이웃하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3)과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Tx12)을 연결하는 병목부(Tb1)와 교차하는 영역에 병목부(Rb)를 갖도록 형성된다.
픽셀전극들(Px)은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픽셀전극들(Px)의 각각은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과의 사이에 수평전계가 형성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슬릿(SL)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기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제 1-1 및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Tx13, Tx12)은 슬릿이 없도록 형성되고, 제 2 보호층(PAS2) 상에 형성되는 픽셀전극(Px)은 슬릿(SL)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에 비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터치 구동전극 패턴이 1라인 분의 복수의 단위 픽셀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단위 픽셀전극 단위로 형성되는 터치 센싱전극과 터치 구동전극 패턴들에 의해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가 증가하여 터치 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터치 센싱전극 및 구동전극 저항감축 배선들과 표시장치의 신호배선들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에 의해 터치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전극이 1라인의 픽셀전극들에 대응하는 제 1-1 터치 구동전극 패턴과, 2라인의 픽셀전극들에 대응하는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터치 센싱전극을 제 1-1 터치 구동전극과 제 1-2 터치 구동전극 사이에 배치하며, 제 1-2 터치 구동전극 패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2라인의 픽셀전극 사이에 게이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게이트 라인과 중첩되는 터치 센싱전극을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 외에도 터치 센싱전극 수의 감축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 및 기생 정전용량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터치 구동전극은 터치 센싱전극으로, 터치 센싱전극은 터치 구동전극으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보호를 위한 제 1 보호막과 평탄화를 위한 유기 절연막을 별도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보호막 또는 유기 절연막의 어느 하나로 두가지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NS : 유기 절연막 PAS1 : 제 1 보호막
PAS2 : 제 2 보호막 Px : 픽셀전극(서브 픽셀전극)
Rx1~Rx8 :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
Rb : 터치 센싱전극의 병목부
Rc11~Rc14, Rc21~Rc24 : 제 1 내지 제 8 터치 센싱전극 저항 감축배선
RW1 :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
RW2 :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배선
RP1 : 제 1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
RP2 : 제 2 터치 센싱 라우팅 패드SUB : 기판
Tx1, Tx2 : 터치 구동전극
Tb1, Tb2 : 터치 구동전극의 병목부
Tx11~Tx16, Tx11~Tx18 : 제 1 터치 구동전극 패턴
Tx21~Tx26, Tx21~Tx28 : 제 2 터치 구동전극 패턴
Tc11~Tc13 : 제 1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
Tc21~Tc23 : 제 2 터치 구동전극 저항 감축배선
TW1 : 제 1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
TW2 : 제 2 터치 구동 라우팅 배선

Claims (13)

  1.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전극들;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 1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1 전극들; [Tx11, Tx12, Tx13, Tx16]
    상기 제 1-1 전극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픽셀전극들의 다른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크기 보다 큰 제 2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2 전극들; 및 [Tx12, Tx15]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1 전극 및 상기 제 1-2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들을 포함하고, [Rx1~Rx4]
    상기 제 1-2 전극들 사이에는 2개의 제 1-1 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전극에 대응하는 픽셀영역들에는 픽셀전극들이 하나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2 전극에 대응하는 픽셀영역들에는 픽셀전극들이 2개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2 전극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2라인의 픽셀전극들 사이에는 각각의 픽셀전극을 위한 2개의 게이트 라인이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1-2 전극에 대응하는 2라인의 픽셀전극들 사이에는 배치되지 않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은 공통전극과 터치 구동전극의 기능을 겸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터치 센싱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은 공통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의 기능을 겸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터치 구동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1 및 1-2 전극들 각각과 접촉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1-1 및 1-2 전극의 저항을 감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 각각에 상기 제 2전극의 방향을 따라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의 저항을 감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극 저항감축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전극과 상기 1-2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병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전극 저항감축 배선은 상기 제 1-1 및 제 1-2 전극들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병목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병목부와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전극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 2 병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제 1 보호막 상에 형성되어 제 1 보호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1-1 내지 제 1-2 전극들은 상기 픽셀전극들을 커버하는 제 2 보호막 상에서 상기 픽셀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13. 제 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및 1-2 전극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제 1 보호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픽셀전극들은 상기 제 1-1 및 제 1-2 전극들을 커버하는 제 2 보호막 상에서 상기 제 1-1 및 1-2 전극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셀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130148525A 2013-12-02 2013-12-02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525A KR102174817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TW103137054A TWI539345B (zh) 2013-12-02 2014-10-27 觸控感測器整合型顯示裝置
EP14193419.0A EP2879027B1 (en) 2013-12-02 2014-11-17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ensor
US14/547,373 US9323375B2 (en) 2013-12-02 2014-11-19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JP2014237504A JP5947360B2 (ja) 2013-12-02 2014-11-25 タッチセンサ一体型表示装置
CN201410720606.2A CN104679326B (zh) 2013-12-02 2014-12-01 触摸传感器集成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525A KR102174817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63A KR20150063763A (ko) 2015-06-10
KR102174817B1 true KR102174817B1 (ko) 2020-11-05

Family

ID=5190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525A KR102174817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3375B2 (ko)
EP (1) EP2879027B1 (ko)
JP (1) JP5947360B2 (ko)
KR (1) KR102174817B1 (ko)
CN (1) CN104679326B (ko)
TW (1) TWI539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94B1 (ko) 2013-02-12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57572A (ko) * 2014-11-13 2016-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9791733B2 (en) * 2014-12-29 2017-10-17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Array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60357286A1 (en) * 2015-06-05 2016-12-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421871B1 (ko) * 2015-11-30 2022-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장치
KR102484885B1 (ko) * 2015-12-07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298B1 (ko) * 2015-12-11 2017-04-10 주식회사 지2터치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3107A (ko) * 2016-01-20 2018-09-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입력 장치, 입출력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533079B1 (ko) * 2016-08-04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압력 감지 장치
JP6804256B2 (ja) * 2016-10-13 2020-12-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8255355B (zh) * 2016-12-29 2021-01-15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8998U (zh) * 2013-04-07 2013-09-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KR101318448B1 (ko) * 2012-12-11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4655B2 (ja) * 2008-04-28 2014-01-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8217913B2 (en) 2009-02-02 2012-07-10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
KR101307962B1 (ko) * 2010-03-19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5533B1 (ko) * 2010-11-22 2013-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2492784B1 (en) * 2011-02-25 2021-02-24 L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1805923B1 (ko) * 2011-08-04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1971147B1 (ko) * 2012-04-09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32043A (ko) * 2012-09-04 201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2838292U (zh) * 2012-10-19 2013-03-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CN102955636B (zh) * 2012-10-26 2015-09-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CN102955637B (zh) * 2012-11-02 2015-09-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3293785B (zh) * 2012-12-24 2016-05-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Tn型液晶显示装置及其触控方法
CN103186306A (zh) * 2013-03-26 2013-07-0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3279217A (zh) * 2013-04-19 2013-09-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3294273A (zh) * 2013-05-31 2013-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448B1 (ko) * 2012-12-11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3178998U (zh) * 2013-04-07 2013-09-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47360B2 (ja) 2016-07-06
EP2879027A2 (en) 2015-06-03
US9323375B2 (en) 2016-04-26
CN104679326A (zh) 2015-06-03
EP2879027B1 (en) 2017-05-10
KR20150063763A (ko) 2015-06-10
US20150153882A1 (en) 2015-06-04
JP2015106412A (ja) 2015-06-08
TW201523384A (zh) 2015-06-16
CN104679326B (zh) 2017-12-01
TWI539345B (zh) 2016-06-21
EP2879027A3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521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4817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82265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917069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10101832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2029437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7716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89620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90601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