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85B1 -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 Google Patents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85B1
KR102174585B1 KR1020200016844A KR20200016844A KR102174585B1 KR 102174585 B1 KR102174585 B1 KR 102174585B1 KR 1020200016844 A KR1020200016844 A KR 1020200016844A KR 20200016844 A KR20200016844 A KR 20200016844A KR 102174585 B1 KR102174585 B1 KR 10217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rush
unit
road surfac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강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to KR102020001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01H1/103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in which the soiled loosening or washing liquid is removed, e.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cleaning sprinkler truck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cleaning sprinkler truck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comprises: a nozzle unit (100); a brush unit (200); a water recovery unit (30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rush unit (200); and water recovery containers (4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Recycling of washing water is possible and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and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for recycling of washing water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본 발명은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 대한 발명으로서, 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분사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노면의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청소하여 도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of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can recycle washing water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spraying washing water onto the road surface, and cleaning pollutants and fine dust on the road surface us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while the brush rotates. This is about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can recycle washing water that can improve the road environment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특허발명 001은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살수차로부터 분사되어 노면에 잔존하는 물을 노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도하여 살수차를 이용한 청소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살수차의 후방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살수차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성 프레임; 상기 고정성 프레임에 장착되며, 고정성 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된 채로 상기 살수차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하 이동성 프레임; 상기 고정성 프레임과 상하 이동성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하 이동성 프레임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 상기 상하 이동성 프레임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하되, 그의 일측단은 상대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의 타측단은 상대적으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차량의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노면에 잔존하는 물을 차량의 일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브러쉬; 및 상기 상하 이동성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와 연결되어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Patent Invention 001 relates to a rear brush for a sprinkler, and is to provide a rear brush for a sprinkler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cleaning using a sprinkler by inducing water that is sprayed from the sprinkler to guide the water remaining on the road surface to a drain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oad surface. . A fixed frame mounted on the frame constituting the sprinkler so as to be locat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sprinkler for this purpose; A vertically movable frame mounted on the fixed frame and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rinkler with one end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At least one cylinder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vertical movable frame to provide power for rotation of the vertical movable frame; Both ends are supported and rotated by the vertical movable frame, but one end thereof is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uch that one end is relatively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relatively locat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water remaining on the road surface is removed from the vehicle. A brush that guides in one direction; And a rear brush for a sprinkler, which is installed on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brush to rotate the brush.

특허발명 002는 높낮이와 스윙 및 틸딩이 가능한 살수장치를 구비한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차량의 전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이상 설치되는 노즐유니트가, 차량에 대한 노즐유니트의 폭방향 이동정도, 차량에 대한 경사각도와 도로면에서의 높이 및 노즐유니트의 분사각이 조절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도로 여건에 따라 다수의 노즐이 구비되는 노즐유니트의 위치변경이 가능하여 청소효과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Patent Invention 002 relates to a cleaning vehicle equipped with a sprinkling device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nd swinging and tilting. In particular, this means that the nozzle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is installed to control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nozzle un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ehicle, the height on the road surface, and the spray angle of the nozzle unit. It is character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thereby increasing the cleaning effect.

특허발명 003은 도로 위의 비점오염물질을 수거하는 노면 청소차량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물질이 수거되어 저장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과 연결되어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유입하여 여과하는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비점오염물질이 여러 단계를 거쳐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복수개가 설치된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입출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Patent Invention 003 is a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collecting non-point pollutants on a road, comprising: a loading box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non-point pollutants;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loading box to introduce the non-point pollutant; And a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to introduce and filter the non-point pollutant material, wherein the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omprises: a case; An elevating means installed in the case; A filter member installed to be elevating by the elevating means,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installed so that the non-point pollutants are filtered through several steps;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to enter and exit the filter member into the case; And a purified water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특허발명 004는 노면 상태에 따라 이동되면서 노면청소를 할 수 있는 브러쉬 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 전방본체, 상기 차량 전방본체의 후방에 구비되며 노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를 갖는 차량 후방본체, 그리고 상기 차량 후방본체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노면의 굴곡상태와 대응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노면에 밀착되어 상기 노면을 청소하는 브러쉬 장치를 포함하는 노면 청소차를 제공한다. Patent Invention 004 relates to a road cleaning vehicle having a brush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road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this end, the vehicle front body, the vehicle rear bod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ront body and having a loading portio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oad surface are sucked and received, and provided in the lower frame of the vehicle rear body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tate of the road surface It provides a road cleaning vehicle including a brush dev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ile moving to clean the road surface.

출원번호 10-2006-0024308Application number 10-2006-0024308 출원번호 10-2006-0120973Application No. 10-2006-0120973 출원번호 10-2013-0099895Application number 10-2013-0099895 출원번호 10-2009-0030522Application number 10-2009-0030522

본 발명은 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노면에 분사된 세척수와 함께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를 쓸어서 회수하고, 회수된 오염수를 정수하여 세척수로 재순환시키며, 재순환된 세척수를 설정된 압력으로 펌핑하여 다시 노면에 분사할 수 있는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washing water on the road surface, sweeps and recovers contaminants and fine dust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on the road surface, purifies the recovered contaminated water and recycles it to the washing water, and pumps the recycled washing water at a set pressure to recirculate the road surface. It is to provide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can recycle the washing water that can be sprayed on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살수차 하부의 브러쉬유닛(200) 앞에 위치하고, 노즐(110)이 노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노면에 고압의 물 분사가 가능한 노즐유닛(100); 차량진행방향 기준으로 상기 노즐유닛(100) 다음에 위치하며, 중심에는 회전축(220)이 설치되고,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성재질의 물회수용 브러쉬(210)가 포함된 브러쉬유닛(200);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브러쉬(210)가 노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절개되며, 상기 브러쉬(210)에 의해 비산된 물방울을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200) 외부에 형성된 물회수유닛(300); 상기 물회수유닛(300)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을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고, 1차 정화를 위해 1차정화장치(410)가 설치된 물회수통(400); 차량과 노면사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하부에 설치된 높이측정센서(500);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로부터 거리를 측정하여 높이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600);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즐유닛(100), 상기 브러쉬유닛(200), 상기 물회수유닛(300), 및 상기 물회수통(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시스템(700); 상기 물회수유닛(300)과 파이프로 연결되고, 회수된 물을 2차로 정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2차물정화장치(810)가 포함된 정화탱크(800); 상기 정화탱크(800)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하는 물탱크(900); 및 상기 물탱크(9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고압으로 상기 노즐유닛(100)에 물을 공급하는 고압펌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which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brush unit 200 under the sprinkler, and the nozzle 110 is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surface. The nozzle unit 100 is installed as a high-pressure water spray to the road surface; A brush unit that is located next to the nozzle unit 100 based o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has a rotation shaft 220 installed at the center, and includes a brush 210 for recovering water of an elastic material radially around the rotation shaft 220 ( 200); The upper par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wrap the upper part of the brush unit 200, and the lower part is cut to allow the brush 210 of the brush unit 200 to contact the road surface, and scattered by the brush 210 A water recovery unit 300 formed outside the brush unit 200 to capture the water droplets; A water recovery tank 4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storing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having a primary purification device 410 installed for primary purification; A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installed under the vehicle to measure the heigh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A control unit 600 that measures a distance from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and generates a height adjustment signal; A hydraulic system 70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nozzle unit 100, the brush unit 200,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and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400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0 ; A purification tank 800 connected to the water recovery unit 300 by a pipe and including a secondary water purification device 810 therein so that the recovered water can be secondarily purified; A water tank 900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tank 800 by a pipe to store purified water; And a high pressure pump 100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900 and supplies water to the nozzle unit 100 at high press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서, 상기 물회수통(400)은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cleaning sprinkler, which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water collection containers 40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2 on the right, and 4 in tot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2개 설치될 수 있다. In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brush units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서, 상기 브러쉬유닛이 2개 설치된 경우, 회전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In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cleaning sprinkler that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brush units are installed, rotation direc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서, 노즐유닛은 노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브러쉬유닛은 노면에 분사된 세척수와 함께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회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unit may spray washing water onto the road surface, and the brush unit may absorb and recover pollutants and fine dust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onto the road surface.

또한, 물회수 구조를 통해서 회수된 오염수를 정수하여 세척수로 재순환시키며, 재순환된 세척수를 설정된 압력으로 펌핑하여 다시 노면에 분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ter recovery structure is purified and recycled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recycled washing water may be pumped at a set pressure and sprayed back onto the road surface.

또한, 회수된 오염수를 물회수통에서 1차정화장치를 통해서 정화하고, 정화통에서 2차정화장치를 통해서 정화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더 줄임으로써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by further reduc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ed water by purifying the recovered contaminated water through a primary purification device in a water recovery tank and purifying through a secondary purification device in a purification tank.

또한, 높이측정센서를 통해서 차량의 높낮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서 브러쉬유닛 등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도로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sensed through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and the height of the brush un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road.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한다.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further includes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과 물회수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과 물회수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분사각도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위치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A, 7B, 및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길이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이 노면에 가압되는 원리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세척수 분사압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과 물회수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회수유닛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회수유닛의 회수로 끝단 각도(α)의 연산 원리를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회수유닛의 회수로 끝단 각도의 형상 연산 원리를 보여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세척수 분사속도와 차량 진행속도에 따른 실제 분사각도의 연산원리를 보여준다.
1 is a side view of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for recycling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can recycle washing water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brush unit and a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rush unit and a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pray angle of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7B, and 7C show the shape of a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ush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shows the principle that the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against the road surface.
9 shows a change in spray pressure of washing water of the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side and perspective views of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can recycle washing water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brush unit and a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end angle α of the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shape of the end angle of the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the principle of calculation of the actual spray angle according to the speed of spra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nozzl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The numbers cit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objects of reference, and may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xamples corresponds to an equal substitution object. The upper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the lower concept object that is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살수차 하부의 브러쉬유닛(200) 앞에 위치하고, 노즐(110)이 노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노면에 고압의 물 분사가 가능한 노즐유닛(100); 차량진행방향 기준으로 상기 노즐유닛(100) 다음에 위치하며, 중심에는 회전축(220)이 설치되고,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성재질의 물회수용 브러쉬(210)가 포함된 브러쉬유닛(200);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브러쉬(210)가 노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절개되며, 상기 브러쉬(210)에 의해 비산된 물방울을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200) 외부에 형성된 물회수유닛(300); 상기 물회수유닛(300)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을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고, 1차 정화를 위해 1차정화장치(410)가 설치된 물회수통(400); 차량과 노면사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하부에 설치된 높이측정센서(500);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로부터 거리를 측정하여 높이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600);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즐유닛(100), 상기 브러쉬유닛(200), 상기 물회수유닛(300), 및 상기 물회수통(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시스템(700); 상기 물회수유닛(300)과 파이프로 연결되고, 회수된 물을 2차로 정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2차물정화장치(810)가 포함된 정화탱크(800); 상기 정화탱크(800)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하는 물탱크(900); 및 상기 물탱크(9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고압으로 상기 노즐유닛(100)에 물을 공급하는 고압펌프(1000)를 포함한다. (Example 1-1)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which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for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brush unit 200 under the sprinkler, and the nozzle 110 is installed in the road surface direction. Nozzle unit 100 capable of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A brush unit that is located next to the nozzle unit 100 based o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has a rotation shaft 220 installed at the center, and includes a brush 210 for recovering water of an elastic material radially around the rotation shaft 220 ( 200); The upper par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wrap the upper part of the brush unit 200, and the lower part is cut to allow the brush 210 of the brush unit 200 to contact the road surface, and scattered by the brush 210 A water recovery unit 300 formed outside the brush unit 200 to capture the water droplets; A water recovery tank 4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storing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having a primary purification device 410 installed for primary purification; A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installed under the vehicle to measure the heigh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A control unit 600 that measures a distance from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and generates a height adjustment signal; A hydraulic system 70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nozzle unit 100, the brush unit 200,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and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400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0 ; A purification tank 800 connected to the water recovery unit 300 by a pipe and including a secondary water purification device 810 therein so that the recovered water can be secondarily purified; A water tank 900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tank 800 through a pipe to store purified water; And a high pressure pump 100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900 and supplies water to the nozzle unit 100 at high pressure.

도 1을 참조하면,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10)의 전면측에는 노즐유닛(100), 브러쉬유닛(200), 물회수유닛(300), 및 유압시스템(700) 등이 구성되고, 차량 하부 일측에는 높이측정센서(5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노즐유닛(1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의 전면측, 후면측, 또는 앞차축과 뒤차축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차량의 일측과 타측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유닛(200)이 2개가 설치된 경우에, 하나는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는 시계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시스템(700)은 가스 또는 유체를 이용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물회수유닛(300)에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 앞쪽의 레일(14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1, a nozzle unit 100, a brush unit 200, a water recovery unit 300, and a hydraulic system 700 are configur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10, and a lower side of the vehicle In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is further installed. The nozzle unit 100, the brush unit 20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30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or between the front and rear axles. In particular, two brush units 2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wo brush units 200 are installed, one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may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ver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hydraulic system 700 may include a cylinder using gas or fluid, and the rotation shaft 220 is rotatably mounted by a drive motor (not shown) in the water recovery unit 300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vertically along the rail 140 in front of the vehicle.

도 2를 참조하면,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노즐유닛(100), 브러쉬유닛(200), 물회수유닛(300), 물회수통(400), 1차정화장치(410), 높이측정센서(500), 유압시스템(700), 정화탱크(800), 2차정화장치(810), 물탱크(900), 고압펌프(10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유닛(100)은 노즐(110)을 통해서 고압 세척수를 노면으로 분사하고,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노면의 오염수를 흡착하며,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흡착된 오염수를 회수하고, 상기 물회수통(400)은 회수된 오염수를 저장하며, 1차정화장치(410)는 상기 물회수통(400)에 담긴 오염수를 1차로 정화한다. 또한,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는 노면으로부터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유압시스템(700)은 노즐유닛(100) 및 브러쉬유닛(200)과 함께 물회수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화탱크(800)는 1차로 정화된 오염수를 정화하고, 2차정화장치(810)는 정화탱크(800)에 담긴 오염수를 2차로 정화하며, 상기 물탱크(900)는 정화된 세척수를 저장하고, 상기 고압펌프(1000)는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노즐(110)로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600)는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로부터 감지되는 높이신호에 따라서 상기 유압시스템(700)을 제어하여 상기 물회수유닛(3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노즐유닛(100)의 전체 높이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외부 서버(830)와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washing water recycling can be recycled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is a nozzle unit 100, a brush unit 200, a water collection unit 300, a water collection container 400, and a primary purification device. 410, a height measuring sensor 500, a hydraulic system 700, a purification tank 800, a secondary purification device 810, a water tank 900, a high pressure pump 1000, and a control unit 600. . The nozzle unit 100 sprays high-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nozzle 110, the brush unit 200 adsorbs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water recovery unit 300 recovers the adsorbed contaminated water. In addition, the water recovery container 400 stores the recovered contaminated water, and the primary purification device 410 first purifies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overy container 400. In addition,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senses the height of the vehicle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hydraulic system 7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100 and the brush unit 200 The purification tank 800 purifies the contaminated water that was firstly purified, the secondary purification apparatus 810 purifies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purification tank 800 secondarily, and the water tank 900 is The washing water is stored, and the high pressure pump 1000 transmits the stored washing water to the nozzle 110 at a preset pressur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controls the hydraulic system 700 according to a height signal sensed from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to control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the brush. The unit 200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nozzle unit 100 may be controlled, and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external server 830 may be performed.

(실시예 1-2)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압시스템(700)은 유체 또는 가스로 작동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 1-2) Washing water recyc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is in Example 1-1, wherein the hydraulic system 700 includes a cylinder operated by fluid or gas. can do.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시스템(700)은 에어압력 또는 유체압력으로 작동되는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스크류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20)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물회수유닛(300)에 장착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 앞쪽의 레일(14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회수유닛은 노즐유닛, 및 브러쉬유닛과 함께 차량의 하부, 또는 후방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hydraulic system 700 may include a cylinder operated by air pressure or fluid pressure, and may be composed of a screw and a motor that rotates it, and the rotation shaft 220 is a drive motor (not shown). It is mounted on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so as to be rotatable by a), and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vertically along the rail 140 in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water recovery unit may be installed at a selected position at the bottom or rear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and the brush unit.

(실시예 1-3)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는 초음파센서 또는 광센서일 수 있다. (Example 1-3) Washing water recyc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is in Example 1-1, wherein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may be an ultrasonic sensor or an optical sensor. .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는 노면으로부터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물회수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로부터 감지되는 높이신호에 따라서 상기 유압시스템(700)을 제어하여 상기 물회수유닛(3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노즐유닛(100)의 전체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1 and 2,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50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height of the vehicle from the road surface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600 is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 According to the height signal sensed from 500), the hydraulic system 700 may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total height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he brush unit 200, and the nozzle unit 100.

(실시예 1-4)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노즐(110)로 공급되는 펌핑압력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Example 1-4) In Example 1-1, the control unit 600 is the pumping pressure supplied to the nozzle 110 in the embodiment 1-1, wherein the washing water recycling is possible and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The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can be repeated periodically.

도 9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노즐(110)로 압송되는 세척수의 압력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압력(P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P0에서 Pf로 주기적으로 변동시키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노면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세척수의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ressure change of the washing water that is pumped to the nozzle 110. In general, washing water is sprayed at a constant pressure (P1).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ing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periodically changed from P0 to Pf, and by repeating this, contamination of the road surface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consumption of the washing water can be reduced. .

(실시예 1-5)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차량의 전면측, 후면측, 또는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Example 1-5) The washing water recyc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is in Example 1-1, wherein the brush unit 200 is a front side, a rear side of a vehicle, or It can be plac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도 1을 참조하면,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10)의 전면측에는 노즐유닛(100), 브러쉬유닛(200), 물회수유닛(300), 및 유압시스템(700) 등이 구성된다. 상기 노즐유닛(1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의 전면측, 후면측, 또는 앞차축과 뒤차축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nozzle unit 100, a brush unit 200, a water recovery unit 300, and a hydraulic system 700 are configur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10. The nozzle unit 100, the brush unit 20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30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or between the front and rear axles.

(실시예 1-6)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1000)에 의해서 펌핑되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1120), 및 생성된 스팀을 저장하고, 상기 노즐(110)로 공급하는 스팀챔버(1125)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 1-6) Washing water recyc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is in Example 1-1, by heating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high pressure pump 1000 to generate steam. It may include a boiler 1120 to generate and a steam chamber 1125 to store the generated steam and to supply the generated steam to the nozzle 110.

도 11을 참조하면, 고압펌프(1000)와 노즐유닛(100) 사이에는 보일러(1120)와 스팀챔버(1125)가 구성되고, 상기 고압펌프(1000)와 상기 보일러(1120) 사이 및 상기 보일러(1120)와 상기 스팀챔버(1125) 사이에는 체크밸브(도면부호 미표시)가 더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팀챔버(1125)와 상기 노즐유닛(100) 사이에는 제어부(600)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어밸브(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일러(1120)는 열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스팀챔버(1125)는 생성된 스팀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는 제어부(600)에 의해서 컨트롤되어 상기 노즐유닛(100)으로 스팀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 대신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boiler 1120 and a steam chamber 1125 are configured between the high pressure pump 1000 and the nozzle unit 100, and between the high pressure pump 1000 and the boiler 1120 and the boiler ( A check valve (not shown) may be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1120 and the steam chamber 1125, and a control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0 between the steam chamber 1125 and the nozzle unit 100 (Not shown) may be further configured. In this embodiment, the boiler 1120 may generate steam by heating the washing water using a heat source, and the steam chamber 1125 stores the generated steam. 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0 to appropriately supply steam to the nozzle unit 100. As described above, by spraying steam instead of washing wa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and fine dust from the road surface.

(실시예 1-7)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물회수통(400), 정화탱크(800), 또는 상기 물탱크(9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Example 1-7) Washing water recyc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according to Example 1-1, the water recovery tank 400, the purification tank 800, or the water tank A heat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may be disposed at 900.

도 2를 참조하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1120) 대신에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히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는 물회수통(400), 정화탱크(800), 물탱크(900), 또는 세척수 순환라인에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heater may be dispo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stead of the boiler 1120 that generates steam, and such heaters include a water recovery tank 400, a purification tank 800, and a water tank 900. Or it may be configured in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실시예 2-1)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1-1에서, 상기 물회수통(400)은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Example 2-1)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for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Example 1-1, wherein the water collection tank 400 is 2 on the left, 2 on the right, and a total of 4 can be install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양측에는 총 4개의 물회수통(400)이 배치된다. 즉, 상기 물회수통(400)은 제1회수로(310)의 양단과 제2회수로(3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물회수통(400)에 임시로 저장된 오염수는 정화탱크(800)로 별도의 순환펌프에 의해서 순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유닛(100)은 좌우로 설치되는 노즐용파이프(1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용파이프(120)에 상기 노즐(110)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설정된 각도로 세척수를 노면으로 분사한다. Referring to FIG. 4, a total of four water collection containers 4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That is, the water recovery tank 40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ecovery channel 310 and both ends of the second recovery channel 320, respectively. The contaminated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recovery tank 400 may be circulated to the purification tank 800 by a separate circulation pump. In addition, the nozzle unit 100 includes a nozzle pipe 120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the nozzles 110 are disposed at a set interval in the nozzle pipe 120, and the washing water is applied to the road surface at a set angle. To spray.

(실시예 3-1)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1-1에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2개 설치될 수 있다. (Example 3-1)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for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Example 1-1, and two brush units 200 may be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유닛(1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의 전면측, 후면측, 또는 앞차축과 뒤차축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러쉬유닛은 차량의 일측과 타측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nozzle unit 100, the brush unit 20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30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at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or between the front and rear axles. have. In particular, two brush units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실시예 4-1) 본 발명의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는 실시예3-1에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이 2개 설치된 경우, 회전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Example 4-1)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that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for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Example 3-1, when two brush units 200 are installed, the rotation directions may be different. hav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차량의 일측과 타측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유닛(200)이 2개가 설치된 경우에, 하나는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는 시계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노면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wo brush units 2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wo brush units 200 are installed, one rotates clockwise (forward) and the o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road surfac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유닛(100)은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앞쪽 아래에 배치되어 노면측으로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고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차량의 좌우로 놓인 원통 구조이고, 하부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개방구 양측에 제1회수로(310)와 제2회수로(320)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안쪽 중심부에 배치되는 회전축(220), 및 상기 회전축(220)에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브러쉬(210)들을 포함하고, 고정바(330)는 상기 회전축(220)과 나란하게 고정되어 배치된다. 먼저, 상기 고압펌프(1000)에 의해서 상기 노즐(11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면, 1차로 노면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등을 적시고, 이를 포함한 오염수가 상기 브러쉬(210)에 의해서 흡착되며, 흡착된 오염수는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브러쉬(210)에서 이탈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내면을 따라서 흘러내려서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상기 제1,2회수로(310, 320)에 포집된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210)에 부착된 오염수는 상기 고정바(330)에 부딪혀서 오염수가 이탈된다. 도 3에서, 유압시스템(700)에 의해서 상기 물회수유닛(300), 상기 브러쉬유닛(200), 및 상기 노즐유닛(100)은 함께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지면의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ozzle unit 100 is disposed below the front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is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t an inclination angle set toward the road surface. The water recovery unit 30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lower side is open, and a first recovery channel 310 and a second recovery channel 320 ar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In addition, the brush unit 200 includes a rotation shaft 220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brushes 210 disposed radially from the rotation shaft 220, and a fixed bar ( 330 is fixed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shaft 220. First,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nozzle 110 by the high pressure pump 1000, fine dust and contaminants on the road surface are first wetted, and the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this is adsorbed by the brush 210, and The contaminated water is separated from the brush 210 by centrifugal force, flows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is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overy channels 310 and 320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water attached to the brush 210 collides with the fixing bar 330 and the contaminated water is released. In Figure 3,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he brush unit 200, and the nozzle unit 100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by the hydraulic system 700, and through this vertical movement, It can prevent collision.

도 5를 참조하면, 분사각도조절장치(130)는 모터(715), 워엄기어(710), 및 웜휠기어(72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715)가 상기 워엄기어(7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워엄기어(710)와 외접한 상기 웜휠기어(720)가 회전하고, 상기 웜휠기어(720)는 상기 노즐유닛(100)의 상기 노즐용파이프(120)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110)의 분사각(θ)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도로상황이나 차량속도, 및 세척수 분사속도에 따라서 노즐(110)의 분사각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모터(715)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injection angle control device 130 includes a motor 715, a worm gear 710, and a worm wheel gear 720. When the motor 715 rotates the worm gear 710, the worm wheel gear 720 circumscribed to the worm gear 710 rotates, and the worm wheel gear 720 rotates the worm gear 710 of the nozzle unit 100. By rotating the nozzle pipe 120, the spray angle θ of the nozzle 110 can be adjusted, and the control unit 600 adjusts the spray angle of the nozzle 110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vehicle speed, and washing water spray speed. The motor 715 can be controlled to optimiz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워엄기어 대신에 벨트나 링크를 통해서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노즐의 세척수 분사 특성은 직진으로 분사하거나, 미리 설정된 형태로 확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워엄기어(720)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분사영역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angle of the nozzle can be controlled through a belt or a link instead of the worm gear, and the washing water spray characteristic of the nozzle is sprayed straight or diffused in a preset form and sprayed. I ca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worm gear 7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ray area together.

도 6을 참조하면, 노즐유닛(100)의 전체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150)와 수직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1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장치(150)는 상기 노즐유닛(100)을 살수차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수직이동장치(160)는 상기 노즐유닛(100)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장치(150)와 상기 수직이동장치(160)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 스크류 등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horizontal moving device 15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entire nozzle unit 100 and a vertical moving device 160 for vertically moving may be further configured. The horizontal moving device 150 may move the nozzle uni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prinkler, and the vertical moving device 160 may move the nozzle unit 100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horizontal moving device 150 and the vertical moving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by a hydraul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or a motor driving screw.

도 7A의 (a)를 참조하면, 브러쉬(210)의 단면은 얇은 직사각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브러쉬(210)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섬유로도 이뤄질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210)의 단부 일면에는 물포획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물포획부(211)에는 설정된 형태를 갖는 딤플(910)이 형성되고, 이 딤플(910)들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210)는 노면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서 마모되고, 그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며, 이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마모한계선(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모한계선(212)은 차별되는 색을 갖는 점이나 선, 또는 돌기/홈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7A, the cross section of the brush 210 has a thin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brush 210 may be made of rubber or plastic, and may be made of several fibers. As shown, a water trap 211 is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rush 210. Dimples 910 having a set shape are formed in the water catching part 211, and the dimples 910 may be arranged at a set interval. In addition, the brush 210 may be worn by the road surface and the sliding operation, and its length may be shortened, and a wear limit line 212 may be further formed to visually confirm this. Here, the wear limit line 212 may be implemented by being transformed into a dot or line having a differentiated color, or a protrusion/groove structure.

도 7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십자형태의 요철부(920)가 형성되고, 이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920)는 돌기 또는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요철부(920)의 형태와 크기를 설계 사양에 따라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b), a cross-shaped uneven portion 920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ush 210, and they may be arranged at a set interval. The uneven portion 920 may have a structure of a protrusion or groove,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uneven portion 920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도 7B의 (a)를 참조하면, 브러쉬(210)의 단면은 십자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로 오염수의 흡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정된 길이마다 마디(9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디(9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210)에서 돌출된 구조를 가지거나, 반대로 움푹 들어간 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7B, the cross section of the brush 210 may have a cross-shape, and nodes 930 may be formed for each set length in order to improv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contaminated road water. Here, the node 930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brush 210 as shown, or may have a concave groove structure.

도 7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딤플(910)이 형성되고, 이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설정된 위치에 브러쉬(210)의 단부를 밴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밴딩홈(9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7B, dimples 91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ush 210, and they may be arranged at a set interval, and the end of the brush 210 is bent at a position set in the length direction. A bending groove 940 that can be removed may be further formed.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톱날과 같은 구조로 돌기부(9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950)는 미리 설정된 경사각(x)과 홈 구조를 가지고 노면의 오염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C, a protrusion 9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ush 210 in a structure such as a saw blade. The protrusion 950 may more effectively adsorb and remove contaminated water from a roa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x and a groove structure.

도 8A을 참조하면, 회전축(220)에서 방사방향으로 브러쉬(210)들이 장착된다. 상기 브러쉬(210)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2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노면과 슬라이딩되는 물포획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210)의 일단에는 브러쉬길이조절부(230)가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길이조절부(230)는 삽입홈(1110), 고정부재(820), 및 탄성부재(110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1110)에는 입구측으로 밀착경사면(11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820)는 밀착부재(825), 및 누름부(1105)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220)에는 설정된 위치에 삽입홈(11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0)의 안쪽에서 입구측으로 좁아지는 밀착경사면(1115)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10)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고정부재(820)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820)에서 삽입된 부분에는 밀착부재(825)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825)는 상기 밀착경사면(111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820)의 외측 단부에 누름부(1105)가 노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210)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8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1110) 안쪽으로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100)는 상기 삽입홈(1110)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부재(820)를 바깥쪽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밀착부재(825)가 상기 밀착경사면(1115)에 밀착되고, 이 밀착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820)가 상기 브러쉬(210)의 일단을 고정한다.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820)의 상기 누름부(1105)를 안쪽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1100)가 압축되고, 상기 고정부재(820)가 안쪽으로 들어가며, 상기 밀착부재(825)가 상기 브러쉬(210)를 고정하는 힘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210)가 안쪽으로 삽입되거나, 바깥으로 인출되어 상기 브러쉬(2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brushes 210 are mount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shaft 220. One end of the brush 2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20,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water trap 211 sliding with the road surface, and a brush length adjusting unit 230 at one end of the brush 210 Is composed. The brush length adjusting part 23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110, a fixing member 820, and an elastic member 1100, and a close contact slope surface 1115 i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10 toward the inlet side, and the The fixing member 820 includes a contact member 825 and a pressing part 1105. In more detail, the rotation shaft 220 has an insertion groove 1110 formed at a set position, and a close contact slope 1115 that narrows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10 toward the entrance is further formed.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820 is inserted inward from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1110, a contact member 825 is formed at the portion inserted from the fixing member 820, and the contact member 825 is the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115, and is formed by exposing the pressing part 1105 to the outer end of the fixing member 820. In addition, one end of the brush 21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8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0. The elastic member 1100 elastically supports the fixing member 820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10, so that the contact member 8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slope surface 1115, and by this adhesion force The fixing member 820 fixes one end of the brush 210.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art 1105 of the fixing member 820 inward, the elastic member 1100 is compressed, the fixing member 820 enters inward, and the contact member 825 is applied to the brush. The force holding 210 is released. Accordingly, the brush 210 may be inserted inwardly or outwardly, so that the length of the brush 210 may be easily adjusted.

도 8B를 참조하면, 유압시스템(700)의 하부에는 브러쉬유닛(200)의 회전축(220)을 회전가능하게 노면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가 구성되고, 이 가압장치는 제1부재(885), 가압탄성부재(880), 제2부재(890), 지지부재(895), 및 베어링하우징(870)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시스템(700)은 상기 제1부재(885)를 하부로 밀거나 상부로 당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885)와 상기 제2부재(890) 사이에 상기 가압탄성부재(880)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890)의 하면으로 지지부재(895)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895)의 하단에 상기 베어링하우징(870)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895)와 상기 베어링하우징(870) 사이에 회전축의 중심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880)는 상기 브러쉬유닛(200)을 노면으로 설정된 탄성력으로 밀착하여 브러쉬유닛(200)이 노면을 균일하게 청소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8B, a pressurizing device for pressing the rotating shaft 220 of the brush unit 200 to the road surface rotatably is configured under the hydraulic system 700, and the pressurizing device includes a first member 885, a pressurizing elasticity. A member 880, a second member 890, a support member 895, and a bearing housing 870 are included. The hydraulic system 700 is configured to push the first member 885 downward or pull it upward, and the pressurization elastic member 880 between the first member 885 and the second member 890 Is interposed. And, the support member 895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890, the bearing housing 87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895, the support member 895 and the bearing hou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87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essing elastic member 880 closely contacts the brush unit 200 with an elastic force set to the road surface so that the brush unit 200 cleans the road surface uniformly.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노즐유닛(100)의 단부에는 회전부(101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1010)에는 4개의 노즐(110)이 사방에 배치되며, 이 노즐(110)은 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110)로 설정된 압력의 세척수가 공급되며, 상기 회전부(1010)가 회전하고, 4개의 노즐(110)들도 이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노즐(1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노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양도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a), the end of the nozzle unit 100 is configured with a rotating part 1010, the rotating part 1010 has four nozzles 110 are arranged in all directions, the nozzle 110 It is configur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of the pressure set by the nozzle 110 is supplied, the rotating part 1010 rotates, and the four nozzles 110 rotate with it.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at least two rotating nozzles 110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can be reduced.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노즐유닛(100)의 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분사구(111) 집합체가 구성되고, 이 집합체의 원주를 따라서 상기 분사구(111)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넓은 면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노면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0, an assembly of disk-shaped nozzles 111 is configured at an end of the nozzle unit 100, and the jetting holes 111 may be arranged at a set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ssembly.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road surface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over a wider area.

도 12는 도 3과 비교되며, 도 12에서는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삭이 물회수유닛(30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이 개방구의 양측에는 각각 제1회수로(310)와 제2회수로(3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수로(310)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보조커버(12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에는 상기 보조커버(1220) 측으로 연결된 연결홀(1225)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커버(1220)의 하단에는 보조회수로(1210)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이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브러쉬(210)가 오염수를 노면에서 흡착하고, 흡착된 오염수가 물회수유닛(300)의 내면으로 뿌려지고, 뿌려진 오염수가 흘러내려서 상기 제1,2회수로(310, 320)와 상기 보조회수로(1210)로 포집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에 의해서 흡착된 오염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오염수의 흘러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안쪽에는 고정바(330)가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210)의 단부가 상기 고정바(330)에 부딪히면서 흡착된 오염수를 용이하게 이탈시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330)에는 별도의 탈착날개(12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30)가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탈착날개(1200)가 상기 브러쉬(210)의 끝단과 부딪히면서 상기 브러쉬(210)에 흡착된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210)가 장착된 회전축(220)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20)과 상기 고정바(330)가 하나의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20)과 상기 고정바(33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로 설정되어 오염수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 12 is compared with FIG. 3, and in FIG. 12, characteristic differences are mainly described. As shown, the water collecting unit 30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a first return passage 310 and a second return passage 320 ar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In addition, an auxiliary cover 1220 is further 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recovery channel 310 to the upper side, and a connection hole 1225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ver 1220 is further formed in the water recovery unit 300, , An auxiliary recovery path 1210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cover 12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brush unit 200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220, the brush 210 adsorbs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adsorbed contaminated water is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he contaminated water is sprinkled and the sprinkled contaminated water flows down and is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overy channels 310 and 320 and the auxiliary recovery channel 1210.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water adsorbed by the brush unit 200 can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and the overflow of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ar 33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ng shaft inside the water collecting unit 300, and the end of the brush 210 hits the fixing bar 330 to facilitate the adsorbed contaminated water. It can be recovered by breaking away. Meanwhile, as shown in FIG. 12, a separate detachable blade 120 is attached to the fixing bar 330. In addition, the fixing bar 330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and the desorption blade 1200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brush 210 to effectively release the contaminated water adsorbed on the brush 210. 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220 on which the brush 210 is mounted may als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220 and the fixing bar 330 may be connected to one driving belt to rotate together. ,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rotation shaft 220 and the fixing bar 330 are set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to improve separation efficiency of contaminated water.

도 13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유닛(200)에 의해서 포집된 오염수는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내면으로 뿌려지고, 뿌려진 오염수가 흘러내려서 상기 제1회수로(310)와 제2회수로(320)로 포집되는데,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내면에는 오염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00)는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00)는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오염수를 하부로 유도하도록 하부로 경사각을 가지고 지그 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a)와 (b)의 구조가 함께 상기 물회수유닛(300)의 내면에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13A(a),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by the brush unit 200 is sprayed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by centrifugal force, and the sprinkled contaminated water flows down and the first recovery passage ( It is collected by 310 and the second recovery channel 320, and a guide part 1300 for guiding the flow of contaminated water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he guide part 130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a), and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00. In addition, the guide part 130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collection unit 300 as shown in (b), and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with an inclination angle downward to guide contaminated water downward. have. In addition, the structures (a) and (b) may be compositely configu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together.

도 13B를 참조하면, 물회수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제1,2회수로(310, 320)가 형성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수로(310)의 양단에 물회수통이 구성된다. 아울러, 제1회수로(310)의 길이방향 중심부는 높고 양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배를 갖는다. 따라서, 제1회수로(310)에 모인 오염수가 물회수통으로 신속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B, first and second recovery channels 310 and 32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recovery unit, and as shown, water recovery tanks are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ecovery channel 310.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first return channel 310 is high and has a gradient that decreases toward both ends.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recovery channel 310 can quickly flow into the water recovery tank.

도 14를 참조하면, R은 브러쉬유닛(200)의 회전반경을 나타내고, L은 회전축(220)의 회전중심에서 노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α는 R과 L에 대응하는 변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β= 180-90-α이며, α’는 브러쉬유닛(200)의 회전반경의 접선과 대응하는 것으로 α과α’는 동일하다. 아울러, cosα=L/R로 표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α는 도 3 및 도 12에 기재된 α와 대응되는 것으로, 이는 제1회수로(310) 끝단은 노면과 일정각도(α)의 직선 경사면이 형성된다. 14, R represents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200, L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220 to the road surface, and α represents the angle between the sides corresponding to R and L. , β=180-90-α, α'corresponds to the tangent line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brush unit 200, and α and α'are the same. In addition, it can be expressed as cosα=L/R.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α corresponds to α described in FIGS. 3 and 12, which has a road surface and a straight slope of a predetermined angle α at the end of the first return channel 310.

도 15를 참조하면, 제1회수로(310) 끝단은 일정각도(α)의 직선 경사면 대신에 아래 관계식 2에 따른 곡선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1
, {a는 0.05 ~ 0.1, b는 5 ~ 20, 단위: mm}일 수 있고, a는 0.064mm이고, b는 10mm일 수 있으며,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회수로(310, 큰물 회수로)의 끝단 곡선 경사면의 형태는 위의 수식을 따르며, 제1회수로는 브러쉬(210)의 회전에 따라서 브러쉬에서 비산되는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end of the first return channel 310 may have a curved slope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lational equation 2 instead of a linear slope of a predetermined angle α. In other words,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1
, {a may be 0.05 to 0.1, b may be 5 to 20, unit: mm}, a may be 0.064mm, and b may be 10mm, which may vary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urved slope at the end of the first recovery channel 310 (large water recovery path) follows the above equation, and the first recovery channel is scattered from the brus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210 Contaminated water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도 16을 참조하면, x축은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고, y축은 높이를 나타내며, V1은 노즐분사속도, V2는 차량의 속도(m/s)를 나타내며, α는 실제분사각을 나타내며, θ는 노즐각도를 나타내며, 도 16을 참조하여, 16, the x-axis represents the vehicle speed, the y-axis represents the height, V1 represents the nozzle injection speed, V2 represents the vehicle speed (m/s), α represents the actual injection angle, and θ represents the nozzle. Represents an angle, and referring to FIG. 16,

수식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2
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 수식으로부터 실제분사각 α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차량 속도가 36km/h이면, V2은 10m/s이고, V1는 10m/s로 가정하면, 실제분사각 α는 약 29.15도로 연산될 수 있다. 도 16에서, V2는 차량의 속도이고, 실제 차량의 이송방향은 도면상에서 왼쪽이라 가정하면, 이는 노즐의 분사방향과 반대이므로, V2는 마이너스 값이므로 V2는 오른쪽으로 표현될 수 있다. Equation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2
Can be derived, and the actual injection angle α can be derived from this equation. For example, if the vehicle speed is 36km/h, assuming that V2 is 10m/s and V1 is 10m/s, the actual injection angle α can be calculated at about 29.15 degrees. In FIG. 16, assuming that V2 is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ctual vehicle transport direction is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his is opposite to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so V2 is a negative value, so V2 can be expressed as the r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면에 대해서 θ-α의 차이만큼 노즐 각도를 가변시켜서 실제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6을 참조하면,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spray angle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nozzle angle by a difference of θ-α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6,

수식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3
가 도출된다. 여기서, θ1는 정차시 노즐 경사각이고, θ2는 주행시 노즐 경사각이며, α는 주행시 차속 고려 분사각이며, f는 차속계수이다. 따라서, 정차시 노즐 경사각과 차속, 분사속도를 통해서 차속 고려 분사각(α)을 연산하고, 여기에 차속계수(f)를 곱하여 실제 주행시 노즐 경사각(θ2)을 도출할 수 있다. Equation
Figure 112020014701133-pat00003
Is derived. Here, θ1 is the nozzle inclination angle when stopping, θ2 is the nozzle inclination angle during driving, α is the injection angle considering the vehicle speed during driving, and f is the vehicle speed coeffici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njection angle α considering the vehicle speed through the nozzle inclination angle, vehicle speed, and injection spe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nd multiply this by the vehicle speed factor f to derive the nozzle inclination angle θ2 during actual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서버(830)를 장착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600)로 입력된 신호 및 제어부(600)의 작동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고 분석한다. 상시 데이터 전송은 송수신장치에 의해 유무선으로 이루어진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830 is mounted at a location away from the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which can recycle the washing water and is effective for removing fine dust. The server receives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600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0 in real time, stores the transmitted data, and classifies and analyzes each category. The constant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0: 살수차 100: 노즐유닛
110: 노즐 120: 노즐용파이프
130: 분사각도조절장치 150: 수평이동장치
160: 수직이동장치 200: 브러쉬유닛
210: 브러쉬 211: 물포획부
212: 마모한계선 220: 회전축
230: 브러쉬길이조절부 1300: 가이드부
300: 물회수유닛 310: 제1회수로
320: 제2회수로 330: 고정바
400: 물회수통 410: 1차정화장치
500: 높이측정센서 600: 제어부
700: 유압시스템 715: 모터
710: 워엄기어 720: 웜휠기어
800: 정화탱크 810: 2차정화장치
820: 고정부재 825: 밀착부재
830: 서버 900: 물탱크
910: 딤플 920: 요철부
930: 마디 940: 밴딩홈
950: 돌기부 1000: 고압펌프
1010: 회전부 1100: 탄성부재
1105: 누름부 1110: 삽입홈
1115: 밀착경사면 1120: 보일러
1125: 스팀챔버 1200: 탈착날개
1220: 보조커버 1225: 연결홀
1210: 보조회수로
10: sprinkler 100: nozzle unit
110: nozzle 120: nozzle pipe
130: spray angle control device 150: horizontal moving device
160: vertical movement device 200: brush unit
210: brush 211: water trap
212: wear limit line 220: rotating shaft
230: brush length adjustment unit 1300: guide unit
300: water recovery unit 310: first recovery channel
320: second recovery route 330: fixed bar
400: water recovery container 410: primary purification device
500: height measurement sensor 600: control unit
700: hydraulic system 715: motor
710: worm gear 720: worm wheel gear
800: purification tank 810: secondary purification device
820: fixing member 825: contact member
830: server 900: water tank
910: dimple 920: uneven portion
930: node 940: banding groove
950: protrusion 1000: high pressure pump
1010: rotating part 1100: elastic member
1105: pressing part 1110: insertion groove
1115: close slope 1120: boiler
1125: steam chamber 1200: detachable wing
1220: auxiliary cover 1225: connection hole
1210: auxiliary return route

Claims (4)

세척수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에 있어서,
살수차 하부의 브러쉬유닛(200) 앞에 위치하고, 노즐(110)이 노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노면에 고압의 물 분사가 가능한 노즐유닛(100);
차량진행방향 기준으로 상기 노즐유닛(100) 다음에 위치하며, 중심에는 회전축(22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성재질의 물회수용 브러쉬(210)가 포함된 브러쉬유닛(200);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브러쉬유닛(200)의 브러쉬(210)가 노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절개되며, 상기 브러쉬(210)에 의해 비산된 물방울을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200) 외부에 형성된 물회수유닛(300); 및
상기 물회수유닛(300)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을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고, 1차 정화를 위해 1차정화장치(410)가 설치된 물회수통(400);을 포함하고,
상기 물회수유닛(300)은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210)와 충돌하면서 오염수의 이탈을 보조하고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바(33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210)는 단부 일면에 딤플(910)이 형성되는 물포획부(211);를 구비하는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
In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which is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recycled,
A nozzle unit 100 located in front of the brush unit 200 under the sprinkler, and having a nozzle 110 installed in the road surface direction to spray high pressure water on the road surface;
A brush unit that is located next to the nozzle unit 100 based o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has a rotation shaft 220 installed at the center, and includes a brush 210 for recovering water of an elastic material radially around the rotation shaft 220 (200);
The upper par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wrap the upper part of the brush unit 200, and the lower part is cut to allow the brush 210 of the brush unit 200 to contact the road surface, and scattered by the brush 210 A water recovery unit 300 formed outside the brush unit 200 to capture the water droplets; And
Including; a water recovery container 4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overy unit 300, storing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nd having a primary purification device 410 installed for primary purification. and,
The water recovery unit 300 assists the separation of contaminated water while colliding with the rotating brush 210 and includes a fixed bar 330 disposed parallel to the rotation shaft,
The brush 210 includes a water trap 211 having a dimple 910 formed on one end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회수통(400)은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총 4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recovery tank 400 is a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characterized in that two on the left, two on the right, and a total of four are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2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brush unit 200 is a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characterized in that two are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200)이 2개 설치된 경우,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재활용 노면청소 살수차.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two brush units 200 are installed, the washing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sprink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KR1020200016844A 2020-02-12 2020-02-12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KR102174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44A KR102174585B1 (en) 2020-02-12 2020-02-12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44A KR102174585B1 (en) 2020-02-12 2020-02-12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85B1 true KR102174585B1 (en) 2020-11-05

Family

ID=7324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844A KR102174585B1 (en) 2020-02-12 2020-02-12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72B1 (en) * 2023-06-26 2024-01-24 리텍 주식회사 Vehicle system for high-pressure spray road cleaning equipped with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to reuse polluted wa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75A (en) * 2002-12-20 2004-06-26 정정수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and Disposal truck
KR20060024308A (en) 2005-01-03 2006-03-16 현남식 No leak water course
KR20060120973A (en) 2005-05-23 2006-11-28 최현채 A pillow
KR20090030522A (en)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포스코 Measuring apparatus for the number of slabs
KR20130099895A (en) 2012-02-29 2013-09-06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Tunable mems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 tunable mems device
KR20140071597A (en) * 2012-12-04 2014-06-12 김성배 Road Central Delineation Bong cleaning device
KR20150109812A (en)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A cleaning vehicle that vary with strength of clean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roa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75A (en) * 2002-12-20 2004-06-26 정정수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and Disposal truck
KR20060024308A (en) 2005-01-03 2006-03-16 현남식 No leak water course
KR20060120973A (en) 2005-05-23 2006-11-28 최현채 A pillow
KR20090030522A (en)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포스코 Measuring apparatus for the number of slabs
KR20130099895A (en) 2012-02-29 2013-09-06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Tunable mems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 tunable mems device
KR20140071597A (en) * 2012-12-04 2014-06-12 김성배 Road Central Delineation Bong cleaning device
KR20150109812A (en)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A cleaning vehicle that vary with strength of clean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r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72B1 (en) * 2023-06-26 2024-01-24 리텍 주식회사 Vehicle system for high-pressure spray road cleaning equipped with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to reuse polluted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5297B (en) Robot solar panel cleaning system
KR102171357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wet fine dust
KR100969933B1 (en) Inclined lamella clarifier having washing device for settling tank
US6301930B1 (en) Apparatus for washing curved sheets of glass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090208654A1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74585B1 (en) Water recycling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recycling water and effectively eliminating fine dust
KR102052320B1 (en) Rotary type scraper
JPS5932168B2 (en) Airborne solvent removal equipment
US6049943A (en) Machine for removing water from outdoor surfaces
KR102182432B1 (en) Surface cleaning vehicle with nozzle unit of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water recycling
KR102302459B1 (en) Road cleaning device and the vehicle having this
EP3594966B1 (en) Mobile decontamination system for decontaminating vehicles
US4253854A (en) Dust filter apparatus
US2020036142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objects, in particular two-wheel vehicles
KR101421835B1 (en) System for removing fume of rolling oil
KR102122486B1 (en) Brush unit of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water recycling
KR102136795B1 (en) Water recovering unit of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for water recycling
KR101746536B1 (en) Portable cleaning device for hot plate
KR101111245B1 (en) Apparatus for coating glass panel
KR100517780B1 (en) Wheel washing system
KR101442902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 of cooling tower
ES2245002T3 (en) SURFACE CLEANER WITH SPRAYER AND RECOVERY SYSTEM.
KR102346985B1 (en) Cooling tower water tank cleaning robot
KR102298494B1 (en) Suction cleaning vehicle for dust of road
KR102196763B1 (en) Road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