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832B1 - Wireless ear phone - Google Patents

Wireless e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832B1
KR102172832B1 KR1020190100188A KR20190100188A KR102172832B1 KR 102172832 B1 KR102172832 B1 KR 102172832B1 KR 1020190100188 A KR1020190100188 A KR 1020190100188A KR 20190100188 A KR20190100188 A KR 20190100188A KR 102172832 B1 KR102172832 B1 KR 10217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rame
substrate
dispose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주헌
박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19010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earphone. The wireless earphone includes a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a first substrate, a speaker unit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 and the housing. The speaker unit includes a frame, a second substrate,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frame includes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first substrate is moun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is mounte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arranged to be stepped, and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frame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a sound of the speaker unit is outp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arphone in which the design of the holes for tuning sound is easy while including el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ttery therein.

Description

무선 이어폰{Wireless ear phone}Wireless ear phone {Wireless ear phone}

실시예는 내부에 배터리와 무선 통신 소자들이 배치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arphone in which a battery and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s are disposed therein.

이어폰은 하우징 내부에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폰은 이어팁이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무선 이어폰의 경우, 무선 통신 소자들과 배터리가 하우징과 커버 내부에 배치된다.The earphone includes a speaker unit that generates sound waves inside the housing. In addition, the earphone includes a cover including a nozzle to which the ear tip is coupled. In the case of a wireless earphone,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s and a battery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cov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9907호(2014.12.08.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무선통신모듈과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어폰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이어폰은, 스피커 유닛 이외에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스피커 유닛과 무선통신모듈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의 전후방 공간을 활용하기가 어렵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여 이어폰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69907 (announced on December 8,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document) discloses an earphon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battery. In addition to the speaker unit, the earphone of this documen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speaker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front and rear spaces of the speaker uni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arphones become larger because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또한, 무선 통신 소자들이 배치되는 공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소리를 튜닝하기 위한 다양한 홀을 설계하는데 큰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interference in a space i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s are dispo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arge limitation in designing various holes for tuning soun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9907호(2014.12.08.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69907 (announced on Dec. 08, 2014)

본 발명은 내부에 무선통신을 위한 소자들과 배터리를 포함하면서도, 소리를 튜닝하는 홀들의 설계가 용이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n earphone in which the design of holes for tuning sounds is easy while including elements and batter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rein.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 small earpho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과, 진동판과,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는 제1 면과, 상기 제2 기판이 안착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단차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측면에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배출되는 출구가 배치되는 무선 이어폰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A speaker unit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And a first substrate, wherein the speaker unit includes a frame, a vibration plate, a second substrate,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frame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is mounte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arranged stepped, and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plate is discharged on th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t provides a wireless earphone in which the outlet is arranged.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된 소리가 들어오는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frame further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enters, and the sound received through the inle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입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덕트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의 방향과 상기 제2 덕트의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duct including the inlet, and a second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uct and including the outlet, and a direction of the first duct and a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덕트의 일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a part of the first duct and a part of the second duct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have.

상기 제1 덕트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덕트에서 소리를 관통시키는 튜닝부재이거나 소리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emb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duct, and the first member may be a tuning member for penetrating sound in the first duct or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sound from penetrating.

상기 제2 덕트의 상기 출구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소리를 관통시키는 튜닝부재이거나 소리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일 수 있다.The second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emb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rame to cover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a tuning member for penetrating sound or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sound from penetrating.

상기 제1 덕트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덕트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uct is plural, the plurality of first duct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is plural, and the outlet of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is the It can b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덕트의 일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first duct and a portion of the second duct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ame.

상기 제1 덕트는 하나이고,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통 영역은 복수 개일 수 있다.The first duct is one,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is plural,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reas.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내측에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덕트와 연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eaker unit further includes a yoke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the yoke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in which a magnet is disposed and a flang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flange includes the first duct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ng hole.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핀에 결합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절곡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파트가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includes a pin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part coupled to the pin and a second part bent from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One substrate may include a slot formed to be concave inward from an edge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part passes.

상기 제1 기판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홀의 크기 및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핀과, 상기 바디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은 상기 제2 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제2 핀은 상기 제1 홀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hole, the second substrate includes a second hole,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e, and one side of the body And a first pi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a second pi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the other side, the first pin electrically contacting the second hole, and the second pin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hole can do.

상기 진동판은, 돔과, 상기 돔의 하면에 배치되는 환형의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이스코일은 상기 코일 플레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The diaphragm may include a dome and an annular coil plat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ome, and the voice coil may be coupled to the coil plate.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무선통신을 위한 소자들과 배터리를 포함하면서도, 소리를 튜닝하는 홀들의 설계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le including el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ttery therein, the design of holes for tuning sound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being easy.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무선통신을 위한 소자들과 배터리를 포함하면서도, 크기가 작은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small in size while including el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ttery therei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
도 4는 스피커 유닛과, 제1 기판과 연결부의 분해도,
도 5는 프레임의 후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제2 덕트와 제2 덕트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프레임의 다른례를 도시한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일례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다른례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다른례에 따른 연결부와 제2 기판의 사시도,
도 12는 요크의 사시도,
도 13은 도 6에서 도시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가 비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6에서 도시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에 제1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8에서 도시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가 비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8에서 도시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에 제1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차단부재인 제1 부재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1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9는 제1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의 배면도,
도 20은 제1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의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unit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
4 is an exploded view of a speaker unit, a first substrate, and a connection por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shown in FIG. 5,
7 is a front view of a frame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second duct and a second duct;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ram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yok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shown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is empty;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shown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member is inserted into a first duct;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is empty;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member is inserted into a first duct;
17 is a view showing a first member and a frame, which are blocking members, and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showing the path of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19 is a rear view of the frame showing the path of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showing a path of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하우징(100)과, 스피커 유닛(200)과, 커버(300)와, 제1 기판(400)과, 배터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0)은 제2 기판(500)과,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함은, 스피커 유닛(200)을 기준으로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를 포함하고, 후방이라 함은 스피커 유닛(200)을 기준으로 하우징(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1 and 2,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a speaker unit 200, a cover 300, a first substrate 400, and a battery 700. I can. The speaker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500 and a connection part 600. Hereinafter, the term “front” or “front” includes a meaning indicating a direction toward the cover 300 with respect to the speaker unit 200, and “rear”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100 with respect to the speaker unit 200 Represents.

전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커버(30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은 환형일 수 있다.
Overall, the housing 1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with an open front surface. The cover 3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annular.

스피커 유닛(200)은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인 음파로 변환한다.
The speaker unit 200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waves, which are voice signals.

커버(300)는 하우징(100)과 결합한다. 커버(300)는 개방된 하우징(100)을 덮는다. 이러한 커버(300)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0)와 하우징(100)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스피커 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다.
The cov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cover 300 covers the open housing 100. This cover 300 may include a nozzle. The speaker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cover 300 and the housing 100.

커버(300)에 스피커 유닛(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스피커 유닛(200)에 의해, 하우징(100)과 커버(300)의 내부 공간은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되고, 제2 기판(500)과 제1 기판(400)과 배터리(700)는 스피커 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200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300, by the speaker unit 200,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s divided into a front space and a rear space,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battery 7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peaker unit 200.

도 2를 참조하면, 전후방향으로 제1 기판(400)과 제2 기판(500)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연결부(600)는 제1 기판(400)과 제2 기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 기판(40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배터리(700)는 제1 기판(4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기판(400) 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400. The battery 70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substrate 4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400.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스피커 유닛과, 제1 기판(400)과 연결부(600)의 분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unit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speaker unit,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connection part 60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커 유닛(200)은 마그네트(220)와, 플레이트(230)와, 보이스코일(240)과, 진동판(250)과, 프레임(260)과, 요크(270)와, 제1 부재(280)와, 제2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magnet 220, a plate 230, a voice coil 240, a vibration plate 250, a frame 260, and a yoke 270. Wow, a first member 280 and a second member 290 may be included.

요크(270)는 프레임(260)의 내측에 배치되어 프레임(260)과 결합된다. 마그네트(220)는 요크(27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220)는 환형일 수 있다.The yoke 270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260 and is coupled to the frame 260. The magnet 22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yoke 270. The magnet 220 may have an annular shape.

플레이트(230)는 환형 부재일 수 있다. 플레이트(230)는 마그네트(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ate 230 may be an annular member. The plate 2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 220.

보이스코일(240)은 진동판(250)에 고정되어 아래쪽 일부가 요크(270)의 내주연과 마그네트(220)의 외주연 및 플레이트(230)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다.
The voice coil 240 is fixed to the diaphragm 250 and the lower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yoke 27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gnet 22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ate 230.

진동판(250)은 돔(251)과 환형의 코일 플레이트(252)를 포함할 있다. 돔(251)의 외주연은 프레임(2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252)는 돔(251)의 하면에 결합한다. 보이스코일(240)은 코일 플레이트(252)에 결합한다. 즉, 돔(251)과 보이스코일(240)은 코일 플레이트(252)를 매개로 결합한다. 돔(251)과 보이스코일(240) 사이에 코일 플레이트(252)를 배치함으로써, 고역대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코일 플레이트(252)는 돔(25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 플레이트(252)는 돔(251)에 비해, 단단하고 비중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돔(251)과 코일 플레이트(252)는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고용분이 많은 UV 계열이나 접착되었을 때, 단단한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가 좋다. 이는 돔(251)의 진동 전달력을 상쇄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The vibration plate 250 may include a dome 251 and an annular coil plate 252.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me 251 is fixed to the frame 260. And the coil plate 25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me 251. The voice coil 240 is coupled to the coil plate 252. That is, the dome 251 and the voice coil 240 are coupled via the coil plate 252. By disposing the coil plate 252 between the dome 251 and the voice coil 240, the high-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The coil plate 252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dome 251. Compared to the dome 251, the coil plate 25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harder and has a lower specific gravity. The dome 251 and the coil plate 252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adhesive is a UV-based adhesive having a lot of solid solution, or an adhesive having a hard property when bonded. This is for not canceling the vibration transmission force of the dome 251.

프레임(260)은 요크(27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60)은 요크(270)와 결합한다. 프레임(260)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는 환형 부재일 수 있다. 그릴(261)은 프레임(26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프레임(260)에는 제2 기판(500)이 장착된다. 제2 기판(500)에는 연결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rame 2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yoke 270. Frame 260 is coupled to yoke 270. The frame 260 may be an annular member includ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grill 261 covers the open upper part of the frame 260. The second substrate 500 is mounted on the frame 260. A connection part 60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500.

댐퍼(201)는 요크(27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amper 20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yoke 270.

도 5는 프레임의 후면 사시도이다.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260)은 대체로 모자(hat)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60)은 제1 면(261)과 제2 면(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261)은 제1 기판(400)이 안착되는 곳이다. 제2 면(262)은 제2 기판(500)이 안착되는 곳이다. 제1 면(261)과 제2 면(262)은 프레임(26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261)과 제2 면(262)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261)이 제2 면(262)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60)의 중심에는 중심홀(261a)이 배치된다. 제1 면(261)은 중심홀(261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frame 260 may generally have a hat shape. The frame 26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261 and a second surface 262. The first surface 261 is where the first substrate 400 is mounted. The second surface 262 is where the second substrate 500 is mounted. The first surface 261 and the second surface 26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260.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61 and 262 may be steppe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261 may be dispos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second surface 262. A center hole 261a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260. The first surface 261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hole 261a.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 면(261)과 제2 면(262)은 이격되어 배치된다. 프레임(260)은 제1 면(261)과 제2 면(262)을 연결하는 측면(2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262)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핀(26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264)에는 제2 덕트(265)가 배치될 수 있다.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surface 261 and the second surface 26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The frame 260 may include a side surface 264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261 and the second surface 262. A plurality of pins 263 protruding toward the front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262. In addition, a second duct 265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264.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프레임(260)의 정면 사시도이다.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260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260)은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266)는 진동판(250)에서 발생된 소리가 들어오는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265)는 제1 덕트(266)의 입구에서 들어온 소리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266)의 입구는 프레임(260)의 내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제2 덕트(265)의 출구는 프레임(260)의 외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5 and 6, the frame 260 may include a first duct 266 and a second duct 265. The first duct 266 may include an inlet through which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250 enters. The second duct 265 may include an outlet through which sound received from the inlet of the first duct 266 is discharged. The inlet of the first duct 266 may be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260, and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260.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는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제1 덕트(266)의 방향과 상기 제2 덕트(265)의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덕트(266)의 방향은 전후방향이며, 제2 덕트(265)의 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인 측면 방향일 수 있다.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direction of the first duct 266 and a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a direction of the first duct 266 may be a front-rear direction, and a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a sid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200)의 프레임(260)의 측면에 소리가 배출되는 출구가 배치됨으로써, 스피커 유닛(200)의 후면에 제1 기판(400)을 이격시키지 않고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through which sound is discharge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260 of the speaker unit 200 so that the first substrate 4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unit 200 without being spaced apart. Since it can be arranged, there is an advantage of excellent space utilization.

도 7은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프레임(260)의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 frame 260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는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덕트(266)의 일부와 제2 덕트(265)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의 오버랩 영역은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의 연통 영역에 해당한다.5 to 7,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may be displaced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duct 266 and a part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corresponds to a communication region between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제2 덕트(265)의 출구(265a)는 복수 개이다. 복수 개의 제2 덕트(265)의 출구(265a)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The outlet 265a of the second duct 265 is plural. The outlets 265a of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265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프레임(260)의 일례로서, 프레임(260)의 제1 덕트(266)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덕트(266)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266)의 일부와 제2 덕트(265)의 일부는 프레임(26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frame 26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ducts 266 of the frame 260. The plurality of first ducts 266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duct 266 and a part of the second duct 265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that overlaps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ame 260.

도 8은 프레임(260)의 다른례를 도시한 프레임(260-1)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260-1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rame 260.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260-1)의 다른례로서, 제1 덕트(266-1)는 하나이며, 제2 덕트(265-1)의 출구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제2 덕트(265-1)의 출구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덕트(266-1)와 제2 덕트(265-1)의 연통 영역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하나의 제1 덕트(266-1)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2 덕트(265-1)의 복수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265-1)는 프레임(260)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프레임(260)의 반경방향으로 기준으로, 제1 덕트(266-1)는 제2 덕트(265-1)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 덕트(266-1)와 제2 덕트(265-1)는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8, as another example of the frame 260-1, the first duct 266-1 is one,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265-1 is plural, and a plurality of second ducts ( In a state where the outlet of the frame 265-1 i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gions between the first duct 266-1 and the second duct 265-1. One first duct 266-1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and may be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outlets of the second duct 265-1. The second duct 265-1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At this time,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the first duct 266-1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duct 265-1. And,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duct 266-1 and the second duct 265-1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도 9는 일례에 따른 연결부(600)에 의해, 제1 기판(400)과 제2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600 according to an example.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60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기판(400)과 제2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부(600)는 제1 파트(610)와 제2 파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610)와 제2 파트(620)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제1 파트(610)는 제2 기판(5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프레임(260)의 핀(26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트(620)는 제1 파트(610)에서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ion part 60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600 may include a first part 610 and a second part 620. The first part 610 and the second part 620 may be plate-shaped members. The first part 610 may be fixed to the pins 263 of the frame 260 so as to electrically contact the second substrate 500. The second part 620 may be disposed by being bent toward the front in the first part 610.

제1 기판(400)은 제1 파트(610)와 제2 파트(620)가 관통하는 슬롯(41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410)은 제1 기판(400)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substrate 400 may include a slot 410 through which the first part 610 and the second part 620 pass. The slot 410 is formed to be concave inward from th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400.

도 10은 다른례에 따른 연결부(600-1)에 의해, 제1 기판(400)과 제2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다른례에 따른 연결부(600-1)와 제2 기판(500)의 사시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400 and the second substrate 5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600-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nd FIG. 11 is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 600-1)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ubstrate 500.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기판(400)은 제1 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420)은 제1 기판(40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홀이다. 제2 기판(500)은 제2 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510)은 제2 기판(50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홀이다.10 and 11, the first substrate 400 may include a first hole 420. The first hole 420 is a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substrate 4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substrate 500 may include a second hole 510. The second hole 510 is a ho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bstrate 5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연결부(600-1)는 바디(610-1)와, 제1 핀(620-1)과, 제2 핀(630-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610-1)는 제1 홀(420)의 크기 및 제2 홀(510)의 크기보다 큰 단면을 가진다. 바디(610-1)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핀(620-1)은 바디(610-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제2 핀(630-1)은 바디(610-1)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제1 핀(620-1)은 제2 홀(5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2 핀(630-1)은 제1 홀(4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The connection part 600-1 may include a body 610-1, a first pin 620-1 and a second pin 630-1. The body 610-1 has a cross section tha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420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e 510. The body 610-1 may be a cylindrical member. The first pin 620-1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dy 610-1. The second pin 630-1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610-1. The first pin 620-1 electrically contacts the second hole 520. The second pin 630-1 electrically contacts the first hole 420.

이러한 연결부(600)들은 위치 정렬이 용이하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These connection parts 600 have the advantage of easy positional alignment and high structural stability.

도 12는 요크(270)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yoke 270.

도 12를 참조하면, 요크(270)는 원통부(271)와 원통부(27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271)의 내측에는 마그네트(220)가 배치된다. 플랜지(27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홀(273)을 포함한다. 진동판(250)에서 발생된 소리 중 일부는 제3 홀(273)을 거쳐 제1 덕트(266)로 안내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yoke 270 may include a cylindrical portion 271 and a flange 272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271. A magnet 220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portion 271. The flange 272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holes 273 dispo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me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diaphragm 250 is guided to the first duct 266 through the third hole 273.

도 13은 도 6에서 도시한 프레임(260)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266)가 비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260 shown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266 is empty.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덕트(266)의 전방에는 요크(270)가 위치한다. 제1 덕트(266)는 비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덕트(265)의 출구는 제2 부재(290)를 통해 덮혀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yoke 27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uct 266. The first duct 266 may be in an empty state.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covered through the second member 290.

도 14는 도 6에서 도시한 프레임(260)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266)에 제1 부재(28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260 shown in FIG. 6,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ember 2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duct 266.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덕트(266)에 제1 부재(2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280)는 요크(270)에서 들어오는 소리가 관통하는 튜닝부재일 수 있다. 제1 부재(280)는 요크(270) 위에 배치되는 댐퍼(201)와 함께 소리를 튜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first member 28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uct 266. The first member 280 may be a tuning member through which sound coming from the yoke 270 passes. The first member 280 may tune the sound together with the damper 201 disposed on the yoke 270.

도 15는 도 8에서 도시한 프레임(260)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266-1)가 비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260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266-1 is empty.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덕트(266-1)는 비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덕트(265-1)의 출구는 제2 부재(290)를 통해 덮혀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duct 266-1 may be in an empty state.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265-1 may be covered through the second member 290.

도 16은 도 8에서 도시한 프레임(260)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로서, 제1 덕트(266-1)에 제1 부재(28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including the frame 260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ember 2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duct 266-1.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덕트(266)에 제1 부재(2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280)는 요크(270)에서 들어오는 소리가 관통하는 튜닝부재일 수 있다. 제1 부재(280)는 요크(270) 위에 배치되는 댐퍼(201)와 함께 소리를 튜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 first member 28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uct 266. The first member 280 may be a tuning member through which sound coming from the yoke 270 passes. The first member 280 may tune the sound together with the damper 201 disposed on the yoke 270.

도 17은 차단부재인 제1 부재(280-1)와 프레임(26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1 부재(280-1)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260)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제1 부재(280-1)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260)의 배면도이고, 도 20은 제1 부재(280-1)에 의해 안내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프레임(260)의 측단면도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member 280-1 and a frame 260 as blocking members, and FIG. 18 is a frame 260 illustrating a path of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280-1 Is a front view of, and FIG. 19 is a rear view of the frame 260 showing the path of the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280-1, and FIG. 20 is the sound guided by the first member 280-1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260 showing the path of.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부재(280-1)는 제1 덕트(266)측으로 소리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일 수 있다. 제1 부재(280-1)는 제1 덕트(26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를 덮도록 프레임(26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280-1)는 제1 덕트(266)를 덮는 얇은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부재(280-1)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S. 17 to 20, the first member 280-1 may be a blocking member that blocks sound from flowing into the first duct 266. The first member 280-1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260 to cover the rest of the first duct 266 except for at least one. The first member 280-1 may be a thin plate covering the first duct 266. The first member 280-1 has a round shape so as to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제2 덕트(265)의 출구를 덮는 제2 부재(290)도 일부는 소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일 수 있다. 진동판(250)에서 발생된 소리 중 일부는 댐퍼(201)를 통과한 후 요크(270)의 제3 홀(273)을 거쳐 제1 부재(280-1)로 덮이지 않은 제1 덕트(266) 측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소리는 프레임(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복수 개의 제2 부재(290)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2 부재(290-1)는 소리가 관통하는 튜닝부재일 수 있다. 제1 부재(280-1)를 따라 최외측에 배치된 제2 부재(290-1)로 안내된 소리는 해당 제2 부재(290-1)를 관통하여 프레임(26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동판(250)에서 발생된 소리의 음향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Part of the second member 290 covering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265 may be a blocking member to block sound. Some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250 passes through the damper 20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third hole 273 of the yoke 270 to the first duct 266 that is not covered by the first member 280-1. Flows to the side. The introduced sound is gu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260. The second member 290-1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embers 290 may be a tuning member through which sound passes. The sound guided to the second member 290-1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along the first member 280-1 passes through the second member 290-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60. Through this proces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diaphragm 250 may be changed.

제1 부재(280-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덕트(266)를 덮는 개수와, 복수 개의 제2 부재(290)중 튜닝부재로 이루어져 소리를 관통시키는 제2 부재(290-1)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number of covering the first duct 266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member 280-1 and a second member 290-1 made of a tuning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members 290 to penetrate sound By selecting, various acoustic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제1 부재(280-1)를 소리가 관통하는 튜닝소재로 구현하는 경우, 요크(270)의 측면으로 안내된 소리는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상이한 제1 덕트(266)와 제2 덕트(265)를 거쳐 프레임(260) 외측으로 나온다. 이렇게 소리가 지나가는 덕트가 다층구조로 구현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음향 성능을 증가시키기가 매우 용이하다.When the first member 280-1 is implemented with a tuning material through which sound penetrates, the sound guided to the side of the yoke 270 is the first duct 266 and the second duct 265 having different position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rough the frame 260 comes out outside. Since the duct through which the sound passes is implement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it is very easy to increase the acoustic performance despite the narrow interior space.

또한, 복수 개의 제2 부재(290) 중 일부는 차단부재로 활용하고, 다른 일부는 소리를 관통시키는 튜닝부재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차단부재인 제2 부재(290)의 위치와 튜닝부재인 제2 부재(290)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embers 290 may be used as a blocking member, and some of the second members 290 may be used as a tuning member for penetrating sound, thereby implementing more various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290 that is the blocking member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290 that is the tuning member can be variously selec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s described above, a wireless ear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all changes or deformable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200: 스피커 유닛
210: 요크
220: 마그네트
230: 플레이트
240: 보이스코일
250: 진동판
251: 코일 플레이트
260: 그릴
290: 프레임
300: 커버
310: 노즐
400: 제1 기판
500: 제2 기판
100: housing
200: speaker unit
210: York
220: magnet
230: plate
240: voice coil
250: diaphragm
251: coil plate
260: grill
290: frame
300: cover
310: nozzle
400: first substrate
500: second substrate

Claims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소자들이 실장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과, 진동판과,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는 제1 면과, 상기 제2 기판이 안착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단차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측면에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배출되는 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된 소리가 들어오는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입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의 방향과 상기 제2 덕트의 방향은 서로 수직인 무선 이어폰.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A speaker unit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the elements are mounted,
The speaker unit includes a frame, a vibration plate, a second substrate,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frame includes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first substrate is moun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is mounte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arranged stepp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plate is discharge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The frame further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enters,
Sound entered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he frame includes a first duct including the inlet, and a second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uct and including the outlet,
The direction of the first duct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덕트의 일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a part of the first duct and a part of the second duct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earph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덕트에서 소리를 관통시키는 튜닝부재이거나 소리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인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memb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duct,
The first member is a tuning member that penetrates sound through the first duct or a blocking member that blocks sound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wireless earph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의 상기 출구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소리를 관통시키는 튜닝부재이거나 소리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인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emb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to cover the outlet of the second duct,
The second member is a tuning member for penetrating sound or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sound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wireless earph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덕트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uct is plural, and the plurality of first duct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second duct has a plurality of outlets, and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덕트의 일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7,
A wireless earphon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duct and a part of the second duct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하나이고,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통 영역은 복수 개인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uct is one,
There are a plurality of outlets of the second duct, and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A wireless earphone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reas between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내측에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덕트와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aker unit further includes a yoke disposed inside the frame,
The yoke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in which a magnet is disposed and a flang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The flange is a wireless earphone comprising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u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핀에 결합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절곡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파트가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pin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and engaging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part coupled to the pin and a second part bent from the first part,
The first substrate is formed to be concave inward from the edge of the wireless earphone comprising a slot through which the second part pas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홀의 크기 및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핀과, 상기 바디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은 상기 제2 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제2 핀은 상기 제1 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hole,
The second substrate includes a second hole,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body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e, a first pi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one side, and a second pi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the other side,
The first pin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hole,
The second pin is a wireless earphon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돔과, 상기 돔의 하면에 배치되는 환형의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보이스코일을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ion plate includes a dome and an annular coil plat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ome,
Wireless earphone further comprising a voice coil coupled to the coil plate.
KR1020190100188A 2019-08-16 2019-08-16 Wireless ear phone KR102172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88A KR102172832B1 (en) 2019-08-16 2019-08-16 Wireless e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88A KR102172832B1 (en) 2019-08-16 2019-08-16 Wireless e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832B1 true KR102172832B1 (en) 2020-11-03

Family

ID=7319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88A KR102172832B1 (en) 2019-08-16 2019-08-16 Wireless e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357A (en) * 2003-08-13 2005-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Small speaker
KR101469907B1 (en) 2013-08-23 2014-12-08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KR101707167B1 (en) * 2016-04-08 2017-02-15 주식회사 블루콤 Vibrate Speaker with suspension
KR101848669B1 (en)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956884B1 (en)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Micro speak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357A (en) * 2003-08-13 2005-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Small speaker
KR101469907B1 (en) 2013-08-23 2014-12-08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KR101707167B1 (en) * 2016-04-08 2017-02-15 주식회사 블루콤 Vibrate Speaker with suspension
KR101848669B1 (en)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956884B1 (en)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Micro speak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99364B (en) Electronic device
US9467762B2 (en) Earphone device having sound guiding structures
US7072482B2 (en) Microphone with improved sound inlet port
KR102292933B1 (en) Earphone
EP1677572B1 (en) Waterproof microphone
CN107925808B (en) Sound output and pickup device
US20080298623A1 (en) Adapter For a Loudspeaker
KR101952068B1 (en) microphone integrated speaker unit
US2009011665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icrophone array capable of suppressing noise
JP6409187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172836B1 (en) Ear phone provided with inner duct
KR102432571B1 (en) Speaker unit for earphone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CN111801950A (en) Wireless earphone
KR2003002916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ed for the same
US11006209B2 (en) Rectangular microspeaker
US20090214068A1 (en) Transducer assembly
KR102118425B1 (en) Ear phone provided with tuning means
CN114866911A (en) Sound production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72832B1 (en) Wireless ear phone
AU701640B2 (en) Embedded higher order microphone
WO2020147542A1 (en) Sound producing device and earphone
KR101901906B1 (en) Horn speaker
KR101045613B1 (en) Micro speaker
KR102049571B1 (en) Ear phone
KR101863537B1 (en) Speaker having multi vibrat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