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539B1 -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 Google Patents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539B1
KR102172539B1 KR1020130169215A KR20130169215A KR102172539B1 KR 102172539 B1 KR102172539 B1 KR 102172539B1 KR 1020130169215 A KR1020130169215 A KR 1020130169215A KR 20130169215 A KR20130169215 A KR 20130169215A KR 102172539 B1 KR102172539 B1 KR 10217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polarizer
substrate
pattern
dispersio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9168A (en
Inventor
고승진
조덕재
이황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39B1/en
Priority to CN201480071240.9A priority patent/CN105874362B/en
Priority to JP2016561984A priority patent/JP6218970B2/en
Priority to US15/107,752 priority patent/US9952363B2/en
Priority to PCT/KR2014/013030 priority patent/WO2015102364A1/en
Priority to EP14877113.2A priority patent/EP309137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는 종래의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휘선보임 현상이 개선되면서도 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편광자 구현에 있어 단순 제어를 통해 그룹 분산체를 형성할 수 있어 공정간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viewing angle while minimizing light loss while maximizing luminance improvement while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right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It has a wide viewing angle and can maximize brightness improvement while minimizing light loss.
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reflective polarizer, a group dispersion can be formed through simple control, thereby maximizing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process simplification.

Description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본 발명은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apable of maximizing luminance improvement while minimizing light loss.

평판디스플레이 기술은 TV분야에서 이미 시장을 확보한 액정디스플레이(LCD),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또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와 전계발광디스플레이(ELD)등이 관련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각 특성에 따른 분야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현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액정 TV, 자동차, 항공기 등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평판시장의 80%가량을 차지하고 있고 세계적으로 LCD의 수요가 급증해 현재까지 호황을 누리고 있다.As for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liquid crystal display (LCD), projection display and plasma display (PDP), which have already secured the market in the TV field, are the mainstream, and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D) It is expected to occupy field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Liquid crystal display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notebooks, personal computer monitors, LCD TVs, automobiles, aircraft, etc., and occupy about 80% of the flat-panel market, and the demand for LCDs around the world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enjoying a boom.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는 한 쌍의 흡광성 광학필름들 사이에 액정 및 전극 매트릭스를 배치한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액정 부분은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부분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변경되는 광학 상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정보를 실은 '픽셀'을 특정 방향의 편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는 편광을 유도하는 전면 광학필름 및 배면 광학필름을 포함한다.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s a liquid crystal and an electrode matrix between a pair of light absorbing optical film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liquid crystal portion has an optical state that is changed accordingly by causing the liquid crystal portion to move by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wo electrodes. This process displays an image of a'pixel' carrying information using polariz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or this reason,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front optical film and a rear optical film inducing polarization.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광학필름은 백라이트로부터 발사되는 광의 이용효율이 반드시 높다고는 할 수 없다. 이것은, 백라이트로부터 발사되는 광 중 50%이상이 배면측 광학필름(흡수형 편광필름)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백라이트 광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광학캐비티와 액정어셈블리 사이에 반사 편광자를 설치한다. The optical film used 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have high utilization efficiency of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This is because 50% or mor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is absorbed by the rear optical film (absorption type polarizing film).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ing backlight light in a liquid crystal display, a reflective polarizer is installed between the optical cavity and the liquid crystal assembly.

도 1은 종래의 반사 편광자의 광학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광학캐비티로부터 액정어셈블리로 향하는 빛 중 P편광은 반사 편광자를 통과하여 액정어셈블리로 전달되도록 하고, S편광은 반사 편광자에서 광학캐비티로 반사된 다음 광학캐비티의 확산반사면에서 빛의 편광 방향이 무작위화된 상태로 반사되어 다시 반사 편광자로 전달되어 결국에는 S편광이 액정어셈블리의 편광기를 통과할 수 있는 P편광으로 변환되어 반사 편광자를 통과한 후 액정어셈블리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ptical principle of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Specifically, among the light from the optical cavity to the liquid crystal assembly, the P-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er and is transmitted to the liquid crystal assembly, and the S-polariz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polarizer to the optical cavity, and then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ght from the diffuse reflection surface of the optical cavity is changed. It is reflected in a randomized state and transmitted back to the reflective polarizer so that the S-polarized light is eventually converted into P-polarized light that can pass through the polarizer of the liquid crystal assembly, passes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er, and then transmitted to the liquid crystal assembly.

상기 반사 편광자의 입사광에 대한 S편광의 선택적 반사와 P편광의 투과 작용은 이방성 굴절률을 갖는 평판상의 광학층과, 등방성 굴절률을 갖는 평판상의 광학층이 상호 교호 적층된 상태에서 각 광학층간의 굴절율 차이와 적층된 광학층의 신장 처리에 따른 각 광학층들의 광학적 두께 설정 및 광학층의 굴절률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진다.The selective reflection of S-polarized light and the transmission of P-polarized light of the incident light of the reflective polarizer is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each optical layer in a state in which a plate-shaped optical layer having an anisotropic refractive index and a plate-shaped optical layer having an isotropic refractive index are alternately stacked. It is achieved by setting the optical thickness of each optical layer and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layer according to the stretching treatment of the stacked optical layers.

즉, 반사 편광자로 입사되는 빛은 각 광학층을 거치면서 S편광의 반사와 P편광의 투과 작용을 반복하여 결국에는 입사편광 중 P편광만 액정어셈블리로 전달된다. 한편, 반사된 S편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캐비티의 확산반사면에서 편광상태가 무작위화 된 상태로 반사되어 다시 반사 편광자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손실과 함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었다. That is, the light incident to the reflective polarizer passes through each optical layer and repeats the reflection of S-polarized light and the transmission of P-polarized light, so that only P-polarized light among incident polarized light is transmitted to the liquid crystal assembly. Meanwhile, the reflected S-polarized light is ref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ation state is randomized on the diffuse reflection surface of the optical cavity, as described above, and is transmitted to the reflective polarizer again.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lo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power waste.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반사 편광자는 굴절률이 상이한 평판상의 등방성 광학층과 이방성 광학층이 교호 적층되고, 이를 신장처리하여 입사편광의 선택적 반사 및 투과에 최적화될 수 있는 각 광학층간의 광학적 두께 및 굴절률을 갖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반사 편광자의 제작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반사 편광자의 각 광학층이 평판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입사편광의 광범위한 입사각 범위에 대응하여 P편광과 S편광을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광학층의 적층수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생산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학층의 적층수가 과도하게 형성되는 구조에 의하여 광손실에 의한 광학적 성능 저하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flat isotropic optical layers and anisotropic optical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extended to have an optical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between each optical layer that can be optimized for selectiv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incident polarized light. Since it is manufact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flective polarizer is complicated. In particular, since each optical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er has a flat plat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P-polarized light and S-polarized light corresponding to a wide range of incident angles of incident polarized light, so the number of stacked optical layers is excessively increased, resulting in an exponential increase in production cost.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 of optical layers is excessively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tical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due to optical loss.

도 2는 종래의 다층 반사 편광자(DBEF)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다층 반사 편광자는 기재(8)의 양면에 스킨층(9, 10)이 형성된다. 기재(8)은 4개의 그룹(1, 2, 3, 4)으로 구분되는데, 각각의 그룹들은 등방층과 이방층이 교호적층되어 대략 200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기재(8)을 형성하는 4개의 그룹(1, 2, 3, 4) 사이에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층(5, 6, 7)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그룹들은 200층 내외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이들 그룹들을 개별적으로 공압출하는 경우 각각의 그룹들이 손상될 수 있어 상기 그룹들은 보호층(PBL)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기재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반사 편광자의 경우 슬림화를 위하여 기재의 두께에 제약이 있으므로, 기재 및/또는 스킨층에 접착층이 형성되면 그 두께만큼 기재가 줄어들게 되므로 광학물성 향상에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기재 내부 및 기재과 스킨층을 접착층으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외력을 가하거나, 장시간 경과하거나 또는 보관장소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층간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착층의 부착과정에서 불량률이 지나치게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접착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광원에 대한 상쇄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DBEF). Specifically, in the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skin layers 9 and 10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8. The substrate 8 is divided into four groups (1, 2, 3, 4), each of which isotropic layers and anisotropic layers are alternately laminated to form approximately 200 layers. Meanwhile, separate adhesive layers 5, 6, and 7 for bonding them are formed between the four groups 1, 2, 3, and 4 forming the substrate 8. In addition, since each group has a very thin thickness of about 200 layers, when these groups are individually coextruded, each group may be damaged, and the groups often include a protective layer (PBL).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becomes thick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flective polarizer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for slimming, so when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or the skin layer, the substrate is reduced by the thickness thereof, so there is a problem that is very poor in improving optical properties. . Further, since the inside of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and the skin layer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terlayer peeling phenomenon occur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long time elapses, or a storage location is not goo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layer, the defect rate is excessively hig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offset interference with the light source occur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기재(8)의 양면에 스킨층(9, 10)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8)과 스킨층(9, 10) 사이에 이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층(11, 12)이 형성된다.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스킨층과 PEN-coPEN이 교호적층된 기재과 공압출을 통해 일체화하는 경우 상용성 부재로 인하여 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결정화도 15% 내외로 인하여 연신 공정 수행시 신장축에 대한 복굴절 발생 위험성이 높다. 이에따라 무연신 공정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적용하기 위해서 접착층을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접착층 공정의 추가로 인하여 외부 이물 및 공정 불량 발생에 따른 수율 감소가 나타나며, 통상적으로 스킨층의 폴리카보네이트 무연신 시트를 생산시에는 와인딩 공정으로 인한 불균일한 전단 압력에 의한 복굴절 발생이 나타나 이를 보완하기 위한 폴리머 분자구조 변형 및 압출라인의 속도 제어 등의 별도의 제어가 요구되어 생산성 저하 요인이 발생되었다. Skin layers 9 and 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8, and separate adhesive layers 11 and 12 ar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8 and the skin layers 9 and 10 to bond them. When a conventional polycarbonate skin layer and PEN-coPEN are integrated through coextrusion with an alternately laminated substrate, peeling may occur due to the compatibility member, and birefringence on the elongation axis when performing the stretching process due to the crystallinity of about 15%. The risk of occurrence is high. Accordingly, in order to apply the polycarbonate sheet of the non-stretching process, an adhesive layer had to be formed. As a result, the yield decreases due to the occurrence of external foreign matters and process defects due to the addition of the adhesive layer process.In general, when producing a non-stretched polycarbonate sheet of the skin layer, birefringence occurs due to uneven shear pressure due to the winding process. Separate control such as modification of the polymer molecular structure and speed control of the extrusion line was required to compensate,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상기 종래의 다층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기재를 형성하는 평균 광학적 두께가 상이한 4개의 그룹을 별도로 공압출한 뒤, 다시 4개의 공압출된 4개의 그룹을 연신한 후, 연신된 4개의 그룹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기재를 제작한다. 왜냐하면 접착제 접착후 기재를 연신하면 박리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후, 기재의 양면에 스킨층을 접착하게 된다. 결국 다층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2층구조를 접어서 4층구조를 만들고 연속해서 접는 방식의 다층구조를 만드는 공정을 통해 하나의 그룹(209층)을 형성하고 이를 공압출하므로 두께 변화를 줄 수 없어 하나의 공정에서 다층내부에 그룹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평균광학적 두께가 상이한 4개의 그룹을 별도로 공압출한 뒤 이를 접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Briefly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after separately coextrusion of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average optical thicknesses forming a substrate, four coextruded four groups are stretched again, and then stretched 4 A group of dogs is glued together to form a substrate. This is because peeling occurs when the substrate is stretched after adhesive bonding. Thereafter, the skin layers are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substrate. In the end, in order to create a multilayer structure, a two-layer structure is fold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nd a group (209 layers)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multi-layered structure in a continuous folding method, and it is coextruded. In the process, it was difficult to form a group inside the multilayer. As a result,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average optical thicknesses are separately coextruded and then bonded together.

상술한 공정은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작단가의 현저한 상승을 불러왔으며, 그 결과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모든 광학필름들 중 원가가 가장 비싼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원가절감의 차원에서 휘도저하를 감소하고서라도 반사 편광자를 제외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빈번하게 출시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Since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intermittently performed, the manufacturing cost has risen significantly,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the most expensive among all optical films included in the backlight uni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serious problem in that liquid crystal displays excluding reflective polarizers are frequently released even while reducing luminance deterioration in order to reduce costs.

이에, 다층 반사 편광자가 아닌 기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복굴절성 폴리머를 배열하여 반사 편광자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분산체가 분산된 반사편광자가 제안되었다. 도 3은 봉상형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사 편광자(20)의 사시도로서, 기재(2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복굴절성 폴리머(22)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를 통해 기재(21)와 복굴절성 폴리머(22) 간의 복굴절성 계면에 의하여 광변조 효과를 유발하여 반사 편광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교호적층된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가시광선 전체 파장영역의 광을 반사하기 어려워 광변조 효율이 너무나도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Accordingly,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dispersion capable of achieving the function of a reflective polarizer by arranging a birefringent polym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 substrate other than a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has been propos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20 including a rod-shaped polymer, in which a birefringent polymer 22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arranged in one direction inside a substrate 2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reflective polarizer by inducing a light modulation effect due to the birefringent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21 and the birefringent polymer 22. However,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alternately stacked reflective polarizers, it is difficult to reflect light in the entir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light modulation efficiency is too low.

이에, 교호적층된 반사 편광자와 비슷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재 내부에 지나치게 많은 수의 복굴절성 폴리머(22)를 배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반사 편광자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가로 32인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가로 1580 ㎜이고 높이(두께) 400㎛ 이하인 기재(21) 내부에 상술한 적층형 반사 편광자와 유사한 광학 물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방향의 단면직경이 0.1 ~ 0.3㎛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복굴절성 폴리머(22)가 최소 1억개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생산비용이 지나치게 많아질 뿐 아니라, 설비가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또한 이를 생산하는 설비를 제작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여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트 내부에 포함되는 복굴절성 폴리머(22)의 광학적 두께를 다양하게 구성하기 어려우므로 가시광선 전체 영역의 광을 반사하기 어려워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have a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similar to that of the alternately stacked reflective polariz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cessive number of birefringent polymers 22 must be disposed inside the substrat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display panel with a width of 32 inches based on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er, the length is 1580 mm in width and the length (thickness) is 400 μm or less in order to have optical propertie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tacked reflective polarizer inside the substrate 21. At least 100 million circular or elliptical birefringent polymers 22 with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0.1 to 0.3 μm in the dir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is case, not only the production cost is too high, but also the equipment becomes too complex and the equipment that produces i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commercialize becaus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produce it.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the optical thickness of the birefringent polymer 22 included in the sheet in various ways, it is difficult to reflect light in the entire area of visible light, thereby reducing physical properties.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이 제안되었다. 도 4는 기재내부에 포함되는 복굴절성 해도사의 단면도로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내부의 도부분과 해부분의 광변조 계면에서 광변조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복굴절성 폴리머와 같이 매우 많은 수의 해도사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광학물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복굴절성 해도사는 섬유이므로 폴리머인 기재와의 상용성, 취급용이성, 밀착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나아가, 원형 형상으로 인하여 광산란이 유도되어 가시광선 영역의 광파장에 대한 반사편광 효율이 저하되어, 기존 제품 대비 편광특성이 저하되어 휘도 향상 한계가 있었으며, 더불어 해도사의 경우 도접합 현상 줄이면서, 해성분 영역이 세분화 되므로 공극 발생으로 인하여 빛샘 즉 광 손실현상으로 인한 광특성 저하 요인이 발생되었다. 또한 직물 형태로 조직 구성으로 인하여 레이어 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반사 및 편광 특성 향상에 한계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산형 반사편광자의 경우 레이어간의 간격 및 분산체간의 이격공간으로 인하여 휘선보임이 관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order to overcome this, a technical idea has been proposed including a birefringent island-in-the-sea yarn inside the substra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refringent island-in-the-sea yarn included in the substrate. Since the birefringent island-in-the-sea yarn can generate a light modulation effect at the optical modulation interface between the inner island portion and the sea portion, a very large number as in the above-described birefringent polymer Optical properties can be achieved even without arranging the island-in-the-sea yarn. However, since the birefringent island-in-the-sea yarn is a fiber, problems of compatibility with a polymeric substrate, ease of handling, and adhesion occurred. Furthermore, due to the circular shape, light scattering is induced, and the efficiency of reflection polarization for the optical wavelength in the visible light region is lowered,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re lowered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so there is a limit to improve luminance. Since the region is subdivided, light leakage, i.e., loss of light, caused a factor of deteriorating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occurrence of void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provement of reflection a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ccur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layer configura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abric.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a problem of observing a bright line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layers and the space between the dispersions occur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휘선보임 현상이 개선되면서도 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ndom dispersion type that can maximize brightness improvement while minimizing light loss and wide viewing angle while improving the visibility of bright lin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It is to provide a reflective polariz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상기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이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이고,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들은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며, 제1 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부터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2초과부터 10.0㎛2이하이고,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o transmit the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the second polarized light, a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in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and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included in the substrate has an aspect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the long axis length based on the vertical section in the length direction is 1/2 or less, and the aspect ratio is 1/2 or less. The dispersions include three or more group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is 0.2 to 2.0 μm 2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group is from more than 2.0 μm 2 to 5.0 μm 2 or les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group is from 2 5.0㎛ 10.0㎛ than 2 or less, dispersion of the dispersion of the first dispersion of the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to provide a random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randomly arrang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3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가 10%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ispersions of the third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may be 10% or mo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1 그룹의 개수는 30 ~ 50%이고, 제3 그룹의 개수는 10 ~ 3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제 3그룹의 분산체의 개수가 3 ~ 5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first group among the dispersion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may be 30 to 50%, and the number of the third group may be 10 to 30%, more preferably Is the number of dispersions in the first group/the number of dispersions in the third group It can be 3 to 5 day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2 그룹의 개수는 25 ~ 45%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econd group among the dispersion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may be 25 to 45%.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분산체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in the two axial directions may be 0.05 or less,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the other axial directions may be 0.1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 편광자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신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polarizer may be stretch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구조화된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d surfa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구조화된 표면층 사이에 접착력 강화를 위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er layer for enhancing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미세패턴 층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a fine patter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patter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ism, a lenticular, a micro lens, a triangular pyramid, and a pyramid patter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상기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이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이고,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들은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며, 제1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부터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2초과부터 10.0㎛2이하이고,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된 반사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n order to transmit the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the second polarized light, a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in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the substrate And the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and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included in the substrate has an aspect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the long axis length based on a vertical section in the length direction is 1/2 or less, and the aspect ratio is not more than half the dispersion comprise at least three groups are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area,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2 0.2 ~ 2.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group is less than a second 5.0㎛ 2 from 2.0㎛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dispersion is randomly arranged in the reflective polarizer 3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less than 2 from 5.0㎛ 10.0㎛ 2 group, the dispersion of the first dispersion of the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And (2) forming a structured surfac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와 (2) 단계 사이에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 primer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etween steps (1) and (2)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미세패턴 층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a fine pattern layer, and more preferably, the fine pattern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isms, lenticulars, micro lenses, triangular pyramids, and pyramid patterns. There can be more than 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미세패턴 층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a fine pattern layer, and more preferably, the fine pattern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isms, lenticulars, micro lenses, triangular pyramids, and pyramid patterns. There can be more than 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2)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a) 상기 코어층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코어층의 일면과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 중 상기 패턴이 성형된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코어층과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이 밀착되는 영역으로 유동성 있는 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패턴 사이를 충진시키는 단계; e)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기 코어층에 도포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와 상기 재료가 도포된 상기 코어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와 b) 단계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2) includes: a) transferring the core layer; b) transferring a pattern-forming mold film in which the reverse patter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c) bringing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d) filling between the patterns by injecting a fluid material into a region where the core layer and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 applying the material to the core layer by curing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And f) separating the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from the core layer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and steps a) and b)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or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 사이에, 밀착된 상기 코어층과 상기 몰드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재료를 상기 패턴 사이에 고르게 충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tep d) and the step e), the step of applying pressure to the adhered core layer and the mold film to evenly fill the material between the patterns is further Can inclu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가,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에 열 또는 UV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e) may include irradiating heat or UV to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ⅰ)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마스터롤에 코어층을 밀착 이송시키고,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또는 상기 코어층면에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고분자수지가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상에서 가압 성형되는 동안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UV경화시키고 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2) comprises: i) the core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ster roll molded on one surface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and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or Applying a molten polymer resin to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ii) UV-curing the polymer resin and separating it by irradiating UV or heat while the polymer resin is press-molded on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ⅱ) 단계 이후 재차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2차 경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may be secondary cured by irradiating UV or heat again after step ii).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i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carbonate (PC) Roy, polystyrene (PS), heat-resistant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 acrylonitrile mixture (S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 Epoxy (EP), urea (UF), melanin (MF), unsaturated polyester (UP), silicone (SI), may be any one or more of an elastomer and a cycloolefin polym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체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i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carbonate (PC ) Alloy, polystyrene (PS), heat-resistant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 acrylonitrile mixture (S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amide (PA), polyacetal (POM) , Phenol, epoxy (EP), urea (UF), melanin (MF), unsaturated polyester (UP), silicone (SI), may be any one or more of an elastomer and a cycloolefin polym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분산체의 굴절율의 차이는 신장된 축방향의 굴절율의 차이가 다른 축방향의 굴절율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may be greater than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n the other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분산체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in the two axial directions may be 0.05 or less,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the other axial directions may be 0.1 or mo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체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체와 기재간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refringent inte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persion and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체는 광학적 복굴절성을 가지며, 상기 기재는 광학적 등방성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may have optical birefringence, and the substrate may be optically isotropic.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분산체가 복굴절성을 가진다'는 의미는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섬유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분산체에 입사한 빛이 방향이 다른 두 개의 빛 이상으로 굴절된다는 것이다.The meaning of'the dispersion has birefringence' means that when light is irradiated to a fiber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depending on the direction, the light incident on the dispersion is refracted by more than two lights with different directions.

'등방성'이라 함은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방향에 상관없이 굴절률이 일정한 것을 의미한다."Isotropic" means that when light passes through an object, the refractive index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이방성'이라 함은 빛의 방향에 따라 물체의 광학적 성질이 다른 것으로 이방성 물체는 복굴절성을 가지며 등방성에 대응된다.'Anisotropic' means that the optical properties of an object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light, and an anisotropic object has birefringence and corresponds to isotropy.

'광변조'라 함은 조사된 빛이 반사, 굴절, 산란하거나 빛의 세기, 파동의 주기 또는 빛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Light modulation' means that the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refracted, or scattered, or the intensity of light, the period of a wave, or the nature of light is changed.

'종횡비'라 함은 분산체의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비를 의미한다.'Aspect ratio' means the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the long axis length based on the vertical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는 종래의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휘선보임 현상이 개선되면서도 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viewing angle while minimizing light loss while maximizing luminance improvement while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right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It has a wide viewing angle and can maximize brightness improvement while minimizing light loss.

또한, 반사편광자 구현에 있어 단순 제어를 통해 그룹 분산체를 형성할 수 있어 공정간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reflective polarizer, a group dispersion can be formed through simple control, thereby maximizing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process simplification.

도 1은 종래의 반사 편광자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층 반사 편광자(DBEF)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봉상형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사 편광자에 사용되는 복굴절성 해도사에 입사한 광의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랜덤형 반사 편광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랜덤형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규칙적으로 렌티큘러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불규칙적으로 렌티큘러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규칙적으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불규칙적으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규칙적으로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불규칙적으로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행거 다이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성형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를 포함하는 분산체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DBEF) currently us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cluding a rod-shaped polym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th of light incident on a birefringent island-in-the-sea yarn used for a reflective polariz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ndom reflective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ndom reflective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lenticular pattern is formed regular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lenticular pattern is irregularly form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micro lenses are regularly form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rregularly formed with micro lenses.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prism pattern is regularly form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prism pattern is irregularly formed.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hanger d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side view.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forming a fine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forming part of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pattern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pattern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dispersion including a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erse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상기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이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이고,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들은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며, 제1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부터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2초과부터 10.0㎛2이하이고,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휘선보임 현상이 개선되면서도 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ersions inside the substrate in order to transmit the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the second polarized light,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include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The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in the axial direction, and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included in the substrate has an aspect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the long axis length based on the vertical section in the length direction is 1/2 or less, and the aspect ratio is 1 Dispersions with a cross-sectional area of less than /2 include three or more group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is 0.2 to 2.0 μm 2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group is from more than 2.0 μm 2 to 5.0 μm 2 or less, and the third group the cross-sectional area is less than 2 10.0㎛ from 5.0㎛ than 2, the dispersion of the dispersion of the first dispersion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arranged at random.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the luminance is improved while the wide viewing angle is wide and the luminance can be maximized while minimizing light los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재내부에 분산체가 랜덤하게 분산된 반사편광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기재(200)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201 ~ 206)들이 랜덤하게 분산되어 배열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dispersion is randomly distributed in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plurality of dispersions 201 to 206 are randomly distributed and arranged inside the substrate 200.

한편,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은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여야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상기 종횡비 값이 1/2 이하를 만족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분산체의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으로서, 장축길이를 a라 하고 단축길이를 b라 했을 때 장축길이(a)와 단축길이(b)의 상대적인 길이의 비(종횡비)가 1/2 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장축길이(a)가 2일 때 단축길이(b)는 그 1/2인 1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는 것이다. 만일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비가 1/2보다 큰 분산체가 전체 분산체의 개수 중 20%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광학물성을 달성하기 어렵다.
Meanwhile, for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contained in the substrate, the aspect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the long axis length should be 1/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90% or more is the aspect ratio based on the vertical section in the length direction. The value should satisfy 1/2 or less. 7 is a vertical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ng axis length is a and the short axis length b is the ratio of the relative length of the long axis length (a) and the short axis length (b) (aspect ratio ) Must be 1/2 or less. In other words, when the major axis length (a) is 2, the minor axis length (b) must be less than or equal to 1, which is 1/2. If the ratio of the minor axis length to the major axis length is greater than 1/2,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when 20% or more of the total number of dispersions is included.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는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단면적이 가장 작은 제1 그룹의 분산체(201, 202)와 단면적이 중간크기를 갖는 제2 그룹의 분산체(203, 204) 및 단면적이 가장 큰 제3 그룹(205, 206)의 분산체들을 모두 포함하여 랜덤하게 분산된다. 이 경우 제1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부터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2초과부터 10.0㎛2이하이며,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된다. 만일 제1 ~ 제3 그룹의 분산체 중 어느 한 그룹의 분산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광학물성을 달성하기 어렵다(표 1 참조).The dispersion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contains three or more groups of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Specifically, in FIG. 5, the first group of dispersions 201 and 202 having the smallest cross-sectional area, the second group of dispersions 203 and 204 having the medium cross-sectional area, and the third group 205 and 206 with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 Are distributed randomly, including all of the dispersions.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is 0.2 ~ 2.0㎛ 2,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group is 2 or less from 5.0㎛ 2.0㎛ 2,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group is less than 2 from 10.0㎛ 5.0㎛ than 2, the The dispersion of the first group, the dispers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dispersion of the third group are randomly arranged. If the dispersion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groups is not includ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see Table 1).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3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는 10% 이상일 수 있다. 만일 10% 미만이면 광학적 물성향상이 미흡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1 그룹에 해당하는 분산체의 개수는 30 ~ 50%를 만족하고 제3 그룹에 해당하는 분산체의 개수가 10 ~ 30%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학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표 1 참조)In this case, preferably, the number of dispersions of the third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may be 10% or more. If it is less than 10%, optical property improvement may be insufficient. More preferably, the number of dispers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satisfies 30 to 50%, and the number of dispersio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group may be 10 to 30%, Through this, optical properties can be improved (see Table 1).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제 3그룹의 분산체의 개수가 3 ~ 5 값을 갖는 경우 광학물성을 극대화하는데 매우 유리할 수 있다(표 1 참조)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when the number of dispersions of the first group/the number of dispersions of the third group has a value of 3 to 5, it may be very advantageous to maximize optical properties (see Table 1).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2 그룹에 해당하는 분산체의 개수는 25 ~ 45%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 제3 분산체의 단면적의 범위를 벗어나는 분산체가 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에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number of dispers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may satisfy 25 to 45%. In addition, dispersions out of the ran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to third dispersions may be included as a residual amount in the dispersion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이를 통해 종래의 분산형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휘선보임 현상이 개선되면서도 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광시야각이 넓고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휘도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the luminance display phenomenon is improved, while the wide viewing angle is wide and the luminance improvement is maximized while minimizing the optical loss. The wide viewing angle is wide and the luminance improvement can be maximized while minimizing the optical loss.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로서, 기재(210)의 내부에 복수개의 랜덤 분산체(211)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랜덤 분산체(211)는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 방향으로 평행하여 신장되는 것이 유리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신장체간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것이 광변조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효과적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andom dispersions 211 are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 substrate 210. In this case, the random dispersion 211 may be elongated in various directions, but preferably, it is advantageous to elongate in parallel in one direction, and more preferably, elong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ght irradiated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Stretching parallel to the trunk is effective in maximizing the light modulation eff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기재내부에 포함되는 분산체(제1 성분)와 기재(제2 성분)간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내부에 분산체를 포함하는 반사 편광자에 있어서, 기재와 분산체간의 공간상의 X, Y 및 Z축에 따른 굴절률의 실질적인 일치 또는 불일치의 크기는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의 산란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산란능은 굴절률 불일치의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따라서, 특정 축에 따른 굴절률의 불일치의 정도가 더 클수록,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이 더 강하게 산란된다. 반대로, 특정 축에 따른 불일치가 작은 경우,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은 더 적은 정도로 산란된다. 어떤 축에 따라 기재의 굴절률이 분산체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경우, 이러한 축에 평행한 전기장으로 편광된 입사광은 분산체의 부분의 크기, 모양 및 밀도와 상관없이 산란되지 않고 분산체를 통과할 것이다. 또한, 그 축에 따른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경우, 광선은 실질적으로 산란되지 않고 물체를 통해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편광(P파)는 기재와 분산체의 경계에 형성되는 복굴절 계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투과되나, 제2편광(S파)는 기재와 분산체간의 경계에 형성되는 복굴절성 계면에 영향을 받아 광의 변조가 일어난다. 이를 통해 P파는 투과되고 S파는 광의 산란, 반사 등의 광의 변조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편광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refringent inte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persion (first component) and the substrate (second component) contained in the substrate. Specifically, in a reflective polarizer including a dispersion inside a substrate, the magnitude of the substantial coincidence or inconsistency of the refractive indices along the X, Y, and Z axes in the sp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is the degree of scattering of light polarized along the axis. Affects In general, the scattering power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refractive index mismatch. Thus, the greater the degree of mismatch of the refractive index along a particular axis, the stronger the light rays polarized along that axis are scattered. Conversely, if the mismatch along a particular axis is small, then the light rays polarized along that axis are scattered to a lesser extent.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long a certain axis substantially match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spersion, incident light polarized with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se axes passes through the dispersion without being scattered, regardless of the size, shape and density of the portion of the dispersion. something to do. Also, when the refractive index along its axis is substantially coincident, the light rays pass through the object without being substantially scatter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larized light (P wave) is transmitt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birefringence interfac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but the second polarized light (S wave) is birefringent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Modulation of light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terface. Through this, the P-wave is transmitted and the S-wave undergoes light modulation such as scattering and reflection of light, resulting in separation of polarization.

따라서, 상기 기재와 분산체는 복굴절 계면을 형성하여야 광변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재가 광학적 등방성인 경우, 분산체는 복굴절성을 가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기재가 광학적으로 복굴절성을 갖는 경우에는 분산체는 광학적 등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체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1,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1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1이고, 기재의 굴절율이 nX2, nY2 및 nZ2일 때, nX1과 nY1 사이의 면내 복굴절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재와 분산체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신장축이 X축인 경우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X축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일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면 정합으로 해석된다.Therefore, since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must form a birefringence interface to induce a light modulation effect, when the substrate is optically isotropic, the dispersion may have birefringence,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substrate has optically birefringence. The dispersion may have optical isotropy. Specifically, whe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dispersion is nX1, the refractive index in the y-axis direction is nY1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z-axis direction is nZ1, and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substrate are nX2, nY2 and nZ2, in-plane between nX1 and nY1 Birefringence may occur.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X, Y, and Z-axis refractive indices of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may be different, and more prefera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es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is 0.05 or less when the extension axis is the X-axis. And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may be 0.1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usually less than 0.05, it is interpreted as matching.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의 두께는 20 ~ 18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체 분산체의 개수는 32인치를 기준으로 기재의 두께가 120㎛일 때 25,000,000 ~ 80,000,000 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ay be 20 to 18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dispersions may be 25,000,000 to 80,000,000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120 μm based on 32 inch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표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의 사시도로서,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이들은 코어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분산체는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 방향으로 평행하여 신장되는 것이 유리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신장체간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것이 광변조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기재(211)의 일면에 프라이머층(212)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화된 표면층의 접착력, 외관, 전광특성의 개선할 수 있다. 이의 재료로는 아크릴, 에스테르, 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라이머층은 다른 층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고,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ve polarizer on which a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 substrate, and they form a core layer. In this case, the dispersion may be elongated in various directions, but preferably, it is advantageous to elongate in parallel in any one direction, and more preferab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ght irradiated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parallel to the elongation. Stretching is effective in maximizing the light modulation effect. A primer layer 212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1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appearance, and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Acrylic, ester, urethane, etc. may be used as a material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thinner than other layers, an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the light transmittance may be improved and the reflectance may be lowered.

이러한 프라이머층(212)의 두께는 5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만일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5nm 미만이면, 코어층과 구조화된 표면층간의 접착력이 미미할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00nm를 초과하면, 프라이머 처리시 얼룩이나 분자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212 may be 5 nm to 300 nm. If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less than 5 nm, adhesion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insignificant, and if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exceeds 300 nm, staining or aggregation of molecules may occur during primer treatment.

한편,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형성하여 집광효과를 극대화하고 표면에서 난반사를 방지하여 휘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기재상에 형성되거나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될 수 잇다.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luminance by maximizing a light-converging effect by forming a structured surfac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and preventing diffuse reflection on the surface.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or may be formed on the primer layer.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표면층은 집광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미세패턴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이 단독으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light-collecting effect, and may preferably be a fine pattern layer. In this case, the micropattern that can be applied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ism, lenticular, microlens, triangular pyramid, and pyramid patterns, and each of them may be formed by forming a pattern alone or in combination.

도 8에서는 반사 편광자의 일면에 프라이머층(212) 및 렌티큘러 패턴층(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렌티큘러의 높이(a)는 10 ~ 50㎛일 수 있다. 만일 렌티큘러 패턴의 높이가 10㎛ 미만이면 패턴층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를 초과하면 광의 전반사량 증가로 인해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FIG. 8, a primer layer 212 and a lenticular pattern layer 213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a reflective polarizer, and the height (a) of the lenticular may be 10 to 50 μm. If the height of the lenticular pattern is less than 10 μm,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pattern layer, and if it exceeds 50 μm, the luminance may de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otal reflection amount of light.

또한, 렌티큘러의 피치(b)는 20 ~ 100㎛일 수 있다. 만일 렌티큘러 패턴의 피치가 20㎛ 미만이면 단위면적당 필름의 골부분의 증가로 인하여 렌즈 형상의 집광효과가 다소 떨어지며, 형상가공의 정밀도의 한계와 패턴형상이 지나치게 좁아 패턴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패턴구조물과 패널간의 모아레 발생 가능성이 매우 커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pitch (b) of the lenticular may be 20 ~ 100㎛. If the pitch of the lenticular pattern is less than 20㎛, the condensing effect of the lens shape is slightly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alleys of the film per unit area, 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pattern due to the limitation of shape processing accuracy and the pattern shape being too narrow. If it exceeds 100㎛, the possibility of moire generation between the patterned structure and the panel becomes very high.

한편, 렌티큘러 렌즈 당, 타원단면의 단축반경을 a라 하고, 장축반경을 b라 정의할 때, 장축/단축(b/a)의 비가 1.0 내지 3.0을 충족한다. 장축/단축(b/a)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복굴절 편광층을 통과하는 광에 대한 휘선은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er lenticular lens, when the short axis radius of the elliptical section is defined as a and the major axis radius is defined as b, the ratio of the long axis/short axis (b/a) satisfies 1.0 to 3.0. If the ratio of the long axis/short axis (b/a)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concealing a bright ray for light passing through the birefringent polarizing layer is deteriorated.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높이 h를 정의함에 있어서, 렌즈 하단부 양 끝점에서의 접선각도 α는 30∼80도 사이를 충족해야 한다. 이때, α가 30도보다 작으면, 휘선은폐 효율이 떨어지고, 80도보다 크면, 렌즈패턴의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렌티큘러 렌즈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일 경우에는 휘선은폐 효과를 위해서 꼭지점 각도 θ가 90∼120도를 충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defining the height h of the lenticular lens, the tangent angle α at both end points of the lower end of the lens must meet between 30 and 80 degrees. At this time, when α is less than 30 degrees, the bright line conceal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when it is greater than 80 degre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manufacture a lens pattern.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nticular lens is triang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ex angle θ meets 90 to 120 degrees for the bright line concealing effect.

한편, 렌티큘러 형상은 도 8과 같이 동일한 높이와 피치를 갖는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도 9와 같이 상이한 높이와 피치를 갖는 렌티큘러 패턴들이 혼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enticular shape may be formed as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nd pitch as illustrated in FIG. 8, or lenticular pattern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pitches as illustrated in FIG. 9 may be mixed.

도 10은 반사 편광자의 일면에 마이크로 렌즈 패턴층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마이크로 렌즈의 높이는 10 ~ 50㎛일 수 있다. 만일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높이가 10㎛ 미만이면 집광효과가 다소 떨어지며 패턴 구현도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를 초과하면 모아레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화상에 패턴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IG. 10 shows that a micro lens pattern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reflective polarizer, and when described as a center, the height of the micro lens may be 10 to 50 μm. If the height of the microlens pattern is less than 10 μm, the condensing effect is somewhat degraded and the pattern implementation may be difficult. If it exceeds 50 μm, the moire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and the pattern may be seen in the image.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직경은 20 ~ 10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 6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관특성이 양호하면서 마이크로 렌즈의 집광기능 및 광확산 특성이 우수할 수 있고 실제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만일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직경이 20㎛ 미만이면 유효하지 않은 각도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에 대하여 낮은 집광효율을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수직광에 대한 집광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모아레 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micro lens may be 20 ~ 100㎛. Preferably it may be 30 ~ 60㎛. 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re good, the condensing function and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lens may be excellent, and the actual production may be easy. If the diameter of the microlens pattern is less than 20㎛, there may be a problem showing low light condensing efficiency for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an invalid angle. If it exceeds 100㎛,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for vertical light decreases, and also a moire problem. Can occur.

한편, 마이크로 렌즈 패턴층 역시 도 10과 같이 동일한 높이와 직경을 갖는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도 11과 같이 상이한 높이와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 패턴들이 혼재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렌즈의 밀집도(Density), 함침도(Aspect Ratio)에 따라 광특성이 많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밀집도를 최대한 올리며, 함침도는 1/2을 갖는 것이 이상적이다.
Meanwhile, the microlens pattern layer may also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nd diameter as shown in FIG. 10, or microlens pattern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diameters as shown in FIG. 11 may be mixed. Sinc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cro-lens patter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density and aspect ratio of the lens, it is ideal to maximize the density and have a degree of impregnation of 1/2.

도 12에서는 반사 편광자의 일면에 프리즘 패턴층(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프리즘의 높이(a)는 10 ~ 50㎛일 수 있다. 만일 프리즘 패턴의 높이가 10㎛ 미만이면 프리즘 패턴부의 형상을 제조할 때 베이스 필름이 압력에 손상을 받을 수 있고, 50㎛를 초과하면 광원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FIG. 12, the prism pattern layer 2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er, and the prism height a may be 10 to 50 μm. If the height of the prism pattern is less than 10 μm, the base film may be damaged by pressure when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prism pattern portion, and if it exceeds 50 μm,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cident to the light source may be lowered.

또한, 프리즘의 피치(b)는 20 ~ 100㎛일 수 있다. 만일 프리즘 패턴의 피치가 20㎛ 미만이면 인각이 잘 안되며, 패턴층 구현 및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화상에 패턴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tch (b) of the prism may be 20 ~ 100㎛. If the pitch of the prism pattern is less than 20 μm, it is difficult to engrave, and if it exceeds 100 μm, it may cause a complicated problem in the pattern layer implement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If it exceeds 100 μm, moiré is likely to occur, and the pattern may be visible in the image. .

한편, 프리즘 형상은 도 12와 같이 동일한 높이와 피치를 갖는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도 13과 같이 상이한 높이와 피치를 갖는 프리즘 패턴들이 혼재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즘 패턴은 베이스 필름 보다 굴절률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 필름의 굴절률이 더 높은 경우 베이스 필름의 후면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가 프리즘 패턴의 표면에서 전반사 되어 프리즘 구조로 입사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리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프리즘 형상이며 수직 단면은 삼각형이며 상기 삼각형은 하부면과 대향하는 꼭지점이 60 ~ 110°의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rism shape may be formed as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nd pitch as shown in FIG. 12, or prism pattern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pitches as shown in FIG. 13 may be mixed. Such a prism patter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at of the base film. This is becaus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is higher,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ilm is totally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prism pattern, so that it may not enter the prism structure. Because. The prism shape is preferably a linear prism shape, the vertical cross section is a triangle, and the triangle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angle of 60 to 110° at a vertex facing the lower surface.

구조화된 표면층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패턴는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지방산과 그 유도체, 메타크릴나이트릴과 같은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우레타닉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조화된 표면층은 반사 편광자보다 굴절률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preferably be a polymer resin including a thermosetting or photocurable acrylic resin. For example, the prism pattern may include an unsaturated fatty acid est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fatty acid and its derivatives, and a vinyl cyanide compound such as methacryl nitrile, and specifically, uretanic acrylate, methacrylic acrylat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reflective polariz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분산체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the disp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ersed will be described.

먼저, (1) 단계로서, 기재성분, 분산체 성분을 압출부에 공급한다. 상기 기재 성분은 통상적인 분산체가 분산된 반사편광자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EN일 수 있다.First, as step (1), a base component and a dispersion component are supplied to the extrusion unit. The base compon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a conventional dispersion is dispersed, and preferably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 Carbonate (PC), polycarbonate (PC) alloy, polystyrene (PS), heat-resistant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 acrylonitrile mixture (S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epoxy (EP), urea (UF), melanin (MF), unsaturated polyester (UP), silicone (SI), and cycloolefin polymer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May be PEN.

상기 분산체 성분은 통상적으로 분산체가 분산된 반사편광자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싸이크로헥산디메탄올(CHDM) 등의 단량체들이 적절하게 중합된 co-PEN일 수 있다.The dispersion compon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n a reflective polarizer in which the dispersion is dispersed, and preferably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carbonate (PC) alloy, polystyrene (PS), heat-resistant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 acrylonitrile mixture (S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 Use of 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epoxy (EP), urea (UF), melanin (MF), unsaturated polyester (UP), silicone (SI), and cycloolefin polymer alone or in combination. And more preferably 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 dimethyl terephthalate, ethylene glycol, cyclohexanedimethanol (CHDM), and other monomers may be appropriately polymerized co-PEN.

한편, 상기 기재성분과 분산체 성분을 개별적으로 독립된 압출부들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출부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들이 섞이지 않도록 별도의 공급로 및 분배구를 포함하는 하나의 압출부에 공급하는 것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압출부는 익스트루더일 수 있으며, 이는 고체상의 공급된 폴리머들을 액상으로 전환시킬 있도록 가열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component and the dispersion component may be separately supplied to separate extrusion units, and in this case, the extrusion unit may consist of two or mo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polymers to one extrusion unit including a separate supply channel and a distribution port so as not to be mixed. The extruded part may be an extruder, which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means or the like to convert the supplied polymers in a solid state into a liquid state.

기재성분의 내부에 분산체 성분이 배열될 수 있도록 폴리머 흐름성 차이가 있도록 점도를 차이가 있도록 설계하며, 바람직하게는 기재 성분이 흐름성이 분산체 성분보다 좋도록 한다. 다음 기재 성분과 분산체 성분이 믹싱존과 메시필터존을 통과하면서 기재 내에 분산체 성분이 점성에 차이를 통해 랜덤하게 배열된다.
The viscosity is designed to be different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olymer flowability so that the dispersion component can be arranged inside the base component, and preferably, the base component has better flowability than the dispersion component. Next, while the base component and the dispersion component pass through the mixing zone and the mesh filter zone, the dispersion components in the base material are randomly arranged through differences in viscosity.

다음, 기재 내부에 포함된 분산체 성분이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흐름제어부에서 퍼짐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흐름제어부의 일종인 코트-행거 다이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측면도이다. 이를 통해 기재의 퍼짐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분산체 성분의 단면적의 크기 및 배열을 랜덤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4에서 유로를 통해 이송된 스킨층이 합지된 기재가 코트-행거 다이에서 좌우로 넓게 퍼지므로 내부에 포함된 분산체 성분 역시 좌우로 넓게 퍼지게 된다. Next, the flow control unit induces spreading so that the dispersio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ubstrate can be randomly arranged. Specifically,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hanger die, which is a preferred flow control uni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side view. Through this,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persion component can be randomly adjusted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preading degree of the substrate. In FIG. 14, since the substrate on which the skin layer transferred through the flow path is laminated is spread widely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coat-hanger die, the dispersion component contained therein is also spread widely to the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흐름제어부에서 이송된 퍼짐이 유도된 편광자를 냉각 및 평활화하는 단계, 상기 평활화 단계를 거친 편광자를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신된 편광자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cooling and smoothing a polarizer from which spreading is induced by a flow control unit, and stretching a polarizer that has undergone the smoothing step;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heat setting the stretched polarizer.

먼저, 흐름제어부에서 이송된 편광자를 냉각 및 평활화하는 단계로서 통상의 반사 편광자의 제조에서 사용되던 냉각하여 이를 고형화하고 이후 캐스팅 롤공정 등을 통해 평활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First, as a step of cooling and smoothing the polarizer transferred from the flow control unit, the step of cooling and solidifying the polarizer transported from the flow control unit, which has been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may be performed.

이후, 상기 평활화 단계를 거친 편광자를 연신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연신은 통상의 반사 편광자의 연신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재성분과 분산체 성분간의 굴절율 차이를 유발하여 계면에서 광변조 현상을 유발할 수 있고, 상기 퍼짐유도된 제1 성분(분산체 성분)은 연신을 통해 종횡비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연신공정은 일축연신 또는 이축연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축연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축연신의 경우 연신방향은 제1 성분 길이방향으로 연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신비는 3 ~ 12배 일 수 있다. 한편, 등방성 재료를 복굴절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며 예를 들어 적절한 온도 조건 하에서 연신시키는 경우, 분산체 분자들은 배향되어 재료는 복굴절성으로 될 수 있다.Thereafter, a process of stretching the polarizer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smoothing step is performed.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stretch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through which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base component and the dispersion component may be caused to cause a light modulation phenomenon at the interface, and the spread-induced first component (dispersion Body composition) is further reduced through stretching. For this purpose, preferably,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and more preferably,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the stretching dire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mponent. In addition, the draw ratio may be 3 to 12 times. 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converting an isotropic material into birefringence is commonly known, and when stretching under suitable temperature conditions, for example, the dispersion molecules are oriented so that the material can become birefringent.

다음, 상기 연신된 편광자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인 반사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고정은 통상의 방법을 통해 열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 ~ 200℃ 에서 0.1 ~ 3분 동안 IR 히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Next, a final reflective polariz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 of heat setting the stretched polarizer. The heat setting may be heat set through a conventional method, and preferably may be performed through an IR heater at 180 to 200° C. for 0.1 to 3 minutes.

다음, (2) 단계로서 제조된 반사 편광자(코어층)의 적어도 일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형성한다. 이 때 구조화된 표면층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코어층의 적어도 일면에 프라이머 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화된 표면층의 접착력, 외관, 전광특성의 개선할 수 있다. 이의 재료로는 아크릴, 에스테르, 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라이머층은 다른 층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고,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Next, a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er (core layer) manufactured in step (2).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formatio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a primer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appearance, and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Acrylic, ester, urethane, etc. may be used as a material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thinner than other layers, an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the light transmittance may be improved and the reflectance may be lowered.

이러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5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만일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5nm 미만이면, 코어층과 구조화된 표면층간의 접착력이 미미할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00nm를 초과하면, 프라이머 처리시 얼룩이나 분자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is primer layer may be 5nm to 300nm. If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less than 5 nm, adhesion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insignificant, and if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exceeds 300 nm, staining or aggregation of molecules may occur during primer treatment.

한편,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형성하여 집광효과를 극대화하고 표면에서 난반사를 방지하여 휘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luminance by maximizing a light-converging effect by forming a structured surfac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and preventing diffuse reflection on the surface.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표면층은 집광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미세패턴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이 단독으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패턴이 일정하거나 높이, 피치 등이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다.The structured surface layer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light-collecting effect, and may preferably be a fine pattern layer. In this case, the micropattern that can be applied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ism, lenticular, microlens, triangular pyramid, and pyramid patterns, and each of them may be formed by forming a pattern alone or in combin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pattern is formed alone, the pattern may be constant or the height, pitch, etc. may be arranged differently.

구조화된 표면층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패턴은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지방산과 그 유도체, 메타크릴나이트릴과 같은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우레타닉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조화된 표면층은 반사 편광자보다 굴절률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preferably be a polymer resin including a thermosetting or photocurable acrylic resin. For example, the prism pattern may be an unsaturated fatty acid est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fatty acid and its derivatives, and a vinyl cyanide compound such as methacrylic nitrile. Specifically, uretanic acrylate, methacrylic acrylic Rate resin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reflective polarizer.

한편, 상기 미세패턴층은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의 재질로는 투명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소정의 인장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ine pattern lay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As the material of the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a transparent, flexible, predetermined tensile strength and durability film can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PET film.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ⅰ)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마스터롤에 코어층을 밀착 이송시키고,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또는 상기 코어층면에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고분자수지가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상에서 가압 성형되는 동안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UV경화시키고 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2) comprises: i) the core layer is closely transported to the master roll in which the patter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or Applying a molten polymer resin to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ii) UV-curing the polymer resin and separating it by irradiating UV or heat while the polymer resin is press-molded on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ⅱ) 단계 이후 재차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2차 경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may be secondary cured by irradiating UV or heat again after step ii).

구체적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성형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에서 반사 편광자(770)는 스타트롤(755)에서 풀려 나오면서 가이드롤(754)을 지나 적외선램프(751)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반사 편광자(770)는 적외선램프의 적외선에 의해 표면 개질되어 상기 패턴형성층(771)과의 부착성이 좋아 지게 된다. 스타트롤(755)을 떠난 반사 편광자(770)는 패턴가이드롤(764)를 거쳐 마스터롤(705)에 인입될 때, 주입부(742)로부터 상기 마스터롤(705)의 패턴면에는 패턴형성층(771)재료, 패턴층 고분자가 도포되어 기재층(770)과 합쳐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진은 상온에서 용융된 수지이며, 상기 마스터롤(705)의 하부에 비치된 1차 UV경화장치(752)에서 조사되는 1차 UV광으로 인해 1 차 경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화장치(752) 주변의 온도는 20~ 30℃ 이고, 상기 레진이 경화하면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는 40~80℃로서 상기 레진의 유리전이온도(Tg: 고분자수지Specifically,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of forming a fine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forming part of FIG. 16. In FIG. 16, the reflective polarizer 770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754 and passes through the infrared lamp 751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stator 755. In this process, the reflective polarizer 770 is surface-modified by infrared rays of an infrared lamp, so that adhesion to the pattern forming layer 771 is improved. When the reflective polarizer 770 leaving the statrol 755 is introduced into the master roll 705 via the pattern guide roll 764, the pattern formation layer () on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705 from the injection unit 742 771) The material and the pattern layer polymer are applied to merge with the base layer 770. In this process, the resin is a resin melted at room temperature, and may be first cured due to primary UV light irradiated from the primary UV curing device 752 provided under the master roll 705.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around the curing device 752 is 20 to 30°C, and the temperature of heat generated while the resin is cured is 40 to 80°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Tg: polymer resin

에서 고체에서 액체로 완전한 상 변화를 거치기 전에 부드러운 고무처럼 변화된 특성을 나타내는 온도) 근처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 상태에서 마스터롤 표면의 패턴모양을 완전히 복사한 패턴형성층(771)은 다시 패턴가이드롤(764)을 지나 빠져나오면서 반사 편광자(770)와 패턴형성층(771)이 합체된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772)로 성형되어 가이드롤(754)를 지나 피니쉬롤(756)에 감기게 된다.At a temperature that exhibits a soft rubber-like change of properties before undergoing a complete phase change from solid to liquid). In the glass transition state, the pattern forming layer 771 completely copied the pattern shape on the surface of the master roll passes through the pattern guide roll 764 again and exits, thereby forming a pattern i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er 770 and the pattern forming layer 771 are combined. It is molded into a polarizer 772 and passes through a guide roll 754 and is wound on a finish roll 756.

도 16과 같이 2차례에 걸쳐 UV를 조사하여 제작된 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772)의 단면은 마스터롤(705)의 단면에 상반되는 형태의 면으로써 예를 들어 마스터롤이 음각의 인그레이빙(engraved)면 이라면 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772)는 양각의 엠보싱(embossed)면이 된다.As shown in FIG. 16, the cross sec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er 772 on which the turn is formed by irradiating UV twice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cross section of the master roll 705, for example, the master roll is engraved in engraving. If it is the (engraved) surface, the reflective polarizer 772 on which the turn is formed becomes an embossed surface.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a) 상기 코어층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코어층의 일면과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 중 상기 패턴이 성형된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코어층과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이 밀착되는 영역으로 유동성 있는 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패턴 사이를 충진시키는 단계; e)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기 코어층에 도포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와 상기 재료가 도포된 상기 코어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와 b) 단계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2) comprises: a) transferring the core layer; b) transferring a pattern-forming mold film in which the reverse patter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c) bringing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d) filling between the patterns by injecting a fluid material into a region where the core layer and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 applying the material to the core layer by curing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And f) separating the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from the core layer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and steps a) and b)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or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 사이에, 밀착된 상기 코어층과 상기 몰드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재료를 상기 패턴 사이에 고르게 충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between step d) and step e), the step of applying pressure to the core layer and the mold film adhered to each other to evenly fill the material between the patterns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가,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에 열 또는 UV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step e) may include irradiating heat or UV to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구체적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다. 먼저, 제 1 롤(820)에 감긴 반사 편광자(810)은 가이드 롤(830a 내지 830c)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패턴 몰딩부(840)의 성형몰드(842) 역시 마스터 롤(844)과 패턴 가이드롤(846a, 846b)에 감긴채 이송/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마스터 롤(844)은 가이드 롤(830c 및 830d)에 맞물려 있으므로, 반사 편광자(810)는 가이드 롤(830c)에 이끌려 성형몰드(842)에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830c)은 반사 편광자(810)에 도포되는 코팅액, 즉 패턴층이 수지인각된 반사 편광자(812)의 패턴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갭 조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830c)가 마스터 롤(844)에 밀착하면 반사 편광자의 패턴층을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반대로 가이드 롤(830c)을 마스터 롤과 좀더 떨어지게 할 경우 반사 편광자의 패턴층을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편광자 패턴층의 두께는, 가이드 롤(830c)와 마스터 롤(844) 사이의 간격 이외에도, 코팅액의 점도, 패터닝 속도 및 반사 편광자의 장력 등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Specifically,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pattern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wound around the first roll 820 is transferred by the guide rolls 830a to 830c. At this time, the molding mold 842 of the pattern molding part 840 is also in a state of being conveyed/rotate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master roll 844 and the pattern guide rolls 846a and 846b. At this time, since the master roll 844 is engaged with the guide rolls 830c and 830d,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is attracted by the guide roll 830c to be engaged with the molding mold 842. Here, the guide roll 830c performs a gap adjustment function of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in which the pattern layer is a resin, that is, the coating liquid applied to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More specifically, when the guide roll 830c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ster roll 844, the pattern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er can be formed to be thinner. Conversely, when the guide roll 830c is further separated from the master roll, the pattern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er Can be formed thicker. In addition to the gap between the guide roll 830c and the master roll 844,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polarizer pattern layer can be adjusted by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the patterning speed, and the tension of the reflective polarizer.

한편, 반사 편광자(810)가 가이드 롤(830c)과 마스터 롤(844)이 맞물린 지점으로는 코팅액 주입수단(860)에 의해 코팅액이 주입되어 성형몰드(842)의 패턴 사이로 밀려 들어가 충진되고, 가이드 롤(830c)와 마스터 롤(844) 사이의 압력에 의해 균일하게 분포되어 패턴성형된다. 패턴 사이에 분포된 코팅액은 경화수단(87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 또는 UV에 의해 경화된다. 패턴성형된 코팅액이 경화 및 도포된 반사 편광자는 가이드 롤(830d)에 이끌려 나오면서 성형몰드(842)와 분리되고, 패턴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812)는 가이드 롤(830e)에 의해 이송되어 제 2 롤(850)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830d)는 코팅액이 도포된, 즉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812)를 성형몰드(842)와 분리시키는 박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point where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is engaged with the guide roll 830c and the master roll 844, the coating liquid is injected by the coating liquid injection means 860 and pushed through the patterns of the molding mold 842 to be filled, It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patterned by the pressure between the roll 830c and the master roll 844. The coating liquid distributed between the patterns is cured by heat or UV emitted from the curing means 870. The reflective polarizer to which the patterned coating liquid is cured and applied is separated from the molding mold 842 while being drawn out by the guide roll 830d, and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is transferred by the guide roll 830e to a second roll. It is wound in (850). Here, the guide roll 830d performs a peeling function of separating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on which the coating liquid is applied, that is,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from the molding mold 842.

상기에서 반사 편광자(810)와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812)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명의 편의상 명칭을 분류한 것이다. 즉, 반사 편광자(810)은 패턴이 형성되기 이전의 상태를 의미하고,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812)는 패턴 몰딩부(840)를 통과하면서 패턴성형된 코팅액이 반사 편광자에 도포되어 완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18 에서는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812)에 형성된 패턴층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제 2 롤 (850)에 감긴 반사 편광자 역시 패턴층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In the above,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and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ir names are class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is, the reflective polarizer 810 refers to a state before the pattern is formed, and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is completed by applying a patterned coating solution to the reflective polariz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attern molding unit 840. Means state. In addition, in FIG. 18, only a part of the pattern layer formed on the reflective polarizer 8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is shown, and in reality, the reflective polarizer wound around the second roll 850 also has a pattern layer formed thereon.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공정의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성형몰드(942)를 반사 편광자(910)의 길이만큼 길게 롤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912)에 이음매가 없도록 한 실시례이다.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pattern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molding mold 942 is formed in a roll type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so that there is no seam in the reflective polarizer 9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 역시 반사 편광자(910)가 감겨져 있는 제 1 롤(920)과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912)가 감기는 제 2 롤(950)이 양측에 구비되고, 반사 편광자 및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를 이송시키는 가이드 롤(930a 내지 930f)이 제 1 롤(920)과 제 2 롤(95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롤(930c)와 가이드 롤(930d) 사이에는 반사 편광자(910)에 패턴성형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패턴 몰딩부(940)의 마스터 롤(946)이 밀착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930a 내지 930f)의 갯수와 위치 등은 실시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패턴 몰딩부(940)는 패턴형상이 구현된 필름 형상의 성형몰드(942), 성형몰드가 감겨져 있는 제 3 롤(944), 주입되는 코팅액을 성형몰드에 압착시켜 성형몰드의 패턴대로 코팅액을 패턴성형하고 이를 반사 편광자(910)에 도포시키는 마스터 롤(946), 성형몰드를 이송시키는 패턴 가이드롤(947a 내지 947d) 및 이송된 성형몰드가 감기는 제 4 롤(948)로 이루어진다. 패턴 가이드롤(947a 내지 947d)의 갯수와 위치 등은 실시 상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optical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 920 o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is wound and the second roll 950 o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er 9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are wound are on both sides. The guide rolls 930a to 930f are provided and transfer the reflective polarizer and the reflective polarizer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roll 920 and the second roll 950. In addition, the master roll 946 of the pattern molding part 940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guide roll 930c and the guide roll 930d in order to apply the patterned coating solution to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guide rolls 930a to 930f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The pattern molding part 940 is a film-shaped molding mold 942 in which a pattern shape is implemented, a third roll 944 in which the molding mold is wound, and the injected coating liquid are compressed to the molding mold to pattern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molding mold. It consists of a master roll 946 for molding and applying it to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pattern guide rolls 947a to 947d for transferring the molding mold, and a fourth roll 948 on which the transferred molding mold is wou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pattern guide rolls 947a to 947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state.

상기의 성형몰드(942)는, 도 18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 3 롤(944)에 감긴채 마스터 롤(946) 및 가이드 롤(947a 내지 947d)에 의해 이송되면서 반사 편광자(910)에 코팅액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성형한 후 제 4 롤(948)에 감기게 된다. 이때, 성형몰드(942)는 반사 편광자(9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패턴층이 형성된 반사 편광자(912)에 이음매로 인한 패턴 불량이나 패턴의 끊김이 없이 전 영역에 걸쳐 패턴이 고르게 형성되게 된다. 도 19 에서는 성형몰드의 패턴층에 구현된 패턴을 일부만 도시하였으나, 실제 실시상으로는 성형몰드 전체에 걸쳐 패턴이 구현된다.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8, the molding mold 942 is conveyed by the master roll 946 and the guide rolls 947a to 947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third roll 944, while the coating solution is applied to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After forming the pattern made of, it is wound on a fourth roll 948. At this time, the molding mold 94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and through this, the reflective polarizer 912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is covered over the entire area without defects or pattern breaks due to seams. The pattern is formed evenly. In FIG. 19, only a part of the pattern implemented on the pattern layer of the molding mold is shown, but in actual practice, the pattern is implemented over the entire molding mold.

반사 편광자(910)가 패턴 몰딩부(940)에 인입되는 지점, 즉 가이드 롤 (930c)와 마스터 롤(946)이 밀착되는 지점으로는 코팅액을 주입하기 위한 코팅액 주입수단(960)이 구비되고, 반사 편광자와 성형몰드(942)가 밀착 이동하는 지점에는 열 또는 UV를 조사하여 코팅액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수단(970)이 구비된다.A coating solution injection means 960 for injecting a coating solution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reflective polarizer 910 is introduced into the pattern molding unit 940, that is, a point where the guide roll 930c and the master roll 946 are in close contact, A curing means 970 for curing the coating liquid by irradiating heat or UV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reflective polarizer and the molding mold 942 move in close contact.

구체적으로 도 20은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례로서, 프레임(270)상에 반사판(280)이 삽입되고, 상기 반사판(280)의 상면에 냉음극형광램프(290)가 위치한다. 상기 냉음극형광램프(290)의 상면에 광학필름(320)이 위치하며, 상기 광학필름(320)은 확산판(321), 광확산 필름(322), 프리즘 필름(323), 반사 편광자(324) 및 흡수편광필름(325)의 순으로 적층되나 상기 적층순서는 목적에 따라 달라지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확산판(321), 광확산 필름(322)이나 프리즘 필름(323) 등은 전체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위상차 필름(미도시) 등도 액정표시장치 내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필름(320)의 상면에 액정표시패널(310)이 몰드프레임(300)에 끼워져 위치할 수 있다. Specifically, FIG. 20 is an exampl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a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eflecting plate 280 is inserted on a frame 270,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29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280. Located. An optical film 3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290, and the optical film 320 includes a diffusion plate 321, a light diffusion film 322, a prism film 323, and a reflective polarizer 324 ) And the absorption polarizing film 325 are sequentially stacked, but the stacking order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r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provided in plurality. For example, the diffusion plate 321, the light diffusion film 322, or the prism film 323 may be excluded from the entire configuration, and the order may be changed or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Furthermore, a retardation film (not shown) may also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Meanwhi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31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320 by being fitted into the mold frame 300.

빛의 경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냉음극형광램프(290)에서 조사된 빛이 광학필름(320) 중 확산판(321)에 도달한다. 상기 확산판(321)을 통해 전달된 빛은 빛의 진행방향을 광학필름(320)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광확산 필름(32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광확산 필름(322)을 통과한 필름은 프리즘 필름(323)을 거친 후 반사 편광자(324)에 도달하여 광변조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P파는 반사 편광자(324)를 손실없이 투과하나, S파의 경우 광변조(반사, 산란, 굴절 등)가 발생하여 다시 냉음극형광램프(290)의 뒷면인 반사판(280)에 의해 반사되고 그 빛의 성질이 P파 또는 S파로 랜덤하게 바뀐 후 다시 반사 편광자(324)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 뒤 흡수편광필름(325)을 지난 후, 액정표시패널(310)에 도달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원리로 인하여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를 액정표시장치에 삽입시켜 사용하는 경우 통상의 반사 편광자에 비하여 비약적인 휘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음극형광램프(290)는 LED로 대체될 수 있다.Looking at the light path as the center,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290 reaches the diffusion plate 321 of the optical film 320.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diffusion plate 321 passes through the light diffusion film 322 in order to propagate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film 320. The fil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film 322 reaches the reflective polarizer 324 after passing through the prism film 323, whereby light modulation occurs. Specifically, the P wave passes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er 324 without loss, but in the case of the S wave, light modulation (reflection, scattering, refraction, etc.) occurs and is reflected again by the reflecting plate 280, which is the back side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290. The light is randomly changed to P wave or S wav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er 324 again.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absorption polarizing film 325,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310 is reached. As a result, due to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when 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expect a dramatic improvement in luminance compared to a conventional reflective polarizer. Meanwhile,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290 may be replaced with an L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사 편광자의 용도를 액정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계방출디스플레이 및 전계발광디스플레이 등 평판디스플레이 기술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reflective polarizer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a liquid crystal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widely used in flat panel display technologies such as projection display, plasma display, field emission display,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실시예 1> <Example 1>

분산체 성분으로서 굴절율이 1.65인 폴리에텔렌나프탈레이트(PEN)과, 기재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60 중량%에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글리콜과 사이크로헥산디메탄올 1:2 몰비로 중합반응한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G)를 38중량% 및 인산염이 포함된 열안정제 2 중량% 포함한 원료를 각각 제1 압출부 및 제2 압출부에 투입하였다. Polyetherene naphthalate (PE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5 as a dispersion component, and polycyclohexylene dipolymerized in a 1:2 molar ratio of terephthalate, eth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to 60% by weight of polycarbonate as a base component. Including 38% by weight of methylene terephthalate (poly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G) and 2% by weight of a heat stabilizer containing phosphate The raw materials were put into the first extrusion part and the second extrusion part, respectively.

기재성분과 분산체 성분의 압출 온도는 245℃로 하고 Cap.Rheometer 확인하여 I.V. 조정을 통해 폴리머 흐름을 보정하고, Filteration Mixer가 적용된 유로 통과하여 기재내부에 분산체가 랜덤분산되도록 유도하였고, 기재층 폴리머를 유속 및 압력구배를 보정하는 도 14, 15의 코트행거다이에서 퍼짐을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이 입구의 폭은 200mm이고 두께는 10mm이며 다이출구의 폭은 1,260 mm이고, 두께는 2.5 mm이며, 유속은 1.0m/min.이다. 그 뒤 냉각 및 캐스팅 롤에서 평활화 공정을 수행하고 MD 방향으로 6배 연신하였다. 이어서 180℃ 에서 2분 동안 히터챔버를 통해 열고정을 수행하여 두께가 120㎛인표 1과 같은 랜덤 분산형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사 편광자의 분산체 성분의 굴절율은 (nx:1.88, ny:1.58, nz:1.58)이고 기재성분의 굴절율은 1.58였다. Extrusion temperature of the base component and the dispersion component is 245℃, and check the Cap. The polymer flow was corrected through adjustment, and the dispersion was randomly dispersed inside the substrate by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to which the Filteration Mixer was applied, and the spread of the substrate layer polymer was induced in the coat hanger dies of Figs. 14 and 15 to correct the flow velocity and pressure gradient. I did.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die inlet is 200 mm, the thickness is 10 mm, the width of the die outlet is 1,260 mm, the thickness is 2.5 mm, and the flow rate is 1.0 m/min. After that, the cooling and smoothing process was performed on a casting roll, and it was stretched 6 times in the MD direction. Subsequently, heat setting was performed through a heater chamber at 180° C. for 2 minutes to prepare a randomly dispersed polarizer as shown in Table 1 having a thickness of 120 μ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spersion component of the prepared reflective polarizer was (nx:1.88, ny:1.58, nz:1.58)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component was 1.58.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 2><Examples 2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하기 표 1의 조건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랜덤분산형 반사편광자를 제조하였다.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conditions in Table 1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을 통해 제조된 반사 편광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reflective polarizers manufactured through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1. 상대휘도1. Relative luminance

상기 제조된 반사 편광자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확산판, 반사 편광자가 구비된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 위에 패널을 조립 한 후, 탑콘사의 BM-7 측정기를 이용하여 9개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In order to measure the luminance of the prepared reflective polarizer, it was performed as follows. After assembling a panel on a 32" direct-type backlight unit equipped with a diffuser plate and a reflective polarizer, the luminance at 9 points was measured using a Topcon's BM-7 measuring device to show the average value.

상대휘도는 실시예 1의 반사 편광자의 휘도를 100(기준)으로 하였을 때,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휘도의 상대값을 나타낸 것이다.The relative luminance represents the relative values of the luminances of the oth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hen the luminance of the reflective polarizer of Example 1 is 100 (reference).

2. 휘선보임2

반사 편광자,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강화필름이 구비된Equipped with reflective polarizer, diffuser plate, diffuser sheet, prism sheet, and brightness enhancement film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위에 패널을 조립한 후 휘선보임 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휘선보임평가는 육안으로 휘선을 관찰하고 휘선의 개수가 0개 매우양호, 1개 양호, 2 ~ 3개 보통, 4 ~ 5개 이상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After assembling the panel on the 32” direct-type backlight unit, the brightness was evaluated. Specifically, in the evaluation of bright lines, the number of bright lines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number of bright lines was evaluated as 0 very good, 1 good, 2 to 3 normal, and 4 to 5 or more defective.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종횡비Aspect ratio 9595 9595 9595 9090 8282 7171 9595 1그룹1 group 4848 4646 3535 37.537.5 6060 4545 7575 2그룹Group 2 4040 4747 3030 47.547.5 2525 4545 2525 3그룹3 groups 1212 77 3535 1515 1515 1010 00 1/3그룹1/3 group 44 6.66.6 1One 2.52.5 44 4.54.5 -- 상대휘도Relative luminance 100 100 97.597.5 9595 101101 102102 9292 9090 편광도Polarization degree 82 82 8080 7878 8383 8484 80.580.5 7575 휘선보임Show 매우 양호Very good 양호Good 양호Good 보통usually 보통usually 불량Bad 불량Bad

종횡비 : 전체 분산체의 개수 중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의 개수를 %로 나타냄Aspect ratio: The number of dispersions whose aspect ratio is 1/2 or less among the total number of dispersions is expressed as%

1그룹, 2그룹, 3그룹 :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에서 본 발명의 1그룹, 2그룹 및 3그룹의 단면적 범위에 속하는 분산체의 개수를 %로 나타냄Group 1, Group 2, Group 3: Indicate the number of dispersions in the cross-sectional area range of Group 1, Group 2, and Group 3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in%

1/3그룹 : 1그룹 개수/3그룹 개수를 나타냄
Group 1/3: indicates the number of groups 1/3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 5가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2에 비하여 휘도, 편광도 및 휘선보임이 모두 우수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1/3 그룹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이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2 ~ 4에 비하여 우수한 광학물성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1그룹의 함량이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5에 비하여 실시예 1의 광학물성이 매우 우수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Examples 1 to 5 satisfy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superior luminance, polarization, and luminan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hich did not satisfy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Example 1 belonging to the range of the 1/3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superior optical properties compared to Examples 2 to 4 which did not satisfy this. Furthermore, the optical properties of Example 1 were very excellent compared to Example 5, in which the content of the first group was out of the range.

본 발명의 반사 편광자는 광변조 성능이 우수하므로, 광의 변조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모바일디스플레이, LCD, LED 등 고휘도가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계방출디스플레이 및 전계발광디스플레이 등 평판디스플레이 기술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reflectiv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light modulation performance, it can be widely used in fields requiring light modulation. Specifically, it can be widely used in flat panel display technologi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projection displays, plasma displays, field emission displays,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s that require high luminance such as mobile displays, LCDs, and LEDs.

Claims (20)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상기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32인치를 기준으로 기재 두께가 120㎛일 때 25,000,000 ~ 80,000,000 개로 포함되며,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이 신장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이고,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들은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며, 제1 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부터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초과부터 10.0㎛2이하이고, 상호 수직인 세 방향 중 한 방향이 상기 신장방향일 때 나머지 두 방향으로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In order to transmit the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the second polarized light, a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in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from the substrate, and the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as 25,000,000 to 80,000,000 pieces when the substrate thickness is 120 μm based on 32 inches, and more than 80%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included in the substrate have a long axis length based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ongation direction. The aspect ratio of the short axis length to is 1/2 or less, and the dispersions having the aspect ratio of 1/2 or less include three or more group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is 0.2 to 2.0 μm 2 ,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less than 2 from 5.0㎛ 2.0㎛ than 2, and the third cross-sectional area is less than 2 10.0㎛ from more than 5.0 in the group,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up with the other two directions when the one direction of three directions, one direction of the height Of the dispersion, the dispers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dispersion of the third group are random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3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wherein the number of dispersions of the third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is 1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1 그룹의 개수는 30 ~ 50%이고, 제3 그룹의 개수는 1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wherein the number of first groups is 30 to 50% and the number of third groups is 10 to 30%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 중 제1 그룹의 분산체의 개수/제 3그룹의 분산체의 개수가 3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wherein the number of dispersions in the first group/the number of dispersions in the third group among the dispersions having an aspect ratio of 1/2 or less is 3 to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분산체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The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of claim 1,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in the two axial directions is 0.05 or less,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ices in the remaining one axial direction is 0.1 or mo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편광자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lective polarizer is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구조화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omprising a structured surfa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구조화된 표면층 사이에 접착력 강화를 위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7,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further comprising a primer layer for enhancing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미세패턴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pattern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9,
The fine pattern is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ism, a lenticular, a micro lens, a triangular pyramid, and a pyramid pattern.
(1)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기재 내부에 복수개의 분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상기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산체는 32인치를 기준으로 기재 두께가 120㎛일 때 25,000,000 ~ 80,000,000 개로 포함되며, 상기 기재 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산체 중 80% 이상이 신장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장축길이에 대한 단축길이의 종횡비가 1/2 이하이고, 상기 종횡비가 1/2 이하인 분산체들은 단면적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며, 제1 그룹의 단면적은 0.2 ~ 2.0㎛2이고, 제2 그룹의 단면적은 2.0㎛2초과 5.0㎛2이하이며, 제3 그룹의 단면적은 5.0㎛2초과 10.0㎛2 이하이고, 상호 수직인 세 방향 중 한 방향이 상기 신장방향일 때 나머지 두 방향으로 제1 그룹의 분산체, 제2 그룹의 분산체 및 제3 그룹의 분산체는 랜덤하게 배열된 반사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1) In order to transmit the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the second polarized light, a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inside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substrat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are included as 25,000,000 to 80,000,000 when the substrate thickness is 120 μm based on 32 inches, and at least 80% of the plurality of dispersions contained in the substrate are based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aspect ratio of the minor axis length to the major axis length is 1/2 or less, and the dispersions having the aspect ratio of 1/2 or less include three or more group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group is 0.2 to 2.0 μm 2 , claim to a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group is greater than a second 2.0㎛ 5.0㎛ 2 or les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group is greater than 2 5.0㎛ 10.0㎛ 2 below, the three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in the remaining two directions, whe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group of dispersions, the second group of dispersions and the third group of dispersions are randomly arranged reflective polarizers; And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tructured surfac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와 (2) 단계 사이에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Forming a primer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steps (1) and (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미세패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pattern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마이크로 렌즈, 삼각뿔 및 피라미드 패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ne patter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ism, a lenticular, a micro lens, a triangular pyramid, and a pyramid pattern.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The step (2)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ly dispersed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hrough a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a) 상기 기재를 이송시키는 단계;
b)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을 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기재의 일면과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 중 상기 패턴이 성형된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기재와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이 밀착되는 영역으로 유동성 있는 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패턴 사이를 충진시키는 단계;
e)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기 기재에 도포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패턴형성용 몰드필름와 상기 재료가 도포된 상기 기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와 b) 단계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2),
a) transferring the substrate;
b) transferring a pattern-forming mold film in which the reverse patter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c) bringing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d) filling between the patterns by injecting a fluid material into a region where the substrate and the pattern forming mold film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 applying the material to the substrate by curing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And
f) separating the mold film for pattern formation and the substrat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ly distributed reflective polarizer, characterized in that steps a) and b) are performed in any ord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 사이에,
밀착된 상기 기재과 상기 몰드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재료를 상기 제 2 패턴 사이에 고르게 충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Between the step d) and the step 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pressure to the adhered substrate and the mold film to evenly fill the material between the second patter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가, 상기 패턴 사이에 충진된 재료에 열 또는 UV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e) comprises the step of irradiating heat or UV to th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patter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ⅰ)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의 역상인 패턴이 일면에 성형된 마스터롤에 기재를 밀착 이송시키고,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또는 상기 기재면에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고분자수지가 상기 마스터롤의 패턴면 상에서 가압 성형되는 동안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UV경화시키고 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2)
I) a step of intimately transferring a substrate to a master roll in which the pattern of the structured surfac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pplying a molten polymer resin to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or the substrate surface; And
Ii) UV-curing the polymer resin and separating it by irradiating UV or heat while the polymer resin is press-molded on the pattern surface of the master roll and separating the polymer resi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 이후 재차 UV 또는 열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Secondly curing the polymer resin by irradiating UV or heat again after step ii); Method of manufacturing a random dispersion type reflective polarizer comprising a.
KR1020130169215A 2013-12-31 2013-12-31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KR102172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15A KR102172539B1 (en) 2013-12-31 2013-12-31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CN201480071240.9A CN105874362B (en) 2013-12-31 2014-12-30 Random scatter formula reflective polarizer
JP2016561984A JP6218970B2 (en) 2013-12-31 2014-12-30 Random dispersive reflective polarizer
US15/107,752 US9952363B2 (en) 2013-12-31 2014-12-30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PCT/KR2014/013030 WO2015102364A1 (en) 2013-12-31 2014-12-30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EP14877113.2A EP3091378B1 (en) 2013-12-31 2014-12-30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15A KR102172539B1 (en) 2013-12-31 2013-12-31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68A KR20150079168A (en) 2015-07-08
KR102172539B1 true KR102172539B1 (en) 2020-10-30

Family

ID=5379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15A KR102172539B1 (en) 2013-12-31 2013-12-31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95B1 (en) 2015-06-26 2022-02-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Reflective polarizer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KR101915110B1 (en) * 2015-12-29 2018-11-05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2087358B1 (en) * 2018-08-10 2020-03-10 한국과학기술원 Low reflection polarizer
KR102540191B1 (en) * 2018-11-22 2023-06-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2231814B1 (en) * 2019-10-01 2021-03-24 조덕재 Polarizing film by extrud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352A (en) * 2010-03-31 2011-10-27 Sony Corp Optical sheet laminate, lighting unit and display device
WO2013100662A1 (en) * 2011-12-28 2013-07-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flective polarizer having dispersed polymer
JP2013178571A (en) * 2005-12-30 2013-09-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Optical film composite for brightness enhancement including birefringent polymer layer
KR101340243B1 (en) 2011-12-29 2013-12-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reflective polizer dispered polymer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543A (en) * 1996-02-29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 first birefringent phase and a second phase
KR100605386B1 (en) * 2004-03-04 2006-07-28 미래나노텍(주) Apparatus, method and forming mol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having minute shape
US20070153384A1 (en) * 2005-12-30 2007-07-05 Ouderkirk Andrew J Reinforced reflective polarizer films
KR101201256B1 (en) * 2011-02-09 2012-11-1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reflective polarizer dispered polymer and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571A (en) * 2005-12-30 2013-09-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Optical film composite for brightness enhancement including birefringent polymer layer
JP2011215352A (en) * 2010-03-31 2011-10-27 Sony Corp Optical sheet laminate, lighting unit and display device
WO2013100662A1 (en) * 2011-12-28 2013-07-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flective polarizer having dispersed polymer
KR101340243B1 (en) 2011-12-29 2013-12-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reflective polizer dispered polymer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68A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6284B (en)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JP6218970B2 (en) Random dispersive reflective polarizer
KR10120125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flective polarizer dispered polymer and device thereof
KR1019151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2172539B1 (en)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KR20200060052A (en)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2385165B1 (en) Reflective polarizing film, light sourc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20220011630A1 (en) Optical bod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172288B1 (en) Reflective polizer having random dispersion type
KR101701500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1685574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1906251B1 (en) Multilayer reflective pol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40191B1 (en)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1906253B1 (en) Reflective polizer dispered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40327B1 (en) Reflective polizer dispered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14388B1 (en)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27678B1 (en)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1685588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1685586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1906252B1 (en) Multilayer reflective pol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5582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d light film
KR101768893B1 (en) Complex reflective polarizer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KR10210681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diffusing film and backlight unit
KR20200060085A (en)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20200060050A (en) optical bodies and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