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33B1 -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33B1
KR102171333B1 KR1020170146697A KR20170146697A KR102171333B1 KR 102171333 B1 KR102171333 B1 KR 102171333B1 KR 1020170146697 A KR1020170146697 A KR 1020170146697A KR 20170146697 A KR20170146697 A KR 20170146697A KR 102171333 B1 KR102171333 B1 KR 10217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igarette
heater
cradle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458A (ko
Inventor
한정호
이장욱
임헌일
이종섭
한대남
윤진영
김영래
장지수
임왕섭
이문봉
주성호
박두진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013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0135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395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66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7A/ko
Publication of KR2018007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7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properties
    • A24D3/068Biodegradable or disintegrabl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insensitive to tilting or inclination, e.g. spill-over prevention
    • A61M2205/215Tilt detection, e.g. for warning or shut-o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IR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61M2209/086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Toy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틸트(tilt)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enerating aerosols}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틸트(tilt)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5°이상 90°이하로 틸트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틸트되는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더에 포함된 히터를 가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히터는, 튜브 형상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의 일 말단에 형성된 침첨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양 면 각각에 전기 전도성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시트; 상기 제 1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강성을 가지는 제 2 시트; 및 상기 가열부,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 표면(stepped surface)을 평탄화하기 위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술한 히터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내열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히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은, 상기 제 1 시트의 양 단면 중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항 온도 계수 특성을 가지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상기 제 1 시트의 양 단면 중 제 2 면 상에 형성되고, 내부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가열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상기 궐련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홀더가 틸트(tilt)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에서 틸트된 제 1 상태 및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제 2 상태에서의 흡연 패턴을 누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를 갖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 단부가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통로를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개방된 삽입구멍과, 상기 수용통로의 타단을 폐쇄하며 상기 히터의 상기 단부를 통과시키는 히터구멍을 갖는 바닥벽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관의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돌출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삽입구멍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외부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커버의 외측의 공기를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측벽을 둘러싸며 상기 측벽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벽과 상기 측벽의 사이에 상기 돌출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돌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의 외부벽과 상기 돌출관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통용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궐련의 단부를 향하여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홀을 더 구비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결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담배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들을 직조(weave)하여 제조된 냉각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섬유 다발은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락트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엡실론-카프로 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s) 및 전분계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섬유 다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들을 직조하여 제조된다.
홀더는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가 독립적으로 또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어 틸트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홀더가 틸트된 경우에는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경우, 궐련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으로 인하여 히터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가 크래들에 결합되어 틸트된 상태이거나 또는 홀더 디바이스가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태 등 어떠한 상태에서도, 홀더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궐련에 포함된 냉각 구조물은, 냉각 구조물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을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냉각 구조물에는 균일한 채널들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에어로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은 에어로졸에 포함된 특정 물질을 필터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이 순수한 폴리락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을 통과함에 따라 특정 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에어로졸의 냉각, 특정 물질의 필터링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와 크래들이 겹합된 (일체형)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용부의 수용통로를 따라 궐련을 밀어 넣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궐련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을 케이스의 수용부로부터 분리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수용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흡연 중에 발생하여 궐련의 주위에 부착되어 있는 담배 물질이 수용부와 함께 케이스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면 돌출관과 히터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며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용통로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나 커버의 궐련지지돌기가 궐련에 접촉함으로써 궐련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수용통로와 궐련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궐련과 수용통로의 내측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궐련에서 케이스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궐련과 수용통로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궐련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어 궐련이 팽창하더라도 궐련이 용이하게 수용부의 수용통로로 삽입된다. 만일 궐련과 수용부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으면 궐련에 히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궐련의 외벽이 팽창하여 궐련과 수용부의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수용부에 궐련을 삽입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외부의 공기의 기류를 궐련의 외측면과 수용통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수용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통로와 돌출부를 설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에 의해 궐련에 유입되는 공기를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성요소의 개수가 줄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간소화됨과 아울러 이동식 수용부와 관련되어 빈번히 발생하던 고장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히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단 평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전기 전도성 트랙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히터, 배터리 및 제어부가 연결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크래들에서 틸트된 홀더를 이용하여 흡연을 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홀더에서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홀더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은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 및 23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섬유 다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섬유 다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은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A 내지 도 32B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3은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내부가 충진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A 내지 도 34E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5는 시트형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시트형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7은 과립형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보형물로 제작된 냉각 구조물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9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0A는 도 3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0B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A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1B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2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45는 도 4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2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3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6은 도 5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가 사용될 때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케이스(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케이스(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직경이 10mm이고, 길이가 37mm인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110)의 용량은 120mAh 이상 일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이거나 일회용 배터리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1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는 16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10)는 충/방전이 8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히터(130)의 직경은 2mm 내지 3mm의 범위 중 적절한 사이즈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130)는 2.15mm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의 길이는 20mm 내지 30mm의 범위 중 적절한 사이즈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130)는 19mm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의 말단(131)은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길이가 19mm라고 가정하면, 히터(130)의 말단(131)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히터(130)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히터(13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히터(13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히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히터(130)는 가열부(1315), 가열부(1315)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시트(1325), 제 1 시트(1325)를 보호하는 제 2 시트(1335) 및 코팅층(134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부(1315)는 봉침 형상(예를 들어,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열부(1315)는 기저부 및 침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315)의 기저부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부(1315)의 침첨부는, 에어로졸 형성기질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기저부의 일말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저부와 침첨부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저부와 침첨부는 별개로 제작된 후 접합될 수 있다.
가열부(1315)는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시트(1325)는 가열부(1315)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1325)는 히터(130)의 기저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각각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일 면에 형성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 전도성 트랙에 인접한 가열부(1315)에 열이 전달됨으로써 가열부(1315)가 가열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의 소비 전력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가열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은 상온 섭씨 25도에서, 0.5 ohm와 1.2 oh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 때,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은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구성 물질, 길이, 너비, 두께 및 패턴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 저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구간에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와 저항의 크기는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기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전류와 인가된 전압의 비율을 통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저항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또는 가열부(1315)의 온도가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적절한 도핑재에 의해 도핑될 수 있고,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일 면 또는 다른 일 면에는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항 온도 계수 특성을 가지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 저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구간에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와 저항의 크기는 비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가열부(13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1315)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인접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도 상승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기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전류와 인가된 전압의 비율을 통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저항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가열부(1315)의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은 상온 섭씨 25도에서 7 ohm와 18 ohm 사이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구성 물질, 길이, 너비, 두께 및 패턴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적절한 도핑재에 의해 도핑되거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적 접속부를 통하여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DC(direct current)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적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전기적 접속부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전기적 접속부와 분리된다. 또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인가되는 DC 전압이 일정한 경우,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OP Amp(Operating Amplifier)와 연결될 수 있다. OP Amp는 외부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공급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DC 전압 및/또는 전류를 인가 받는 입력부, 및 입력부에 인가된 DC 전압 및/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OP Amp는 전력 공급부를 통하여 DC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OP Amp는 입력부를 통하여 DC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 때, OP Amp의 입력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 및 OP Amp의 전력 공급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DC 전압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전기적 접속부에 인가되는 DC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전기적 접속부 및 OP Amp의 입력부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전기적 접속부와 분리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온도를 제어 변수로 하는 가변 저항으로서 기능을 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변한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증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감소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하여도,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DC 전압은 일정할 수 있다.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P Amp의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OP Amp의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OP Amp의 입력부에 일정한 DC 전압이 인가될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와 저항 값의 관계,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과 OP Amp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관계, 및 OP Amp의 입력 전류 및 출력 전압의 관계는 실험적으로 획득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 및/또는 온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P Amp는 입력부에 유입되는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기 도성 트랙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는 증가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한다. 반대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공급 전력이 감소하여, 히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한다.
다른 일 예로서, OP Amp는 입력부에 유입되는 입력 전류가 증가 함에 따라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기 도성 트랙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는 증가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한다. 반대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공급 전력이 감소하여, 히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한다.
OP Amp의 출력부는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OP Amp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 또는 가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가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가열부(1315)와 접촉하는 일면에 포함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다른 일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가열부(1315)와 접촉하는 일면에 포함되고,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다른 일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동일한 일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가열부(1315)와 접촉하는 일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가열부(1315)와 접촉하지 않는 일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1325)는 세라믹 합성 물질로 구성된 그린 시트(green sheet)일 수 있다. 이 때, 세라믹은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시트(1335)는 제 1 시트(1325)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제 2 시트(1335)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시트(1335)는 히터(130)가 에어로졸 형성기질에 삽입될 때 제 1 시트(1325)와 전기 전도성 트랙들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제 2 시트(1335)는 세라믹 합성 물질로서 구성된 그린 시트일 수 있다. 이 때, 세라믹은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 2 시트(1335)는, 히터(130)가 궐련(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히터(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약(glaze)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 2 시트(1335)가 유약으로 코팅됨에 따라, 제 2 시트(1335)의 강성은 증가할 수 있다.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 각각은, 동일한 재료군, 예를 들어,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인 세라믹 등에서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 각각은 동일한 재료군, 예를 들어,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서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구성 물질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구성 물질이 동일한 경우라도,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은, 트랙의 길이, 너비, 또는 패턴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열부(1315)의 가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은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또는 제 2 시트(1335)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과 같이 가열부(1315)의 가열을 위한 복 수의 전기 전도성 트랙들이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또는 제 2 시트(1335)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같이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 전도성 트랙들이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부(1315)의 가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 중 동일한 부분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가열부(1315)의 가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 중 서로 다른 부분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터(130)에 코팅층(1345)이 구비됨에 따라, 가열부(1315),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 표면(stepped surface)이 평탄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1325)의 가장자리 및 제 2 시트(1335)의 가장자리가 일치하지 않거나 제 1 시트(1325)와 제 2 시트(1335)의 두께로 인하여, 계단 평면(135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단 평면(1355)으로 인하여, 히터(130)가 에어로졸 형성기질에 삽입될 때 마찰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계단 평면(1355)에 에어로졸 형성기질로부터 생성되는 증착물 또는 잔류물이 끼어 히터(130)가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히터(130)의 열 전도율이 감소하는 등 히터(13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계단 평면(1355)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히터(130)의 외면에 코팅층(1345)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345)으로 형성되는 히터(130)의 외면은 가열부(1315)의 침첨부에 대응하는 코팅층(1345)의 침첨부, 및 가열부(1315)의 기저부,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에 대응하는 코팅층(1345)의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팅층(1345)의 침첨부로부터 코팅층(1345)의 기저부로 이어지는 부분은, 계단 평면(1355)이나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1345)은 내열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1345)은 유리막 코팅층, 테플론 코팅층 및 더몰론 코팅층의 단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코팅층(1345)은 유리막 코팅층, 테플론 코팅층 및 더몰론 코팅층 중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합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단 평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터(130)의 기저부와 기저부를 감싸는 제 1 시트(1325) 및 제 2 시트(1335)로 인하여 계단 평면(135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1325)의 두께에 의하여 테라스(terrace)(13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시트(1335)의 두께에 의하여 테라스(13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침첨부와 기저부의 경계선과 제 1 시트(1325)의 가장자리가 일치하지 않아 스텝(step)(1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1325)의 가장자리와 제 2 시트(1335)의 가장자리가 일치하지 않아 스텝(1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계단 평면(1355)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기질의 증착물 또는 찌꺼기가 끼어 히터(130)가 오염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1345)은 계단 평면(1355)으로 생긴 틈을 채워, 계단 평면(1355)을 평탄화 할 수 있다.
도 4는 전기 전도성 트랙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시트(225)의 제 1 면(1351)은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을 포함하고, 제 2 면(1353)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은 내부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의 가열부(1315)를 가열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커넥션을 통해서 외부 전력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전기 전도성 트랙 내부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전도성 트랙이 발열되어, 인접한 가열부(1315)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가열부(1315)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면(1351)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은 커브형, 메시형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시트(1325)의 제 2 면(1353)에는 가열부(13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항 온도 계수 특성을 가지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 저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온도 구간에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온도와 저항의 크기는 비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가열부(13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315)가 가열됨에 따라 가열부(1315)로부터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가열부(1315)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온도도 상승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가열부(1315)의 온도가 감소할 경우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온도도 감소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커넥션을 통하여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가열부(1315)의 온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저항과 온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전압 및 전류로부터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의 저항이 결정되고, 결정된 저항으로부터 가열부(1315)의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을 이용하여 결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에게 공급되는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가열부(1315)로부터 온도를 전달받기 위하여 가열부(13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면(1353)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은 커브형, 메시형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을 포함하는 제 1 면(1351)은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중 가열부(1315)와 접촉하는 일면이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을 포함하는 제 2 면(1353)은 가열부(1315)와 접촉하지 않는 타면일 수 있다. 반대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을 포함하는 제 2 면(1353)은 가열부(1315)와 접촉하는 일면이고,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을 포함하는 제 1 면(1351)은 가열부(1315)와 접촉하지 않는 타면일 수 있다.
도 4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이 제 1 시트(1325)의 양 단면 각각에 배치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135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1354)은 제 1 시트(1325)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히터, 배터리 및 제어부가 연결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홀더(1)는 히터(130), 배터리(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히터(13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히터(130)와 동일하므로, 히터(1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110)는 제 1 커넥터(1361)를 통하여 히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의 제 1 시트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전력원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제 1 커넥터(1361)를 통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게 공급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 전압은 직류 또는 교류 전압,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펄스 전압, 또는 주기가 변동하는 펄스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MCU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어부(120)는 제 2 커넥터(1362)를 통하여 히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제 1 시트의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30)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결정된 히터(13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결정된 히터(13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온도를 조정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배터리(110)로부터 히터(130)에게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로부터 히터(130)에게 공급되는 펄스 전압의 크기 또는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OP 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제 2 커넥터(1362)를 통하여 OP Amp와 연결될 수 있다. OP Amp는 외부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공급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DC 전압 및/또는 전류를 인가 받는 입력부, 및 입력부에 인가된 DC 전압 및/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OP Amp는 전력 공급부를 통하여 DC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OP Amp는 입력부를 통하여 DC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 때, OP Amp의 입력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 및 OP Amp의 전력 공급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DC 전압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제 2 커넥터(1362)에 인가되는 DC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제 2 커넥터(1362) 및 OP Amp의 입력부는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제 1 커넥터(1361)와 분리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은 온도를 제어 변수로 하는 가변 저항으로서 기능을 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변한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증가함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감소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이 변하여도,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DC 전압은 일정할 수 있다.
OP Amp의 입력부에 유입되는 전류가 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P Amp의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OP Amp의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OP Amp의 입력부에 일정한 DC 전압이 인가될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와 저항 값의 관계,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값과 OP Amp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관계, 및 OP Amp의 입력 전류 및 출력 전압의 관계는 실험적으로 획득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 및/또는 온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P Amp는 입력부에 유입되는 입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기 도성 트랙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는 증가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한다. 반대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공급 전력이 감소하여, 히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한다.
다른 일 예로서, OP Amp는 입력부에 유입되는 입력 전류가 증가 함에 따라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기 도성 트랙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는 증가한다. 이 때,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OP Amp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한다. 반대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의 공급 전력이 감소하여, 히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OP Amp의 출력부의 전압이 감소한다.
OP Amp의 출력부는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MCU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OP Amp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 또는 가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가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홀더(1)의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터(13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7109840712-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히터(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2개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다음과 같이 히터(130)를 제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적절한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삽입된 궐련에서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는 온도 범위 및 히터(130)를 예열하는 온도 범위 중 가장 높은 온도로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1)는 소정의 시구간 동안 히터(130)의 온도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구간은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충분한 시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10초 내지 10분의 시구간 중 적절한 시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 30초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1)가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소정의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히터(130)의 표면 및/또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에 증착된 물질이 휘발됨으로써 청소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는, 별도의 퍼프 감지 센서가 구비됨이 없이,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에 의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홀더(1)가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이용하여 퍼프를 감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퍼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홀더(1)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6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B는 홀더(1)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의 단자(170)가 크래들(2)의 단자(26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를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에 통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17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230)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이 별도의 뚜껑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는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210)의 용량은 3000mAh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210)의 용량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260)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A 및 도 8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크래들(2)을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있다. 또한,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5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B는 크래들(2)을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에는 삽입된 홀더(1)와 결합되는 단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60)가 홀더(1)의 단자(17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을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26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tilt)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홀더(1)가 크래들(7)에 삽입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9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170, 260)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0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꺽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최소 각도 또는 그 보다 큰 각도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1은 크래들에서 틸트된 홀더를 이용하여 흡연을 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크래들(2)은 홀더(1)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홀더(1)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1)에 궐련(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과 함께 홀더(1)가 틸트(tilt)될 수 있다. 홀더(1)는 크래들(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의 틸트 각(θ)으로 틸트될 수 있다. 틸트 각(θ)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의 일 말단에 궐련(3)을 삽입하고 크래들(2)을 손에 쥔 상태에서 흡연을 할 수 있다. 홀더(1), 크래들(2) 및 궐련(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된 상태로 흡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히터(도 1의 130)를 가열시킴으로써 궐련(3)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홀더(1)가 틸트된 상태라 할지라도 홀더(1)는 크래들(2)에 여전히 결합된 상태이므로, 홀더(1)의 배터리(11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한편, 홀더(1)의 배터리(110)는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만 히터(도 1의 130)를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 여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에 의한 배터리(11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 공급에 의한 홀더(1)의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즉 히터(도 1의 1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홀더(1)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 회의 흡연을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1회의 흡연은 14회의 퍼프 단위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서 틸트된 제 1 상태 및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제 2 상태에서의 흡연 패턴을 누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퍼프의 유무를 감지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지속되고 있는 동작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어부(120)는 홀더(1)가 크래들(2)에 결합되었는지, 틸트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퍼프 횟수 또는 동작 시간이 퍼프 제한 횟수 또는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된 경우,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로, 배터리(210)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명령함으로써,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을 중단시킬 수 있다.
홀더(1)는 흡연 패턴과 흡연 제한 조건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흡연 패턴은 예를 들어, 삽입된 궐련(3)에 대한 퍼프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제한 조건은 퍼프 제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홀더(1)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삽입된 궐련(3)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흡연 패턴은 홀더(1)의 동작 시간(예를 들어,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시간)을 포함하고, 흡연 제한 조건은 동작 제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더(1)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2)에서 홀더(1)가 분리되면,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을 중단 시킬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다시 홀더(1)를 크래들(2)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음 흡연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경우라 할지라도,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와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를 누적하여 합산한 후 총 퍼프 횟수를 퍼프 제한 횟수와 비교하여,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홀더(1)가 틸트되어 있거나 또는 홀더(1)가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퍼프 횟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퍼프 횟수와 마찬가지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어 있거나 또는 홀더(1)가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홀더(1)의 동작 시간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결국, 홀더(1)의 동작의 종료, 즉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의 종료는, 홀더(1)의 제어부(120)의 판단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2는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5110 단계에서, 홀더(1) 또는 크래들(2)은 사용자로부터 흡연 개시 요청을 수신한다. 흡연 개시 요청은, 홀더(1) 또는 크래들(2)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흡연 개시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흡연은 홀더(1)가 틸트된 상태이거나 또는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경우에 가능하다. 다만,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홀더(1)가 틸트되지도 않은 경우, 홀더(1)는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히터를 동작시키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흡연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온도 또는 시간으로만 히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하,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거나, 분리된 경우임을 가정하여 홀더(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512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 결합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또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5130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홀더(1)가 분리된 경우, 5170 단계로 진행된다.
513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다.
514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합산한다. 만약, 사용자가 틸트된 상태에서만 궐련(3)을 퍼프한 경우,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는 0회이다.
515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합산된 총 퍼프 횟수와 미리 설정된 퍼프 제한 횟수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는 14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합산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하인 경우, 5120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합산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5160 단계로 진행된다.
516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한다. 한편, 홀더(1)가 여전히 틸트된 경우라면,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히터(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5170 단계에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514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와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를 합산하여 총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3은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5210 단계에서, 홀더(1) 또는 크래들(2)은 사용자로부터 흡연 개시 요청을 수신한다.
522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 결합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또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5230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홀더(1)가 분리된 경우, 5270 단계로 진행된다.
523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카운트한다.
524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과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합산한다. 만약, 사용자가 틸트된 상태에서만 홀더(1)를 동작시킨 경우,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은 0시간이다.
525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합산된 총 동작 시간과 미리 설정된 동작 제한 시간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은 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합산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하인 경우, 5220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합산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5260 단계로 진행된다.
526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한다. 한편, 홀더(1)가 여전히 틸트된 경우라면,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히터(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5270 단계에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5240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동작 시간과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동작 시간을 합산하여 총 동작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도 12에서 설명된 퍼프 횟수 및 도 13에서 설명된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는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된 경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누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한다. 또한, 홀더(1)는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된 경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누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한다.
도 14는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1번째 퍼프부터 6번째 퍼프까지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6회의 퍼프들이 진행되는 동안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한다.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8회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홀더(1)에서 최초로 진행된 퍼프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6번째 퍼프에 뒤이은 7번째 퍼프인 것으로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때부터 분리된 때까지 진행된 모든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즉, 14번째 퍼프가 완료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도 14와는 반대의 경우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후에,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1번째 퍼프부터 4번째 퍼프까지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에 결합하고 틸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4회의 퍼프들이 진행되는 동안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한다.
사용자는 틸트된 홀더(1)를 이용하여 10회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홀더(1)에서 최초로 진행된 퍼프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4번째 퍼프에 뒤이은 5번째 퍼프인 것으로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분리된 때부터 틸트된 때까지 진행된 모든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즉, 14번째 퍼프가 완료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홀더(1)를 틸트된 상태로 이용하다가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하여 이용하고 뒤이어 다시 홀더(1)를 틸트하여 이용하더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부터(즉, 1번째 퍼프) 진행된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6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홀더(1)를 분리된 상태로 이용하다가 홀더(1)를 틸트하여 이용하고 뒤이어 다시 홀더(1)를 분리하여 이용하더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부터(즉, 1번째 퍼프) 진행된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에는 홀더(1)의 틸트 또는 분리와 무관하게, 진행된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하고, 누적된 총 퍼프 횟수에 기초하여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홀더에서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6분동안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동안의 동작 시간을 카운팅한다.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이 아직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더 퍼프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 사용자는 4분 동안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되기 전의 동작 시간은 이미 경과된 동작 시간인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때부터 분리된 때까지 경과된 모든 동작 시간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즉, 10분이 경과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A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가 홀더(1)에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18B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틸트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되거나, 홀더(1)의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19는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홀더(1) 또는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홀더(1) 및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9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310 단계에서, 홀더(1)는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경우에는 532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크래들(2)가 분리된 경우에는 5330 단계로 진행한다.
53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320 단계에서는 크래들(2)이 홀더(1)의 틸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홀더(1)의 틸트 여부는 홀더(1)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에는 534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틸트되지 않은 경우(즉,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5370 단계로 진행한다.
5330 단계에서, 홀더(1)는 홀더(1)의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잔량 및 홀더(1)의 다른 구성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사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의 사용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53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5340 단계에서, 홀더(1)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의 디스플레이에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image)을 출력할 수도 있고, 홀더(1)의 모터를 제어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5350 단계에서, 히터(130)가 가열된다. 일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배터리(1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 또는 히터(130)의 전기 전도성 트랙을 통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5360 단계에서, 홀더(1)는 에어로졸 생성 기작(mechanism)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를 수행함에 따라 변하는 히터(130)의 온도를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거나 히터(130)에 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일정한 퍼프 횟수(예를 들어, 1500회)에 도달하면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537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의 충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 전력을 홀더(1)의 배터리(110)에 공급함으로써 홀더(1)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제어부(120, 220)가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홀더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홀더(1) 및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홀더(1) 또는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0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41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퍼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 및 퍼프 감지 센서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5420 단계에서, 사용자의 퍼프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제어부(120, 220)가 사용자의 퍼프 및 히터(130)의 온도에 따라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한다.
543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가 14회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카운팅된 퍼프 횟수가 14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퍼프 제한 횟수는 14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는 10회 내지 16회 중 적절한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12회인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545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5440 단계로 진행한다.
544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은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10분 이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홀더(1)가 8분 동안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홀더(1)가 동작 제한 시간 이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545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5420 단계로 진행한다.
545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에어로졸 생성 기작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도 21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7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7 내지 도 18B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1의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2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크래들(2)의 동작은,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수행될 수 있다.
551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버튼(24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버튼(240)이 눌려진 경우에는 5520 단계로 진행하고, 버튼(24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5530 단계로 진행한다.
55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잔량량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553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는 55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5540 단계에서, 크래들(2)은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10)를 충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궐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이하, 도 22 내지 도 38c를 참조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는 궐련의 예를 설명한다.
도 22은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궐련(3)은 케이스(140)의 말단(141)을 통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궐련(3)이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3)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궐련(3)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궐련(3)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31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3)은 제 2 부분(320)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3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홀더(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310)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32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의 내부에 제 1 부분(31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310) 및 제 2 부분(32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32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310)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외부 공기는 홀더(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112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외부 공기는 궐련(3)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유입(1110)될 수도 있다.
도 23A 및 23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궐련(3)은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310)은 담배 로드(3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23A를 참조하면, 궐련(3)은 총 5 개의 래퍼들(341, 342, 343, 344, 34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3B를 참조하면, 궐련(3)은 총 6 개의 래퍼들(341, 342, 343, 344, 346, 347)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310)는 제 1 래퍼(341)에 의하여 포장되고,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제 2 래퍼(342)에 의하여 포장된다. 또한, 냉각 구조물(322)은 제 3 래퍼(343)에 의하여 포장되고,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제 4 래퍼(344)에 의하여 포장된다.
도 23A의 제 5 래퍼(345)는 제 1 래퍼(341), 제 2 래퍼(342), 제 3 래퍼(343) 및 제 4 래퍼(344)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 전체는 제 5 래퍼(345)에 의하여 이중으로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3B의 제 6 래퍼(346)는 제 1 래퍼(341), 제 2 래퍼(342) 및 제 3 래퍼(343)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의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및 냉각 구조물(322)은 제 6 래퍼에 의하여 이중으로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도 23B의 제 7 래퍼(347)은 제 3 래퍼(343)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4 래퍼(344)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의 냉각 구조물(322)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은 제 7 래퍼(347)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다공질 권지 또는 무다공질 권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내유성을 갖는 종이류 및 알루미늄 합지 포장제로 제작될 수 있다.
제 3 래퍼(343)는 하드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래퍼(343)의 평량은 90g/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4 래퍼(344)는 내유성 하드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래퍼(344)의 평량은 92g/m2이고, 두께는 125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멸균지(MFW)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멸균지(MFW)는 인장 강도, 내수도, 평활도 등이 일반 종이보다 증진되도록 특수하게 제조된 종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의 평량은 60g/m2이고, 두께는 67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의 인장 강도는 건식 기준 8kgf/15mm 내지 11kgf/15mm의 범위 이내, 습식 기준 1.0kgf/15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소정의 물질이 내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내열성,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 또는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다만, 실리콘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에 도포(또는, 코팅)될 수 있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가 히터(130)에 의하여 가열되면, 궐련(3)이 연소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에 포함된 물질들 중 어느 하나의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될 경우, 궐련(3)이 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궐련(3)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에 의하여 홀더(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하여, 궐련(3) 내에서 액체 물질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액체 물질들(예를 들어, 수분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가 담배 로드(310) 및/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포장함에 따라, 궐련(3) 내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이 궐련(3)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케이스(140) 등이 궐련(3)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궐련(3)의 직경은 5mm 내지 9mm의 범위 이내이고, 길이는 약 48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궐련(3)의 직경은 7.2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310)의 길이는 약 12mm,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10mm,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4mm,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12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궐련(3)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담배 로드(3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각초들로 충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담배 각초들은 담배 시트를 잘게 절단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넓은 담배 시트가 좁은 공간의 담배 로드(310)에 채워지기 위해서는, 담배 시트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를 담배 시트로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담배 로드(310)를 담배 각초들로 충진하는 것이 더 용이하며, 담배 로드(310)를 생산하는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시트가 세절된 복수의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서로 같은 방향(평행)으로 또는 무작위로 합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합쳐져서 형성되고, 히터(130)가 삽입되거나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종방향의 복수의 채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담배 가닥들의 크기 및 배열에 의하여, 종방향의 채널들은 균일하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가닥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담배 원료를 분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 가향액, 바인더(예를 들어,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 물 등이 혼합된 슬러리를 만든 후, 슬러리를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한다. 슬러리를 만들 때, 담배 가닥의 물성을 개질하기 위하여 천연 펄프 또는 셀룰로오스가 첨가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바인더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시트를 절각 또는 세절함으로써 담배 가닥이 생성될 수 있다.
담배 원료는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및/또는 담배 처리 중 발생된 담배 미분일 수 있다. 또한, 담배 시트에는 목재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슬러리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5% 내지 40%가 첨가될 수 있으며, 담배 가닥 완제품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2% 내지 35%가 잔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 완제품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10% 내지 25%가 잔류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가 제 1 래퍼(341)에 의하여 포장되는 과정 이전에,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담배 로드(310)의 중앙에 분사하여 첨가할 수 있다.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0.5mm 내지 2 mm, 세로 길이가 5mm 내지 50mm, 두께(높이)가 0.1 mm 내지 0.3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0.9mm, 세로 길이가 20mm, 두께(높이)가 0.2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담배 가닥은 평량이 100g/m2 내지 250g/m2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은 평량이 180 g/m2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진되는 것과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로 충진된 담배 로드(310)는 더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동일한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가정하면, 담배 시트에 비하여, 담배 가닥들이 더 넓은 표면적을 보장한다. 넓은 표면적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기회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더 많은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궐련(3)을 홀더(1)에서 분리할 때, 담배 가닥들로 충진된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홀더(1)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10 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에 포함된 중공의 직경은 3mm 내지 4.5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직경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제조 시에 가소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경도가 조정될 수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외곽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다른 구성(예를 들어, 다른 필터 세그먼트)과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혹은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30)가 삽입되는 경우에 담배 로드(310)의 내부 물질이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리세스 필터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4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12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 가향액을 분사함으로써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를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내부에 삽입할 수도 있다. 담배 로드(31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냉각 구조물(322)을 통과함에 따라 냉각되고, 냉각된 에어로졸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 가향 요소가 첨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향미의 지속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24)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32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캡슐(324)의 피막은 한천(agar), 펙틴(pectin),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젤라틴 또는 구아검 등의 검류 등으로 제조될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겔화 조제(助劑)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로서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히터(130)가 담배 로드(310)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상변이(相變異) 작용에 의하여 에어로졸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을 형성하는 재료는 열에너지의 흡수를 필요로 하는 용융 또는 유리 전이와 같은 상변이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322)로 진입하는 온도에서 이러한 흡열 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냉각 구조물(322)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 또는 직경은 궐련(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7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4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구조물(322)은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물질은 젤라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및 그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락트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엡실론-카프로 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s) 및 전분계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구조물(322)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는 순수한 폴리락트산으로 제작된 섬유 가닥(이하, '섬유 가닥'이라고 함)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제조된 3차원 구조물 형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섬유 가닥의 굵기, 길이, 냉각 구조물(322)을 구성하는 섬유 가닥의 개수, 섬유 가닥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이 순수한 폴리락트산으로 제작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3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특정 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으며, 종이 또는 고분자 물질을 소재로 한 래퍼로 냉각 구조물(322)의 외부를 감싸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분자 물질은 젤라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및 그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4A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섬유 가닥 및 복수의 섬유 가닥들에 의하여 형성된 섬유 다발의 예를 설명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섬유 다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A 및 도 24B에는 냉각 구조물을 형성하는 섬유 다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3100)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3110)이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섬유 다발(3120)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31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섬유 다발(3120)은 복수의 섬유 가닥들(예를 들어, 40 가닥들)이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3110, 3120)을 직조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향액이 도포된 섬유 가닥을 이용하여 섬유 다발(3110, 31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 가닥과 폴리락트산으로 제조된 섬유 가닥(3130)을 함께 이용하여 섬유 다발(3110, 3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섬유 가닥(3130)을 소정의 컬러로 염색하고, 염색된 섬유 가닥(3130)을 이용하여 섬유 다발(3110, 3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냉각 구조물(3100)을 섬유 다발(3110, 3120)을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 1 이점으로, 에어로졸은 섬유 가닥(3130)들 사이로 흐를 수 있고, 냉각 구조물(3100)의 형태에 따라 와류가 형성될 수도 있다. 형성된 와류는 냉각 구조물(3100)에서 에어로졸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310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준다. 따라서, 가열된 에어로졸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제 2 이점으로, 원료(예를 들어, 폴리락트산)를 이용하여 섬유 가닥(3130)을 생산하고, 섬유 가닥들을 이용하여 생산된 냉각 구조물(3100)은, 일반적인 보형물 대비 제조 수율이 높다. 다시 말해, 섬유 가닥(3130)들로 제조한 냉각 구조물(3100)은 일반적인 보형물 대비 절단이 용이하다. 따라서, 단일 냉각 로드를 절단하여 많은 수의 냉각 구조물(3100)들을 얻을 수 있기에, 보형물을 생산하는 과정 대비 제조 수율이 높다.
또한,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구조물의 절단 등의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정의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냉각 구조물을 다양한 형상들로 제작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제 3 이점으로, 섬유 가닥(3130)들을 이용하여 생산된 냉각 구조물(3100)은 필름형 냉각 구조물 대비 궐련 생산 과정에서의 용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필름형 냉각 구조물은 잘 부스러지는바, 작은 부피를 갖는 궐련(3) 내에 삽입하기 어렵다. 이에 비하여, 섬유 가닥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냉각 구조물(3100)은 궐련(3)내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필름형 냉각 구조물을 궐련(3)내에 삽입하는 경우, 필름형 냉각 구조물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스러질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조물이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효과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구조물(3100)을 폴리락트산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함(예를 들어, 직조)에 따라, 냉각 구조물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될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섬유 다발(3110, 3120)들을 조합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냉각 구조물(31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섬유(3130)들을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3100)을 제작함으로써,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냉각 구조물(3100)의 에어로졸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5는 섬유 다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섬유 다발(3200)은 하나의 주요 스트림(3210)과 복수의 서브 스트림(3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요 스트림(3210)은 복수의 섬유 가닥들이 엮인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스트림(3220)은 주요 스트림(3210)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으로서, 섬유 다발(3200)은 마치 조류의 날개와 같은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주요 스트림(3210) 또는 서브 스트림(3220)을 형성하는 섬유 가닥들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주요 스트림(3210) 또는 서브 스트림(3220)의 굵기는 섬유 가닥들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주요 스트림(3210)에 연결된 서브 스트림(3220)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요 스트림(3210)에 복수의 서브 스트림(3220)들이 포함된 경우, 서브 스트림(3220)들 각각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서브 스트림(3220)들 중 일부가 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322)의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channel)이 포함될 수 있다. 채널은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채널의 방향은 종방향(즉, 냉각 구조물(322)의 축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생산 공정에 따라, 채널의 직경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을 구성하는 섬유 다발의 굵기 및/또는 개수에 따라 채널의 직경이 조절될 수도 있고, 냉각 구조물(322)의 직조 패턴에 따라 채널의 직경이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322)에는 균일한 채널들이 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각 구조물(322)은 모든 단면들에 채널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구조물(322)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
이하, 도 26A 내지 도 28B를 참조하여,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322)의 예를 설명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3300)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300)은 단일의 채널(3310)의 필터를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6B에는 도 26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B에서 냉각 구조물(3300)의 중공(3320)이 채널에 해당된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A 내지 도 27C에는 복수의 섬유 다발들을 직조(weave)하여 제조된 냉각 구조물(34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섬유 다발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이 직조되거나 뭉쳐진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27A 내지 도 27C에는, 도 27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400)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B에 도시된 중공(3410) 및 도 27C에 도시된 중공(3420)이 채널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400)을 구성하는 섬유 다발들의 수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고, 그 수의 제한은 없다. 또한, 단일 섬유 다발에 포함된 섬유 가닥의 수는 1개 이상이 될 수 있고, 그 수의 제한은 없다. 또한, 섬유 다발들 각각에 포함된 섬유 가닥의 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3400)은 8개의 섬유 다발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400)은 6개 또는 9개의 섬유 다발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A 및 도 28B에는 복수의 섬유 다발들을 직조하여 제조된 냉각 구조물(35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8B에는, 도 28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500)의 일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500)과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1600)은 서로 경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28B에 도시된 중공(3510)이 채널에 해당된다.
한편, 도 26A 내지 도 28B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의 채널의 내부는 소정의 물질(예를 들어, 폴리락트산을 이용하여 생산된 시트, 섬유 가닥으로 생산된 다른 구조물, 권축된(crimped) 섬유 가닥 등)로 충진될 수도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의 생산 공정에 따라, 소정의 물질이 채널에 충진되는 정도(충진률)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의 내부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채워지는 섬유 가닥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 생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섬유의 총 면적 또는 섬유 가닥의 배열 등을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의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이 생산될 수 있다.
이하,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의 내부가 소정의 물질(예를 들어, 다른 냉각 구조물)로 충진된 예를 설명한다.
도 29은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는 제 1 서브 구조물(3610)의 내부에 제 2 서브 구조물(3620)이 충진된 냉각 구조물(36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서브 구조물(3610)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냉각 구조물(3610)은 도 26A 내지 도 2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 1 서브 구조물(3610)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이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제 1 서브 구조물(36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제 2 서브 구조물(3620)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는 제 2 서브 구조물(3620)로서 권축된 시트형 필터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형 필터에 대해서는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0A 및 도 30B는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0A 및 도 30B에는 제 1 서브 구조물(3710)의 내부에 제 2 서브 구조물(3720)이 충진된 냉각 구조물(37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0B는 도 30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700)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제 1 서브 구조물(3710)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냉각 구조물(3710)은 도 26A 내지 도 2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냉각 구조물(3300, 3400, 35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구조물(3710)의 채널에 충진된 제 2 서브 구조물(3720)은 복수의 섬유 다발들을 직조하여 제조된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서브 구조물(3720)은 제 1 서브 구조물(3710)의 채널의 직경과 같아, 제 2 서브 구조물(3720)이 제 1 서브 구조물(3710)의 채널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도 30A 및 도 30B에는, 제 2 서브 구조물(3720)이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 2 서브 구조물(3720)의 직경에 따라, 제 1 서브 구조물(3710)의 채널에는 복수 개의 제 2 서브 구조물(3720)이 충진될 수 있다.
도 31은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900)은 도 29 내지 도 30B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600, 3700)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냉각 구조물(3900)은 제 1 서브 구조물의 채널(3910)에 다른 물질이 충진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3910)은 복수의 섬유 가닥들로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충진된 섬유 가닥들은 불규칙적으로 뭉쳐진 형상(예를 들어, 솜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6A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 구조물은 종방향의 단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단위 면적 당 표면적(즉,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냉각 구조물은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들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32A 내지 도 34E를 참조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32A 내지 도 32B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2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100)은 복수의 채널(4110)들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32A 및 도 32B에는 냉각 구조물(4100)이 13개의 채널(4110)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채널들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2B에는 도 32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4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B에서 냉각 구조물(4100)의 복수의 중공(4120)들 각각이 채널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4100)은 도 26A 내지 도 26B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3300)을 복수 개 그룹핑하여 생산될 수 있다. 즉, 냉각 구조물(3300)의 수에 따라 냉각 구조물(4100)에 포함되는 채널(4110)들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냉각 구조물(4100)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구조물(4100)이 복수의 냉각 구조물(4100)들이 그룹핑 되어 제조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냉각 구조물(3300)들 사이의 공간(4130)도 채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 변이에 따라 복수의 냉각 구조물(3300)들 중 어느 채널이 막히게 되더라도, 에어로졸은 냉각 구조물(4100)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33은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내부가 충진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200)은 복수의 냉각 구조물(4210)들이 그룹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4210)은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복수의 냉각 구조물(4210)들이 그룹핑됨에 따라, 냉각 구조물(4200)은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4210)은 도 25에 도시된 섬유 다발(3200)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각 구조물(4210)은 복수의 섬유 다발(3200)들을 직조하여 제조되고, 냉각 구조물(4210)의 채널에는 섬유 다발(3200)의 서브 스트림(3220)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조물(4210)은 서브 스트림(3220)들에 의하여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단면적이 늘어나므로, 에어로졸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 구조물은 종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의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각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의 채널들은 도 32A 내지 도 3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34A 내지 도 34E를 참조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34A 내지 도 34E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4A 내지 도 34E에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냉각 구조물(43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4B 내지 도 34E에는, 도 34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4300)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한 일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4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300)의 단면들 각각은 복수의 채널(4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4B 내지 도 34D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300)의 생산 공정에 따라, 복수의 채널(4320, 4330, 4340)들 각각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34E를 참조하면, 복수의 채널들 각각의 위치에 따라, 냉각 구조물(4300) 전체가 하나의 연속된 기류 통로(4350)를 포함하도록 생산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34E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냉각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 채널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구조물은 중공 채널을 포함하는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은 시트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5 내지 도 36B를 참조하여, 시트 형태로 제작된 냉각 구조물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냉각 구조물은 과립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7을 참조하여, 과립(granule) 형태로 제작된 냉각 구조물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냉각 구조물은 폴리락트산(PLA)을 원료로 하는 보형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8A 내지 도 38C를 참조하여, 보형물로 제작된 냉각 구조물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열 경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경도(hardness)를 갖는 냉각 구조물(322)을 생산할 수 있다.
도 35는 시트형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냉각 구조물(4400)은 시트 형태(이하, '시트형 냉각 구조물'라고 함)로 생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트형 냉각 구조물(4400)은 섬유 가닥들을 특정한 방향성 없이 촘촘하게 배치하여 압축함으로써 생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트형 냉각 구조물(44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물질(예를 들어, 활성탄 과립 등)이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형 냉각 구조물 위에 소정의 물질을 도포시키고, 제 2 시트형 냉각 구조물을 제 1 시트형 냉각 구조물 위에 놓은 후 압축함으로써, 압축된 시트형 냉각 구조물(4400)의 내부에 소정의 물질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시트형 냉각 구조물(4400)의 생산 과정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6A 및 도 36B는 시트형 냉각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6A 및 도 36B에는 내부가 충진된 냉각 구조물(45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6B에는, 도 36A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4500)의 일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6A의 냉각 구조물(4500)은, 권축된 시트형 냉각 구조물의 외곽을 다른 시트형 냉각 구조물로 포장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도 37은 과립형 냉각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에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 형태의 냉각 구조물(46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4600)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 가닥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다발을 뭉치거나 랜덤하게 직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보형물로 제작된 냉각 구조물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8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710)은 폴리락트산, 각초 또는 숯 각각으로 제조된 과립들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 참숯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또는 숯 외에도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8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720)은 제 1 단면(4721) 및 제 2 단면(4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면(4721)은 도 23A 내지 도 23B에 도시된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과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유입되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면(4722)은 도 23A 내지 도 23B에 도시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방출될 수 있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면(4721)과 제 2 단면(4722)은 직경이 동일한 단일 공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1 단면(4721)과 제 2 단면(4722)에 포함되는 공극의 직경 및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냉각 구조물(4720)은 제 1 단면(4721)과 제 2 단면(4722) 사이에, 복수의 공극들이 포함된 제 3 단면(47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단면(4723)에 포함된 복수의 공극들의 직경은 제 1 단면(4721) 및 제 2 단면(4722)에 포함된 공극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단면(4723)에 포함된 공극들의 수는 제 1 단면(4721) 및 제 2 단면(4722)에 포함된 공극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도 38C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473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와 접경하는 제 1 단면(4731)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는 제 2 단면(47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4730)은 하나 이상의 채널(47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4733)은 미세다공질 포장재로 포장될 수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충진재(예를 들어, 도 38A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립)로 충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홀더(1)는 궐련(3)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독립적으로 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틸트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홀더(1)가 틸트된 경우에는 크래들(2)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이하, 도 39 내지 도 58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일체형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이다. 따라서 도 39 내지 도 58에서 설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도 1 내지 21에서 설명한 홀더(1) 및 크래들(2)의 각각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9 내지 도 58에서 설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도 22 내지 38C에서 설명한 궐련(3)이 삽입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22 내지 38C에서 설명한 궐련(3)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9 내지 도 58에서 설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히터(103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히터(130)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38C에서 설명한 홀더(1)(특히, 홀더(1)에 채용된 히터(130)) 및 궐련(3)(특히, 궐련(3)에 채용된 냉각 구조물(322))은 도 39 내지 도 58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58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도 1 내지 도 38C에서 사용된 번호들과 연관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8C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한 번호들과, 도 39 내지 도 58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9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0A는 도 3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0B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 도 40A, 및 도 40B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케이스(10010)와 커버(100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20)가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커버(10020)는 케이스(10010)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열차단 물질이 코팅된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이나, 3D 프린팅 방식이나,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소형 부속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사이에는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돌기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가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조작버튼에 의해 돌기가 이동하여 돌기가 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자석과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어느 하나에 자석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아니면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모두에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9 및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서 커버(10020)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커버(10020)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10010)에 결합된 커버(10020)의 상면에는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0p)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0020)의 상면에서 외부구멍(10020p)에 인접한 위치에 레일(10030r)이 형성된다. 레일(10030r)에는 커버(1002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도어(10030)가 설치된다. 도어(10030)는 레일(10030r)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어(10030)가 레일(10030r)을 따라 도 40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궐련(3)이 커버(10020)를 통과하여 케이스(10010)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외부구멍(10020p)과 삽입구멍(10040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커버(10020)의 외부구멍(10020p)은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0h)의 삽입구멍(10040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어(10030)에 의해 외부구멍(10020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3)의 단부(3b)를 외부구멍(10020p)과 삽입구멍(10040p)에 삽입시켜 궐련(3)을 커버(100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10040h)에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10030)가 커버(10020)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도어(10030)가 커버(10020)에 대해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어(10030)는 힌지 조립체를 통하여 커버(100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도어(10030)는 커버(10020)의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외부구멍(10020p)의 측면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어(10030)가 커버(1002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레일(10030r)은 오목한 홈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레일(10030r)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일(10030r)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케이스(10010)에는 버튼(10090)이 설치된다. 버튼(10090)이 조작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커버(10020)가 케이스(100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가 커버(100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허용하는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10020g)이 형성된다.
도 41A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궐련(3)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궐련(3)을 입으로 물어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궐련(3)을 사용한 이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3)을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3)을 손으로 잡아 돌려서 궐련(3)에 삽입되어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의 히터로부터 궐련(3)을 뽑아낼 수 있다.
도 41B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궐련(3)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한 후에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청소 작업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케이스(10010)로부터 커버(10020)를 분리한 후 수용부(10040)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공간 및 히터 등을 외부로 노출시켜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커버(10020)는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10010a)에 결합되어 있는 수용부(10040)를 덮도록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10010a)에 결합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2는 도 40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3은 도 4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4는 도 4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상면도이고, 도 45는 도 4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10010)와,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10010a)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10200p)를 갖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10200)과, 돌출관(10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0)에 설치되는 히터(10300)와, 돌출관(10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관(10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수용부(10040)와, 돌출관(10200)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수용부(10040)를 관통함으로써 수용부(10040)에 삽입된 궐련(3)을 지지하는 돌출부(10050)를 구비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040)가 케이스(100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수용부(10040)를 잡아서 수용부(10040)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돌출관(10200)은 히터(10300)를 둘러싸 보호하며, 수용부(10040)가 결합되면 수용부(1004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관(10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관(10200)은 내부에 수용부(100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통로(10200h)를 구비한다. 결합통로(10200h)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개구(10200p)와 연결된다.
케이스(10010)에는 궐련(3)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10300)가 설치된다. 히터(10300)는 일측의 단부(10310)가 돌출관(10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0)에 설치된다. 돌출관(10200)에 수용부(100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0040)에 궐련(3)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에 삽입된다.
히터(10300)의 하측 단부에는 전기 배선(10710)을 통해 케이스(10010)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107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10300)의 단부(10310)에 궐련(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10700)의 전기가 히터(10300)에 공급되면 히터(1030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3)이 가열된다.
도 43 및 도 45를 참조하면, 수용부(10040)는 돌출관(10200)의 개구(10200p)를 통하여 돌출관(10200)의 내부의 결합통로(10200h)에 삽입될 수 있으며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0h)를 형성하는 측벽(10040w)과,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통로(10040h)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개방된 삽입구멍(10040p)과, 수용통로(10040h)의 타단을 폐쇄하며 히터(10300)의 단부(10310)를 통과시키는 히터구멍(10040c)을 갖는 바닥벽(10040b)을 구비한다.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에 형성된 히터구멍(10040c)의 크기는 히터(10300)의 단부(1031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히터구멍(10040c)도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히터구멍(10040c)의 내경은 히터(10300)의 단부(1031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는 히터구멍(10040c)의 내경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히터구멍(10040c)의 내경은 히터(10300)의 단부(10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히터구멍(10040c)의 내면이 히터(10300)의 단부(103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수용부(10040)는 측벽(10040w)을 둘러싸며 측벽(10040w)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벽(10040t)을 구비한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되면 외부벽(10040t)과 측벽(10040w)의 사이에 돌출관(10200)이 삽입됨으로써 수용부(10040)와 돌출관(10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될 때에는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이 돌출관(10200)의 결합통로(10200h)에 삽입된다.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이 돌출관(10200)의 결합통로(10200h)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돌출관(10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수용부(10040)의 히터구멍(10040c)을 통과한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수용부(10040)의 히터구멍(10040c)을 통과하여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궐련(3)이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에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궐련(3)에 삽입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궐련(3)을 수용통로(10040h)에 삽입하면 궐련(3)이 수용통로(10040h)를 따라 이동하다가 궐련(3)의 단부가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에 도달하면, 궐련(3)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바닥벽(10040b)과 궐련(3)의 단부가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궐련(3)을 손에 쥐고 수용통로(10040h)의 삽입구멍(10040p)에 궐련(3)을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3)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3)을 수용부(1004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3)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며 궐련(3)을 수용부(10040)의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3)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는 동안 담배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는 궐련(3)과 히터(10300)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수용부(10040)에서 궐련(3)을 분리한 이후에 사용자는 수용부(10040)의 내부의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청소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용부(10040)를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수용부(10040)를 손으로 잡아 케이스(20010)의 외부로 수용부(10040)를 빼낼 수 있다.
돌출관(10200)의 결합통로(10200h)의 내벽면에는 궐련(3)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10050)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돌출부(10050)는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을 관통함으로써 수용부(10040)에 삽입되어 있는 궐련(3)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돌출관(10200)은 궐련(3)의 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출관(10200)은 돌출관(10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홀(10200g)을 구비한다. 공기홀(10200g)은 돌출관(102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홀(10200g)은 돌출관(10200)의 외부의 공기가 돌출관(10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한다.
도 46은 도 4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7는 도 4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8은 도 4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0040)와 돌출관(10200)의 결합 부위, 즉 수용부(10040)의 외부벽(10040t)과 돌출관(10200)의 사이에는 수용부(10040)의 외측의 공기가 수용부(1004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공기 유통용 간격(10040g)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9, 도 40A, 및 4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10020)가 케이스(10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사이의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10020g)을 통해 커버(10020)의 외부의 공기가 커버(100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유통용 간격(10040g)을 통해 수용부(100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도 47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10020g)과 공기 유통용 간격(10040g)을 차례로 통과한 공기의 제1 흐름(10000f)은 돌출관(10200)의 공기홀(10200g)을 통과하여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까지 도달한다.
궐련(3)은 원통형상을 갖고,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도 궐련(3)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직경은 궐련(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10040)에 궐련(3)이 수용되면 궐련(3)의 외측면과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는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도 47에서 외부의 공기가 삽입구멍(10040p)을 통하여 궐련(3)의 외측면과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의 제2 흐름(10000g)을 형성한다.
또한 수용부(10040)는 돌출부(10050)를 통과시키도록 측벽(10040w)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멍(10040d)을 구비한다. 돌출부(10050)는 궐련(3)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수용통로(10040h)의 표면에서부터 궐련(3)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0050)는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돌출부(10050)의 사이에 공기의 제2 흐름(10000g)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관통구멍(10040d)도 돌출부(1005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돌출부(10050)가 궐련(3)의 외측면을 지지하지만, 인접한 돌출부(10050)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서 공기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돌출부(10050)의 개수는 4개이고 관통구멍(10040d)의 개수도 4개이지만, 실시예는 돌출부(10050) 및 관통구멍(10040d)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돌출부(10050)의 개수와 관통구멍(10040d)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050) 및 관통구멍(10040d)의 설치 위치나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050)는 궐련(3)의 중심에 대해 궐련(3)의 둘레 방향을 따라 궐련(3)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궐련(3)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즉 원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돌출부(10050)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돌출부(10050)는 서로 이격됨으로써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궐련(3)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10050)의 단부면은 궐련(3)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만곡된 원통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을 참조하면,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되었을 때 돌출부(10050)의 위치는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보다 상측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되는 동안 돌출부(10050)를 수용하기 위하여, 수용부(10040)의 관통구멍(10040d)은 돌출부(1005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수용통로(10040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의 수용통로(10040h)를 향하는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궐련(3)의 단부 가장자리를 안내함으로써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3)의 위치를 수용부(10040)의 중심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하는 정렬 경사면(10040y)이 설치된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돌출부(10050)는 궐련(3)이 수용통로(10040h)에 삽입될 때에 궐련(3)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수용통로(10040h)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0050d)을 구비한다.
돌출부(10050)의 경사면(10050d)은 궐련(3)이 수용통로(10040h)에 삽입된 후 수용통로(10040h)를 이동하여 궐련(3)의 단부가 수용통로(10040h)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0050)의 위치에 도달하면 궐련(3)의 단부가 돌출부(10050)로 삽입될 수 있도록 궐련(3)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에 궐련(3)이 삽입되어 있는 동안, 수용통로(10040h)는 삽입구멍(10040p)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므로 외부의 공기의 제2 흐름(10000g)이 삽입구멍(10040p)을 통하여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로 유입된다. 또한 공기 유통용 간격(10040g)을 통과한 공기의 제1 흐름(10000f)은 돌출관(10200)의 공기홀(10200g)을 통과하여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까지 도달한다.
궐련(3)은 돌출부(10050)에 의해 지지되며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에는 어떤 구성요소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은 공기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 놓인다. 히터(10300)가 궐련(3)을 가열하여 궐련(3)에서 에어로졸 입자가 발생할 때 사용자가 궐련(3)을 입으로 물어 공기를 빨아들이면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의 공기가 궐련(3)을 통과함으로써 에어로졸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의 흐름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커버(10020)의 외부구멍(10020p)을 개방시켜 궐련(3)을 수용부(10040)의 삽입구멍(10040p)에 삽입한 후 수용통로(10040h)를 따라 궐련(3)을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3)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궐련(3)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3)을 손으로 잡아 돌리며 케이스(10010)로부터 궐련(3)을 잡아 빼낼 수 있다.
또한, 청소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커버(10020)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하고 수용부(10040)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40)를 케이스(10010)의 외부로 완전히 분리한 후에는, 돌출관(10200)과 히터(1030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돌출관(10200)과 히터(10300)를 직접 확인하며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10010)에 장착된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에 궐련(3)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0050)가 궐련(3)의 외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돌출부(10050)가 궐련(3)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궐련(3)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통로(10040h)에 궐련(3)이 수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돌출부(10050)가 궐련(3)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수용통로(10040h)와 궐련(3)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복수 개의 돌출부(10050, 10050b)가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49에서 궐련(3)의 길이 방향의 하측 영역은 하측의 돌출부(1005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궐련(3)의 길이 방향의 상측 영역은 상측의 돌출부(10050b)에 의해 지지된다.
하측의 돌출부(10050)는 복수 개가 배치되며,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측의 돌출부(10050b)도 복수 개가 배치되며,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에 형성된 관통구멍(10040d)은 상측의 돌출부(10050b)와 하측의 돌출부(10050)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통로(10040h)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돌출부(10050, 10050b)는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궐련(3)의 외측면에서 궐련(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인접한 돌출부(10050, 10050b)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도 5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궐련(3)이 수용부(10040)에 삽입되었을 때에 궐련(3)의 단부에 접촉하는 수용부(1004)의 바닥벽(10040b)의 수용통로(10040h)를 향하는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오목한 형상의 연결통로(10040f)가 형성된다. 연결통로(10040f)는 궐련(3)의 외측면과 수용통로(10040h)의 사이의 공간과 연결됨으로써 수용통로(10040h)의 공기가 바닥벽(10040b)의 연결통로(10040f)를 통해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으로 공급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가 궐련(3)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3)이 수용부(10040)에 삽입되었을 때에 궐련(3)의 단부에 접촉하는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의 수용통로(10040h)를 향하는 상면에서 돌출되는 바닥돌기(10040k)를 구비한다. 바닥돌기(10040k)는 바닥벽(10040b)에서 수용통로(10040h)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돌기(10040k)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
바닥돌기(10040k)는 바닥벽(10040b)에서 바닥벽(10040b)에 형성된 히터구멍(10040c)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10040k)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수용통로(10040h)의 삽입구멍(10040p)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용통로(10040h)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10040k)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으로 공급된다.
도 5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또한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에서 돌출된 돌출부(10050)가 궐련(3)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수용통로(10040h)와 궐련(3)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의 공기가 바닥벽(10040b)의 바닥돌기(10040k)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으로 공급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가 궐련(3)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2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20010)와, 케이스(20010)의 일측 단부(20010a)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20200p)를 갖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20200)과, 단부(10310)가 돌출관(20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0010)에 설치되는 히터(10300)와, 돌출관(20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관(20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수용부(20040)와, 돌출관(20200)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수용부(20040)를 관통함으로써 수용부(20040)에 삽입된 궐련(3)을 지지하는 돌출부(20050)와, 수용부(20040)와 일체로 연결되어 삽입구멍(20040p)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도어(20030)를 구비하는 커버(20020)를 구비한다.
커버(20020)의 상면에는 수용부(20040)의 삽입구멍(20040p)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도어(20030)가 설치된다. 도어(20030)는 레일 조립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커버(20020)에 결합되거나 힌지 조립체를 이용하여 커버(200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030)에 의해 삽입구멍(20040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3)의 단부를 삽입구멍(10040p)에 삽입시켜 궐련(3)을 수용부(2004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20040h)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20020)가 케이스(200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커버(20020)와 케이스(20010)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가 커버(200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허용하는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20020g)이 형성된다.
흡연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3)을 분리한 후,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커버(20020) 및 수용부(20040)를 함께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20020)를 잡아서 커버(20020)와 수용부(20040)를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하면 커버(20020) 및 수용부(20040)가 함께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된다.
돌출관(20200)은 히터(10300)를 둘러싸 보호하며, 수용부(20040)가 돌출관(20200)에 결합되면 수용부(20040)와 커버(2002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관(20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관(20200)은 내부에 수용부(200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통로(20200h)를 구비한다. 결합통로(20200h)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개구(20200p)와 연결된다.
또한 돌출관(20200)은 궐련(3)의 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출관(20200)은 돌출관(20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홀(20200g)을 구비한다. 공기홀(20200g)은 돌출관(202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홀(20200g)은 돌출관(20200)의 외부의 공기가 돌출관(20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한다.
수용부(20040)는 돌출관(20200)의 개구(20200p)를 통하여 돌출관(20200)의 내부의 결합통로(20200h)에 삽입될 수 있으며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20040h)와,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통로(20040h)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개방된 삽입구멍(20040p)과, 수용통로(20040h)의 타단을 폐쇄하며 히터(10300)의 단부(10310)를 통과시키는 히터구멍(20040c)을 갖는 바닥벽(20040b)을 구비한다.
수용부(20040)는 커버(200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20020)와 수용부(20040)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거나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커버(20020)와 수용부(20040)는 별도로 제작된 이후에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볼트나 접착제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에게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20040)가 돌출관(2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수용부(20040)의 히터구멍(20040c)을 통과하여 수용부(20040)의 수용통로(20040h)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용부(20040)가 돌출관(2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궐련(3)이 수용부(20040)의 수용통로(20040h)에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0)의 단부(10310)가 궐련(3)에 삽입된다.
돌출관(20200)의 결합통로(20200h)의 내벽면에는 궐련(3)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20050)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돌출부(20050)는 돌출관(20200)에 결합된 수용부(20040)를 관통함으로써 수용부(20040)에 삽입되어 있는 궐련(3)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커버(20020)가 케이스(20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20020)와 케이스(20010)의 사이의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20020g)을 통해 커버(20020)의 외부의 공기가 커버(200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20020g)을 통해 생성된 공기의 제1 흐름은 돌출관(20200)의 공기홀(20200g)을 통과하여 수용부(20040)에 수용된 궐련(3)의 단부의 외측면까지 도달한다.
또한 수용부(20040)가 돌출관(2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20040)의 수용통로(20040h)에 궐련(3)이 삽입되어 있는 동안, 수용통로(20040h)는 삽입구멍(20040p)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삽입구멍(20040p)을 통하여 수용부(20040)의 수용통로(20040h)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의 제2 흐름을 형성한다.
도 5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커버(20020)를 개방시켜 궐련(3)을 수용부(20040)의 삽입구멍(20040p)에 삽입한 후 수용통로(20040h)를 따라 궐련(3)을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3)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궐련(3)의 사용을 마친 후에 케이스(20010)에서 궐련(3)을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3)의 상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서 수용통로(20040h)의 외측으로 궐련(3)을 잡아당기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사용자가 커버(20020)와 수용부(20040)를 함께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수용부(20040) 및 커버(20020)를 케이스(200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53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3 및 도 5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10010)와 커버(1002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10020)는 케이스(10010)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사이에는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자석과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어느 하나에 자석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아니면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의 모두에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커버(10020)의 상면에는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0p)이 형성된다. 커버(10020)의 상면에서 도어(10030)가 레일(10030r)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0p)과 삽입구멍(10040p)이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10020)의 외부구멍(10020p)에 의해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0h)의 삽입구멍(10040p)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어(10030)에 의해 외부구멍(10020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3)의 단부(3b)를 외부구멍(10020p)과 삽입구멍(10040p)에 삽입시켜 궐련(3)을 커버(100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10040h)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10020)의 외부구멍(10020p)에는 외부구멍(10020p)의 내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부구멍(10020p)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 개의 궐련지지돌기(10020m)가 설치된다. 궐련지지돌기(10020m)는 외부구멍(10020p)을 통과하여 삽입구멍(10040p) 및 수용통로(10040h)에 삽입되어 있는 궐련(3)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궐련(3)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0010)에는 버튼(10090)이 설치된다. 버튼(10090)이 조작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커버(10020)가 케이스(100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커버(10020)와 케이스(10010)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가 커버(100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허용하는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10020g)이 형성된다.
궐련(3)의 사용을 마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3)을 제거할 때에는 도 5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궐련(3)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서 궐련(3)을 케이스(10010)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궐련(3)을 회전시킨 후 커버(10020)를 잡아 당기면 궐련(3)과 함께 커버(10020)가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궐련(3)을 회전시키면서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궐련(3)과 히터의 사이의 부착 상태가 해소됨과 동시에 궐련(3)에 부착된 담배 물질을 궐련(3)과 함께 케이스(100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만약, 궐련(3)을 회전시키지 않고 커버(1002)를 잡아 당기는 경우, 궐련(3)이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되지만 궐련(3)의 담배 부분(즉, 도 23a 및 도 23b의 제 1 부분(310))이 케이스(10010)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히터 측에 남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1001)로부터 커버(1002)를 분리하고, 그 후에 케이스(1001)로부터 수용부(1004)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히터 측에 남아 있던 담배 부분은 수용부(1004)와 함께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에, 사용자는 분리된 수용부(1004) 내에 남아 있는 담배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10010)와, 케이스(10010)의 일측 단부(10010a)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를 갖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10200)과, 돌출관(10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0)에 설치되는 히터(10300)와, 돌출관(10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관(10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수용부(10040)를 구비한다.
도 56은 도 5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궐련(3)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한 후에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청소 작업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케이스(10010)로부터 커버(100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용부(10040)를 케이스(100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공간 및 히터 등을 외부로 노출시켜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돌출관(10200)은 히터(10300)를 둘러싸 보호하며, 수용부(10040)가 결합되면 수용부(1004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관(10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관(10200)은 내부에 수용부(100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통로(10200h)를 구비한다. 결합통로(10200h)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돌출관(10200)은 수용부(10040)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출관(10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홈(10020n)을 구비한다.
또한 돌출관(10200)은 궐련(3)의 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출관(10200)은 돌출관(10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홀(10200g)을 구비한다. 공기홀(10200g)은 가이드홈(10020n)의 단부에 연결되게 배치된다. 공기홀(10200g)은 돌출관(102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홀(10200g)은 돌출관(10200)의 외부의 공기가 돌출관(10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한다.
케이스(10010)에는 궐련(3)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10300)가 설치된다. 히터(10300)는 일측의 단부가 돌출관(10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0)에 설치된다. 돌출관(10200)에 수용부(100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0040)에 궐련(3)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0)의 단부가 궐련(3)의 단부의 바닥면에 삽입된다.
도 57는 도 5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가 사용될 때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수용부(10040)는 돌출관(10200)의 내부의 결합통로(10200h)에 삽입될 수 있으며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0h)를 형성하는 측벽(10040w)과,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통로(10040h)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개방된 삽입구멍(10040p)과, 수용통로(10040h)의 타단을 폐쇄하며 히터(10300)의 단부를 통과시키는 히터구멍(10040c)을 갖는 바닥벽(10040b)을 구비한다.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에 형성된 히터구멍(10040c)은 히터(10300)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외측홀(10040j)을 포함한다. 외측홀(10040j)은 히터구멍(10040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배치되므로, 히터구멍(10040c)의 전체적인 모양은 별 모양과 유사한 모양을 형성한다. 외측홀(10040j)은 수용부(10040)의 외측에서 히터(1030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가 히터구멍(10040c)을 통해 궐련(3)을 향하여 집중되게 하여 수용부(10040)의 내측으로 공기가 쉽게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공기의 흐름 통로의 기능을 한다.
수용부(10040)는 측벽(10040w)을 둘러싸며 측벽(10040w)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벽(10040t)을 구비한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되면 외부벽(10040t)과 측벽(10040w)의 사이에 돌출관(10200)이 삽입됨으로써 수용부(10040)와 돌출관(10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외부벽(10040t)의 내부에는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삽입될 때에 돌출관(10200)의 가이드홈(10020n)에 삽입되는 가이드리브(10040n)이 설치된다.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히터(10300)의 단부가 수용부(10040)의 히터구멍(10040c)을 통과하여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용부(10040)가 돌출관(1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궐련(3)이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에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0)가 궐련(3)에 삽입된다.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의 하면에는 바닥벽(10040b)에서 돌출되며 히터구멍(10040c)의 외측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바닥돌기(10040e)가 설치된다. 하부바닥돌기(10040e)는 수용부(1004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 바닥벽(10040b)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통로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바닥돌기(10040e)는 바닥벽(10040b)의 외측면으로부터 히터구멍(10040c)을 향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하부바닥돌기(10040e)에 의해 바닥벽(10040b)의 외측에 있는 공기가 인접해 있는 하부바닥돌기(10040e)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히터구멍(10040c)의 외측홀(10040j)을 향하여 원활하게 흐른다.
이와 같은 하부바닥돌기(10040e)의 작용으로 인해 바닥벽(10040b)의 외측의 공기가 균일하게 히터구멍(10040c)에 공급되어 궐련(3)에 균일하고 일정한 양의 공기가 공급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작용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맛과 향을 갖는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10040)의 바닥벽(10040b)의 하면에는 바닥벽(10040b)의 외측 단부에서부터 히터구멍(10040c)까지 연장하는 공기유도홈(10040r)이 형성된다. 공기유도홈(10040r)은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3)에 공급되는 공기의 주된 흐름(mainstream)의 통로를 제공한다.
바닥벽(10040b)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유도홈(10040r)의 단부는 도 31에 도시된 공기홀(10200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하면 돌출관(10200)의 외부의 공기가 공기홀(10200g)을 통하여 돌출관(1020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유도홈(10040r)을 따라 히터구멍(10040c)으로 직접 유입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공기가 궐련(3)에 직접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공기유도홈(10040r)은 돌출관(10200)에 형성된 공기홀(10200g)이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10040)는 수용통로(10040h)를 측벽(10040w)의 외부로 노출시켜 개방하기 위해 측벽(10040w)의 일부분이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배출구(10040a)를 포함한다. 배출구(10040a)가 측벽(10040w)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측벽(10040w)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반원통형상을 갖는다. 즉 측벽(10040w)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벽(10040w)을 절단하면 측벽(10040w)의 단면 형상은 대략 반원이 될 수 있다.
도 5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출구(10040a)가 형성되는 크기는 측벽(10040w)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180도의 범위에 이르지만, 실시예는 이와 같은 배출구(10040a)의 크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출구(10040a)의 크기는 측벽(10040w)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180도 이상의 범위가 될 수도 있고, 180도 미만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에 수용통로(10040h)를 노출시키는 배출구(10040a)을 설치함으로써 청소 작업을 더 간편히 실시할 수 있다.
수용부(10040)의 측벽(10040w)에는 수용통로(10040h)를 수용부(10040)의 외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측벽(10040w)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10040s)이 설치된다. 슬릿(10040s)은 외부벽(10040t)과 측벽(10040w)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머무르는 공기가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3)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외부벽(10040t)과 측벽(10040w)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머무르는 공기는 히터(10300)에 의해 가열된 궐련(3)에 의해 가열된 상태가 되어 수용부(10040)의 히터구멍(10040c)을 따라 수용통로(10040h)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거나 슬릿(10040s)을 통해 궐련(3)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작용을 돕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벽(10040t)과 측벽(10040w)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머무르는 공기는 궐련(3)의 열의 일부분을 흡수함으로써 궐련(3)의 열이 수용부(10040)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궐련(3)을 수용하는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를 형성하는 측벽(10040w)은 궐련(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10040w)은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 수용된 궐련(3)의 하측 단부로부터 궐련(3)의 상측 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궐련(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10040w)이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10040)의 수용통로(10040h)의 크기는 궐련(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궐련(3)의 하측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통로(10040h)의 직경(D2)보다 궐련(3)의 중간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통로(10040h)의 직경(D1)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통로(10040h)의 직경의 변화 구조에 의하면, 궐련(3)이 수용부(10040)에 수용되는 동작 중에 궐련(3)의 중심 위치가 히터(10300)의 중심 위치에 정확히 정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궐련(3)이 수용통로(10040h)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궐련(3)의 하측 단부가 측벽(10040w)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므로 궐련(3)이 수용통로(10040h)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부(10040)에 수용된 상태의 궐련(3)을 이용하여 흡연을 한 이후에 수용부(10040)에서 궐련을 직접 빼낼 수 있다. 즉 수용부(10040)에 수용된 궐련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서 수용부(10040)로부터 궐련(3)을 잡아 빼낼 수 있다.
수용부(10040)에서 궐련(3)을 분리한 이후에는 청소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수용부(1004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수용부(1004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하면 도 5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출구(10040a)를 통하여 수용통로(10040h)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담배 물질을 배출구(10040a)를 통해 수용부(1004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수용통로(10040h)와 측벽(10040w)의 여러 가지 부위를 직접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홀더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0: 히터
131: 히터의 말단
140: 케이스
141: 케이스의 말단

Claims (15)

  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틸트(tilt)됨으로써,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홀더의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홀더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홀더의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포함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궐련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홀더의 사용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홀더의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틸트되지 않은 경우, 상기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더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퍼프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된 퍼프의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된 퍼프의 횟수가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틸트(tilt)됨으로써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홀더의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포함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궐련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홀더의 사용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홀더의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틸트되지 않은 경우 상기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더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퍼프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퍼프의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퍼프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퍼프의 횟수가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46697A 2016-12-16 2017-11-06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71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89 2016-12-16
KR20160172889 2016-12-16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55756 2017-04-28
KR20170055756 2017-04-28
KR1020170068665 2017-06-01
KR20170068665 2017-06-01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ko) 2016-12-16 2017-06-1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077586 2017-06-19
KR1020170101343A KR20180070450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0170100888 2017-08-09
KR1020170101350A KR20180070452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70101348 2017-08-09
KR1020170101343 2017-08-09
KR1020170101350 2017-08-09
KR1020170101348A KR20180070451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70100888 2017-08-09
KR1020170113954A KR20180070453A (ko) 2016-12-16 2017-09-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13954 2017-09-06
KR1020170146623A KR20180070457A (ko) 2016-12-16 2017-11-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46623 201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58A KR20180070458A (ko) 2018-06-26
KR102171333B1 true KR102171333B1 (ko) 2020-10-28

Family

ID=7022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97A KR102171333B1 (ko) 2016-12-16 2017-11-06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8) US11627759B2 (ko)
EP (7) EP3750414A3 (ko)
JP (9) JP6878618B2 (ko)
KR (1) KR102171333B1 (ko)
CN (7) CN114680379A (ko)
CA (5) CA3175959C (ko)
PH (4) PH12019501361A1 (ko)
RU (9) RU2749137C2 (ko)
UA (5) UA127487C2 (ko)
WO (1) WO20181108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75959C (en) * 2016-12-16 2024-05-1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80114825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24739A (ko)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UA125094C2 (uk) 2017-05-11 2022-01-05 Кт&Г Корпорейшон Випарник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генерування аерозолю, який його містить
KR102035313B1 (ko) * 2017-05-26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7040890U (zh) * 2017-06-20 2018-02-2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电子烟
WO2018235241A1 (ja) * 2017-06-22 2018-12-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CN107252139A (zh) * 2017-07-20 2017-10-17 深圳市博迪科技开发有限公司 用于电子烟的周向加热式烘烤针及电子烟
KR20190049391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PL3672429T3 (pl) * 2017-08-23 2024-03-18 Philip Morris Products S.A. Układ wytwarzania aerozolu z urządzeniem ładującym
US11700884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er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DK3750418T3 (da) 2017-10-30 2024-04-02 Kt & G Corp Aerosolgenereringsenhed og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samme
KR102180421B1 (ko) 2017-10-30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38246B1 (ko)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704970A4 (en) 2017-10-30 2021-09-0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57216B1 (ko)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CN115530429A (zh) * 2017-10-30 2022-12-3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KR102138245B1 (ko)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840289B2 (ja) 2017-10-30 2021-03-10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057215B1 (ko)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CN107713009B (zh) * 2017-11-29 2024-02-1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轴向转动取烟的电加热装置
CN110522084A (zh) * 2018-05-25 2019-12-03 深圳市康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器组件和带有电磁加热器组件的电子烟
JP7411649B2 (ja) * 2018-06-26 2024-01-11 チャイナ タバコ フーナン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降温フィルタロッド、及びシガレットフィルタ
CN108685192A (zh) * 2018-06-27 2018-10-23 常州龙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非燃烧烟的可降解气味产生元件及香烟制品
KR102389828B1 (ko) * 2018-07-04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14656B1 (ko) * 2018-07-05 2022-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래퍼
CN110870588A (zh) * 2018-08-21 2020-03-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发热体旋转脱离式低温烟具及退烟方法
CN108926032A (zh) * 2018-09-07 2018-12-04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加热非燃烧卷烟的冷却部件
KR20200030372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방열 구조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72337B1 (ko) * 2018-09-13 2022-03-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1643514S (ja) * 2018-09-18 2019-10-15 電子タバコ用カートリッジ
JP1643249S (ja) * 2018-09-18 2019-10-15 電子タバコ用カートリッジ
KR102501726B1 (ko) * 2018-09-28 2023-02-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평행하게 배열된 담배 가닥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로드
WO2020074597A1 (en) * 2018-10-12 2020-04-16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KR102389825B1 (ko) * 2018-10-17 2022-04-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JP6617189B1 (ja) 2018-10-31 2019-12-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プログラム
KR102203852B1 (ko) 2018-11-16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KR102403222B1 (ko) 2018-11-23 2022-05-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61132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00620B1 (ko) * 2018-11-23 2022-05-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9B1 (ko) 2018-11-23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 래퍼를 포함하는 궐련
KR102270185B1 (ko) * 2018-12-11 2021-06-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99796B1 (ko) 2018-12-11 2021-0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212378B1 (ko) * 2019-01-03 2021-02-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219853B1 (ko) 2019-01-16 2021-02-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지자기센서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09691697B (zh) * 2019-03-01 2021-07-30 南通醋酸纤维有限公司 一种气溶胶生成制品、制备方法及应用
EP3711526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JP7483739B2 (ja) * 2019-03-22 2024-05-1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回転可能なホルダー付きケース
EP3711559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80904A1 (en) * 2019-08-14 2021-02-1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569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555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technical
HUE061890T2 (hu) * 2019-04-04 2023-08-28 Philip Morris Products Sa Üreges, csõ alakú tartóelemet magában foglaló aeroszolfejlesztõ gyártmány
KR102253048B1 (ko) 2019-04-25 2021-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TWI789584B (zh) * 2019-05-03 2023-01-11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瑞士) 具有關閉件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操作氣溶膠產生裝置之方法
KR102271275B1 (ko) 2019-05-14 2021-06-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281868B1 (ko) * 2019-06-11 2021-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13838B1 (ko) 2019-06-14 2021-0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69573B1 (ko) * 2019-06-17 2021-06-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80482B1 (ko) * 2019-07-05 2022-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10015170A1 (en) * 2019-07-15 2021-01-21 Bio-On S.P.A. Aerosol-generating articles suitable for use in aerosol-generating devices
KR102337229B1 (ko) 2019-08-05 2021-1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60135B1 (ko) * 2019-08-08 2022-0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EP4025082A1 (en) * 2019-09-06 2022-07-13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GB2588212B (en) * 2019-10-16 2024-05-29 Essentra Filter Products Dev Co Pte Ltd A cooling element
KR102413551B1 (ko) 2019-10-21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KR102436023B1 (ko) * 2019-11-01 2022-08-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31330B1 (ko) 2019-11-12 2022-08-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3896B1 (ko) * 2019-11-22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23895B1 (ko) 2019-11-25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GB201917513D0 (en) * 2019-11-29 2020-01-15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system
BR112022008567A2 (pt) * 2019-12-03 2022-08-09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gerador de aerossol compreendendo um segmento de tubo oco compreendendo poli-hidroxialcanoato
KR102412119B1 (ko) * 2019-12-18 2022-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20210186093A1 (en) * 2019-12-19 2021-06-24 Armen Tovmasyan Vaporizer Accessory Case and Kit
US20230027569A1 (en) * 2019-12-23 2023-0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ventilation chamber
KR20210092082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자동으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97448B1 (ko) 2020-02-07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KR102354965B1 (ko) 2020-02-13 2022-0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7683B1 (ko) * 2020-02-25 2022-1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크래들과 홀더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그 크래들
CN115209753A (zh) * 2020-03-11 2022-10-18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气溶胶产生***
CN111387566A (zh) * 2020-03-25 2020-07-10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加热装置及气溶胶形成装置
JP2021159004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東亜産業 被加熱芳香カートリッジ用支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被加熱芳香カートリッジ
JP2021159005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東亜産業 被加熱芳香カートリッジ用支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被加熱芳香カートリッジ
KR102430544B1 (ko) * 2020-04-08 2022-08-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13508930A (zh) * 2020-04-11 2021-10-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及感受器
KR102427856B1 (ko) * 2020-04-13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11420621A (zh) * 2020-04-21 2020-07-17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装置
KR102455535B1 (ko) * 2020-06-16 2022-10-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5812B1 (ko) * 2020-06-19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3344344U (zh) * 2020-06-24 2021-06-0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
KR102538129B1 (ko) * 2020-07-03 2023-05-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5666288A (zh) * 2020-07-09 2023-01-3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溶胶生成装置的主体单元、气溶胶生成装置以及非燃烧式吸取器
WO2022009362A1 (ja) * 2020-07-09 2022-01-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本体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非燃焼式吸引器
JP6965411B1 (ja) * 2020-07-14 2021-11-10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ロゾル冷却部材
CN213695703U (zh) * 2020-07-24 2021-07-16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装置
JP6890203B1 (ja) 2020-09-30 2021-06-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2021010376A (ja) * 2020-10-14 2021-02-04 株式会社東亜産業 電子タバコ互換カートリッジ用の支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タバコ互換カートリッジ
CN112525790B (zh) * 2020-10-26 2023-12-15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滤嘴通风孔检测***
CN114468383A (zh) * 2020-11-11 2022-05-13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发热元件、低温烘焙烟具及其发热体拆装方法
CN113171735A (zh) * 2020-12-01 2021-07-27 深圳市卓力能技术有限公司 一种气溶胶发生装置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GB202105431D0 (en) * 2021-04-16 2021-06-02 Nicoventures Trading Ltd A mouthpiece for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CN113508926A (zh) * 2021-06-24 2021-10-19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装置
WO2023275949A1 (ja) * 2021-06-28 2023-01-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588943B1 (ko) * 2021-08-10 2023-10-1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닫힘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CN113729287A (zh) * 2021-09-08 2021-12-03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导向部件、加热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
JPWO2023095189A1 (ko) * 2021-11-24 2023-06-01
WO2023095248A1 (ja) * 2021-11-25 2023-06-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スティック
KR20230168203A (ko) * 2022-06-03 2023-12-12 노발레드 게엠베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유기 전계발광 장치, 유기 전계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039914A (zh) * 2022-07-07 2022-09-13 天津工业大学 一种降温带状织物及其制备方法及应用
GB202211915D0 (en) * 2022-08-15 2022-09-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4046869A1 (en) * 2022-08-31 2024-03-07 Imperial Tobacco Limi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40090586A1 (en) * 2022-09-19 2024-03-21 Altria Client Services Llc Session control system
WO2024084610A1 (ja) * 2022-10-19 2024-04-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GB202216088D0 (en) * 2022-10-31 2022-12-1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100754A1 (ja) * 2022-11-08 2024-05-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171B1 (ko) * 2008-03-25 2016-04-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적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연기 성분의 형성을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8904A (en) 1950-04-18 1953-05-19 Amos M Mitchell Cigarette holder
CH310239A (fr) 1953-07-24 1955-10-15 Vautier Freres & Cie Sa Filtre, notamment pour cigarette, fume-cigarette et pipe.
DE3302518A1 (de) 1983-01-26 1984-07-26 T.R.-Plast GmbH & Co Kunststoff-Verarbeitung, 8430 Neumarkt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polieren von tabakpfeifen
US4585014A (en) 1983-08-01 1986-04-29 Fry Arnold H Fire inhibiting tubular safety shield for a cigarette type smoking device and combination thereof
US4637407A (en) 1985-02-28 1987-01-20 Cangro Industries, Inc. Cigarette holder
US5144962A (en) 1989-12-01 1992-09-0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vor-delivery article
US5388594A (en) 1991-03-11 1995-02-14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for delivering flavo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726421A (en) * 1991-03-11 1998-03-10 Philip Morris Incorporated Protective and cigarette ej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US5249586A (en) 1991-03-11 1993-10-05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US5591368A (en) 1991-03-11 1997-01-07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US5479948A (en) 1993-08-10 1996-01-02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having continuous tobacco flavor web and flavor cassette therefor
US5505214A (en) 1991-03-11 1996-04-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4110830C1 (ko) * 1991-04-04 1992-05-27 Gizeh-Werk Gmbh, 5275 Bergneustadt, De
US5240012A (en) 1991-11-13 1993-08-31 Philip Morris Incorporated Carbon heat smoking article with reusable body
US5465738A (en) 1992-04-09 1995-11-14 Music City Marketing, Inc. Smoking system
US5499636A (en) 1992-09-11 1996-03-19 Philip Morris Incorporated Cigarette for electrical smoking system
TW245766B (ko) * 1992-09-11 1995-04-21 Philip Morris Prod
CN2146758Y (zh) 1992-12-14 1993-11-17 毛继元 一次性使用的防伪密封标签
US5666977A (en) 1993-06-10 1997-09-16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using liquid tobacco flavor medium delivery system
CR4906A (es)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CN1131676C (zh) 1994-02-25 2003-12-24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传送烟香的电吸烟***和烟卷
AR002035A1 (es) 1995-04-20 1998-01-07 Philip Morris Prod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WO1998016125A1 (en) * 1996-10-15 1998-04-23 Rothmans, Benson & Hedges, Inc. Cigarette sidestream smoke and free-burn rate control device
US6040560A (en) 1996-10-22 2000-03-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US5878752A (en) 1996-11-25 1999-03-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JPH10191953A (ja) * 1997-01-16 1998-07-28 Takashi Ishida 喫煙補助具
JP2972663B2 (ja) 1997-07-23 1999-11-08 日本電気データ機器株式会社 電池収納構造
JPH1157249A (ja) * 1997-08-26 1999-03-02 Seiko Kogyo Kk 葉巻カッター
US5967148A (en) 1997-10-16 1999-10-19 Philip Morris Incorporated Lighter actuation system
JP3327826B2 (ja) 1997-12-05 2002-09-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物品及び香味生成器具
RU2130744C1 (ru) 1998-09-09 1999-05-27 Ставрулов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Штучное табач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штучных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JP4278306B2 (ja) 1998-11-10 2009-06-1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装置のヒーター器具のためのブラシ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US6053176A (en) 1999-02-23 2000-04-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and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indexing substrate
AR039045A1 (es) * 2000-03-23 2005-02-09 Philip Morris Prod Dispositivo electrico para fumar, un cigarrillo, el encendedor, y un metodo para fabricar el cigarrillo
US6532965B1 (en) 2001-10-24 2003-03-18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Smoking article using steam as an aerosol-generating source
US6615840B1 (en) 2002-02-15 2003-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GB0209690D0 (en) 2002-04-27 2002-06-0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ing articles and smokable filler materials therefor
US20050172976A1 (en) 2002-10-31 2005-08-11 Newman Deborah J.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including controlled-release flavoring
US6810883B2 (en) * 2002-11-08 2004-11-02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with internal manifolding for puff detection
JP4248498B2 (ja) 2003-02-10 2009-04-0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7293565B2 (en) 2003-06-30 2007-11-13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US7392809B2 (en) 2003-08-28 2008-07-01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lighter cartridge dryer
JP2006092831A (ja) 2004-09-22 2006-04-0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セラミックヒータ、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320286A (ja) 2005-05-20 2006-11-30 Tokai Corp 擬似タバコ用加熱装置および擬似タバコ
US20070074734A1 (en) * 2005-09-30 2007-04-05 Philip Morris Usa Inc. Smokeless cigarette system
CN2857109Y (zh) 2005-12-27 2007-01-10 深圳市远望谷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防拆电子标签
CA2641167A1 (en) 2006-02-03 2007-08-16 Master Lock Company Llc User adjustable storage arrangement
CN201067079Y (zh)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JP2008035742A (ja) * 2006-08-03 2008-02-21 British American Tobacco Pacific Corporation 揮発装置
WO2008029381A2 (en) 2006-09-05 2008-03-13 Oglesby & Butle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 container comprising vaporisable matter for use in a vaporising device for vaporising a vaporisable constituent thereof
US7861726B1 (en) 2006-11-27 2011-01-04 Lukasavitz Steven J Filtration device for tobacco products
CN1973706A (zh) 2006-11-29 2007-06-06 郭德荣 烟灰笔
CA2963423C (en) 2007-03-30 2020-07-28 Philip Morris Products S.A.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a medicament
EP1989946A1 (en) 2007-05-11 2008-11-12 Rauchless Inc. Smoking device, charging means and method of using it
EP2110034A1 (en) 2008-04-17 2009-10-2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EP2113178A1 (en) 2008-04-30 2009-11-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KR100965099B1 (ko) 2008-07-07 2010-06-22 (주)휴맥스 케이스 체결 장치
AT507187B1 (de) * 2008-10-23 2010-03-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
EP2201850A1 (en) 2008-12-24 2010-06-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rticl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N101444335B (zh) 2008-12-31 2011-05-25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安全香烟
JP4739433B2 (ja)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UA97936C2 (ru) * 2009-02-23 2012-03-26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Ненагре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дыхания аромата
CN201430916Y (zh) * 2009-04-23 2010-03-31 柳哲琦 仿真电子烟
CN201491717U (zh) * 2009-04-24 2010-06-02 刘文福 环保电子烟具
JP2011087569A (ja)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EP2253233A1 (en) * 2009-05-21 201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KR20090008911U (ko) 2009-06-30 2009-09-02 황일영 전자담배 살균기
US8464726B2 (en) 2009-08-24 2013-06-1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insulation mat
EP2319334A1 (en) * 2009-10-27 2011-05-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EP2316286A1 (en)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GB201001944D0 (en) * 2010-02-05 2010-03-24 Kind Consumer Ltd A simulated smoking device
JP5371134B2 (ja) 2010-02-24 2013-12-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パイプ
AT508244B1 (de) 2010-03-10 2010-12-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komponente
KR20110009632U (ko) 2010-04-05 2011-10-12 오상택 휴대용 전자 담배 살균 및 충전 장치
EP2563172B2 (en) 2010-04-30 2022-05-04 Fontem Holdings 4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US9743691B2 (en) 2010-05-15 2017-08-29 Rai Strategic Holdings, Inc. Vaporizer configuration, control, and reporting
US20110290248A1 (en) 2010-05-25 2011-12-01 Steven Michael Schennum Aerosol Generator
ES2887077T3 (es) 2010-08-24 2021-12-21 Jt Int Sa Dispositivo de inhalación que incluye controles de utilización de sustancias
EP2454956A1 (en) 2010-11-19 2012-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units
CN102109393B (zh) 2010-11-30 2012-05-23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卷烟燃吸温度分布检测仪及其自动控制方法
EP2460422A1 (en) *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provention of condensate leakage
KR101057774B1 (ko) * 2010-12-13 2011-08-19 신종수 전자담배
EP2468117A1 (en)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means for determining depletion of a liquid substrate
EP2468118A1 (en) *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means for disabling a consumable
KR101222528B1 (ko) * 2010-12-28 2013-01-15 신종수 전자담배
JP5681819B2 (ja) 2011-02-11 2015-03-11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コンポーネント
AT510837B1 (de) 2011-07-27 2012-07-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komponente
GB201104475D0 (en) 2011-03-16 2011-04-27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obacco smoke filter
GB201104788D0 (en) 2011-03-22 2011-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WO2012134117A2 (ko) * 2011-03-25 2012-10-04 주식회사 에바코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기화 부재, 흡입 장치용 외피,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KR101098112B1 (ko) 2011-03-30 2011-12-26 한정환 흡연 횟수 및 흡연 시간에 따라 전자 담배를 제어하는 시스템
JP2011135901A (ja) 2011-04-13 2011-07-14 Kazuhiko Shimizu 無煙喫煙治具
KR20120121314A (ko) 2011-04-26 2012-11-05 하종석 카트리지 및 이를 보관하기 위한 카트리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식 금연보조제
CN102326869B (zh) 2011-05-12 2013-04-03 陈志平 电子雾化吸入器的雾化嘴
US20120325227A1 (en) * 2011-06-24 2012-12-27 Alexander Robinson Portable vaporizer
US9462830B2 (en) 2011-07-12 2016-10-11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US9078473B2 (en) 2011-08-09 2015-07-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and use thereof for yielding inhalation materials
JP5272200B2 (ja) 2011-08-25 2013-08-28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GB201207054D0 (en) 2011-09-06 2012-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eable material
KR20130027909A (ko) 2011-09-08 2013-03-18 이영인 흡입감이 향상된 전자담배를 위한 카트리지
WO2013060743A2 (en) 2011-10-25 2013-05-0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heater assembly
MY168127A (en) 2011-11-07 2018-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colour change segment
IL277293B (en) * 2011-11-21 2022-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xtraction device for a substrate that produces a spray, a device for producing a spray that includes an extraction device and an extraction device
WO2013083635A1 (en) * 2011-12-07 2013-06-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irflow inlets
CN202407082U (zh) 2011-12-23 2012-09-05 刘秋明 电子烟吸嘴
EP2625975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n aerosol-cooling element
EP2609820A1 (en) 2011-12-30 2013-07-03 Philip Morris Products S.A. Detection of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P2609821A1 (en) 2011-12-30 2013-07-03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heating element of aerosol-generating device
US11039642B2 (en) 2011-12-30 2021-06-22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front-plug an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method
HUE034783T2 (en) 2011-12-30 2018-02-28 Philip Morris Products Sa Tobacco with front insert and procedure
RU2621596C2 (ru) 2011-12-30 2017-06-0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обнаружением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AU2012360820B2 (en) 2011-12-30 2017-07-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SG11201403623YA (en)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EP2625974A1 (en)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lavour-generating component
EP2800485B1 (en) 2012-01-03 2016-07-27 Philip Morris Products S.a.s. Polygonal aerosol-generating device
RU2617297C2 (ru) 2012-01-03 2017-04-24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PT2800488E (pt) 2012-01-03 2016-03-08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de anti-rolamento e sistema
RU2602053C2 (ru) * 2012-01-03 2016-11-10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потоком воздуха
SG11201403830WA (en) * 2012-01-03 2014-10-30 Philip Morris Products Sa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generating device
US9326547B2 (en) 2012-01-31 2016-05-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article
EP3473119A1 (en) 2012-02-22 2019-04-24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improved heater element
JP2015107056A (ja) * 2012-03-16 2015-06-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加熱型香味吸引器
US20130340775A1 (en)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US11517042B2 (en) 2012-04-25 2022-12-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gital marketing applica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 users
US20130284192A1 (en) 2012-04-25 2013-10-31 Eyal Peleg Electronic cigarette with communication enhancements
GB2502054A (en) * 2012-05-14 2013-11-20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smoking device
CN203776160U (zh) 2012-06-20 2014-08-2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电子烟装置
AR091509A1 (es) 2012-06-21 2015-02-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para fumar para ser usado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interno
KR101383577B1 (ko) 2012-07-26 2014-04-17 신종수 휴대용 전자담배 충전장치
AU2012388103B2 (en) 2012-08-24 2016-11-03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apparatus
EP2701268A1 (en) * 2012-08-24 2014-02-26 Philip Morris Products S.A.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WO2014029105A1 (zh) 2012-08-24 2014-02-27 Liu Qiuming 电子烟装置
RU2602962C2 (ru) 2012-08-31 2016-11-20 Кимри Хай-Тек Инк.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CN202774134U (zh) 2012-09-21 2013-03-13 刘秋明 电子烟盒及电子烟装置
US9854841B2 (en)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JP2014079229A (ja) * 2012-10-17 2014-05-08 Hanasato Kk 携帯用喫煙具
KR200466757Y1 (ko) 2012-11-01 2013-05-06 (주)잔티아시아 다기능 제어수단을 갖는 스마트 전자담배
TWI629007B (zh) 2012-12-21 2018-07-11 Philip Morris Products S. A. 包含氣流導向元件的煙品
DK3108760T3 (en) 2012-12-28 2018-03-05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ER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UA118101C2 (uk) 2013-02-22 2018-11-26 Олтріа Клайєнт Сервісиз Ллк Електронний курильний виріб
US10031183B2 (en) 2013-03-07 2018-07-24 Rai Strategic Holdings, Inc. Spent cartridg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9560883B2 (en) 2013-03-15 2017-02-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s
US10098381B2 (en) * 2013-03-15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9423152B2 (en) 2013-03-15 2016-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US20140299137A1 (en) 2013-04-05 2014-10-09 Johnson Creek Enterprises, LLC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29394B2 (en) * 2013-04-09 2017-04-25 Alan Benet Aronie Portable vaporizer with central pin heater having heat diffuser-mixer blades
FR3004368B1 (fr) 2013-04-15 2015-09-25 Aircelle Sa Brasage sans outillage
CN104106842B (zh) 2013-04-16 2019-02-1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处理电子烟吸烟数据的方法
JP2014216287A (ja)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CN203457802U (zh) 2013-05-07 2014-03-05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防漏油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CA2913000A1 (en) 2013-05-20 2014-12-11 Sis Resources, Ltd.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CN105848503A (zh) 2013-05-23 2016-08-10 Sis资源有限公司 针对电子烟用户的数字营销应用
US20150024355A1 (en) 2013-07-18 2015-01-22 Quitbit, Inc. Lighter and method for monitoring smoking behavior
KR200469513Y1 (ko) 2013-07-18 2013-10-16 박일환 살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케이스
GB2518598B (en) 2013-08-30 2016-06-01 Nicoventures Holdings Ltd Apparatus with battery power control
KR101516304B1 (ko) 2013-09-12 2015-05-04 김한기 전자담배
EP3222159B1 (en) 2013-09-30 2020-06-17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WO2015051376A1 (en) 2013-10-04 2015-04-09 Loec, Inc. Retail engine for electronic smoking device
TWI651055B (zh) 2013-10-08 2019-02-21 傑提國際公司 噴霧產生裝置之噴霧轉移適配器及噴霧產生裝置中轉移噴霧方法
GB2519101A (en) *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US20150114410A1 (en) * 2013-10-29 2015-04-30 Paradise Packaging Inc. Electronic vapor system
KR101549306B1 (ko) * 2013-11-05 2015-09-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입압 조절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무연 담배
KR101445113B1 (ko) * 2013-11-22 2014-10-01 박선순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CN203575658U (zh) 2013-11-28 2014-05-07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加热卷烟的装置
CN103622162B (zh) 2013-11-28 2016-02-03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针式电加热卷烟***
CN203646503U (zh) 2013-11-29 2014-06-18 刘秋明 一种电子烟装置
CN203633505U (zh) 2013-11-29 2014-06-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用雾化器及电子烟
UA119545C2 (uk) 2013-12-03 2019-07-10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Виріб, що генерує аерозоль, і електрично керована система, яка містить маркер
KR102459145B1 (ko) 2013-12-05 2022-10-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저 저항 기류 경로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WO2015088744A1 (en) * 2013-12-12 2015-06-18 Meadwestvaco Corporation Container for a cylindrical object
KR101656061B1 (ko) 2013-12-18 2016-09-22 신종수 전자담배
RU2668858C1 (ru) 2013-12-20 2018-10-03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Фильтр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содержащий разлагаемый компонент фильтра
CN203692545U (zh) * 2013-12-28 2014-07-09 惠州市凯尔文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以及具有该雾化器的电子烟
CN203689071U (zh) 2014-01-10 2014-07-02 刘秋明 电子烟盒及电子烟盒信息管理***
WO2015106457A1 (zh) 2014-01-20 2015-07-23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杆、电子烟及电池杆的组装方法
CN203789137U (zh) 2014-01-26 2014-08-2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烘焙型烟雾发生装置及烟雾吸入装置
TWM478798U (zh) 2014-01-28 2014-05-21 Wei-Li Tsai 吹煙器
US10874142B2 (en) 2014-02-10 2020-12-2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heater assembly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RU2674537C2 (ru) 2014-02-10 2018-12-1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и картридж, в которой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ет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такт с картриджем
KR20230167768A (ko) 2014-02-10 2023-12-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카트리지
US10555553B2 (en) 2014-02-24 2020-02-11 Philip Morris Products S.A. Filter with improved hardness and filtration efficiency
DE202014001718U1 (de) 2014-02-27 2015-05-28 Xeo Holding GmbH Rauchvorrichtung
GB201413037D0 (en)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0
US10130119B2 (en) 2014-02-28 2018-11-20 Beyond Twenty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ES2755092T3 (es) 2014-03-03 2020-04-21 Fontem Holdings 1 Bv Dispositivo de fumar electrónico
US11696604B2 (en) 2014-03-13 2023-07-11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n aerosol delivery device based on input characteristics
CN103859606A (zh) 2014-03-14 2014-06-18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分层独立加热式低温烟片加热器
US20150272211A1 (en) 2014-03-25 2015-10-01 Chanseol Chung Electronic cigarette cover
LT3125706T (lt) 2014-03-31 2018-06-11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ktra kaitinama aerozolį generuojanti sistema
CN203986095U (zh) 2014-04-03 2014-12-1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器以及电子烟
KR101504868B1 (ko) * 2014-04-07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WO2015155289A1 (en) 2014-04-10 2015-10-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elix-shaped heater
MX2016014082A (es) 2014-04-30 2017-02-0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indicacion de bateria.
TWI681691B (zh) 2014-04-30 2020-01-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裝置及其控制方法
CN106231936B (zh) 2014-05-02 2019-04-02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型香味吸引器及计算机可读取介质
CN203814592U (zh) 2014-05-05 2014-09-10 马福平 一种新型电子烟
KR101631286B1 (ko) 2014-05-12 2016-06-16 신종수 전자담배
TWI697289B (zh) 2014-05-21 2020-07-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形成製品、電熱氣溶膠產生裝置及系統、及操作該系統之方法
CN113142659A (zh) 2014-05-21 2021-07-23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电加热气溶胶生成***的加热器
TWI669072B (zh) 2014-05-21 2019-08-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霧劑產生系統及用於此系統中之匣筒
TWI669073B (zh) 2014-06-24 2019-08-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系統、氣溶膠產生物件、氣溶膠產生裝置及控制反應化學計量的方法
CN203943078U (zh) 2014-07-04 2014-11-19 江苏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消毒功能的电子烟盒
US10757975B2 (en) 2014-07-11 2020-09-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removable heater
CN104095295A (zh) 2014-07-18 2014-10-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电磁感应进行加热的烟具
KR20160012329A (ko) 2014-07-23 2016-02-03 신원국 전자담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5144A (ko) 2014-07-30 2016-02-12 이충언 전자담배
CN204070570U (zh) 2014-08-15 2015-01-0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吸入装置和电子烟
WO2016026810A1 (en) * 2014-08-21 2016-02-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US10765144B2 (en) 2014-08-21 2020-09-08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US9913493B2 (en) 2014-08-21 2018-03-13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KR20170074898A (ko) 2014-10-02 2017-06-30 디지레츠 인코포레이티드 일회용 탱크 전자 담배,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A2955437A1 (en) 2014-10-17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electrical contacts in electrical device
CN204146338U (zh) * 2014-10-19 2015-02-11 何红红 电子烟及电子烟雾化器
KR20160001476U (ko) 2014-10-28 2016-05-10 하기성 전자 담배
TWI687021B (zh) 2014-10-28 2020-03-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適應性電池充電方法、充電裝置、電腦程式及電腦可讀取媒體
WO2016075746A1 (ja)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JP6625127B2 (ja) 2014-11-14 2019-12-25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容器
CN104382237A (zh) 2014-11-14 2015-03-04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CN204317494U (zh) 2014-11-15 2015-05-13 李述彦 一种滑盖式电子烟
KR200477004Y1 (ko) * 2014-11-28 2015-04-24 김성회 금연 보조 기구
CN204317504U (zh) 2014-12-03 2015-05-1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烘焙加热型电子吸烟装置
JP6490957B2 (ja) 2014-12-17 2019-03-27 フタバ産業株式会社 弁装置、及び排気熱回収装置
CN104544559A (zh) 2014-12-19 2015-04-29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烟草加热器
CN204444239U (zh) 2014-12-25 2015-07-08 上海绿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吸烟器
GB201423313D0 (en) 2014-12-29 2015-02-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able unit for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a heatable unit
CN104489933A (zh) 2014-12-30 2015-04-08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烘焙电加热烟、发热体和电加热烟电路
KR20160088163A (ko)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다모아캠 충전단자 보호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충전장치
EA035032B1 (ru) * 2015-01-26 2020-04-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несжигающего тип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7205490B (zh) 2015-01-28 2021-10-29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一体式加热元件的气溶胶生成制品
PT3253236T (pt) 2015-02-05 2019-07-12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com aquecedor ancorado
KR20160096744A (ko) 2015-02-05 2016-08-17 조우성 휴대가 용이한 전자담배용 케이스
KR20160096745A (ko) * 2015-02-05 2016-08-17 조우성 분해조립이 편리한 전자담배용 카토마이저
KR102575024B1 (ko) * 2015-02-06 2023-09-0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발생 장치용 개선된 추출기
KR101523088B1 (ko) 2015-02-16 2015-05-26 전병철 전자담배
KR20160108855A (ko) 2015-03-09 2016-09-21 신동욱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 담배
WO2016145634A1 (zh) 2015-03-18 2016-09-2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发热丝加热方法和电子烟
CN104770878B (zh) 2015-03-23 2017-11-2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电子烟抽吸功能的电加热型卷烟抽吸装置
TWI703936B (zh) 2015-03-27 2020-09-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電熱式氣溶膠產生物件之紙質包覆材料
CN104799434B (zh) 2015-03-30 2017-06-23 刘团芳 一种香烟烘烤器
EP2921065A1 (en) 2015-03-31 2015-09-23 Philip Morris Products S.a.s. Extended hea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MY184410A (en) 2015-04-02 2021-04-01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EA033659B1 (ru) * 2015-04-06 2019-11-13 Japan Tobacco Inc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и внутренний держатель
KR20150105268A (ko) * 2015-04-14 2015-09-16 주식회사 제이에프티 기화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담배
CN204763414U (zh) 2015-04-14 2015-11-18 珠海优德科技有限公司 新型电子烟用雾化器
US10470496B2 (en) 2015-04-15 2019-11-12 Philip Morris Product S.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to limit temperature according to desired temperature profile over time
CN104799438A (zh) 2015-04-30 2015-07-29 云南昆船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加热电子卷烟烟具发热器
WO2016178377A1 (ja) 2015-05-01 2016-11-1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香喫味源ユニット及び霧化ユニット
KR20160133665A (ko) 2015-05-13 2016-11-23 김한기 전자담배용 충전 케이스
US20160332754A1 (en) 2015-05-13 2016-11-17 Fontem Holdings 4 B.V. Device for refilling electronic cigarette cartridge
WO2016187803A1 (zh) 2015-05-26 2016-12-0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池组件以及电子烟
KR101609715B1 (ko) 2015-05-26 2016-04-20 주식회사 승완 전자담배 관리 시스템
EP3098738A1 (en) 2015-05-29 2016-11-30 PARI Pharma GmbH Aerosol nebulizer control device
MX2017017098A (es) 2015-06-29 2018-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ucho y dispositivo para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KR101908058B1 (ko) 2015-07-07 2018-10-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담배
KR20170006253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담배
CN205072064U (zh) 2015-07-20 2016-03-09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烟草加热装置
US9888725B2 (en) 2015-07-28 2018-02-13 Lunatech, Llc Inhalation puff counter gauge and display system
RU2710692C2 (ru) * 2015-08-14 2020-01-09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Ку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содержащее систему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в таком устройстве
PL3334296T5 (pl) 2015-08-14 2023-06-26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ktryczne urządzenie do palenia zawierające kompaktowy układ do identyfikacji wyrobów do palenia w urządzeniu
US20170055580A1 (en)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GB2542018B (en) 2015-09-01 2020-05-20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CN113826948A (zh) 2015-09-01 2021-12-24 艾尔有限公司 电子蒸发器***
CN205018293U (zh) 2015-09-02 2016-02-10 广州铁路职业技术学院 电子雾化吸嘴装置
MY195358A (en) 2015-09-11 2023-0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Multi-Segment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WO2017075759A1 (zh) 2015-11-03 2017-05-1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子烤烟
CN105341993B (zh) 2015-11-06 2017-03-22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固体烟弹的新型卷烟装置
CN105342011B (zh) 2015-11-06 2018-06-26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固体烟弹卷烟的加热抽吸装置
CN205180371U (zh) 2015-11-18 2016-04-27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其电子烟
CN205197003U (zh) 2015-11-28 2016-05-04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卸的卷烟加热装置
CN205337598U (zh) 2015-11-28 2016-06-2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发生器及电子烟
CN205456048U (zh) 2015-12-14 2016-08-1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发热组件、雾化器及电子烟
CN105789506B (zh) 2015-12-24 2018-04-17 深圳瀚星翔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电池
US10986868B2 (en) 2016-02-19 2021-04-27 Shenzhen Smoore Technology Limited Electronic atomizing device with a liquid guiding effect and atomizer
CN205512358U (zh) 2016-02-29 2016-08-31 深圳市瑞莱克斯科技有限公司 水过滤式电子烟
CN205648910U (zh) 2016-03-14 2016-10-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其加热组件
CN205597118U (zh)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GB2550540B (en) * 2016-03-24 2021-09-29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provision device
US10334882B2 (en) * 2016-04-13 2019-07-02 Md&C Creative Masion Sa Electronic cigarette
CN205831062U (zh) 2016-04-20 2016-12-28 深圳市新宜康科技有限公司 可更换加热器的环保电子烟雾化芯
CN105747281B (zh) 2016-05-04 2019-04-23 深圳市新宜康科技股份有限公司 陶瓷复合电子烟加热管及使用该加热管的电子烟雾化芯
CN105831812A (zh) 2016-05-12 2016-08-1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便携***装置的电加热卷烟
EP3456213B1 (en) 2016-05-12 2021-02-17 Hubei China Tobacco Industry Co., Ltd. Needle-type he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having same
CN205728067U (zh) 2016-05-16 2016-11-30 阳中华 一种可自动清洁并且具有加热装置的电子烟雾化器
CN105876869B (zh) 2016-06-08 2020-02-14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电子烟
CN106037014B (zh) 2016-07-25 2019-01-11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电子烟及其控制方法
CN206097720U (zh) 2016-07-31 2017-04-12 合肥美高时胶粘标签制品有限公司 一种防止机壳打开标识标签
CN106174699B (zh) 2016-08-30 2022-11-0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退出烟蒂的装置
GB201615608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container
MX2019002790A (es) * 2016-09-15 2019-05-0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para fumar generador de aerosol electronico.
CA3175959C (en) 2016-12-16 2024-05-1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206312988U (zh) 2016-12-26 2017-07-07 深圳市博迪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隐藏螺丝的电子烟电池及电子烟
CN106473233A (zh) 2016-12-29 2017-03-08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电子烟具及其过度抽吸指示方法
GB201705888D0 (en) 2017-04-12 2017-05-2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pparatus for volatilising smokable material and a smoking article
CN106901404A (zh) 2017-04-24 2017-06-30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滑盖启动式双向加热低温烘烤烟具
TWI780186B (zh) 2017-07-28 2022-10-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器總成、氣溶膠產生裝置、氣溶膠產生系統、氣溶膠產生方法以及用於組裝該裝置用的加熱器總成之方法
US11246347B2 (en) 2017-08-09 2022-02-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induction heater and movable component
WO2019095268A1 (zh) 2017-11-17 2019-05-23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组件以及电子烟
WO2019121808A1 (en) 2017-12-22 2019-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easy clean heating cha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171B1 (ko) * 2008-03-25 2016-04-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적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연기 성분의 형성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9789C2 (ru) 2020-12-28
US20200093177A1 (en) 2020-03-26
CN114680379A (zh) 2022-07-01
RU2020124609A3 (ko) 2020-11-26
US11252993B2 (en) 2022-02-22
RU2736923C2 (ru) 2020-11-23
RU2749137C2 (ru) 2021-06-04
EP3750415A2 (en) 2020-12-16
RU2020124658A3 (ko) 2021-01-22
CN111869935B (zh) 2023-09-05
RU2750462C2 (ru) 2021-06-28
RU2732869C1 (ru) 2020-09-24
US20220087309A1 (en) 2022-03-24
PH12019501361A1 (en) 2019-11-11
RU2020124658A (ru) 2020-09-15
US11246341B2 (en) 2022-02-15
UA125699C2 (uk) 2022-05-18
US20200352231A1 (en) 2020-11-12
RU2020124610A3 (ko) 2020-10-26
JP2022058531A (ja) 2022-04-12
CA3175959C (en) 2024-05-14
EP3750416A2 (en) 2020-12-16
RU2020124651A (ru) 2020-08-13
PH12020551224A1 (en) 2021-05-31
CN114343237B (zh) 2024-04-09
RU2020124607A (ru) 2020-09-01
CA3179539C (en) 2024-05-07
PH12020551222A1 (en) 2021-05-31
EP3750414A2 (en) 2020-12-16
JP7277620B2 (ja) 2023-05-19
JP2020501610A (ja) 2020-01-23
CA3213819A1 (en) 2018-06-21
US20200359682A1 (en) 2020-11-19
EP3991578A2 (en) 2022-05-04
RU2740356C2 (ru) 2021-01-13
PH12020551229A1 (en) 2021-11-29
EP3991579A2 (en) 2022-05-04
CA3175959A1 (en) 2018-06-21
CA3047236C (en) 2023-01-03
EP3991578A3 (en) 2022-09-07
CA3175968A1 (en) 2018-06-21
CN114343237A (zh) 2022-04-15
RU2020124657A (ru) 2020-09-09
US11871781B2 (en) 2024-01-16
RU2020124652A3 (ko) 2020-12-28
KR20180070458A (ko) 2018-06-26
EP3991577A3 (en) 2022-09-07
RU2020124651A3 (ko) 2020-12-30
JP2020188790A (ja) 2020-11-26
RU2020124652A (ru) 2020-08-20
JP7388797B2 (ja) 2023-11-29
UA127543C2 (uk) 2023-10-04
JP6878618B2 (ja) 2021-05-26
US20220087311A1 (en) 2022-03-24
CA3179539A1 (en) 2018-06-21
RU2743646C2 (ru) 2021-02-20
JP6799190B2 (ja) 2020-12-09
RU2755883C2 (ru) 2021-09-22
CN111713750B (zh) 2023-09-05
EP3556230A4 (en) 2020-12-02
US20200359681A1 (en) 2020-11-19
EP3750415A3 (en) 2021-01-13
UA127487C2 (uk) 2023-09-06
JP2022050554A (ja) 2022-03-30
US11457661B2 (en) 2022-10-04
US11627759B2 (en) 2023-04-18
EP3750416A3 (en) 2021-01-13
CN111713750A (zh) 2020-09-29
EP3750414A3 (en) 2021-02-17
RU2020124609A (ru) 2020-09-04
RU2020124610A (ru) 2020-08-13
JP2021153586A (ja) 2021-10-07
CN114468360A (zh) 2022-05-13
US20220087310A1 (en) 2022-03-24
RU2750465C2 (ru) 2021-06-28
WO2018110834A3 (ko) 2018-08-09
CN115736355A (zh) 2023-03-07
CN110325058B (zh) 2022-12-27
EP3991577A2 (en) 2022-05-04
CN111869935A (zh) 2020-11-03
CN110325058A (zh) 2019-10-11
RU2020124657A3 (ko) 2021-01-22
EP3556230A2 (en) 2019-10-23
EP3750415B1 (en) 2024-04-10
RU2020124607A3 (ko) 2020-11-26
UA128007C2 (uk) 2024-03-06
JP2022050555A (ja) 2022-03-30
JP2020188791A (ja) 2020-11-26
JP2020191889A (ja) 2020-12-03
US20230210166A1 (en) 2023-07-06
US11882870B2 (en) 2024-01-30
JP7388796B2 (ja) 2023-11-29
WO2018110834A2 (ko) 2018-06-21
CA3047236A1 (en) 2018-06-21
JP7230098B2 (ja) 2023-02-28
CN114468360B (zh) 2023-12-22
RU2020124653A (ru) 2020-09-24
RU2020124653A3 (ko) 2020-12-11
EP3991579A3 (en) 2022-07-20
JP6799191B2 (ja) 2020-12-09
UA127393C2 (uk) 2023-08-09
JP6861875B2 (ja) 2021-04-21
JP2023056005A (ja)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333B1 (ko)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1869934A (zh) 气溶胶生成***和保持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