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904B1 -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904B1
KR102168904B1 KR1020187033551A KR20187033551A KR102168904B1 KR 102168904 B1 KR102168904 B1 KR 102168904B1 KR 1020187033551 A KR1020187033551 A KR 1020187033551A KR 20187033551 A KR20187033551 A KR 20187033551A KR 102168904 B1 KR102168904 B1 KR 10216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ckward
reverse
switch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991A (ko
Inventor
아키라 이시카와
고지 이카이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9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6984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9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698470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2034/6843Control levers on the handle of the m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조작 핸들 (8) 에, 전후진을 전환 조작하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에 의한 후진 위치로의 전환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 (40) 를 조작 핸들 (8) 의 동일한 측에 형성하고, 엔진 (3) 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액셀 레버 (15) 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으로, 액셀 레버 위치 유지 해제와 전후진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조작 하중의 감소와 후진 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액셀 레버 (15) 사이에,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후진 조작에 연동하여 액셀 레버 (15) 를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 (30) 를 형성하고, 그 연동 기구 (30) 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액셀 레버 (15) 에 연동하는 연동 범위 (α)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작동시키지만 액셀 레버 (15) 에는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범위 (β) 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본 발명은, 농작업기로서의 관리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을 실시하는 전후진 전환 레버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함과 함께,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 하중을 경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관리기의 핸들의 후부에 전후진 전환 레버와 액셀 레버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하면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액셀 레버를 저속측으로 회동 (回動) 시키도록, 연동 기구를 형성하고,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 후진측으로 전환이 가능함과 함께, 후진측으로의 전환시에 엔진 회전수를 저하시켜 갑작스러운 후진을 방지하고, 저속측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잊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클러치 레버의「온」위치에서는 변속 레버에 의한 후진 변속을 저지하도록 제한하는 견제 수단을 형성한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6054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20686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의 기술에서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하면 후진 하기 때문에, 잘못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하면 의도치 않게 후진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의 기술은, 의도치 않게 후진 조작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후진 조작 부재가 핸들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미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변속 레버로 후진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어서, 조작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그래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근방에 후진 조작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를 형성하고, 오조작 방지 기구는 견제 부재와 해제 레버를 구비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와 해제 레버를 거의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한 손으로도 조작할 수 있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성도 양호한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스트로크 중의 초기 범위에서 액셀 레버의 위치 유지 해제를 실시하고, 그 후에 후진측으로 변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 아암에 장공 (長孔) 을 형성하고 있는데, 연동체의 스트로크의 처음부터 끝까지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잡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 하중은 서서히 커지고, 후진시에는 큰 하중으로 계속해서 잡아야만 한다. 또, 실제의 양산기에서는, 조작 아암의 회동 기부측을 스프링강으로 구성하고, 액셀 레버의 위치 유지 해제 후에는, 스프링강만 휘고 연동체는 스트로크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구성이면, 조립시에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여, 그 조정에 시간이 걸렸다. 또, 조작시에 스프링강이 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전후진 전환 레버를 잡는 조작시의 조작 하중이 무거워진다는 문제는 해소할 수 없었다.
그래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하나의 조작 수단으로, 액셀 레버 위치 유지 해제와 전후진 전환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작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조작 하중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연동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조작 핸들의 좌우 일측에, 전후진 전환 장치를 전후진으로 전환시키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형성한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에 의한 후진 위치로의 전환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를 조작 핸들의 동일한 측에 형성하고, 오조작 방지 기구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회동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와, 견제를 해제하는 해제 레버를 형성하고, 한 손으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과 해제 레버의 조작을 동시에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과,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은,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는, 상기 조작 핸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가 되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해제 레버를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가 되고, 상기 해제 레버를 눌러 내림과 함께,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농작업기가 후진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오조작 방지 기구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전후진 전환 장치에 연계시키는 와이어의 케이블 터미널이 전후진 전환 레버와 해제 레버 사이에서 견제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 핸들에, 전후진 전환 장치에 연계되어 전후진을 전환 조작하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형성한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설치 위치 근방에 엔진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액셀 레버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와 액셀 레버 사이에,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에 연동하여 액셀 레버를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형성하고, 그 연동 기구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이 액셀 레버에 연동하는 연동 범위와,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이 전후진 전환 장치를 작동시키지만 액셀 레버에는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범위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연동 범위와 비연동 범위는,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와 액셀 레버 사이에 배치 형성된 연동 기구를 구성하는 조작 아암에 캠 기구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캠 기구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전후진 전환 레버를 연계시키는 연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 부재를 삽입하여 가이드하는 장공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부주의하게 전후진 전환 레버를 잡고 조작해도, 해제 레버를 동시에 조작하지 않는 한 전후진 전환 레버를 회동시켜 후진시킬 수는 없어,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손으로 전후진 전환 레버와 해제 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전체 스트로크가 액셀 레버를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과 연동 상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액셀 레버를 저속측으로 작용시키는 작용 위치의 조정이 번거로웠지만, 본 발명에서는, 캠 기구에 있어서의 연동 범위의 일단의 위치를 연동 기구에 맞추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시의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비연동 범위에서는 액셀 레버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작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 는 조작 핸들의 전후진 전환 레버의 연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전후진 전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동일하게 측면도이다.
도 5 는 조작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조작 아암과 액셀 레버의 연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전후진 전환 레버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전후진 전환 레버와 오조작 방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전후진 전환 레버와 오조작 방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견제 부재와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의 오조작 방지 기구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의 오조작 방지 기구의 해제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의 오조작 방지 기구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의 오조작 방지 기구의 장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제 4 실시형태의 견제 부재와 그 조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농작업기로서의 관리기 (1) 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또한, F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관리기 (1) 는 기체 프레임 (2) 상에 엔진 (3) 을 탑재하고, 그 엔진 (3) 의 후부에서 기체 프레임 (2) 의 좌우 중앙부에 트랜스미션 케이스 (4) 가 세워져 형성되고, 그 트랜스미션 케이스 (4) 의 상부와 상기 엔진 (3) 의 사이에 전동 케이스 (5) 를 배치 형성하여,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트랜스미션 케이스 (4) 의 하부에는 경운축 (6) 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로 걸쳐지고, 요컨대, 진행 방향이 되는 F 방향에 직교하여 경운축 (6) 이 형성되고, 그 경운축 (6)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경운 보습 (7·7 …) 이 방사상으로 고정되어, 경운 장치 (10)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경운축 (6) 의 회전에 의해 주행도 실시한다.
상기 엔진 (3) 의 상부에는 연료 탱크가 배치 형성되고, 엔진 (3) 이나 연료 탱크는 보닛 (9) 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 상기 기체 프레임 (2) 의 후부에는, 저항봉 (11) 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기체 프레임 (2) 의 전단 (前端) 에 범퍼 (12) 가 장착되어 있다.
기체 후부가 되는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 (4) 의 상부에 조작 핸들 (8) 의 기부가 고정 형성되고, 그 조작 핸들 (8) 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A 자상으로서 비스듬히 후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조작 핸들 (8) 의 후부에 그립 (8a·8a) 이 형성되고, 오퍼레이터가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진행 방향 좌측의 그립 (8a) 의 근방에 주행 클러치 레버 (13) 가 형성되고, 그 주행 클러치 레버 (13) 는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전동 케이스 (5) 내에 수납된 벨트 텐션식의 주행 클러치와 연결된다. 그 주행 클러치 레버 (13) 를 잡음으로써 주행 클러치가「온」으로 되고, 엔진 (3) 으로부터의 동력이 경운축 (6) 에 전달되어, 주행과 경운이 가능해진다. 주행 클러치 레버 (13) 를 놓음으로써 주행 클러치가「오프」로 되고, 동력이 끊겨 주행과 경운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작업 중에 전도 등을 하더라도 손을 떼기만 해도 주행 클러치가「오프」로 되어 관리기 (1) 는 정지하도록 하고 있고, 의도치 않은 클러치「온」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핸들 (8) 의 우측의 그립 (8a) 근방에는,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0) 와 액셀 레버 (15) 와 비상 정지 스위치 (16) 가 배치 형성된다.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0)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연동 기구 (30) 와 오조작 방지 기구 (40) 로 이루어지고, 비상 정지 스위치 (16) 는 좌우의 조작 핸들 (8 ·8) 의 후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17) 상에 배치 형성되고, 누름으로써 엔진 (3) 을 정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는, 도 2,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상부가 조작 핸들 (8) 의 그립 (8a) 전부 (前部) 에 고정되는 장착 부재 (21) 에 피벗축 (22) 을 통하여 자유롭게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손으로 그립 (8a) 과 함께 잡고 조작한다.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전측 하부에는 연계 부재로서의 와이어 (23) 를 통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스 (4) 에 배치 형성되는 전환 아암 (24) 과 연결되어 있다. 그 와이어 (23) 의 후단에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걸림 부재가 되는 핀상의 케이블 터미널 (26) 이 고정 형성되고, 그 케이블 터미널 (26) 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전측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핀공 (孔) 에 삽입하여 걸려져 있다.
상기 전환 아암 (24)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케이스 (4) 에 일단이 피벗팅되고, 타단에 상기 와이어 (23) 와 스프링 (27) 이 연결된다. 스프링 (27) 은 전환 아암 (24) 을 전진 전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전환 아암 (24) 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트랜스미션 케이스 (4) 내에 수납되는 전후진 전환 클러치를 조작하는 시프터축 (25) 의 일단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후진 전환 클러치는 시프터축 (25) 에 고정되는 시프터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걸림 클로의 교합을 전환시켜, 경운축 (6) 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전후진 전환 클러치는 스프링 (27) 의 탄성력에 의해 통상적으로 전진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고 회동시키면, 스프링 (27) 에 저항하여 와이어 (23) 가 잡아당겨져 전환 아암 (24) 을 회동시키고, 시프터축 (25) 을 슬라이딩시켜 후진측으로 전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전후진 전환 장치 (28) 가 구성되어 있다. 단, 전후진 전환 클러치의 구성은 걸림 클로의 교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의 맞물림을 전환시키거나, 전자 클러치를 온·오프시키거나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액셀 레버 (15)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31) 를 통하여 엔진 (3) 의 컨트롤 레버 (32) 와 연결된다. 컨트롤 레버 (32) 는 엔진 (3) 의 회전 속도 (회전수) 를 변경하는 레버로서, 연료 및 흡기량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의 경우, 컨트롤 레버 (32) 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액셀 레버 (15) 는 조작 핸들 (8) 에 조작 위치 유지·해제 기구 (50) 를 통하여 장착됨과 함께, 액셀 레버 (15) 는 연동 기구 (30) 를 통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연동된다. 조작 위치 유지·해제 기구 (50)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 (8) 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51) 와, 고정 부재 (51) 상에 마찰판 (52)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외측에 끼워지는 레버 기부 (53) 와, 레버 기부 (53) 를 하방으로 누르는 원통상의 가압체 (54) 와, 고정 부재 (51) 와 레버 기부 (53) 와 가압체 (54) 의 축심부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해제축 (55) 과, 고정 부재 (51) 에 대하여 해제축 (55) 과 가압체 (54) 와 레버 기부 (53) 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 스프링 (56) 과, 레버 기부 (53) 와 가압체 (54) 사이에 개재 장착하여 액셀 레버 (15) 를 저속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탄성 지지하는 레버 스프링 (57) 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 (51) 는, 원통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의 축공 (51a) 에 해제축 (55) 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축공 (51a) 의 하부 내에서 해제축 (55) 과의 사이에 가압 스프링 (56) 이 내장되고, 가압 스프링 (56) 의 상단은 축공 (51a) 의 내부 상면에 맞닿고, 가압 스프링 (56) 의 하단은 와셔 (59) 를 개재하여 해제축 (55) 의 단부 (段部) 에 맞닿고, 해제축 (55) 은 고정 부재 (51) 에 대하여 가압 스프링 (56) 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고정 부재 (51) 의 외주 가장자리부 (51b) 상에 마찰판 (52) 을 개재하여 레버 기부 (53) 가 외측에 끼워지고, 레버 기부 (53) 의 중앙공 내에 가압체 (54) 가 내장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해제축 (55) 이 가압 스프링 (56) 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면, 와셔 (58), 가압체 (54) 를 개재하여 레버 기부 (53) 가 하방으로 눌리고, 레버 기부 (53) 의 하면과 고정 부재 (51) 의 외주 가장자리부 (51b) 상면과 마찰판 (52) 의 마찰력으로, 액셀 레버 (15) 를 임의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그 위치가 유지된다.
또, 상기 레버 기부 (53) 는 원통상으로 구성되고, 관통공의 내주 단부 (段部) (53a) 상에 원통상의 가압체 (54) 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납된다. 그 가압체 (54) 의 축공과 상기 고정 부재 (51) 의 상부에 형성된 축부 (51c) 외주는 스플라인 끼워 맞춰지고, 가압체 (54) 는 고정 부재 (51) 에 대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가압체 (54) 의 상부와 레버 기부 (53) 의 내주 사이에는 레버 스프링 (57) 이 걸려, 액셀 레버 (15) 는 저속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해제축 (55) 의 하부는 조작 핸들 (8) 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조작 아암 (35) 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액셀 레버 (15) 를 고회전측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기부 (53) 는 가압 스프링 (56) 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레버 기부 (53) 와 마찰판 (52) 과 고정 부재 (51) 의 마찰 저항에 의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가압 스프링 (56) 의 가압 스프링력은 레버 스프링 (57) 의 복귀 스프링력 및 컨트롤 레버 (32) 의 저속측으로의 복귀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액셀 레버 (15) 는 저속측으로 되돌아오지는 않는다.
그리고, 액셀 레버 (15) 가 고회전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아 그 회동에 의해, 조작 아암 (35) 이 상방으로 회동되고, 해제축 (55) 이 들어올려지면, 레버 기부 (53) 의 고정 부재 (51) 로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위치 유지를 위한 마찰 저항이 감소하여, 액셀 레버 (15) 는 레버 스프링 (57) 의 탄성력에 의해 저회전측으로 회동하고, 엔진 (3) 은 저속 회전으로 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추가적인 회동에 의해 전후진 전환 장치 (28) 가 전환되어 기체는 후진한다.
다음으로, 연동 기구 (30) 에 대해, 도 2 내지 도 6 으로부터 설명한다.
연동 기구 (30)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에 연동하여 액셀 레버 (15) 를 고회전측으로의 회동을 해제하고 저회전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해제축 (55) 사이에 배치 형성된다. 연동 기구 (30) 는 조작 아암 (35) 으로 구성된다.
조작 아암 (35)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역 U 자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좌우의 측판 (35a·35a) 과, 그 좌우의 측판 (35a·35a) 의 전측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판 (35b) 으로 이루어지고, 측판 (35a·35a) 의 전단에 회동 지지점공 (孔) (35c·35c) 이 개구되고, 측판 (35a·35a) 의 후부에 캠을 구성하는 원호상의 장공 (35d·35d) 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있다. 연결판 (35b) 은 상기 조작 위치 유지·해제 기구 (50) 의 하방에 위치하고, 해제축 (55) 의 하단이 맞닿을 수 있게 되는 맞닿음면으로 하고 있다.
상기 회동 지지점공 (35c) 에는 피벗축 (36) 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 (51) 보다 전방의 조작 핸들 (8)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되는 지지체 (37) 에, 조작 아암 (35) 의 전부가 피벗축 (36) 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장공 (35d·35d) 에는, 상기 케이블 터미널 (26) 이 삽입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에 연동하여, 케이블 터미널 (26) 이 장공 (35d·35d) 내를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딩에 의해 조작 아암 (35) 을 상하 회동시킨다. 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키는 힘 (잡는 힘) 은, 상기 캠을 구성하는 장공 (35d·35d) 형상에 의해 종래보다 경감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장공 (35d·35d) 이 캠 프로필로서 형성되어 있고, 장공 (35d·35d) 에 삽입된 케이블 터미널 (26) 을 슬라이딩 가이드한다. 도 4,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프로필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액셀 레버 (15) 와 연동하는 연동 범위 (α)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작동시키지만 액셀 레버 (15) 와는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범위 (β) 가 설정된다.
요컨대, 장공 (35d) 의 전부가 전측 장공 (35d1) 으로서 형성되고, 전측 장공 (35d1) 은 피벗축 (22) 으로부터의 거리가 후측일수록 서서히 길어지는 비스듬한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이 전측 장공 (35d1·35d1) 내를 케이블 터미널 (26) 이 피벗축 (22) 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궤적으로 슬라이딩하는 범위가, 조작 아암 (35) 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연동 범위 (α) 이며, 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 전과 회동 후의 스트로크차, 요컨대, 반경 방향의 차는, 해제축 (55) 이 상승되어 액셀 레버 (15) 의 조작 위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한 길이이다.
또, 연동 범위 (α) 의 후부에 계속되고 조작 아암 (35) 을 회동시키지 않기 위한 비연동 범위 (β) 가, 장공 (35d) 의 후부에 후측 장공 (35d2) 으로서 형성된다. 후측 장공 (35d2) 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시에 해제축 (55) 을 상승시키지 않도록, 바꿔 말하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추가적인 회동에 의해 조작 아암 (35) 을 회동시키지 않도록, 피벗축 (22) 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요컨대, 피벗축 (22) 을 중심으로 한 동일 반경의 원호가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관리기 (1) 를 전진 주행시키면서 경운 작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키면 (잡으면), 연동 범위 (α) 에서는, 와이어 (23) 가 잡아당겨짐과 함께, 케이블 터미널 (26) 을 통하여 조작 아암 (35) 은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 조작 아암 (35) 의 상승 회동에 의해, 해제축 (55) 이 들어올려지고, 고정 부재 (51) 와 레버 기부 (53) 사이의 마찰 유지의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액셀 레버 (15) 는 레버 스프링 (57) 의 탄성력에 의해 저속 회전수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는 힘은, 도 7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서히 커진다.
케이블 터미널 (26) 의 위치가, 연동 범위 (α) 가 종료된 후의 비연동 범위 (β) 에서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켜도 조작 아암 (35) 은 회동되지 않고, 케이블 터미널 (26) 은 더욱 잡아당겨져 전환 아암 (24) 을 회동시켜,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시킨다. 이 때의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는 힘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해제축 (55) 을 밀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력이 경감된다. 또한 이 때, 스프링 (27) 의 힘에 저항하여 와이어 (23) 를 잡아당기는 힘과, 가압 스프링 (56) 에 저항하여 해제축 (55) 의 위치를 유지하는 힘은 필요하기 때문에, 약간 조작력은 상승한다. 도 7 에 있어서의 점선은, 조작 아암을 스프링강으로 구성한 종래의 스트로크와 조작력 (하중) 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전체 스트로크에서 스프링강을 휘게 하기 때문에 조작력은, 본 실시형태의 조작 아암 (35) 으로 하는 것보다도, 조작 하중이 대폭 커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 핸들 (8) 에, 전후진 전환 장치 (28) 에 연계되어 전후진을 전환 조작하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형성한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0) 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설치 위치 근방에 엔진 (3) 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액셀 레버 (15) 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액셀 레버 (15) 사이에,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후진 조작에 연동하여 액셀 레버 (15) 를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 (30) 를 형성하고, 그 연동 기구 (30) 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액셀 레버 (15) 에 연동하는 연동 범위 (α)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이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작동시키지만 액셀 레버 (15) 에는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범위 (β) 가 형성되므로, 하나의 전후진 전환 레버 (14) 만의 조작으로, 연동 기구 (30) 에 의해 액셀 레버 (15) 를 저속측으로 회동시키고 나서 후진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그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력을 종래보다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연동 범위 (α) 와 비연동 범위 (β) 는,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액셀 레버 (15) 사이에 배치 형성된 연동 기구 (30) 를 구성하는 조작 아암 (35) 에 캠 기구로서 형성되므로, 연동 범위 (α) 와 비연동 범위 (β) 의 구분 설정을, 캠 프로필을 변경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조작 아암 (35) 을 스프링강으로 구성하면, ??칭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형상이 안정되지 않고, 작용 위치의 편차가 커서 위치 조정이 번거로웠지만, 스프링강을 없애고 캠으로 연동 범위를 설정하기 때문에, 조정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캠 기구는, 전후진 전환 장치 (28)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연계시키는 연계 부재가 되는 와이어 (23) 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 부재가 되는 케이블 터미널 (26) 을 삽입하여 가이드하는 장공 (35d) 에 형성되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조작 아암 (35) 의 위치 결정이, 장공 (35d) 의 일단에 케이블 터미널 (26) 을 위치시키기만 해도 되어, 조작 아암 (35) 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오조작 방지 기구 (40) 에 대해, 도 2, 도 8 ∼ 도 10 으로부터 설명한다.
오조작 방지 기구 (40)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 (41) 와, 이 견제를 해제 조작하는 해제 레버 (42) 와 스토퍼 핀 (43) 과 비틀림 스프링 (44) 등으로 이루어지고, 조작 핸들 (8) 의 동일한 측 (우측의 그립 (8a)) 에 형성되고, 견제 부재 (41)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근방에서 조작 아암 (35) 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다.
견제 부재 (41) 는, 플레이트를 후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상으로 절곡하여 좌우의 측판 (41a·41a) 과, 측판 (41a·41a) 을 연결하는 바닥판 (41b) 으로 이루어지고, 측판 (41a) 과 측판 (41a) 의 간격은 상기 조작 아암 (35) 의 폭보다 크게 하여, 하방으로부터 조작 아암 (35) 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하여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측판 (41a·41a) 의 전부에는 회동 지지점공 (41c·41c) 이 개구되고, 상기 조작 아암 (35) 의 회동 지지점공 (35c ·35c) 과 함께 피벗축 (36) 을 삽입하여, 그 피벗축 (36) 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측판 (41a·41a) 의 회동 지지점공 (41c·41c) 의 후측 상부에는 핀공 (41d·41d) 이 개구되고, 조작 아암 (35) 에 끼워 맞춰 피벗축 (36) 으로 피벗팅한 후에 스토퍼 핀 (43) 을 삽입하여, 견제 부재 (41) 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측판 (41a·41a) 의 후부 상에는 견제 오목부 (41e) 가 전측 상방을 개방하여 형성되고, 조작 아암 (35) 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 (26) 이 견제 오목부 (41e)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 좌우 방향 중앙측의 측판 (41a) 의 전후 중도부에서 후측 상방으로 해제 레버 (42) 가 돌출되고, 그 해제 레버 (42) 의 후측 상단은 조작 아암 (35) 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립 (8a) 의 전측부에 위치하고, 그립 (8a) 을 오른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범위에 배치 형성된다. 요컨대, 견제 부재 (41) 와 해제 레버 (42) 는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부재로 일체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견제 부재 (41) 를 조작 아암 (35) 과 함께 장착한 상태의 상기 피벗축 (36) 의 외측에는 비틀림 스프링 (44) 이 장착되고, 그 비틀림 스프링 (44) 의 일단은 지지체 (37) 에 걸리고, 비틀림 스프링 (44) 의 타단은 스토퍼 핀 (43) (또는 견제 부재 (41)) 에 걸리고, 비틀림 스프링 (44) 은 견제 부재 (41) 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도록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작업 중에 후진하기 위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으면, 케이블 터미널 (26) 은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견제 부재 (41) 의 견제 오목부 (41e) 에 닿아 회동할 수 없어, 후진 조작이 견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해제 레버 (42) 를 엄지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면 견제 오목부 (41e) 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견제가 해제된 상태로 되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음으로써 케이블 터미널 (26) 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 기구 (30) 에 의해 액셀 레버 (15) 를 저속측으로 회동시켜, 엔진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나서,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후진측으로 전환시킨다.
이 해제 레버 (42) 를 내렸을 때, 스토퍼 핀 (43) 이 조작 아암 (35) 의 상면 (연결판 (35b)) 에 닿아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엄지 손가락으로 견제가 해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로크 (견제) 가 해제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켜 액셀 레버 (15) 가 저회전 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엄지 손가락을 떼는 타이밍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해제 레버 (42) 로부터 엄지 손가락을 떼면, 비틀림 스프링 (44) 의 탄성력에 의해 견제 부재 (41) 는 상승 회동하려고 하지만, 견제 오목부 (41e) 의 후측 상면이 케이블 터미널 (26) 의 하부에 닿기 때문에 해제 상태는 유지된다.
후진을 종료하기 위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은 상태에서 놓으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는 와이어 (23) 를 통하여 스프링 (27) 의 탄성력에 의해 잡아당겨져 하방으로 회동하고, 케이블 터미널 (26) 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하단 위치에서 견제 부재 (41) 는 비틀림 스프링 (44) 의 탄성력으로 상승 회동하여 케이블 터미널 (26) 이 견제 오목부 (41e) 에 위치하고, 조작 아암 (35) 은 하강하고, 해제축 (55) 은 내려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에 의한 후진 위치로의 전환 조작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 (40) 를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근방에 형성하고, 그 오조작 방지 기구 (40) 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 (41) 와, 이 견제를 해제하는 해제 레버 (42) 가 형성되고, 그 해제 레버 (42) 에 의한 견제 해제 조작과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후진 전환 조작을 한 손으로 거의 동시에 조작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자는 후진할 때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에 추가하여, 의식적으로 해제 레버 (42) 를 조작하기 때문에, 잘못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더라도 부주의하게 후진하지 않고, 농작업기의 전후진 조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한 손으로 해제 레버 (42)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바꿔 잡을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후진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 방향이 상방으로 되고, 해제 레버 (42) 의 조작 방향이 하방으로 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하였으므로, 조작 실수가 잘 발생하지 않고, 조작 핸들 (8) 을 잡으면서, 한쪽씩 연속하여 (거의 동시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오조작 방지 기구 (40)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연계시키는 와이어 (23) 의 단부 (端部) 에 형성되는 케이블 터미널 (26) 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견제 부재 (41) 사이에서 견제 작용을 실시하므로, 케이블 터미널 (26) 이 견제 부재 (41) 에 대하여 견제되어, 피견제 부재로서 겸용되어, 부품 점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견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오조작 방지 기구 (40) 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1, 도 12 로부터 설명한다.
전후진 전환 레버 (14) 가 장착되는 조작 핸들 (8) 의 그립 (8a) 의 근방에는, 견제 부재와 해제 기구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해제 레버 (6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해제 레버 (62)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V 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단에 피벗공 (62a) 이 개구되고, 조작 핸들 (8) 에 고정된 장착 부재 (21) 에 피벗축 (63) 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피벗팅되어 있다. 피벗축 (63) 에는 비틀림 스프링 (66) 이 외측에 끼워지고, 일단은 해제 레버 (62) 에 걸리고, 타단은 장착 부재 (21) 에 걸리고, 해제 레버 (62) 는 도 11(a) 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로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해제 레버 (62) 의 중도부에는 견제 부재를 구성하는 가이드공 (64) 이 개구되고, 그 가이드공 (64) 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전측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로크 핀 (65) 이 삽입된다. 가이드공 (64) 은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역 V 자상으로 형성되고, 전측 하단에 로크 위치 (64a) 가 설정되고, 가이드공 (64) 의 전후 중앙 상단에 해제 위치 (64b) 가 설정되고, 후측 하단에 작동 위치 (64c) 가 설정되어 있다.
해제 레버 (62) 의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립 (8a) 을 잡았을 때에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위치하고, 단부 (端部) 가 누름부 (62b)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진시에는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로부터 돌출된 로크 핀 (65) 은 가이드공 (64) 의 로크 위치 (64a) 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아 회동시키려도 해도, 가이드공 (64) 의 로크 위치 (64a) 와 해제 위치 (64b) 에서 형성되는 장공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에 의해 로크 핀 (65) 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할 수 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부 (62b) 를 하방으로 눌러, 해제 레버 (62) 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면,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65) 은 해제 위치 (64b) 에 위치하고, 견제가 해제되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으면 도 11(c) 와 같이 작동 위치 (64c) 까지 회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 (23) 를 잡아당겨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전환시켜 관리기 (1) 를 후진시킬 수 있다.
또, 오조작 방지 기구 (40) 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3, 도 14 로부터 설명한다.
전후진 전환 레버 (14) 가 장착되는 조작 핸들 (8) 의 그립 (8a) 근방에는, 해제 레버 (7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해제 레버 (72) 는, 봉상체가 후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コ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해제 레버 (72) 의 일측 (하측) 의 수평부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전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피벗팅되어 있다. 해제 레버 (72) 의 하측 수평부에 비틀림 스프링 (73) 이 외측에 끼워져, 해제 레버 (72) 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도록 탄성 지지하고 있다. 해제 레버 (72) 의 타측 (상측) 의 수평부는 장착 부재 (21) 에 개구된 가이드공 (74) 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장착 부재 (21) 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74) 은, 견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고,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수평부와 수평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호부를 구비하고, 그 회동 단부 (端部) 에 각각 로크 위치 (74a)·해제 위치 (74b)·작동 위치 (74c) 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진시에는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 (14) 에 피벗팅된 해제 레버 (72) 의 일측은 가이드공 (74) 의 로크 위치 (74a) 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더라도, 해제 레버 (72) 의 상측 수평부는 가이드공 (74) 의 로크 위치 (74a) 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킬 수 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해제 레버 (72) 를 전방으로 누르면,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 (72) 의 상부는 해제 위치 (74b) 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잡으면, 도 13(c) 와 같이, 가이드공 (74) 의 원호부를 이동시켜 작동 위치 (74c) 까지 회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 (23) 를 잡아당겨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전환시켜, 관리기 (1) 를 후진시킬 수 있다.
또, 오조작 방지 기구 (40) 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5 로부터 설명한다.
전후진 전환 레버 (14) 가 장착되는 조작 핸들 (8) 의 그립 (8a) 의 근방에는, 해제 레버 (8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해제 레버 (82) 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C 자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전단) 이 지지축 (81) 에 자유롭게 좌우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중도부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피벗팅하는 피벗축 (22) 을 측방으로 우회하여 장착 부재 (21) 의 후부로 연장 형성한다. 장착 부재 (21) 의 후부에는 견제 부재를 구성하는 절결 (21a) 이 형성되고, 해제 레버 (82) 의 중도부가 삽입되고, 해제 레버 (82) 의 타단 (후단) 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측방의 오른손으로 그립 (8a) 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까지 연장 형성되고, 해제 레버 (82) 의 후단을 누름부 (82a) 로 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 (81) 은, 상기 장착 부재 (21) 의 전방에 형성된 지지 부재 (80)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축 (81) 에는 해제 레버 (82) 의 전부를 자유롭게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함께, 비틀림 스프링 (83) 이 외측에 끼워져, 해제 레버 (82) 를 장착 부재 (21) 측 (평면에서 봤을 때에 시계 회전 방향) 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절결 (21a) 에는 해제 레버 (82) 의 중도부가 끼워 맞춰지고, 해제 레버 (82) 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기부의 회동 궤적 상에 위치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회동을 견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진시에는 해제 레버 (82) 의 중도부는 장착 부재 (21) 의 절결 (21a) 에 끼워 맞춰져 전후진 전환 레버 (14) 는 회동할 수 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해제 레버 (82) 를 측방으로 누르면, 해제 레버 (82) 의 중도부가 절결 (21a) 에서 빠져 견제가 해제되어, 해제 레버 (82) 를 회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 (23) 를 잡아당겨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전환시켜, 관리기 (1) 를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 도 13, 도 15 에 있어서, 액셀 레버 (15) 나 연동 기구 (30) 등은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진할 때에는, 해제 레버 (42·62·72·82) 를 일단 누른 후가 아니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킬 수 없어, 무의식적으로 잡아 갑자기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 핸들 (8) 의 좌우 일측에, 전후진 전환 장치 (28) 를 전후진으로 전환시키는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형성한 농작업기가 되는 관리기 (1) 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0) 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에 의한 후진 위치로의 전환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 (40) 를 조작 핸들 (8) 의 동일한 측에 형성하고, 오조작 방지 기구 (40) 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회동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 (41) 와, 견제를 해제하는 해제 레버 (42·62·72·82) 를 형성하고, 한 손으로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조작과 해제 레버 (42·62·72·82) 의 조작을 동시에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후진할 때에는, 해제 레버 (42·62·72·82) 를 일단 누른 후가 아니면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회동시킬 수 없어, 잘못 잡아 갑자기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손으로 해제 레버 (42·62·72·82) 와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양방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쪽씩 바꿔 잡고 순서대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신속하게 후진측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작업을 정지시키지 않고 조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전후진 전환 레버 (14) 의 후진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과, 해제 레버 (42·62·72·82) 의 해제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하므로, 해제 레버 (42·62·72·82) 를 하방향 또는 전방 또는 측방으로 조작한 후, 전후진 전환 레버 (14) 를 상방향으로 잡고 전환시켜, 조작 핸들 (8) 을 한 손으로 잡으면서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전후진 전환 레버 (14) 와 해제 레버 (42·62·72·82) 의 조작은 잡는 방향이 되므로, 힘을 주기 쉽고, 조작 실수가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수전, 밭의 경운 작업이나 이랑 형성 작업 등을 실시하는, 보행형의 관리기에 이용 가능하다.
α : 연동 범위
β : 비연동 범위
3 : 엔진
8 : 조작 핸들
14 : 전후진 전환 레버
15 : 액셀 레버
20 :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3 : 와이어
26 : 케이블 터미널
28 : 전후진 전환 장치
30 : 연동 기구
35 : 조작 아암
40 : 오조작 방지 기구
41 : 견제 부재
42 : 해제 레버

Claims (6)

  1. 조작 핸들의 좌우 일측에, 전후진 전환 장치를 전후진으로 전환시키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형성한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에 의한 후진 위치로의 전환을 견제하는 오조작 방지 기구를 조작 핸들의 동일한 측에 형성하고,
    오조작 방지 기구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회동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와, 견제를 해제하는 해제 레버를 형성하고, 한 손으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과 해제 레버의 조작을 동시에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과,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은,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의 레버 조작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는, 상기 조작 핸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시가 되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해제 레버를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해제 레버의 해제 조작시가 되고,
    상기 해제 레버를 눌러 내림과 함께,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농작업기가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방지 기구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전후진 전환 장치에 연계시키는 와이어의 케이블 터미널이 전후진 전환 레버와 견제 부재 사이에서 견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4. 조작 핸들에, 전후진 전환 장치에 연계되어 전후진을 전환 조작하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형성한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설치 위치 근방에 엔진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액셀 레버를 형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와 액셀 레버 사이에, 전후진 전환 레버의 후진 조작에 연동하여 액셀 레버를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형성하고, 그 연동 기구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이 액셀 레버에 연동하는 연동 범위와,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이 전후진 전환 장치를 작동시키지만 액셀 레버에는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범위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 범위와 비연동 범위는,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와 액셀 레버 사이에 배치 형성된 연동 기구를 구성하는 조작 아암에 캠 기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전후진 전환 레버를 연계시키는 연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 부재를 삽입하여 가이드하는 장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KR1020187033551A 2016-08-15 2017-08-10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KR10216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9325 2016-08-15
JPJP-P-2016-159327 2016-08-15
JP2016159325A JP6698469B2 (ja) 2016-08-15 2016-08-15 農作業機の前後進切換操作装置
JP2016159327A JP6698470B2 (ja) 2016-08-15 2016-08-15 農作業機の前後進切換操作装置
PCT/JP2017/029030 WO2018034219A1 (ja) 2016-08-15 2017-08-10 農作業機の前後進切換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991A KR20180136991A (ko) 2018-12-26
KR102168904B1 true KR102168904B1 (ko) 2020-10-22

Family

ID=6119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51A KR102168904B1 (ko) 2016-08-15 2017-08-10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498064A4 (ko)
KR (1) KR102168904B1 (ko)
WO (1) WO2018034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363B1 (ja) 2017-08-22 2018-03-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08307768B (zh) * 2018-03-09 2024-01-02 浙江亚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割草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767A (ja) * 2013-04-30 2014-11-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クラッチ操作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632U (ja) * 1984-05-16 1985-12-05 株式会社クボタ 前後進切換レバ−のロツク装置
JP2543125Y2 (ja) * 1988-09-10 1997-08-06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車の前後進切換え構造
JP2605471Y2 (ja) * 1992-11-13 2000-07-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
JP3468476B2 (ja) * 1994-08-30 2003-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車両の変速操作装置
JPH10324168A (ja) * 1997-05-27 1998-12-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走行車両の操作部材
JP2009220686A (ja) 2008-03-14 2009-10-01 Kubota Corp 歩行型作業機
JP5527200B2 (ja) * 2010-12-24 2014-06-18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管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767A (ja) * 2013-04-30 2014-11-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クラッチ操作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8064A1 (en) 2019-06-19
WO2018034219A1 (ja) 2018-02-22
EP3498064A4 (en) 2020-01-01
KR20180136991A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879B2 (ja) セレクトレバー戻し案内を伴う操作装置
US20100107800A1 (en) Shift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4018099A (en) Multispeed shift linkage control
KR100633832B1 (ko) 작업차의 속도 유지 구조
KR102168904B1 (ko)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JP4751648B2 (ja) 車両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320811B1 (ko) 시프트 로크 장치
JP6698469B2 (ja) 農作業機の前後進切換操作装置
US20100107798A1 (en) Shift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6698470B2 (ja) 農作業機の前後進切換操作装置
JP5560542B2 (ja) 苗植機
JP4504299B2 (ja) 建設機械の操作手段のロック構造
US6925903B2 (en) Shift device
US20150013490A1 (en) Shifting device
US8820187B2 (en) Shifting device
US10464374B1 (en) Zero-turn lawn-mower with controllably restrictable movements of front wheels
KR20080013623A (ko) 버튼 누름 방식의 스커트 조작기능을 갖는 변속레버구조
JP6096257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JP2012038198A (ja) 切換操作装置
JPS6134910Y2 (ko)
JPH0549538U (ja) 車両の駐車ブレーキ装置
JP6849529B2 (ja) 作業車両
JPS6348470Y2 (ko)
JPH032051Y2 (ko)
US20180292000A1 (en) Shifter mechanism with manual shif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