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371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371B1
KR102168371B1 KR1020157030015A KR20157030015A KR102168371B1 KR 102168371 B1 KR102168371 B1 KR 102168371B1 KR 1020157030015 A KR1020157030015 A KR 1020157030015A KR 20157030015 A KR20157030015 A KR 20157030015A KR 102168371 B1 KR102168371 B1 KR 10216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nector
grounding
she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372A (ko
Inventor
시게루 오누키
에이치로 다키자와
Original Assignee
스리오 재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리오 재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리오 재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3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1)는 통신 케이블(2)의 신호선을 덮는 도전성 셸(3)과, 판을 펀칭하여 형성된 클립(4)과, 이들을 덮는 틀체(7)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셸(3)은 기판(100)의 접지선에 접지되고, 틀체(7)는 장치의 수용 박스의 프레임에 접지된다. 클립(4)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탭(15)이 형성되어 있고, 탭(15)은 커넥터(1)의 조립시에 틀체(7)와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셸(3)과 틀체(7)를 전기적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의 조립시에 클립(4)의 탭(15)을 분리하면, 도전성 셸(3)과 틀체(7)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된다. 클립(4)의 탭(15)의 분리에 의해 커넥터(1)에서의 기판(100)에 접지와 프레임에 접지의 접속 형태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통신용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조 등의 외부 도체로 덮인 케이블 등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LAN 등의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빌딩 내 오피스와 같은 환경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영향을 받는 가혹한 환경이나 여객기 내, 공장 내 혹은 철도 차량 내의 공업용 분야에서도 이더넷(등록상표)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이용되게 되어 있다.
통신 장치 사이에서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은 시스 또는 자켓이라고 부르는 외피 아래에 편조가 설치되고, 이들에 의해 신호선이 되는 페어선(2개 2세트 또는 4개 2세트)이 덮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편조는 외부로부터 전자파를 차단하는 실드 기능과 통신 장치 사이의 접지선을 접속하는 접지 기능을 가진다.
편조의 접지 기능에 대해서는, 통신 케이블과 그 양단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해 소정의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 커넥터 내에서 소정의 접지 형태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에서의 그 소정의 접지 형태로서는 통신 케이블의 편조가 통신 장치 내의 프린트 배선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고 부름)의 접지선에 접속되는 접지 형태(이하, PCB 접지라고 부름)와, 통신 케이블의 편조가 커넥터의 외측 틀체에 접속되어 통신 장치를 수용하는 금속 박스 등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접속되는 접지 형태(이하, 프레임 접지라고 부름)의 2가지 접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PCB 접지란, 통신 케이블의 편조가 통신 장치 내의 PCB의 접지선에 접속되도록 접지된 접지 형태를 말하고, 프레임 접지란, 통신 케이블의 편조가 외부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실드 효과를 목적으로 한 커넥터의 외부 틀체에 접속되고, 외부 틀체가 통신 장치 등을 수용하는 금속 박스 등의 접지용 프레임에 접속되도록 접지된 접지 형태를 말한다.
또한 가혹한 환경 혹은 공업 분야에서 통신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해 통신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원형 커넥터가 채용되어 있고, 복수의 케이블 각각에 하나씩 장착되어 통신 장치의 패널에 장착된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군에 개별적으로 수작업으로 커넥터의 결합을 행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가혹한 환경 혹은 공업용 분야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최근에는 각 통신 장치의 설계에 따라 통신 장치 사이의 PCB 접지 유무나 프레임 접지 유무에 대응 가능한 다양한 접지 형태를 실현 가능한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종래의 원형 커넥터는 개개의 통신 케이블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하는 경우, 통신 장치의 패널 내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수작업으로 하나씩 결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접속 작업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작업이기 때문에 통신 장치의 패널면 내에서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배치 간격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패널의 한정된 면적 내에서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배치가 효율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다.
나아가 현장에서 커넥터의 단말 처리를 할 때, 상기 접지 형태가 복잡해져 오접지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커넥터의 요구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통신 케이블마다 장착되어 있던 단일 커넥터를 복수의 통신 케이블 단위로 하나의 커넥터에 집약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의 통신 장치에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통신 케이블을 소정 면적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시키며, 또한 다양한 접지 형태에 적응 가능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의 조립에 이용되는 특유의 도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하고,
-전기적으로 비접촉으로 도전선을 덮음과 동시에 접지용 도전부에 접촉하는 제1 도전성 셸;
-도전성 부재로서,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
-도전성 부재 및 제1 도전성 셸을 덮도록 구성된 도전성의 제1 틀체;를 구비하고,
틀체가 돌출편, 접촉부 및 접지용 도전부를 통해 제1 도전성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베이스부로부터 임의의 접촉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는, 임의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제1 도전성 셸은 틀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도전성 부재는 각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비도전성 부재에 장착되고, 접촉부가 분리되면 비도전성 부재가 접지용 도전부를 압압하여 접지용 도전부와 제1 도전성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나아가 상기 (1)의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1)의 도전성 부재를 가지며,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고, 제1 도전성 셸은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맞추는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제2 도전성 셸과 접촉함으로써, 기판 내의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나아가 상기 (1)의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1)의 도전성 부재를 가지며, 제1 틀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제2 틀체와 접촉함으로써, 제2 틀체에 접속된 기판 내의 접지선과는 다른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맞추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2 도전성 셸을 마련하지 않거나 또는 제2 도전성 셸의 접지선을 제거함으로써, 제1 도전성 셸이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나아가 상기 (1)의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1)의 도전성 부재를 가지며,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고, 또한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맞추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2 도전성 셸을 마련하지 않거나 또는 제2 도전성 셸의 접지선을 제거함으로써, 제1 도전성 셸은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도전성 부재는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한 커넥터에서 사용되고,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틀체가 돌출편, 접촉부 및 접지용 도전부를 통해 제1 도전성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모든 케이블에 대해 편조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PCB 접지와 프레임 접지가 둘 다 실시된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2)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베이스부로부터 임의의 접촉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는, 임의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제1 도전성 셸은 틀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으므로, PCB 접지와 프레임 접지의 사이에서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던 접촉부를 제거함으로써, 임의의 케이블에 대해 프레임 접지가 실시되지 않은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를 제거하는 공정은 접촉부를 절곡하여 도전성 부재의 베이스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므로, 커넥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3)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도전성 부재는 각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비도전성 부재에 장착되므로, 예를 들어 한 쌍의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각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고정됨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비도전성 부재가 접지용 도전부를 압압하여 접지용 도전부와 제1 도전성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므로,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PCB 접지를 확실히 형성하는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4)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한 쌍의 커넥터는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므로 프레임 접지가 실시되지 않고,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에 제1 도전성 셸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맞추는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제2 도전성 셸과 끼워맞추어 접촉함으로써, PCB 접지만이 실시되는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5)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한 쌍의 커넥터는 (1)의 도전성 부재를 가지고, 제1 틀체는 제2 틀체에 접속된 기판 내의 접지선과는 다른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도전성 셸이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케이블에 대해 프레임 접지만이 실시되는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6)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한 쌍의 커넥터는, (1)의 도전성 부재의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고, 제1 도전성 셸은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므로,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를 둘 다 실시하지 않도록 실현할 수도 있다.
(7)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도전성 부재는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돌출편을 가지는 형태로,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한 커넥터에서 사용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도전성 부재는 접촉부의 분리 유무만으로 커넥터의 다양한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8)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하므로, 복수의 케이블을 원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통신 장치의 패널 면적 내에 효율적으로 커넥터를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케이블 단위로 하나의 커넥터에 집약하여 대응하는 커넥터에 하나의 동작으로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관한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관한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관한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통신 케이블의 4개의 전선을 셸에 고정할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클립이 수지 블록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X-X'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셸의 조립 후, 편조를 셸의 고정부 상에 배치하여 셸을 플러그 동체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6b는 셸을 플러그 동체에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셸, 클립, 수지 블록 및 플러그 동체를 조립 후, 그 조립체를 틀체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1에서의 Y-Y'의 횡단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의 접지하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5의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4는 통신 케이블이 통신 장치에 장착되는 실장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케이블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플러그식 커넥터를 예시하고 있지만, 리셉터클식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케이블에 장착된 커넥터와 결합하는 리셉터클식 커넥터는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장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통신 케이블에 장착된 커넥터끼리의 결합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도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나아가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통신 장치와 케이블의 장착이란 한 쌍의 커넥터 결합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는 것을 말하고, 한쪽의 커넥터와 대응하는 커넥터의 결합이란 양쪽의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말하고, 케이블과 커넥터의 장착이란 케이블에 소정의 단말 처리를 실시하여 케이블의 단부에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말한다.
도 14는, 가혹한 환경 혹은 공업 분야에서 통신 케이블이 통신 장치에 장착되는 실장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통신 케이블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통해 금속성 랙(50) 등에 수용된 통신 장치의 외표면에 장착된 대응 커넥터(도 14의 상단에 나타내는 패널 마운트 방식)나, 통신 장치 내의 랙에 삽입되는 기판에 장착된 대응 커넥터(도 14의 하단에 나타내는 랙 패널 방식)에 접속된다. 커넥터 내의 케이블의 배치 구성은 가장 효율적인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패널의 면적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된다. 이 커넥터는 레버에 따른 하나의 동작에 의해 커넥터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커넥터에서의 다양한 접지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프레임 접지와 PCB 접지가 둘 다 실시되는 접지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관한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관한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조립 완성 정면도이다.
도 3은 플러그식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플러그식 커넥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식 커넥터(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병렬 가능하게 배열되는 통신 케이블(2)(도면에서는 4개를 예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셸(3)(이하, 셸(shell)이라고 부름), 도전성 부재인 금속제 접지용 클립(4)(이하, 클립이라고 부름), 클립(4)을 장착 가능한 비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지 블록(5), 셸(shell, 3)을 수용 가능한 플러그 동체(6), 이들을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덮는 도전성의 틀체(frame body, 7)를 가지고 구성된다.
각 통신 케이블(2)은 내부에 통신용 복수의 페어선(신호선)이 수용되고, 그 페어선의 외주가 접지용 도전부가 되는 편조(編組)(8)로 덮이고, 그 편조(8)의 외주가 절연성 외피(18)로 덮여 구성된다.
도 4는, 하나의 통신 케이블(2) 내의 4개의 페어선을 4개의 접촉자(21)에 단말 처리하여 셸(3)에 고정할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셸(3)은, PCB에의 접지용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셸(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2분할되어 있고, 하나의 통신 케이블(2)을 파지하기 위한 고정부(10)와, 4개의 페어선을 이격 보유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연 인서트(9)를 사이에 두고 덮도록 결합된 외주부(11)로 구성된다.
또한, 셸(3)은 조립 후 통신 케이블(2)의 4개의 접촉자(21)를 보유한 절연 인서트(9)의 주위를 덮은 상태에서 접촉자(21)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지만, 통신 케이블(2)의 편조(8)와는 고정부(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a는 클립(4)이 수지 블록(5)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클립(4)은 일례로서 2개 1세트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수지 블록(5)에 각각 장착되면, 대향하여 형성된 오목부(12)에서 끼워넣도록 통신 케이블(2)을 편조(8) 상에서 파지 또는 고정 가능하다(도 6b 참조).
도 5b는 클립(4)의 사시도이다. 클립(4)은 일체적인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1장의 판을 펀칭하여 형성된다.
클립(4)은 판형의 베이스부(13)와, 베이스부(13)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접하여 연장된 연장부(14)와, 연장부(14)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판형의 베이스부(13)의 일면과 대향하는 궁형부(15)와, 베이스부(13)의 판면을 잘라내어 궁형부(15)와 반대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돌출편(16)으로 구성된다.
연장부(14)와 궁형부(15)의 분리는, 예를 들어 미리 분리 개소를 얇게 형성하여 절곡 동작이나 절단 공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연장부(14) 및 궁형부(15)는, 소정 간격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수만큼 설치된다. 또한, 궁형부(15)는 수지 블록의 오목부에 따라 상기 오목부(12)를 이룬다(도 5a 참조).
도 5b의 상측은 궁형부(15)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하측은 가장 우측 궁형부(15)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도 5b의 상측 궁형부(15)가 분리되지 않은 클립(4)이 이용된다.
도 5c는 도 5a의 X-X'의 단면도이다.
클립(4)은, 수지 블록(5)의 일면에 형성된 후크부(17)에 걸어서 멈춤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궁형부(15)가 베이스부(13)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탄성 돌출편(16)이 베이스부(13)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있고, 궁형부(15)와 탄성 돌출편(16)은 대향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궁형부(15)는 그 방물면(放物面; paraboloid)의 바닥부와 블록 수지(5)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14)를 베이스단으로서 탄성력을 가지며, 외팔보 형상의 탄성 돌출편(16)은 베이스부(13)의 판면과의 연접부를 베이스단으로서 탄성력을 가진다.
따라서, 궁형부(15)와 탄성 돌출편(16)은 압압 방향에 대한 반발력을 가진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셸(3)의 조립 후 편조(8)를 셸(3)의 고정부(10) 상에 배치하여 셸(3)을 플러그 동체(6)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6b는, 셸(3)을 플러그 동체(6)에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b에서, 수지 블록(5)을 대향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으면, 오목부(12) 내의 궁형부(15)는 그 탄성력에 의해 편조(8)를 압압하여 통신 케이블(2)은 고정된다.
이에 의해, 클립(4), 편조(8) 및 셸(3)이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7은 셸(3), 클립(4), 수지 블록(5) 및 플러그 동체(6)를 조립 후, 그 조립체(19)를 틀체(7)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틀체(7)는 프레임 접지용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틀체(7)는 일례로서 2 분할된 7a 및 7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도 1 및 도 7 참조), 대향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어 조립체(19)를 덮도록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7a, 7b)가 결합되면, 한쪽에서는 대향하는 한 쌍의 클립(4)의 궁형부(15) 각각이 통신 케이블(2)의 편조(8)를 대향 방향으로부터 탄성력으로 압압하여 편조(8)와 셸(3)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면서 통신 케이블(2)을 고정하고, 다른 쪽에서는 클립(4)의 탄성 돌출편(16)이 대향하는 틀체(7a, 7b)의 내면으로부터의 압압력에 대한 반발력으로 틀체(7a, 7b)를 압압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한다.
이에 의해, 기판측 접지선과 접속되고, PCB 접지를 형성하게 되는 셸(3)이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프레임 접지를 형성하게 되는 틀체(7)와 클립(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도 8은, 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서의 Y-Y'의 횡단 단면도이다. 접지선용 편조(8)는 클립(4)을 통해 틀체(7)와 고정부(10)를 통해 셸(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PCB 접지와 프레임 접지를 둘 다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식 커넥터(20)를 설명한다.
리셉터클식 커넥터(20)는 플러그 동체(6')와, 플러그 동체(6')를 관통하는 전선 또는 접촉자(30)와, 플러그식 커넥터(1)와 결합한 경우에 플러그식 커넥터의 셸(3)과 끼워 맞추어 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셸(3')과, 플러그식 커넥터(1)의 틀체(7)와 끼워 맞추어 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틀체(7')로 구성된다.
전선 또는 접촉자(30)는 플러그 동체(6')에 장착된 셸(3')에 덮여 PCB 내의 소정의 전기 배선에 접속된다. 셸(3')은 그 접지선(3") 등을 통해 PCB의 접지선에 접속되어 PCB 접지를 형성한다. 틀체(7')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장치를 수용하는 금속 랙(50) 등의 프레임에 접지되어 프레임 접지를 형성한다.
도 9는 실시예 1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플러그식 커넥터(1)와 리셉터클식 커넥터(20)가 결합한 경우의 도 1의 Y-Y'와 수직 방향의 단면에서 모든 통신 케이블에 대해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되어 있는 접지 형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접지선이 되는 편조가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플러그식 커넥터(1)와 리셉터클식 커넥터(20)가 결합하면, 플러그식 커넥터(1)의 셸(3)은 리셉터클식 커넥터(20)의 PCB 접지된 셸(3')과 끼워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PCB 접지를 형성하고, 플러그식 커넥터(1)의 틀체(7)는 리셉터클식 커넥터(20)의 프레임 접지된 틀체(7')와 끼워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프레임 접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플러그식 커넥터(1)에 있어서, 틀체(7)가 탄성 돌출편(16), 궁형부(15) 및 편조(8)를 통해 셸(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PCB 접지와 프레임 접지가 모두 실시된 접지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단, 도 4에서는 통신 케이블(2) 내의 페어선은 4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9에서는 하나의 집합체로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 도 9에서는 셸(3, 3')이 접촉자(21), 또는 전선 또는 접촉자(30)와 접촉하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통신 케이블 모두가 PCB 접지될 뿐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도 5b의 플러그식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하측 클립(4)의 궁형부(15)가 모두 분리된다. 이 궁형부(15)가 모두 분리된 클립(4)이 대응하는 수지 블록(5)에 각각 장착된 경우, 도 5a에 도시된 대향 오목부(12) 각각에서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블록(5)의 오목부 표면이 노출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의 궁형부(15)가 분리된 모든 오목부(12)의 X-X'의 단면도는 도 5c에서 궁형부(15)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6b에서, 한 쌍의 수지 블록(5)으로 각 통신 케이블(2)을 끼워넣으면, 모든 오목부(12)에서는 편조(8)가 수지 블록(5)의 오목부 표면과 접촉하여 압압되므로, 편조(8)와 셸(3)의 확실한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PCB 접지만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셸(3) 및 편조(8)는 프레임 접지되는 틀체(7)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9와 동일한 단면도에서 플러그식 커넥터에 있어서 모든 통신 케이블(2)은 PCB 접지만을 형성하고 있는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단, 도 4에서는 통신 케이블(2) 내의 전선은 4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0에서는 하나의 집합체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서는 플러그식 커넥터(1)의 클립(4)의 가장 우측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었지만, 도 10에서는 모든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다.
나아가 셸(3, 3')이 접촉자(21), 또는 전선 또는 접촉자(30)와 접촉하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지 않는다.
도 10에서, 실시예 2의 기판(100) 측의 리셉터클식 커넥터(20)는 실시예 1의 기판 측의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플러그식 커넥터(1)와 리셉터클식 커넥터(20)가 결합하면, 모든 통신 케이블(2)의 접지선이 되는 편조(8)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셸(3, 3')을 통해 PCB의 접지선에 접속되어 모든 통신 케이블(2)은 PCB 접지가 형성되고 프레임 접지가 형성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플러그식 커넥터의 통신 케이블(2) 모두가 프레임 접지될 뿐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에서는, 도 5b의 상측 클립(4)과 같이 궁형부(15)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 궁형부(15)가 분리되지 않은 클립(4)이 대응하는 수지 블록(5)에 각각 장착된 경우, 도 5a에 도시된 대향 오목부(12) 각각에서 궁형부(15)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6b에서, 한 쌍의 수지 블록(5)으로 각 통신 케이블(2)을 끼워넣으면, 모든 오목부(12)에서는 편조(8)가 클립(4)의 궁형부(15)의 탄성력으로 접촉하여 압압되므로, 편조(8)는 궁형부(15)를 통해 틀체(7)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틀체(7')를 통해 프레임 접지된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9와 동일한 단면에서 플러그식 커넥터에 있어서 모든 통신 케이블(2)이 프레임 접지만을 형성하고 있는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단, 도 4에서는 통신 케이블(2) 내의 전선은 4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1에서는 하나의 집합체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셸(3)이 접촉자(21)와 접촉하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지 않는다.
도 11에서, 실시예 3의 기판(100) 측의 리셉터클식 커넥터(20)는 모든 통신 케이블(2)에 대해 플러그식 커넥터(1)의 셸(3)에 대응하는 셸(3')이 장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플러그식 커넥터(1)와 리셉터클식 커넥터(20)가 결합하면, 모든 통신 케이블(2)의 접지선이 되는 편조(8)는 일점쇄선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틀체(7, 7')를 통해 프레임 접지되어 모든 통신 케이블(2)은 프레임 접지가 형성되고 PCB 접지가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셸(3')을 장착하고 있어도 셸(3')의 3"을 절단하여 제거하거나 땜납 등으로 PCB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거나 PCB측 접지선과 접촉하지 않도록 PCB의 접지선을 배치시킴으로써도 PCB 접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통신 케이블(2)이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 모두 형성되지 않은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4에서는, 도 5b의 플러그식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하측 클립(4)의 궁형부(15)가 모두 분리된다. 이 궁형부(15)가 모두 분리된 클립(4)이 대응하는 수지 블록(5)에 각각 장착된 경우, 도 5a에 도시된 대향 오목부(12) 각각에서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블록(5)의 오목부 표면이 노출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의 궁형부(15)가 분리된 모든 오목부(12)의 X-X'의 단면도는 도 5c에서 궁형부(15)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6b에서, 한 쌍의 수지 블록(5)으로 각 통신 케이블(2)을 끼워넣으면, 모든 오목부(12)에서는 궁형부(15)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편조(8)와 틀체(7)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프레임 접지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2는 실시예 4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9와 동일한 단면에서 플러그식 커넥터에 있어서 모든 통신 케이블(2)이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 모두 형성하지 않은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의 기판(100) 측의 리셉터클식 커넥터(20)는, 모든 통신 케이블(2)에 대해 플러그식 커넥터(1)의 셸(3)에 대응하는 셸(3')이 장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PCB 접지는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셸(3')을 장착하고 있어도 셸(3')의 3"을 절단하여 제거하거나 땜납 등으로 PCB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거나 PCB측 접지선과 접촉하지 않도록 PCB의 접지선을 배치시킴으로써도 PCB 접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에서는 PCB 접지 및 프레임 접지는 형성되지 않는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통신 케이블(2)의 일부가 PCB 접지되고, 그 밖의 통신 케이블(2)이 프레임 접지된 통신 케이블(2)마다 접지선이 별개로 형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5b의 플러그식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하측 클립(4)을 참조하면, 가장 우측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다. 이 하측 클립(4)의 한 쌍이 대응하는 수지 블록(5)에 각각 장착된 경우, 도 5a에 도시된 가장 우측의 대향하는 오목부(12) 각각에서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블록(5)의 오목부 표면이 노출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의 궁형부(15)가 분리된 오목부(12)의 X-X'의 단면도는 도 5c에서 궁형부(15)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6b에서, 한 쌍의 수지 블록(5)으로 각 통신 케이블(2)을 끼워넣으면,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는 오목부(12)에서는 편조(8)가 수지 블록(5)의 오목부 표면과 접촉하여 압압되므로, 편조(8)와 셸(3)의 확실한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PCB 접지만을 형성하고, 셸(3) 및 편조(8)는 틀체(7)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13은 실시예 5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9와 동일한 단면도에서 플러그식 커넥터에 있어서 하나의 통신 케이블(2)은 PCB 접지를 형성하고, 다른 통신 케이블(2)은 프레임 접지를 형성하고 있는 접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단, 도 4에서는 통신 케이블(2) 내의 전선은 4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3에서는 하나의 집합체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부터 도 5c에서는 플러그식 커넥터(1)의 클립(4)의 가장 우측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지만, 도 13에서는 이들 한 쌍의 클립을 이용하여 가장 좌측 궁형부(15)가 분리되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도 13에서는 셸(3, 3')이 접촉자(21), 또는 전선 또는 접촉자(30)와 접촉하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지 않는다.
도 13에서, 실시예 5의 기판(100) 측의 리셉터클식 커넥터(20)에서는, 플러그식 커넥터(1)의 궁형부(15)가 분리되지 않은 프레임 접지된 3개의 통신 케이블(2)에 장착된 셸(3)에 대응하는 셸(3')이 장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플러그식 커넥터(1)와 리셉터클식 커넥터(20)가 결합하면, 가장 좌측의 통신 케이블(2)의 접지선이 되는 편조(8)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셸(3, 3')을 통해 기판의 접지선에 접속되어 PCB 접지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 밖의 통신 케이블(2)의 편조(8)는 일점쇄선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틀체(7, 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프레임 접지를 형성하고 있지만, 리셉터클식 커넥터(20) 측에서는 대응하는 셸(3')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PCB 접지는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셸(3')을 장착하고 있어도 셸(3')의 3"을 절단하여 제거하거나 땜납 등으로 PCB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거나 PCB측 접지선과 접촉하지 않도록 PCB의 접지선을 배치시킴으로써도 PCB 접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부가, 변경 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 1~4의 변형예로서 플러그식 커넥터(1)의 클립(4)의 궁형부(15)의 분리 유무 및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셸(3')의 장착 유무를 대응하는 통신 케이블(2)마다 설계하여 임의의 통신 케이블(2)에 대해 PCB 접지만, 프레임 접지만 혹은 그 접지를 둘 다 전기적으로 접속한 접지 형태 또는 아무것도 접지를 하지 않은 접지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는 수지 블록(5)이 이용되고 있지만, 판형의 베이스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케이블을 고정하는 기능을 높여 수지 블록(5)을 생략해도 된다.
나아가 통신 케이블(2)은 폭방향으로 병렬된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병렬 형태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하는 배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실시예 2, 4, 5에서는, 궁형부(15)가 분리된 수지 블록의 오목부 표면이 편조(8)를 압압하였지만, 편조(8)는 수지 블록(5)과 비접촉이어도 되고, 클립(4)과 편조(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프레임 접지를 구성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나아가 실시예 3~5에서는, 리셉터클측 커넥터(20)의 제2 셸(3')을 설치하지 않고 PCB 접지가 실시되지 않은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제2 셸(3')의 접지선(3")을 제거하여 PCB의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거나 납땜을 행하지 않고 접지선(3")과 PCB의 접지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음으로써도 PCB 접지가 실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통신 장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플러그식 커넥터
2 통신 케이블
3 플러그식 커넥터의 셸
3'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셸
3"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셸의 접지선
4 플러그식 커넥터의 클립
5 플러그식 커넥터의 수지 블록
6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플러그 동체
7a 플러그식 커넥터 틀체의 일부
7b 플러그식 커넥터 틀체의 일부
7'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틀체
8 통신 케이블의 편조
9 절연 인서트
10 셸의 고정부
11 셸의 외주부
12 오목부
13 클립의 판형의 베이스부
14 클립의 연장부
15 클립의 궁형부
16 클립의 탄성 돌출편
17 수지 블록의 후크부
18 통신 케이블의 외피
19 조립체
20 리셉터클식 커넥터
21 플러그식 커넥터의 접촉자
30 리셉터클식 커넥터의 전선 또는 접촉자
50 금속성 랙
100 기판

Claims (8)

  1.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비접촉으로 도전선을 덮음과 동시에 접지용 도전부에 접촉하는 제1 도전성 셸;
    -도전성 부재로서,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
    -도전성 부재 및 제1 도전성 셸을 덮도록 구성된 도전성의 제1 틀체;를 구비하고,
    제1 틀체가 돌출편, 접촉부 및 접지용 도전부를 통해 제1 도전성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로부터 임의의 접촉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 임의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제1 도전성 셸은 제1 틀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 부재는 각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비도전성 부재에 장착되고, 접촉부가 분리되면 비도전성 부재가 접지용 도전부를 압압하여 접지용 도전부와 제1 도전성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고,
    제1 도전성 셸은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 맞춰지는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제2 도전성 셸과 접촉함으로써, 기판 내의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제1 틀체는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제2 틀체와 접촉함으로써, 제2 틀체에 접속된 기판 내의 접지선과는 다른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 맞춰지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2 도전성 셸을 마련하지 않거나 또는 제2 도전성 셸의 접지선을 제거함으로써, 제1 도전성 셸은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한 쌍의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한 쌍의 커넥터로서,
    베이스부로부터 모든 접촉부가 분리되고,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제1 도전성 셸과 끼워 맞춰지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2 도전성 셸을 마련하지 않거나 또는 제2 도전성 셸의 접지선을 제거함으로써, 제1 도전성 셸은 기판 내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한 쌍의 커넥터.
  7.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비접촉으로 도전선을 덮음과 동시에 접지용 도전부에 접촉하는 도전성 셸;
    -도전성 부재로서,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
    -도전성 부재 및 도전성 셸을 덮도록 구성된 도전성의 틀체;를 구비하고,
    틀체가 돌출편, 접촉부 및 접지용 도전부를 통해 도전성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8.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덮는 접지용 도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병렬로 고정 가능한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부재로서,
    판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접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의 접지용 도전부를 덮어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
KR1020157030015A 2013-03-27 2014-03-25 전기 커넥터 KR102168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7540A JP6027928B2 (ja) 2013-03-27 2013-03-27 電気コネクタ
JPJP-P-2013-067540 2013-03-27
PCT/JP2014/058269 WO2014157194A1 (ja) 2013-03-27 2014-03-25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372A KR20150135372A (ko) 2015-12-02
KR102168371B1 true KR102168371B1 (ko) 2020-10-21

Family

ID=5162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015A KR102168371B1 (ko) 2013-03-27 2014-03-2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64724B2 (ko)
EP (1) EP2980930B1 (ko)
JP (1) JP6027928B2 (ko)
KR (1) KR102168371B1 (ko)
CN (1) CN105191014B (ko)
RU (1) RU2663216C2 (ko)
WO (1) WO2014157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475B2 (ja) * 2014-07-30 2017-08-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ユニット
CN105490070A (zh) * 2016-01-18 2016-04-13 创驱(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压装式线缆用电磁屏蔽结构
US10505320B2 (en) * 2016-01-26 2019-12-1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age assembly
JP7283390B2 (ja) * 2017-12-06 2023-05-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接続機器
US11245231B2 (en) * 2019-07-25 2022-02-0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Ground spring for cable assembly
CN111564723B (zh) * 2020-05-12 2021-12-14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341A (ja) 2001-06-20 2003-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飲み口用部材付き袋
WO2011058501A1 (fr) 2009-11-16 2011-05-19 Radiall Connecteur multi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653A (en) * 1980-12-04 1983-05-10 Avco Corporation Connector
SU1010681A1 (ru) * 1981-11-05 1983-04-07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строительной техники связ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US4990105A (en) 1990-05-31 1991-02-05 Amp Incorporated Tapered lead-in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US4990104A (en) 1990-05-31 1991-02-05 Amp Incorporated Snap-in retention system for coaxial contact
US5037328A (en) 1990-05-31 1991-08-06 Amp Incorporated Foldable dielectric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JPH04229577A (ja) * 1990-05-31 1992-08-19 Amp Inc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同軸コンタクト
US5125854A (en) * 1991-07-16 1992-06-30 Molex Incorporate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5965847A (en) 1996-11-12 1999-10-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hield connector
JPH10144405A (ja) * 1996-11-14 1998-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US7217372B2 (en) * 2000-05-03 2007-05-15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composition
TW476456U (en) * 2000-10-17 2002-02-11 Hon Hai Prec Ind Co Ltd Assembly of cable connector
JP3977094B2 (ja) * 2002-02-08 2007-09-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コネクタ
US6916205B1 (en) * 2002-02-08 2005-07-1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Shield electric cable connector
JP4051069B2 (ja) 2005-04-28 2008-02-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331820B2 (en) * 2005-09-19 2008-02-19 Corning Gilbert Inc. Chemically attached coaxial connector
US7445471B1 (en) 2007-07-13 2008-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arrier
RU2359378C1 (ru) * 2007-11-20 2009-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кабе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ВНИИ КП) Соединитель
CN102280754B (zh) * 2010-06-10 2013-06-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771094B2 (ja) * 2011-08-25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RU123236U1 (ru) * 2012-08-01 2012-12-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Аквамарин"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ка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RU125779U1 (ru) * 2012-10-01 2013-03-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Рязанский приборный завод" Радиочастотный коаксиа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341A (ja) 2001-06-20 2003-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飲み口用部材付き袋
WO2011058501A1 (fr) 2009-11-16 2011-05-19 Radiall Connecteur multi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0930B1 (en) 2018-09-26
US9564724B2 (en) 2017-02-07
CN105191014B (zh) 2017-10-13
EP2980930A1 (en) 2016-02-03
US20160049758A1 (en) 2016-02-18
WO2014157194A1 (ja) 2014-10-02
CN105191014A (zh) 2015-12-23
RU2663216C2 (ru) 2018-08-02
RU2015146017A (ru) 2017-05-05
EP2980930A4 (en) 2016-11-23
JP6027928B2 (ja) 2016-11-16
KR20150135372A (ko) 2015-12-02
JP2014192045A (ja)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371B1 (ko) 전기 커넥터
US9705258B2 (en) Feed-through adapt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P3324492B1 (en) Connector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US7717732B2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s
CN102842784B (zh) 电力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及具有它们的***
US20170229810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having same
EP2946444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backplane connector and daughtercard connector
US7674134B2 (en) Shielded connector
KR101701587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바디
CN112913090B (zh) 同轴连接器装置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US11404828B2 (en) Connector assembly
KR101500853B1 (ko) 평평한 판상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 적합한 동축 커넥터
US9768559B2 (en) Shield housing and socket connector
JP5787081B2 (ja) コネクタ装置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O2014148134A1 (ja) Usb規格準拠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EP10209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grounding clip
JP6615447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30018111A (ko) 전기 커넥터 장치 및 이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EP3182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08363B1 (ko) 조인트 커넥터
CN110137740A (zh) 转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