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509B1 -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 Google Patents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509B1
KR102167509B1 KR1020190124357A KR20190124357A KR102167509B1 KR 102167509 B1 KR102167509 B1 KR 102167509B1 KR 1020190124357 A KR1020190124357 A KR 1020190124357A KR 20190124357 A KR20190124357 A KR 20190124357A KR 102167509 B1 KR102167509 B1 KR 10216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eyewear frame
detachabl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중학
이춘희
정창화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2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5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9Arrangements to adapt hands free headphones for use on both e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udio system detachable to an eyewear fram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wireless audio system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which is not directly inserted or caught in the user′s hearing organs (eg, ear wheels, etc.) and is detachable from the eyewear frame, thereby further impro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udio system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includes: a body including a cas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t least one speaker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mitting sound through a sound emission hol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case, a circuit part mount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mplification module, and a battery, and performing a sound emission function; and a connection part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ase of the body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wherein the leg of the eyewear frame may be penetrated into the through hole.

Description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Wireless sound device detachable from eyewear frame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본 발명은 무선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청각 기관(예를 들면, 귀 바퀴 등)에 직접적으로 삽입되거나 걸리지 않고,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며, 보다 음향 특성을 향상시킨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oustic device, in particular, without being directly inserted or caught in the user's hearing organ (for example, ear wheels, etc.), it is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and to the eyewear frame with improved acoustic characteristics. It relates to a detachable wireless sound device.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이라 함은 이어폰 리시버(Earphone Receiver)의 약칭으로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이어폰은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다.In general, earphone (Earphone) is an abbreviation of the earphone receiver (Earphone Receiver), mainly used earphones are structured to operate the diaphragm by flowing a voice current through the coil.

이러한 이어폰은 직접 귓구멍에 꽂는 이어폰 이외에, 머리에 착용하는 이어폰도 있는데, 이것은 헤드폰이라 하여 구별한다. 그리고, 청각 장애인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장치는 귀 주변에 착용하여 피부에 접촉되는 골전도 스피커의 매스토이드(mastoid)부위에서 출력된 진동 음향이 피부 표면을 거쳐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전달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나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se earphones include earphones worn on the head, in addition to earphones directly inserted into the ear hole, which are distinguished as headphones. In addition, the bone conduction earphone device, which is mainly used by the hearing impaired, is worn around the ear and the vibration sound output from the mastoid part of the bone conduction speaker in contact with the skin passes through the skin surface and directly through the skull. By transmitting to the eardrum or ossicles, even if the hearing-impaired person has a normal cochlear or auditory nerve, the sound can be reliably heard through bone conduction through the skin.

이러한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장치는 최근 들어 청각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청각이 정상인 일반인들도 많이 애용하고 있는데, 그 장점은 활동적인 일을 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소리와 음향을 동시에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방지 효과 면에서 선호하기 때문이다.These bone conduction earphone devices have recently been used not only by hearing impaired people but also by ordinary people with normal hearing. The advantage of this is that it is possible to listen to surrounding sounds and sounds at the same time during active work. This is because it is preferred in terms of prevention effect.

이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장치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하는 형태에 따라 귓구멍에 직접 꽂는 형과 머리에 걸치는 헤드폰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그 형태가 변형되어 귀걸이형 이어폰장치와, 머리 뒤쪽으로 걸쳐 착용하도록 이루어진 백 헤드폰과 같은 개인 취향이나 사용 용도에 맞게 변형된 다양한 디자인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These conventional earphone devices are divided into a type that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ear hole and a headphone worn on the head according to the type to be worn as described above. Recently, the shape has been modified to be worn over the ear-ear type earphone device and the head. Products in various design forms are being released, such as back headphones, which have been modified to suit personal preferences or usage.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이어폰장치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특히,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 안경과 이어폰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는바, 종래의 이어폰장치는 안경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어폰이나 헤드폰 및 백 헤드폰 등을 함께 착용해야 함으로써 여러 가지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안경은 착용시 안경다리 부위를 귀에 걸어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안경의 다리 부분은 머리 쪽으로 탄력이 가해지면서 안경이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1차적인 착용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various types of earphone devi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user who wears glasses,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using glasses and earphone devices at the same time. Since most of them are not made in a form that can be done, various troublesome problems have arisen by having to wear earphones, headphones, and back headphones together while wearing glasses. That is, when the glasses are worn, the temples are worn by placing the temples on the ears. At this time, the legs of the glasses are elastically applied toward the head and the glasses are not peeled off, so that the primary wear pressure is applied.

또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어폰장치는 귀에 꽂아 청취하거나, 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사용하게 되어 2차적인 착용 압박이 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압박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머리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In addition, while wearing glasses, the earphone device is plugged into the ear for listening, or used in a form that covers the entire ear, so that secondary wear pressure is applied directly to the ear, and the pressure is thus applied to the entire head over time. Will have an effect.

따라서, 안경과 이어폰을 동시에 착용하게 되면 안경 다리에 의한 착용 압박과 이어폰의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귀 주변에 통증을 유발하여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음향 청취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when the glasses and earphones are worn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for a long time while wearing the glasses because the wear pressure by the glasses legs and the pain around the ears are caused by wearing the earphone for a long time.

결국, 안경 착용시 상기와 같은 이어폰장치들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오랜 시간 음향을 청취하여도 그로 인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발생 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안경 부착용 이어폰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type of earphone device for attaching glasses that can easily wear the above-described earphone devices when wearing glasses, but does not cause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listening to sound for a long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901호 "안경류 도킹 스테이션 및 전자 모듈"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0901 "Glasses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modu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기관(예를 들면, 귀 바퀴 등)에 직접적으로 삽입되거나 걸리지 않고,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며, 음향 특성을 향상시킨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acoustic device that is not directly inserted or caught in the user's hearing organ (for example, ear wheels, etc.), is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and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with improved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purpose.

본 발명인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며 케이스의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음 방출홀을 통하여 음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무선 통신 모듈 및 증폭 모듈이 장착된 회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음 방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 내로 안경류의 프레임의 다리가 관통될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ors, a wireless sound device detachable from the eyewear frame includes at least one speak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emits sound through a cas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 sound emission hole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case, and Consists of a main body that performs a sound emission function including a circuit part with an amplification module and a battery, and a connection part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ase of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legs of the eyewear frame can penetrate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do.

또한, 제 1 방향에 평행한 케이스의 면의 내측에 스피커가 장착되며, 제 1 방향에 평행한 케이스의 면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과, 제 1 관통홀 외측에 메쉬 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aker is mounted inside the surface of the cas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rface of the cas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mesh layer formed outside the first through hole .

또한,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의 면을 마주 향하는 케이스의 면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a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surface of the cas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s formed.

또한,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기공성 물질로 채워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case is filled with a porous materi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기관(예를 들면, 귀 바퀴 등)에 직접적으로 삽입되거나 걸리지 않고,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며,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rectly inserted or caught in the user's hearing organs (eg, ear wheels, etc.), can be detached from the eyewear frame,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도 1은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의 결합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음향 장치의 음향 특성 그래프들이다.
1 is a combined embodiment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to an eyewear fram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of FIG. 1.
3 are graphs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of FIG. 1.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contain" ar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features (eg, elements such as numbers, functions, actions, or par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can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or importance, and I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component, but does not limit the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named to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ome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or "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and the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different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의 결합 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combined embodiment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to an eyewear fram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of FIG. 1.

무선 음향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30)와,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면, Bluetooth, Wi-Fi, NFC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 및 증폭 모듈이 장착된 회로부(32)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음 방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21a) 내로 안경류의 프레임(40)의 다리(4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20)로 구성된다.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speaker 3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Wi-Fi, and NFC communication), a circuit unit 32 on which an amplifying module is mounted, and a battery. The body portion 10 performing a sound emission function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etc.), and a through hole 21a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 and formed therein. ) Consists of a connection part 20 to allow the leg 42 of the frame 40 of eyewear to pass through.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양 측면에 측벽부(11a, 11b)를 구비하는 제 1 케이스(11)와, 제 1 케이스(11)에 결합되어 제 1 케이스(11)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제 2 케이스(12)로 구성된 케이스와, 제 1 및 제 2 케이스(11, 12) 사이의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제어 회로부로 구성된다. The body portion 1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11 and the first case 11 having sidewall portions 11a and 11b on both sides thereof. It is composed of a case composed of a second case 12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of the unit, and a control circuit unit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측벽부(11a)는 스피커(30)로부터의 음이 방출될 수 있는 음 방출홀(13)에 형성되되, 음 방출홀(13)은 제 2 케이스(12)의 저면보다는 제 1 케이스(11)의 저면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The side wall portion 11a is formed in the sound emission hole 13 through which sound from the speaker 30 can be emitted, and the sound emission hole 13 is the first case 11 rather than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12 It is form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또한, 제 1 케이스(11)의 저면(음 방출 방향과 평행한 면)에는 제 1 케이스(11)를 일정 크기로 관통하며 외측에 메쉬층이 형성된 제 1 관통홀(14)가 형성되며, 제 1 관통홀(14)는 스피커(30)의 저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제 1 관통홀(14)을 덮도록 형성된 메쉬층에 의해 공기 유동량이 조절되어 스피커(30)의 음압 특성(SPL)이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1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surface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case 11 to penetrate the first case 11 to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mesh layer formed on the outside. 1 The through hole 14 is form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speaker 30, and the amount of air flow is adjusted by the mesh layer formed to cover the first through hole 14, so that the sound pressure characteristic (SPL) of the speaker 30 is Can be adjusted.

또한, 제 2 케이스(12)에는 기압 변화 및 열 변화에 의해 스피커(30)가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케이스(12)를 일정 크기로 관통하는 제 2 관통홀(15)이 형성된다. 즉, 제 1 관통홀(14)이 형성된 제 1 케이스의 면을 마주 향하는 제 2 케이스(12)의 면에 제 2 관통홀(15)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case 12, in order to prevent the speaker 30 from being damaged due to changes in atmospheric pressure and heat, a second through hole 15 penetrating the second case 12 with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through hole 1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facing the surface of the first case o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14 is formed.

또한, 케이스의 일측에는 연결부(20)와의 탈착을 위한 결합부(16)가 구비되며, 결합부(16)는 예를 들면, 자석이나 벨크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부(16)는 제 1 케이스(11)의 외측 저면이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upling portion 16 for de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the coupling portion 16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magnet or Velcro. The coupling portion 16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bottom or side of the first case 11.

제어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30)로 구성된 제 1 레이어와, 회로부(32)로 구성된 제 2 레이어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레이어는 제 1 케이스(11)의 내측 저면에 장착되며, 제 2 레이어는 제 1 레이어를 마주하여 제 2 케이스(12)의 내측 저면에 장착된다. 배터리는 측벽부(11b)에 인접하여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된다.The control circuit unit includes a first layer composed of at least one speaker 30, a second layer composed of the circuit unit 32, and a battery. The first layer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layer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facing the first layer.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djacent to the side wall portion 11b.

스피커(30)는 사이드 방사형 스피커로서, 음 방출 방향이 음 방출홀(13)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스피커(30)는 제 1 관통홀(14)의 상측 방향이나 인접하여 장착된다.The speaker 30 is a side-radiating speaker and is mounted so that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faces the sound emission hole 13. In addition, the speaker 30 is mounted in the upper direction or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14.

제 2 레이어에 장착된 회로부(32)는 제 1 케이스(11)의 저면의 반대편의 제 2 케이스(12)의 저면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얼굴 피부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한다. The circuit unit 32 mounted on the second lay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opposit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ial skin as much as possible.

또한,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은 제 1 및 제 2 레이어, 배터리를 내장하며, 그 외의 나머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기공성 물질로 채워진다. 여기서 기공성 물질은 zeolite 등과 같은 질소를 흡탈착하는 성질을 지님으로써, 백 볼륨 내의 공기를 흡탈착하여 백 볼륨이 증가되는 효과를 성취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case contains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nd the batter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aining space is filled with a porous material. Here, the porous material has a property of adsorbing and desorbing nitrogen such as zeolite, and thus achiev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ag volume by adsorbing and desorbing air in the bag volume.

연결부(20)는 프레임(40)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면, 다리(42))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21a)을 형성하는 홀더부(21)와, 홀더부(21)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결합부(16)에 탈착되는 체결부(22)를 구비한다. The connection part 20 has a holder part 21 forming a through hole 21a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40 (eg, a leg 42) can penetrate, and one end of the holder part 21 It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22 that is detachable to the coupling portion (16).

홀더부(21)는 프레임(40)의 다리(42)의 관통 및 고정 유지를 위해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21a)의 단면 크기는 다리(42)의 단면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part 2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penetrate and hold the leg 42 of the frame 40, and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through hole 21a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leg 42. I can.

체결부(22)의 타단은 결합부(16)의 재질이나 형태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자석이나 벨크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art 22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magnet or Velcro,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coupling part 16.

본체부(10)와 연결부(20)의 결합 시에, 연결부(20)가 제 1 케이스(11)의 저면 방향에 위치되며, 연결부(20)가 프레임(40)에 연결될 시에, 음 방출홀(13)이 다리(42)의 단부인 사용자의 귀 방향을 향하며, 제 1 관통홀(14)이 프레임(40)의 내측을 향하고, 제 2 관통홀(15)이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When the body part 10 and the connection part 20 are combined, the connection part 20 is locat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first case 11,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20 is connected to the frame 40, a sound emission hole The end 13 of the leg 42 faces the user's ear, the first through hole 14 faces the inside of the frame 4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 faces the outside of the frame.

또한, 회로부(32)에 구비되는 증폭 모듈은 음향 신호의 엔벌로프 추적을 통해 최대 출력을 증폭 시키는 모듈이며, 최대 출력의 증폭은 스피커(30) 설계 마진 내에서의 증폭을 의미하며, 변위가 작은 고주파 대역에 전압을 추가 인가하여 스피커(30)의 정격보다 음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In addition, the amplif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32 is a module that amplifies the maximum output by tracking the envelope of the acoustic signal, and the amplification of the maximum output means amplification within the design margin of the speaker 30, and the displacement is small.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und pressure than the rating of the speaker 30 by applying additional voltage to the high frequency band.

또한, 본체부(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각각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하나의 본체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 may operate as a pair, and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one main body.

도 3은 도 1의 무선 음향 장치의 음향 특성 그래프들이다.3 are graphs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of FIG. 1.

도 3의 (a)에서, 그래프(A)는 제 1 관통홀(14)이 없는 경우의 음압 그래프이고, 그래프(B)는 제 1 관통홀(14)이 형성된 경우의 음압 그래프이다.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B)는 그래프(A)에 비하여, 중저역대 음압이 평탄화되며, 고역대 음압이 상승됨을 나타낸다.In (a) of FIG. 3, graph (A) is a graph of sound pressure when the first through hole 14 is not present, and graph (B) is a graph of sound pressure when the first through hole 14 is formed. As shown in (a) of FIG. 3, the graph (B) shows that, compared to the graph (A), the mid- and low-band sound pressure is flattened and the high-band sound pressure is increased.

도 3의 (b)에서, 그래프(C)는 수용 공간 내에 기공성 물질이 없는 경우의 음압 그래프이고, 그래프(D)는 수용 공간 내에 기공성 물질이 충진된 경우의 음압 그래프이다. 도 3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D)는 그래프(C)에 비하여, 중저역대 음압이 상승됨을 나타낸다.In (b) of FIG. 3, graph (C) is a graph of sound pressure when there is no porous material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graph (D) is a graph of sound pressure when a porous material is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shown in (b) of FIG. 3, the graph (D) shows that the sound pressure in the mid- and low-rang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graph (C).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본체부 20: 연결부10: main body 20: connection

Claims (4)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며 케이스의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음 방출홀을 통하여 음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무선 통신 모듈 및 증폭 모듈이 장착된 회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음 방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 내로 안경류의 프레임의 다리가 관통될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제 1 방향에 평행한 케이스의 면의 내측에 스피커가 장착되며, 제 1 방향에 평행한 케이스의 면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Sound including a cas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t least one speaker that emits sound through a sound emission hol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case, and a circuit part and a battery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mplification module. A main body that performs a discharge function;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ase of the main body and consists of a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the legs of the frame of eyewear can penetrate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to the eyewea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speaker is mounted inside a surface of the cas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rface of the cas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관통홀 외측에 메쉬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from the eyewea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mesh layer is formed outside the first through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의 면을 마주 향하는 케이스의 면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from the eyeglasses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surface of the cas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s form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기공성 물질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ireless acoustic device detachable from the eyewea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case is filled with a porous material.
KR1020190124357A 2019-10-08 2019-10-08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KR102167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57A KR102167509B1 (en) 2019-10-08 2019-10-08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57A KR102167509B1 (en) 2019-10-08 2019-10-08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509B1 true KR102167509B1 (en) 2020-10-19

Family

ID=7304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57A KR102167509B1 (en) 2019-10-08 2019-10-08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5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3528A1 (en) * 2021-03-03 2022-09-09 深圳市深科创投科技有限公司 Portable audio module and audio eyeglas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73A (en) * 2003-10-07 2005-04-14 엠엠기어 주식회사 Assembly headphone for various purposes
KR20140120901A (en) 2012-01-06 2014-10-14 에이치피오 애셋츠 엘엘씨 Eyewear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module
KR20170078218A (en)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이엠텍 Micro-speaker having an air adsorbent
KR102006414B1 (en) * 2018-11-27 2019-08-01 박태수 Glasses coupled with a detachable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73A (en) * 2003-10-07 2005-04-14 엠엠기어 주식회사 Assembly headphone for various purposes
KR20140120901A (en) 2012-01-06 2014-10-14 에이치피오 애셋츠 엘엘씨 Eyewear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module
KR20170078218A (en)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이엠텍 Micro-speaker having an air adsorbent
KR102006414B1 (en) * 2018-11-27 2019-08-01 박태수 Glasses coupled with a detachable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3528A1 (en) * 2021-03-03 2022-09-09 深圳市深科创投科技有限公司 Portable audio module and audio eye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094B2 (e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WO2016103983A1 (en) Bone conduction headphone
US7925038B2 (en) Earset assembly
US2017011172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US20170127198A1 (en) Universal earpiece
CN110856067B (en) Intelligent head-mounted equipment
US20190104352A1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WO2021083326A1 (en) Intelligent head-mounted device
WO201519868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70165899A1 (en) Audio headphone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JP2022504939A (en) Modular in-ear device
WO2021027229A1 (en) Smart head-mounted device
CN111670581B (en) Listening device
KR102167509B1 (en) Wireless sound converto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on eyewear frame
KR101461188B1 (en) Canal Earphones with airflow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US9906850B2 (en) Headphone unit
KR102345210B1 (en) sound output device
US20160249129A1 (en) Headphone Earphone Hybrid
KR20190131704A (en) Glasses containing bone conduction bluetooth earphones
KR20120000147A (en) The headset with soundproof microphone
KR101648301B1 (en) Smart earplug
KR101945769B1 (en) Bone conduction bluetooth amplifier
CN213073030U (en) Ear-clamping type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