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620B1 - 지혈 장치 - Google Patents

지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620B1
KR102165620B1 KR1020200095849A KR20200095849A KR102165620B1 KR 102165620 B1 KR102165620 B1 KR 102165620B1 KR 1020200095849 A KR1020200095849 A KR 1020200095849A KR 20200095849 A KR20200095849 A KR 20200095849A KR 102165620 B1 KR102165620 B1 KR 10216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luid
blood
present
hemosta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진
신재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20B1/ko
Priority to PCT/KR2021/009842 priority patent/WO2022025649A1/ko
Priority to US17/630,298 priority patent/US202203618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2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for temporarily occluding a vessel for isolating a s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61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eparate inflations tubes, e.g. coaxial tubes or tubes otherwise arranged apart from the catheter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particular tip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with perfusion means for enabling blood circulation while the balloon is in an inflated state or in a deflated state, e.g. permanent by-pass within catheter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지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일단부에 혈액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입공의 하측 일정 구간이 상기 벌룬이 의해 감싸지며, 타단부는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혈액 배출관; 및 상기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체 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혈 장치{HEMOSTATIC DEVICE}
본 발명은 지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의 자궁 내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시키는 지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의 대부분은 산후 출혈과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산후 출혈은 산후 적혈구 용적이 10% 이상 감소하거나 수혈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산후 출혈의 원인은 자궁이완, 상부나 하부 생식기 손상, 잔류 임산물, 침습성 태반 형상, 자궁 파열, 응고장애 등이 있다. 산후 출혈의 80% 정도는 자궁이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는 자궁이완에 의한 조기 산후 출혈이 산모 사망률과 유병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산후 출혈 발생 시 혈량 저하증에 의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빠른 혈관 확보와 수액 투여, 혈액 보충 등의 대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자궁 출혈이 계속될 경우 자궁 내 지혈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자궁 내 지혈을 위해 벌룬 카테터가 사용된다. 벌룬 카테터는 출혈이 있는 자궁 내에 삽입 팽창되어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벌룬 카테터는 자궁 내에서 팽창되더라도 자궁 내측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충분한 압박 및 지혈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래 벌룬 카테터는 내부로 주입되는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데, 식염수의 주입을 위한 주입관이 벌룬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왕절개 수술 시 집도하는 의사가 수술 부위 절개 상태에서 자궁 내에 벌룬 카테터를 배치하고 식염수를 주입하는 것이 어렵고, 감염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352037 "3통로식 발룬 카테타", 2014.01.22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혈이 발생한 자궁 내에 배치되고 유체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자궁 내측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지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왕절개 수술 시 자궁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술 절개 부위를 통해 유체의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일단부에 혈액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입공의 하측 일정 구간이 상기 벌룬이 의해 감싸지며, 타단부는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혈액 배출관; 및 상기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체 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혈액이 고여 응고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유동관의 상부 구간은 상기 벌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유동관의 상부 구간에는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된 복수의 미세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혈 장치는, 상기 유체의 공급을 위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벌룬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유체 주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유체 주입관은 상기 벌룬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상부에 비하여 외측으로 더 크게 팽창하도록 형성되는 광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폭부는 상기 벌룬이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벌룬의 높이를 기준으로 1/2~2/3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유동관은 상기 벌룬의 내부 및 상기 벌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상기 혈액 배출관의 일측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벌룬을 통해 자궁 내 출혈 부위에 대한 압박 및 지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보조 유체 주입관이 구비되고, 제왕절개 수술 시 지혈 장치가 자궁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술 절개 부위를 통해 보조 유체 주입관에 접근하여 벌룬 내부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수술과정에서 지혈 장치의 사용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1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2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변형예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1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1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2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산후 출혈 등으로 자궁(U) 내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 지혈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자궁(U) 내에 배치되어 자궁(U) 내측의 출혈 부위를 압박하면서 혈액의 배출 및 응고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벌룬(10), 혈액 배출관(20), 유체 유동관(30) 및 보조 유체 주입관(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각 구성들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벌룬(10)은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W)에 의해 팽창된다. 다시 말하면, 벌룬(10)은 내부에 유체(W)를 수용할 수 있는 유체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벌룬(10)은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벌룬(10)은 자궁(U)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유체(W)에 의해 팽창되어 자궁(U) 내측을 압박할 수 있다. 이때, 유체(W)는 생리 식염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룬(10)은 팽창 상태에서 타원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궁(U) 내측에 대한 효율적인 압박을 위해서 벌룬(10)은 여성의 자궁(U) 내 공간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룬(10)은 유체(W)에 의한 팽창 시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11)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개의 돌출부(11)는 팽창 상태에서 반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돌출부(11)는 벌룬(10)의 외면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자궁(U) 내측과 밀착되며 압박을 수행하는 벌룬(10)의 측면부에 다수개의 돌출부(11)가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벌룬(10)의 외면 중 자궁(U) 내측과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는 돌출부(11)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수개의 돌출부(11)는 벌룬(10)이 유체(W)에 의해 팽창될 때, 벌룬(10)의 외면에서 추가적으로 돌출되어 자궁(U) 내측에 밀착되어 지혈을 수행한다. 유체(W)에 의한 벌룬(10)의 팽창 시 다수개의 돌출부(11)가 추가적으로 돌출됨으로써 벌룬(10)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울퉁불퉁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벌룬(10)의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경우 벌룬(10)이 팽창된 상태에서 환자의 자궁(U) 내측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기 어렵다. 벌룬(10)과 자궁(U) 내측과의 접촉 부위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할 경우 지혈을 위한 압박력이 부족해지며, 지혈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벌룬(10)이 유체(W)에 의해 팽창될 때 벌룬(10)에 구비된 다수개의 돌출부(11)가 외측으로 추가적으로 돌출되어 자궁(U) 내측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벌룬(10)과 자궁(U) 내측 사이의 접촉 부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압박을 통한 지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돌출부(11)는 접촉 부위에 대한 접지력을 증가시키고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지혈 과정에서 벌룬(10)이 환자의 자궁(U) 밖으로 의도치 않게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룬(10)은 다수개의 돌출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1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벌룬(10)이 유체에 의해 팽창될 때, 다수개의 돌출부(11) 사이에는 다수개의 오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는 다수개의 돌출부(11) 사이에서 혈액(B)이 고여 응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벌룬(10)의 팽창 상태에서 다수개의 돌출부(11)는 자궁(U) 내측에 밀착되어 압박을 수행한다. 이때, 오목부(12)는 다수개의 돌출부(11) 사이에서 혈액(B)이 고여 응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즉, 돌출부(11)를 통한 압박 과정에서 흘러나온 혈액(B)이 오목부(12)에 고여 응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의 배출을 최소화 하면서 지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출부(11)가 서로 인접하여 형성될 때 인접한 몇 개의 돌출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12)는 인접한 다른 오목부(12)와 단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개의 오목부(12)가 단절되어 형성될 경우 혈액(B)을 더욱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혈액(B)이 오목부(12)에 더욱 효율적으로 담지되도록 벌룬(10)의 팽창 상태에서 오목부(12)의 가운데 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시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변형예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1)와 오목부(1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1)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 5에 나타난 변형예에서 돌출부(11)는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돌출부(11)는 벌룬(10)의 팽창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개의 돌출부(11)와 그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12)는 벌룬(10)의 팽창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벌집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예로 돌출부(11) 및 오목부(12)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벌룬(10)의 팽창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돌출되어 자궁(U) 내측과 밀착이 가능함을 전제로 돌출부(11)는 얼마든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2)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혈액 배출관(20)은 일단부에 혈액 유입공(21)을 구비하고, 혈액 유입공(21)의 하측 일정 구간이 벌룬(10)이 의해 감싸지며, 타단부는 벌룬(10)의 하측으로 노출되록 형성된다. 즉, 혈액 배출관(20)은 벌룬(10)에 의해 상부 일정 구간이 감싸진 형태로 배치된다.
혈액 배출관(20)의 혈액 유입공(21)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액 유입공(21)은 혈액 배출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혈액 유입공(21)은 혈액 배출관(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혈액 유입공(21)은 다수개의 미세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혈액 배출관(20)은 일단부는 벌룬(10)과 함께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되고, 타단의 일정 구간은 환자의 체외로 노출된다. 따라서 자궁(U) 내에서 출혈된 혈액(B) 가운데 일부는 혈액 배출관(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혈액 유입공(21)을 통해 혈액 배출관(20)의 내부로 유입되며, 혈액 배출관(20) 내부로 유입된 혈액(B)은 하부로 이동하여 혈액 배출관(20)의 타단부에 형성된 혈액 배출구(22)를 통해 환자의 체외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혈액 배출구(22)는 혈액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확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유동관(30)은 유체(W)의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해 벌룬(10)의 내부와 연통되어 벌룬(1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유체 유동관(30)의 상부 구간은 벌룬(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유동관(30)은 벌룬(10)의 내부 및 벌룬(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혈액 배출관(20)의 일측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혈 장치가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체 유동관(30)의 하부 일정 구간은 환자의 체외로 노출된다.
유체 유동관(30)은 개복 수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또는 수술이 완료된 후에 지혈 장치를 사용할 때,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된 벌룬(10) 내부로 환자의 체외에서 유체(W)를 공급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개복 수술 과정에서도 유체 유동관(30)을 통한 유체(W)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가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환자의 체외로 노출되는 유체 유동관(30)의 단부 측에는 유체(W)의 유출입을 위한 제 1 유출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벌룬(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반대 쪽 단부에는 제 2 유출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유출입구(31)는 유로 개폐를 위한 밸브(미도시), 유체(W)의 주입을 위한 장치 등과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해 확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혈 장치가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벌룬(10)을 팽창시킬 때에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유체(W)가 주입될 수 있다. 유체 유동관(30)의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주입된 유체(W)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2 유출입구(32)를 통해 벌룬(10) 내부로 진행하여, 벌룬(10)을 팽창시킨다.
유체(W)의 주입이 완료되어 벌룬(10)이 충분히 팽창된 경우 제 1 유출입구(31)는 폐쇄된다. 제 1 유출입구(31)의 폐쇄는 제 1 유출입구(31)에 결합되는 밸브(미도시)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벌룬(10) 내부에 유체(W)가 과도하게 유입되거나 지혈이 완료된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지혈 장치의 배치 후 환자의 체내에서 지혈 장치를 제거해야 할 경우 벌룬(10) 내부의 유체(W)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2 유출입구(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유체 유동관(30)의 제 2 유출입구(32)를 통해 유체 유동관(30)으로 진입한 유체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유체(W)의 공급을 위해 벌룬(10)의 내부와 연통되어 벌룬(1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보조 유체 주입관(40)의 하부 일정 구간은 벌룬(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일정 구간은 벌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벌룬(1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41)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 유체 주입관(40)의 하측에는 벌룬(10)의 내부와 연통된 유출구(4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입부(41)는 보조 유체 주입관(40) 중 벌룬(1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입부(41)로의 유체(W) 주입이 유체 공급장치(100)(예를 들면, 주사기)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때, 마개는 유체 공급장치(100)와 연결시 개방되고, 유체 공급장치(100)의 분리 시 폐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W)의 투입 압력을 고려하여 주입부(41)는 보조 유체 주입관(40)을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시키며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주입부(41)의 주입구는 상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에 전술한 바와 같은 마개가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혈액 배출관(20)의 일측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주입부(41)는 혈액 유입공(21)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유체 주입관(40)이 없는 경우 제왕절개 수술 과정에서 지혈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를 환자의 자궁(U) 내에 배치한 후 벌룬(10)을 팽창시키고자 유체(W)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유체 유동관(30)을 통해 유체(W)가 공급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유체 유동관(30)은 하부 구간이 환자의 자궁(U) 하부를 통해 환자의 체외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유체(W)는 유체 유동관(30)의 노출된 단부 측에 형성된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부위와 유체(W)가 주입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가 멀어 수술 과정에서의 사용 편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감염의 위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별도의 보조 유체 주입관(40)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왕절개 수술 시 절제된 수술 부위를 통해 유체 주입장치(100)(예를 들면, 주사기)가 보조 유체 주입관(40)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으며, 보조 유체 주입관(40)의 주입부(41)를 개방시킨 후 벌룬(10) 내부로 유체(W)를 주입하여 벌룬(10)을 팽창시킨 뒤 주입부(4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외과적 수술 시 절제된 수술 부위를 통해 벌룬(10) 내부로 유체(W)를 주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감염의 위험 없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지혈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유체 주입관(40)을 통해 유체(W)의 주입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지혈 후 지혈 장치 제거 시 유체(W)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유동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 배출관(20), 유체 유동관(30) 및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의료용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혈액 배출관(20), 유체 유동관(30) 및 보조 유체 주입관(40)은 가요성(flexible)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제 1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벌룬(10) 내부에 배치된 유체 유동관(30)의 상부 구간에는 벌룬(10)의 내부와 연통된 복수의 미세공(3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와 비교하여, 벌룬(10) 내부에 배치된 유체 유동관(30)의 상부 구간에 복수의 미세공(33)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복수의 미세공(33)은 유체 유동관(30)을 통한 유체(W)의 주입이 이루어질 때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유입된 유체(W)의 일부가 제 2 유출입구(32)에 도달하기 전에 벌룬(10)의 내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유체(W) 주입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또한, 지혈 장치의 제거 시에 벌룬(10) 내부의 유체(W)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2 유출입구(32) 뿐만 아니라 복수의 미세공(33)을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미세공(33)과 제 2 유출입구(32)를 통해 유체 유동관(30)으로 진입한 유체는 유체 유동관(30)의 제 1 유출입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와 비교하여 벌룬(10)의 형상이 상이하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벌룬(10)의 형상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벌룬(10)은 유체(W)에 의한 팽창 시 상부에 비하여 외측으로 더 크게 팽창하도록 형성되는 광폭부(10b)를 포함하고 있다. 즉, 벌룬(10)은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가지는 광폭부(10b)와 광폭부(10b)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소폭부(10a)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폭부(10a)와 광폭부(10b)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돌출부(11a, 11b)와 오목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자궁의 수축 부진으로 인한 출혈의 경우 자궁 내부를 전체적으로 압박할 필요가 있으므로 벌룬(1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타원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치태반이나 유착태반으로 인한 자궁 내 출혈을 지혈하고자 할 경우 자궁의 하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처럼 자궁 하부에 대한 압박 필요성이 더 큰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광폭부(10b)는 벌룬(10)이 유체(W)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벌룬(10)의 높이를 기준으로 1/2~2/3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벌룬(10)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구간이 광폭부(10b)로 형성되고, 광폭부(10b) 상부에서 상단까지의 구간이 소폭부(10a)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광폭부(10b)의 높이(h1)와 소폭부(10a)의 높이(h2)의 비율은 2:1 내지 3:1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벌룬 20: 혈액 배출관
30: 유체 유동관 40: 보조 유체 주입관

Claims (11)

  1.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일단부에 혈액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입공의 하측 일정 구간이 상기 벌룬이 의해 감싸지며, 타단부는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혈액 배출관;
    상기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벌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체 유동관; 및
    상기 유체의 공급을 위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벌룬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유체 주입관;을 포함하는 지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지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지혈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에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지혈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혈액이 고여 응고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관의 상부 구간은 상기 벌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유동관의 상부 구간에는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된 복수의 미세공이 구비되는 지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체 주입관은 상기 벌룬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를 구비하는 지혈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상기 유체에 의한 팽창 시 상부에 비하여 외측으로 더 크게 팽창하도록 형성되는 광폭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는 상기 벌룬이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벌룬의 높이를 기준으로 1/2~2/3의 비율로 형성되는 지혈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관은 상기 벌룬의 내부 및 상기 벌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상기 혈액 배출관의 일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지혈 장치.
KR1020200095849A 2020-07-31 2020-07-31 지혈 장치 KR10216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49A KR102165620B1 (ko) 2020-07-31 2020-07-31 지혈 장치
PCT/KR2021/009842 WO2022025649A1 (ko) 2020-07-31 2021-07-29 지혈 장치
US17/630,298 US20220361891A1 (en) 2020-07-31 2021-07-29 Hemosta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49A KR102165620B1 (ko) 2020-07-31 2020-07-31 지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620B1 true KR102165620B1 (ko) 2020-10-14

Family

ID=7284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49A KR102165620B1 (ko) 2020-07-31 2020-07-31 지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1891A1 (ko)
KR (1) KR102165620B1 (ko)
WO (1) WO202202564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8267A (zh) * 2020-10-20 2021-01-05 天津市第三中心医院 一种止血球管组件及产后止血设备
CN113101432A (zh) * 2021-05-12 2021-07-13 四川大学华西医院 乳腺癌术后引流组件
WO2022025649A1 (ko) * 2020-07-31 2022-02-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KR20230059310A (ko) * 2021-10-26 2023-05-03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카테터
WO2023234490A1 (ko) * 2021-05-31 2023-12-07 주식회사 리온 자궁 압박 풍선 카테터 구조체
CN117179844A (zh) * 2023-11-08 2023-12-08 成都百瑞恒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封堵治疗血管病变和恶性肿瘤的装置
KR102686776B1 (ko) * 2021-05-31 2024-07-19 주식회사리온 자궁 압박 풍선 카테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971B1 (en) * 2022-11-28 2023-12-26 Nemow Llc Uterine toner device to prevent and control postpartum hemorrh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1907Y (zh) * 2008-12-05 2009-11-11 胡平 子宫腔止血气囊
KR101156229B1 (ko) * 2011-10-28 2012-06-18 (주)메다스 엠보싱 구조를 갖는 장기 견인 지혈장치
KR101352037B1 (ko) 2011-12-23 2014-01-22 (주)메디탑 3통로식 발룬 카테타
KR101787280B1 (ko) * 2016-08-25 2017-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구조의 풍선 카테터
KR101903591B1 (ko) * 2016-08-25 2018-10-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성분을 포함한 질 내 풍선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698A (en) * 1993-10-29 1996-04-09 Medtronic, Inc. Cardioplegia catheter with elongated cuff
JP2007511242A (ja) * 2003-09-03 2007-05-10 ルビカ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時的術後空洞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20060058831A1 (en) * 2004-09-13 2006-03-16 Jack Atad Inflatable system for cervical dilation and labor induction
US9474571B2 (en) * 2007-10-15 2016-10-2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ercutaneous tissue ablation probe with occlusive bodies
US10758667B2 (en) * 2013-02-04 2020-09-01 Michael Rontal Balloon irrigation and cleaning system for interior walls of body cavities
US10617851B2 (en) * 2016-03-31 2020-04-14 Covidien Lp Medical catheter system
WO2019143709A1 (en) * 2018-01-16 2019-07-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edical devices including textured inflatable balloons
KR102165620B1 (ko) * 2020-07-31 2020-10-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1907Y (zh) * 2008-12-05 2009-11-11 胡平 子宫腔止血气囊
KR101156229B1 (ko) * 2011-10-28 2012-06-18 (주)메다스 엠보싱 구조를 갖는 장기 견인 지혈장치
KR101352037B1 (ko) 2011-12-23 2014-01-22 (주)메디탑 3통로식 발룬 카테타
KR101787280B1 (ko) * 2016-08-25 2017-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구조의 풍선 카테터
KR101903591B1 (ko) * 2016-08-25 2018-10-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성분을 포함한 질 내 풍선 카테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49A1 (ko) * 2020-07-31 2022-02-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CN112168267A (zh) * 2020-10-20 2021-01-05 天津市第三中心医院 一种止血球管组件及产后止血设备
CN113101432A (zh) * 2021-05-12 2021-07-13 四川大学华西医院 乳腺癌术后引流组件
CN113101432B (zh) * 2021-05-12 2023-02-28 四川大学华西医院 乳腺癌术后引流组件
WO2023234490A1 (ko) * 2021-05-31 2023-12-07 주식회사 리온 자궁 압박 풍선 카테터 구조체
KR102686776B1 (ko) * 2021-05-31 2024-07-19 주식회사리온 자궁 압박 풍선 카테터 구조체
KR20230059310A (ko) * 2021-10-26 2023-05-03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카테터
KR102649853B1 (ko) 2021-10-26 2024-03-20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카테터
CN117179844A (zh) * 2023-11-08 2023-12-08 成都百瑞恒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封堵治疗血管病变和恶性肿瘤的装置
CN117179844B (zh) * 2023-11-08 2024-01-26 成都纽创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封堵治疗血管病变和恶性肿瘤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1891A1 (en) 2022-11-17
WO2022025649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620B1 (ko) 지혈 장치
US9888927B2 (en) Balloon tamponade
EP2566397B1 (en) Balloon catheter system for sealing puncture points in body cavities, hollow organs or in percutaneous systems in mammals
US20060173486A1 (en) Device for staunching postpartum haemorrhage
US11813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to the uterine cavity
JP6940083B2 (ja) バルーンチューブ器具
JP2022550659A (ja) 子宮異常出血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617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to the uterine cavity
JP2015512275A (ja) 子宮出血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08818B1 (ko) 자궁내막의 유착재생 방지 장치
WO2012137894A1 (ja) 子宮内出血に対する止血具と止血装置及び止血方法
KR101352037B1 (ko) 3통로식 발룬 카테타
US20160128696A1 (en) Intra-operative pressure cuff to reduce organ bleeding
CN209951363U (zh) 宫颈环扎羊膜囊托举装置
KR20010002164A (ko) 자궁 수축기
CN219814833U (zh) 一种剖宫产术后宫腔积血引流装置
WO2023250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uterine hemorrhage
CN213722309U (zh) 一种内镜用外鞘管
KR20240056935A (ko) 자궁 내부 압박지혈용 벌룬 카테터 장치
JP3997173B2 (ja) 血管オクルーダ
WO2023154803A1 (en) Device for treating uterine bleeding and method of use
CN116269592A (zh) 一种可调控的腹腔内压迫止血装置
KR200288501Y1 (ko) 자궁내막의 유착재생 방지 장치
KR20150136378A (ko) 원추생검 환자용 카테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