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965B1 -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965B1
KR102164965B1 KR1020190052591A KR20190052591A KR102164965B1 KR 102164965 B1 KR102164965 B1 KR 102164965B1 KR 1020190052591 A KR1020190052591 A KR 1020190052591A KR 20190052591 A KR20190052591 A KR 20190052591A KR 102164965 B1 KR102164965 B1 KR 10216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hand
eeg
move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훈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965B1/ko
Priority to PCT/KR2020/005821 priority patent/WO20202263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6Glo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1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in a subliminal way, i.e. below the threshold of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되어,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모션 트래커; 상기 모션 트래커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처리된 영상을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 뇌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거울치료 방법에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뇌 감각 인지 기능을 혼란에 빠뜨려 재활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환자는 실제 자신의 마비측 사지를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부에서 나오는 움직임 영상만을 보면서 재활 치료에 임하게 되므로, 그만큼 몰입도가 향상된 상태에서 재활 치료에 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을 이용한 거울치료에 뇌파 자극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편마비 환자가 재활 치료를 하는 중간에, 환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기능성 뇌파를 자극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재활 치료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뇌를 적절히 자극하여 치료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VIRTUAL ILLUSION SYSTEM FOR HEMIPLEGIC PATIENTS USING BRAIN STIMULATION AND ITS WAY TO WORKING}
본 발명은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이나 뇌경색이라는 질병은 대개 편마비를 동반하는 질병으로, 뇌로 공급되는 혈액이 혈관의 막힘 등으로 인하여 전달되지 못해 발생한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운동 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등의 많은 장애를 동반하기 마련인데, 장애로 인해 식사, 착탈의 등의 일상생활 동작의 제한이 발생하고, 발병 후 약 66%에서 신체기능 장애, 약 75%에서 일상생활의 장애를 갖는다. 이러한 편마비 환자들의 재활을 돕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재활 치료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중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거울치료 방법이 있다.
거울치료는 뇌신경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변화되고 재조직화될 수 있다는 뇌 가소성 원리에 기반을 둔 뇌신경 손상 환자의 치료법 중 하나로, 운동기능 회복과 환측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환자의 마비 측 신체의 기능회복을 촉진한다. 거울치료는 손상되지 않은 사지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치료로서, Ramachandran과 RogersRamachandran(1996)에 의해 절단 후 환상통(phantom pain)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써 처음 소개되었으며, 이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여러 실험에서 마비측 신체의 기능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뇌졸중 환자에게 마비되지 않은 사지의 움직임을, 거울 반영을 통해 마비된 사지의 움직임으로 투영시키고, 마비된 사지에 포개어진 시각 정보가 주는 영상이 뇌를 자극한다는 이론이다.
도 1은 편마비 환자 재활 치료를 위한 기존의 거울 치료 실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거울치료는 거울치료기를 이용해 행해지는데, 거울치료기는 사각형의 두 개의 판을 연접하여 꺾쇠 모양을 이루도록 하고, 두 개 판 중 하나는 거울로 구성된다. 비 마비측 사지와 마비측 사지의 정중앙에 수직으로 거울을 위치하고 거울에 투영된 비 마비측 사지의 모습이 마비측 사지와 일치하도록 하여 환자에게 시각적 환영을 제공함으로써, 마비측 사지가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착각을 준다.
다만 기존의 거울치료는 상을 보기 위해 몸을 비 마비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몸통의 비대칭을 초래하여 환자의 자세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재활 치료가 힘들어진다. 즉, 기존의 거울치료는 거울 속 사지를 보기 위해 몸을 비 마비측으로 기울이게 되는데, 이때, 거울과 지면의 각이 커지면, 비 마비측으로 체중을 지지하여 몸의 비대칭이 증가하게 되고, 거울과 지면의 각이 작아지면, 거울 속 상의 비대칭이 증가하여 마비측 사지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착각의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거울치료 원리를 이용하되, 움직임의 착각 효과를 높일 구현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98244호(발명의 명칭: 외형적 대칭인 신체 질환을 위한 통증 치료장치, 공고일자: 2017년 02월 01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거울치료 방법에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뇌 감각 인지 기능을 혼란에 빠뜨려 재활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환자는 실제 자신의 마비측 사지를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부에서 나오는 움직임 영상만을 보면서 재활 치료에 임하게 되므로, 그만큼 몰입도가 향상된 상태에서 재활 치료에 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을 이용한 거울치료에 뇌파 자극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편마비 환자가 재활 치료를 하는 중간에, 환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기능성 뇌파를 자극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재활 치료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뇌를 적절히 자극하여 치료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은,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되어,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모션 트래커;
상기 모션 트래커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는,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 및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끝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위치 센서에서 측정된 손가락 끝 움직임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마디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도 센서에서 측정된 손가락 마디의 각도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는,
사용자 손의 x축, y축, z축에 따른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3축 각속도센서 및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트래커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움직임 수신부;
상기 움직임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를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움직임 변환부; 및
상기 움직임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움직임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움직임 송신부는,
상기 움직임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 및 상기 움직임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움직임 송신부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사용자의 마비측 손처럼 보이도록 시각적으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 뇌파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파 제어부는,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
상기 뇌파 획득부에서 획득된 뇌파를 분석하는 뇌파 분석부; 및
상기 뇌파 분석부에서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를 자극하는 뇌파 자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은,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으로서,
(1)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된 모션 트래커에서,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부가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은,
(1-1) 핑거 위치 트래커에서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1-2) 관절 각도 트래커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1-3) 핸드 방향 트래커에서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 끝에 위치하되, 상기 위치 센서에서 측정된 손가락 끝 움직임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 센서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 마디에 위치하되, 상기 각도 센서에서 측정된 손가락 마디의 각도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3)은,
3축 각속도센서 및 3축 가속도센서에서, 사용자 손의 x축, y축, z축에 따른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
(2-1) 상기 단계 (1)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움직임 수신부에서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단계;
(2-2) 상기 단계 (2-1)에서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를 움직임 변환부에서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2-3) 상기 단계 (2-2)에서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움직임 송신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3)은,
상기 단계 (2-1)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 및 상기 단계 (2-2)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3)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사용자의 마비측 손처럼 보이도록 시각적으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 사용자가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뇌파 제어부에서 뇌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는,
(4-1) 뇌파 획득부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4-2) 상기 단계 (4-1)에서 획득된 뇌파를 뇌파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단계; 및
(4-3) 상기 단계 (4-2)에서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 자극부에서 뇌파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거울치료 방법에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뇌 감각 인지 기능을 혼란에 빠뜨려 재활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환자는 실제 자신의 마비측 사지를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부에서 나오는 움직임 영상만을 보면서 재활 치료에 임하게 되므로, 그만큼 몰입도가 향상된 상태에서 재활 치료에 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을 이용한 거울치료에 뇌파 자극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편마비 환자가 재활 치료를 하는 중간에, 환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기능성 뇌파를 자극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재활 치료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뇌를 적절히 자극하여 치료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편마비 환자 재활 치료를 위한 기존의 거울치료 실시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모션 트래커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모션 트래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한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뇌파 제어부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손 움직임 측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뇌파 제어 방법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거울치료 원리를 이용한 재활 치료 방법인데, 상상훈련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인 거울치료 방법은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거울 속에 비추어 봄으로써 그 반대측 사지와 연결되어있는 뇌의 일차 운동 영역을 흥분시켜 손상당한 뇌 주변의 다른 영역에서 그 기능을 대체하는 재조직화로 인해 운동회복과 상지기능 및 하지기능 증진에 도움이 되는 재활 치료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은,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되어,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모션 트래커(100); 모션 트래커(100)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제어부(200); 및 제어부(200)에서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 뇌파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100)는, 편마비 환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되어 환자가 비 마비측 손을 자유롭게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손의 3차원 위치 인식과, 사용자 손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한 자세 인식 및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각도 측정 인식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모션 트래커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모션 트래커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100)는,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110);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120); 및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모션 트래커(100)는 핑거 위치 트래커(110), 관절 각도 트래커(120), 및 핸드 방향 트래커(130)를 통합하여 편마비 환자 손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 가능한 장갑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션 트래커(100)는 편마비 환자의 손뿐만 아니라, 편마비 환자의 발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양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모션 트래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110)는, 모션 트래커(100)(Motion Tracker)를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사용자 각 손가락 끝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110)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끝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111)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위치 센서(111)에서 측정된 손가락 끝 움직임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핑거 위치 트래커(110)는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위치 센서(111)의 3차원 위치를 5 이내의 오차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120)는,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100)를 구성하는 또 다른 장치로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120)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마디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 센서(121)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도 센서(121)에서 측정된 손가락 마디의 각도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손가락 마디의 굽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손가락 관절마다 각도 센서(121)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각도 센서(121)들을 이용하여 5도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130)는,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100)를 구성하는 또 다른 장치로서,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과 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130)는, 사용자의 손 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회전시키는 경우 그 손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 손의 x축, y축, z축에 따른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3축 각속도센서(131) 및 3축 가속도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x축, y축, z축 별 7도에서 10도 정도의 정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트래커(Motion Tracker)(100)는, 핑거 위치 트래커(Finger Position Tracker)(110), 관절 각도 트래커(Finger Joint Angle Tracker)(120) 및 핸드 방향 트래커(Hand Orientation Tracker)(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편마비 환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갑의 형태로 장착되어,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모션 트래커(100)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모션 트래커(100)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움직임 수신부(210);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를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움직임 변환부(220); 및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하는 움직임 송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션 트래커(100)에서의 핑거 위치 트래커(110)의 3차원 위치 정보와 관절 각도 트래커(120)의 손가락 마디 각도의 움직임 및 핸드 방향 트래커(130)의 사용자 손의 회전에 따른 손의 위치 정보를 받아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를 거울 반전 처리하여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보이도록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한 후에 그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보고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한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송신부(230)는,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할 수 있고,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와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함께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움직임 송신부(230)에서 수신받은 제2 운동 이미지 또는 움직임 송신부(230)에서 수신받은 제1 운동 이미지와 제2 운동 이미지를 함께 시각적으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마비 환자가 모션 트래커(100)가 장착된 비 마비측 손을 움직일 경우, 그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인식하는 뇌의 착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렌더링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편마비 환자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머리에 장착하여 가상 현실에서 거울치료료를 이용한 재활 치료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할 수 있고, 재활 치료의 몰입도를 높여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고 착각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뇌파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서 제2 운동 이미지를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편마비 환자가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활 치료를 하는 동안, 환자의 뇌파를 획득하여 그 뇌파를 분석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뇌파를 자극함으로써 거울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뇌파 제어부(4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뇌파 제어부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410), 뇌파 획득부(410)에서 획득된 뇌파를 분석하는 뇌파 분석부(420) 및 뇌파 분석부(420)에서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를 자극하는 뇌파 자극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거울 치료를 이용한 재활 치료가 진행 중인 환자의 뇌파를 획득하여, 획득된 뇌파에 따라 적절하게 뇌 자극의 부위와 방법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환자가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재활 치료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치료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뇌파 제어부(400)는, 뇌파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모자에 전극을 결합함으로써 모자 자체가 뇌파 제어부(400)가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극에는 두피로부터 검출되는 뇌파를 전극에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해질 젤을 발라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장갑의 형태로 구현된 모션 트래커(100)를 비 마비측 손에 장착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을 제어부(200)에서 거울 반전시켜 환자의 마비측 손이 움직이는 영상으로 변환시킨 후, 이를 환자 머리에 장착된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가상의 현실을 통해 시청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환자의 머리에 부착된 뇌파 제어부(400)에서 환자의 뇌파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적절하게 뇌파를 자극함으로써 그 착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된 모션 트래커(100)에서,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부(200)가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S200) 및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출력된 영상을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뇌파 제어부(400)에서 뇌파를 제어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손 움직임 측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손 움직임 측정 방법은, 핑거 위치 트래커(110)에서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110), 관절 각도 트래커(120)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S120) 및 핸드 방향 트래커(130)에서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은, 단계 S100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단계(S210),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를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S220) 및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움직임 송신부(230)에서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뇌파 제어 방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의 뇌파 제어 방법은, 뇌파 획득부(410)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S410), 획득된 뇌파를 뇌파 분석부(420)에서 분석하는 단계(S420) 및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 자극부(430)에서 뇌파를 자극하는 단계(S4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거울치료 방법에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뇌 감각 인지 기능을 혼란에 빠뜨려 재활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환자는 실제 자신의 마비측 사지를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부에서 나오는 움직임 영상만을 보면서 재활 치료에 임하게 되므로, 그만큼 몰입도가 향상된 상태에서 재활 치료에 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을 이용한 거울치료에 뇌파 자극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편마비 환자가 재활 치료를 하는 중간에, 환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기능성 뇌파를 자극할 수 있어, 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을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는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재활 치료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뇌를 적절히 자극하여 치료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션 트래커
110: 핑거 위치 트래커
111: 위치 센서
120: 관절 각도 트래커
121: 각도 센서
130: 핸드 방향 트래커
131: 3축 각속도센서
132: 3축 가속도센서
200: 제어부
210: 움직임 수신부
220: 움직임 변환부
230: 움직임 송신부
300: 디스플레이부
400: 뇌파 제어부
410: 뇌파 획득부
420: 뇌파 분석부
430: 뇌파 자극부
S100: 사용자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S110: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S120: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S130: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S200: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S210: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제1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단계
S220: 수신된 제1운동 이미지를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S230: 변환된 제2운동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단계
S300: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S400: 착각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뇌파를 제어하는 단계
S410: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S420: 획득된 뇌파를 분석하는 단계
S430: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를 자극하는 단계

Claims (20)

  1.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되어,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모션 트래커(100);
    상기 모션 트래커(100)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에서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0); 및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200)에서 처리된 영상을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시키는 뇌파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션 트래커(100)는,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핑거 위치 트래커(110);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관절 각도 트래커(120); 및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핸드 방향 트래커(130)를 포함하여 장갑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핑거 위치 트래커(110)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위치 센서(111)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위치 센서(111)에서 측정된 손가락 끝 움직임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끝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관절 각도 트래커(120)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마디에 위치하는 복수의 각도 센서(121)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도 센서(121)에서 측정된 손가락 마디의 각도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각도 센서(121)들을 이용하여 5도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드 방향 트래커(130)는,
    사용자의 손 등에 배치되며, 사용자 손의 x축, y축, z축에 따른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3축 각속도 센서(131) 및 3축 가속도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이며,
    상기 뇌파 제어부(400)는,
    거울 치료를 이용한 재활 치료가 진행중인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410);
    상기 뇌파 획득부(410)에서 획득된 뇌파를 분석하는 뇌파 분석부(420); 및
    상기 뇌파 분석부(420)에서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를 자극하는 뇌파 자극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뇌파 제어부(400)는, 뇌파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모자에 상기 전극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극이 결합된 모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모션 트래커(100)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움직임 수신부(210);
    상기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를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움직임 변환부(220); 및
    상기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하는 움직임 송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송신부(230)는,
    상기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 및 상기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로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으로서,
    (1) 사용자의 비 마비측 손에 장착된 장갑 형태로 구성된 모션 트래커(100)에서, 비 마비측 손의 3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부(200)가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보이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4) 사용자가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할 때,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이라 인식하는 착각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뇌파 제어부(400)에서 뇌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상기 단계 (1)은,
    (1-1) 핑거 위치 트래커(110)에서 손가락 끝 움직임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1-2) 관절 각도 트래커(120)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1-3) 핸드 방향 트래커(130)에서 손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1)은,
    복수의 위치 센서(111)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 끝에 위치하되, 상기 위치 센서(111)에서 측정된 손가락 끝 움직임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끝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단계 (1-2)는,
    복수의 각도 센서(121)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 마디에 위치하되, 상기 각도 센서(121)에서 측정된 손가락 마디의 각도 정보를 통하여 각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각도 센서(121)들을 이용하여 5도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측정하며,
    상기 단계 (1-3)은,
    사용자의 손 등에 배치되는 3축 각속도센서(131) 및 3축 가속도센서(132)에서, 사용자 손의 x축, y축, z축에 따른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혼합 현실(MR) 환경에서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계 (4)는,
    (4-1) 뇌파 획득부(410)에서 거울 치료를 이용한 재활 치료가 진행중인 사용자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4-2) 상기 단계 (4-1)에서 획득된 뇌파를 뇌파 분석부(420)에서 분석하는 단계; 및
    (4-3) 상기 단계 (4-2)에서 분석된 것을 기초로 뇌파를 자극하는 뇌파 자극부(43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상기 뇌파 제어부(400)는, 뇌파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모자에 상기 전극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극이 결합된 모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2-1) 상기 단계 (1)에서 감지된 비 마비측 손의 움직임을 움직임 수신부(210)에서 제1 운동 이미지로 수신하는 단계;
    (2-2) 상기 단계 (2-1)에서 수신된 제1 운동 이미지를 움직임 변환부(220)에서 거울 반전 처리하여 제2 운동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2-3) 상기 단계 (2-2)에서 변환된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움직임 송신부(23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3)은,
    상기 단계 (2-1)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운동 이미지 및 상기 단계 (2-2)에서 변환된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로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3)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2 운동 이미지를 사용자의 마비측 손처럼 보이도록 시각적으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구동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52591A 2019-05-03 2019-05-03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16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91A KR102164965B1 (ko) 2019-05-03 2019-05-03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CT/KR2020/005821 WO2020226371A1 (ko) 2019-05-03 2020-05-01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91A KR102164965B1 (ko) 2019-05-03 2019-05-03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965B1 true KR102164965B1 (ko) 2020-10-14

Family

ID=7284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591A KR102164965B1 (ko) 2019-05-03 2019-05-03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4965B1 (ko)
WO (1) WO202022637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52B1 (ko) * 2020-12-22 2021-05-17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 하체를 이용한 재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53353B1 (ko) * 2020-12-22 2021-05-18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 손을 이용한 재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1177B1 (ko) * 2021-12-15 2022-04-27 박준 가상의 오감 감각 전달을 활용한 심리 변화 유도 방법
KR20220055584A (ko) * 2020-10-27 2022-05-04 한국과학기술원 몰입형 가상현실을 통한 행동 관찰로의 운동 이미지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6652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220063906A (ko) * 2020-11-11 2022-05-18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웨어러블 장치, hmd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64593A (ko) * 2020-11-12 2022-05-19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230B2 (ja) * 2003-03-31 2007-12-19 株式会社東芝 疼痛治療支援装置及び仮想空間に幻肢画像を動画的に表示する方法
US20090221928A1 (en) * 2004-08-25 2009-09-03 Motorika Limited Motor training with brain plasticity
JP4618795B2 (ja) * 2005-07-15 2011-01-2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ハビリ装置
KR20140029172A (ko) * 2012-08-30 2014-03-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편마비 치료 장치
WO2015034308A1 (ko) * 2013-09-09 2015-03-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형적 대칭인 신체 질환을 위한 통증 치료장치
KR20170033586A (ko) * 2015-09-17 2017-03-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일 뇌에 적용되는 뇌-뇌 인터페이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230B2 (ja) * 2003-03-31 2007-12-19 株式会社東芝 疼痛治療支援装置及び仮想空間に幻肢画像を動画的に表示する方法
US20090221928A1 (en) * 2004-08-25 2009-09-03 Motorika Limited Motor training with brain plasticity
JP4618795B2 (ja) * 2005-07-15 2011-01-2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ハビリ装置
KR20140029172A (ko) * 2012-08-30 2014-03-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편마비 치료 장치
WO2015034308A1 (ko) * 2013-09-09 2015-03-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형적 대칭인 신체 질환을 위한 통증 치료장치
KR20170033586A (ko) * 2015-09-17 2017-03-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일 뇌에 적용되는 뇌-뇌 인터페이스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88B1 (ko) * 2020-10-27 2022-08-05 한국과학기술원 몰입형 가상현실을 통한 행동 관찰로의 운동 이미지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5584A (ko) * 2020-10-27 2022-05-04 한국과학기술원 몰입형 가상현실을 통한 행동 관찰로의 운동 이미지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6652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2563132B1 (ko) 2020-10-28 2023-08-03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KR102446921B1 (ko) * 2020-11-11 2022-09-22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웨어러블 장치, hmd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63906A (ko) * 2020-11-11 2022-05-18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웨어러블 장치, hmd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31886A (ko) * 2020-11-11 2022-09-29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KR102499113B1 (ko) * 2020-11-11 2023-02-10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장치
KR20220064593A (ko) * 2020-11-12 2022-05-19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KR102446922B1 (ko) * 2020-11-12 2022-09-22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을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KR102253352B1 (ko) * 2020-12-22 2021-05-17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 하체를 이용한 재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53353B1 (ko) * 2020-12-22 2021-05-18 이준서 Vr/ar 기반의 가상 이식 손을 이용한 재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1177B1 (ko) * 2021-12-15 2022-04-27 박준 가상의 오감 감각 전달을 활용한 심리 변화 유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6371A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965B1 (ko) 뇌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 치료용 가상의 손착각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9243572B (zh) 一种精准运动评估和康复训练***
CN109875501B (zh) 生理参数测量和反馈***
Scott et al. Potential of robots as next-generation technology for clinical assess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upper-limb therapy.
US11273344B2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US2018022843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with tracking
US10258259B1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Bertomeu-Motos et al. Human arm joints reconstruction algorithm in rehabilitation therapies assisted by end-effector robotic devices
Papaleo et al. Patient-tailored adaptive robotic system for upper-limb rehabilitation
CN104095609A (zh) 一种集预防、治疗、测量于一体的新型穿戴式智能近视治疗仪
Fotiadis et al. Wearable medical devices
WO2011004403A1 (en) Method for accurate assessment and graded training of sensorimotor functions
Gulrez et al. A sensorized garment controlled virtual robotic wheelchair
CN113679568B (zh) 机器人辅助脑卒中患者上肢多模态镜像康复训练评分***
JP2023537835A (ja) 運動機能促進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145663B2 (ja) 生体信号計測システム、および生体信号計測方法
KR102612075B1 (ko) 가상 현실 기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환자의 뇌 훈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Subramanian et 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for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after stroke
Moreira et al. The potential of visual cues to overcome freezing of gait in Parkinson’s disease
RU2223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за движений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человека
US20230335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medical condition and impairment
US20220225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tor assessment
Sridevi et al. Shoulder and Wrist Rehabilitation: A Biofeedback Simulation using IoT
Popp Kinematic and Kinetic Assessments of Upper Limb Function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njury
Aguirre Evaluation of a technological device for upper-limb motor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