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27B1 -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27B1
KR102163927B1 KR1020190084096A KR20190084096A KR102163927B1 KR 102163927 B1 KR102163927 B1 KR 102163927B1 KR 1020190084096 A KR1020190084096 A KR 1020190084096A KR 20190084096 A KR20190084096 A KR 20190084096A KR 102163927 B1 KR102163927 B1 KR 10216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voice command
voice
wor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배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동되는 다른 가전제품에서 인식된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을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동일 음성 명령으로 분해하는 분석 모듈; 그리고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speech recognition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동되는 다른 가전제품에서 인식된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을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운전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세탁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세탁 코스와 옵션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는 가전기기이다.
건조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건조 코스와 옵션에 따라 건조를 수행하는 가전기기이다.
냉장고,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기, 청소기, 식기 세척기, 조리 기기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전 기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전제품들은 저마다의 고유의 기능을 갖고 동작하게 된다. 냉장고는 고내를 최적의 온도로 제어하며, 에어컨은 실내를 최적의 온도로 제어하며, 가습기는 실내를 최적의 습도로 제어하며,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최적으로 청정시키며, 청소기는 먼지 흡입을 최적으로 수행하며, 식기 세척기는 최적으로 식기를 세척하고, 조리 기기는 최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은 특유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버튼을 누르거나, 로터리 놉의 회전시키거나, 터치 패널을 터치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버튼을 슬라이딩 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은 가전제품의 작동 명령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체를 사용하여 직접 가전제품에 접촉하여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신체의 접촉이 아닌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작동하는 가전제품 자체의 소음으로 인하여 음성 명령이 효과적으로 인식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가전제품의 작동 중 발생하는 모터 소음, 팬 소음 또는 진동 소음으로 인해서 가전제품에서 음성 명령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가전제품에는 마이크가 구비된다. 마이크를 통해 인식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분류하여, 해당 음성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경우 가전제품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을 분석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유효 음성 입력을 추출하는 많은 알고리즘 또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서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되므로, 유효 음성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또한, 동일 가전제품에서 둘 이상의 마이크를 구비하여, 각각의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후 유효 음성 입력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안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마이크 구성이 추가되는 비용적인 문제가 내포될 수밖에 없다. 아울러 추가되는 마이크의 설치 위치 설정 및 공간 확보의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스마트 가전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즉, 스마트 가전이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가전의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확장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외부 단말기(스마트 폰)를 통한 원격 제어 또는 모니터링,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한 가전제품 사용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반영한 가전제품의 작동 등이 수행되고 있다.
일례로, 서버에서 제공한 날씨 정보를 반영하여 세탁기나 건조기가 최적 시간에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 제공한 날씨 정보를 반영하여 건조기에서의 건조 완료 시 건조 정도가 달라지도록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 가전제품끼리 서로 페어링 되거나 연동되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스마트 가전제품들끼지 직접 통신하거나 서버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세탁기에서 세탁 완료 시 세탁 정보를 건조기로 공급하여 건조기에서는 세탁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에서 울 섬유 세탁 완료 정보를 건조기에 제공하면, 건조기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어도 울 섬유에 최적화되도록 건조기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동되거나 페어링된 가전제품들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의 종류는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현재까지는 가전제품들 사이에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가 제시된 바가 없다. 즉, 연동되거나 페어링된 타 가전제품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의 음성 인식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서 최적으로 음성 명령을 인식하기 위하여, 타 가전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가전제품의 음성 인식 효율 저하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서로 연동되거나 페어링된 타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에서 효과적으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동일 사용자에 의해서 동일 서버에 통신 연결된 타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에서 효과적으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버로부터 정확한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서버는 동일 사용자에 의해서 서버에 접속된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인식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정확한 제어 명령과 해당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음성 명령의 분석 및 처리를 가전제품에서 직접 수행하지 않고, 서버를 통해서 수행하도록 하여, 제어 로직이 매우 단순하고 용이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기동어(starting word, activation word)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음성 인식이 수행될 수 있는 가전제품, 가전제품 시스템 그리고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기동어를 기준으로 시간이나 주파수 등을 이용하여 동일 신호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가전제품 시스템 그리고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동기화하거나, 가전제품 간의 직접 통신을 통해 동기화하여, 각각의 가전제품에서 각각에서 음성 신화를 동기화하여, 음성 신호를 강화할 수 있는 가전제품, 가전제품 시스템 그리고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하여 복수 개의 가전제품이 연동될 수 있는 가전제품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각각의 소리를 합성하고, 각각의 소리에 대한 위치, 주파수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분할하여 효과적으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음성 신호로 인식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증폭하고 음성 신호 이외의 신호는 저감시켜, 음성 인식 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여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기동어 인지 후 기동어의 주파수, 각 가전제품 별 기동어의 음향 크기나 상호 크기를 비교하여, 발화점의 위치 추정과 기동어의 파형을 이용함으로써, 기동어를 음성 인식 음의 기준 음성으로 활용하거나 음성 신호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음성 인식 가전제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음성 명령과 타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최종 음성 명령을 추출하거나 분해하여, 다중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전제품은 수신 경로가 다른 음성 명령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은 서로 직접 통신하여 양자가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즉,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직접 수신한 음성 명령을 직접 통신에 의해서 타 가전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은 서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양자가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즉,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직접 수신한 음성 명령을 서버를 통해서 타 가전제품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갖는 가전제품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전제품과 서버를 갖는 가전제품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음성 명령과 타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이 아닌 서버에서 최종 음성 명령을 추출하거나 분해하여, 다중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가전제품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전제품이 아닌 서버는 수신 경로가 다른 음성 명령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은 서로 직접 통신하여 양자가 상호 인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은 서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양자가 상호 인식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서버에서 수신된 복수 개의 음성 명령에서 최종 음성 명령을 도출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에 상이하다. 따라서, 복잡한 연산 과정 또는 프로세싱 과정을 가전제품이 아닌 서버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가전제품 제어 로직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는 고효율 고비용의 프로세서가 가전제품에 탑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단가를 낮추고,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일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동일 음성 명령으로 분해하는 분석 모듈; 그리고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타 가전제품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일 수 있다. 즉, 분석 모듈에서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타 가전제품으로부터 입력된 것을 인식함으로써, 가전제품들은 서로 동기화 될 수 있다.
통신 지연에 의한 시간 불일치 또는 가전제품 간에 설정된 기준 시간의 불일치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즉, 물리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발화된 기동어임에도 불구하고 기동어의 입력 시간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호 인식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기동어의 입력 시간과 통신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타 가전제품과 동기화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된 기동어의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기동어는 음성 분석 및 분해를 위한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으로 음성 분석이 수행되고, 정확도를 현저히 높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기 기동어와 제1 음성 명령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에서 다른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과 상기 제1 음성 명령에서 분해된 동일 음성 명령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으로 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음성 명령을 분해하여 최종 명령을 음성 명령 형태로 가전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에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가전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 인식한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상기 기동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최종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한 기동어와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통해서 가전제품들을 동기화한 후 분해된 상기 동일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기동어의 입력 시간 및 상기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시간을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한 기동어, 기동어의 입력 시간 그리고 통신 시간을 통해서 가전제품들을 동기화하여 분해된 상기 동일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는 그룹화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서버는 특정 가전제품으로만 음성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그룹화된 다른 가전제품으로도 음성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룹화된 가전제품들 전체에 대해서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발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 그룹화를 위해서 기동어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그룹화가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된 기동어의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노이즈가 제거되어 분해된 상기 동일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동어는 음성 분석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직접 통신하여 상호 인식하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호 인식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동일 음성 명령으로 분해하는 분석 모듈; 그리고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들로서, 대표적으로 세탁기와 건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그리고 각각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인식하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호 인식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동일 음성 명령으로 분해하는 분석 모듈; 그리고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전제품 시스템뿐만 아니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 모듈을 통해서 외부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서 수신된 외부 음성에서 기동어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기동어가 있는 경우, 기동어와 기동어 입력 시간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다른 가전제품에서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있는 경우, 각각의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서 분해되어 그룹화된 동일 음성 명령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다른 가전제품에서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없는 경우,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서버로부터 단일 가전제품의 음성 명령을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전제품으로부터 기동어와 기동어 입력 시간을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기동어가 입력된 가전제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그룹화된 가전제품들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들을 분해하여 동일 음성 명령을 그룹화된 가전제품들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그룹화된 가전제품들에서 상기 등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없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기동어를 송신한 단일 가전제품의 음성 명령을 상기 단일 가전제품으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동되거나 페어링된 타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에서 효과적으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사용자에 의해서 동일 서버에 통신 연결된 타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에서 효과적으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버로부터 정확한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동일 사용자에 의해서 서버에 접속된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인식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정확한 제어 명령과 해당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명령의 분석 및 처리를 가전제품에서 직접 수행하지 않고, 서버를 통해서 수행하도록 하여, 제어 로직이 매우 단순하고 용이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하여 복수 개의 가전제품이 연동될 수 있는 가전제품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인식한 각각의 소리를 합성하고, 각각의 소리에 대한 위치, 주파수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분할하여 효과적으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음성 신호로 인식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증폭하고 음성 신호 이외의 신호는 저감시켜, 음성 인식 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여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기동어 인지 후 기동어의 주파수, 각 가전제품 별 기동어의 음향 크기나 상호 크기를 비교하여, 발화점의 위치 추정과 기동어의 파형을 이용함으로써, 기동어를 음성 인식 음의 기준 음성으로 활용하거나 음성 신호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가전제품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 로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세서 또는 메인 제어부(10)는 가전제품의 운전이나 작동을 제어한다.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보조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양자는 서로 통신하여 전체적인 가전제품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구동 장치(20)는 프로세서(1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하는 장치이다. 즉, 프로세서(10)는 각종 구동 장치의 작동 여부, 작동 시점 그리고 작동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가전제품이 세탁기인 경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각종 밸브나 펌프, 각종 센서나 히터 등 복수 개의 구동 장치가 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제품이 건조기인 경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각종 센서, 히터 또는 히트펌프 등 복수 개의 구동 장치가 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20)는 압축기, 발광부, 각종 모터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통신 모듈(3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30)은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AP를 통해서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0)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IR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30)을 통해서 가전제품은 주변 가전제품과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세탁기와 건조기인 경우, 양자는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 각각이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와 건조기가 직접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인식은 가전제품들끼리 서로 동기화되거나 페어링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인식은 가전제품들끼리 서로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마이크 모듈(30)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기 위한 마이크 모듈(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30)은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는 수단이므로, 넓게는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마이크 모듈(30)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 영상 입력 장치, 리모컨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IR 입력을 수신하는 IR 센서, 디스플레이, 터치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가전제품에 각종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전제품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와 옵션 선택부를 통해서 특정 세탁코스와 특정 옵션(세탁수의 수위, 세탁 정도, 세탁수의 온도, 탈수 RPM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프로세서(10)는 드럼 구동 모터, 급수 밸브나 배수 펌프와 같은 구동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세탁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발신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IR을 외부로 발신하거나 소리를 외부로 발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작동 오류 시 경고음을 발신하는 스피커 또는 부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분석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70)은 상기 마이크 모듈(40)에 수신한 음성 명령뿐만 아니라 타 가전제품에서 수신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분석 모듈(70)의 기능은 서버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전제품의 마이크 모듈(50), 분석 모듈(70) 그리고 통신 모듈(50)을 통해서, 다중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 모듈(50)을 통해서 기동어를 수신하여 가전제품이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기동어가 구비되며, 이러한 기동어가 수신되어 인식되면 가전제품이 음성 명령을 수신할 상태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가전제품의 마이크 모듈(50)에는 외부 소음, 가전제품 자체의 작동 및 진동 소음이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가전제품이 입력되는 소음을 분석하여 유효한 음성 명령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고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모듈에서 수신되는 음성에서 특정 기동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성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기동어가 입력된 후에 비로소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성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기동어는 "안녕", "헬로", "씽큐(ThinQ)" 등 특정 단어에 대한 음성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씽큐"라는 기동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동일 발화자가 동일 시간에 발화한 "씽큐"라는 기동어는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수신하게 되어, 세탁기와 건조기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즉, 동일 시간에 동일 기동어를 입력받은 가전제품들은 동일한 시간에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에 음성 대기 명령 상태로 전환된 가전제품들은 상호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 인식은 가전제품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버를 통하여 상호 인식도 가능하다. 먼저, 직접 통신에 의한 상호 인식 및 동기화에 대해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서로 페어링 되거나 통신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세탁기와 건조기는 동일 시간에 동일 기동어인 "씽큐"를 수신한다. 동일 기동어를 동일 시간에 수신함으로써, 양자는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세탁기는 "씽큐"라는 기동어와 기동어 수신 시간을 건조기로 송신함과 동시에 건조기로부터 "씽큐"라는 기동어와 기동어 수신 시간을 건조기로부터 수신한다. 세탁기에서는 자체 마이크 모듈에서 수신한 "씽큐"라는 기동어와 기동어 수신 시간을 건조기로부터 수신한 "씽큐"라는 기동어와 기동어 수신 시간을 비교한다. 동일 기동어와 동일 기동어 수신 시간인 경우, 세탁기는 건조기로 상호 인식되었음을 전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건조기에서도 동일 과정을 거쳐 세탁기로 상호 인식되었음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기와 세탁기는 기동어를 이용하여 서로 동기화된다고 할 수 있다.
동일 기동어의 수신을 통해 상호 인식되어 대기 상태로 전환된 세탁기와 건조기는 이후 동일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일례로, 음성 명령이 "5시간 후 세탁이 종료되도록 세탁해 줘"라고 할 때, 이러한 음성 명령은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각각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기가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정확한 운전이 수행되어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즉, 외부 소음이나 노이즈로부터 정확한 음성 명령을 추출이 전제되어야, 정확한 운전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은 세탁기이다. 따라서, 세탁기에서는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세탁기 자체의 환경, 발화자와 마이크 모듈 사이의 위치 및 거리 등 다양한 외부 변수에 의해서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기동어 수신과 이어서 수행되는 제1 음성 명령의 수신 환경은 서로 동일하다고 전제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동기화된 건조기로부터 기동어와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은 동일한 음성 명령이나 직접 수신한 주체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동일한 "씽큐" 기동어에 대해서 직접 수신한 음성과 건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을 분석한다. 즉, 두 개의 음성을 비교하여, 발화자의 상대 위치, 주파수, 파형 등을 취합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동어를 음성 분석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탁기는 직접 수신한 기동어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기에서 수신한 기동어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음성 분석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두 개의 기동어를 통한 분석 결과는 그대로 제1 음성 명령과 제2 음성 명령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분석 모듈(70)은 마이크 모듈(40)에서 수신한 기동어 및 제1 음성 명령과 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기동어 및 제2 음성 명령을 비교하여, 정확한 음성 명령, 일례로 "5시간 후 세탁이 종료되도록 세탁해 줘"라는 제어 명령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기동어 또는 복수 개의 기동어는 특정되어 있다. 그리고, 분석 모듈을 통해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된 동일한 기동어를 분석 모듈을 통해서 비교 분석하여, 음성 분석의 기준을 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을 수신하고 유효 음성을 인식하는데에 소요되는 전체 과정을 매우 효과적으로 단축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석 모듈은 동기화 모듈이라 할 수 있다. 즉,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동일한 기동어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여 세탁기와 건조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모듈을 통해서, 세탁기와 건조기가 동기화되면, 설정시간 동안 또는 세탁기와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세탁기와 건조기는 서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세탁기와 건조기가 동기화되어 어느 하나의 가전제품에서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이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음성 명령은 단일 가전제품의 운전 제어를 위한 명령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가전제품의 운전 제어를 위한 명령일 수도 있다.
일례로 기동어가 "씽큐"이며 음성 명령은 "전원을 모두 켜줘" 이거나 "세탁기와 건조기 모두 전원을 켜줘"라는 전제가 충분히 가능하다.
여기서, 세탁기와 건조기는 각각 자체적으로 입력된 기동어와 타 가전제품을 통해 입력된 기동어를 통해서 동기화될 수 있음은 설명한 바 있다. 특히, 기동어뿐만 아니라 기동어의 수신 시간을 통해서 동기화될 수 있음은 설명한 바 있다.
이때, 음성 명령은 하나의 세탁기 또는 하나의 건조기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 모두에게 전원을 인가하라는 명령이다. 따라서, 세탁기 및/또는 건조기의 동기화는 양자를 하나로 그룹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기동어를 이용하여 음성 명령을 효과적으로 인식한 후, 해당 명령은 그룹화된 다른 가전제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는 건조기에게 전원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건조기는 세탁기에게 전원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세탁기는 건조기에서 수신된 음성들을 통해 자체적으로 인식하고 분해하며 판단된 최종 음성 명령과 건조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되어 판단된 최종 음성 명령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매우 정확하게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하나의 가전제품에서 다른 가전제품을 이용하여 분석한 최종 음성 명령과 다른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최종 음성 명령을 비교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매우 높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호 인식되거나, 페어링되거나, 서로 통신 가능 상태로 구비되는 가전제품들 사이에서 음성 인식에 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상호 인식과 페어링은 가전제품들 사이의 직접 통신에 의해 수행되거나, 서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동어 분석을 통한 기준 설정, 음성 명령 추출, 그룹화는 가전제품 자체에서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전제품 자체에는 분석 모듈(동기화 모듈)이 포함되어야 함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가전제품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분석 모듈(70)이 생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전제품(1, 편의상 "세탁기"라 한다)뿐만 아니라 상호 인식되는 다른 가전품(1a, 편의상 "건조기"라 한다)에서도 이러한 분석 모듈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세탁기와 건조기에는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어에서 기동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마이크 모듈(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또는 가전제품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서버의 기능 또는 역할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가전제품 또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차이를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가전제품 또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 로직에 대해서,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가전제품의 마이크 모듈(40)에서 음성을 획득(S10)한다. 상시 마이크 모듈은 항시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음성에서 기동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S20)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기동어가 수신되는 경우, 비로소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반영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 모드 진입 전에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서 가능한 모든 유효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동어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기동어가 있는 경우, 세탁기의 통신 모듈(30)은 서버(2)로 기동어를 송신(S40)하게 된다. 특히, 통신 모듈(30)은 기동어와 함께 기동어의 입력 시간, 즉 세탁기에서 기동어를 마이크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시간,을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동어가 있는 경우, 기동어 입력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S30)가 수행된 후, 기동어와 기동어 입력 시간을 서버로 전송(S40)할 수 있다.
아울러, 건조기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기 서버로 기동어와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물리적으로 동일한 입력 시간은, 세탁기와 건조기의 시간 설정 차이와 서버와의 통신 시간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시간으로 판단되는 것을 배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탁기와 건조기는 기동어 및 기동어의 입력 시간과 함께 이들을 서버로 송신한 시간을 서버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세탁기와 건조기로부터 기동어 관련 정보를 수신(S50)하게 된다.
서버에서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통해서 수신된 정보들을 통해서 시간 차이를 보정하여, 동일 시간에 동일한 기동어가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수신하였음을 판단(S60)할 수 있다.
이후, 서버에서는 전술한 분석 모듈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해당 가전제품 또는 그룹화된 가전제품으로 음성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제품의 분석 모듈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 자체에 고성능의 프로세서를 탑재할 필요가 없게 되고, 아울러 데이터 처리에 의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서버에 이러한 분석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매우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후, 기동어를 분석하여 세탁기와 건조기를 그룹화(S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화된 가전제품들에 전송한 최종 음성 명령은 생성(S80)할 수 있다. 즉, 수신되어 분해된 음성 명령을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되거나 보정된 최종 음성 명령을 생성(S80)하고, 이를 세탁기와 건조기에 전달(S90)할 수 있다. 물론, 최종 음성 명령이 특정 제품에만 해당되는 경우에는 특정 제품에만 해당 최종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없는 경우는 단일 가전제품을 통해서 해당 기동어가 입력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 내지는 그룹화가 무의미하다. 따라서, 서버는 기동어 분석, 음성 명령 분해, 그룹화 등의 과정을 생략하고, 해당 단일 제품으로 해당 음성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다중 음성 인식 처리가 아닌 단일 음성 인식 처리(S100)가 수행될 수 있다.
가전제품은 서버로부터 최종 음성 명령을 수신받고, 해당하는 운전을 수행(S110)한 후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동어의 유무는 가전제품 자체에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기동어가 있는 경우에는 이후의 음성 명령을 설정 시간 동안 또는 가전제품의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기동어를 통한 가전제품들이 동기화되어 그룹화된 경우, 설정 시간 동안 또는 가전제품의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통신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동기화와 그룹화 과정이 다시 수행될 필요가 없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일 가전제품의 음성 인식 과정에서 타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음성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음성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가전제품들끼리 서로 동일한 기동어를 갖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음성 인식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1, 1a : 가전제품 2 : 서버
10 : 프로세서 20 : 구동장치
30 : 통신 모듈 40 : 마이크 모듈
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60 : 발신 모듈
70 : 분석 모듈(동기화 모듈)

Claims (20)

  1.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제1 기동어 및 사용자의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기 마이크 모듈이 상기 제1 기동어를 수신하면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기동어와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기동어와 상기 제2 기동어가 동일하며 동일 시간에 입력된 경우 상기 타 가전제품과 동기화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 입력 받은 상기 제1 음성 명령 및 동기화된 타 가전제품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최종 음성 명령으로 합성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기동어의 입력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타 가전제품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인식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기동어의 입력 시간과 통신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타 가전제품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타 가전제품과 직접 통신하여,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이 상호 인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타 가전제품과 서버를 통해 간접 통신하여, 상기 가전제품과 타 가전제품이 상호 인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1 기동어와 상기 제2 기동어의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상기 제2 음성 명령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서버, 그리고 각각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인식하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기동어 및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기 기동어, 상기 기동어의 입력시간 및 상기 음성 명령을 서버로 송신하고, 최종 음성 명령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최종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한 기동어와 상기 기동어의 입력 시간이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수신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최종 음성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최종 음성 명령을 상기 그룹화된 복수개의 가전제품에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서 각각 수신한 기동어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명령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시스템.
  16. 마이크 모듈, 통신 모듈, 분석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서 외부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서 상기 외부 음성에서 제1 기동어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기동어와 제2 기동어의 입력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기동어와 상기 제2 기동어의 입력시간이 동일한 경우 상기 가전제품과 상기 타 가전제품을 동기화 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 제1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동기화된 타 가전제품에서 입력된 제2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 모듈에서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상기 제2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최종 음성 명령으로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1 기동어와 상기 제2 기동어의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제1 음성 명령과 상기 제2 음성 명령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18. 복수 개의 가전제품으로부터 기동어와 기동어 입력 시간을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기동어가 입력된 가전제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그룹화된 가전제품들에서 입력된 기동어와 음성 명령들을 분해하여 동일 음성 명령을 그룹화된 가전제품들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
    그룹화된 가전제품들에서 상기 동일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 중 동일 시간에 입력된 기동어가 없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기동어를 송신한 단일 가전제품의 음성 명령을 상기 단일 가전제품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전제품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084096A 2019-07-11 2019-07-11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6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96A KR102163927B1 (ko) 2019-07-11 2019-07-11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96A KR102163927B1 (ko) 2019-07-11 2019-07-11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27B1 true KR102163927B1 (ko) 2020-10-12

Family

ID=7288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96A KR102163927B1 (ko) 2019-07-11 2019-07-11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0864A1 (en) * 2015-09-28 2017-03-30 Amazon Technologies, Inc. Mediation of wakeword response for multiple devices
KR20190029913A (ko) * 2017-09-13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0864A1 (en) * 2015-09-28 2017-03-30 Amazon Technologies, Inc. Mediation of wakeword response for multiple devices
KR20190029913A (ko) * 2017-09-13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5233B (zh) 语音控制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51771B2 (en) Home appliance and speech recognition server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9205134A1 (zh) 智能家居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和***
WO2019133108A1 (en) Wireless enabled load control device with voice controller
KR102109381B1 (ko)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538030A (zh) 一种可以通过语音控制家电的控制***与方法
US20070107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washing machine
KR20150068013A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JP3838029B2 (ja) 音声認識を用いた機器制御方法および音声認識を用いた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6206851A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3660839A2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of home appliance
KR20190023911A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163927B1 (ko) 음성 인식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183478B (zh) 家电***
US11092937B2 (en) Electric product
US20160182705A1 (en) Electric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roduct
JP6657025B2 (ja) 操作者推定システム
KR20200112433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069597A1 (ja) 家電システム
US20220230637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20190035375A (ko) 센서 장치
CN112233673A (zh) 厨房***的控制方法、厨房***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3891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CN108375163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US11830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ssista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