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637B1 -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637B1
KR102163637B1 KR1020200041404A KR20200041404A KR102163637B1 KR 102163637 B1 KR102163637 B1 KR 102163637B1 KR 1020200041404 A KR1020200041404 A KR 1020200041404A KR 20200041404 A KR20200041404 A KR 20200041404A KR 102163637 B1 KR102163637 B1 KR 10216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hpmc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Original Assignee
김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철 filed Critical 김한철
Priority to KR102020004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1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a majority of oils, fats, mono/diglycerides, fatty acids, mineral oils, waxes or paraff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장기능 개선 효과를 위해 주로 장(intestine)에서 원료나 성분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 공정 및 조립 공정 중 어느 공정으로 진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단계에서 배합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하거나, 판단 단계에서 조립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혼합한 분말 혼합물에 물이나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조립하는 단계, 배합하거나 조립한 재료를 호퍼(hopper)로부터 타정기의 회전반 위에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회전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유발(mortar)에 투입되는 재료를 상하 2조의 강철봉으로 압축하여 타정하는 단계, 및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 표면을 액상의 코팅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HEALTH FOOD}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능 개선 효과를 위해 주로 장(intestine)에서 원료나 성분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tablet), 캡슐(capsule), 환(pill), 과립(granule), 분말(powder), 액상(lipid), 편상(flake), 페이스트상(paste), 시럽(syrup), 겔(gel), 젤리(jelly), 바(bar), 필름(film)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을 포함한다)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 최종 제품 내에 들어 있는 것을 말하고, 성분은 분리된 단일 물질 또는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단일 물질로 최종 제품내에 들어 있는 것을 말한다.
건강기능식품은 영양소 기능, 생리활성 기능, 및 질병발생위험감소 기능의 기능성 등급을 가진다. 영양소 기능은 비타민 C 등을 사용하여 인체의 성장 증진 및 정상적인 기능에 대한 영양소의 생리적인 작용과 관련된 것을 지칭하고, 생리활성 기능은 루테인이나 코엔자임Q10 등을 사용하여 인체의 정상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특별한 효과가 있어 건강상의 기여나 기능향상 또는 건강유지, 개선을 나타내는 기능을 말하며, 질병발생위험감소 기능은 칼슘이나 비타민 D 등을 사용하여 질병의 발생 또는 건강상태의 위험감소와 관련된 기능을 말한다.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인 프로바이오틱스는 장관(腸管)에서 서식하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익균들을 총칭하며 대표적으로 요거트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을 말한다. 이들은 구강 충치균 저해, 체내 면역체계 조절(항염증반응 촉진, 알러지성 증상 경감 등), 과민성대장증후군 완화, 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말화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하려고 하는 연구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분말은 빵, 과자, 초콜릿, 크림, 소스, 껌, 음료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강기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재로 유용하며, 액상에 비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그 자체로 상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말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분말의 특성을 조절하고, 제조 및 저장 중이나 섭취 시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율과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973333호(2019.04.29)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원료로 이루어진 건강기능식품이 사람의 장(intestine)에서 원료를 방출하도록 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 공정 및 조립 공정 중 어느 공정으로 진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합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하거나,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립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혼합한 분말 혼합물에 물이나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조립하는 단계; 배합한 재료나 조립한 재료를 호퍼(hopper)로부터 타정기의 회전반 위에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회전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유발(mortar)에 투입되는 재료를 상하 2조의 강철봉으로 압축하여 타정하는 단계; 및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합하는 단계는,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고, 배합 공정의 마지막 10분 동안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배합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타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정제 크기로서의 소정 크기와 수분함량 5% 이하를 갖도록 성형되고, 부형제로써 포도당 또는 유당을 사용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또는 디에틸 타르트레이트의 첨가제를 함유한 상기 HPMC의 미세입자 분산액을 사용한다. 상기 미세입자 분산액은 전체 용액 대비 HPMC 6중량% 내지 10중량%, 가소제 10중량%, 및 코팅용매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물질은 HPMC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는, HPMC 농도 6~10%,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및 흡기 온도 28℃ 내지 40℃의 코팅 조건에서 상기 코팅 물질을 함유한 코팅액을 분무하여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루형태로 건조되도록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그리고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균일한 코팅액이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코팅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정제 또는 과립으로서 위(stomach)에는 그대로 남아있고 소장에서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용성 코팅소재인 하이프로멜로스(hypromellos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사용하여 미리 준비된 과립이나 정제를 효과적으로 코팅한 장용성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팅 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장용성 건강기능식품의 효능과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먼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 공정 및 조립 공정 중 어느 공정으로 진행할지를 판단한다(S10).
상기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배합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한다. 배합 공정은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수행될 수 있다(S11).
또한, 배합 공정의 마지막 10분 동안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배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12). 이러한 부형제를 배합하면, 이후의 타정 공정에서 과립이나 정제의 형태로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다음, 배합한 재료나 조립한 재료를 호퍼(hopper)로부터 타정기의 회전반 위에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회전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유발(mortar)에 투입되는 재료를 상하 2조의 강철봉으로 압축하여 타정한다(S13). 타정하는 단계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정제 크기로서의 소정 크기로 성형하면서 수분함량 5% 이하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 타정 공정에서 부형제로써 포도당 또는 유당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를 코팅한다(S14). 코팅 단계에서 코팅 물질은 HPMC를 함유한 액상의 코팅액이다. 코팅하는 단계에서는, HPMC 농도 6~10%,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및 흡기 온도 28℃ 내지 40℃의 코팅 조건에서 상기 코팅 물질을 함유한 코팅액을 분무하여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루형태로 건조되도록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공정으로서, 코팅액 용기에 저장된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그리고 코팅액이 정제나 과립의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균일한 코팅액이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코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코팅 물질은 HPM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코팅 공정을 조금 변형할 수 있다. 그 경우, 코팅하는 단계에서는,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또는 디에틸 타르트레이트의 첨가제를 함유한 HPMC의 미세입자 분산액을 사용할 수 있다. 미세입자 분산액은 전체 용액 대비 HPMC 6중량% 내지 10중량%, 가소제 10중량%, 및 코팅용매로 구성될 수 있다.
코팅된 정제나 과립은 스틱 형태 등의 소정 모양의 포장 용기에 담겨 포장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의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조립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조립할 수 있다. 조립 공정에서는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혼합한 분말 혼합물에 물이나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조립할 수 있다(S21).
또한, 조립 공정의 마지막 10분 동안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22). 그 경우, 이후의 타정 공정에서 조립된 과립이나 정제의 성형 과정이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 조립한 재료를 호퍼(hopper)로부터 타정기의 회전반 위에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회전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유발(mortar)에 투입되는 재료를 상하 2조의 강철봉으로 압축하여 타정할 수 있다(S23).
그리고,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를 액상의 코팅 물질을 분무하여 코팅한다(S24).
전술한 단계들 중 일부 주요 단계들과 이들 단계들 사이에 부가할 수 있는 추가 공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료의 배합이나 조립하기 전에, 원료를 측량하여 준비하는 공정에서는, 장 내 세균의 일종인 유익균을 소정량 준비할 수 있다.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이루어진 미생물 또는 이를 혼합한 균과 균 또는 배양체를 배양시키기 위한 배지 및 보호제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가령 프로바이오틱스는 적정량을 섭취했을 때 숙주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며, 독성이 없이 비교적 안전하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만성 위염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를 사멸하거나 억제하는 효과도 뛰어나다. 또한 락토라실러스 플랜타럼 HY7714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과 피부 보습과 관련해 인정을 받았다.
또한, 락토라실러스는 과채유래 유산규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JLP133(L.plantarum CJLP133)을 포함하며, 이는 락토바실러스 속, 플랜타럼 종의 CJLP133이라는 이름의 균을 뜻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균주에 따라 콜레스트롤 수치 개선, 면역 질환 개선, 장 질환 및 변비나 설사 개선, 아토피 질환 개선, 유당 불내증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진다.
측량된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에서는, 준비된 다수의 유산균들을 미리 설정된 일정 비율로 배합한다. 배합 공정에서는 유산균 외에 말토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 자일리톨, 비타민 B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균질화할 수 있다. 배합 공정은,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약 24℃의 분위기에서 약 30분 내지 약 5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40분간 수행된다. 배합 과정에서는 부용제가 추가되어 약 10분간 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부용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부용제를 사용하면, 후속 타정 공정에서 우수한 타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원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지 않는다면, 이후의 타정 공정에서 함량 균일성과 경도 균일성과 같은 좋은 물성을 지닌 정제나 과립을 얻기 어렵다.
다음, 배합한 재료를 타정하는 공정에서는, 실온 내지 약 40℃의 온도 분위기에서 미세입자로 양호한 정제를 만들기 위해 장시간에 걸쳐 매우 느린 속도로 타정한다. 타정 공정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배합된 재료를 과립 혹은 정제 형태로 성형한다.
타정 공정은 건강기능식품의 과립 또는 정제 크기로서의 소정 크기와 수분함량 5% 이하, 경도 7㎏/㎡ 내지 15㎏/㎡, 깨짐 정도 0.2 내지 0.3로 성형되고, 부형제로써 포도당 또는 유당을 사용할 수 있다. 타정 공정에서 성형된 과립이나 정제의 경도는 경도 측정기(tablet tester 6D, Dr. Schleuniger, Thun,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정 공정 후의 과립 또는 정제는 건조실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이때, 과립 또는 정제는 이후의 코팅 공정에 적합한 표면 상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음,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를 코팅하는 공정에서는, 과립 또는 정제를 코팅기에 투입하고 코팅 소재를 함유한 액상 물질을 분무하여 과립 또는 정제를 코팅한다. 코팅 공정은 온도 55℃ 내지 65℃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액상의 코팅 물질을 분무하여 정제 500㎎ 당 2㎎의 용량의 코팅층이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장용 코팅층으로서, 코팅층의 재료는 상대적으로 저비용이나 제조 용이성을 위해 고밀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밀도의 구성을 위해 코팅층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수분을 머금게 되면 팽윤하는 특성을 가진 대표적인 고분자이다. HPMC는 그 분말입자 크기와 점도에 따라 용해도가 달라지는데, HPMC의 입자크기가 클수록 팽윤 속도 및 겔층 형성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또한, HPMC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겔의 강도를 상승시켜 수분의 침투를 어렵게 하며, 이는 수화되는 속도를 감소시키므로 약물의 방출을 늦어지게 한다. 따라서, HPMC를 이용한 정제시 약물방출속도를 조절하는데 가장 편리한 방법은 HPMC의 점도 등급을 적절히 조절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정제의 코팅제로는 장용성 기제인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PMC)를 사용하고, 필름 코팅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가소제로는 AMG(acethylated monoglycerid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코팅용매로는 발효주정(95%)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코팅액은 총 중량 500g으로 제조하고, 그 중 고형분이 HPMC의 사용량을 전체 용액의 중량대비 6%, 8%, 10%로 각각 변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용매로는 발효주정과 정제수를 85:15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코팅액의 제조는 발효주정과 정제수 혼합 용매를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하면서 HPMC와 AMG를 투입하여 2500rpm에서 한 시간 정도 더 교반하여 균질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코팅액을 정제의 표면에 분무하여 정제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코팅층을 위한 코팅액은 500㎎ 용량의 정제 당 2㎎이 사용되었다.
코팅층의 HPMC 농도, 흡기 온도, 코팅분사 액량이 정제의 코팅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필름 코팅기(Hi-coater, Freund Corporate)를 사용하였다. HPMC 농도 6, 8, 10%로 각각에 대하여 흡기 온도는 32, 35, 38℃로 각각 조절하고, 코팅분사 액량은 펌프로 7.5, 11.25, 15.0g/min으로 각각 조절하여 코팅층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코팅층의 균일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온 스퍼터 코팅기(ion suptter coater)로 금이온(gold-ion)을 코팅한 다음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100배율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코팅액의 분사 액량이 코팅 품질을 저하시키는 백색현상을 일으키는데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붕해시험은 건강기능식품공전에 기술되어 있는 붕해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제조된 정제를 인공위액과 인공장액에 6개씩 넣은 다음, 인공위액은 120분, 인공장액은 60분간 상하운동을 한 다음 관찰하여 정제의 용해를 관찰하였다. 사용한 인공위액은 염화나트륨 2.0g에 염산 7.0㎖과 물을 넣어 녹여 1L로 제조하였고(pH 1.2), 인공장액은 0.2mol/L 인산이수소칼륨시액 250㎖에 0.2mol/L과 물을 넣어 1L로 제조하였다(pH 6.8).
실험 결과, 백색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정제의 표면 코팅 시 표면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효주정과 정제수 혼합 용매를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하면서 HPMC와 AMG를 투입하여 2500rpm에서 한 시간 정도 더 교반하여 균질한 코팅액을 제조한 후,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흡기 온도 실온(28℃) 내지 40℃(바람직하게는 32~38℃), HPMC 농도 6~10%(바람직하게는 6~8%)의 코팅 조건에서 코팅액을 분무하여 정제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가루형태로 건조되어 정제 표면에 부착되도록 에어 스프레이(air spray)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혹은 정제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균일한 코팅액이 정제 표면에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과립 또는 정제가 위에서는 형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소장에서 녹아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정 용량의 스틱 용기로 포장되어 건강기능식품 스틱 용기로서 사용자가 1일 적정량을 사용하는데 용이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 공정 및 조립 공정 중 어느 공정으로 진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합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배합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립 공정으로의 진행이 결정되면,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혼합한 분말 혼합물에 물이나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조립하는 단계;
    배합한 과립이나 조립한 과립을 호퍼(hopper)로부터 타정기의 회전반 위에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회전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유발(mortar)에 투입된 상기 과립을 상하 2조의 강철봉으로 압축하여 타정하는 단계; 및
    타정된 과립 또는 정제를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립 또는 정제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하는 단계는, 상기 원료에 자일리톨과 비타민 B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하여,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고, 배합 공정의 마지막 10분 동안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배합하고,
    상기 타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정제 크기로서의 소정 크기와 수분함량 5% 이하를 갖도록 성형되고, 부형제로써 포도당 또는 유당을 사용하며,
    상기 코팅 물질은 HPMC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HPMC 농도 6~8%,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및 흡기 온도 32℃ ~ 38℃의 코팅 조건에서 상기 코팅 물질을 함유한 코팅액을 분무하여 정제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정제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루형태로 건조되도록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혹은 상기 정제의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균일한 코팅액이 상기 정제의 표면에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코팅 환경을 유지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또는 디에틸 타르트레이트의 첨가제를 함유한 상기 HPMC의 미세입자 분산액을 사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 분산액은 전체 용액 대비 HPMC 6중량% 내지 10중량%, 가소제 10중량%, 및 코팅용매로 구성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00041404A 2020-04-06 2020-04-0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16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404A KR102163637B1 (ko) 2020-04-06 2020-04-0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404A KR102163637B1 (ko) 2020-04-06 2020-04-0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637B1 true KR102163637B1 (ko) 2020-10-08

Family

ID=7289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404A KR102163637B1 (ko) 2020-04-06 2020-04-0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6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34A (ja) * 1990-06-07 1992-02-12 Asahi Breweries Ltd 腸溶性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乳酸菌錠剤
KR20160097902A (ko) * 2015-02-10 2016-08-18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종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종 유산균 타블렛 제조방법
KR101973333B1 (ko) 2016-08-12 2019-04-29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077705A (ja) * 2013-03-14 2019-05-23 セラバイオーム,エルエルシー プロバイオティクス生物及び/又は治療剤の標的化胃腸管デリバリー
JP2019135226A (ja) * 2017-09-20 2019-08-15 大原薬品工業株式会社 腸溶性被覆顆粒の耐酸性が改善された圧縮成形製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34A (ja) * 1990-06-07 1992-02-12 Asahi Breweries Ltd 腸溶性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乳酸菌錠剤
JP2019077705A (ja) * 2013-03-14 2019-05-23 セラバイオーム,エルエルシー プロバイオティクス生物及び/又は治療剤の標的化胃腸管デリバリー
KR20160097902A (ko) * 2015-02-10 2016-08-18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종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종 유산균 타블렛 제조방법
KR101973333B1 (ko) 2016-08-12 2019-04-29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135226A (ja) * 2017-09-20 2019-08-15 大原薬品工業株式会社 腸溶性被覆顆粒の耐酸性が改善された圧縮成形製剤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413B1 (ko)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 제재
US8697126B2 (en) Compositions for enternal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CN108368474A (zh) 没有或几乎没有糖的稳定的干组合物
EP2401925B1 (fr) Produit prebio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2483912B1 (ko)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EP1063976A1 (en) Tarch capsules containing microorganisms and/or polypeptides or protein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m
Harel et al. Protection and delivery of probiotics for use in foods
BE1026585A1 (fr) Procédé et application de préparation d'une matière première alimentaire médicale pour les tumeurs malignes du varech fermenté à l'aide de probiotiques
KR102163637B1 (ko)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2020501551A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細菌を配合したグリセリンベースおよびタンパク質ベースのフォームキャンディー製品
CA2330390C (en) Sugar coated tablets
JP5940869B2 (ja) 腸内環境改善有核錠製剤及びハードカプセル製剤
KR102167931B1 (ko)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4651345B2 (ja) コラーゲン含有製剤の製造方法
JP2612001B2 (ja) 腸内有用細菌含有顆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51872B2 (ja) 腸溶性糖衣錠
JP2016193893A (ja) 生菌製剤
JP2004250338A (ja) 有用生菌製剤
CN101410127B (zh) 口腔速崩片
JP2018158947A (ja) 生菌含有製剤
AU2021102578A4 (en) Biopolymer nanosphere containing nadh,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TWI302914B (en) Nonreducing β-glucan derivative
JP2010280601A (ja) キシロオリゴ糖高含有錠剤
RU21490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JP2023020095A (ja) 腸溶性固形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