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387B1 - 해충 퇴치기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387B1
KR102163387B1 KR1020190008276A KR20190008276A KR102163387B1 KR 102163387 B1 KR102163387 B1 KR 102163387B1 KR 1020190008276 A KR1020190008276 A KR 1020190008276A KR 20190008276 A KR20190008276 A KR 20190008276A KR 102163387 B1 KR102163387 B1 KR 10216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flower
unit
bu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239A (ko
Inventor
이권진
손준호
김영세
손지호
문인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3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꽃 봉우리 형태에서 빛에 의해 꽃이 개화되는 형상으로 작동되며, 꽃잎에 태양광 패널이 형성되어, 자연 광에 의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고주파 및 향을 분사하여 해충의 퇴치 효과가 우수하며, 해충의 퇴치를 위한 향은 천연물 유래 향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의 기호도가 높은 향으로의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충 퇴치기{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본 발명은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주파수 및 향을 분사하여 해충을 퇴치 효과가 우수한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뎅기열, 황열병, 말라리아, 사상충 등과 같은 많은 질병들을 매개하는 위생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곤충이다. 이러한 모기로부터 인간을 보호할 목적으로 곤충 기피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곤충 기피제는 흡혈성 절지동물들로부터 인간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피제는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과의 접촉 위험성을 줄이 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파리, 모기 및 바퀴벌레 등을 비롯한 각종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살충제 등의 독극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충제 등의 독극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해충을 살상함은 물론 인체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례로써, 가장 흔히 사용되는 모기향은 국화꽃의 일종 인 제충국에서 얻은 프랄레트린, 알레트린 등을 합성한 피레트로이드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모기향은 연소시 한 개당 담배 2 내지 22 개비에 해당하는 포름알데히드와 41 내지 56 개비에 해당하는 미세 번지를 방출하고 있다.
이러한 모기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트형 또는 액체 전자 모기향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모기향 역시 주재료로 피레트로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손발저림, 두통 또는 비염 등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모기 등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사람들이 청취할 수 없는 초음파에 의해 해충을 퇴치하는 해충 퇴치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는 시정수를 가변 저항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한 발진용 타이머 IC에서 증폭하여 특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형식이다.
고주파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의 경우,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고주파를 발생시켜, 해충 퇴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나, 고주파에 의한 미미한 노이즈가 존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베터리의 사용에 따라 전원 공급이 필요한 불편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고주파와 더불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물 유래 향을 이용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높이고, 해충 퇴기 기능 이외에 시각적으로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552812 B1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꽃 봉우리 형태에서 빛에 의해 꽃이 개화되는 형상으로 작동되며, 꽃잎에 태양광 패널이 형성되어, 자연 광에 의한 전력 공급이 가능한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고주파 및 향을 분사하여 해충의 퇴치 효과가 우수하며, 해충의 퇴치를 위한 향은 천연물 유래 향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의 기호도가 높은 향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일단에 형성된 꽃봉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꽃봉오리부는 자외선에 따라 꽃이 개화된 형상으로 피거나 꽃봉오리 형상으로 변형되며, 상기 몸체부는 해충 퇴치를 위한 고주파 발생부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꽃봉오리부는 꽃부리부 및 암술대부를 포함한다.
상기 꽃부리부는 다수의 꽃잎부로 구성되며, 상기 꽃잎부의 내측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판이 형성되며, 상기 꽃잎부의 외측는 LED 조명이 형성된다.
상기 꽃잎부의 외측은 LED 조명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며, 자외선의 유무에 의해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꽃잎부의 외측은 관절 홈이 형성되어, 꽃잎부가 자외선에 따라 개화된 형상으로 변화 시, 외측으로 휘는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암술대부는 일단에 LED 조명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베터리부;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를 변형시기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 제어, 고주파 발생 및 해충 퇴치 향의 분사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외부 전원 공급원과 연결 가능하여 베터리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터리부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 구동부, 제어부, LED 조명, 고주파 발생부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의 가동을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꽃봉오리부 및 제어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에 의하면, 꽃 봉우리 형태에서 빛에 의해 꽃이 개화되는 형상으로 작동되며, 꽃잎에 태양광 패널이 형성되어, 자연 광에 의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고주파 및 향을 분사하여 해충의 퇴치 효과가 우수하며, 해충의 퇴치를 위한 향은 천연물 유래 향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의 기호도가 높은 향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봉오리부의 형상 변화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잎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잎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에 대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에 대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 (firm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또는 하 드웨어 (hardware) 로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 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 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봉오리부의 형상 변화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기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형상 변화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대(200) 및 상기 지주대(200)의 일단에 형성된 꽃봉오리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의 첫 번째 형상은 꽃봉오리부(300)가 꽃봉오리 형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외선이 없을 때의 모습을 의미한다. 즉, 해가 진 저녁 및 밤에는 꽃봉오리 형상으로 존재해서, 내부로 먼지 등이 가라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꽃봉오리부(300)의 외측은 LED 조명(311)이 형성됨에 따라, 수면등으로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 해가 뜨기 시작해서, 자외선이 본 발명의 해충퇴치기로 전달되면, 서서히 꽃이 개화되는 형상으로 피어나기 시작한다. 도 1은 시간의 경과, 즉 자외선의 전달 정도에 따라 꽃이 개화되는 형상을 시간의 순서대로 표현한 것이다.
도 1의 세번째 형상은 꽃봉오리부(300)가 완전히 꽃의 형태로 개화된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꽃의 형태에 대한 상세한 형상은 도 2와 같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해충퇴치기는 일반적인 해충퇴치기와 달리, 화분에 꽃을 심은 듯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식물이 존재하고, 해충 퇴치기가 실내에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내부 인테리어 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해충 퇴치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대(200); 및 상기 지주대의 일단에 형성된 꽃봉오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감지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자외선이 감지되면, 해당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미도시)는 꽃봉오리부(300)의 형상 변화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해충 퇴치를 위한 고주파 발생부(미도시)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미도시)는 몸체부(100)의 일면에 스피커를 포함하는 형태로 포함하고 있어, 고주파 발생부(미도시)에서 발생된 고주파는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고주파는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노이즈를 출력하는 것으로, 주파수고 높은 소리로,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미미한 노이즈가 존재하게 된다.
즉, 고주파로만 해충을 퇴치하는 퇴치기의 경우, 소리에 민감한 사용자에게는 미미한 노이즈 자체로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고주파로만 해충을 퇴치하는 경우, 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장 시간 고주파를 출력해야되고, 미미한 노이즈라 하더라도 장시간 동일한 소리에 노출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것이 아닌,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향을 분사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높이고, 고주파의 사용을 제한하여, 미세한 노이즈의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를 출력함과 동시에 해충 퇴치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향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즉, 고주파를 출력함으로 인해, 단시간의 해충 퇴치 효과를 발생하고, 동시에 천연물 유래 향을 분사함으로써, 실내 환경에서 해충 퇴치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향이 잔존하게 됨으로써, 장시간 해충 퇴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장시간 동안 고주파를 출력하지 않더라도, 해충 퇴치 향을 이용함에 따라 그 효과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충 퇴치 향은 몸체부 내부에 보관함(미도시)에 액체 형태로 보관되어, 스프레이 분사부(미도시)를 통해 몸체부(100)의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미도시) 및 스프레이 분사부(미도시)는 당업자 수준에서 선택 가능한 구성을 이용하여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퇴치 향은 천연물 유래 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민트, 라벤더, 로즈제라늄, 애플제라늄, 레몬제라늄, 로즈마리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허브 추출물;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로즈제라늄 추출물,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 추출물은 향 자체로 인해 사용자의 기호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해충이 싫어하는 향으로 해충 퇴치 효과가 매우 우수한다. 이 중, 로즈제라늄 추출물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장미향을 느낄 수 있는 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즈제라늄 향의 경우, 잡냄새 제거 효과도 우수하여, 해충 퇴치 효과와 더불어 잡냄새 제거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graveolens)은 쥐손이풀과(Geran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 소경을 추출하여 사용된다. 프랑스를 포함하여 유럽 각지에서 생산되지만 최근에는 아프리카가 로즈제라늄 기름의 주산지가 되었다. 담황색의 액체로 장미와 비슷한 향기로운 냄새를 가지며, 정유성분은 게라니올(geraniol) 등을 함유한다. 주로 화장품, 비누 및 향료 등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 용매는 50 내지 99%(v/v) 에탄 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용매가 물인 경 우에는 열수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가 알콜인 경우에는 환류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및/또는 분획 부위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로즈제라늄의 식물 전체, 잎, 열매 등으로 이 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추출과정을 수행한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분획 시 용매는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추출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온도는 4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일 수 있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분 내지 2000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과정은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하거나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농축할 수 있으며, 감압 여과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감압 여과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한 저온 감압 농축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는 동결건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예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에탄올 희석수를 가하여 환류추출한 후에, 얻어진 추출액을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진공감압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허브 추출물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해충 퇴치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해충 퇴치기는 장 시간 해충 퇴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허브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향이 잔존함을 느끼는 정도에서 해충 퇴치 효과가 나타남은 확인이 가능하지만, 그 효과가 장시간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하여, 허브 추출물만을 사용하였을때와 비교하여 해충 퇴치 효과가 상승되고, 더 나아가, 장시간 해충 퇴치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다른 허브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 로즈제라늄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 시,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여, 우수한 해충 퇴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는 목련목 목련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함박꽃은 잎이 나온 후 가지 끝에 흰색의 꽃이 밑을 향해 피는데 양성화로 꽃잎은 6 내지 9개이다. 꽃의 지름이 일반적인 목련 종류에 비해 작고 꽃이 수그린 채 피는 게 특징이다.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이다. 수국은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중성화로 6 내지 7월에 피며 10 내지 15cm 크기이고 산방 꽃차례로 달린다. 민간에서는 수국의 꽃을 말려 해열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에,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퇴치 향은, 로즈제라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함박꽃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수국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중량 범위 내에서 우수한 해충 퇴치, 잡냄새 제거 효과가 나타남과 동시에, 장시간 해충 퇴치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꽃봉오리부(300)는 다수의 꽃잎부(310)를 포함하는 꽃부리부 및 암술대부(310, 320)를 포함한다.
상기 암술대부(310, 320)는 암술대(310)의 일단에 LED 조명(32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LED 조명(320)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상기 꽃부리부는 다수의 꽃잎부(310)로 구성되며, 상기 꽃잎부(310)의 내측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판(340)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은 LED 조명(311)이 형성된다.
꽃봉오리부(300)는 꽃이 개화되기 전의 꽃봉오리 형태로 있을 때는 사용자는 꽃봉오리부(300)의 외측면을 보게되고, 이때 외측면을 구성하는 것은 꽃잎부(310)의 외측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꽃봉오리부(300)가 꽃봉오리 형태 또는 꽃이 개화된 형태로 변화하게 되는 바, 태양광이 없을 때, 즉 저녁 및 밤에는 꽃봉오리 형태이다.
이때, 해충 퇴치기를 수면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꽃봉오리 자체가 조명으로 이용될 수 있게, 꽃잎부(310)의 외측에 LED 조명(311)이 형성된다.
즉, 해충 퇴치기로 해충 퇴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별도의 조명등을 구매할 필요 없이, 꽃봉오리가 조명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면등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에 형성된 LED 조명(311)은 자외선의 유무에 의해 색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조명(311)은 자외선이 없는 경우에는 보통 수면등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수면에 방해되지 않는 조명 색으로 발광하게 되고, 자외선이 있는 경우에는 간접등과 같은 형태로 인테리어용 조명으로 이용하기 위해 밝은 색으로 발광하게 된다.
이는 사용 상태 및 환경에 맞는 색상으로 발광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는 꽃잎부(310)의 내측면에 태양광을 흡수한느 태양광판이 형성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여, 이를 본체부(100) 내에 포함된 베터리부(미도시)로 전달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해충 퇴치기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해충 퇴치기는 외부 전원 공급 또는 건전지와 같은 베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이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꽃봉오리 형태의 꽃봉오리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꽃봉오리부(300)는 다수의 꽃잎부(310)로 구성되며, 상기 꽃잎부(310)의 내측에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판(340)을 형성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베터리(미도시)에 충전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자체적으로 전력 수급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외부 전원 공급에 의한 작동을 제한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 센서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태양광이 존재할 때는 꽃이 개화된 형태로 꽃잎부(310)가 형상이 변화되어, 최대한으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반대로 태양광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꽃봉오리 형태로 형상이 변화되어 태양광을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태양광판(340)에 쌓이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태양광판의 경우,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이용되고, 이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태양광판에 쌓이게 되어 전력 생산 효율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때와, 전력을 생산하지 않을 때를 구별할 수 있도록 자외선 센서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자외선 센서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자외선이 감지되면, 상기 정보가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꽃봉오리부(300)가 개화되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상 변화에 의해, 태양광에 의한 전력 생산 시에는 최대한의 표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꽃잎부(310)과 외측으로 완전히 휘어진 형태로 변화하게 되고, 반대로 전력 생산이 불가한 경우에는 꽃봉오리 형태로, 꽃잎부(310)가 내측으로 말리는 형태로 변화되어, 먼지 등이 태양광판(340)에 쌓이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꽃봉오리부(300)의 형상 변화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형성이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미도시)는 몸체부 내에 형성되며, 지주대(200)를 통해 꽃봉오리부(300)와 연결되어 형상 변화를 가능ㅎ아게 한다.
상기 구동부(미도시)는 서보모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구동부(미도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잎부(31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꽃잎부(310)은 꽃봉오리 형태일 때는 도 3과 같은 형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외측에 LED 조명(31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태양광판(340)이 형성된다. 또한, 외측에 관절 홈(3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절 홈(312)는 꽃잎부(310)가 꽃이 개화된 형태로 변화하기 위해, 외측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변경 시, LED 조명(311)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꽃 잎과 유사한 형태로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즉, 꽃봉오리부(300)를 구성하는 꽃잎부(310)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PLA(Poly lactic acid) 필라멘트 또는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재는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쉽게 선택 가능한 소재는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소재를 이용하여 꽃봉오리부(300)를 제조하고, 이를 꽃이 개화하는 형태로 변형하기 위해, 소재 자체가 내측 및 외측으로 쉽게 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유연성이 꽃의 개화를 나타낼 정도로 변형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꽃잎부(310)의 외측에 관절 홈(312)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 홈(312)에 의해 외측으로 굽는 형태로 변형시키더라도 형상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형상 변화를 위해, 상기 꽃잎부(310)의 내측에 실과 같은 구동 선을 포함시키고, 상기 구동 선을 구동부(미도시)와 연결하여,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구동 실의 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되고, 이러한 조절에 의해 꽃잎부(310)가 꽃이 개화하는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베터리부(미도시);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를 변형시기기 위한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 제어, 고주파 발생 및 해충 퇴치 향의 분사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에 대한 기능 블록도로, 자외선 감지 센서부에 의해 자외선 존재 유무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LED 조명 제어, 해충 퇴치 향 분사, 고주파 발생 및 꽃봉오리부 형태 변화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해충 퇴치기의 작동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부(미도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전원 공급에 의해 베터리부(미도시) 내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태양광판에 의해 생산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측에 외부 전원 공급원과 연결 가능하여 베터리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연결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0)는 USB 커넥터로 구성되며,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 공급원에 의해 베터리부(미도시) 내의 베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태양광에 의해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충분한 정도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경우, 외부 전원 공급원에 의한 베터리 충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기상환경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에 의한 베터리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충 퇴치기의 사용이 필요하거나, 밤 새 수면등으로의 사용을 위해서,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11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과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베터리부(미도시) 내의 베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태양광 또는 외부 전원 공급원에 의해 충전된 베터리부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미도시), 구동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LED 조명(311, 330), 고주파 발생부(미도시)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미도시)의 가동을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가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당업자에 의해 베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충 퇴치기를 구성하는 구성부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0)는 꽃봉오리부(300) 및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부(120)는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대한 on/off를 조절할 수 있고, LED 조명(311, 330), 고주파 발생부(미도시) 및 해충 퇴치 향의 분사부(미도시)에 대한 작동 제어를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히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조예: 천연물 유래 해충 퇴치 조성물의 제조]
1. 로즈제라늄 추출물의 제조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graveolens)을 건조기에 넣고 70℃로 48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로즈제라늄 시료를 동력절단기를 이용하여 1cm 크기 이하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로즈제라늄 1kg을 에탄올 2ℓ에 침적한 후, 상온에서 48시간 추출하였다.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로즈제라늄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해충 퇴치 조성물의 제조
상기 로즈제라늄 추출물,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에 주정용 95% 발효알콜 및 계면활성제(트윈 20)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로즈레라늄 100 100 100 100 100
함박꽃 20 30 40 50 60
수국 5 10 20 30 40
발효알콜 10 10 10 10 10
계면활성제 3 3 3 3 3
(단위 중량부)
[실험예: 해충 퇴치 효과]
본 발명에 퇴치 검정용으로 사용한 에집트숲모기(Aedes aegypti)는 사육실에서 살충제나 그 외 어떠한 약제에도 노출된 적이 없는 실내 사육충들 만을 선택하여 이용하였다.
모기 퇴치효과를 보다 확실히 조사하기 위하여 피부노출법을 이용하였다. 피부노출법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실험자들의 피부에 직접 처리한다.
검정용 케이스는 35×35×35㎤의 철사 구조물에 그물망을 씌운 것을 이용하였 다. 각 용기에 우화한지 7 내지 10일이 지난 에집트숲모기 암컷 240 개체를 넣어 평가하였다. 에탄올 50㎕에 용해시킨 시험 약제를 준비하였다.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고무장갑의 손등 부분을 지름 5cm가 되는 구멍이 뚫어, 구멍 으로 노출된 피부에 시료가 골고루 묻도록 시험 약제를 직접 처리하였다. 2분간 자연 건조시키고 2분간 준비된 망 내의 모기 성충에 노출하였다.
먼저 에탄올만을 처리한 대조예를 망 내의 모기들에 노출하고 노출된 구멍 속에서 흡혈행동을 보이는 모기 성충들의 개체수를 2분간 실셈한 후 1분간 휴식하고 나서 시료가 처리된 손을 망 내에 넣어 2분간 노출시키고 무처리구와 동일하게 성충들의 개체수를 실셈하였다.
1회 30분 이상의 시간 동안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4회 이상 반복실험을 통하여 조성물 A의 퇴치력과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퇴치율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퇴치율(%)=(대조예의 흡혈 모기수-실시예의 흡혈 모기수)/대조예의 흡혈모기수×10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5분 16.2 74.1 80.1 76.2 45.4
11분 9.1 70.6 77.8 73.1 41.2
21분 6.2 51.5 70.2 67.2 35.3
31분 0.1 42.5 62.4 59.4 15.2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2 내지 4에서 30분이 경과한 시점에도 매우 우수한 퇴치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몸체부
110: 연결부
120: 제어 스위치부
200: 지주대
300: 꽃봉오리부
310: 꽃잎부
311: LED 조명
312: 관절 홈
320: 암술대
330: LED 조명
340: 태양광판

Claims (10)

  1.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일단에 형성된 꽃봉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꽃봉오리부는 자외선에 따라 꽃이 개화된 형상으로 피거나 꽃봉오리 형상으로 변형되며,
    상기 몸체부는 해충 퇴치를 위한 고주파 발생부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충 퇴치향은 로즈제라늄 추출물, 함박꽃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봉오리부는 꽃부리부 및 암술대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꽃부리부는 다수의 꽃잎부로 구성되며,
    상기 꽃잎부의 내측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판이 형성되며,
    상기 꽃잎부의 외측는 LED 조명이 형성되는 것인
    해충 퇴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부의 외측은 LED 조명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며,
    자외선의 유무에 의해 색상이 변경되는 것인
    해충 퇴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부의 외측은 관절 홈이 형성되어, 꽃잎부가 자외선에 따라 개화된 형상으로 변화 시, 외측으로 휘는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해충 퇴치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술대부는 일단에 LED 조명이 형성된
    해충 퇴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베터리부;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를 변형시기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꽃봉오리부의 형태 제어, 고주파 발생 및 해충 퇴치 향의 분사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외부 전원 공급원과 연결 가능하여 베터리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터리부는 자외선 감지 센서부, 구동부, 제어부, LED 조명, 고주파 발생부 및 해충 퇴치향을 분사하는 분사부의 가동을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꽃봉오리부 및 제어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KR1020190008276A 2019-01-22 2019-01-22 해충 퇴치기 KR10216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76A KR102163387B1 (ko) 2019-01-22 2019-01-22 해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76A KR102163387B1 (ko) 2019-01-22 2019-01-22 해충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39A KR20200091239A (ko) 2020-07-30
KR102163387B1 true KR102163387B1 (ko) 2020-10-08

Family

ID=7183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76A KR102163387B1 (ko) 2019-01-22 2019-01-22 해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321B (zh) * 2021-05-20 2023-05-30 中广核新能源(宣城)有限公司 一种线路防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82Y1 (ko) * 2003-10-09 2004-01-24 최경묵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KR200442229Y1 (ko) * 2007-05-25 2008-10-20 김석우 방향 해충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36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살선충용 및 선충 살란용 조성물
KR20110029463A (ko) * 2009-09-15 2011-03-23 강진희 향 분사 화분
KR101552812B1 (ko) 2015-05-08 2015-09-11 김시조 장식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기퇴치캡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82Y1 (ko) * 2003-10-09 2004-01-24 최경묵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KR200442229Y1 (ko) * 2007-05-25 2008-10-20 김석우 방향 해충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39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20200123209A (ko) 해충 기피제, 및 해충 기피 제품
KR20150134947A (ko)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KR102163387B1 (ko) 해충 퇴치기
CN107568013A (zh) 一种构建芳香环境的芳香植物处理方法及应用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CN101878787B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08978A (zh) 一种防治大棚番茄灰霉病的烟剂及其制备方法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20170057693A (ko) 바디워시용 모기퇴치제
KR20120014536A (ko)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KR102330433B1 (ko) 자가 충전식 모기 기피 장치
KR100445562B1 (ko)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6158A (ko) 모기퇴치 기능을 구비한 비누 제조방법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CN112335698A (zh) 一种防蚊驱虫香包及其制作方法
AU2009100988A4 (en) Nature's Mothballs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KR101043182B1 (ko) 향수
RU2218762C1 (ru) Ловушка для насекомых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JP2005281153A (ja) 高機能多孔質物質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19990064461A (ko) 모기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물-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