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45B1 -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 Google Patents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545B1
KR102162545B1 KR1020200036604A KR20200036604A KR102162545B1 KR 102162545 B1 KR102162545 B1 KR 102162545B1 KR 1020200036604 A KR1020200036604 A KR 1020200036604A KR 20200036604 A KR20200036604 A KR 20200036604A KR 102162545 B1 KR102162545 B1 KR 10216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ork
clip
indirect live
acu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45B1/ko
Priority to PCT/KR2021/002221 priority patent/WO20211941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기에 형성되어 전력 전선의 파지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전선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슬라이딩 작동 및 스프링 탄성에 의한 상,하부 전선그립퍼 작동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로 활선상태의 전력 전선과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간편하게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전선의 하중을 받는 상,하부 전선그립퍼를 블록화 구성 및 상하부가 대칭되도록 "八"자 형태로 예각을 이루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간접 활선 작업으로 전선의 충분한 지지력 확보 및 안정된 파지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 내구성의 향상과 성능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간편한 슬라이딩 작동 구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간편한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와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키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전선을 파지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사이를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탈 방지판이 차단하여 전선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한 간접 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Electric wire clip and wire fixing method for indirect live wire work}
본 발명은 장선기에 형성되어 전력 전선의 파지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전선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선기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며,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한 원터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전선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작업은 전선로에 송전을 계속하면서 실시하는 선로 작업을 말한다. 활선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송배전 설비와 같이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수행되며, 활선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전선로의 활선작업은 애자 등의 전선로 구성 부품을 점검, 수리, 교체, 청소하는 작업 등이 있으며, 직접 활선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간접 활선작업은 핫스틱 등의 절연공구를 사용하여 간접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간접 활선작업은 안전성이 있는 반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직접 활선작업은 절연된 버켓 안에서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착용한 후 활선 상태에서 직접 접촉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직접 활선작업은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절약되는 반면, 감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종종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산업현장의 안전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면서 2016년 이후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직접활선 폐지를 선언하여, 간접활선을 하기 위한 공구의 해외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개발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활선작업에 있어서 장선기의 활용도가 높다. 장선기는 활선작업에 있어서 적당한 딥(dip)을 취하기 위해서 전선을 당길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특히,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접활선용 장선기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장선기의 일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179056호, 실용신안등록 제20-03553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선기는 후크를 갖는 장선기 고정구와, 장선기 고정구의 하측에 연결되고 드럼을 갖는 와이어 권취구와,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 장선기 벨트와,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드럼과 동축 연결되고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라쳇 휠과, 라쳇 휠이 배치된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라쳇 휠에 치합되는 라쳇과, 라쳇 휠과 동축 연결되어 라쳇 휠 및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과, 와이어 장선기 벨트의 자유단 측에 연결되고 전선이 물리는 전선 물림구(클립)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클립들은 중량이 무겁고 공정이 복잡하여 노동 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간접 활선 작업으로 현장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대부분 장선기 벨트의 당김력에 의한 힌지 회동 구조를 통해 전선의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부득이 작업자가 전력 전선과 근접한 상태에서 핸들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였으며, 작업자가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실제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선기의 클립은 링크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상당한 하중을 지지하는 특성상 그 내구성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선의 고정 및 파지를 위해 직접 수동 조작의 반복된 작업을 수행하여 하는 것인바, 그 작업이 직접활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당히 위험하고 불편하여 작업자의 피로도 누적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79056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5330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5-00657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 작동 및 스프링 탄성에 의한 상,하부 전선그립퍼 작동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로 활선상태의 전력 전선과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간편하게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선의 하중을 받는 상,하부 전선그립퍼를 블록화 구성 및 상하부가 대칭되도록 "八"자 형태로 예각을 이루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간접 활선 작업으로 전선의 충분한 지지력 확보 및 안정된 파지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 내구성의 향상과 성능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간편한 슬라이딩 작동 구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간편한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와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키기 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선을 파지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사이를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탈 방지판이 차단하여 전선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한 간접 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장선기에 결합되어 전선의 파지가 가능한 클립에 있어서,
중앙에는 수평 방향 길이를 이루는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대칭되도록 한 쌍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클립 바디;
상기 슬라이드공에 장착되어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 및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이동부재;
상기 클립 바디의 일측면에서 탄성 이동부재와 연결 장착되어 탄성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상,하부 가이드핀을 통해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을 관통 연결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슬라이더;
클립 바디의 타측면에서 상기 각각의 상,하부 가이드핀이 관통 연결되도록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고, 대응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어 전선의 파지 및 해지를 단속하는 상,하부 전선그립퍼; 및
상기 클립 바디와 슬라이더에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단속하는 양측 한 쌍의 작동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클립 바디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좁아지는 간격을 이루게 경사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가 일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가 서로 벌어져 사이에 전선의 수용이 가능하고, 타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가 서로 좁혀져 닫힘 작동에 의한 전선의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하며,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간접활선 작업 과정에서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시 전선을 잡아 고정하되,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장선기 연결구를 통해 장선기에 결합하는 작업 준비공정;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이 결합된 장선기를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전주의 완철에 설치된 걸쇠나 로프, 데드엔드클램프에 설치하는 장선기 설치공정; 및
장선기에 설치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상,하부 전선그립퍼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 고정 및 그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전선 고정공정; 및
간접활선 작업 후,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전선 고정력을 해제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전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은, 소형 경량화로 공정이 단순화 되고,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작동핀의 작동 및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가능한 것인바, 활선 상태의 전력 전선과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간편하게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선을 파지 지지하는 상,하부 전선그립퍼가 블록 형태로 구성 및 쐐기식 가압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간접 활선 작업으로 충분한 파지력의 부여와 하중 지지력이 확보되는 등 내구성의 향상과 이에 따른 전선의 안정된 파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八"자 형태로 예각을 이루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을 따라 작동핀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한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벌림 작동과 스프링 탄성에 의한 오므림 파지 작동되게 구성된 것인바, 소형 경량화 되어 공정이 단순화 되어 그 간접 활선 작업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덜어주며, 나아가 작업 시간이 현격히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전선그립퍼를 이용하여 전선을 파지 고정하는 과정에서 그 상,하부 전선그립퍼의 사이를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탈 방지판이 차단하여 전선의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파지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상,하부 전선그립퍼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전체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작업 준비공정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작업 준비공정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장선기 설치공정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장선기 설치공정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그립퍼 벌림공정 간략도.
도 12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전선 고정공정 간략도.
도 13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전선 고정공정에서의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에 의한 전선 고정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분리상태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상,하부 전선그립퍼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배전선로에서 간접활선 작업으로 활선 상태의 배전선로 전전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의 과정에서 장선기를 이용할 때 전선을 파지 고정하기 위해 장선기에 결합 사용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클립 바디(100)와, 장선기 연결구(200)와, 탄성 이동부재(300)와, 슬라이더(400)와,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와, 작동핀(600)(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클립 바디(100)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도면상 수직 형태를 이루며 일측(도면상 좌측)으로부터 타측(도면상 우측)에 이르게 길이를 이루며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판체형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클립 바디(100)에는 먼저, 그 일측에는 통상의 장선기(도면중 미도시함) 등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연결구 결합공(101)이 관통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클립 바디(100)에는 그 상하방향 중앙에는 수평방향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드공(110)이 구성된 것으로, 슬라이드공(110)은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타측에 이르는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클립 바디(100)에는 상기 슬라이드공(110)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후술하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이 각각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은 서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곡률을 이루며 좁아지는 간격을 이루는 "八"자 형태의 예각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일측에 위치시에는 서로 벌어지고, 타측에 위치시에는 서로 좁혀져 닫힌 상태를 이루게 안정된 작동을 안내한다.
상기 탄성 이동부재(300)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슬라이드공(110)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더(400)의 이동 및 탄성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탄성 이동부재(300)는 사각 블록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기 슬라이드공(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일측이 슬라이더(400)가 결합되어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이동부재(300)는 슬라이더(400)가 결합되는 반대측에는 단턱 구성을 통해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가이드판(301)을 결합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이동부재(300)는 그 일측에 상기 슬라이드공(110)의 내측에서 수평 고정되어 후술하는 복귀스프링(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핀(310)이 관통 구성된다.
또한, 탄성 이동부재(300)는 그 일측단에 상기 이탈 방지핀(310)을 감싸면서 클립 바디(100)에 탄설되는 압축스프링 형태의 복귀스프링(320)이 구성된 것으로, 이에 탄성 이동부재(300)는 복귀스프링(320)의 복귀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공(110)의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며, 이때 복귀스프링(320)은 이탈 방지핀(310)에 의해 슬라이드공(110)의 측면으로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작용하게 된다.
즉, 탄성 이동부재(300)는 슬라이더(400)의 이동을 안내하여 일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벌어지고, 탄성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시 서로 좁혀져 닫힘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탄성 이동부재(300)와 함께 이동되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벌어짐과 좁혀짐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400)는 "ㅓ"자 형태를 이루는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클립 바디(100)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형성되며, 일측 중앙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부(420)가 돌출 구성되어 상기 탄성 이동부재(300)와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되어 탄성 이동부재(300)와 함께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더(400)에는 타측 상부 및 하부에 수직방향 길이를 이루는 대칭형 상하 한 쌍의 상,하부 장공(430)(430')이 각각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 장공(430)(430')에는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이 관통 및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관통하여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슬라이더(400)는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좌우 이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외력을 부여하여 일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벌림과 함께 탄성 이동부재(300)의 복귀스프링(320)의 압축력을 부여하여 탄성이 저장되게 하고, 외력을 해제시 복귀스프링(320)의 탄성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 및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좁혀짐 작동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400)가 좌우 이동시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은 곡률을 이루면서 경사 구성된 것인바, 그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따라 안내 이동되는 상,하부 가이드핀(410)(410') 또한 곡률을 따라 경사 이동되는 것인바, 이때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은 상,하부 장공(430)(430')의 상하 위치 변경에 의해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400)와 함께 좌우 이동되어 전선의 전선의 파지 및 해지를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상기 슬라이더(400)와 대칭되도록 상기 클립 바디(100)의 타면에에 슬라이딩 형성되되, 각각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이 관통 연결되어 슬라이더(400)와 함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에는 서로 대응면에 요철(510)이 더 형성된 것으로, 그 요철(510)에 의해 전선을 파지시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슬라이더(400)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의 일측에 위치시에는 서로 벌어져 전선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고, 타측으로 이동시 서로 좁혀져 전선의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전선을 파지시 그 회전이 방지 및 안정된 전선의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에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관통하는 위치에서 서로 대응면에 수평부(411)가 더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에는 상기 수평부(411)와 접하여 지지되는 그립퍼 고정블록(520)이 더 구성된다.
즉,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수평부(411)와 그립퍼 고정블록(52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한편, 전선의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이용하여 전선을 파지 고정시 유동에 의해 전선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은 도 5를 참조하여 이탈 방지판(710)과, 개폐 가이드핀(720)과, 토션스프링(730)과, 개폐 가이드돌부(740)로 구성된다.
먼저, 이탈 방지판(710)은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
이를 위해, 이탈 방지판(710)은 평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상기 어느 한 측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선그립퍼(500)에 적용한다.
이때, 이탈 방지판(710)은 그 일측이 상기 상부 전선그립퍼(500)의 외측에서 상부 가이드핀(410)에 축설되어 그 상부 가이드핀(410)을 축으로 하여 타측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탈 방지판(7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핀(410)이 관통되는 한편, 상부 전선그립퍼(500) 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후술하는 토션스프링(730)이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부(711)가 구성된다.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은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토션스프링(730)의 탄성을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개폐 가이드핀(720)은 상기 이탈 방지판(710)의 내측면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클립 바디(100) 측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 하게는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의 서로 벌어진 측으로부터 소정 이격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730)은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에 탄성을 부여하여 이탈 방지판(710)의 회동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토션스프링(730)은 통상의 원형 코일 형태를 이루어 양단을 외력을 가해 서로 좁힐시 코일 직경이 좁혀지면서 탄성이 저장되고 외력을 해제시 코일 직경이 증대되면서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 토션스프링(730)은 상기 스프링 장착부(711)를 감싸며 장착되는 한편, 그 일단이 상기 상부 전선그립퍼(500)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의 일측에 지지되어 가동단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탄성은 개폐 가이드핀(720)을 일정 구간 까지만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될 것이다.
상기 개폐 가이드돌부(740)는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이 지지되어 그 개폐 가이드핀(720)의 일정 구간 이동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개폐 가이드돌부(740)는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과 대응되는 클립 바디(1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개폐 가이드돌부(740)는 상하 길이를 이루게 구성되되,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이 지지되는 면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게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최대 개방시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급상승 곡선 구성된다.
즉,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은 이탈 방지판(710)이 상부 전선그립퍼(500)와 함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따라 이동하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개폐 가이드핀(720)이 개폐 가이드돌부(740)의 상부에 위치되는 한편, 이탈 방지판(710)이 수평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토션스프링(730)이 압축 및 탄성이 저장되게 된다.
반대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좁혀진 상태에서는 상부 가이드핀(410)이 개폐 가이드돌부(740)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토션스프링(730)의 탄성에 의해 개폐 가이드핀(720)을 밀어내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탈 방지판(710)이 상부 가이드핀(410)을 축으로 하방 회동 및 그 일측이 상부 전선그립퍼(5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사이를 자동으로 개폐 차단 및 전선을 구속하여 그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클립 바디(100)를 통상의 장선기(도면중 미도시함)와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장선기 연결구(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장선기 연결구(200)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클립 바디(100)를 통상의 장선기와 연결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장선기 연결구(200)는 그 일측에는 장선기에 결합 가능한 장선기 결합구(210)가 구성된 것으로, 장선기 결합구(210)는 평면상 일측으로 개방되는 "ㄷ"형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장선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장선기의 장선기 벨트와 연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연결축(211)이 구성된다.
또한, 장선기 연결구(200)는 그 타측이 상기 클립 바디(100)의 일측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힌지(H)를 통해 클립 바디(100)와 상하 회동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은 배전선로에서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등의 작업 과정에서 장선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고정할 때 간편하게 잔접활선 작업으로 전선의 파지 고정이 가능한 것으로, 작업 준비공정(S100)과, 장선기 설치공정(S200)과, 전선 고정공정(S300)과, 전선 분리공정(S400)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작업 준비공정(S100)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준비한다.
이를 위해, 준비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여건에 맞게 준비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장선기(10)에 장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장선기(10)에 장착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는 장선기 연결구(2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적용하기 위한 장선기(1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10-1984829호의 웜 기어식 장선기(10)와 같이 장선기 몸체(11) 일측에 전주의 완철 등에 설치하기 위한 후크(12) 등이 구성되고 타측에는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고정구 등의 구조가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이에,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장선기 몸체(11)에 후크(12)를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 전선 클립(1)을 장선기 벨트(13)에 연결 장착 가능하다.
이때에는 장선기 연결구(200)에 형성된 연결축(211)에 장선기(10)의 장선기 벨트(13)를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장선기 벨트(13)의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장선기(10)의 후크(12)가 장선기 벨트(13)에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 전선 클립(1)을 장선기 몸체(11)에 연결 장착 가능하다.
이때에는 장선기 연결구(200)에 형성된 연결축(211)을 이용하여 장선기 몸체(11)에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장선기(10)와 서로 회동 가능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 준비공정(S100)에서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를 장선기(10)에 장착하되, 그 장선기(10)의 방향성에 상관 없이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통상의 완철 등에 걸어 사용 가능한 로프(도면중 미도시함) 등에 걸어 사용 가능하도록 단일로 준비될 수 있다.
이후, 장선기 설치공정(S200)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전주(도면중 미도시함)의 완철(21)에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준비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전주의 완철(21)에 설치하는 방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여건에 맞게 다양한 적용 가능한 것으로, 통상의 완철(21)의 걸쇠 또는 로프나 데드엔드클램프에 설치 가능할 것이다.
이에, 일예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준비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이 장선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장선기(10)를 전주(도면중 미도시함)의 완철(21)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장선기(10)를 완철(21)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그 방향성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전선 클립(1)을 장선기(10)에 장착되는 방향성에 상관없이 장선기의 후크(12)를 이용하여 완철(21)에 설치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장선기(10)를 완철(21)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9의 (a)와 같이 후크(12)를 이용하여 완철(21)에 설치되는 로프(22)에 걸어 설치하거나, 도 9의 (b)와 같이 현수애자(23)에 연결된 데드엔드클램프(24)에 걸어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걸이 작업은 도 10을 참조하여 활선버킷을 이용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전주의 전선(20) 근처로 접근한 상태에서 활전작업용스틱(30)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간접활선 작업용스틱(3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간접활선 작업용스틱(30)의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10-2021001호, 특허등록 제10-1963537호, 특허등록 제10-1963539호 플라이어 스틱이나, 특허등록 제10-1963539호 플라이어 스틱이나, 특허등록 제10-2028010호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300)은,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장선기(10)에 설치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전선(20)을 잡아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상하로 서로 벌리는 그립퍼 벌림공정(S310)을 수행한다.
이때, 그립퍼 벌림공정(S310)은,
도 11을 참조하여 작업자는 간접활선 작업용스틱(30)을 이용하여 클립 바디(100)에 형성된 작동핀(600)을 지지측으로 하여 슬라이더(400)의 작동핀(600')을 일측으로 당기게 되면 그 슬라이더(400)가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그 슬라이더(400)와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으로 연결된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의 경사를 통해 이동 및 서로 벌어져 전선(20)의 수용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40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400)는 슬라이드공(110)에 형성된 탄성 이동부재(300)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이동되는 탄성 이동부재(300)는 복귀스프링(320)을 압축하여 그 복귀스프링(320)에 복귀 탄성을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전선(20)을 파지하기 위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좁혀 전선(20)의 파지 고정하는 전선 파지공정(S320)을 수행한다.
이때, 전선 파지공정(S320)은,
작업자는 활전작업용스틱(30)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사이에 전선(20)을 수용한 상태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슬라이더(400)의 작동핀(600')을 당기는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 이동부재(300)가 복귀스프링(320) 탄성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그 탄성 이동부재(300)와 연결된 슬라이더(400)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의 경사를 통해 이동 및 쐐기기능 작동으로 서로 좁혀져 전선(20)을 가압 파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상기와 같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이용하여 전선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그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각각의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의 수평부(411)과 그립퍼 고정블록(520)으로 접하게 구성된 것인바, 전선(20)을 가압 파지하는 과정에서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전선(20)을 가압 요철(510)에 의해 피복 처리된 전선(20)의 미끄러짐 없이 견고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전선 파지공정(S320)에서는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에서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활선상태 전선(20)과 안전한 이격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전선(20)의 고정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이용하여 전선(20)을 파지 고정하는 과정에서 그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전선(20)의 직경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틈새가 발생하여 전선(20)이 이탈될 수 있는 것이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에 의해 그 틈새가 차단되어 전선(20)의 이탈을 완전 차단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은 이탈 방지판(710)이 상부 전선그립퍼(500)와 함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인바, 이때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폐 가이드핀(720)이 개폐 가이드돌부(740)의 급상승 곡선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한편, 이탈 방지판(710)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사이를 완전히 개방 및 수평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토션스프링(730)이 압축 및 탄성이 저장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사이가 완전 개방되어 전선(20)의 진출이 자유롭게 된다.
반대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좁혀져 전선(20)을 파지시에는 상부 가이드핀(410)이 개폐 가이드돌부(740)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토션스프링(730)의 탄성에 의해 개폐 가이드핀(720)을 밀어내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탈 방지판(710)이 상부 가이드핀(410)을 축으로 하방 회동 및 그 일측이 상부 전선그립퍼(5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사이를 자동으로 차단 및 전선을 구속하게 되는 것인바, 도 14를 참조하여 전선(20)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사이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선 고정공정(S300) 이후,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통상의 배전선로의 전선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을 간접활선 작업으로 수행하는 간접활선 작업공정(S300a)를 더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배전선로 작업을 전선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배전선로의 간접활선 작업 과정에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이용하여 전선을 파지하는 다양한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400)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간접활선 작업 후,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전선 고정력을 해제하여 본 발명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전선(2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전선 고정공정(S300)의 그립퍼 벌림공정(S310)에서와 같이 간접활선 작업용스틱(30)을 이용하여 클립 바디(100)에 형성된 작동핀(600)을 지지측으로 하여 슬라이더(400)의 작동핀(600')을 일측으로 당기게 되면 그 슬라이더(400)가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그 슬라이더(400)와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으로 연결된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는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의 경사를 통해 이동 및 서로 벌어져 전선(20)의 분리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며, 이에 연속하여 작동핀(600')을 일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을 전선(20)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때,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은 이탈 방지판(710)이 상부 전선그립퍼(500)와 함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인바, 이때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폐 가이드핀(720)이 개폐 가이드돌부(740)의 급상승 곡선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한편, 이탈 방지판(710)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사이를 완전히 개방 및 수평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토션스프링(730)이 압축 및 탄성이 저장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사이가 완전 개방되어 전선(20)의 진출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을 통해 간접활선 작업으로 전선의 파지 고정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이후 전선(20)으로부터 분리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1)은 연속된 작업이 없을 경우, 통상의 철거 과정을 통해 완철로부터 분리 및 철거 및 현장을 정리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은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등의 작업 과정에서 적용되는 장선기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그 전선의 파지 고정 과정에서 활선상태 전선과 안전한 이격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용스틱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그 파지 고정된 전선의 이탈 없이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100 : 클립 바디 101 : 연결구 결합공
110 : 슬라이드공 120,120' :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
200 : 장선기 연결구 210 : 장선기 결합구
211 : 연결축
300 : 탄성 이동부재 310 : 이탈 방지핀
320 : 복귀스프링
400 : 슬라이더 410 ,410' : 상,하부 가이드핀
411 : 수평부 420 : 결합부
430,430' : 상,하부 장공
500,500' : 상,하부 전선그립퍼 510 : 요철
520 : 그립퍼 고정블록 600,600' : 작동핀
700 :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 710 : 이탈 방지판
711 : 스프링 장착부 720 : 개폐 가이드핀
730 : 토션스프링 740 : 개폐 가이드돌부
S100 : 작업 준비공정 S200 : 장선기 설치공정
S300 : 전선 고정공정 S310 : 그립퍼 벌림공정
S320 : 전선 고정공정 S400 : 전선 분리공정

Claims (11)

  1. 장선기에 결합되어 전선의 파지가 가능한 클립에 있어서,
    일측에는 연결구 결합공(101)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평 방향 길이를 이루는 슬라이드공(110)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대칭되도록 한 쌍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이 관통 형성된 클립 바디(100);
    상기 슬라이드공(110)에 장착되어 슬라이드공(110)을 따라 이동 및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이동부재(300);
    상기 클립 바디(100)의 일측면에서 탄성 이동부재(300)와 연결 장착되어 탄성 이동부재(300)와 함께 이동하고,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을 통해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관통 연결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슬라이더(400);
    클립 바디(100)의 타측면에서 상기 각각의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이 관통 연결되도록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고, 대응면에는 요철(510)이 형성되며, 슬라이더(400)와 함께 이동되어 전선의 파지 및 해지를 단속하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및
    상기 클립 바디(100)와 슬라이더(400)에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더(400)의 이동을 단속하는 양측 한 쌍의 작동핀(600)(6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클립 바디(100)의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좁아지는 간격을 이루게 경사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400)가 일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벌어져 사이에 전선의 수용이 가능하고, 타측으로 이동시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서로 좁혀져 닫힘 작동에 의한 전선의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공(110)의 내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탄성 이동부재(300)를 관통하는 이탈 방지핀(30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탈 방지핀(301)의 둘레에는 그 둘레를 감싸는 복귀스프링(320)이 클립 바디(100)와 탄성 이동부재(300) 사이에 탄설되어 탄성 이동부재(300)의 타측 이동 탄성을 가지게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400)가 복귀스프링(320) 탄성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이동력이 부여되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전선을 파지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0)는,
    일측에 상기 탄성 이동부재(300)와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수직방향 길이를 이루는 항 쌍의 상,하부 장공(430)(430')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하부 장공(430)(430')은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을 통해 상기 상,하부 예각 가이드공(120)(120')을 관통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에는,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관통하는 위치에서 서로 대응면에 수평부(411)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에는,
    상기 수평부(411)와 접하도록 그립퍼 고정블록(52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에 파지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은,
    상기 어느 한 측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외측에서 어느 한 측의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에 축설되며, 내측면에는 어느 한 측의 상,하부 가이드핀(410)(410')이 관통되는 스프링 장착부(711)가 형성된 이탈 방지판(710);
    상기 이탈 방지판(710)의 내측면 일측 상부에서 클립 바디(100) 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개폐 가이드핀(720);
    상기 스프링 장착부(711)에 장착되며, 일단은 어느 한 측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에 탄설되되어 개폐 가이드핀(720)을 일정 구간 밀어내는 탄성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730); 및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과 대응되는 클립 바디(1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토션스프링(730) 탄성을 지지하는 개폐 가이드핀(720)의 일정 구간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가이드돌부(7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가이드돌부(740)는,
    상하 길이를 이루게 구성하되,
    상기 개폐 가이드핀(720)이 지지되는 면이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게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 측으로 좁아지는 만곡한 경사면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바디(100)에 장선기를 결합하기 위한 장선기 연결구(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장선기 연결구(200)는,
    일측에는 장선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장선기 벨트가 연결되는 연결축(211)을 갖는 장선기 결합구(210)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클립 바디(100)의 연결구 결합공(101)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9. 제 1항, 제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간접활선 작업 과정에서 전선의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시 전선을 잡아 고정하되,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장선기 연결구(200)를 통해 장선기(10)에 결합하는 작업 준비공정(S100);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이 결합된 장선기(10)를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전주의 완철에 설치된 걸쇠나 로프, 데드엔드클램프에 설치하는 장선기 설치공정(S200); 및
    장선기(10)에 설치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의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 고정 및 그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전선 고정공정(S300); 및
    간접활선 작업 후,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전선 고정력을 해제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전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400)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공정(S300)은,
    간접활선 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클립 바디(100)에 형성된 작동핀(600)을 지지측으로 하여 슬라이더(400)의 작동핀(600')을 일측으로 당겨 슬라이더(400) 및 탄성 이동부재(300)를 일측으로 이동 및 복귀스프링(32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서로 상하로 벌려 공간을 확보하는 그립퍼 벌림공정(S310); 및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가 벌려져 확보된 공간에 전선을 수용한 상태에서 작동핀(600')의 당김 외력을 해제하여 복귀스프링(320)의 탄성을 부여하여 탄성 이동부재(300)와 슬라이더(400)를 복귀 및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좁혀 전선을 파지 고정하고, 상기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를 이용한 전선의 파지 고정과 동시에 자동개폐 이탈방지수단(700)의 이탈 방지판(710)을 통해 상,하부 전선그립퍼(500)(500')의 개방된 사이를 차단하여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 파지공정(S320)을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공정(S300) 이후,
    전선 이도 조정이나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작업 등 배전선로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는 간접활선 작업공정(S300a)를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을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KR1020200036604A 2020-03-26 2020-03-26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KR10216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04A KR102162545B1 (ko) 2020-03-26 2020-03-26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PCT/KR2021/002221 WO2021194101A1 (ko) 2020-03-26 2021-02-23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04A KR102162545B1 (ko) 2020-03-26 2020-03-26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45B1 true KR102162545B1 (ko) 2020-10-08

Family

ID=7289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04A KR102162545B1 (ko) 2020-03-26 2020-03-26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545B1 (ko)
WO (1) WO202119410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6476A (zh) * 2021-01-19 2021-06-01 国网浙江桐庐县供电有限公司 一种作业高效的集束导线卡线装置
WO2021194101A1 (ko) * 2020-03-26 2021-09-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CN113794174A (zh) * 2021-10-21 2021-12-14 杨彩云 一种方便伸缩安装的电力金具
CN113937658A (zh) * 2021-10-19 2022-01-14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百色局 一种架空地线特制导轨
CN114094495A (zh) * 2021-12-08 2022-02-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一种不停电进行带绝缘护罩型线夹装置的安装方法
KR20220170172A (ko) 2021-06-22 2022-12-29 한국전력공사 종단 접속재용 케이블 헤드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시공 방법
KR102549108B1 (ko)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1392A (zh) * 2022-06-09 2022-08-30 崔春秀 一种临时搭建的电力电线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4A (ja) * 1992-11-02 1994-05-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掴線器
KR200355330Y1 (ko) 2004-03-30 2004-07-06 추경엽 장선기의 구조
KR20050065702A (ko) 2003-12-23 2005-06-30 한국전기공사협회 활선 작업암용 장선기
KR101179056B1 (ko) 2009-10-30 2012-09-03 전용태 용량 가변형 장선기
KR20180103196A (ko) * 2016-01-06 2018-09-19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007A (ja) * 2009-09-17 2011-03-31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KR20160045330A (ko) * 2014-10-17 2016-04-27 천공전기(주)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KR102162545B1 (ko) * 2020-03-26 2020-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4A (ja) * 1992-11-02 1994-05-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掴線器
KR20050065702A (ko) 2003-12-23 2005-06-30 한국전기공사협회 활선 작업암용 장선기
KR200355330Y1 (ko) 2004-03-30 2004-07-06 추경엽 장선기의 구조
KR101179056B1 (ko) 2009-10-30 2012-09-03 전용태 용량 가변형 장선기
KR20180103196A (ko) * 2016-01-06 2018-09-19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101A1 (ko) * 2020-03-26 2021-09-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CN112886476A (zh) * 2021-01-19 2021-06-01 国网浙江桐庐县供电有限公司 一种作业高效的集束导线卡线装置
KR20220170172A (ko) 2021-06-22 2022-12-29 한국전력공사 종단 접속재용 케이블 헤드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시공 방법
CN113937658A (zh) * 2021-10-19 2022-01-14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百色局 一种架空地线特制导轨
CN113794174A (zh) * 2021-10-21 2021-12-14 杨彩云 一种方便伸缩安装的电力金具
CN113794174B (zh) * 2021-10-21 2022-12-06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襄阳供电公司 一种方便伸缩安装的电力金具
CN114094495A (zh) * 2021-12-08 2022-02-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一种不停电进行带绝缘护罩型线夹装置的安装方法
CN114094495B (zh) * 2021-12-08 2023-10-3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一种不停电进行带绝缘护罩型线夹装置的安装方法
KR102549108B1 (ko)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101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545B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JP6205075B1 (ja) 掴線器
KR101218710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102550110B1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JP6205076B1 (ja) 掴線器
JP5850800B2 (ja) 掴線器
CN108811763B (zh) 适用于林果采摘的机械手
JP7089791B2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方向変換具、柱上吊上装置、碍子支持具及び対電柱固定具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JP6852908B2 (ja)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JP6671656B2 (ja) 電線仮支持工具
JP2013027057A (ja) 電線引留め方式
JP6482825B2 (ja) 間接工法における間接工具によって把持される把手構造及び間接工法用カバー
JP2016146742A (ja) グリッパ方式の電線布設装置
WO1987001426A1 (en) Pipe-laying tool
KR102549108B1 (ko)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KR102506253B1 (ko)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US2571246A (en) Operating pole assembly for high-tension lines
JP2000143190A (ja) 電線接続作業用装置
KR102390667B1 (ko)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GB1592827A (en) Self gripping clamp with interchangeable liners
CN112456298B (zh) 卡线器以及调整多吊点吊挂***的方法
KR10252689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US2410836A (en) Clamp for platform pulley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