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315B1 - Airway device - Google Patents

Airw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315B1
KR102162315B1 KR1020180099318A KR20180099318A KR102162315B1 KR 102162315 B1 KR102162315 B1 KR 102162315B1 KR 1020180099318 A KR1020180099318 A KR 1020180099318A KR 20180099318 A KR20180099318 A KR 20180099318A KR 102162315 B1 KR102162315 B1 KR 10216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hole
air supply
airwa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3000A (en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9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 for closing the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External cuff pressure control or supply, e.g. synchronisation with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5Mouthpieces with tongue de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기도 유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는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되, 내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본체부의 일단부에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 및 제1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본체부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1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제1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공기유로와 제1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여 제1 공기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Airway maintenance device is initiated. In the airway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an air passage throug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herein. ; A first ballo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the esophagus; And a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is formed, when the first air supply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of the main body. When the air passage is closed and the air passage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and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cking jaw, the first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to communicate the air passage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supply hole with a sliding member that is closed and blocks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Description

기도 유지장치{AIRWAY DEVICE}Airway maintenance device {AIRWAY DEVICE}

본 발명은 기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환자의 기도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기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capable of quickly securing the airway of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구강용 기도 유지장치는 의식불명 상태의 환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The oral airway maintenance device is artificially inserted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so that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can breathe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의식불명 상태의 환자는 수술 중인 환자와 비수술 상태에서 구조 호흡법 또는 심폐 소생이 필요한 환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구조 호흡법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는 기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기도를 신속히 확보한 후 구조 호흡법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Patients in an unconscious state can be divided into patients undergoing surgery and those who need rescue breathing 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on-surgical conditions.Especially, in the case of patients requiring rescue breathing, rescue after quickly securing the airway us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breathing techniques.

구조 호흡법은 구강 대 구강 호흡법, 구강 대 비강 호흡법, 백밸브마스크(Bag valve mask)를 이용한 호흡법 등이 있다. 구강 대 구강 호흡법이나 구강 대 비강 호흡법은 환자와 응급요원 간에 직접적인 접촉이 이뤄져야 하므로 환자가 가지고 있는 전염 가능한 병이 응급요원에게 옮겨질 수 있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나, 백밸브마스트를 이용한 구조 호흡법은 환자와 응급요원 간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단 백밸브마스크는 구강 내 기도 유지장치가 있을 때 사용이 용이하다.Rescue breathing methods include mouth-to-mouth breathing, mouth-to-nasal breathing, and breathing using a bag valve mask. The oral-to-mouth breathing method or the oral-to-nasal breathing method requires direct contac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emergency personnel, so the patient's infectious disease can be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personnel, so there is a hygiene problem, but the rescue breathing method using a bag valve mast is a patient It is safe because there is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person and emergency personnel. The protein valve mask is easy to use when there is an oral airway maintenance device.

이와 같은 구조 호흡법을 수행할 수 있는 구강용 기도 유지장치는 환자의 기도를 신속하게 확보하고 기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구강용 기도 유지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강인두기도기(Oropharyngeal airway)는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을 차단하는 단순한 기능만이 있을 뿐 수분 이상 구조 호흡을 지속하는 경우에 위(stomach) 내에 공기가 주입되어 구토 및 흡인성 폐렴을 유발하게 되므로 환자의 상태나 이동시간에 따라 다른 장비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 oral airway maintenanc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rescue breathing method needs to quickly secure the patient's airway and maintain the airway. However, the oropharyngeal airway, which is most commonly used as an existing oral airway maintenance device, has only a simple function of blocking the tongue from blocking the airway, and air in the stomach when breathing is continued for several minutes or longer. Since the infusion of is injected to cause vomiting and aspiration pneumonia, it is cumbersome to replace with other equipment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or travel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3-0007379호(2013.12.26.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13-0007379 (published on December 26, 201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기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보하고 위(stomach)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교체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기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by quickly and easily securing a patient's airway and blocking air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stoma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되, 내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 및 상기 제1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the body portion formed therein with an air flow passage penetra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A first ballo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a first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the esophagus; And a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is formed, whe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of the main body. 1 When the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the air flow path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the first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An airway holding device including an opening/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supply hol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sliding memb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hole and closes the air passage to block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벌룬과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balloon, and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a second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lloon to do.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2 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further has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and when the sliding memb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the side of the locking jaw When in close contact, the second through-hole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air supply hole so that the air flow path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상부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차단하는 바닥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has a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flow path, and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n incision cut upward from the en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limit movement, and the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block the air flow path.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공기유로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to enable the sliding member to slide in the air passage.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제1 모드; 및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open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lose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closed to block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open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The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one end inserted into a slot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t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to move the sliding memb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1 홈;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And a second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의 공기공급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몸체; 및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개구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의 공기공급구로 공급되게 하며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개구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hollow valve body having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ort of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And provided inside the valve body, 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the first balloon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so that the air flows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being supplied to the air supply port of the second balloon, and when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blocked,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blocks the first opening. It may include a first balloon and a ball member that blocks air in the second balloon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되, 내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 및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공기공급기에 연결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the body portion formed therein with an air channel passing through one end and the other end; A first ballo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a first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the esophagus; And an extension tub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장튜브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타단부에 마련된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that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is inserted.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벌룬과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balloon, and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a second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lloon to do.

상기 제1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통공과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through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formed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to slide along the air passage and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of the main body.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losed when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and the air passage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1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so that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flow path It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with a sliding member for closing the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상부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차단하는 바닥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has a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flow path, and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n incision cut upward from the en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limit movement, and the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block the air flow path.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공기유로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to enable the sliding member to slide in the air passage.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제1 모드; 및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open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lose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closed to block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open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The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one end inserted into a slot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t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to move the sliding memb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1 홈;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And a second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를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하여 기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asily secure an airway by inserting the main body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벌룬을 팽창시켜 식도를 차단함으로써 공기 주입에 따른 복부 팽창을 방지하고 식도를 통해 역류되는 물질이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abdominal expansion due to air injection by blocking the esophagus by inflating the balloon after inserting the main body into the oral cavity, and preventing substances flowing back through the esophagus from entering the lungs through the airway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벌룬을 팽창시켜 혀의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환자의 기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way of the patient can be easily secured by inflating the balloon after inserting the body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술자의 간편한 조작으로 벌룬을 팽창시켜 식도를 차단함으로써 기도 유지가 용이하며 교체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maintain the airway by blocking the esophagus by inflating the balloon with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operator,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의 동작에 의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eck valve and the second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maintaining airw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의 동작에 의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way holding device,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airwa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first by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nd FIGS. 7 and 8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eck valve and the second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 공기유로(111)가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기유로(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11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ballon,130)과,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기유로(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113)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ballon,135)과,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유로(111)를 개방하고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폐쇄하거나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을 팽창시키도록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과 공기유로(111)를 연통되게 하고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개폐유닛(150)과, 제1 공기공급홀(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크밸브(170)와, 제2 공기공급홀(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크밸브(175)를 포함한다.1 to 8, the airway maint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an air passage ( A first body part 110 formed by 111 passing through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assage 111 A first balloon 130 that is inflat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hole 112 to block the esophagus,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an air flow pat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 second balloon 135 that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111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an air flow passage 111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To open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or to expand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2 An opening/closing unit 150 connecting the air supply hole 113 and the air passage 111 and blocking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nd a first check valv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It includes 170 and a second check valve 175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본체부(110)를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하여 구강 내의 혀의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기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기관 및 식도가 분기되는 하인두 근방에서 제1 벌룬(130)을 팽창시켜 식도를 차단함으로써 기도 유지가 용이하고 기도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제1 벌룬(130)을 팽창시켜 식도를 차단함으로써 공기 주입에 따른 복부 팽창을 방지할 수 있고 식도를 통해 역류되는 물질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교체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제2 벌룬(135)을 팽창시켜 혀의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환자의 기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The airway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quickly and easily secure an airway by inserting the body portion 110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airway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acilitate airway maintenance and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airways by inflating the first balloon 130 in the vicinity of the hypopharynx where the trachea and esophagus branch to block the esophagus. . In addition, the airway mainten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abdominal expansion due to air injection by inflating the first balloon 130 to block the esophagus, and prevents substances flowing back through the esophagus from entering the lungs.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In addition, the airway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secure the airway of the patient by inflating the second balloon 135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본체부(110)는 구강 내의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기도를 확보하고 유지하며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한다.The body part 110 secures and maintains an airway by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and serves as a passage for air.

본체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제조되어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이 용이하다. 본체부(110)의 일단부는 구강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타단부는 구강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111)가 길게 형성된다. 본체부(110)에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유로(111)를 따라 기도로 공급된다.The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In addition, an air passage 111 penetra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ir supplied to the main body 110 is supplied to the airways along the air flow path 111.

또한 본체부(110)의 일단부에는 공기유로(111)와 연통되는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이 형성된다. 제1 공기공급홀(112)은 공기유로(111)와 연통되어 공기를 제1 벌룬(130)으로 공급하며, 제2 공기공급홀(113)은 공기유로(111)와 연통되어 공기를 제2 벌룬(135)으로 공급한다.In addition, a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a second air supply hole 113 communicating with the air flow path 111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communicates with the air flow passage 111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communicates with the air flow passage 111 to provide air to a second It is supplied to the balloon 135.

제1 공기공급홀(112)과 제2 공기공급홀(113)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 공기공급홀(112)은 제1 벌룬(13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본체부(110)의 일단부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공기공급홀(113)은 제2 벌룬(135)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제1 공기공급홀(112)의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된다.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of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s disposed in the second balloon 135. It is disposed above the position of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to supply air.

또한 본체부(110)의 타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환자의 입술이 밀착되는 플랜지(118)가 마련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18)는 환자의 입술 외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10)가 구강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 flange 118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to protru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patient's lip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4, the flange 118 is disposed outside the patient's lips to prevent the body portion 110 from entering the oral cavity.

제1 벌룬(130)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balloon 1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is expanded to block the esophagus.

제1 벌룬(130)은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팽창되는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며, 제1 벌룬(130)은 본체부(110)의 일단부 끝단에 수축된 상태로 마련되고,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고 제1 공기공급홀(112)를 통해 제1 벌룬(13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한다. 그리고 제1 벌룬(130)은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기관 및 식도가 분기되는 하인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first balloon 13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expands when air is supplied, and the first balloon 130 is provided in a contracted state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10 When one end of th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balloon 130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it expands to block the esophagus. In addition, the first balloon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ypopharynx where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branch whe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제2 벌룬(135)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본체부(110)에 의해 혀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으나,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혀의 움직임을 더욱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2 벌룬(135)을 팽창시켜 혀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The second balloon 135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is expanded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In this embodiment, when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movement of the tongue may be blocked by the main body 110, but if it is necessary to further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The second balloon 135 is inflated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제2 벌룬(135)은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팽창되는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며, 제2 벌룬(135)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수축된 상태로 마련되고,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고 제2 공기공급홀(113)을 통해 제2 벌룬(135)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한다.The second balloon 135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expands when air is supplied, and the second balloon 135 is provided in a contracted stat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Whe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balloon 135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t expands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 벌룬(130)은 식도를 차단하기 위해 본체부(110)의 일단부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벌룬(135)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제1 벌룬(130)의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된다.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nd opposite to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The first balloon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of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to block the esophagus, and the second balloon 135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of the first balloon 130 It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개폐유닛(150)은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유닛(150)은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유로(111)를 개방하고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폐쇄하거나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을 팽창시키도록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과 공기유로(111)를 연통되게 하고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한다.The opening/closing unit 150 serves to control the flow of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nd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That is, the opening/closing unit 150 opens the air passage 111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and closes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or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nd the air flow passage 11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expand the balloon 135, and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is blocked.

개폐유닛(150)은 본체부(110)의 내벽에 밀착되고 공기유로(11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공기공급홀(112)과 연통되는 제1 통공(152)과 제2 공기공급홀(113)과 연통되는 제2 통공(153)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151)와, 본체부(110)에 마련되고 슬라이딩부재(15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부재(151)를 공기유로(111)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155)를 포함한다.The opening/closing unit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and is provided to be slidable along the air flow path 111,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air suppl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The sliding member 151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153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113 is formed, and the sliding member 15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is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151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the air flow path 111. It includes a driving unit 155 to enable the sliding movement in.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51)는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삽입되고 공기유로(111)를 따라 이동되어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51)의 일단부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부재(151)의 타단부는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moved along the air flow path 111 to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또한 슬라이딩부재(151)는 공기유로(111)에 삽입되고 본체부(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기유로(111)를 따라 본체부(110)의 일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51)는 공기유로(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the air passage 111 and slides along the air passage 111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sliding member 151 may have a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flow path 111.

또한 슬라이딩부재(151)가 공기유로(111)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동안 슬라이딩부재(151)는 본체부(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슬라이딩부재(151)는 공기유로(111)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flexible) 재질로 제조된다. 예를들어 슬라이딩부재(151)는 PVC, 실리콘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sliding member 151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111, the sliding member 151 must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1 is the air flow path 111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bent in response to the curved shape of ). For example, the sliding member 15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VC, silicone, or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슬라이딩부재(151)의 일단부에는 제1 공기공급홀(112)과 연통되는 제1 통공(152)과 제2 공기공급홀(113)과 연통되는 제2 통공(153)이 형성된다. 제1 통공(152)와 제2 통공(153)은 슬라이딩부재(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다. 이는 슬라이딩부재(151)의 운동에 따라, 제1 통공(152)에 의해 제1 공기공급홀(112)이 개방되고, 제2 통공(153)에 의해 제2 공기공급홀(113)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a first through hole 15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a second through hole 15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formed.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3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151. This is so that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is opened by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s opened by the second through hole 15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151. It is to do.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재(151)는 본체부(110)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공기유로(111)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고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폐쇄하며,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로(111)를 폐쇄하고 제1 통공(152) 및 제2 통공(153)이 각각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위치되어 공기유로(111)와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연통되게 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liding member 151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air passage 111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The 1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closed, and the air passage 111 supplied to the airway side is closed when the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125,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through-hole 153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so that the air flow path 111,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 113).

이를 위해 슬라이딩부재(151)의 일단부에는 일측부가 개방된 "ㄱ"자형의 절개부(154)가 형성되며, 절개부(154)의 상부가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부재(151)의 이동이 제한되고 공기유로(111)를 따라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51)의 일단부 끝단에는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어 공기유로(111)를 차단하는 바닥면이 형성된다.To this end,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is formed with an open “a”-shaped incision 154, an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15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125, it slides Movement of the member 151 is restricted, and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long the air flow path 111. In addition, a bottom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to block the air flow path 111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51)가 본체부(110)의 일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고 절개부(154)의 상부가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부재(151)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공기는 공기유로(111)를 따라 기도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절개부(154)의 상부가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은 폐쇄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sliding member 151 slides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15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the sliding member The movement of 151 is restricted. At this time,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long the air flow path 111. 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15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closed.

반대로 슬라이딩부재(125)가 본체부(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고 슬라이딩부재(125)의 일단부 끝단이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걸림턱(125)과 절개부의 일단부 끝단에 의해 공기유로(111)가 차단되어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25)의 일단부 끝단이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제1 통공(152) 및 제2 통공(153)이 각각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위치되어 공기유로(111)와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연통되며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으로 공기가 공급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liding member 125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end of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cking jaw 125, the locking projection 125 and the cutout portion The air flow path 111 is blocked by the end of one end to block the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In addition, when the end of the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25,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It is located in the supply hole 113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flow path 111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nd air is passed through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Is suppli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151)의 운동에 따라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유로(111)를 개방하되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폐쇄하는 제1 모드와,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공기유로(111)를 폐쇄하되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개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passage 111 is open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151,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are closed.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are clos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while closing the air flow path 111 to block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mode and the airway side. It includes a second mode of opening the supply hole 113.

구동부(155)는 일단부가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11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15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부(110)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된 구동부재(156)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155 has one end inserted into a slot 114 formed elong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t includes a driving member 156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end to the outside.

시술자가 구동부재(156)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동부재(156)는 입술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플랜지(118)의 외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딩부재(151)의 타단부에 구동부재(156)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부재(151)의 타단부에 결합구(157)를 부착하고 슬라이딩부재(151)를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한 후 결합구(157)에 구동부재(156)의 일단부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51)의 타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구(157)가 부착된 경우에 슬롯(114)이 위치한 본체부(110)의 내벽에는 결합구(157)가 삽입되는 홈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156 is disposed outside the flange 118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ps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nipulate the driving member 156.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driving member 156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a coupling hole 157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and the sliding member 15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ior, it may be configured by screwing one end of the driving member 156 to the coupling hole 157. And when the coupling hole 157 protruding outward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the groove 119 into which the coupling hole 157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110 where the slot 114 is located. Can be provided.

시술자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구동부재(156)를 슬롯(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슬라이딩부재(151)를 공기유로(1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시킨다.The operator moves the driving member 156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lot 114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1 slides in the air flow path 111.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구동부재(156)를 슬롯(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에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쉽게 식별하고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는 슬라이딩부재(151)가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슬롯(114)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구동부재(156)가 걸리는 제1 홈(115)과, 슬라이딩부재(151)가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슬롯(114)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구동부재(156)가 걸리는 제2 홈(116)을 더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operator moves the driving member 15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14,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re easily identified, and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re used. For easy operatio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slot 114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1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first groove 115 in which the driving member 156 is caught.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groove 116 formed continuously in the slot 114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1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nd the driving member 156 is caught.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구동부재(156)를 제1 홈(115)에 위치시키면 절개부(154)의 상부가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1 공기공급홀(112)와 제2 공기공급홀(113)은 폐쇄된다. 또한 절개부(154)의 상부가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공기는 공기유로(111)를 따라 기도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구동부재(156)를 제2 홈(116)에 위치시키면 절개부(154)의 일단부 끝단이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고 제1 통공(152) 및 제2 통공(153)이 각각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위치되어 공기유로(111)와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연통되며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절개부(154)의 일단부 끝단이 걸림턱(12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부재(151)의 일단부 끝단과 걸림턱(125)의 측면에 의해 공기유로(111)가 차단되어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operator positions the driving member 156 in the first groove 115,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15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125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s closed. 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15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long the air flow path 11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operator positions the driving member 156 in the second groove 116, the end of one end of the incision 15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125,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2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3 are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respectively, so that the air flow path 111,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The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while communicating 113. In addition, when the end of one end of the incision 15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cking jaw 125, the air passage 111 is blocked by the end of the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1 and the side of the locking jaw 125 Air supplied to the airways is blocked.

응급환자에 대한 구조호흡을 실시하는 경우에 시술자는 본체부(110)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공기공급기를 이용하여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급된 공기는 공기유로(111)를 따라 본체부(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흐르며 시술자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156)를 제1 모드로 이동시켜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156)를 제2 모드로 이동시켜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을 팽창시켜 식도 및 혀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술자가 구동부재(156)를 제2 모드로 이동시켜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을 팽창시킨 후 다시 구동부재(156)를 제2 모드로 이동시켜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rescue breathing for an emergency patient, the operator inserts the main body 110 into the oral cavity and then supplies air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using an air supply. The air suppli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flows along the air passage 111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perator sets the driving member 156 in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 By moving, air supplied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may be blocked, and air may be supplied to the airway si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operator moves the driving member 156 to the second mode to block the air supplied to the airways, and expands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to expand the esophagus and tongue. It can block movement. Preferably, the operator moves the driving member 156 to the second mode to expand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and then moves the driving member 156 to the second mode to move the airway toward the airway. To supply.

제1 체크밸브(170)는 제1 공기공급홀(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체크밸브(175)는 제2 공기공급홀(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으로 공급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heck valve 1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check valve 17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so that the first balloon 130 And it serves to prevent the air supplied to the second balloon 135 from flowing backwar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175) 각각은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몸체(171)와, 밸브몸체(171)의 내부에 마련된 볼부재(174)를 포함한다.7 and 8, each of the first check valve 170 and the second check valve 175 is a valv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t includes a body 171 and a ball member 174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171.

밸브몸체(171)의 일측에는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과 연통되는 제1 개구(172)가 형성되고 밸브몸체(171)의 타측에는 제1 벌룬(130)의 제1 공기공급구(131) 및 제2 벌룬(135)의 공기공급구(136)와 연통되는 제2 개구(173)가 형성된다.A first opening 17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171, and a first balloon 1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171. A second opening 173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ort 136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1 and the second balloon 135 of) is formed.

볼부재(174)는 밸브몸체(17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개구(172) 방향 및 제2 개구(173)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예를들어 제2 모드)에 볼부재(174)는 제2 개구(173)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기가 제2 개구(173)를 통해 제1 벌룬(130)의 공기공급구(131) 및 제2 벌룬(135)의 공기공급구(136)로 공급된다. 반면에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는 경우(예를들어 제1 모드)에 볼부재(174)는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 내의 공기압에 의해 제1 개구(172)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개구(172)를 차단하여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 내의 공기가 제1 개구(17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The ball member 174 is provided inside the valve body 171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72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73. As shown in FIG. 7, when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for example, in the second mode), the ball member 174 has a second opening 173 ), and air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port 131 of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air supply port 136 of the second balloon 135 through the second opening 173.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s blocked (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the ball member 174 is Air in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is moved toward the first opening 172 by air pressure in the 1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and blocks the first opening 172 Is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72.

한편,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벌룬(130)은 하인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벌룬(130)이 팽창됨에 따라 제1 벌룬(130)이 식도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2 벌룬(135)은 혀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제2 벌룬(135)이 팽창됨에 따라 제2 벌룬(130)이 혀를 압박할 수 있다. 이에 혀 및 식도에 의해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 내의 공기압이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에 공급되는 공기압보다 크게 되면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 내의 공기가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볼부재(174)가 제1 개구(172)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 내의 공기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제1 벌룬(130) 및 제2 벌룬(135)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first balloon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ypopharynx, and as the first balloon 130 expands, the first balloon 130 compresses the esophagus. I can. 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second balloon 135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and the second balloon 130 can press the tongue as the second balloon 135 is expanded. have. Accordingly, the air pressure in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by the tongue and esophagus is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 And the air pressure su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the air in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is reduc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In this case, the ball member 174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72 to block the discharge of air in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2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balloon 135 from contrac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maintaining an air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 유지장치(100)는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 공기유로(111)가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기유로(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11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ballon,130)과,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공기유로(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113)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ballon,135)과,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유로(111)를 개방하고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을 폐쇄하거나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을 팽창시키도록 제1 공기공급홀(112) 및 제2 공기공급홀(113)과 공기유로(111)를 연통되게 하고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개폐유닛(150)과, 제1 공기공급홀(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크밸브(170)와, 제2 공기공급홀(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크밸브(17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in the airway maint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an air flow channel 111 therein The first air supply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assage 111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 first balloon 130 that is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the hole 112 to block the esophagus, and an air passage 11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 And a second balloon (135) that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ongue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air passage (111)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2 to close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or expand the first balloon 130 and the second balloon 135 An opening/closing unit 150 connecting the supply hole 113 and the air passage 111 and blocking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nd a first check valve 170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112 ) And a second check valve 175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air supply hole 1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와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과 개폐유닛(150)과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1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와 제1 벌룬(130)과 제2 벌룬(135)과 개폐유닛(150)과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17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인 연장튜브(19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portion 110, the first balloon 130, the second balloon 135, the opening/closing unit 150, the first check valve 170, and the second check valve 17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main body 110, the first balloon 130, the second balloon 135, the opening/closing unit 150, the first check valve 170, and the second check valve 17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hereinaf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nsion tube 190 will be described.

연장튜브(190)는 일단부가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공기공급기(200)에 연결된다. The extension tube 190 has one end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200.

종전에는 예를들어 환자를 구급차로 이송하는 동안 응급요원은 환자와 근거리에서 안전벨트 등을 착용하지 않은 채 환자에 대한 구조 호흡을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구급차의 추돌, 급정거 등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응급요원이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응급요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 호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연장튜브(19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연장튜브(190)의 타단부에 공기공급기(200)를 연결한다. 따라서 응급환자를 구급차로 이송하는 동안 응급요원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구급차의 돌발상황에 대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환자에 대한 구조호흡을 용이하게 한다.Previously, for example, while transporting a patient to an ambulance, emergency personnel performed rescue breathing on the patient without wearing a seat belt, etc. at close range with the patient. As a result,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an ambulance collision or sudden stop, Emergency personnel were frequently injured. Accordingly, to ensure safety of emergency personnel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rescue breathing,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19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air supply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190. Connect. Therefore, emergency personnel can wear a seat belt while transporting an emergency patient to an ambulance to ensure safety against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ambulance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 rescue breathing for the patient.

그리고 연장튜브(190)를 본체부(1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타단부에는 연장튜브(19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튜브(190)의 일단부를 연결구(120)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본체부(110)와 연장튜브(19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공급기(200)는 앰부백(AMBU : air mask back unit), 산소공급기 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connector 120 to which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19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xtension tube 19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extension tube 190 only by inserting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190 into the connector 120. Here, the air supplier 200 includes an air mask back unit (AMBU), an oxygen supplier,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기도 유지장치 110: 본체부
111: 공기유로 112: 제1 공기공급홀
113: 제2 공기공급홀 114: 슬롯
115: 제1 홈 116: 제2 홈
118: 플랜지 119: 홈부
120: 연결구 125: 걸림턱
130: 제1 벌룬 135: 제2 벌룬
150: 개폐유닛 151: 슬라이딩부재
152: 제1 통공 153: 제2 통공
154: 절개부 155: 구동부
156: 구동부재 157: 결합구
170: 제1 체크밸브 171: 밸브몸체
172: 제1 개구 173: 제2 개구
174: 볼부재 175: 제2 체크밸브
190: 연장튜브 200: 공기공급기
100: airway holding device 110: main body
111: air flow 112: first air supply hole
113: second air supply hole 114: slot
115: first groove 116: second groove
118: flange 119: groove
120: connector 125: hook
130: first balloon 135: second balloon
150: opening and closing unit 151: sliding member
152: first through hole 153: second through hole
154: cutout 155: drive
156: driving member 157: coupling
170: first check valve 171: valve body
172: first opening 173: second opening
174: ball member 175: second check valve
190: extension tube 200: air supply

Claims (17)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되, 내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 및
상기 제1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A body portion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in;
A first ballo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a first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the esophagus; And
When a first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is form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through-hol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of the main body. When the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the air flow path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the first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air Airway holding device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air supply hole by providing a sliding memb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pply hole and blocks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y closing the air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벌룬과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을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balloon, and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a second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An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alloon to per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2 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When the slid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when the slid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second air supply hole, Airway holding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상부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차단하는 바닥면이 형성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liding member has a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flow path,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n incision cut upward from the en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limit movement,
An airway holding device having a bottom surface formed at an end of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to block the air passag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ja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공기유로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to enable the sliding member to slide in the air passage.
제5항에 있어서,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제1 모드; 및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open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losed; An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closed to block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open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and ,
The driving unit,
One end is inserted into a slot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mode and the first Airway hold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member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ccording to the 2 mode to move the slid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1 홈;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2 홈을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ody part,
A first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And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roove formed continuously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heck valv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의 공기공급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몸체; 및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개구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의 공기공급구로 공급되게 하며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개구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heck valv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nd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ballo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hollow valve body having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ort of the second balloon. And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when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the air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so that the air flows through the second opening to the first balloon and It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port of the second balloon, and when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blocked, it moves toward the first opening and blocks the first opening to block the first air supply hole. Airway holding device comprising a ball member for blocking the discharge of air in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through the first opening.
일단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타단부가 구강의 외부로 노출되되, 내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식도를 차단하는 제1 벌룬;
상기 제1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공기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공기공급기에 연결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A body portion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in;
A first ballo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flated by air supplied from a first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the esophagus;
When a first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hole is form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through-hol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one end of the main body. When the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the air flow path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the first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air flow path and the first air An opening/closing unit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ir supply hole by providing a sliding memb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upply hole and block the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y closing the air passage; And
Airway holding device comprising an extension tube one e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장튜브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타단부에 마련된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that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is inser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벌룬과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공기공급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제2 벌룬을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balloon, and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a second air supply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to block movement of the tongue. An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alloon to perfor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 공기공급홀과 연통되는 제2 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기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공기공급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ing member,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further formed, and when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lides along the air flow path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air supply hole is closed, and the When the air passage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airway side, and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 the second air supply hole to communicate the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nd the Airway maintenance device that blocks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y closing the air chann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상부가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차단하는 바닥면이 형성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iding member has a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flow path,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an incision cut upward from the en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to limit movement,
An airway holding device having a bottom surface formed at an end of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to block the air passag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jaw.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공기유로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to enable the sliding member to slide in the air passage.
제15항에 있어서,
기도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되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제1 모드; 및
기도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제1 벌룬 및 상기 제2 벌룬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기공급홀 및 상기 제2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first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open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airway side, but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closed; An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air passage is closed to block air supplied to the airway side, and the first air supply hole and the second air supply hole are open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and ,
The driving unit,
One end is inserted into a slot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mode and the first Airway hold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member for moving the sliding member by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ccording to the 2 m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1 홈;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걸리는 제2 홈을 더 포함하는 기도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dy part,
A first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And
Airway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roove formed continuously in the slot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nd the driving member is caught.
KR1020180099318A 2018-08-24 2018-08-24 Airway device KR102162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18A KR102162315B1 (en) 2018-08-24 2018-08-24 Airw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18A KR102162315B1 (en) 2018-08-24 2018-08-24 Airw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00A KR20200023000A (en) 2020-03-04
KR102162315B1 true KR102162315B1 (en) 2020-10-06

Family

ID=6978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18A KR102162315B1 (en) 2018-08-24 2018-08-24 Airw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31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516B1 (en) * 1992-11-06 2001-10-22 사노 미노루 Emergency Rescue
US20050229933A1 (en) 2004-04-14 2005-10-20 Mcgrail Thomas W Non-tracheal ventilation tube
JP2014529315A (en) 2011-07-25 2014-11-06 ニューロセ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on-invasiv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 brain cooling
KR101508131B1 (en) 2013-09-26 2015-04-07 정민호 Airway device
US20170216545A1 (en) 2012-10-08 2017-08-03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Reversible airway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ventilating a subje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38284U (en) 2012-06-15 2012-10-01 Bor Dah Internat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edical oropharyngeal airway tube
GB2558033B (en) * 2015-03-31 2020-01-15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Apparatus for use in a respiratory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516B1 (en) * 1992-11-06 2001-10-22 사노 미노루 Emergency Rescue
US20050229933A1 (en) 2004-04-14 2005-10-20 Mcgrail Thomas W Non-tracheal ventilation tube
JP2014529315A (en) 2011-07-25 2014-11-06 ニューロセ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on-invasiv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 brain cooling
US20170216545A1 (en) 2012-10-08 2017-08-03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Reversible airway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ventilating a subject
KR101508131B1 (en) 2013-09-26 2015-04-07 정민호 Airw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00A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3908A (en) Apparatus for sealing the oesophagus and providing artificial respiration
US5339808A (en) Endotracheal-esophageal intubation devices
EP1442765B1 (en) Implement for assisting inflation of medical implement with cuff; and bronchus closing implement with the implement
EP2903673B1 (en) Reversible airway device
EP0596517B1 (en) Emergency resuscitation apparatus
US7040312B2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flexible tip guide
US4596248A (en) Tracheostomy device
US2804076A (en) Surgical device for patients undergoing a laryngotomy
US20070240722A1 (en) Combination laryngeal mask airway with dual blocking and fluid removal features and method
IE57304B1 (en) Endotracheal tube assembly
GB2386325A (en) Laryngeal mask airway
US20150013684A1 (en) Speaking valve system with cuff deflation
WO2012017213A1 (en) A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KR102162317B1 (en) Airway device
KR102162314B1 (en) Airway device
ES2901203T3 (en) Pressure regulator for intubation tube balloon and breathing system including such a regulator
KR101858596B1 (en) Airway apparatus for guiding intubation
KR102162315B1 (en) Airway device
WO2018045555A1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cuffed endotracheal tubes and laryngeal masks
US11771860B2 (en) Nasal patient interface arrangement,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eathing apparatus
JP3503730B2 (en) Emergency Resuscitation Esophageal Airway
US3841319A (en) Method for sealing the oesophagus and providing artificial respiration
KR102162316B1 (en) Airway device
KR102215835B1 (en)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US20150034089A1 (en) Speaking valve system with cuff def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