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49B1 -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49B1
KR102162049B1 KR1020130136690A KR20130136690A KR102162049B1 KR 102162049 B1 KR102162049 B1 KR 102162049B1 KR 1020130136690 A KR1020130136690 A KR 1020130136690A KR 20130136690 A KR20130136690 A KR 20130136690A KR 102162049 B1 KR102162049 B1 KR 10216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s
file
electronic devices
conten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7667A (en
Inventor
박찬표
최성진
김익한
윤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00,60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62508B2/en
Publication of KR2015002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managing)하는 방법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들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in the s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content stored i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of the device and displaying the searched content.

Description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의 컨텐츠 통합 매니징(managing)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ent integration management in a portable terminal.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PC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버 등을 함께 사용하는 패턴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시에 매니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청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tendency that users do not use only one mobile device, but also use a mobile device and a PC or a mobile device and a cloud server together. According to such a user's mobile device usage pattern, requests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imultaneously managing contents stor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in one mobile device are increasing rapidly.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가 하나의 휴대 단말에 통합되어 디스플레이 되지 아니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매니징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ents stor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are not integrated and displayed in one portable terminal, and thus various contents cannot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또한, 사용자의 컨텐츠 매니징의 측면에서 볼 때, 중복되는 컨텐츠는 중복하여 디스플레이 할 필요가 없는 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동일한 컨텐츠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처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erms of the user's content management,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duplicat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multiple identical contents exist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own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provide a solution to deal with this.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소유의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동시에 검색할 수는 없는 바, 컨텐츠 매니징의 측면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content stored in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cannot be simultaneously search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user convenience cannot be increased in terms of content manag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소유의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tegrating display of contents stored in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일한 컨텐츠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매니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매니징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ximizing the user's content management convenience by displaying and managing only one content among the same cont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소유의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키워드를 통하여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searching for contents stored in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through keyword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안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roposed as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들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in the s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content stored i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displaying the searched cont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들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의 검색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touch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in the s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arch of the content stored in each of the search and the display of the searched cont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소유의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동일한 컨텐츠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매니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tent stored in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wned by a user can be displayed in an integrated manner, and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among the same contents, so that the user can integrate the contents stor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aged convenientl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명세서 상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ffects are inher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등록된 전자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동일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하나의 컨텐츠만을 휴대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동일한 컨텐츠가 하나만 디스플레이 된 경우,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하여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가 실행되는 화면에 대한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managing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deleting content from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registered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only one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when the same content is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content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in order to delete the content when only one identic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creen on which content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emplifying them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스마트 폰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장치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user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TV.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user device is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Cradle),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by u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such as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connector 165, and an earphone connection jack 167. The “external device” is an earphone, an external speaker, a universal serial bus (USB) memory, a charger, a cradle, and a docking station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nnectable by wire. ), a DMB antenna, a mobile payment-related device, a health management device (such as a blood sugar meter), a game machine, and a car navigation devic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Fi Direct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access point ( AP, Access Poin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other device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desktop PCs, and servers.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저장부(175)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90 and a display controller 195.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n input/output module 160, and a storage unit 175.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nd the multimedia module 140 is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143). The input/output module 1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nd a keypad 166.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90 and the display controller 195 are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stores the CPU 111, a ROM (ROM, 112)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tored, and a signal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It may include a RAM (RAM) 113 used as a storage area for a task performed in 100). The CPU 111 may include a single core, a dual core, a triple core, or a quad core. The CPU 111, the ROM 112, and the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저장부(175),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n input/output module 160, a storage unit 175, a touch screen 190,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Can be controlled.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00)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llows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one or a plurality of antenna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es a mobile phone (not shown), a smart phone (not shown), a tablet PC, or other device (not shown) having a phone number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s for text messages (SMS) or multimedia messages (MMS).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For example, it may include only the wireless LAN module 131, on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or both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not shown) is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wireless LAN module 131 supports the wireless LAN standard (IEEE802.11x)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may wirelessl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WiFi-Direct communicat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a video playback module 143.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is a broadcast signal (eg,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or a dat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through a broadcast communication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broadcast unit information (Eg, Electric Program Guide (EPG) or Electric Service Guide (ESG)) may be received. The audio reproducing module 142 may play a stored or received digital audio file (eg, a file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3, wma, ogg, or wav)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ideo reproducing module 143 may play a stored or received digital video file (eg, a file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eg, mpg, mp4, avi, mov, or mkv)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ideo reproducing module 143 may reproduce digital audio files.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143 except for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In addition,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of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module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nd a keypad 166.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1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s among the power/lock button, volume button, menu button, home button, back button, and search butt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The microphone 162 receives a voice or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eaker 163 is a variety of signals (eg, wireless signals, broadcast signals, digital audio files, digital video fil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or the multimedia module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 sound corresponding to a file or photographing, etc.)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peaker 163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eg, a button oper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phone call, or a call connection sound). One or more speakers 163 may be formed at appropriate positions or positions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100)은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vibration motor 164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vibration mode receives a voice call from another device (not shown), the vibration motor 164 operates. One or mor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vibration motor 164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motion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190 and a continuous motion of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190.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는 외부 입력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nector 165 may be used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a power source (not shown).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lternatively, data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ocking station, and the data may be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example, a mouse or a keyboar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eive power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or may charge a battery (not shown) using the power source.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The keypad 166 may receive a key input from a user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keypad 166 includes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virtual keypad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exclu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다.An earphone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connecting jack 167 to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및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multimedia module 140, the input/output module 160, and the touch screen 19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Correspondingly input/output signals or data can be stored.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control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he controller 110.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storage unit 175, the ROM 112, the RAM 113, or the portable terminal 100 (eg, SD card, memory Stick).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and photography) to a user.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uc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t least one touch input through a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a touchable input means (eg, a stylus pen).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continuous motion of one touch among at least one touch.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inuous movement of an input touch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user's body or a touchable input means, and may include non-contact. The interval detectable on the touch screen 19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ultrasonic wave method.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onverts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190 into a digital signal (eg, X and Y coordinate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190 using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select a shortcut icon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or execute a shortcut icon (not shown) in response to a touch.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시스템은 휴대 단말(100)과 전자 장치(200) 및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전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전자 장치(200) 및 전자 장치(200)는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MTS/GPRS, 3G,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이더넷(ethernet) 등의 방식에 따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방식에 따른 통신망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일부가 다른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서로 다른 방식을 따를 수도 있고, 전부가 서로 같은 방식을 따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워크라는 용어를 모든 방식의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와 다른 전자 장치(300)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electronic device 200, and another electronic device 300 that receives content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by being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etwork. The network is, for exampl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UMTS/GPRS, 3G,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TE-Advanced), Ethernet (ethernet). )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according to each method. In addition, the network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the like. A network connect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llow a different method from a network connecting some other elements, or all may follow the same metho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 network will be used in a sense encompassing all types of networks. Also, in the network,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electronic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서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소정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200)와 휴대 단말(100)을 구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는, 전자 장치(200)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기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의 개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user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tablet PC, and a server such as a cloud server. That is, it may mean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storing predetermined data. 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tinguished, bu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a concept includ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ent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well as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concep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managing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200)를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0). 상기 검색의 수행은 서브통신 모듈(13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식별 정보에 사용자 소유의 전자 장치(200)를 등록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ID,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즉, [email protected]에 사용자 소유의 전자 장치(200)를 등록해 놓은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100)이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200)를 검색하는 것은, 이메일 계정 및 이메일 계정에 따라 등록된 전자 장치(200)가 등록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rol to search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registered in the s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500).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search is performed by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o this end, the user may register the electronic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in his or 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set by the user, an e-mail account of the user, a phone number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like.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having registered the electronic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in the user's e-mail account, that is, [email protected]. Howeve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registered in the user's e-mail account by accessing and searching a server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0 registered according to the e-mail account and the e-mail account is registered. I can.

휴대 단말(100)이 복수의 전자 장치(200)를 검색하였으면, 검색된 복수의 전자 장치(200)의 정보를 터치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510). 이와 관련된 도면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email protected]에 등록된 전자 장치(200)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장치(200)의 정보는, 이메일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스토리지(storage)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정보는 전자 장치(200)의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전자 장치(200)의 타입(type)에 대응하는 아이콘, 전자 장치(200) 모델 명, 전자 장치(200)의 저장 용량 및 전자 장치(200)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타입은,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 폰인지, 태블릿 PC인지 여부와 같은 전자 장치(200)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타입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모델명(예를 들면, Galaxy S4)좌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 폰 형상의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의 저장 용량(예를 들면, 4GB / 20GB)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은, 예를 들면 Wi-Fi와 같은 통신 표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정보로서, 전자 장치(200)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통신 표준)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searched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information on the searched electronic devices 200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S510). A related drawing is shown in FIG. 6. Referring also to FIG. 6,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registered in [email protected] may be displaye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user to run a separate application in order to check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may check the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The displaye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divided into a user device registered in an email account and a storage, and displayed.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metadata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meta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con corresponding to a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 model nam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 storage capacity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a network type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0. It may be included.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mean a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such a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a smart phone-shaped icon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model name (eg, Galaxy S4)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s shown in FIG. 6. In addition, a storage capacity (eg, 4 GB / 20 GB)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displayed. The network type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mean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Wi-Fi. As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 network typ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display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홈 클라우드 서버(예를 들면, Home Syn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등록된 스토리지 항목에는, 클라우드 서버(예를 들면, Sugar Sync)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기 등록된 전자 장치(200)이외의 새로운 전자 장치를 "스토리지 추가" 메뉴를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a home cloud server (eg, Home Sync),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a cloud server (eg, Sugar Sync) can be included in the registered storage item. In addition, the user may register a new electronic device other than the previously registered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add storage" menu.

도 6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 되는 페이지는, 제1 페이지(192) 및 제2 페이지(19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제1 페이지(192) 및 제2 페이지(194)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제1 페이지(192)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스와이프(swipe) 제스처를 통하여 제1 페이지(192)에서 제2 페이지(194)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페이지(194)는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컨텐츠, 음성 컨텐츠 등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p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may include a first page 192 and a second page 194.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first page 192 and the second page 194 at the same time, and may display only the first page 192. The user may switch from the first page 192 to the second page 194 through, for example, a swipe gesture. The second page 194 may be a page on which content such as photo content or audio content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displayed.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 복수의 전자 장치(200)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0). 복수의 전자 장치(200) 각각에는 다양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 모두를 검색하게 되면, 검색 시간도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통합 매니징을 원하지 아니하는 컨텐츠까지 검색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미디어 컨텐츠 및 문서(텍스트)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음성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함에 있어서, 미디어 스캐너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디어 컨텐츠 및 문서(텍스트) 컨텐츠"를 "컨텐츠"라고 표현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may perform control to search for content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S520).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Each of them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If all of these various contents are searched, not only does it take a long time to search,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ontents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ntegrated management can be searched and displayed.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to be searched is media content and document (text) content. The media content may include image content, audio content, and video content. In searching for the media content, an application such as a media scanner may be us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edia content and document (text) content" will be expressed as "content".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를 검색한 후, 휴대 단말(100)검색된 컨텐츠에 동일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휴대 단말(100)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검색된 컨텐츠 중에서 동일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아니하고, 검색된 컨텐츠 전부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면, 동일한 컨텐츠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복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양이 많아져, 사용자의 컨텐츠 매니징에 있어서 그 편의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메모리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검색된 컨텐츠 중에서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컨텐츠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conte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same content in the searched content. It would be desirable to perform this by the control unit 110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f it is not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ame content is included among the searched content, and all of the searched content is displayed, the amount of duplicated and displayed content increases when there are multiple identical content.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the memory space may be unnecessarily occupied, resulting in waste of resources. 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ame content exists among the searched content, and to display only one of the same content when the same content exists. Contents related to this are shown in FIG. 7.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200) 중에서 스마트 폰(220)과 노트북(210)이 등록된 사용자 디바이스로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폰(220)에는 이미지 컨텐츠로서, 컨텐츠 A, 컨텐츠 C 및 컨텐츠 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노트북(210)에는 동일한 종류의 이미지 컨텐츠로서, 컨텐츠 A, 컨텐츠 B 및 컨텐츠 C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A와 컨텐츠 C로서,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A 및 컨텐츠 C를 동일한 컨텐츠로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소정 기준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기준은, 컨텐츠의 명칭, 컨텐츠의 수정(modified) 일시 및 컨텐츠의 해시코드(hash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할 실시예로서, 상기 컨텐츠의 명칭, 상기 컨텐츠의 수정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 모두에 기초하여 동일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명칭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것일 수 있고, 미리 정의된 파일 명칭일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의 수정 일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조작하려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시점 이전에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조작이 발생한 일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작은, 컨텐츠의 복사(copy), 컨텐츠의 내용 수정, 컨텐츠의 실행, 컨텐츠의 이동(move)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조작의 의미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의 해시코드(hash code)는, 컨텐츠의 식별을 위한 컨텐츠의 고유 코드로서 예를 들면, 컨텐츠의 헤더 필드(header field)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의 명칭 및 상기 컨텐츠의 수정 일시만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동일한 컨텐츠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컨텐츠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연히 컨텐츠의 명칭 및 컨텐츠의 수정 일시가 동일한 경우이다. 따라서, 2 이상의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까지 비교함으로써, 컨텐츠의 명칭 및 컨텐츠의 수정 일시가 동일하더라도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컨텐츠가 상이한 컨텐츠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컨텐츠 동일성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컨텐츠의 명칭 및 컨텐츠의 수정 일시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컨텐츠가 동일한 컨텐츠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는, 컨텐츠가 생성되어 휴대 단말(1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200,300)의 저장부(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시점에 상기 해시 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해시코드가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해시코드는 휴대 단말(1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200,300)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부(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시코드는, 특정한 데이터를 숫자로 나타낸 값으로서, 상기 해시코드의 의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by way of example, among electronic devices 200, a smart phone 220 and a notebook 210 are shown as registered user devices. The smart phone 220 may include content A, content C, and content D as image content. In addition, the notebook 210 may include content A, content B, and content C as image content of the same type. Here, the overlapping content is content A and content C,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content A and content C as the same conte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is the sa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s the same based on at least one of a name of the content, a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and a hash code of the content. However, as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s the same based on the name of the content, the modification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and the hash code of the content. The name of the content may be designated by the user or may be a predefined file name. The modification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may mean a date and time at which a predetermined manipulation of the content occurs befor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tends to manipulate the content. The manipulation may mean copying the content, modifying the content, executing the content, and moving the content, but the meaning of the manipula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hash code of the content is a unique code of the content for identification of the content, and may be stored, for example, in a header field of the content. When the same content is determined only by the name of the content and the modification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it may be recognized as the same content even though the content is not actually the same content. For example, the name of the content and the date and time of modification of the content are the same by chance. Therefore, by comparing two or more contents to the hash code of the contents, even if the name of the contents and the modification date and time of the contents are the same, if the hash codes of the contents are different, the two or more contents may be determined as different contents. The accuracy of identity determination can be improved. Conversely, even if the content name and the content modification date are different, when the content has the same hash code, the two or more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the same content. The hash code of the content is generated when the content is generated and stored in a storage unit (for example, a hard disk)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other electronic device 200, 300, and the hash code is It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content. The hash code of the content may be generated by a control unit (eg, a microprocesso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other electronic devices 200 and 300. The hash code is a value representing specific data in numbers, and the meaning of the hash cod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컨텐츠로 판단된 컨텐츠 A 및 컨텐츠 C에 대해서는, 비록 두 개의 전자 장치(예를 들면, Galaxy S4 및 myPC) 모두에 존재하는 컨텐츠라고 하더라도,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A 및 컨텐츠 C에 대해서 각각 하나씩만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40, S550). 만약,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라면,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아니하고, 각각의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550). 이는, 휴대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ontent exists, as shown in FIG. 7, the content A and the content C determined to be the same content, although the content is present in both electronic devices (eg, Galaxy S4 and myPC). Even s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and display only one for each of the content A and the content C (S540 and S550). If the same content does not exist, the content stored in each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content exists (S550). This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S550 단계와 관련하여, 휴대 단말(100)에서 전자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컨텐츠 네임(name, 명칭),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용량,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치 정보,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해상도,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아티스트 네임,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트랙(track) 넘버,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수정(modified) 날짜(및 시간),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타이틀(title)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playing tim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을 예를 들어 롱 터치 제스처를 통하여 선택하는 것과 같이 선택하면, 상기 메타 데이터가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의 상세 정보로서, 별도의 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통하여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어느 전자 장치(200)에 위치하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garding step S550, in order to display the conten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 thumbnail image and meta data for the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display a touch screen. It can be displayed at 190. The metadata may include a content nam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a capacity of the searched content,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searched content is stored, a resolution of the searched content, an artist name related to the searched content, and the searched cont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ck number of content, a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searched content, a title of the searched content, and a playing time of the searched content. . The meta data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A and 8B.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when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is selected, for example, through a long touch gesture, the metadata i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As,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Thi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The user can easily check in which electronic device 200 the managed content 170 is located through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naged content 170.

컨텐츠 매니징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실행하게 되면, 휴대 단말(100)은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을 통하여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수신하여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실행할 수 있다. 이미지 컨텐츠의 경우에는 스트리밍 방식이 아닌,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모두 다운로드 받은 후에 휴대 단말(1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데이터들은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실행되는 것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에는 이미지가 썸네일 이미지가 아닌 본래의 이미지 크기대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음성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에는 재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문서(텍스트) 컨텐츠의 경우에는 텍스트의 내용이 휴대 단말(100)의 터치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As an embodiment of content management, when a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 example, streaming Through the method, the managed content 170 may b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which the managed content 170 is stored and the managed content 170 may be executed. In the case of image content, it may be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fter all of the managed content 170 is download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which the managed content 170 is stored, rather than a streaming method. The downloaded content and other data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When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is executed, in the case of image content, it means that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original image size instead of the thumbnail image, and in the case of audio content and video content, it means that the image is played back. In the case of document (text) content, it means that the content of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4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600),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에서 다른 전자 장치(300), 전자 장치(200) 및 휴대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 또는 단말에 전송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결정할 수 있다(S610).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content (S600), and a user displays another electronic device 300, an electronic device 200, and a mobile terminal 100 among content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device or terminal may be selected. The touch screen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user's selection input, and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e managed content 17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S610).

다음으로, 휴대 단말(100)은 전송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동일한 컨텐츠로서 휴대 단말(100)에 하나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휴대 단말(100)에 하나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라면,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전송하는 전송 수행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S630). 상기 우선 순위는 전송 수행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보장성, 전송 수행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타입(type),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수신하는 수신 전자장치의 속성 또는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전송되는 전송 인터페이스 타입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transmitted is the same content and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S620). If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 transmiss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the managed content 17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S630). The priority is the network connection guarantee of the transmitting electronic device, the network type of the transmitting electronic device, the attribute of the receiving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e managed content 170 or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transmitted.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nsport interface type.

상기 전송 수행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보장성은, 네트워크의 항시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네트워크 연결에 관계없이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매니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1순위로 정의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40)는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이므로 2순위로 정의될 수 있다. PC(210)는 ON 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안정적일 것이므로 3순위로 정의될 수 있다. 스마트 폰(220)은 전자 장치(200)중에서 네트워크의 항시성이 보장되기 가장 어려우므로 4순위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며, 이에 의하여 우선순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다고 할 것이다. 클라우드 서버(240)의 경우에는, "등록된 스토리지"에 포함되는 클라우드 서버(244)가, "등록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홈 클라우드 서버(242)보다 선 순위의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guarantee of network connection of the transmitting electronic device may mean the continuity of the network. That is,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manage the managed content 170 regardless of the network connection, it may be defined as the first priority. Since the cloud server 240 is a server rather than a client, it may be defined as a second priority. When the PC 210 is ON, the network will be stable and thus may be defined as a third priority. The smart phone 220 may be defined as the fourth priority because it is the most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nsistency of the network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200. However, this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priority is not limited thereby. In the case of the cloud server 240, the cloud server 244 included in the "registered storage" will be defined as having a higher priority than the home cloud server 242 included in the "registered user device". I ca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also exemplary.

우선 순위가 정의되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송 수행 전자장치의 네트워크 타입(type)에 의하여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타입은, 예를 들면 Wi-Fi와 같은 통신 표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스마트 폰(220)이라도, 어떠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느냐에 따라 순위가 달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4G 및 3G 중에서 우선순위가 정의된다고 한다면, Wi-Fi가 가장 선순위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는 4G(LTE 또는 LTE-A)가 그 다음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G가 그 다음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는, 네트워크의 항시성,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과금 여부 등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iority is define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network type of a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type may mean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Wi-Fi. For example, even for the same smart phone 220, the ranking may be differently defined according to which network is connected. For example, if the priority is defined among Wi-Fi, 4G and 3G, Wi-Fi may be defined a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4G (LTE or LTE-A). It can be defined as having the following priorities. Finally, 3G can be defined as having the next priority. Such a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the network, a data transmission rate, and whether or not to charge according to the network usage.

우선순위가 정의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수신하는 수신 전자장치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수신하는 수신 전자 장치가 예를 들어 TV 라면, 휴대 장치(100) 또는 스마트 폰(220)에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전송되어 휴대 장치(100) 또는 스마트 폰(220)이 상기 TV에 대한 리모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 장치(100) 또는 스마트 폰(220)이 다른 전자 장치(200)보다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iority is defined,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attribute of a receiving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the managed content 170. If the receiving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e managed content 170 is, for example, a TV, the managed content 170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device 100 or the smart phone 220 to the portable device 100 or a smart phone. Since 22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 remote control for the TV, the portable device 100 or the smart phone 220 may be defined as having priority over other electronic devices 200.

우선순위가 정의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전송되는 전송 인터페이스 타입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전송되는 전송 인터페이스가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라면, 상기 SNS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휴대 단말(100) 또는 스마트 폰(220)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 수행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S630), 전송 수행 전자장치에 저장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전송할 수 있다(S650). 이는 제어부(110) 및 서브 통신 모듈(1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iority is define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a transmissio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managed content 170 is transmitted. If the transmissio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is transmitted is, for example, transmitted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smart phone 220 is the highest in consideration of accessibility to the SNS. It can be defined as having a priority.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as described above (S630) and transmit the managed content 170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ransmission (S650). Thi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전송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동일한 컨텐츠로서 하나의 컨텐츠만이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가 아니라면, 전송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존재하는 전자 장치를 전송 수행 전자장치로 결정하여, 전송 수행 전자장치에 저장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전송할 수 있다(S650).If the managing target content 170 to be transmitted is the same content and only one content is not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managing target content 170 to be transmitted exists is determined as the transmitting electronic device. , The managed content 170 stored in the transmiss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S650).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매니징(managing)되는 것"의 의미는,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의 실행,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의 검색,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의 삭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meaning of "manag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execution of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search of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deletion of the content to be managed 170, and managem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of the target content 1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5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deleting cont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700),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에서 삭제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결정할 수 있다(S710).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content (S700), and a user may select a managed content 170 to be deleted from amo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19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eive a user's selection input, and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e managed content 17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S710).

다음으로, 휴대 단말(100)은 삭제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동일한 컨텐츠로서 휴대 단말(100)에 하나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20). 판단 결과, 동일한 컨텐츠로서 하나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라면, 동일한 컨텐츠가 저장된 전자 장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730).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전송하는 경우와 달리 삭제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전송만 되면 되지만,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가 임의로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삭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즉, 삭제하는 경우는 어느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삭제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동일한 컨텐츠가 저장된 전자 장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로부터 삭제 수행 전자 장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는 내용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삭제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스마트 폰(220)(예를 들어, Galaxy S3 및 Galaxy S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라면,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 메뉴와 함께 스마트 폰(220)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의 홈 버튼(161) 좌측에 존재하는 메뉴 버튼을 터치하여 휴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환경 설정 메뉴에서 컨텐츠의 삭제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는 환경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컨텐츠가 삭제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deleted is the same content and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S7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as the same conte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in which the same content is stored may be displayed (S730). Unlike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managed content 170, in the case of dele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iority may not be perform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managed content 170, as a result, the managed content 170 only needs to be trans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deleting the managed content 170, the control unit 110 arbitrarily selects the managed content ( 170) cannot be deleted. That is, in the case of dele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electronic device 200 to delete content by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in which the same content is stored, and Reference numeral 190 may receive an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deletion from a user. Contents related to this are shown in FIG. 10. For example, if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deleted is the content stored in the smart phone 220 (eg, Galaxy S3 and Galaxy S4), as shown in FIG. 10(b), along with the delete menu Information about the smart phone 220 can be displayed.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user touches the menu button present on the left side of the home button 16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elects to delete contents from the environment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You can enter an environment where you can delete. However, thi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explain the process of deleting the content,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사용자는, 삭제를 수행할 삭제 수행 전자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고(S740), 삭제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10)는 해당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를 삭제할 수 있다(S760). 동일한 컨텐츠로서 하나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가 아니라면 제어부(110) 및 서브 통신 모듈(130)은, 삭제할 매니징 대상 컨텐츠(170)가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를 삭제 수행 전자 장치로 결정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60).The user may select the delet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200 to be deleted (S740), and upon receiving the deletion input, the controller 110 may delete the corresponding managed content 170 (S760). Unless only one content is displayed as the same content,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determine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managed content 170 to be deleted is stored as the delet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elet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S760).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8A and 8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content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도 8a의 상단부에 도시된 도면은 휴대 단말(100)에서,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음악(music)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의 하단부에 도시된 도면은, 휴대 단말(100)에서, 전자 장치(200) 중 스마트 폰(2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music)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양자 어느 경우에서라도, 검색 버튼(150)을 선택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선택 버튼(152)을 통하여 원하는 전자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검색 창(154)에 예를 들어, "Party"를 입력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Party" 문자열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10) 및 서브 통신 모듈(1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a diagram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music content is displayed among contents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8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ly music content stored in the smart phone 220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display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either case, when the search button 150 is selected, as illustrated in FIG. 8B, a screen in which all contents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searched may be switched. In the converted screen, the user may select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200 selection button 152. If, for example, "Party" is input in the search window 154, content including the string "Party" among contents stored in all electronic devices 200 may be searched as shown in FIG. 8B. Thi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또한, 도 8b에서는 컨텐츠의 명칭(name)과 저장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한되지 아니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FIG. 8B shows that the content name and storage location are displayed,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가 실행되는 화면에 대한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creen on which content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a)에서는 이미지 컨텐츠가 실행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컨텐츠의 실행화면에는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로서, 디바이스 또는 스토리지 명칭(180)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가 어느 전자 장치(200)에 위치하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1의 (b) 및 (c)와 같이, 음성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는 실행화면에도 디바이스 또는 스토리지 명칭(180)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만, 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텍스트(문서) 컨텐츠 실행시에도 디바이스 또는 스토리지 명칭(180)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FIG. 11A illustrates that image content is executed. The device or storage name 180 may be displayed together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Through this, the user may easily know in which electronic device 200 the content being executed is located. Likewise, as shown in (b) and (c) of FIG. 11, the device or storage name 180 may also be displayed on an execution screen on which audio content or video content is being executed. 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FIG. 11, the device or storage name 180 may be displayed together even when text (document) content is execu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전자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전자장치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y such software, for example,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may b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device such as a RAM,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for example. Or, for example, it may be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uch as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memory, and the memory is read by a machine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example of a possi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a code for implementing an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readable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storing such a program. Further, such a program may be transferred electronically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y includes equivalents thereto.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evice may receive and store the program from a program providing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program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mory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request from the user device or a corresponding program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 휴대 단말 110 : 제어부
190 : 터치스크린 200 : 전자장치
100: mobile terminal 110: control unit
190: touch screen 200: electronic device

Claims (34)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에 걸쳐 특정한 검색 용어로 파일을 검색하는 동작과,
상기 검색 용어와 관련된 복수의 파일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파일은 서로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장치들 상에 저장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파일 중 서로 동일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을 식별하는 동작과,
서로 동일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과,
상기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파일을 제외한 다른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파일이 서로 구별되는 파일이 되도록 하는 동작과,
상기 서로 구별되는 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서로 구별되는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송 장치에 저장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a file in a specific search term acros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Identifying a plurality of files related to the search term, the plurality of files including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and the at least two files being on at least two different devic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saved,
Identifying the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identified files,
An operation of selecting any one of the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an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deleting a file other than the one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two files so that the plurality of file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stinct files,
Determining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y one of the distinguished fil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any one of the files stored in the transmission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동일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명칭,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수정(modified) 일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해시코드(hash cod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로 동일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of identifying the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in at least one of a name of the at least two files, a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at least two files, and a hash code of the at least two fil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e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searching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전송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보장성, 상기 전송 장치의 네트워크 타입(type),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전송 인터페이스 타입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ority is determin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guarantee of the transmission device, a network type of the transmission device, a property of the external device, or a transmission interface type of the one of the files. How to control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삭제를 수행하는 삭제 수행 전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etermining a delet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that deletes the one fil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수행 전자장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과,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삭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받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deletion includes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each storing the same at least two fil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sele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deletion of any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that respectively store the displayed at least two fi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은,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ing of the object comprises displaying at least one of metadata of the one file and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one fi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네임(name),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용량,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 정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해상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과 관련된 아티스트 네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트랙(track) 넘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수정(modified) 날짜 및 시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타이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metadata may include a name of the one file, the capacity of the one fil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one file is stored, the resolution of the one file, the one file At least one of the artist name associated with the associated artist, the track number of the one file, the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one file, the title of the one file, and the playback time of the one fil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ne of the files is execu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stored is display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les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file, a video file, an audio file, and a text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메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타입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모델명,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저장 용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이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ing of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s displaying metadata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meta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corresponding to a ty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model na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storage capac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network type suppor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one.
휴대 단말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에 걸쳐 특정한 검색 용어로 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 용어와 관련된 복수의 파일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파일은 서로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장치들 상에 저장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파일 중 서로 동일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을 식별하고,
서로 동일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파일을 제외한 다른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파일이 서로 구별되는 파일이 되도록 하고,
상기 서로 구별되는 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서로 구별되는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장치에 저장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In a portable terminal,
Touch screen,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Search for a file with a specific search term acros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dentifying a plurality of files related to the search term, the plurality of files including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the at least two files being stored on at least two different devic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
Identify the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identified files,
Select any one of the at least two files identical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by deleting a file other than the one selected file among the at least two files, the plurality of file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isplay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stinct files,
Selecting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y one of the distinguished fil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to control the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any one of the files stored in the transmission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명칭,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수정 일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파일의 해시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로 동일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le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name of the at least two files, a modification date and time of the at least two files, and a hash code of the at least two files, Mobile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도록 제어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o search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전송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보장성, 상기 전송 장치의 네트워크 타입(type),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전송 인터페이스 타입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iority is determin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guarantee of the transmission device, a network type of the transmission device, a property of the external device, or a transmission interface type of any one of the files.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삭제를 수행하는 삭제 수행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a deletion performing electronic device that delet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삭제 수행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일한 적어도 2개의 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전자 장치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삭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받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28,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dele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each storing the same at least two file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respectively storing the displayed at least two files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nfigured to select and determine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file dele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metadata of the one file and the thumbnail image of the one file on the touch screen.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컨텐츠 네임(name),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용량,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치 정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해상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과 관련된 아티스트 네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트랙(track) 넘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수정(modified) 날짜 및 시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타이들(title)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의 재생 시간(playing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30,
The metadata may include a content name of the one file, the capacity of the one fil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one file is stored, the resolution of the one file, and the one of the The artist name associated with the file, the track number of the one file, the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one file, the title of the one file, and the one of the file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laying tim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stored when the one of the files is execut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f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f an image file, a video file, and a text fi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메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타입(type),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타입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저장 용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지원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8,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s displaying metadata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metadata may include a ty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 icon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storage capac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support network ty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KR1020130136690A 2013-09-04 2013-11-12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102162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0,603 US10162508B2 (en) 2013-09-04 2014-06-10 Content items stored in electr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73483P 2013-09-04 2013-09-04
US61/873,483 201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67A KR20150027667A (en) 2015-03-12
KR102162049B1 true KR102162049B1 (en) 2020-10-06

Family

ID=5302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90A KR102162049B1 (en) 2013-09-04 2013-11-12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223A (en) * 2005-01-24 2006-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User terminal and program
US20090082110A1 (en) 2007-09-21 2009-03-26 Verizon Data Services Inc. Highlight management for fantasy gaming
US20100208295A1 (en) 2009-02-18 2010-08-1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88212A1 (en) 2012-01-23 2013-07-25 Salil Pardhan Data Server, Network System, and Uploa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712A (en) * 2011-12-30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server and controll method of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223A (en) * 2005-01-24 2006-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User terminal and program
US20090082110A1 (en) 2007-09-21 2009-03-26 Verizon Data Services Inc. Highlight management for fantasy gaming
US20100208295A1 (en) 2009-02-18 2010-08-1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88212A1 (en) 2012-01-23 2013-07-25 Salil Pardhan Data Server, Network System, and Uploa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67A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389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86992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13683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19402B2 (en) Screen display metho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20140365923A1 (en) Home screen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524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ly manag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102064836B1 (en) An apparatus displaying a menu for mobil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US20140201675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text awareness
KR102015534B1 (en) Message sync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server
US201403659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21024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CN1035439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mobile device
CN1041117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KR201400317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US20150012855A1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64914B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o naming for content and apparatus having auto naming function for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439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50012889A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5004852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KR20140090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US201703392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KR102208361B1 (en) Keyword search method and apparatus
US20140258944A1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00414A (en)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