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627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627B1
KR102161627B1 KR1020160160780A KR20160160780A KR102161627B1 KR 102161627 B1 KR102161627 B1 KR 102161627B1 KR 1020160160780 A KR1020160160780 A KR 1020160160780A KR 20160160780 A KR20160160780 A KR 20160160780A KR 102161627 B1 KR102161627 B1 KR 10216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late
terminal
secondary battery
weld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0831A (en
Inventor
이은중
원희연
유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627B1/en
Priority to PCT/KR2017/012640 priority patent/WO2018101634A1/en
Priority to CN201780073741.4A priority patent/CN110024201B/en
Publication of KR2018006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426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나란한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파트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 상에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연결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용접된 용접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can, a cap plate sealing the can, and a first terminal located on the cap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the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part parallel to the cap plate,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and a reinforcing part formed on the first part, and the first part Includes a first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in which a welded portion welded to the cap plate is located, and the reinforcing portion span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formed continuously.

Figure R1020160160780
Figure R1020160160780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capable of repetitive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echnical fields throughout the industry. In addition, as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한편, 이차 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 또는 다수의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과충전, 과전류 등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모듈 등과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a form in which a single battery or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in which it is used, and may be connected to a protection circuit module that prevents overcharging and overcurrent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 중 단자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the shape of a terminal from changing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나란한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파트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 상에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연결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용접된 용접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can; A cap plate sealing the can; And a first terminal located on the cap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wherein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part parallel to the cap plat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and to the first part A second part bent with respect to, and a reinforcing part formed on the first part, wherein the first part includes a first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a welded part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welded to the cap plate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is positioned,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discloses a secondary battery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art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는 상기 제2 파트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절곡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bending groove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determine a be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기 제1 파트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제2 파트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1 파트 상으로 접힌 접힘부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a folded portion in which an edge of the first part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part, is folded onto the first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끝단과 상기 용접부 간의 최단 거리는 0.5㎜ 내지 1㎜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olded portion and the welding portion may be 0.5 mm to 1 m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상기 접힘부의 폭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olded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may be 0.4 mm to 0.7 m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한 쌍의 용접부들 사이에 상기 제1 파트를 관통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ld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weld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slit penetrating the first part between the pair of welding portion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용접부들과 상기 슬릿 간의 거리는 각각 0.5㎜ 내지 1㎜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welding portions and the slit may be 0.5 mm to 1 mm,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파트의 일부가 상기 캡 플레이트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융기부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rt may be a raised part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part protrudes convex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파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1 파트의 두께의 2배 이하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raised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rt and less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1 단자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결합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p plat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oupling piec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termina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p plate. It may contain mo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핀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이격된 제2 단자 및,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의 제1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p plate includes an electrode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second terminal located on the cap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p plate A first insulating tape between the second terminal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단자와 중첩하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들 중 일부를 각각 커버하는 제2 절연부와 제3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tape comprises a first insulating portion covering an area of the cap plate overlapping the second terminal, and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nd among four side surfaces of the can It may include a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a third insulating portion respectively covering some of the two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ary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ulating ta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terminal.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테이프의 두께는 상기 제1 절연 테이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tape may be thick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tap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극핀과 접속하는 제1 전극 탭,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전극 탭과 상호 이격된 제2 전극 탭, 및 상기 제1 전극 탭과 상기 제2 전극 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 탭과 접속된 온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pin, a second electrode tab mutu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ab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and the first electrode A temperature element positioned between th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2 단자를 커버하며 상기 제2 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ary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that covers the second terminal and fixes the second terminal.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 중 단자의 형상이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of the terminal from being chang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제1 단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차 전지와 보호회로모듈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단자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제1 단자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terminal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irst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tion II′ of FIG. 6.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each drawing,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both on and under are formed directly or through other components. It includes, and the criteria for the upper (on) and the lower (und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제1 단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이차 전지와 보호회로모듈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and FIG. 3 is a first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of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차 전지(1)는, 베어 셀(B), 제1 단자(30), 제2 단자(40), 제1 절연 테이프(50), 제2 절연 테이프(60), 및 고정 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e cell B, a first terminal 30, a second terminal 40, and a first insulating tape 50. ), a second insulating tape 60, and a fixing member 70 may be included.

베어 셀(B)은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서 일 예로,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 셀(B)은 개구를 포함하는 캔(10), 캔(10)의 개구를 통해 캔(10)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2) 및 캔(10)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re cell (B)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as a lithium-ion battery. The bare cell B includes a can 10 including an opening, an electrode assembly 12 accommodated in the can 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n 10, and a cap plate 20 sealing the opening of the can 10 ) Can be included.

캔(10)은 일 측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캔(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캔(10)의 내부에는 전극 조립체(12)와 함께 전해질이 수용될 수 있다.The can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the can 10 may b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 electrolyt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n 10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2.

전극 조립체(12)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전극 조립체(12)는, 일 예로, 제1 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젤리롤 형태가 되도록 권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극 조립체(12)는, 제1 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일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2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ve different polarities. Fo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12 may be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n winding them to form a jelly roll.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12 may be a lamin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re sequentially stacked.

전극 조립체(12)가 개구를 통해서 캔(10)에 수용되면, 개구는 캡 플레이트(2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20)는 캔(1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20)와 캔(10)이 접하는 부분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assembly 12 is accommodated in the can 10 through the opening, the opening may be sealed by the cap plate 20. Like the can 10, the cap plate 20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 portion where the cap plate 20 and the can 10 come into contact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or the like.

캡 플레이트(20)는 전극핀(21)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핀(21)은 캡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전극 조립체(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캡 플레이트(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12)의 제1 전극판은 전극핀(21)과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12)의 제2 전극판은 캡 플레이트(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핀(21)과 캡 플레이트(2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핀(21)과 캡 플레이트(20)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핀(21)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캡 플레이트(20)와 캔(10)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전극핀(21)은 음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캔(10) 및 캡 플레이트(20)는 양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ap plate 20 may include an electrode pin 21. The electrode pins 21 may pass through the cap plate 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 and protrude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ap plate 20. 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pin 21,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20, and the electrode pin 21 The cap plate 20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Accordingly, a gasket 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pin 21 and the cap plate 20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in 21 and the cap plate 20. Meanwhile, the cap plate 20 and the can 10 may have the same polarity. For example, the electrode pin 21 may have a negative polarity, and the can 10 and the cap plate 20 may have a positive polarity.

제1 단자(30)는 캡 플레이트(20)의 일부 영역(20a) 상에 배치되며, 제2 단자(40)는 캡 플레이트(20)의 다른 영역(2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단자(30)와 제2 단자(40)는 전극핀(2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30 may be disposed on a partial region 20a of the cap plate 20, and the second terminal 40 may be disposed on another region 20b of the cap plate 20. As an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30 and the second terminal 4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ound the electrode pin 21.

제1 단자(30)와 캡 플레이트(20)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캡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단자(30)는 니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종(異種)소재로 제작되는 제1 단자(30)와 캡 플레이트(20) 간의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캡 플레이트(20) 상에는 결합편(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편(22)은 제1 단자(30)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30 and the cap plate 20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cap plate 20 may be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the first terminal 30 may be formed of nickel.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weldability between the first terminal 30 and the cap plate 20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 coupling piece 22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cap plate 20. For example, the coupling piece 2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terminal 30.

제1 단자(30)와 제2 단자(40)는 이차 전지(1)를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2 단자(30, 40)는 보호회로모듈의 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접속단(110)에 각각 용접되어, 이차 전지(1)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에는 1개 이상의 이차 전지(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의 회로 기판(100)에는 이차 전지(1)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단락, 역전압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 들이 실장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30 and the second terminal 4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ary battery 1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30 and 40 are respectively weld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110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00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1 is a protection circui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One or more secondary batteries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100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revents overcharge, overdischarge, overcurrent, short circuit, reverse voltage, etc. of the secondary battery 1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mounted.

제1 단자(30)는 캡 플레이트(20)와 평행한 제1 파트(31), 제1 파트(31)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파트(31)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32), 및 제1 파트(31) 상에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 파트(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30 has a first part 31 parallel to the cap plate 20, a second part 32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31 and bent relative to the first part 31, and One may include a reinforcement part formed on the part 31. The second part 32 may extend from the first part 3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1.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2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1.

제1 파트(31)는, 제2 파트(32)와 연결된 영역인 제1 영역(S1) 및 제1 영역(S1)과 인접하고 캡 플레이트(20)와 용접된 용접부(W)가 위치하는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경계에는 제2 파트(32)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제2 파트(32)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절곡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31 is a first region S1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32 and a first region S1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S1 and in which the weld W welded to the cap plate 20 is located. It may include two areas (S2), wherein the boundary of the first area (S1) and the second area (S2) determines the be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art 32 and facilitates the bending of the second part 32 A first bending groove G1 may be formed.

또한, 제1 파트(31)에 형성된 보강부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차 전지(1)의 제조 공정 중에 제1 단자(30)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부는 캡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 파트(31)의 가장자리들 중, 제2 파트(32)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가 제1 파트(31) 상으로 접힌 접힘부(33)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part 31 is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first region S1 and the second region S2, so that the shape of the first terminal 3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 You can prevent it from changing. As an example, the reinforcing part is a folded part in which an edge of the first part 31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20,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art 32, is folded onto the first part 31 It can be (33).

제1 단자(30)는 지그 등에 의해 캡 플레이트(20) 상에 위치가 고정된 후, 제2 영역(S2)의 용접부(W)에 용접봉이 접하여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캡 플레이트(20) 상에 용접된다.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제1 단자(30)를 고정하던 지그가 제거되는데, 이때, 제1 단자(30)는 약 0.1T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지그에 포함된 자석 등에 의해 제1 영역(S1)이 쉽게 들림으로써, 제1 파트(31)에 굴곡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절곡홈(G1)이 형성된 영역에서 제1 파트(31)의 폭이 최소가 되므로, 제1 절곡홈(G1)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선(BL)을 기준으로 제1 영역(S1)이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꺾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파트(32)의 위치가 보호회로모듈의 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접속단(110)과 정렬되지 않고 위치가 틀어져, 접속단(110)과의 용접시 용접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After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30 is fixed on the cap plate 20 by a jig or the like, the welding rod contacts the welding portion W of the second region S2 to perform welding. Are welded. After the welding is completed, the jig fixing the first terminal 30 is removed.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30 has a thin thickness of about 0.1T, so the first region ( When S1) is lifted easily, a bend or the like may occur in the first part 31. In particular, since the width of the first part 31 is minimized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bent groove G1 is formed, the first region S1 is based on the virtual line BL formed along the first bent groove G1. ) May be bent or bent in the upper direction, where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art 32 is not aligned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110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00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ut is displaced,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10 ), welding failure may occur.

그러나, 제1 파트(31)의 가장자리에 접힘부(33)가 형성된 경우는, 가상선(BL)을 기준으로 제1 영역(S1)이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파트(32)와 접속단(110) 간의 정렬이 유지되어 이차 전지(1)를 포함하는 모듈의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folded portion 33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part 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region S1 from bending or bending upward based on the virtual line BL, thereby Since the alignment between the second part 32 and the connection end 110 is maintained, manufacturing efficiency of a modul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1 may be improved.

한편, 접힘부(33)의 끝단과 용접부(W) 간의 제1 거리(D1)는 0.5㎜ 내지 1㎜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는 캡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힘부(33)의 끝단에서부터 용접부(W)의 최외곽 영역까지 측정된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end of the folded portion 33 and the welding portion W may be 0.5 mm to 1 mm. Here, the first distance D1 refers to the shortest distance measured from the end of the folded portion 33 to the outermost region of the welding portion 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20.

상기 제1 거리(D1)가 1㎜ 보다 크면, 용접봉의 위치가 접힘부(33)가 형성된 제1 파트(31)의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거나, 반대측의 가장자리와 접함으로써 과용접, 용접 터짐, Burn 등의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거리(D1)가 0.5㎜ 보다 작으면, 두께의 증가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항이 감소된 접힘부(33)로 무효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어 용접 효율이 감소하며, 접힘부(33)와 용접봉이 맞닿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역시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first distance (D1) is greater than 1 mm, the position of the welding rod is close to the edge of the first part 31 on which the folded portion 33 is formed, or close to the edge of the opposite side, thereby overwelding or welding. Welding defects such as bursts and burns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distance D1 is less than 0.5 mm, a large amount of reactive current flows to the folded portion 33 having a relatively reduced resistance due to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thereby reducing welding efficiency, and the folded portion 33 ) And the welding rod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welding defects as well.

또한, 캡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접힘부(33)의 폭(L)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 접힘부(33)의 폭(L)이 0.7㎜ 보다 커지면, 용접시 접힘부(33)의 끝단과 용접봉 간의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무효 전류의 증가 등에 의해 용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반면에, 접힘부(33)의 폭(L)이 0.4㎜ 보다 작으면, 접힘부(33)를 형성하기 곤란해지고 제1 영역(S1)이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width L of the folded portion 33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20 may be 0.4 mm to 0.7 mm. When the width L of the folded portion 33 is greater than 0.7 mm,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welding failure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reactive current or the lik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olded portion 33 and the welding rod becomes close during welding. 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L of the folded portion 33 is less than 0.4 mm, it is difficult to form the folded portion 33 and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the first region S1 from being bent or bent upward.

제2 단자(40)는 캡 플레이트(20) 상에 배치되며, 전극핀(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40)는 전극핀(21)과 접속하는 제1 전극 탭(41), 캡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전극 탭(41)과 상호 이격된 제2 전극 탭(42), 및 제1, 2 전극 탭(41, 42) 사이에 위치하는 온도 소자(45)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소자(45)의 양 단(45a, 45b)은 각각 제1 전극 탭(41) 및 제2 전극 탭(42)과 용접 등의 의해 접속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40 is disposed on the cap plate 2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in 21. The second terminal 40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41 connected to the electrode pin 21 and a second electrode tab 4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ab 41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20. ), and a temperature element 45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1 and 42. Both ends 45a and 45b of the temperature element 4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4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2, respectively, by welding or the like.

제2 전극 탭(42)은 캡 플레이트(20)와 평행한 제1 파트(42a), 제1 파트(42a)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42b), 및 제1 파트(42a)와 제2 파트(32b) 사이에 형성된 제2 절곡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곡홈(G2)은 제2 파트(42b)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제2 파트(42b)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며, 제2 파트(42b)는 보호회로모듈의 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접속단(110)과 용접 등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tab 42 includes a first part 42a parallel to the cap plate 20, a second part 42b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42a, and the first part 42a and the second part. A second bending groove G2 formed between the parts 32b may be included. The second bent groove G2 determines the be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art 42b and facilitates bending of the second part 42b, and the second part 42b is attached to the circuit board 100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ormed connection end 110 and welding.

제1 절연 테이프(50)는 제2 단자(40)와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단자(40)와 베어 셀(B)의 외측면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tape 5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40 and the cap plate 20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second terminal 4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B.

일 예로, 제1 절연 테이프(50)는, 제2 단자(40)와 중첩되는 캡 플레이트(20)의 다른 영역(20b)을 커버하는 제1 절연부(51), 제1 절연부(51)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캔(10)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11)들 중 일부를 각각 커버하는 제2 절연부(52)와 제3 절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어 셀(B)과 마주하는 제1 절연 테이프(50)의 내측면은 접착력을 가져 캡 플레이트(20) 및 캔(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절연 테이프(50)는 이차 전지(1)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hin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필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rt 51 and a first insulating part 51 covering another area 20b of the cap plate 20 overlapping the second terminal 40. And may include a second insulating portion 52 and a third insulating portion 53 respectively covering a portion of the two side surfaces 11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sides of the can 10. . Mean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facing the bare cell B has adhesive force and may be attached to the cap plate 20 and the can 10.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may be made of a th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

제2 절연 테이프(60)는 제1 절연 테이프(50)의 제1 절연부(51)와 제2 단자(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 테이프(60)는 제1 절연 테이프(50)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40) 등에 의해 제1 절연부(51)에 찢어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절연부(51)에 찢어짐 등이 발생 하더라도 제2 단자(40)와 캡 플레이트(20) 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tape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terminal 40 of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The second insulating tape 60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Accordingly, tearing or the lik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51 due to the second terminal 40, etc., and even if tearing occurs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51, the second terminal 40 and the cap plate ( 20) I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제2 절연 테이프(60)는 제1 절연 테이프(50)를 향하는 면과 제2 단자(40)를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절연 테이프(60)는 제1 절연 테이프(50)와 마주보는 면이 접착력을 갖는 단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절연 테이프(60)는 제1 절연 테이프(50)와 마주보는 면과 제2 단자(40)와 마주보는 면이 모두 접착력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일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tape 60 may include an adhesive material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surface facing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and a surface facing the second terminal 4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nsulating tape 60 may be a sing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force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insulating tape 60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dhesive strength on both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and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terminal 40. ) Can be.

고정 부재(70)는 베어 셀(B)로부터 제2 단자(40)가 분리 또는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단자(40)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자(40)의 제1 전극 탭(41)은 전극핀(21)에 직접 용접되면서 베어 셀(B)과 결합될 수 있으나, 제2 전극 탭(42)은 그 위치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70)가 제2 단자(40)를 커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2 단자(40)가 베어 셀(B)로부터 탈락되거나 제2 단자(40)가 움직이면서 베어 셀(B)의 외측면 등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70 may cover the second terminal 40 to prevent the second terminal 40 from being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bare cell B.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tab 41 of the second terminal 40 may be directly welded to the electrode pin 21 and coupled to the bare cell B, but the second electrode tab 42 is fixed in its position. May not be. Therefore, the fixing member 70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second terminal 40, so that the second terminal 40 is removed from the bare cell B or the second terminal 40 moves, and the outside of the bare cell B It can prevent short-circuiting with the side, etc.

고정 부재(70)는 제1 절연 테이프(5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70)는 제1 단자(30)를 커버하는 부분과 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 절연 테이프(50)의 제2 절연부(52) 및 제3 절연부(53)와 중첩하는 양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70)는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70)가 접착 테이프인 경우, 이차 전지(1)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7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The fixing member 70 is formed continuously with a portion covering the first terminal 30 and overlaps with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52 and the third insulating portion 53 of the first insulating tape 50 It may include an end. The fixing member 70 may be a plastic injection product or an adhesive tape. For example, when the fixing member 70 is an adhesive tape,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 may be minimized.

도 5는 도 3의 제1 단자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terminal of FIG. 3.

도 5의 제1 단자(30B)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제1 단자(도 3의 30)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first terminal 30B of FIG. 5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first terminal (30 of FIG. 3) shown and described in FIG. 3,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자(30B)의 제1 파트(3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용접부(W)들 사이에 제1 파트(31)를 관통하는 슬릿(3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34)은 캡 플레이트(도 2의 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용접부(W)의 지름보다 크게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part 31 of the first terminal 30B may include a slit 34 penetrating the first part 31 between a pair of welds W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The slit 34 may exte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elding portion 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20 in FIG. 2).

슬릿(34)은 한 쌍의 용접부(W)들 사이에 전기 저항 용접을 실시할 때, 제1 파트(31)를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를 감소시킨다. 즉, 한 쌍의 용접부(W)들 사이에 슬릿(34)이 형성됨으로써, 제1 파트(31)를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의 경로가 길어지게 되는바, 누설 전류의 크기가 작아지고, 이에 의해 용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누설전류로 인한 터짐이나 그을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릿(34)의 중심을 지나는 슬릿(34)의 세로 폭은 1㎜ 내지 3㎜, 슬릿(34)의 가로 폭은 0.5㎜ 내지 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lit 34 reduces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part 31 when performing electric resistance welding between the pair of welds W. That is, since the slit 34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welds W, the path of th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part 31 is lengthened, and the magnitude of the leakage current is reduced, thereby making the weldability. This can be improved, and bursting or soot caused by leakage curren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s an example, the vertical width of the slit 34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lit 34 may be 1 mm to 3 mm,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lit 34 may be 0.5 mm to 1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한 쌍의 용접부(W)들과 슬릿(34) 간의 제2 거리(D2)는 각각 0.5㎜ 내지 1㎜일 수 있다. 제2 거리(D2)가 1㎜ 보다 크면, 한 쌍의 용접부(W)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용접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제2 거리(D2)가 0.5㎜ 보다 작으면, 슬릿(34)과 용접봉이 맞닿아 과용접, 터짐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istance D2 between the pair of welding portions W and the slit 34 may be 0.5 mm to 1 mm, respectively. If the second distance D2 is greater than 1 mm, the welding efficiency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welds W increases. If the second distance D2 is less than 0.5 mm, the slit ( 34) and the welding rod come into contact, which may cause over-welding or bursting.

도 6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제1 단자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irst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자(30C)는 제1 파트(31), 제1 파트(31)로부터 연장되고 제1 파트(31)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32), 및 제1 파트(31) 상에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31)는 일 예로, 제1 파트(3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terminal 30C has a first part 31, a second part 32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31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31, and It may include a reinforcement part formed on the first part 31.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1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1.

제1 파트(31)는, 제2 파트(32)와 연결된 영역인 제1 영역(S1) 및 제1 영역(S1)과 인접하는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보강부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경계에는 제2 파트(32)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제2 파트(32)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절곡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31 may include a first area S1 which is an area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32 and a second area S2 adjacent to the first area S1, wherein the reinforcing part It may be formed continuously over the first region S1 and the second region S2. In addition,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region S1 and the second region S2, a first bending groove G1 for determining the be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art 32 and facilitating bending of the second part 32 is provided. Can be formed.

일 예로, 보강부는 제1 파트(31)의 일부가 상측 방향 즉, 캡 플레이트(도 2의 20)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융기부(35)일 수 있다. 융기부(35)가 캡 플레이트(도 2의 20)를 향하도록 돌출된 경우와 비교할 때, 융기부(35)가 상측으로 돌출되면, 제1 영역(S1)이 제1 절곡홈(G1)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선(BL)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꺾이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inforcing part may be a protruding part 35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part 31 is convexly protruded in an upward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 plate 20 in FIG.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aised portion 35 protrudes toward the cap plate (20 in FIG. 2), when the raised portion 35 protrudes upward, the first region S1 forms the first bent groove G1.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of bending or b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based on the virtual line BL formed along the line.

즉, 융기부(35)가 상측으로 돌출되므로, 융기부(35)의 높이(T2)는 제1 파트(31)의 두께(T1)보다 크게 형성된다. 융기부(35)의 높이는 제1 파트(31)의 저면에서부터 융기부(35)의 가장 높은 지점 까지 측정한 길이를 의미한다. 한편, 융기부(35)는 제1 파트(31)의 일부를 드로잉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융기부(35)의 높이(T2)가 제1 파트(31)의 두께(T1)의 2배 보다 커지면, 융기부(35)에 찢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는바, 융기부(35)의 높이(T2)는 제1 파트(31)의 두께(T1)의 2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raised portion 35 protrudes upward, the height T2 of the raised portion 35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part 31. The height of the ridge 35 means the length measur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part 31 to the highest point of the ridge 35. On the other hand, the raised portion 35 may be 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art 31 by a drawing process, the height (T2) of the raised portion (35) is equal to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part (31). If it is larger than 2 times, tearing may occur in the ridge 35, and the height T2 of the ridge 35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wice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part 31. .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이차 전지
B: 베어 셀
10: 캔
12: 전극 조립체
20: 캡 플레이트
21: 전극 핀
23: 가스켓
30: 제1 단자
40: 제2 단자
50: 제1 절연 테이프
60: 제1 절연 테이프
70: 고정 부재
1: secondary battery
B: bare cell
10: can
12: electrode assembly
20: cap plate
21: electrode pin
23: gasket
30: first terminal
40: second terminal
50: first insulating tape
60: first insulating tape
70: fixing member

Claims (17)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나란한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파트에 대하여 절곡된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 상에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연결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와 용접된 용접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제1 영역에는 용접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파트의 평면 상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i)제1 파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일단;
제1 파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타단; 및
상기 보강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제1,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1 절곡 홈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ii)제1 파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용접부로부터 이격된 이차 전지.
Cans;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can;
A cap plate sealing the can; And
Including; a first terminal located on the cap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part parallel to the cap plate,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and a reinforcing part formed on the first part,
The first part includes a first area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a second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and in which a welding part welded to the cap plate is located, and a welding part is not formed in the first area,
The reinforcement part is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and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plane of the first part,
The reinforcement part,
i) one end formed inside the first area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The other end formed inside the second area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And
Inclu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part, the intermediate portion extending across the first bending groov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i) A secondary battery spaced apart from the welding por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art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 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제2 파트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ending groove determines a be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art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기 제1 파트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제2 파트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1 파트 상으로 접힌 접힘부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reinforcing part is a folded part in which an edge positioned opposite to the second part among edges of the first part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is folded onto the first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끝단과 상기 용접부 간의 최단 거리는 0.5㎜ 내지 1㎜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ary battery has a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olded portion and the welding portion of 0.5 mm to 1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상기 접힘부의 폭은 0.4㎜ 내지 0.7㎜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4,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width of the folded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is 0.4 mm to 0.7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한 쌍의 용접부들 사이에 상기 제1 파트를 관통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4,
The welding part includes a pair of weld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art i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lit penetrating the first part between the pair of welding par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용접부들과 상기 슬릿 간의 거리는 각각 0.5㎜ 내지 1㎜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ary battery has a distance of 0.5 mm to 1 mm, respectively, between the pair of welds and the sl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파트의 일부가 상기 캡 플레이트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융기부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reinforcing part is a rechargeable battery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part is a raised part protruding convex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파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1 파트의 두께의 2배 이하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9,
The height of the ridg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rt and is less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1 단자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p plat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iec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termina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p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핀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이격된 제2 단자 및,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의 제1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plate includes an electrode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sitioned on the cap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 first insulating tape between the cap plate and the second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단자와 중첩하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들 중 일부를 각각 커버하는 제2 절연부와 제3 절연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insulating tap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ortion covering an area of the cap plate overlapping the second terminal, and two side surfaces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can facing each oth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a third insulating portion respectively covering some of th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ta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테이프의 두께는 상기 제1 절연 테이프의 두께보다 두꺼운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4,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tape is thick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ta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극핀과 접속하는 제1 전극 탭, 상기 캡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전극 탭과 상호 이격된 제2 전극 탭, 및 상기 제1 전극 탭과 상기 제2 전극 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 탭과 접속된 온도 소자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pin, a second electrode ta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ab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late, and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temperature element positioned between tabs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2 단자를 커버하며 상기 제2 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that covers the second terminal and fixes the second terminal.
KR1020160160780A 2016-11-29 2016-11-29 Secondary battery KR102161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80A KR102161627B1 (en) 2016-11-29 2016-11-29 Secondary battery
PCT/KR2017/012640 WO2018101634A1 (en) 2016-11-29 2017-11-09 Secondary battery
CN201780073741.4A CN110024201B (en) 2016-11-29 2017-11-09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80A KR102161627B1 (en) 2016-11-29 2016-11-29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31A KR20180060831A (en) 2018-06-07
KR102161627B1 true KR102161627B1 (en) 2020-10-05

Family

ID=6224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780A KR102161627B1 (en) 2016-11-29 2016-11-29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61627B1 (en)
CN (1) CN110024201B (en)
WO (1) WO201810163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177A (en) * 2019-02-21 2020-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214B1 (en) * 2004-03-2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0627359B1 (en) * 2004-09-24 2006-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cap assembly and vent plate using the same
KR100670252B1 (en) * 2004-12-1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hassis base assembly,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using the same
KR100612239B1 (en) * 2005-04-26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wall of secondary battery
CN1915713A (en) * 2005-08-17 2007-02-21 佩格福尔姆波西米亚公司 Dash board with integrated safety airbag cover
KR100894626B1 (en) * 2007-01-15 2009-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JP5205805B2 (en) * 2007-05-16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Battery pack
KR100919747B1 (en) * 2007-10-25 2009-09-29 주식회사 이랜텍 Battery pack
KR20090099241A (en) * 2008-03-17 2009-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059756B1 (en) * 2009-05-08 2011-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New rechargeable battery pack
CN201432765Y (en) * 2009-07-09 2010-03-31 重庆福港机械制造有限公司 Handle connecting plate of motor cycle
US9203065B2 (en) * 2010-08-10 2015-12-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293756B2 (en) * 2010-09-17 2016-03-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N103180998B (en) * 2010-11-15 2016-01-20 Lg化学株式会社 The battery module of structural stability excellence
KR101198026B1 (en) * 2010-12-02 2012-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CN202012155U (en) * 2011-03-21 2011-10-19 百安力钢结构应用科技有限公司 Metal roof board and metal roof system
JP5741541B2 (en) * 2012-09-07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econdary battery current collector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CN104737350B (en) * 2012-10-30 2017-03-15 三洋电机株式会社 Cylindrical shape accumulator and battery module
CN202880038U (en) * 2012-11-15 2013-04-17 苏州征之魂专利技术服务有限公司 Height-adjustable damage-prevention filling interlayer cover for un-full box
CN203223639U (en) * 2013-04-24 2013-10-02 苏州万拓机电设备有限公司 Large-span steel bridge
US10024640B2 (en) * 2013-08-30 2018-07-17 Plastpack Defence Aps Container for explosive material
KR101689217B1 (en) * 2013-12-23 2016-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tergral terminal unit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CN203932180U (en) * 2014-06-28 2014-11-05 浙江天能电池(江苏)有限公司 A kind of lug apparatus for bending
KR101483133B1 (en) * 2014-06-30 2015-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CN204175159U (en) * 2014-07-07 2015-02-25 赵在兵 Magnetic control louver glass external control slide block
KR20160056691A (en) * 2014-11-12 2016-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634A1 (en) 2018-06-07
CN110024201B (en) 2022-09-20
KR20180060831A (en) 2018-06-07
CN110024201A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91B1 (en) Secondary battery
KR102303828B1 (en) Flexibl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KR101075304B1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253021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and battery module
US8118624B2 (en) Lead plate with a joint portion having a surface area smaller than that of its mounting portion
US20110104572A1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electrode assembly
KR20190134788A (en) Battery tap configuration
US10090568B2 (en) Battery assembly
KR20220016554A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sconnection preven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840098B1 (en) Electrode assembly and inspection method therefor
KR20110058646A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second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2368090B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1p
US9048487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277231B2 (en) Secondary battery
US20130095369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thereof
US20110135998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61627B1 (en) Secondary battery
US8883340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01754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2985809A1 (en) Battery pack
US8974956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thereof
KR102502194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p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2058099B1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having strengthening structure using expanded metal on outermost electrode and inner electrode
KR102460962B1 (en) Secondary battery
KR20240042917A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