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93B1 -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 Google Patents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93B1
KR102159393B1 KR1020180079624A KR20180079624A KR102159393B1 KR 102159393 B1 KR102159393 B1 KR 102159393B1 KR 1020180079624 A KR1020180079624 A KR 1020180079624A KR 20180079624 A KR20180079624 A KR 20180079624A KR 102159393 B1 KR102159393 B1 KR 10215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pression material
teeth
mouthpiece
i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5961A (en
Inventor
장영진
김명희
장지수
장지효
Original Assignee
장영진
김명희
장지효
장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김명희, 장지효, 장지수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18007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0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하악을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키트를 제시하며,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물린 상태로 경화되면서 윗니수용홈 및 아랫니수용홈을 갖는 인상체를 형성하되, 상기 아랫니수용홈이 상기 윗니수용홈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하악을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인상재; 및 치아들이 이루는 활모양의 악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인상재를 수용한 상태로 치아들에 물리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We present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that can secure airways by protruding the mandible to the front of the face rather than the maxilla, and an impression body having an upper and lower tooth receiving grooves while hardened while being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needles. But,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to protrude the lower jaw to the front of the face than the upper jaw impression material; And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bow-shaped arch formed by the teeth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 mouthpiece that is bitten by the teeth while receiving the impression material.

Description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Snoring prevention kit using tooth impression material{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을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capable of securing an airway by protruding the mandible to the front of the face rather than the maxilla. will be.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In general, while snoring is a breathing airflow during sleep, a loose soft palate (a relatively soft back part from the ceiling of the mouth) and palate (a swelling form under the center of the uvula and oral soft palate) are also called hyeonongsu. ) It is a breathing noise generated by vibration in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

정상적인 호흡시에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선, 혀 등과 같이 부드러운 구조물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어 공기 통로를 막지 않아 거의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During normal breathing, air passes through soft structures such as the roof of the mouth, uvula, tonsils, and tongue. During the day, the surrounding muscles help to keep these parts in place so that the air passages are not blocked, so that almost no sound is produced.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However, as the muscles relax and stretch during sleep, the air passage is partially narrowed, and when air passes through this area, the soft parts around it vibrate and make a snoring sound.

한편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으며, 이 때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한다.Meanwhile, among patients with very severe forms of snoring, the air passage may be temporarily blocked due to causes such as severe muscle relaxation during sleep or severe obesity, and at this time, air cannot flow to the lungs at all, which is called sleep apnea.

수면 무호흡 상태가 얼마간 지속되면 폐가 신선한 공기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뇌가 명령하여 우리 몸을 깨우고 근육을 수축시켜 공기 통로를 다시 열어주게 되며, 이 때가 되서야 환자는 숨을 크게 한 번 몰아 쉰 후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일이 매일 밤 되풀이되면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되어 낮동안 심한 졸음과 피로함을 느끼게 되며, 나아가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서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If sleep apnea persists for a while, the lungs cannot get fresh air, so the brain that senses it commands awakens the body and contracts the muscles to open the air passage again, and only then the patient takes a deep breath and then takes a breath. You start breathing again. If this is repeated every night, it can cause sleep disturbances, causing severe drowsiness and fatigue during the day, and further increasing the burden on the heart or lungs, leading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rrhyth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한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흔한 수면관련 호흡이상 중 하나로써 수면 중 반복적으로 좁은 상기도가 폐쇄되어 무호흡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동맥성 고혈압,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 뇌졸중 등 높은 사망률과 치사율과 관련돼 있다.On the other hand, obstructive sleep apnea is one of the common sleep-related respiratory abnormalities, and refers to a case in which apnea occurs due to repetitive narrow upper respiratory tract obstruction during sleep. Arterial hypertension,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are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and mortality.

상기와 같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Most of the patients with snoring and sleep apnea as described above have anatomical abnormalities in which the space of the upper airway narrows, a structure that begins in the nasal cavity and extends to the throat. Even if fat accumulates in the neck area due to obesity or tissues such as tongue and tonsils become enlarged, the space in the neck is reduced and the upper airway narrows, leading to snoring and sleep apnea.

코골이 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외과적 치료방법 중 하나로써 구강 내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있다.The treatment of snoring or obstructive sleep apn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urgical treatment and non-surgical treatment, and as one of the non-surgical treatment methods, there is a treatment using an intraoral device.

구강 내 장치를 이용한 치료는 기본적으로 하악과 혀, 그리고 구인두 부 구조물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도 협착과 코골이 증상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Treatment using an intraoral device aims to relieve upper respiratory stricture and snoring symptoms through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mandible, tongue, and oropharyngeal structures.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등록특허 10-1271576호(공고일자: 2008년 09월 04일)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1576 (announced date: September 04, 2008) discloses a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상기와 같은 구강 내 장치의 기본 원리는 수면시, 구강 내 착용하여 하악의 전방 변위를 통해 상설골근과 이설근을 전방 이동시켜 구인두 기도폐쇄를 방지하는 데에 있다.The basic principle of the above-described intraoral device is to prevent oropharyngeal airway obstruction by moving the permanent bone muscle and the biceps muscle forward through the forward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by wearing it in the oral cavity during sleep.

그런데, 종래의 구강 내 장치는 수면 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심하게 느껴 수면에 방해가 될뿐 아니라, 착용감이 좋지 않아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traoral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a sense of foreign body during sleep, which interferes with sleep, and it is not comfortable to wear, so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cannot be obtained.

또한, 구강 내 장치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과정에 시간이 많이 들어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device in the oral cavity, it takes a lot of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and also causes difficulties in maintenance.

특히, 상기와 같은 구강 내 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병원과 같은 별도의 장소에서 치아의 인상체를 채득하여 치아모형을 제작한 후,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환자에 부합하는 장치를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above-described intraoral device must be manufactured to fit the patient's teeth, a tooth model is produced by obtaining an impression of a tooth in a separate place such as a hospital, and then a device suitable for the patient is prepared using the tooth model.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o be produced.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o be publicly known before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자의 치아에 부합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 to provide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that can be manufactured to meet the user's teeth quickly and easily through a simplified configuration.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치아에 부합하는 인상체를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간편하게 제작하면서 쉽게 입에 물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event snoring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bitten in the mouth while easily manufacturing an impression body corresponding to the user's teeth with the mandible protruding forward.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ki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상재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마우스피스가 인상재를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present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formed so that a mouthpiece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firmly accommodates the impression material.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는,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물린 상태로 경화되면서 윗니수용홈 및 아랫니수용홈을 갖는 인상체를 형성하되, 상기 아랫니수용홈이 상기 윗니수용홈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하악을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인상재; 및 치아들이 이루는 활모양의 악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인상재를 수용한 상태로 치아들에 물리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ured while being bitten by an upper needle and a lower needle, thereby forming an impression body having an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An impression material formed, wherein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to protrude the mandible to the front of the face than the upper jaw; And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bow-shaped arch formed by the teeth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 mouthpiece that is bitten by the teeth while receiving the impression material.

예컨대, 상기 마우스피스는, 환형의 폐곡선을 이루면서 악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높이의 벽체를 이루면서 상기 인상재를 경화가능하게 수용하는 외곽프레임; 및 상기 외곽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중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uthpiece may include an outer frame that has an annular closed curve and a rece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ch is formed therein, and forms a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to hardenably accommodate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 central frame that is fix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outer frame and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ward the front.

예컨대, 상기 외곽프레임은,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입술에 대면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중앙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선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펜스부;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혀에 대면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중앙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펜스부; 및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와 함께 환형의 폐곡선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양측방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front fen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facing the lips, and having a front end portion fixed to one of both ends of the central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ar fen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facing the tongue, and fixing the rear end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frame; And both side fences forming an annular closed curve together with the front fence part and the rear fence part while forming a connection part of the front fence part and the rear fence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의 높이가 상기 양측방펜스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may have a height of the front fence portion and the rear fence portion higher than that of the both side fence portions.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주면에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논슬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may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r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provide a friction force to a contact surfa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치아에 물리면서 윗니의 일부분이 걸리는 윗니걸림턱;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어 치아에 물리면서 아랫니의 일부분이 걸리는 아랫니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while being bitten by the teeth, the upper teeth engaging jaw to take a part of the upper teeth; And i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entral fram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tooth jamming jaw caught by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while being bitten by the teeth.

예컨대, 상기 인상재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수용공간에 도포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상기 윗니수용홈 및 상기 아랫니수용홈을 형성하는 베이스제; 및 상기 베이스제에 섞이면서 상기 베이스제를 경화시키는 촉매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ression material may include a base material that is cured in a state a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uthpiece to form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catalyst for curing the base agent while being mixed with the base agent.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피스에 수용되는 인상재가 경화되면서 윗니수용홈 및 아랫니수용홈을 갖는 인상체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에 부합하는 코골이 방지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s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outhpiece is hardened, an impression body having an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is formed, so that a snoring prevention tool corresponding to the user's teeth is quickly and easily forme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that can be manufactured can be presente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외곽프레임이 인상재를 수용하기 위한 펜스를 형성하면서 양측방펜스부의 높이가 전방펜스 및 후방펜스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마우스피스가 인상체와 함께 수월하게 입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윗니수용홈 및 아랫니수용홈이 앞니부분에 보다 깊게 형성됨으로써 치아에 용이하게 물릴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s the outer frame constituting the mouthpiece forms a fence for accommodat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 height of the two side fences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fences.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outh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body, and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and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are formed deeper in the front teeth, so that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that can be easily bitten by the teeth can be presente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외곽프레임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논슬립부재에 의해 인상재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제공되므로 인상재가 외곽프레임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 non-slip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provides frictional force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You can present a snoring prevention kit.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중앙프레임에 윗니걸림턱 및 아랫니걸림턱이 형성되므로 인상재의 경화시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re formed on the central frame constituting the mouthpiece, the lower teeth can be stably maintained while protruding forward than the upper teeth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hardene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can be presented.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disclos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elong. Can be understoo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의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thpiece of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thpiece shown in FIG. 2.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thpiece shown in FIG. 2.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In addi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of being'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of being'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nfiguration "includes" a certain configur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의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thpiece of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mbodiment It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xample.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재(10) 및 마우스피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mpression material 10 and a mouthpiece 20 as shown in FIG. 1.

상기 인상재(10)는 하악을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인상체(15)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a component forming the impression body 15 for protruding the lower jaw to the front of the face rather than the upper jaw.

구체적으로, 인상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마우스피스(20)에 수용되어 치아에 물린 상태로 경화되면서 윗니수용홈(15a) 및 아랫니수용홈(15b)을 갖는 인상체(15)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accommodated in the mouthpiece 2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3, is hardened in a tooth bite state, and has an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15a and a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15b ( 15) can be formed.

여기서, 인상이란 치과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구강 내 조직의 모습을 과정 또는 그 결과물을 가리키는 말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치아의 수복, 보철 등의 치과치료를 할 때 필요한 치아 및 구강조직의 형태를 음형으로 채득하는 것을 말한다.Here, the impression refers to the process or result of the shape of the tissue in the oral cavity for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and 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tooth and oral tissue required for dental treatment such as restoration and prosthesis. It refers to acquisition in sound form.

인상재(10)는 상기와 같은 인상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를 구성하는 것으로, 베이스제(11) 및 촉매제(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mpression material 10 constitutes a material used for the above-described impression, and may include a base material 11 and a catalyst 12.

베이스제(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마우스피스(20)의 수용공간에 도포된 상태로 촉매제(12)에 의해 경화되면서 인상체(15)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material 11 may be cured by the catalyst 12 while being a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uthpiece 2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the impression body 15.

이러한 베이스제(11)는 경화된 상태에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비탄성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base material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 cured state, or may be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예컨대, 베이스제(11)는 알지네이트, 고무, 아르긴산콜로이드, 티오콜, 라바베이스, 실리콘라바베이스, 부가중합형 실리콘, 축중합형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모델링컴파운도 또는 아연화유지놀로 구성되면서 비탄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ase material 11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lginate, rubber, colloidal arginate, thiocol, laba base, silicone laba base, addition polymerization silicone, and condensation polymerization silicone to have elasticity. It may be composed of undo or zincated eugenol while being inelastic.

촉매제(12)는 마우스피스(20)의 수용공간에 도포된 베이스제(11)에 혼합되면서 베이스제(11)를 경화시킬 수 있다.The catalyst 12 may cure the base material 11 while being mixed with the base material 11 a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uthpiece 20.

상기 마우스피스(20)는 인상재(10)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면서 인상재(10)와 함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물리고, 인상재(10)의 경화가 완료된 후 인상체(15)와 동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The mouthpiece 2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10 while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10 to be bitten by the teeth, and after the hardening of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completed, it forms the same body as the impression body 15 Element.

즉,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20)의 수용공간에 인상재(10)를 도포한 상태에서 치아로 인상재(10)를 물어서 경화시키며, 이때 아랫니들을 윗니보다 안면의 전방 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인상재(10)를 물어 경화시킴으로써 아랫니수용홈(15b)이 윗니수용홈(15a)보다 전방 쪽에 위치하는 인상체(15)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user bites the impression material 10 with the teeth in the state where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a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uthpiece 20 and hardens it, and at this time, the lower needle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ace rather than the upper teeth. By biting and hardening the impression material 10 in the state that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15b) can form the impression body (15)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5a).

마우스피스(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항균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00) 및 중앙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uthpiece 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etal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frame 100 and a central frame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have.

상기 외곽프레임(100)은 인상재(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외곽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환형의 폐곡선을 이루면서 악궁(치아들이 이루는 활모양의 곡선)에 대응하는 수용공간(100a)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outer frame 10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accommodated, forming an annular closed curve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100a corresponding to the arch (bow-shaped curve formed by teeth) It is a component.

이러한 외곽프레임(100)은 수용공간(100a)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상재(10)를 경화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00 can accommodate the impression material 10 to be curable by forming a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100a.

구체적으로, 외곽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펜스부(110), 후방펜스부(120) 및 양측방펜스부(130)로 구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frame 100 may be divided into a front fence part 110, a rear fence part 120, and both side fence parts 130, as shown in FIG. 2.

전방펜스부(110)는 수용공간(100a)의 전방 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입술에 대면하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100a)의 전방 쪽에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front fence part 110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0a and faces the lip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 wall in the fron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0a. .

후방펜스부(120)는 수용공간(100a)의 후방 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혀에 대면하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100a)의 후방 쪽에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ar fence part 120 is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0a, faces the tongue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a wall can be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0a. .

양측방펜스부(130)는 수용공간(100a)의 좌우 양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와 함께 악궁형태의 수용공간(100a)을 형성할 수 있다.Both side fences 130 ar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100a, and form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ont fence 110 and the rear fence 120, while forming the front fence 110 and the rear fence. 120) together with the arch-shaped accommodation space (100a) can be formed.

여기서,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는 양측방펜스부(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ront fence part 110 and the rear fence part 120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h side fence parts 130.

이는 마우스피스(20) 및 인상체(15)의 두께가 가운데에서 양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마우스피스(20)가 용이하게 입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mouthpiece 2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outh by allowing the thickness of the mouthpiece 20 and the impression body 15 to become thinner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상기 중앙프레임(200)은 전술한 외곽프레임(1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수용공간(100a)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구성요소이다.The central frame 200 is a component that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0a to the front while being fixed in a form crossing the center of the outer frame 100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200)은 외곽프레임(100)의 전방펜스부(110)에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선단부가 고정되며, 후방펜스부(120)에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frame 200 is fixed to the front fence 110 of the outer frame 100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end may be fixed to the rear fence 120.

이러한 중앙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fram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fence part 110 and the rear fence part 120.

또한, 중앙프레임(200)은 도 4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폭이 저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100a)을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entral frame 200 may have an upper surface narrower than a lower surface, thereby forming the receiving space 100a in the shape of an upper optical lower narrow.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중앙프레임(200)은 윗니걸림턱(210) 및 아랫니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entral frame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tooth engaging jaw 210 and a lower tooth engaging jaw 220.

즉, 중앙프레임(200)은 인상재(10)가 치아에 물릴 경우 사용자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걸림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인상재(10)의 경화과정에서 아랫니가 윗니보다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bitten by the teeth, the central frame 200 provides a locking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user are seated, so that the lower teeth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teeth dur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10. can do.

윗니걸림턱(210)은 중앙프레임(200)의 상면에 복수의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랫니걸림턱(220)은 중앙프레임(200)의 저면에 복수의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윗니걸림턱(210) 및 아랫니걸림턱(220)은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teeth engaging jaw 21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200, and the lower teeth engaging jaw 2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200. Of course, the upper tooth engaging jaw 210 and the lower tooth engaging jaw 220 may be configured in a single number.

여기서, 윗니걸림턱(210)은 인상체(15)에 형성되는 아랫니수용홈(15b)이 윗니수용홈(15a)보다 전방에 형성되면서 하악이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아랫니걸림턱(22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upper tooth engaging jaw 210 is a lower tooth engaging jaw so that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15b formed in the impression body 15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15a so that the lower jaw can protrude forward of the face than the upper jaw. It may be disposed relatively behind the 2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상재(10)와 함께 마우스피스(20)를 물면서 윗니와 아랫니를 각각 윗니걸림턱(210)과 아랫니걸림턱(220)에 안착시킴으로써 인상재(10)의 경화과정에서 치아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bites the mouthpiece 20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10 and seats the upper and lower teeth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engaging jaws 210 and 220, respectively. You can prevent the position from moving.

한편, 외곽프레임(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가 원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frame 100 is formed in a concav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vex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front fence unit 110 and the rear fence unit 120 are formed in an arc-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Can be.

이에 따라, 외곽프레임(100)은 구강에 삽입되어 중앙프레임(200)을 치아로 물 경우 특히 전방펜스부(110)의 외주면이 볼록한 원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입술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uter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bites the central frame 200 with teeth, in particul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fence 110 is formed in a convex arc-shaped cross section, so that it may not be caught on the lips.

또한, 외곽프레임(100)은 전방펜스부(110) 및 후방펜스부(120)가 원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100a)의 가운데 부분의 폭보다 상단부 및 하단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경화된 인상체(15)가 수용공간(100a)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frame 100 is formed with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fence 110 and the rear fence 120 is formed in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an the width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0a) The hardened impression body 15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00a.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외곽프레임(100)은 논슬립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5, the outer frame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300.

논슬립부재(300)는 인상재(10)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인상재(10)가 외곽프레임(100)의 수용공간(100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non-slip member 30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friction force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1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100a of the outer frame 100.

예컨대, 논슬립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00)의 내주면에 복수를 이루면서 돌출되는 돌기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non-slip member 300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hat protrudes while forming a pluralit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groove shapes unlike the illustr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에 의한 코골이 방지구의 제작방법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a snoring prevention tool using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마우스피스(20)의 수용공간(100a)에 베이스제(11) 및 촉매제(12)를 혼합하여 도포한 후, 마우스피스(20)를 구강에 삽입하여 인상재(10)를 치아로 문 상태로 인상재(10)를 경화시킬 수 있다.The user mixes and applies the base material 11 and the catalyst 12 to the receiving space 100a of the mouthpiece 20, and then inserts the mouthpiece 20 into the oral cavity and bites the impression material 10 with the teeth. It is possible to harden the impression material (10).

이때, 사용자는 중앙프레임(200)의 윗니걸림턱(210)에 윗니를 안착시키고, 아랫니를 아랫니걸림턱(220)에 안착시키면서 아랫니가 윗니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지한 상태로 설정된 시간 동안 인상재(10)를 경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seats the upper teeth on the upper teeth engaging jaw 210 of the central frame 200, and the lower teeth are seated on the lower teeth engaging jaws 220 while maintaining the lower teeth protruding forward of the face than the upper teeth for a set period of time. The impression material 10 can be hardened.

사용자는 인상재(10)의 경화가 완료되면 치아를 벌려서 경화된 인상체(15)를 마우스피스(20)와 함께 입에서 분리함으로써 코골이 방지구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hardening of the impression material 10 is completed, the user can complete the manufacture of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by opening the teeth and separating the hardened impression body 15 together with the mouthpiece 20 from the mouth.

사용자는 수면 시, 마우스피스(20)와 인상체(15)를 구강에 삽입하고, 인상체(15)에 형성된 윗니수용홈(15a) 및 아랫니수용홈(15b)에 각각 윗니 및 아랫니를 끼운 상태로 수면함으로써 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During sleep, the user inserts the mouthpiece 20 and the impression body 15 into the oral cavity, and inserts the upper and lower teeth into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15a and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15b formed in the impression body 15, respectively. By sleeping with you, you can secure your airways.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는 간소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치아에 부합하는 코골이 방지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quickly and easily manufacture and use a snoring prevention device that matches the user's teeth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 인상재
11 : 베이스제
12 : 촉매제
15 : 인상체
15a : 윗니수용홈
15b : 아랫니수용홈
20 : 마우스피스
100 : 외곽프레임
100a : 수용공간
110 : 전방펜스부
120 : 후방펜스부
130 : 양측방펜스부
200 : 중앙프레임
210 : 윗니걸림턱
220 : 아랫니걸림턱
300 : 논슬립부재
10: impression material
11: base agent
12: catalyst
15: impression body
15a: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15b: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20: mouthpiece
100: outer frame
100a: accommodation space
110: front fence part
120: rear fence part
130: both sides fence part
200: center frame
210: upper tooth jamming chin
220: lower tooth jamming chin
300: non-slip member

Claims (8)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물린 상태로 경화되면서 윗니수용홈 및 아랫니수용홈을 갖는 인상체를 형성하는 인상재; 및
치아들이 이루는 활모양의 악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인상재를 수용한 상태로 치아들에 물리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상재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수용공간에 도포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상기 윗니수용홈 및 상기 아랫니수용홈을 형성하는 베이스제; 및
상기 베이스제에 섞이면서 상기 베이스제를 경화시키는 촉매제를 포함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An impression material which is hardened in a state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needles to form an impression body having an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rece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bow-shaped arch formed by the teeth is formed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and includes a mouthpiece that is bitten by the teeth while receiv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 above impression material,
A base agent that is cured in a state a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uthpiece to form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the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comprising a catalyst for curing the base agent while being mixed with the base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환형의 폐곡선을 이루면서 악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높이의 벽체를 이루면서 상기 인상재를 경화가능하게 수용하는 외곽프레임; 및
상기 외곽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중앙프레임을 포함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thpiece,
An outer frame that forms an annular closed curve and has a rece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ch, and forms a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and curably accommodates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including a central frame that is fixed in a form crossing the center of the outer frame and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receiving space toward the fro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입술에 대면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중앙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선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펜스부;
구강에 삽입된 상태로 혀에 대면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중앙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펜스부; 및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와 함께 환형의 폐곡선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양측방펜스부를 포함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frame,
A front fen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facing the lips, and having a front end portion fix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frame;
A rear fen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facing the tongue, and fixing the rear end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frame; An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comprising an annular closed curve together with the front fence part and the rear fence part while forming a connection part of the front fence part and the rear fence part, and having both side fence part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전방펜스부 및 상기 후방펜스부의 높이가 상기 양측방펜스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 frame,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in which heights of the front fence part and the rear fence part ar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h side fence part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주면에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논슬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thpiece,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non-slip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r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provide frictional force to a contact surfa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치아에 물리면서 윗니의 일부분이 걸리는 윗니걸림턱;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어 치아에 물리면서 아랫니의 일부분이 걸리는 아랫니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thpiece,
An upper tooth jamming ja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so that a portion of the upper tooth is caught while being bitten by the tooth; And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lower tooth jamming jaw that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and is bitten by a tooth and a portion of the lower tooth is cau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걸림턱은,
상기 인상체에 형성되는 상기 아랫니수용홈이 상기 윗니수용홈보다 전방에 형성되면서 하악이 상악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아랫니걸림턱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teeth catching jaw,
A snoring prevention kit using a tooth impression material disposed at a relatively rear side of the lower tooth catching jaw so that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mpression body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and the mandible protrudes forward of the face than the maxilla.
삭제delete
KR1020180079624A 2018-07-09 2018-07-09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KR102159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24A KR102159393B1 (en) 2018-07-09 2018-07-09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24A KR102159393B1 (en) 2018-07-09 2018-07-09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61A KR20200005961A (en) 2020-01-17
KR102159393B1 true KR102159393B1 (en) 2020-09-23

Family

ID=6937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24A KR102159393B1 (en) 2018-07-09 2018-07-09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371A1 (en) 2004-12-01 2009-04-09 Winfried Toussaint Continously adjustable mandibular protrusion splint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oea
US20120145166A1 (en) 2010-12-13 2012-06-14 Fallon James C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US20160250004A1 (en) 2015-02-27 2016-09-01 James C. DiMarino Dental Impression Mode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180036165A1 (en) * 2016-08-05 2018-02-08 James S. Fallon Jaw advancement oral appliance to reduce the effects of snoring and/or sleep apn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371A1 (en) 2004-12-01 2009-04-09 Winfried Toussaint Continously adjustable mandibular protrusion splint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oea
US20120145166A1 (en) 2010-12-13 2012-06-14 Fallon James C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US20160250004A1 (en) 2015-02-27 2016-09-01 James C. DiMarino Dental Impression Mode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180036165A1 (en) * 2016-08-05 2018-02-08 James S. Fallon Jaw advancement oral appliance to reduce the effects of snoring and/or sleep apn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61A (en)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43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US10543119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WI650110B (en) Knee advancement device
JP6899380B2 (en) Oral appliances
US9545331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101361583B1 (en)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080190437A1 (en) Dental Orthosis
JP7441594B2 (en) Oropharyngeal appliance to maintain airway patency
US20100311008A1 (en) Oral tongue positioning device
KR102058104B1 (en) Oral appliance improved for flexibility of lower jaw and adhesiveness to tooth
KR100596129B1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200439343Y1 (en)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WO2002071989A1 (en) Appliances for treating sleep apnoea
KR20190117864A (en) Linear Variable Type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102159393B1 (en)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US10912670B2 (e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2018B1 (en) Oral applian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525907B1 (en) Linear variable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20220089955A (en) Anti-snoring apparatus
KR20220089956A (en) Anti-snoring apparatus with pront extruding part
WO2018218229A2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