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185B1 - 고분자 혼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혼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85B1
KR102159185B1 KR1020180032589A KR20180032589A KR102159185B1 KR 102159185 B1 KR102159185 B1 KR 102159185B1 KR 1020180032589 A KR1020180032589 A KR 1020180032589A KR 20180032589 A KR20180032589 A KR 20180032589A KR 102159185 B1 KR102159185 B1 KR 10215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yclohexane terephthalate
terephthalate
polycyclohexane
polycarbonate resin
hybr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754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8003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고분자 혼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를 주 재료로 하면서도, 사출 성형시, 종래보다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잔류 모노머의 방출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혼성 조성물{Compositions including more than two kinds of PCTGs and PC}
본 발명은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이란, 고분자물질을 주원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유용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고체를 말하며, 상세히, 열이나 압력을 가했을 경우 용융되어 유동성을 가지는 성질의 재료이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가볍고도 강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산, 알칼리에 녹슬거나 부패하지 않으며, 절연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고, 착색이 자유로우며, 대량 생산 및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비가 저렴하여 자동차 부품, 백색 가전 부품, 사무용 기기 부품, 건축자재, 생필품, 또는 다른 여러 제품을 만드는 곳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재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 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스틸렌(PS, polystyrene),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페트(PET, polyethelene terephthalate), 폴리아세틸(Polyacetal), 폴리아미드(PA6.66, Polyamide, nylon) 등의 고분자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재료 중, 높은 내연성을 가지며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수지가 대표적이나, 이 수지는 비스페놀A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친환경 수지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원재 중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PCTG; 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alate glycol)라는 코 폴리에스터가 비스페놀A이 검출되지 않고, 친환경 소재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상기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환경호르몬 검출이 적어 유아용품, 유아용 제품, 사무용품, 주방용품,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덮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된 플라스틱 조성물 또는 제품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에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여기서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된 플라스틱 조성물 또는 제품을 포함한 아래의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제조했을 시, 성형은 잘 이루어지나, 성형 후, 제품을 완성하고 나서는 타 플라스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와 내열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 성형시, 잔류 모노머가 많이 발생하여, 이에 따라 사출 성형시 금형에 침적되어 성형품의 표면 오염과 불안정한 사출 성형성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다른 첨가 물질을 넣어 제품을 제조한다 할지라도, 제품의 투명성이나 색상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 제 10-2017-0100945호, 공개일자: 2017.09.05., 발명의 명칭: 플라스틱 시트 등록특허 제 10-1004614호, 등록일자: 2010.12.22., 발명의 명칭: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 데코시트
본 발명은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를 주 재료로 하면서도, 사출 성형시, 종래보다 투명성,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잔류 모노머의 방출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되어 공중합된 것이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낮고,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높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강도를 높여주도록 보강재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펠렛(pellet) 형태의 고체 고분자로 제공되고, 펠렛 형태의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로 제조되기 전 각각 함유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외부 수분을 전자파를 이용하여 증발시키는 제습 공정이 실시되고,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65 내지 7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내지 1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10 내지 30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컴파운딩 방식으로 용융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의하면,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므로써,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를 주 재료로 하면서도, 사출 성형시, 종래보다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잔류 모노머의 방출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의 구조식.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구조식.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조식.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의 구조식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구조식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조식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alate glycol; PCTG)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첨가되어 공중합된 것으로 상세히, 테레프탈산(terephtalic acid)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결정성 공중합체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로 치환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비스페놀A가 발생하지 않고, 소각 또는 폐기할 때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른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보다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작기에 투명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다른 플라스틱 원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낮은 편으로, 약 70℃까지만 사용할 수 있어 뜨거운 내용물은 꼭 식힌 후 용기에 넣어야 하며, 자동 식기세척기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할 수 없다.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alate glycol; PCTG)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첨가되어 공중합 된 것으로, 상세히, 테레프탈산(terephtalic acid)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비결정성 공중합체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로 치환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에는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과는 다른 비율로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어,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내구성을 높여주도록 보강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첨가된 양이 늘어날수록 그 양에 비례하여 충격 강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펠렛(pellet) 형태의 고체 고분자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각각 펠렛 형태로 제조될 때, 각각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이 혼성 또는 혼합 생산되는데, 이때, 생산 과정 중, 수분을 함유하게 되는데 이를 최초 수분 함유량이라 하며, 상기 최초 수분 함유량은 보통 0.3~ 5% 이하로 함유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기 수분에 의해, 추후,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로 제조되는 사출 성형품에 개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상기 사출 성형품의 성형시작 전, 성형의 적정한 온도에서 퍼징 작업을 실시시, 액체 또는 기포가 발생되어 상기 퍼징 작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상기 사출 성형품의 성형 작업을 제대로 실시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 설명될 제습 공정이 필히 실시된다.
상기 제습 공정은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로 제조되기 전, 각각 함유된 상기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최초 수분 함유량을 낮추는 공정으로, 상세히, 펠렛 형태의 상기 각 고분자 물질(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외부 수분을 전자파에너지를 이용하여 증발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파에너지를 열로 변화하여 그 내부의 물질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습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고분자 물질의 수분 함유량이 0.03% 이하가 되도록 3~5시간 정도 실시된다.
이러한 상기 제습 공정이 실시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각각 외부의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알루미늄 포장된 채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습 공정이 실시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상기 고분자 혼성 화합물로 상기 사출 성형품을 제조시, 양질의 상기 사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고, 종래에 문제되었던 상기 사출 성형품의 성형이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처럼 2개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만 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복수 개의 상기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강도 및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 별도 물질이 혼합된 것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이 좋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낮은 내열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폭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의 원재로 사용되었으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분인 비스페놀A이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인체에 유해하다는 결과가 발표되어, 사용이 점차 금지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인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장점은 유지하되 인체에 무해하도록 상기 비스페놀A의 수치가 현저히 낮춘 것이므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65 내지 7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내지 1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10 내지 30 중량부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65 중량부,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10 중량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25 중량부 함유된다.
만약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충격강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반대로 15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충격강도는 높아지지만,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의 사출 성형시, 잔류 모노머가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상기 잔류 모노머가 상기 사출 성형품에 달라붙게 된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내지 15 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비스페놀A가 검출되는 양이 현저히 줄어드나, 내열성이 매우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었고, 반대로 30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내열성은 우수해지지만 비스페놀A의 수치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0 내지 30 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컴파운딩 방식으로 용융 혼합되어 제조된다.
이러한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사출 성형한 상기 사출 성형품은 예를 들어, 물병, 안경 프레임, 자동차 부품이 될 수 있고,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제조되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고수명 및 고강도이고, 열적으로 안정된 수치를 가지고, 색상을 표현하기 쉽다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만으로 제조되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비스페놀A의 수치가 현저히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의 각 구성비에 따른 실험 자료의 수치를 바탕으로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설명한다.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의 각 구성비에 따른 실험 자료.




구분

기본 재료

광학적 평가

열적 평가

기계적 평가

응용 평가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색상




투명도




tg




HDT




충격강도




BPA 시


단위

-

-

-

yi

%


18.6kgf
1/8inch, notched 1/8inch, unnotched
개스법

용출법
시험 1 70 30 90 91 94 88 6 N.B 7~8 0
시험 2 65 35 90.5 90 98 90 5.5 N.B 7~8 0
시험 3 60 40 91 91.5 100 93 5 N.B 8~10 0
시험 4 80 5 15 87 89 88 80 8~10 N.B 1~2 0
시험 5 70 10 20 88.5 89 92 85 10~12 N.B 2~3 0
시험 6 65 20 15 88 88.5 90 84 12~14 N.B 2~3 0
시험 7 60 30 10 88 88 88 82 14~16 N.B 1~2 0
상기 [표 1]의 실험 자료에서의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유사 물질인 에스케이케미칼사의 PCTG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유사 물질인 이스트만사의 PCTG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고분자 물질의 조성 함량은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한 각 중량부이다.
상기 [표 1]의 시험 1 내지 3은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되지 않은 플라스틱 조성물인 비교예이고, 상기 시험 4 내지 7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제조한 실시예이다.
상기 [표 1]의 시험 1 내지 3의 결과와 같이,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되지 않으면, 충격 강도가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시험 4 내지 7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함유되면, 그 함량에 비례하여 충격 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험 6, 7처럼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충격 강도는 높아지지만,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의 사출 성형시, 잔류 모노머가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상기 잔류 모노머가 상기 사출 성형품에 달라붙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면, 상기 잔류 모노머가 달라붙은 상기 사출 성형품에 대하여 상기 잔류 모노머에 의해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그라인더로 재성형해야 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서 상기 잔류 모노머가 발생되지 않는 선에서 충격 강도는 향상되도록 하도록,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내지 15 중량부 함유시킨다.
또한, 상기 [표 1]를 살펴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높을수록 열변형 온도 값(HDT, Heat Deflection Temperature)이 높아져 이에 맞게 내열성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상기 비스페놀A의 함량을 확인하는 BPA 시험의 수치가 급격히 높아지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장점이 파괴되지 않는 선에서, 상기 비스페놀A의 수치가 낮도록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0 내지 30 중량부 함유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시, 종래보다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잔류 모노머의 방출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상기 사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의하면, 종래의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를 주 재료로 하면서도, 사출 성형시, 종래보다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잔류 모노머의 방출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4)

  1.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혼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되어 공중합된 것이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낮고,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높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의 강도를 높여주도록 보강재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펠렛(pellet) 형태의 고체 고분자로 제공되고,
    펠렛 형태의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로 제조되기 전 각각 함유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외부 수분을 전자파를 이용하여 증발시키는 제습 공정이 실시되고,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혼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65 내지 7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가 5 내지 15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10 내지 30 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제 1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제 2 폴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컴파운딩 방식으로 용융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혼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32589A 2018-03-21 2018-03-21 고분자 혼성 조성물 KR10215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89A KR102159185B1 (ko) 2018-03-21 2018-03-21 고분자 혼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89A KR102159185B1 (ko) 2018-03-21 2018-03-21 고분자 혼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54A KR20190110754A (ko) 2019-10-01
KR102159185B1 true KR102159185B1 (ko) 2020-09-23

Family

ID=6820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89A KR102159185B1 (ko) 2018-03-21 2018-03-21 고분자 혼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47B1 (ko) * 2007-07-04 2008-09-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716A (ko) * 2007-08-28 2009-03-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1808600B1 (ko) 2016-02-26 2018-01-18 주식회사 케이.피 플라스틱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47B1 (ko) * 2007-07-04 2008-09-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54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1785453B1 (en) Polylactic acid-containing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obtained from same
EP1813648B1 (en) Flame-retardant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lded object obtained therefrom
JP7051021B1 (ja) 組成物、ペレット、成形品および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8163334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100856747B1 (ko)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
EP1298172A1 (en) Metallized polyester composition
CN112384568A (zh) 一种聚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KR20090021716A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US20120083560A1 (en) Bio-based material composition and optical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2169415B1 (ko)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361314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8350254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KR20120049563A (ko) 우수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59185B1 (ko) 고분자 혼성 조성물
KR1014865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318348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KR102362662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KR10178618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899642B1 (ko)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405869B1 (ko)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의 제조방법
KR20210070313A (ko) 폴리(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코시클로헥실렌 테레프탈레이트) 유형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방법
KR100687984B1 (ko) 저휘발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231147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