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091B1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091B1
KR102159091B1 KR1020140008693A KR20140008693A KR102159091B1 KR 102159091 B1 KR102159091 B1 KR 102159091B1 KR 1020140008693 A KR1020140008693 A KR 1020140008693A KR 20140008693 A KR20140008693 A KR 20140008693A KR 102159091 B1 KR102159091 B1 KR 10215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power supply
pulse widt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415A (ko
Inventor
양핑 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0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20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감지한 출력 신호, 동작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신호 및 동작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soft start control method thereof}
실시 형태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하나의 직류 공급 전압을 하나 이상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때, 직류 출력 전압은 공급 전압보다 크거나 또는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SMPS는 파워 전자 장치들, 특히 이동 전화,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배터리 파워 공급 장치들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SMPS에서 처음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즉, 초기 구동 시에 메인 스위치를 통해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전류로 인해 메인 스위치 중 각종 소자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소프트 스타트 방식중의 하나로서 초기 기동 시 피드백 전압의 레벨을 강제적으로 순차적으로 높임으로써 메인 스위치의 턴온 타임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소프트 스타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기동하는 경우, 출력 전압이 오버 슈트되거나, 돌입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기동 시, 출력 전압이 오버 슈트되거나 돌입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출력 전압의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안이 요구된다.
실시 형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력 전압이 오버 슈트되지 않으면서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돌입 전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감지한 출력 신호, 동작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신호 및 동작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어 목표 신호를 입력 받고,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오차 신호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상기 듀티 레벨 신호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또는 상기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중 작은 어느 하나를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듀티 레벨 신호의 최대 값은 상기 제어 목표 신호의 최대 값보다 클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가 동작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가 동작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펄스 폭 변조 신호와 상기 제 2 펄스 폭 변조 신호 중 작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서, 상기 듀티 레벨 신호의 최대 값은 상기 제어 목표 전압 신호의 최대 값보다 클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력 전압이 오버 슈트되지 않으면서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돌입 전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제어부에 입력되는 신호들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실시형태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각 엘리먼트(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엘리먼트(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엘리먼트(element)가 상기 두 엘리먼트(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배치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엘리먼트(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는 DC-DC 컨버터(110) 및 스위칭 제어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10)는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입력 정류 평활 회로를 통해 얻은 직류 입력 전압을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DC-DC 컨버터(110)는 전력의 변환을 담당하는 주요 부분으로서 입출력 변환비의 크기 및 회로 구성에 따라 많은 종류의 컨버터로 분류될 수 있다. SMPS의 회로 방식은 고주파 트랜스포머의 유무에 따라 크게 비절연형과 절연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비절연형으로는 벅(Buck) 방식, 부스트(Boost) 방식, 벅부스트(Buckboost) 방식 등이 있고, 절연형으로는 플라이백(Flyback) 방식, 포워드(Forward) 방식, 풀-브리지(Full-bridge) 방식, 하프-브라지(Half-bridge) 방식 등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DC-DC 컨버터(110)는 비절연형의 벅(Buck) 방식이다. 이러한 비절연형의 벅(Buck) 방식은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에서는 DC-DC 컨버터(110)로 비절연형의 벅(Buck)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절연형의 다른 방식 또는 절연형의 다른 방식들도 DC-DC 컨버터(110)로 사용될 수 있다.
DC-DC 컨버터(110)는 스위칭 소자(111)를 포함하고, 스위칭 소자(111)의 동작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110)는 스위칭 소자(111)의 동작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스위칭 제어부(120)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고,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원하는 전압을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DC-DC 컨버터(110)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20)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DC-DC 컨버터(110)의 스위칭 소자(111)는 동작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20)는 DC-DC 컨버터(110)로부터 감지한 출력 신호, 동작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절성된 시점까지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신호 및 동작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통해 생성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DC-DC 컨버터(110)의 스위칭 소자(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20)는 감산기(121),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 논리 회로(124), 발진기(125) 및 버퍼(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칭 제어부(12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감산기(121)는 제 1 입력단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가 입력되고, 제 2 입력단에는 출력하고자 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목표 값에 대응하는 제어 목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감산기(121)는 제 1 입력단와 제 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산기(121)는 오차 전압 또는 오차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산기(121)의 제 1 입력단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에 실질적으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입력이 되고, 제 2 입력단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목표 값에 대응하는 제어 목표 신호가 입력된다. 감산기(121)는 제 1 입력단에 입력되는 값과 제 2 입력단에 입력되는 신호들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산기(121)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오차 전류 또는 오차 전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일정한 시간까지는 증가하고, 그 시간 이후부터는 일정한 값일 수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제어부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A 신호는 스위칭 제어부(120)의 감산기(121)에 입력되는 신호이고, B 신호는 스위칭 제어부(120)의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에 입력되는 신호이다. 도 2의 가로축은 시간축이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동작하는 시점부터 시간은 진행된다. 도 2의 세로축은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며, A 신호 또는 B 신호의 값이 전류 또는 전압인지에 따라 세로축은 달라질 수 있다.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동작하면, 출력하고자 하는 제어 목표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동작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t1(제 1 시점)부터 t2(제 2 시점)까지는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t2(제 2 시점)부터는 일정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A 신호가 감산기(121)의 제 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의 제 1 입력단은 감산기(12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은 발진기(125)와 연결될 수 있다. 발진기(125)는 톱니파 또는 삼각파를 가지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의 제 1 입력단에 감산기(121)에서 출력되는 오차 전압 신호 또는 오차 전류 신호가 입력되고, 제 2 입력단에 발진기(125)에서 출력되는 톱니파 또는 삼각파를 가지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는 입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여,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의 제 1 입력단에는 듀티 레벨 신호가 입력되고, 제 2 입력단에는 발진기(125)에서 출력되는 톱니파 또는 삼각파를 가지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는 입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여,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의 제 1 입력단에 입력되는 듀티 레벨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B 신호와 같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티 레벨 신호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동작한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t3(제 3 시점)부터는 일정한 듀티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t3(제 3 시점)은 t2(제 2 시점) 이후의 시점이며, 듀티 레벨 신호의 최대 값은 제어 목표 신호의 최대 값보다 클 수 있다.
논리 회로(124)의 제 1 입력단은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은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논리 회로(124)는 입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작은 신호를 스위칭 제어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논리 회로(124)에서는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또는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고, 이는 DC-DC 컨버터(110)의 스위칭 소자(111)에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논리 회로(124)의 출력단은 버퍼(126)와 연결될 수 있으며, 버퍼(125)는 논리 회로(12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고, 이를 DC-DC 컨버터(110)의 스위칭 소자(11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는 오버슈트되거나,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전압을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을 살펴본다.
제 400 단계에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전압을 감지한다.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출력단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감지한다. 또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값이 전류이면, 출력단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 410 단계에서,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 감산기(121)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신호들의 차이인 오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전압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A 신호와 같이,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가 동작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t1(제 1 시점)부터 t2(제 2 시점)까지 목표 값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이후엔 일정한 값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제 400 단계에서 출력 전류를 감지한 경우에는 출력 전류와 목표 전류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420 단계에서,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2)는 오차 신호와 발진기(125)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 또는 삼각파의 신호를 입력받고, 이로부터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430 단계에서,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123)는 도 2의 B 신호와 같이, 일정한 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와 발진기(125)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 또는 삼각파의 신호를 입력 받고, 이로부터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440 단계에서,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와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중 작은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논리 회로(124)는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와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이들 중 작은 신호를 DC-DC 컨버터(110)의 스위칭 소자(111)에 출력하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오버슈트되거나,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전압을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110: DC-DC 컨버터
120: 스위칭 제어부
111: 스위칭 소자
121: 감산기
122: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123: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124: 논리 회로
125: 버퍼

Claims (5)

  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감지한 출력 신호, 기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제1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 전압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신호 및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제3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어 목표 신호를 입력 받고,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오차 신호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상기 듀티 레벨 신호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제 1 펄스폭 변조 신호 또는 상기 제 2 펄스폭 변조 신호 중 전압 레벨이 작은 신호를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레벨 신호의 전압 레벨의 최대 값은 상기 제어 목표 신호의 전압 레벨의 최대 값보다 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4.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제1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 전압 레벨을 증가시킨 제어 목표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제3시점까지 듀티 레벨을 증가시킨 듀티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펄스 폭 변조 신호와 상기 제 2 펄스 폭 변조 신호 중 전압 레벨이 작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레벨 신호의 전압 레벨의 최대 값은 상기 제어 목표 신호의 전압 레벨의 최대 값보다 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KR1020140008693A 2014-01-24 2014-01-24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KR10215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93A KR102159091B1 (ko) 2014-01-24 2014-01-24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93A KR102159091B1 (ko) 2014-01-24 2014-01-24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15A KR20150088415A (ko) 2015-08-03
KR102159091B1 true KR102159091B1 (ko) 2020-09-23

Family

ID=5387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693A KR102159091B1 (ko) 2014-01-24 2014-01-24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839A (ja) 2002-05-17 2003-11-21 Fuji Electric Co Ltd 電源制御方法及び電源制御装置
JP2009124825A (ja) 2007-11-13 2009-06-04 Rohm Co Ltd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ならびにその制御回路
JP2011045216A (ja) 2009-08-24 2011-03-03 New Japan Radio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725A (ko) * 2016-12-28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839A (ja) 2002-05-17 2003-11-21 Fuji Electric Co Ltd 電源制御方法及び電源制御装置
JP2009124825A (ja) 2007-11-13 2009-06-04 Rohm Co Ltd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ならびにその制御回路
JP2011045216A (ja) 2009-08-24 2011-03-03 New Japan Radio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15A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8473B2 (en) Secondary side controlled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JP4687958B2 (ja) Dc−dcコンバータ
CN107210677B (zh) 具有稳定性补偿的功率转换器控制器
US8634212B2 (en)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converter
US8891259B2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udible noise suppression in a power converter
JP597107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647531B2 (en) Soft-start switching power converter
US20090231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 to dc power conversion with reduced harmonic current
US996686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KR101851930B1 (ko) 교류-직류 컨버터
US9825517B2 (en) Controlling module, switch-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eak current mode controlling method of a switch-mode power supply apparatus
JP2008079448A (ja) 昇圧電源装置
US20100060251A1 (en) Step-Up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201004183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半導体装置
JP20061360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17311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US10141867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with signal process to accommodate the synchronous rectifier of power converters
JP554583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362836B2 (en) Circuit for driving synchronous rectifi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59091B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KR101816290B1 (ko) 전원 공급 시스템
US9385618B2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KR101134854B1 (ko) 전압 보상 공급 장치
JP201005720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612762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