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937B1 - 전환 가능한 승용물 - Google Patents

전환 가능한 승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937B1
KR102158937B1 KR1020190111241A KR20190111241A KR102158937B1 KR 102158937 B1 KR102158937 B1 KR 102158937B1 KR 1020190111241 A KR1020190111241 A KR 1020190111241A KR 20190111241 A KR20190111241 A KR 20190111241A KR 102158937 B1 KR102158937 B1 KR 10215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bracket
bicycle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화
Original Assignee
전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화 filed Critical 전정화
Priority to KR102019011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유모차모듈과 자전거 사용자가 탑승하는 자전거모듈을 서로 전환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두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전환 가능한 승용물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환 가능한 승용물은, 전환유니트(100)와 유모차유니트(200)와 자전거유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을 상호 전환할 수 있으며, 전환유니트(100)는 전환브라킷(110)과 전환차체(120)와 및 전환포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환 가능한 승용물 {TRANSFORMABLE VEHICLE}
본 발명은 승용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유아가 탑승하는 유모차모듈의 형태와 자전거 사용자가 탑승하는 자전거모듈의 형태를 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환 가능한 승용물에 대한 것이다.
유모차 사용자인 유아는 금새 성장한 아이가 되어서 자전거 사용자로 전환이 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가정에서는 유모차를 구입한 후 머지않아 다시 자전거를 구입해 주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22158호(2014.10.17)가 개시되어 있는 바,
유모차용 시트가 장착되는 메인지지대와, 메인지지대에서 분기되는 한 쌍의 서브지지대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 전단부가 한 쌍의 서브지지대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단부 간의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변환프레임; 각각의 변환프레임 후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 메인지지대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륜;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제 1 후륜;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의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제 2 후륜; 및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유모차용 핸들;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의 상호 전환에 있어서 보다 더 간단하고 신속하며 사용이 용이한 전환구조,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의 주행 및 코너링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환 가능한 승용물은, 전환유니트(100); 유모차유니트(200); 및 자전거유니트(300)를 포함하여서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을 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공되되,
전환유니트(100)는, 전환브라킷(110); 전환차체(120); 및 전환포크(130);를 포함하고,
전환브라킷(110)은, 브라킷상부(111); 브라킷저부(112); 브라킷천공부(113); 브라킷중심축(101); 브라킷유모차축(102); 및 브라킷자전거축(103);을 포함하고,
브라킷상부(111)는 종측으로 놓이며,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로부터 상하측 아래로 브라킷저부(112)가 연장되어서 함께 부메랑 형태를 취하고,
브라킷천공부(113)는 브라킷상부(111)의 중간부분이 상하측으로 천공되되, 그 내주변이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외주변 형태와(형태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가지며,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이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브라킷중심축(101)은 브라킷상부(111)의 전단부에 횡측으로 축받이 형태가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브라킷유모차축(102)은 브라킷저부(112)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축받이 형태가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브라킷자전거축(103)은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에 횡측으로 축받이 형태가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브라킷중심축(101)을 원 중심으로 하여 브라킷유모차축(102)과 브라킷자전거축(103)이 동일한 반지름(c1)의 원호(c2)상에 배치되고,
전환차체(120)는 차체종측프레임(121); 및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을 포함하고,
차체종측프레임(121)은 종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고,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은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고, 차체종측프레임(121)의 후단부와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상단부가 만나서 고정된 동체를 이루고,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하단부는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그 외주변이 브라킷천공부(113)의 내주변과 대응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전환포크(130)는 포크 형태를 취하여 종측으로 배치되고, 포크프레임(131); 포크축(132); 및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를 포함하고,
포크프레임(131)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포크축(132)은 포크프레임(131)을 전환브라킷(110)에 결합시키도록 포크프레임(131)의 전단부에 구성되는, 포크회절축(132a); 및 포크고정축(132b);을 포함하고, 포크회절축(132a)과 포크고정축(132b)은 각각 횡측으로 구성된 축(axis) 형태를 취하고, 포크회절축(132a)과 포크고정축(132b)의 이격거리는,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유모차축(102)의 이격거리 또는(및)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자전거축(103)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는 유모차후륜부(230) 또는 자전거후륜부(330)를 탈착고정 가능하게 슬라이딩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가 종측으로 절개되어 구성되고,
유모차유니트(200)는, 유모차시트부(210); 유모차전륜부(220); 및 유모차후륜부(230);를 포함하고,
유모차시트부(210)는, 유모차 사용자가 탑승하는 시트부본체(211); 및 전환유니트(100)에 시트부본체(211)를 탈착고정 가능하게 매개하여 안착하기 위한 시트부고정체(212);를 포함하고,
시트부고정체(212)는, T 형태를 취해서 시트부본체(211)의 저단부에 배치되며, T 형태의 위 수평부분은 시트부고정체(212a)로 제공되어서 시트부본체(211)에 고정수단(h1)으로 고정되고, T 형태의 아래 수직부분은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과 대응형태를 취해서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위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개재되고,
유모차전륜부(220)는, 좌우 케스터의 소형 바퀴로 이루어지는 유모차전륜(221); ⊥ 형태를 취하여서 좌우측으로 유모차전륜(221)을 고정하고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갖는 유모차전륜프레임(222); 및 유모차전륜프레임(2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로부터 종측으로 연장되는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을 포함하고,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는, 유모차전륜프레임(222)의 상단부가 종측의 뒷방향으로 돌출하되,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그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유모차후륜부(230)는, 좌우 소형 바퀴로 이루어진 유모차후륜(231); 및 횡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며 유모차후륜(231)을 고정하고, 또한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는 유모차후륜프레임(232);을 포함하고,
유모차후륜프레임(232)은, 그 중간이 전환포크(13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외형이 그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자전거유니트(300)는, 자전거안장부(310); 자전거전륜부(320); 자전거후륜부(330); 및 구동부(340);를 포함하고,
자전거안장부(310)는, 자전거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장(311); 및 안장(311)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안장고정체(312);를 포함하고,
안장(311)의 아래 저단부에 안장고정체(312)가 배치되며, 안장고정체(312)는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해서 그 하단부가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상단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과 대응형태를 취하고,
자전거전륜부(320)는, 핸들에 의해 조향 가능한 좌우 대형 바퀴로 된 자전거전륜(321); ⊥ 형태를 취하며 그 좌우에 자전거전륜(321)을 고정하고 중간이 상하측으로 연장되는 자전거전륜프레임(322);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횡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및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종측으로 연장되어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을 포함하고,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는,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단부가 종측의 뒷방향으로 돌출하여 구성되되,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자전거후륜부(330)은, 대형 바퀴로 이루어진 자전거후륜(331); 및 자전거후륜(331)을 고정하고, 또한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후륜프레임(332);을 포함하고,
자전거후륜프레임(332)은 그 좌우가 전환포크(130) 후단부의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외형이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구동부(340)는, 자전거후륜(331)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페달; 구동스프라킷; 및 구동부고정체(341);를 포함하고,
구동부고정체(341)는, 구동부(340)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되, 차체상하측프레임하단부(122b)와 대응형태를 취해서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아래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개재되고,
유모차모듈(20)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을 회절시켜 위치조절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유모차축(102)과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을 고정결합 시키고 이를 통하여,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하향(p1)이 되고, 또한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하향(p2)이 되는 상태가 되어서,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높게 상향(p0)이 되어, 그 아래쪽이 예각(an1)이 되어 전체적으로 ∧ 형태를 취하여서, 유모차전륜부(220) 및 유모차후륜부(230)의 낮은 높이를 보충하여서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유모차시트부부(210)를 적절한 높이로 맞추고,
자전거모듈(30)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전환포크(130)를 회절시켜 위치조절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자전거축(103)과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를 고정결합 시키고 이를 통하여,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상향(p1`)이 되고, 또한 전환포크(130)의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상향(p2`)이 되는 상태가 되어서,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낮게 하향(p0`) 되어 대략 수평각(an2)의 ㅡ 형태를 취하여서, 자전거전륜부(320) 및 자전거후륜부(330)의 높은 높이를 상쇄하여서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자전거안장부(310)의 높이가 과하지 않도록 적절히 맞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의 상호 전환에 있어서 간단하고 신속하며 사용이 용이하고,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의 주행 및 코너링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유모차모듈(20)과 자전거모듈(30)의 두 모듈 형태를 사시도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모차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자전거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두 모듈의 상호 변환을 안내하는 전환유니트(100)부분을 확대하여 측면에서 보인 것으로서, 윗 도면은 유모차모듈(20)인 경우에 관한 상태도이고, 아래 도면은 자전거모듈(30)인 경우에 관한 상태도이다.
도 6은 전환유니트(100)의 한 부분인 전환브라킷(110)에 관한 것으로, 윗 도면은 사시도이고, 아래 도면의 좌측은 측면도이고 아래 도면의 우측은 측면도의 상태를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예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모차모듈(20) 또는 자전거모듈(30)로의 상호 전환 가능한 승용물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전환유니트(100)를 기본적인 구성의 중심으로 하여서 선택적인 구성으로 채택할 수 있는 유모차유니트(200) 또는 자전거유니트(300)가 더하여져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종측은 앞뒤 진행 방향을, 횡측은 진행의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을, 상하측은 위아래로 세워지는 방향을 각각 대략적으로 가르킨다. 천공은 구멍이 뚫리거나 홈이 형성됨을 말한다. 개재는 끼워져 삽입되는 것을 말한다. 탈착고정은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됨을 말한다. 대응형태는 상대편의 구성에 모양 및 크기가 대응되게 맞추어진 형태를 말한다.
전환유니트(100)는 도 5 및 도 6에서, 전환브라킷(110), 전환차체(120) 및 전환포크(130)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전환브라킷(110)은 브라킷상부(111), 브라킷저부(112), 브라킷천공부(113), 브라킷중심축(101), 브라킷유모차축(102) 및 브라킷자전거축(103)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브라킷상부(111)는 종측으로 놓인 (후단부가 위로 조금 상향된) 길이를 가지며,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로부터 상하측 아래로 브라킷저부(112)가 연장되어서 함께 부메랑(갈매기, ㄱ 또는 ∧) 형태를 취한다.
브라킷천공부(113)는 브라킷상부(111) 몸체의 중간부분이 상하측으로 천공되되 그 내주변이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외주변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가지며,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이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브라킷중심축(101)은 브라킷상부(111)의 전단부에 횡측으로 천공되거나 돌출되어 축받이 형태를 이룬다. 브라킷유모차축(102)은 브라킷저부(112)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천공되거나 돌출되어 축받이 형태를 이룬다. 브라킷자전거축(103)은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에 횡측으로 천공되거나 돌출되어 축받이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브라킷중심축(101)을 원 중심(중심축)으로 하여 브라킷유모차축(102)과 브라킷자전거축(103)이 동일한 반지름(c1)의 원호(c2)(圓弧 또는 원주)상에 배치된다.
전환차체(120)는 차체종측프레임(121) 및 차체상하측프레임(122)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차체종측프레임(121)은 (전단부가 약간 아래 또는 위를 향하게) 종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고,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은 (하단부가 약간 뒤 또는 앞을 향하게)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고, 차체종측프레임(121)의 후단부와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상단부가 만나서(ㄱ 또는 + 형태로 교차, 직교하여) 고정된 동체를 이룬다.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하단부는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주변이 브라킷천공부(113)의 내주변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전환포크(130)는 포크 형태를 취하여 (약간 하향되게) 종측으로 배치되고, 포크프레임(131), 포크축(132) 및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포크프레임(131)은 파이프, 포크 형태를 취하여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전단부의 좌우가 함께 고정되고 또 후단부의 좌우가 함께 고정되어서 동체를 이룬다.
포크축(132)은 포크프레임(131)을 전환브라킷(1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크축(132)은 (좌우 각) 포크프레임(131)의 전단부에 구성된다. 포크축(132)은 포크회절축(132a) 및 포크고정축(132b)으로 이루어지고, 포크회절축(132a) 및 포크고정축(132b)은 각각 횡측으로 돌출되거나 천공된 축(axis) 형태를 취한다. 포크회절축(132a)에 대한 포크고정축(132b)의 이격거리(떨어진 거리)는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유모차축(102)의 이격거리에 대하여 대응되거나,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자전거축(103의 이격거리에 대하여 대응된다.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유모차축(102)의 이격거리와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자전거축(103)의 이격거리는 동일하다.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는 유모차후륜부(230) 또는(/) 자전거후륜부(330)를 탈착고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좌우 각)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에 구성된다.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는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를 종측으로 절개하여 형성해서, 유모차후륜부(230)/자전거후륜부(330)를 탈착고정을 하는 때에 그 배치(위치)를 절개부를 따라서 종측으로 슬라이딩 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유모차유니트(200)는 도 1 내지 3에서, 유모차시트부(210), 유모차전륜부(220) 및 유모차후륜부(230)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유모차시트부(210)는 유모차 사용자가 탑승하는 시트부본체(211) 및 전환유니트(100)에 시트부본체(211)를 탈착고정으로 매개하여 안착하기 위한 시트부고정체(212)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시트부고정체(212)는 T 형태를 취해서 시트부본체(211)의 저단부에 배치되며, T 형태의 위 수평부분은 시트부고정체(212a)로 제공되어서 시트부본체(211)에 나사, 볼트 등 고정수단(h1)으로 고정되고, T 형태의 아래 수직부분은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위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대하여 외주변 또는 내주변이 대응형태를 취한다.
유모차전륜부(220)는 좌우 케스터의 소형 바퀴로 이루어지는 유모차전륜(221), ⊥ 형태를 취하여서 좌우측으로 유모차전륜(221)을 고정하고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갖는 유모차전륜프레임(222) 및 유모차전륜프레임(2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시키기 위하여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로부터 종측으로 연장되는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로 구성이 이루어지고,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는 유모차전륜프레임(222)의 상단부가 종측의 뒷방향으로 돌출하여 제공되되,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그와 대응형태를 취하는 외주변 또는 내주변을 갖는다.
유모차후륜부(230)는 좌우 소형 바퀴로 이루어진 유모차후륜(231) 및 횡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하며 유모차후륜(231)을 고정하고, 또한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이 될 수 있는 유모차후륜프레임(232)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유모차후륜프레임(232)은 그 몸통 중간이 전환포크(13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외형이 그와 대응형태를 취한다.
자전거유니트(3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자전거안장부(310), 자전거전륜부(320), 자전거후륜부(330) 및 구동부(340)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자전거안장부(310)는 자전거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장(311) 및 안장(311)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을 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안장고정체(312)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안장(311)의 아래 저단부에 안장고정체(312)가 배치되며, 안장고정체(312)는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해서 그 하단부가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상단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취한다.
자전거전륜부(320)는 핸들에 의해 조향 가능한 좌우 대형 바퀴로 된 자전거전륜(321), ⊥ 형태를 취하며 그 좌우에 자전거전륜(321)을 고정하고 중간이 상하측으로 연장되는 자전거전륜프레임(322),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횡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및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종측으로 연장되어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시키기 위한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는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단부가 종측의 뒷방향으로 돌출하여 제공되되,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가능하도록 외주변 또는 내주변이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취한다.
자전거후륜부(330)은 대형 바퀴로 이루어진 자전거후륜(331), 자전거후륜(331)을 고정하고, 또한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시키기 위한 자전거후륜프레임(332)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자전거후륜프레임(332)은 그 좌우가 전환포크(130) 후단부의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이 될 수 있도록 외형이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취한다.
구동부(340)는 자전거후륜(331)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페달, 구동스프라킷 및 구동부고정체(341)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구동부고정체(341)는 구동부(340)를 전환유니트(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부(340)의 상단부에 상하측으로 돌출하는 파이프 형태를 취해서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아래에 개재하여 탈착고정이 되도록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구동부고정체(341)는 차체상하측프레임하단부(122b)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을 유모차모듈(20)로 사용하는 경우를 전환유니트(100)의 구성과 함께 알아본다. 도면 전체를 참조하되 특히 도 5에 주목한다.
전환유니트(100)에 구성된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전환포크(130) 전단부에 구성된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축으로 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삼아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을 회절(회전 또는 굴절)시켜 위치조절 후(위치를 조절한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유모차축(102)과 전환포크(130)의 전단부에 구성된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를 고정결합(고정되게 결합) 시킨다. 이때, 축결합이나 고정결합은 대응되는 각 구성요소에 구멍을 천공하여 핀을 개재하여 고정하거나, 대응되는 각 구성요소에 대응형태를 취하는 요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5의 윗 도면과 같이, 전환차체(120)에 구성된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하향(p1)이 되고, 또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하향(p2)이 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전환차체(120)에 구성된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높게 상향(p0)이 되어서 그 아래쪽이 예각(an1)이 되므로 전체적으로 ∧(역 v )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형 바퀴로 제공되는 유모차전륜부(220) 및 유모차후륜부(230)의 낮은 높이를 보충하여서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유모차시트부부(210)의 높이를 보호자가 터치할 수 있는 높이로 올려서 적절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자전거모듈(30)로 사용하는 경우를 전환유니트(100)의 구성과 함께 알아본다. 도면 전체를 참조하되 특히 도 5에 주목한다.
전환유니트(100)에 구성된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전환포크(130) 전단부에 구성된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삼아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을 회절시켜 위치조절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자전거축(103)과 전환포크(130)의 전단부에 구성된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를 고정결합 시킨다.
이를 통하여 도 5의 아랫 도면과 같이, 전환차체(120)에 구성된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상향(p1`)이 되고, 또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상향(p2`)이 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전환차체(120)에 구성된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낮게 하향(p0`)이 되어서 대략 수평각(an2)이 되므로 전체적으로 ㅡ 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대형 바퀴로 제공되는 자전거전륜부(320) 및 자전거후륜부(330)의 높은 높이를 상쇄하여서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자전거안장부(310)의 안장(311) 높이를 낮추어 과하지 않도록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전환유니트(1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유모차유니트(200)의 구성 또는 자전거유니트(300)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탈착고정 하여 유모차모듈(20) 또는 자전거모듈(30)의 전환을 적절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서, 별도의 유모차와 자전거를 모두 구입하지 않고서도 하나로 겸용하여 필요에 따라 두 모듈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유모차모듈(20)은 4륜 형태로 제공되며, 자전거모듈(30)은 3륜 형태로 제공되되 자전거전륜부(320)가 좌우 횡측으로 이격된 2륜으로 형태로 제공되어, 주행 및 방향전환시에 보다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환유니트(100); 전환브라킷(110); 전환차체(120); 전환포크(130);
유모차유니트(200); 유모차시트부(210); 유모차전륜부(220); 유모차후륜부(230);
자전거유니트(300); 자전거안장부(310); 자전거전륜부(320); 자전거후륜부(330); 구동부(340);

Claims (2)

  1. 전환유니트(100); 유모차유니트(200); 및 자전거유니트(300)를 포함하여 유모차모듈과 자전거모듈을 상호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가능한 승용물에 있어서,
    전환유니트(100)는, 전환브라킷(110); 전환차체(120); 및 전환포크(130);를 포함하고,
    전환브라킷(110)은, 브라킷상부(111); 브라킷저부(112); 브라킷천공부(113); 브라킷중심축(101); 브라킷유모차축(102); 및 브라킷자전거축(103);을 포함하고,
    브라킷상부(111)는 종측으로 놓이며,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로부터 상하측 아래로 브라킷저부(112)가 연장되어서 함께 부메랑 형태를 취하고,
    브라킷천공부(113)는 브라킷상부(111)의 중간부분이 상하측으로 천공되되, 그 내주변이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외주변과 대응형태를 가지며,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이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브라킷중심축(101)은 브라킷상부(111)의 전단부에 축받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브라킷유모차축(102)은 브라킷저부(112)의 하단부에 축받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브라킷자전거축(103)은 브라킷상부(111)의 후단부에 축받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브라킷중심축(101)을 중심축으로 하여 브라킷유모차축(102)과 브라킷자전거축(103)이 동일한 원호(c2)상에 배치되고,
    전환차체(120)는 차체종측프레임(121); 및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을 포함하고,
    차체종측프레임(121)은 종측으로 배치되고,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은 상하측으로 배치되고, 차체종측프레임(121)의 후단부와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상단부가 만나서 고정된 동체를 이루고,
    차체상하측프레임(122)의 하단부는 브라킷천공부(11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그 외주변이 브라킷천공부(113)의 내주변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갖고,
    전환포크(130)는 종측으로 배치되고, 포크프레임(131); 포크축(132); 및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를 포함하고,
    포크프레임(131)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포크축(132)은 포크프레임(131)을 전환브라킷(110)에 결합시키도록 포크프레임(131)의 전단부에 구성되는, 포크회절축(132a); 및 포크고정축(132b);을 포함하고, 포크회절축(132a)과 포크고정축(132b)은 각각 축(axis) 형태를 취하고, 포크회절축(132a)과 포크고정축(132b)의 이격거리는, 브라킷중심축(101)에 대한 브라킷유모차축(102) 또는 브라킷자전거축(103)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는 유모차후륜부(230) 또는 자전거후륜부(330)를 탈착고정 가능하며 슬라이딩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유모차유니트(200)는, 유모차시트부(210); 유모차전륜부(220); 및 유모차후륜부(230);를 포함하고,
    유모차시트부(210)는, 유모차 사용자가 탑승하는 시트부본체(211); 및 전환유니트(100)에 시트부본체(211)를 탈착고정 가능하게 매개하여 안착하기 위한 시트부고정체(212);를 포함하고,
    시트부고정체(212)는, T 형태를 취해서 시트부본체(211)의 저단부에 배치되며, T 형태의 위 수평부분은 시트부고정체(212a)로 제공되어서 시트부본체(211)에 고정수단(h1)으로 고정되고, T 형태의 아래 수직부분은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취해서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위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개재되고,
    유모차전륜부(220)는, 유모차전륜(221); ⊥ 형태를 취하여서 좌우측으로 유모차전륜(221)을 고정하고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갖는 유모차전륜프레임(222); 및 유모차전륜프레임(2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위로부터 종측 뒤로 연장되는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을 포함하고,
    유모차전륜프레임고정체(223)는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그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유모차후륜부(230)는, 유모차후륜(231); 및 횡측으로 배치되며 좌우에 유모차후륜(231)을 고정하는 유모차후륜프레임(232);을 포함하고,
    유모차후륜프레임(232)은, 그 중간이 전환포크(13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외형이 그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유모차모듈(20)로 사용하는 경우에,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전환포크(130)의 포크프레임(131)을 회절시켜 위치조절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유모차축(102)과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을 고정결합 시키면,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하향(p1)이 되고, 또한 포크프레임(131)의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하향(p2)이 되고,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높게 상향(p0)이 되어,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유모차시트부부(210)의 높이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승용물.
  2. 제1항에 있어서
    자전거유니트(300)는, 자전거안장부(310); 자전거전륜부(320); 자전거후륜부(330); 및 구동부(340);를 포함하고,
    자전거안장부(310)는, 자전거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장(311); 및 안장(311)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안장고정체(312);를 포함하고,
    안장(311)의 아래 저단부에 안장고정체(312)가 배치되며, 안장고정체(312)는 그 하단부가 전환차체(120)의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상단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과 대응형태를 취하고,
    자전거전륜부(320)는, 핸들로 조향이 되는 자전거전륜(321); ⊥ 형태를 취하며 그 좌우에 자전거전륜(321)을 고정하고 중간이 상하측으로 연장되는 자전거전륜프레임(322);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횡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및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종측의 뒤로 연장되어 자전거전륜프레임(322)을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을 포함하고,
    자전거전륜프레임고정체(323)는 전환차체(120)의 차체종측프레임(121) 전단부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와 대응형태를 취하고,
    자전거후륜부(330)은, 자전거후륜(331); 및 자전거후륜(331)을 고정하고 전환유니트(100)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후륜프레임(332);을 포함하고,
    자전거후륜프레임(332)은 그 좌우가 전환포크(130) 후단부의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개재되어 탈착고정 가능하게 외형이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에 대하여 대응형태를 취하고,
    구동부(340)는, 자전거후륜(331)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페달; 구동스프라킷; 및 구동부고정체(341);를 포함하고,
    구동부고정체(341)는, 구동부(340)로부터 상하측 위로 돌출하되, 차체상하측프레임하단부(122b)과 대응형태를 취해서 차체상하측프레임(122) 아래에 탈착고정 가능하게 개재되고,
    자전거모듈(30)로 사용하는 경우에,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중심축(101)과 포크축(132)의 포크회절축(132a)을 축결합 시키고 이를 중심축으로 전환포크(130)를 회절시켜 위치조절 후, 전환브라킷(110)의 브라킷자전거축(103)과 포크축(132)의 포크고정축(132b)를 고정결합 시키면, 차체종측프레임(121)의 전단부가 상향(p1`)이 되고, 또한 전환포크(130)의 후단부에 구성된 포크후륜고정절개부(133)가 상향(p2`)이 되는 상태가 되고,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는 낮게 하향(p0`)이 되어, 차체상하측프레임상단부(122a)에 결합되는 자전거안장부(310)의 높이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승용물.
KR1020190111241A 2019-09-09 2019-09-09 전환 가능한 승용물 KR10215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41A KR102158937B1 (ko) 2019-09-09 2019-09-09 전환 가능한 승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41A KR102158937B1 (ko) 2019-09-09 2019-09-09 전환 가능한 승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937B1 true KR102158937B1 (ko) 2020-09-23

Family

ID=7270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41A KR102158937B1 (ko) 2019-09-09 2019-09-09 전환 가능한 승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1634A1 (en) * 2019-10-07 2021-04-08 Sang Jin Yoo Strol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2889B2 (en) * 2008-08-08 2011-08-09 Soma Cycle, Inc. Convertible stroller-cycle
KR20140122158A (ko) * 2013-08-23 2014-10-17 김정근 자전거 프레임을 이용한 유모차
KR20170018187A (ko) * 2015-08-06 2017-0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세발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70034625A (ko) * 2015-09-21 2017-03-29 김광운 유모차 겸용 자전거
KR20180043207A (ko) * 2015-06-19 2018-04-27 피아이 매뉴팩처링 인코퍼레이티드 유모차로 전환 가능한 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2889B2 (en) * 2008-08-08 2011-08-09 Soma Cycle, Inc. Convertible stroller-cycle
KR20140122158A (ko) * 2013-08-23 2014-10-17 김정근 자전거 프레임을 이용한 유모차
KR20180043207A (ko) * 2015-06-19 2018-04-27 피아이 매뉴팩처링 인코퍼레이티드 유모차로 전환 가능한 자전거
KR20170018187A (ko) * 2015-08-06 2017-0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세발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70034625A (ko) * 2015-09-21 2017-03-29 김광운 유모차 겸용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1634A1 (en) * 2019-10-07 2021-04-08 Sang Jin Yoo Stroller
US11760403B2 (en) * 2019-10-07 2023-09-19 Sang Jin Yoo S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358B1 (ko)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KR101319481B1 (ko)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
US9114842B2 (en) Multi-passenger tricycle
US11572093B2 (en) Stroller
KR101478190B1 (ko) 유모차 겸용 자전거
EP1843937B9 (en) Bicycle attachment
EA025643B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яемое двумя способами
US7044491B2 (en) Tricycle
US10011316B2 (en) Vehicle with foldable double-wheel assembly
KR102158937B1 (ko) 전환 가능한 승용물
GB2471529A (en) A parent and child pedal-less cycle and baby carrier
JP5335544B2 (ja) 子供用乗用車両
KR20170018187A (ko) 세발자전거 겸용 유모차
CN111361674A (zh) 四轮转向机构
EP1717139B1 (en) Combination vehicle frame
EP2670654A2 (en) Foot propelled vehicle
CN108502006B (zh) 一种儿童推车
WO2018193312A2 (en) Transformable device useable for child sport-equipment and baby buggy
CN213057358U (zh) 四轮转向机构
CN113453978B (zh) 可转换的三轮车
WO2012043435A1 (ja) 育児器具
KR20190121717A (ko) 유모차
KR20140122158A (ko) 자전거 프레임을 이용한 유모차
CN206537420U (zh) 可转换为学步车的儿童三轮车
CN213057346U (zh) 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