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03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03B1
KR102156603B1 KR1020190114139A KR20190114139A KR102156603B1 KR 102156603 B1 KR102156603 B1 KR 102156603B1 KR 1020190114139 A KR1020190114139 A KR 1020190114139A KR 20190114139 A KR20190114139 A KR 20190114139A KR 102156603 B1 KR102156603 B1 KR 10215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area
display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551A (ko
Inventor
곽지연
윤여준
박해윤
김윤경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복수의 폴딩 라인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폴딩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된 경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변하고,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편리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복수의 폴딩 라인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폴딩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된 경우,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내의 제1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플스플레이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내의 제1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복수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및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힌지부에 의해 벤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에 따른 복수의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벤딩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벤딩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변경된 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양면 모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힌지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 및 UI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힌지부(120)에 대응되는 폴딩 라인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힌지부(12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두 개의 힌지부(120)에 의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힌지부(120)는 복수의 힌지부(120)에 대응되는 복수의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두 개의 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힌지부(120)에 대응되는 폴딩 라인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두 개의 영역이 완전히 접힐 수 있는 라인일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30)는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 인터렉션 및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언폴딩되는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벤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복수의 폴딩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경우,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었는지 여부,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후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힌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기설정된 각도 이내로 벤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힌지부(120)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 내의 제1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130)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의 제1 영역은 공용 저장 영역이며, 제2 영역은 개별 저장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감지부(130)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변경된 형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130)를 통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의 힌지부(120)의 벤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복수의 힌지부(235), 통신부(240), 저장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스피커부(270), 감지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도 3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폴딩 라인(310,315)을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폴딩 라인(310)은 제1 힌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며, 제2 폴딩 라인(315)은 제2 힌지부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복수의 힌지부(235)를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먼저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30)는 도 3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언폴딩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벤딩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측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후면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321,323,325)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커버(331,333,3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커버(331,333,335) 사이에는 제1 힌지부(341) 및 제2 힌지부(343)가 위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321,323,325)이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이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이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전면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이 먼저 벤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이 먼저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힌지부(341,343)가 디스플레이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 내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에 의해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230)는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힌지부(235)는 대응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복수의 힌지부(235)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40)는 와이파이칩(241), 블루투스 칩(242), 무선 통신 칩(243), NFC 칩(244)을 포함한다. 제어부(290)는 통신부(2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와이파이 칩(241), 블루투스 칩(24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241)이나 블루투스 칩(2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4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4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250)에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50)에는 OS(410), 커널(420), 미들웨어(430), 어플리케이션(4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4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4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420)은 디스플레이부(23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4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미들웨어(430)는 X11 모듈(430-1), APP 매니저(430-2), 연결 매니저(430-3), 보안 모듈(430-4), 시스템 매니저(4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 UI 프레임워크(430-7), 윈도우 매니저(430-8), 필기 인식 모듈(4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4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430-2)는 저장부(2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4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430-2)는 X11 모듈(4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4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4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4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4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4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4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2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440-1 ~ 4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e-book)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294)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2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7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281), 움직임 감지부(282) 및 벤딩 감지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82)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는 벤딩 센서,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접혔는지 여부 및 접힌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벤딩 감지부(283)는 힌지부(341,343)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부(230)가 벤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30)가 벤딩된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241,243)를 기준으로 완전히 접혀지는 상태 또는 힌지부(241,243)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일정 각도 벤딩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동작 모드 >
제어부(290)는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동작 모드는 폰 모드, 노트 모드 및 태블릿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감지부(283)에 의해 두 개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 각각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폰 모드(510)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감지부(283)에 의해 두 개의 힌지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5) 중 하나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노트 모드(520)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감지부(283)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1,323,325)이 언폴딩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1,323,325)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태블릿 모드(530)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동작 모드에 따라 터치 감지부(281)가 활성화되는 영역이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 모드(510)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감지부(281) 중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3)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노트 모드(520)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감지부(281) 중 제1 디스플레이 영역(3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323)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323)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모드(530)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모든 디스플레이 영역(321,323,325)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성이 상이해지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동작 모드에 따라 텍스트 및 이미지의 크기, 텍스트 및 이미지의 배치 등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폰 모드(510)로 동작할 때의 텍스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노트 모드(520)로 동작할 때의 텍스트 및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노트 모드(520)로 동작할 때의 텍스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태블릿 모드(530)로 동작할 때의 텍스트 및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 벤딩 인터렉션에 따른 기능 실행 >
제어부(290)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230)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가 벤딩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에 따라 저장부(250) 내의 상이한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610 내지 630)에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6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10도 ~ 60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250) 내의 제1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610 내지 630)에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6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10도 ~ 60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250)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610 내지 630)에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6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10도 ~ 60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뉴스 기사를 저장부(250) 내의 work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610 내지 630)에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6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10도 ~ 60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뉴스 기사를 저장부(250) 내의 private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230)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가 벤딩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에 따라 영상 컨텐츠 내의 화면을 변경하거나 다른 영상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710 내지 730)에 E-book 컨텐츠의 10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7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E-book 컨텐츠의 10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인 9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710 내지 730)에 E-book 컨텐츠의 10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E-book 컨텐츠의 10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인 1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벤딩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E-book 컨텐츠의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810 내지 830)에 제1 사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8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된 제1 사진 컨텐츠 이전의 제2 사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810 내지 830)에 제1 사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8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된 제1 사진 컨텐츠 다음의 제3 사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벤딩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된 사진 컨텐츠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게 된다.
<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 변경에 따른 기능 실행 >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변경된 형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에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920,9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감지부(283)는 먼저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92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고,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920,9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에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에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910,9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감지부(283)는 먼저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9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고,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910,9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910)에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930)에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형태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에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에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감지부(283)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20,10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감지부(283)는 먼저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고,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20,10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a의 하단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화면(1010) 및 제3 디스플레이 화면(1030) 중 높은 곳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화면(1010)을 캡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에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에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감지부(283)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10,10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감지부(283)는 먼저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고,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10,103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b의 하단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화면(1010)을 캡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c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0)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에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에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감지부(283)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10,10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감지부(283)는 먼저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고,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만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283)를 통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1030)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1010,10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c의 하단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화면(1010) 및 제3 디스플레이 화면(1030) 중 높은 곳에 위치한 제3 디스플레이 화면(1030)을 캡쳐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형태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θ)(예를 들어, 60도 내지 120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하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를 위한 영상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인을 위한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4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60도 내지 120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촬영 대상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 대상자가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시에 사용자는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θ1)(예를 들어, 60도 내지 120도) 내로 벤딩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23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θ2)(예를 들어, 30도 내지 60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0)에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230)에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화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를 위한 화면이며, 제2 화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및 반대편에 위치한 타인이 공유하기 위한 화면이며, 제1 화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인을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4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260)이 디스플레이부(230)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40)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50)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1260)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힌지부(235)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3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힌지부(235)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벤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0).
복수의 힌지부(235)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벤딩된 경우(S1320-Y), 사용자 단말 장치(230)는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S133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3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도 5a 내지 도 1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복수의 힌지부(235)를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면이 디스플레이부(230)로 구성되며, 다른 면이 커버(331,333,335) 및 힌지부(341,343)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양면 모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부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양면 모두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폴딩 라인(1421) 및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뒷면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폴딩 라인(1421) 및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제4 디스플레이 영역(1414), 제5 디스플레이 영역(1415) 및 제6 디스플레이 영역(14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앞쪽으로 벤딩되는 경우, 덮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뒷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b 내지 도 14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앞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6 디스플레이 영역(1416)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2)에 디스플레이되던 제2 영상이 제6 디스플레이 영역(1416)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동일한 영역에 계속해서 제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2)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앞면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4)을 제1 폴딩 라인(142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앞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4 디스플레이 영역(1414)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2)에 디스플레이되던 제2 영상이 제4 디스플레이 영역(1414)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동일한 영역에 계속해서 제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1 폴딩 라인(142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앞면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앞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5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영상이 제5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동일한 영역에 계속해서 제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을 제1 폴딩 라인(142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2 폴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계속해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에 제2 영상,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에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3 디스플레이 영역(1415)을 제2 벤딩 라인(1423)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13)을 제1 벤딩 라인(142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뒷면 방향으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411)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30: 디스플레이부 120, 235: 힌지부
130, 280: 감지부 140, 290: 제어부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처리부
240: 통신부 250: 저장부
260: 오디오 처리부 270: 오디오 출력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폴딩 라인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폴딩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된 경우,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 내의 제1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저장부 내의 제1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저장부 내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E-book 컨텐츠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벤딩한 후 다시 언폴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이 제1 화면 내지 제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벤딩하는 벤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방향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으로 제2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벤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타인이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가 검색하는 쇼핑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90114139A 2014-02-10 2019-09-1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5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7778P 2014-02-10 2014-02-10
US61/937,778 2014-02-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14A Division KR102024187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551A KR20190108551A (ko) 2019-09-24
KR102156603B1 true KR102156603B1 (ko) 2020-09-21

Family

ID=5405795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55A KR102016127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40089251A KR102039172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40088814A KR102024187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90114139A KR102156603B1 (ko) 2014-02-10 2019-09-1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90134083A KR102155688B1 (ko) 2014-02-10 2019-10-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55A KR102016127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40089251A KR102039172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40088814A KR102024187B1 (ko) 2014-02-10 2014-07-1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083A KR102155688B1 (ko) 2014-02-10 2019-10-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105657B1 (ko)
KR (5) KR102016127B1 (ko)
CN (2) CN1059929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922B1 (ko) * 2015-09-11 2023-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51405B1 (ko) * 2015-11-03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1528B1 (ko) * 2015-11-06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10748B1 (ko) * 2015-11-27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366904B1 (ko) * 2015-12-04 2022-02-23 안범주 인체공학적 드로잉 장치
KR102503937B1 (ko) * 2015-12-16 2023-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96176B2 (en) * 2017-01-30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al aid for a hinged device via semantic abstraction
CN107391072A (zh) * 2017-08-31 2017-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屏显示控制方法及其装置、移动终端
CN107562345B (zh) * 2017-08-31 2020-0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存储方法及移动终端
CN107765952B (zh) * 2017-11-07 2020-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截屏方法、装置及终端
CN108319436A (zh) * 2018-01-18 2018-07-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移动终端屏幕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521916B (zh) * 2018-08-31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屏的文件处理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9947320B (zh) * 2019-03-15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134186B (zh) * 2019-03-29 2022-06-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边缘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66236B (zh) * 2019-04-30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支撑结构及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35976A (ko) * 2019-09-25 2021-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27321B2 (en) * 2019-10-01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transitions and optimizations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KR102316514B1 (ko) * 2019-10-08 2021-10-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
KR20210145958A (ko) * 2020-05-2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계정을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20029904A (ko) * 2020-09-02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2050779A1 (ko) *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폴딩 전자 장치
CN112235561B (zh) * 2020-10-16 2022-07-22 深圳市时代华影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显示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86442B (zh) * 2020-11-27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99A1 (en) 2008-09-08 2010-03-1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US20130162663A1 (en) * 2011-12-22 2013-06-27 Takuro Mano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output control program
US20130215011A1 (en) 2012-02-20 2013-08-22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15745A1 (en) 2012-07-13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flexion states of flexible display
US20140028596A1 (en) * 2012-07-30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35869A1 (en)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5198D0 (en) * 1998-03-11 1998-05-06 Maddock Alan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EP2039398B1 (en) * 2007-08-29 2016-05-04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DE102007048596A1 (de) *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KR101525160B1 (ko) * 2008-08-08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10241998A1 (en) *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715385B1 (ko) * 2010-10-15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273B1 (ko) * 2011-02-10 201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9374B1 (ko) * 2011-03-08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438740B (zh) * 2011-04-13 2014-05-21 Wistron Corp 可撓式電子裝置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9927839B2 (en) *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KR101917683B1 (ko) * 2012-02-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99A1 (en) 2008-09-08 2010-03-1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US20110216064A1 (en) * 2008-09-08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US20130162663A1 (en) * 2011-12-22 2013-06-27 Takuro Mano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output control program
US20130215011A1 (en) 2012-02-20 2013-08-22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15745A1 (en) 2012-07-13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flexion states of flexible display
US20140028596A1 (en) * 2012-07-30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35869A1 (en)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172B1 (ko) 2019-10-31
EP3105649A4 (en) 2017-08-16
KR20150094479A (ko) 2015-08-19
CN105980955A (zh) 2016-09-28
EP3105657A4 (en) 2017-08-16
EP3105657B1 (en) 2021-12-15
KR102155688B1 (ko) 2020-09-14
KR20150094481A (ko) 2015-08-19
CN105992989A (zh) 2016-10-05
KR20190108551A (ko) 2019-09-24
KR20190124189A (ko) 2019-11-04
EP3105649B1 (en) 2021-09-01
KR102016127B1 (ko) 2019-10-21
KR20150094480A (ko) 2015-08-19
EP3105657A1 (en) 2016-12-21
CN105980955B (zh) 2019-08-09
KR102024187B1 (ko) 2019-11-04
EP3105649A1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60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67111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36649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96070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0746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