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888B1 -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888B1
KR102155888B1 KR1020170116064A KR20170116064A KR102155888B1 KR 102155888 B1 KR102155888 B1 KR 102155888B1 KR 1020170116064 A KR1020170116064 A KR 1020170116064A KR 20170116064 A KR20170116064 A KR 20170116064A KR 102155888 B1 KR102155888 B1 KR 10215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elding
lead
laser weld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037A (ko
Inventor
이정훈
강달모
류상우
문정오
박진용
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1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88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HUE18854421A priority patent/HUE060334T2/hu
Priority to US16/469,381 priority patent/US11413712B2/en
Priority to ES18854421T priority patent/ES2932019T3/es
Priority to CN201880005019.1A priority patent/CN110087825B/zh
Priority to PCT/KR2018/009111 priority patent/WO2019050173A1/ko
Priority to EP18854421.7A priority patent/EP3613535B1/en
Priority to PL18854421.7T priority patent/PL3613535T3/pl
Priority to JP2019546361A priority patent/JP6750127B2/ja
Publication of KR2019002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60Preliminary treatment
    • H01M2/204
    • H01M2/206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지그는, 용접 시 버스바 유닛을 커버하는 지그 본체, 지그 본체에 형성되며 용접을 위해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를 지그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는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사이 사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부들 및 각각의 볼트 삽입부의 후면에 마련되며, 가압 볼트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전극 리드들을 리드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LASER WELDING JIG AND LASER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 유닛의 리드 버스바 사이의 용접을 위한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셀로서,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극 리드가 상호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분이 용접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들 간의 병렬 및/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극 리드의 일단부는 각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촉 고정될 수 있다.
이차 전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접합 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이차 전지를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키고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합 공정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할 전극 리드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면, 내부 단락이 발생하여 배터리 팩이 손상되는 것은 물론, 심한 경우 발화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반면, 서로 연결되어야 할 전극 리드가 서로 분리된다면,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므로, 전원 무감 현상이 발생하거나 배터리 모듈의 용량이나 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처럼, 전원 무감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 장착된 장치, 이를테면 자동차 등의 작동이 멈추게 될 수 있으며, 이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리드의 접촉 상태는, 원래 의도된 대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의도되지 않은 전극 리드 간 접촉이나 분리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더욱이, 자동차 등에 이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진동이나 충격 등에 자주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도 전극 리드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극 리드 사이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과 더불어 용접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리드 사이의 연결이 안정적이더라도 그 용접이 매우 어렵게 수행되어야 한다면, 배터리 모듈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리드 버스바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드 버스바는 전극 리드와 용접되기 위해 전극 리드와 접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의 제조 과정 중, 이러한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 사이의 연결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 사이의 접합 부분에 대하여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는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레이저 용접 등의 결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용접성이 우수한 모듈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가 리드 버스바와 안정적인 접합되기 위해, 전극 리드의 비교적 넓은 면적의 일측면이 리드 버스바에 접촉하도록 전극 리드의 일단부를 절곡한 뒤, 전극 리드의 절곡된 일측면과 리드 버스바의 전면을 접합시키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접합 공정에서는, 전극 리드를 절곡시켜 리드 버스바와 접촉 시키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을 위해 추가적인 절곡 지그 구성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 간의 용접 접합 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드 버스바와 전극 리드 간의 접합을 위해 레이저 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적층된 이차 전지들의 전극 리드들 사이는 매우 협소한 공간임으로, 용접 작업 중에 전극 리드들 간에 서로 접선 되기가 쉬웠고, 이차 전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용접을 행하는 것은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었다.
더욱이, 상기 언급한 전극 리드의 절곡된 부위는, 용접 공정에서 더 많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예를 들어, 접합을 위해 용접 공정을 수행할 경우, 전극 리드의 절곡된 부위와 리드 버스바 간의 용접 타점, 이러한 용접 타점을 위한 여유 공차, 전극 리드를 절곡된 형태로 리드 버스바와 밀착시키기 위한 용접 지그의 배치 공간 등이 필요하게 되어, 용접 작업 공간이 더욱 협소 해져 용접 효율성이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 경량화 추세에 따라 이차 전지의 두께가 점차 감소됨에 따라,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와의 접합 공정을 위한 공간이 더욱 협소해지고 있다. 즉, 전극 리드의 일단부의 절곡된 방향이 이차 전지들의 적층 방향과 일치할 경우, 적층 방향의 이차 전지의 두께가 얇아, 인접한 이차 전지들의 간섭 내지 손상을 일으키기가 쉬워 용접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고 공정 시간의 소요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과 더불어 향상된 용접 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는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상기 배터리 셀들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를 용접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 지그로서, 상기 용접 시 상기 버스바 유닛을 커버하는 지그 본체; 상기 지그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을 위해 상기 전극 리드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를 상기 지그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는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사이 사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부들; 및 각각의 볼트 삽입부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 볼트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전극 리드들을 상기 리드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은, 상기 지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그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의 삽입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는, 상기 볼트 삽입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볼트 헤드; 상기 볼트 헤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볼트 레그; 및 상기 볼트 레그와 상기 볼트 헤드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 헤드로부터 상기 볼트 레그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볼트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볼트 레그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의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유닛에는, 상기 지그 본체의 상기 버스바 유닛 커버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접은,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내에서 수행되는 레이저 용접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저 용접 장치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저 용접 지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 및 상기 용접을 위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용접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에 절곡된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전극 리드와 리드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성을 신뢰할 수 있는 접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접합 공정에서는, 전극 리드를 절곡시켜 리드 버스바와 접촉 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전극 리드의 절곡 작업 및 절곡 지그 구성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제조 비용을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리드 버스바와 접합되는 전극 리드의 절곡 부위로 인해 용접 공정을 위한 더 많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제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용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후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의 가압 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를 통한 배터리 모듈의 용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용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후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레이저 용접 지그의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의 가압 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은, 적어도 2개 이상, 즉,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 및 버스바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상호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에는 각각 전극 리드들(1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유닛(3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일측면을 커버하며, 전압 센싱 등을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유닛(30)은, 유닛 본체(32), 리드 버스바(34), 리드 슬롯(36) 및 볼팅홈(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본체(32)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일측면을 커버할 수 있게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일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드 버스바(34)는 상기 유닛 본체(32)의 전면에 구비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리드 버스바들(34)은, 각각, 두 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50)를 통한 레이저 용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슬롯(36)은, 상기 유닛 본체(32)에 형성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리드 슬롯들(36)은 상기 리드 버스바들(32) 사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셀(10)의 전극 리드(15)는 각각의 리드 슬롯(36)을 통과한 후 상기 유닛 본체(32)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볼팅홈(38)은, 상기 유닛 본체(32)에 형성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볼팅홈들(38)은,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100)의 지그 본체(120)의 상기 버스바 유닛(30) 커버 시, 후술하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홀(16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볼팅홈들(38)에는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50)의 복수 개의 가압 볼트들(3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기 배터리 셀들(10)의 상기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상기 리드 버스바들(34) 사이의 용접을 위한 레이저 용접 장치(50)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상기 레이저 용접 장치(50)는, 레이저 용접 지그(100), 가압 볼트(300) 및 용접 레이저(500, 도 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용접 지그(100)는, 상기 배터리 셀들(10) 중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배터리 셀들(10)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유닛(30)의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34)를 용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접 시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이저 용접 지그(100)는, 지그 본체(120), 용접 슬릿(140), 볼트 삽입부(160) 및 리드 밀착 블록(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본체(120)는 상기 용접 시 상기 버스바 유닛(30)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 본체(120)는 상기 용접 시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유닛 본체(32)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용접 슬릿(140)은 상기 지그 본체(120)에 형성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용접 슬릿(140)은, 각각, 상기 용접을 위해 상기 배터리 셀들(10)의 두 개의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리드 버스바들(34) 중 하나의 리드 버스바(34)를 상기 지그 본체(120) 전방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부(160)는 상기 지그 본체(120)에 형성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볼트 삽입부들(160)은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140) 사이 사이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300)과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16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홀(165)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볼트 삽입홀들(165)은, 각각의 볼트 삽입부(16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밀착 블록(180)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지그 본체(120)의 후방, 구체적으로, 각각의 볼트 삽입부(160)의 후면에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180)은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300)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각각의 용접 슬릿(140) 내의 전극 리드들(15)을 상기 리드 버스바(3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180)은, 상기 지그 본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그 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18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300) 삽입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호 이격되게끔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각각의 볼트 삽입부(165)에 마련되는 이러한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18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용접 슬릿들(140) 내의 두 개의 전극 리드들(15)은 상기 리드 버스바(34)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180)에는, 후술하는 가압 볼트(300)의 통과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삽입 가이드홈들(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삽입 가이드홈들(185)은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기 가압 볼트(300)의 통과 이전에 후술하는 가압 볼트(300)의 볼트 레그(34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가압 볼트(300)의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볼트(3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 삽입홀(165) 및 상기 볼팅홈(38)에 삽입되면서 상기 전극 리드들(15)을 상기 리드 버스바(3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가압 볼트들(300)은, 각각, 볼트 헤드(320), 볼트 레그(340) 및 볼트 테이퍼(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헤드(320)는 상기 볼트 삽입홀(165)에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B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트 레그(340)는 상기 볼트 헤드(320)의 직경(B1)보다 작은 직경(B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트 테이퍼(360)는, 상기 볼트 레그(340)와 상기 볼트 헤드(320)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 헤드(320)로부터 상기 볼트 레그(340)를 향해 점직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 레이저(500, 도 11 참조)는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140) 내에서 상기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상기 리드 버스바(34)를 용접시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접을 위해, 상기 용접 레이저(500)는 상기 용접을 위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기 레이저 용접 장치(50)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1)의 용접 공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의 레이저 용접 장치를 통한 배터리 모듈의 용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 등은 상기 배터리 모듈(1) 용접 시 상기 레이저 용접 장치(50)의 상기 레이저 용접 지그(100)를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전면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레이저 용접 지그(100)의 상기 용접 슬릿들(140)에는 상기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리드 버스바(34)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 등은 상기 볼트 삽입부들(160)의 상기 볼트 삽입홀들(165) 내로 가압 볼트들(300)을 삽입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 볼트들(300)의 상기 버스바 유닛(30) 측으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리드 밀착 블록들(180)은 상기 리드 버스바(34) 가까이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리드 버스바(34) 양측의 전극 리드들(15)에 근접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자 등은 상기 가압 볼트들(300)을 보다 더 삽입시켜 상기 가압 볼트들(300)을 상기 버스바 유닛(30)의 상기 볼팅홈들(38)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 밀착 블록들(180)은 상기 리드 버스바(34) 측으로 보다 더 이동되면서 상기 리드 버스바(34) 양측의 전극 리드들(15)을 상기 리드 버스바(34)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밀착 블록들(180)에 의해 상기 리드 버스바(34)에 상기 전극 리드들(15)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 등은 상기 용접 레이저(500)를 상기 용접 슬릿들(140) 내에서 상기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리드 버스바(34)를 레이저 용접시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저 용접 장치(50)는, 상기 가압 볼트(300)의 삽입에 따른 상기 레이저 용접 지그(100)의 상기 리드 밀착 블록들(180)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리드 버스바(34)의 접촉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도모하여 상기 용접 시 레이저 용접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이저 용접 장치(50)에서는, 상기 전극 리드들(15)과 상기 리드 버스바(34)의 용접 시 상기 전극 리드들(15)의 벤딩 공정이 요구되지 않기에, 용접 공정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접 공정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보다 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벤딩 공정 삭제에 따라, 종전 벤딩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었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어,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슬림한 배터리 모듈(1)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전극 리드(15)에 절곡된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전극 리드(10)와 리드 버스바(34) 간의 전기적 연결성을 신뢰할 수 있는 접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을 제조하기 위한 접합 공정에서는, 전극 리드(15)를 절곡시켜 리드 버스바(34)와 접촉 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전극 리드(15)의 절곡 작업 및 절곡 지그 구성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제조 비용을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리드 버스바(34)와 접합되는 전극 리드(15)의 절곡 부위로 인해 용접 공정을 위한 더 많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제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배터리 모듈 10: 배터리 셀
15: 전극 리드 30: 버스바 유닛
32: 유닛 본체 34: 리드 버스바
36: 리드 슬롯 38: 볼팅홈
50: 레이저 용접 장치 100: 레이저 용접 지그
120: 지그 본체 140: 용접 슬릿
160: 볼트 삽입부 165: 볼트 삽입홀
180: 리드 밀착 지그 185: 삽입 가이드홈
300: 가압 볼트 320: 볼트 헤드
340: 볼트 레그 360: 볼트 테이퍼
500: 용접 레이저

Claims (8)

  1.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상기 배터리 셀들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를 용접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 지그에 있어서,
    상기 용접 시 상기 버스바 유닛을 커버하는 지그 본체;
    상기 지그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을 위해 상기 전극 리드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드 버스바를 상기 지그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는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사이 사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부들; 및
    각각의 볼트 삽입부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 볼트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전극 리드들을 상기 리드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은,
    상기 지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그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의 삽입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는,
    상기 볼트 삽입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볼트 헤드;
    상기 볼트 헤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볼트 레그; 및
    상기 볼트 레그와 상기 볼트 헤드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 헤드로부터 상기 볼트 레그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볼트 테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드 밀착 블록들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볼트 레그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의 삽입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유닛에는,
    상기 지그 본체의 상기 버스바 유닛 커버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상기 복수 개의 용접 슬릿들 내에서 수행되는 레이저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지그.
  8. 레이저 용접 장치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레이저 용접 지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볼트; 및
    상기 용접을 위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용접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KR1020170116064A 2017-09-11 2017-09-11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KR102155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64A KR102155888B1 (ko) 2017-09-11 2017-09-11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US16/469,381 US11413712B2 (en) 2017-09-11 2018-08-09 Laser welding jig and laser welding device comprising same
ES18854421T ES2932019T3 (es) 2017-09-11 2018-08-09 Plantilla de soldadura láser y dispositivo de soldadura láser que comprende la misma
CN201880005019.1A CN110087825B (zh) 2017-09-11 2018-08-09 激光焊接夹具和包含该激光焊接夹具的激光焊接设备
HUE18854421A HUE060334T2 (hu) 2017-09-11 2018-08-09 Lézerhegesztõ sablon és azt tartalmazó lézerhegesztõ eszköz
PCT/KR2018/009111 WO2019050173A1 (ko) 2017-09-11 2018-08-09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EP18854421.7A EP3613535B1 (en) 2017-09-11 2018-08-09 Laser welding jig and laser welding device comprising same
PL18854421.7T PL3613535T3 (pl) 2017-09-11 2018-08-09 Przyrząd do spawania laserowego i urządzenie do spawania laserowego zawierające ten przyrząd
JP2019546361A JP6750127B2 (ja) 2017-09-11 2018-08-09 レーザー溶接ジグ及びそれを含むレーザー溶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64A KR102155888B1 (ko) 2017-09-11 2017-09-11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37A KR20190029037A (ko) 2019-03-20
KR102155888B1 true KR102155888B1 (ko) 2020-09-14

Family

ID=6563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064A KR102155888B1 (ko) 2017-09-11 2017-09-11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13712B2 (ko)
EP (1) EP3613535B1 (ko)
JP (1) JP6750127B2 (ko)
KR (1) KR102155888B1 (ko)
CN (1) CN110087825B (ko)
ES (1) ES2932019T3 (ko)
HU (1) HUE060334T2 (ko)
PL (1) PL3613535T3 (ko)
WO (1) WO2019050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76B1 (ko) * 2018-06-22 2021-07-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자동 가압 지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KR102313030B1 (ko) * 2018-06-29 2021-10-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자동 가압 지그 장치
KR20200110082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0061180A (zh) * 2019-04-19 2019-07-26 深圳市迪凯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焊接锁紧功能的电动车锂电池电极片
KR20210046406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용 지그
KR102506245B1 (ko) * 2019-11-14 2023-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전지 모듈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CN111106298B (zh) * 2019-12-09 2023-05-02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电芯模组、电芯总成及电芯模组的连接方法
CN113579612B (zh) * 2021-08-02 2023-08-18 深圳市奥利弗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上料的移动电源正负极群焊接机
WO2023163469A1 (ko) * 2022-02-22 2023-08-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리드 정렬 마스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399A (ja) 2010-04-28 2011-11-17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0410A (en) * 1963-05-20 1966-09-06 Briles Mfg Method of prestressed fastening of materials
US4702658A (en) * 1983-08-22 1987-10-27 Paul R. Briles Apparatus for reducing installation forces and costs in a tapered bolt installation
JP2600369B2 (ja) 1989-03-31 1997-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鉛蓄電池
JPH0521008A (ja) * 1991-07-08 1993-01-29 Toshiba Corp 陰極構体組立装置
US5634754A (en) * 1994-01-27 1997-06-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Quick-connect bolt
US5517059A (en) * 1994-04-26 1996-05-14 Delco Electronics Corp. Electron and laser beam welding apparatus
JP2004327310A (ja)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WO2008084883A2 (ja) 2007-01-12 2008-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電極構造およ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US9267533B2 (en) * 2007-12-18 2016-02-23 Rolls-Royce Corporation Locking fastener
US8257848B2 (en) 2009-01-12 2012-09-04 A123 Systems, Inc. Safety venting mechanism with tearing tooth structure for batteries
JP2010253500A (ja) * 2009-04-23 2010-11-1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レーザ溶接方法
KR101023184B1 (ko) 2010-11-01 2011-03-18 쓰리피시스템(주) 배터리 모듈의 용접 시스템 및 방법
CN103650209B (zh) 2012-01-03 2016-08-17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和应用于该电池组的连接条
KR20130116562A (ko) 2012-04-16 2013-10-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극단자의 레이저 용접장치
JP5954032B2 (ja) * 2012-08-03 2016-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ード配線溶接装置
JP6011876B2 (ja) 2013-09-13 2016-10-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CN105555988A (zh) * 2013-09-25 2016-05-04 中国电力株式会社 蠕变增强材料对耐热金属材料构件的扩散渗镀方法以及增强了蠕变强度的耐热金属材料构件
US9368882B2 (en) 2013-11-15 2016-06-1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device with a busbar assembly having a frame providing access for laser welding
US9698402B2 (en) 2014-03-13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welding a bus bar to battery cell terminals
KR101821378B1 (ko) 2014-03-31 201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와 버스바 사이의 결합력 및 공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50597B1 (ko) * 2014-04-30 2017-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장치
KR101750086B1 (ko) 2014-05-13 2017-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용 밀착지그
US9755212B2 (en) 2014-11-11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busbar carriers for pouch battery cells
KR101817237B1 (ko) 2014-12-24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GB2524638B (en) 2015-02-06 2016-04-06 Ceres Ip Co Ltd Electrolyte forming process
KR101866614B1 (ko) 2015-03-09 201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용 지그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방법
KR102101429B1 (ko) * 2016-05-18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드 용접 장치, 이러한 리드 용접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90787B1 (ko) * 2017-01-11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용 지그 어셈블리
KR102209769B1 (ko) 2017-06-07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399A (ja) 2010-04-28 2011-11-17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3535A1 (en) 2020-02-26
CN110087825A (zh) 2019-08-02
PL3613535T3 (pl) 2023-03-20
ES2932019T3 (es) 2023-01-09
US20190386283A1 (en) 2019-12-19
KR20190029037A (ko) 2019-03-20
WO2019050173A1 (ko) 2019-03-14
JP6750127B2 (ja) 2020-09-02
EP3613535A4 (en) 2020-07-08
HUE060334T2 (hu) 2023-02-28
EP3613535B1 (en) 2022-10-19
US11413712B2 (en) 2022-08-16
CN110087825B (zh) 2021-08-24
JP2020508222A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888B1 (ko)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JP7045591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2209769B1 (ko) 배터리 모듈
EP3340338B1 (en) Battery module
KR102172519B1 (ko)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289776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JP7047218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110832692A (zh) 包括传感组件和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US20220231382A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structur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shock
KR10201947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843032B2 (en) Battery module
US11552360B2 (en)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KR101957403B1 (ko) 셀 리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3939946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680110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CN117957711A (zh) 电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