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74B1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474B1
KR102151474B1 KR1020180112173A KR20180112173A KR102151474B1 KR 102151474 B1 KR102151474 B1 KR 102151474B1 KR 1020180112173 A KR1020180112173 A KR 1020180112173A KR 20180112173 A KR20180112173 A KR 20180112173A KR 102151474 B1 KR102151474 B1 KR 10215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terminal
image
fingerprin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923A (ko
Inventor
남운성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씨유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95922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514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유박스 filed Critical (주)씨유박스
Priority to KR102018011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접촉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비접촉 지문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을 변경하여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 위치에서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고, 촬영된 손가락 영상에서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접촉 지문 인증을 매끄럽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NON CONTRACT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SMART TERMINAL}
개시된 기술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지문을 인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정보를 인증수단으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짐에 따라 최근 지문이나 홍채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출입통제나 결제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문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그 이용방식이 간편하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별다른 거부감이 없어서 종래부터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인 지문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광학식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의 광처리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지문의 이미지를 필터링하거나 선명하게 가공하여 지문의 고유값인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인증에 이용하는 것인데, 손가락을 접촉할 때마다 손가락이 접촉되는 방향이나 각도에 따라 획득되는 지문의 이미지가 조금씩 달라져서 인증이 매끄럽게 수행되지 못하거나 손가락이 광처리부에 접촉될 때 표면에 손가락으로 인한 습기나 유분이 껴서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왔다.
한편, 최근에는 광학식 지문인증 방식의 단점을 탈피하고자 손가락을 접촉하지 않고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이른바 비접촉식 지문인증 방법이점차 증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96298(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지문의 특정점을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촬영시 손가락을 가이드라인에 맞추어야만 인증에 필요로 하는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촬영하는데 다소 제한이 있어서 사용자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개시된 기술은 손가락이 촬영되는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으로 비접촉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접촉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비접촉 지문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을 변경하여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 위치에서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고, 촬영된 손가락 영상에서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식 방법은 손가락이 촬영되는 방향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지문의 인증실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가락 촬영 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지문인증이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스마트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로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스마트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로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접촉 지문인식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110, 120, 130, 140)을 포함한다.
11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는 비접촉 지문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를 구동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카메라로 촬영된 손가락 영상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구비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는 비접촉 지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서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손가락 영상을 이용한다. 종래 스마트 단말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홈버튼과 같이 단말기 내부에 지문인식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특정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시켜서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지문의 특징을 인식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접촉식 지문 인증 기술은 손가락 표면에 유분이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고, 손가락이 접촉되는 방향에 따라 인식률에 오차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지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동된 카메라를 이용한다.
12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일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촬영할 때 손가락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스마트 단말기는 화면에 카메라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고 그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의 구동에 따른 화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 촬영에 따른 지문 인증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화면 중앙에 기준점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지문의 코어점이 되는 부분이 중앙에 촬영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 상에 십자가 형태 또는 점(Dot) 형태의 기준점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기준점에 지문이 형성된 손가락의 끝 부분이 위치하도록 직접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촬영하는데 따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의 출력값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으로 텍스트, 색상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가 적정 수준에 속하면 출력값을 파란색 라이트로 출력하고, 적정 위치가 아니라면 빨간색 라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정을 위한 텍스트나 그림을 출력값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2개의 종류를 함께 출력값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조절한다는 것은 지문이 형성된 손가락 끝 부분을 카메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카메라 화면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최적의 손가락 지문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최적의 위치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손가락 영상을 토대로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을 변경하여 손가락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손가락의 초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부합되면 손가락 영상을 촬영하고 기준값에 부합되지 않으면 출력값을 다시 변경하여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손가락의 초점이 기준값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녹색으로 출력하고, 손가락의 초점이 기준값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손가락의 초점이 상기 기준값에 부합하지 않으면 손가락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좀 더 앞으로’나 ‘좀 더 뒤로’와 같은 소정의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는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포인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대로 위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손가락 끝의 지문에 대한 곡률을 계산하여 지문의 코어점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일반적인 지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손가락 끝에 있는 지문은 그 시작점의 곡률값이 가장 높고 밖으로 펼쳐질수록 곡률값이 낮아지는데 이러한 곡률값을 알리즘을 이용해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곡률값을 파악하는 알고리즘은 종래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생략한다.
13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 위치에서 손가락을 촬영하고, 촬영된 손가락 영상에서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한다. 스마트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곡률 계산을 통해 지문의 코어점을 파악하고 화면 중앙에 표시된 기준점 안에 지문의 코어점이 포함되도록 유도하는데, 이 때 기준점 안에 코어점이 얼마나 포함되는지에 대한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지문인증이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지문의 코어점의 70% 이상이 화면 중앙의 기준점 안에 들어오면 스마트 단말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의 상태로 손가락을 촬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준점 안에 포함된 코어점의 비율이 70% 미만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점이 포인트에 좀더 들어올 수 있도록 움직임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을 변경하는 것으로 움직임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기준값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손가락의 영상을 촬영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영상에 포함된 손가락에서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여기에서 추출되는 지문의 특징점은 사용자 개인의 생체적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종래의 다른 지문인증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지문의 곡률, 분기점, 융기되는 형태 등을 파악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에 앞서 스마트 단말기는 비접촉 지문 인증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손가락 영상의 방향을 보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컨대, 바이오정보를 등록할 당시에 촬영한 손가락의 방향이 인증시에 촬영한 손가락의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여 지문의 특징값의 매칭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이하의 단계들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의 손가락 방향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손가락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손가락이 촬영된 이미지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손가락과 배경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미지에서 손가락 가장자리의 선을 인지하여 배경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의 적어도 하나의 마디선을 탐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컨대, 손가락의 윤곽선을 추출하면 윤곽선 내부에 즉 손가락 안쪽 면에는 촬영된 방법에 따라 적게는 하나에서 많게는 3개의 마디선이 존재하는데 스마트 단말기는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마디선을 더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는 앞서 추출한 윤곽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디선을 이용하여 바이오정보에 포함된 손가락의 이미지에 상기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는 손가락의 윤곽선과 마디선을 이용하여 기 등록된 바이오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손가락 이미지의 손가락 각도와 인증을 위해 촬영된 이미지의 손가락 각도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의 차이값 만큼 인증을 위해 촬영된 이미지의 방향을 회전시켜서 두 손가락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 단말기는 두 개의 손가락 이미지를 매칭시키는데 있어서도 소정의 매칭 기준을 활용하여 서로 완벽하게 매칭시키기 보다는 어느 정도 유사한 정도로 이미지를 매칭시킬 수 있다.
14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와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손가락 영상을 촬영하여 지문의 특징점을 획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전에 미리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별도로 입력되는 바이오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등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지문을 인증하는 과정과 동일한 단계에 따라 지문을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와 추출된 지문의 특징점을 비교한다. 앞서 두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손가락 영상의 방향을 보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스마트 단말기는 바이오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지문의 특징정보와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지문의 특징점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는 비접촉 방식으로 지문을 인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식 지문인증 방식보다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손가락을 촬영할 때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끄럽게 지문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미지 촬영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스마트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로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스마트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로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 단말기는 기종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인증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한 손으로 스마트 단말기의 몸체를 지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스마트 단말기의 전면부에서 소폭 떨어트린 상태로 엄지손가락의 지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지문인식의 성공률를 최대치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양 손을 모두 이용하여 손가락을 지문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왼손으로 단말기의 몸체를 지지하고 오른손의 지문과 손가락 안쪽의 마디선이 정확히 촬영되도록 자세를 취하는 것이 기 저장된 정보와의 일치율을 높이는 방법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한 손으로도 얼마든지 비접촉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검지손가락의 지문을 인증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스마트 단말기의 몸체를 지지하고 스마트 단말기의 후면에 검지손가락을 소폭 떨어트린 상태로 지문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해 화면의 버튼 영역을 탭할 필요 없이 기준점에 일정 이상 지문이 포함되면서 초점 또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카메라가 지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문이 촬영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하거나 인터페이스에 촬영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출력값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가 구동된 화면의 일측에 출력값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영역은 출력값의 형태에 따라 크기나 모양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디폴트 설정에 따라 화면의 특정 영역에 형성되는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우측 상단 영역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에 따라 좌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은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되는 주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것을 실시간에 가깝게 반영하기 위해서 다소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출력값을 연속으로 유지하되 상기 주기에 따라 점멸하거나 하이라이팅 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위치를 적정 위치로 이동하게 쉽게 보조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카메라 구동 120 : 손가락 위치 조정
130 : 지문 특징점 추출 140 : 특징점 비교

Claims (7)

  1.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접촉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비접촉 지문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을 변경하여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 위치에서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고, 촬영된 손가락 영상에서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징점을 추출하기 이전에 상기 손가락 영상에 포함된 손가락의 방향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의 방향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 영상에 포함된 손가락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마디선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윤곽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디선을 토대로 상기 바이오정보에 포함된 손가락의 이미지에 상기 손가락 영상을 매칭시키되 상기 손가락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손가락의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바이오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손가락의 각도와 상기 계산된 각도의 차이값 만큼 상기 손가락 영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손가락의 지문의 코어점이 상기 화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화면 중앙에 기준점을 출력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손가락의 초점이 상기 기준값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녹색으로 출력하고, 상기 손가락의 초점이 상기 기준값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색으로 출력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손가락의 초점이 상기 기준값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값으로 텍스트, 색상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2173A 2018-09-19 2018-09-1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KR10215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73A KR102151474B1 (ko) 2018-09-19 2018-09-1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73A KR102151474B1 (ko) 2018-09-19 2018-09-1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23A KR20200032923A (ko) 2020-03-27
KR102151474B1 true KR102151474B1 (ko) 2020-09-03

Family

ID=6995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173A KR102151474B1 (ko) 2018-09-19 2018-09-1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912B1 (ko) * 2021-03-08 2022-12-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생체인증을 이용한 스포츠이벤트의 참가 등록 및 인증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49553B1 (ko) * 2021-04-01 2023-06-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생체인증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멤버십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1202A1 (ko) * 2021-12-02 2023-06-08 (주)위닝아이 사용자의 이용이 편리한 비접촉식 지문인증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176B2 (ja) * 1989-12-08 2000-07-04 富士通株式会社 指紋画像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688B1 (ko) * 2004-07-0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정보를 이용한 보안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구비한휴대폰과 이에 대한 지문 등록 및 인증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176B2 (ja) * 1989-12-08 2000-07-04 富士通株式会社 指紋画像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23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2238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rming identity
JP4650386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JP7452571B2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4899551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70070680A1 (en)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151474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US11006864B2 (en) Face detection device, face detection system, and face detection method
US7760916B2 (en) Registration apparatus, colla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JP7269711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86031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of a user
JP2007257221A (ja) 顔認識システム
KR101626837B1 (ko) 손가락 마디 및 지정맥 기반의 융합형 생체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38449A (ja) 個人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44357A1 (ja) 生体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JP2009015518A (ja) 眼画像撮影装置及び認証装置
JP2011022927A (ja) 手画像認識装置
JP4320775B2 (ja) 顔認証装置
US10997446B2 (en) Enrollment scheme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8128785A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2009205203A (ja) 虹彩認証装置
US11188749B2 (en) Method for biometric recognition from irises
JP5791557B2 (ja) 連絡操作支援システム、連絡操作支援装置および連絡操作方法
KR20160045371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200053792A (ko) 바이오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536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7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609

Effective date: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