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11B1 - 조립식 스태킹 랙 - Google Patents

조립식 스태킹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11B1
KR102151311B1 KR1020180140628A KR20180140628A KR102151311B1 KR 102151311 B1 KR102151311 B1 KR 102151311B1 KR 1020180140628 A KR1020180140628 A KR 1020180140628A KR 20180140628 A KR20180140628 A KR 20180140628A KR 102151311 B1 KR102151311 B1 KR 10215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fixing
stacking rack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678A (ko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주)알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포터 filed Critical (주)알포터
Priority to KR102018014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스태킹 랙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태킹 랙은 측면을 관통하는 제1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와,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 사이에서 제1지지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대;와, 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삽입공이 제1통공 및 제2통공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 및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및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스태킹 랙{ASSEMBLY TYPE STACKING RACK}
본 발명은 조립식 스태킹 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품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하여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스태킹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창고에서 상자를 적재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대량의 물품을 보관하고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 개의 물품 및 상자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의 스태킹 랙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태킹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스태킹 랙은, 프레임(10), 고정파이프(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0)은 다수의 보강대(11)가 종횡으로 배열되며 보강대(11)의 양단이 용접고정되는 사각틀체이다.
고정파이프(20)는,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고정되어 프레임(10)의 하측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일정길이를 갖으며, 상하가 관통된다.
여기서, 고정파이프(20)가 상하 관통된 것은, 프레임(10)에 적재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고정파이프(20)의 내부에 봉을 삽입하여 고정파이프(20)의 높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태킹 랙은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지게차를 통해 운반되며, 상기 지게차를 통해 운반된 다수 개의 스태킹 랙은 창고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다단구조로 적층되는 형태를 이루어 보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스태킹 랙은 모두 동일한 규격과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하여 적층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되,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스태킹 랙은 고정파이프에 의해 사이간격이 유지되고 상부로 적층되는 스태킹 랙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태킹 랙의 적층시 상하로 배치되는 고정파이프 간의 결속력을 높이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파이프(20)의 하단에는 보울(bowl) 형태의 종발이(30)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스태킹 랙은 격자형의 철구조물 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각재가 상호 용접되고, 상기 지지대 역시 스태킹 랙의 각 모서리에 용접되는데, 용접을 위해서는 금속 자재의 최소 두께가 확보되어야만 하므로,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자재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으며, 여러 개의 부품을 각각 용접으로 고정하는 데에는 많은 공수가 요구되므로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각 부품을 스크루나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버나 리벳 건과 같은 별도의 체결공구를 이용해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각 체결요소마다 복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8205호 (2015.03.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부품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하여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스태킹 랙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제1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와,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 사이에서 제1지지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대;와, 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삽입공이 제1통공 및 제2통공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 및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및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의 플랜지와 제2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면은 상기 플랜지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되는 종발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스페이서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지지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연장편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은 제1지지대와 연장편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1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는 고정부재를 제1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재의 단부 외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지지되는 돌출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부품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하여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스태킹 랙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태킹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태킹 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은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상하로 적층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110)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110) 사이에서 제1지지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대(120) 와, 복수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및 연결부재(1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110)는 복수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다수의 제1통공(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30)와 마주하는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120)는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110) 사이영역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다수의 제2통공(1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30)와 마주하는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랜지(112,122)는, 연결부재(130)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대(110)는 플랜지(112)가 일측면에만 형성됨에 따라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대(120)는 플랜지(122)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대략 "I"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면에만 플랜지(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1지지대(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고정부재(140)가 축결합될 수 있는 삽입공(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부재로 이루어지며, 복수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사이영역에서 제1지지대(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삽입공(131)은 제1통공(111) 및 제2통공(121)과 연통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130)의 양단부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측면과 제2지지대(120)의 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한편, 복수의 연결부재(130) 중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30)에는 지지부재(150)가 축결합되며,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지지부재(150)의 축결합을 위해 다른 연결부재(130)와 구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50)가 축결합되는 연결부재(130)를 제1연결부재(130a), 상기 지지부재(150)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연결부재(130)를 제2연결부재(130b)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a)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단부와 제2지지대(12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사이영역 중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제1연결부재(130a)의 상기 제1지지대(110)를 향하는 단부에는 지지부재(150)의 삽입부(151)가 축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130a)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2지지대(120)의 플랜지(122)와 상기 지지부재(150)의 삽입부(151)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130b)는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사이영역에서 나란하게 다수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플랜지(112)와 제2지지대(120)의 플랜지(112,122)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a)와 제2연결부재(130b)에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132)의 외측면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플랜지(112) 및 제2지지대(120)의 플랜지(122)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받침대를 구성하는 상기 제1지지대(110), 제2지지대(120), 제1연결부재(130a) 및 제2연결부재(130b)의 상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에 적재되는 적재 물품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재(130a)와 제2연결부재(130b)의 단부가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의 측면에 각각 밀착되고, 제2연결부재(130b)의 스페이서(132)가 제1지지대(110)의 플랜지(112)와 제2지지대(120)의 플랜지(122)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외력이 분산 지지되므로, 받침대의 휨이나 비틀림과 같은 변형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제1통공(111)과 제2통공(121) 및 삽입공(13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및 연결부재(13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기 제1통공(111)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단부에는 고정부재(140)를 제1지지대(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41)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141)는 고정부재(140)의 단부 외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110)의 측면에 지지되는 돌출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41)는 프레스 등의 기구에 의해 고정부재(140)의 단부로부터 확관되어 돌출링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상기 연결부재(130)에 결합되는 삽입부(151)와, 상기 삽입부(151)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52)와, 상기 고정파이프(152)의 하단에 형성되는 종발이(15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51)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1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5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50)가 받침대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130)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151)의 일단부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플랜지(11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11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스페이서(132)에 밀착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151)의 상기 제1지지대(110)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연장편(15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편(154)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연장편(154)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지지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파이프(152)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151)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파이프(152)의 상단과 하단의 내주면에는 고정파이프(152)에 축결합되는 봉(P)을 지지하기 위한 링형 돌기(152a)가 형성된다.
상기 종발이(153)는 저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보울(bowl)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파이프(152)의 하단에 고정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스태킹 랙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스태킹 랙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지지대(110)는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제2지지대(120)는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110) 사이영역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30)는 양단부의 제1연결부재(130a)와, 제1연결부재(130a) 사이의 제2연결부재(130b)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재(130)가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130b)의 삽입공(131)은 제1지지대(110)에 형성된 제1통공(111)과 제2지지대(120)에 형성된 제2통공(121)과 연통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제1통공(111)과 제2통공(121) 및 제2연결부재(130b)의 삽입공(131)으로 고정부재(140)를 삽입하면, 고정부재(140)를 이용해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및 제2연결부재(130b)를 고정할 수 있다.
이어, 고정부재(140)의 양 단부를 각각 확관하여 고정부재(140)의 단부에 돌출링 형태의 고정부(141)를 형성하면 고정부재(140)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고정부재(140)에 의해 고정된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및 제2연결부재(130b)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품들을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재(130b)의 일단부는 제1지지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112)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110)의 측면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제2지지대(1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122)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대(120)의 측면에 밀착되며, 제2연결부재(130b)의 스페이서(132)는 제1지지대(110)의 플랜지(112)와 제2지지대(120)의 플랜지(122)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외력을 분산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받침대의 휨이나 비틀림과 같은 변형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대의 각 모서리에는 스태킹 랙을 적층하기 위한 지지부재(150)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150)는 제1연결부재(130a)를 통해 받침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재(13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0)의 삽입부(151)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부재(140)에 의해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와 상호 조립되어 위치고정된다. 제1연결부재(130a)가 고정부재(140)에 의해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에 고정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2연결부재(130b)의 고정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삽입부(151)의 관통홀(151a)이 제1연결부재(130a)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1지지부의 측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1연결부재(130a)의 스페이서(132)에 지지되므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지지부재(150)를 받침대에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받침대는 지지부재(150)에 의해 다단구조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삽입부(151)를 통해 제1연결부재(130a)에 고정된 지지부재(15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파이프(152)가 고정되고, 고정파이프(152)의 하단에는 종발이(153)가 마련된다.
따라서, 복수의 받침대를 적층하는 경우,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50)의 종발이(153)가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150)의 고정파이프(152)에 삽입된 봉(P)의 상단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종발이(153)는 저면에 오목한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받침대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쉽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파이프(152)의 상단과 하단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 돌기(152a)는 고정파이프(152)에 삽입되는 봉(P)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고정파이프(152)에 삽입된 봉(P)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P)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고정파이프(152)와 종발이(153)의 경계에는 고정파이프(152)에 축결합되는 봉(P)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으며, 스토퍼의 중앙에는 빗물 등의 배출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파이프(152)의 내부에 봉(P)을 삽입하여 고정파이프(152)의 높이를 확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봉(P)은 생략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품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하여 용접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용접을 위해 불필요하게 자재의 두께를 두껍게 제공하지 않아도 되며, 각 체결부위에 배치되는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자체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지지대, 111:제1통공, 112:플랜지,
120:제2지지대, 121:제2통공, 122:플랜지,
130:연결부재, 130a:제1연결부재, 130b:제2연결부재,
131:삽입공, 132:스페이서, 140:고정부재,
141:고정부, 150:지지부재, 151:삽입부,
151a:관통홀, 152:고정파이프, 152a:돌기,
153:종발이, 154:연장편, P:봉

Claims (10)

  1. 측면을 관통하는 제1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공이 다수 마련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 사이에서 제1지지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대;
    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삽입공이 제1통공 및 제2통공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 및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및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되는 종발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의 플랜지와 제2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면은 상기 플랜지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스페이서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지지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연장편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은 제1지지대와 연장편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1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는 고정부재를 제1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재의 단부 외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지지되는 돌출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태킹 랙.
KR1020180140628A 2018-11-15 2018-11-15 조립식 스태킹 랙 KR10215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28A KR102151311B1 (ko) 2018-11-15 2018-11-15 조립식 스태킹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28A KR102151311B1 (ko) 2018-11-15 2018-11-15 조립식 스태킹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78A KR20200056678A (ko) 2020-05-25
KR102151311B1 true KR102151311B1 (ko) 2020-09-02

Family

ID=7091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28A KR102151311B1 (ko) 2018-11-15 2018-11-15 조립식 스태킹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32Y1 (ko) 2020-07-29 2021-04-16 신경우 적재품 미끄럼방지 기능 및 견고성이 향상된 스태킹 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04Y1 (ko) 2001-09-04 2001-12-01 대농엔지니어링주식회사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KR100946785B1 (ko) 2009-09-17 2010-03-11 (유)삼화냉동테크 적재 팔레트의 종발이 구조
KR100987566B1 (ko) * 2008-05-02 2010-10-12 임용석 조립식 파레트
KR200459256Y1 (ko) * 2010-01-18 2012-03-23 곽승민 파렛트 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870A (ko) * 2006-05-30 2007-12-05 이정호 화물 적재용 파렛트
KR101498205B1 (ko) 2014-05-14 2015-03-05 주식회사 진우중공업 냉동물품 적재용 파레트
KR101761056B1 (ko) * 2015-03-12 2017-07-25 이명재 사다리난간의 연장이 가능한 조립식 틀비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04Y1 (ko) 2001-09-04 2001-12-01 대농엔지니어링주식회사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KR100987566B1 (ko) * 2008-05-02 2010-10-12 임용석 조립식 파레트
KR100946785B1 (ko) 2009-09-17 2010-03-11 (유)삼화냉동테크 적재 팔레트의 종발이 구조
KR200459256Y1 (ko) * 2010-01-18 2012-03-23 곽승민 파렛트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78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115B2 (en) Pallet assembly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JP6474668B2 (ja) ホイール運搬ユニット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200464093Y1 (ko) 조립식 테이블
KR101890411B1 (ko) 팔레트랙용 타이빔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JP4012555B2 (ja) 積み重ね可能な棚構造
KR20090054025A (ko) 적재대
JP7442188B2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US3160120A (en) Stackable pallet of pressed sheet material
JP2019104537A (ja) パレット
JP455725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473095B2 (ja) 金属製棚及び金属製ワゴン
JP6803418B2 (ja) 氷室タイプ輸送用容器
KR102218708B1 (ko) 팔레트
JP2563753B2 (ja) 運搬容器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102608135B1 (ko)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200490064Y1 (ko)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JP7355383B2 (ja) パレット
JP7382051B2 (ja) パレット
KR102480926B1 (ko) 팔레트용 캡
JP6988410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20100003721U (ko) 스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