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800B1 -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 Google Patents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800B1
KR102150800B1 KR1020190080784A KR20190080784A KR102150800B1 KR 102150800 B1 KR102150800 B1 KR 102150800B1 KR 1020190080784 A KR1020190080784 A KR 1020190080784A KR 20190080784 A KR20190080784 A KR 20190080784A KR 102150800 B1 KR102150800 B1 KR 10215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ntent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4920A (en
Inventor
한민규
Original Assignee
한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규 filed Critical 한민규
Priority to KR102019008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800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표시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display method includes: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position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system.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상기 컨텐츠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A content display method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performing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he user terminal Relates to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system.

종래에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주로,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형태, 복수의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달하는 형태 등이 제안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Mainly, a form of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form of transmitting content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1570호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및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위치 정보를 왑 게이트웨이에 제공하고, B)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음에 따라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가 왑 게이트웨이에 기록되는 단계와; C) 왑 게이트웨이에 기록된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소정 기간 동안 누적 기록하는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D) 단계 C)의 학습 수행 결과를 기초로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고,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추출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추천 리스트에 첨부하는 단계를 제안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6-0081570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nt using wireless Internet. When a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are transferred to a swap gateway. And B) record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ubscrib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wap gateway as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C) extracting subscriber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wap gateway, and performing learning of accumulating and recor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D) It is proposed a step of creating a recommendation list based on the learning performance result of step C) and attaching the list of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recommendation lis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2995호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무선 메쉬(Wireless Mesh) 네트워크의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방식을 통해, 인접 위치한 복수의 타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각각 병렬적으로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2995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ata download method thereof, for example, through a peer-to-peer method of a wireless mesh network, It is proposed that content data download can be performed quickly by downloading a part of content data requested from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allel, respectively.

그러나, 최근에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스 등이 무선 네트워크 활용이 증가하면서, 이를 활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he use of wireless networks of base stations, wireless access points, and Bluetooth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re is a demand for a form of providing contents by utilizing them.

본 발명은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장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base station, a wireless access point, and Bluetooth, and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커버리지 영역 내에 속하지 않지만, 사용자 단말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제공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belong to the coverage area, bu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a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who has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to provide content. By doing so, it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roviding cont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ent display unit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부; 및 상기 검색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content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search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표시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컨텐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cludes: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ent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arching for content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search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가 컨텐츠의 배포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has been provided wit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serve as a content distribution intermediary, and distribute the content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제공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an be provided not only to a user terminal within a coverage are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ut also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another user who is connected to a social network outside the coverage area. Can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by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splay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another user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by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장치(101, 102), 사용자 단말(103)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101 and 102, a user terminal 103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are illustrated.

사용자 단말(103)을 소유한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101)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2)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1, 102)는 기지국, 중계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블루투스 수신기, RFID 리더, DMB 송신기 등 원거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01, 102)는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장치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 스마트패드 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A user who owns the user terminal 103 may be loca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or 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2.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include devices used in a long-distance or short-range wireless network, such as a base station, a repeater, a wireless access point (AP), a Bluetooth receiver, an RFID reader, and a DMB transmitt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be included as long as they are devices used in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3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or a smart pad.

사용자 단말(103)을 소유한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101) 및 무선 통신 장치(102)의 공통된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통신 장치(101)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2)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1)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A user who owns the user terminal 103 may be located in a common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2.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3 may sel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2.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is selected.

그러면, 무선 통신 장치(101)는 자신의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통신 장치(101)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에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103)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01)의 장치 식별 정보(ID 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01)의 장치 식별 정보(ID 1)은 비컨(beacon)의 의미와 유사하다.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may transmit its ow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user terminal 103. The user terminal 103 may transmi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3 may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That i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is similar to the meaning of a beacon.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인 경우, 장치 식별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WEP 키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가 기지국이나 중계기인 경우, 장치 식별 정보는 커버리지와 관련된 CID(CELL ID)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는 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Her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a wireless access poin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a WEP key.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CID (CELL ID) related to coverage. Als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MAC address.

만약, 사용자 단말(103)이 무선 통신 장치(101)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로부터 ID 1에 대응하는 컨텐츠 C11, C12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의 형태는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형태로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는 무선 통신 장치(101, 102)에 등록된 컨텐츠 제공자가 랜덤하게 배포하기 위한 목적이거나 광고주의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103 receiv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the user terminal 103 receives the contents C11 and C12 corresponding to the ID 1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Can receive. The form of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ext, audio, or video, and preferably, the content is for the purpose of random distribution by a content provider registe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101 and 102 or for the purpose of exposing advertisements of advertisers. Can be utilized.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3)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 간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언급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providing content between the user terminal 103 an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실시예 1><Example 1>

사용자 단말(103)은 주변에 위치한 무선 통신 장치(101)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1)는 WIFI(wireless lan)를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103 may det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located nearb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provides a wireless lan (WIFI).

그러면,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통신 장치(101)의 SSID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은 사용자 단말(103)이 전송한 SSID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3)에 전송할 수 있다. Then, the user terminal 103 may transmit the SSI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may search f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SSID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3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3.

여기서, SSID와 관련한 컨텐츠는 무선 통신 장치(101)가 설치된 매장과 관련된 마켓팅 정보(홍보 정보, 쿠폰, 메뉴, 이벤트 등)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SSID와 관련된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03)에 설치된 메신저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메시지 형태로 발송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3)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3)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로부터 수신한 메신저 메시지를 열어서 무선 통신 장치(101)가 설치된 매장과 관련된 마켓팅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Here, as the content related to the SSID, marketing information (promotion information, coupons, menus, events, etc.) related to the stor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is installed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3. In this case, the content related to the SSID may be sent in the form of a messenger message that can be received by a messeng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3. T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3 can open the messenger messag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by the user terminal 103 to view marke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or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is installed.

<실시예 2><Example 2>

사용자 단말(103)은 주변에 위치한 무선 통신 장치(101)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1)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3)은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101)의 장치 이름(Device name)을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에 송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3 may det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located nearby.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may provide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n, the user terminal 103 may transmit a device nam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provid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는 장치 이름과 관련된 컨텐츠(비디오, 오디오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한 후, 해당 컨텐츠의 링크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사용자 단말(103)이 컨텐츠의 링크에 연결하여 컨텐츠를 요청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은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3)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may search for content (video, audio type multimedia content) related to the device name, and then transmit a link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3.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03 connects to a link of the content and requests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may transmit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file or in a streaming form. After that,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3.

<실시예 3><Example 3>

사용자 단말(103)은 주변에 위치한 무선 통신 장치(101)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1)는 WIFI(wireless lan)를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103 may det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located nearb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provides a wireless lan (WIFI).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통신 장치(101)의 SSID와 사용자 단말(103)의 식별 번호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번호는 사용자 단말(103)의 폰 번호일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은 수신한 SSID를 이용하여 SSID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 후,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은 메시지 서비스(SMS, MMS)를 통해 검색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링크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메시지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3)은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링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4)에 저장된 컨텐츠를 요청하여, 컨텐츠를 파일 형태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3 may transmit the SSI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3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3. The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may search for content related to the SSID using the received SSID. 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may transmit the searched content or a link of the content through a message service (SMS, MMS). The user terminal 103 may receive a message and view the content.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3 may request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4 through a link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message, and receive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file or stream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1)은 식별 정보 수신부(203) 및 컨텐츠 표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202)은 컨텐츠 관리부(205), 컨텐츠 검색부(206) 및 컨텐츠 제공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201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and a content display unit 204.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202 may include a content management unit 205, a content search unit 206,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207.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사용자 단말(201)이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may receiv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user terminal 201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일례로,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사용자 단말(201)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무선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201)과의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한 감도 이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y the user terminal 201.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may receiv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dicating a sensitivity or higher set in advanc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201. .

그리고,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이웃 단말에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이웃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아도,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202)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may transmi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the neighboring terminal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202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ven if the neighboring terminal is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사용자 단말(201)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서로 블로그, 커뮤니티, 마이크로블로그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인맥 관계에 있는 경우, 식별 정보 수신부(203)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 관계로 확대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may transmi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201 and a second user who has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have a personal relationship on a social network such as a blog, a community, or a microblo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3 identifies the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neighboring terminal of the second user. Can convey information. That i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expanded to a personal relationship on a social network, so that content may be provided to other users who have a personal relationship on the social network.

컨텐츠 표시부(204)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2)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표시부(204)는 사용자 단말(201)이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unit 204 may receive and display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202. 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 unit 204 may control the display of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 coverage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1 is located.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1)이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무선 통신 장치에 근접한 장소에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terminal 201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may be located in a place clos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at the boundary of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그러면, 사용자 단말(201)의 위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컨텐츠 표시부(204)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컨텐츠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의 위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가 멀수록 컨텐츠 표시부(204)는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랜덤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n,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1 and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e closer, the content display unit 204 may preferentially display content direct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1 and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e farther away, the content display unit 204 may randomly display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컨텐츠 관리부(20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부(20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와 컨텐츠를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5 may store and manage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5 may stor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컨텐츠 검색부(206)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1)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tent search unit 206 may search for content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1.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1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이 때, 컨텐츠 검색부(206)는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1)이 전달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웃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search unit 206 may search for content by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1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또는, 컨텐츠 검색부(206)는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1)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ent search unit 206 receiv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201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user who is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To search for content.

컨텐츠 제공부(207)는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1)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r 207 may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user terminal 201.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1 may control the display of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splay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302)은 무선 통신 장치(30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301)는 사용자 단말(302)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 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장치를 의미한다.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302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1.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1 refers to a device having a signal sensitivity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302.

그러면, 사용자 단말(302)은 무선 통신 장치(301)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2)은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303)에 전달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303)은 장치 식별 정보(ID 1)에 대응하는 컨텐츠 1, 컨텐츠 2, 및 컨텐츠 3을 사용자 단말(302)에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302 may receiv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1.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2 may transmi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3.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303 may provide content 1, content 2, and content 3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user terminal 302.

사용자 단말(302)은 장치 식별 정보(ID 1)에 대응하는 컨텐츠 1, 컨텐츠 2 및 컨텐츠 3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1, 컨텐츠 2 및 컨텐츠 3의 순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이 무선 통신 장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면, 사용자 단말(302)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컨텐츠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2)이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러지 영역 내에 있으면서도 무선 통신 장치와 원거리에 위치한다면, 사용자 단말(302)은 장치 식별 정보(ID 1)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랜덤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2 may display content 1, content 2, and content 3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on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order of content 1, content 2, and content 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302 is located in a location clos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terminal 302 may preferentially display content directly rela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f the user terminal 302 is located in a remote area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le being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terminal 302 may randomly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another user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402)은 무선 통신 장치(40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장치(401)는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사용자 단말(402)에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402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01.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01 may transmi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user terminal 402.

이 때, 사용자 단말(402)은 장치 식별 정보(ID 1)를 무선 통신 장치(401)의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이웃 단말(403)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2)은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사용자 단말(402)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403)에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2 may transmi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neighboring terminal 403 outside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01.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402 may transmi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to the neighboring terminal 403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402 and the second user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그러면, 이웃 단말(403)은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식별 정보(ID 1)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404)에 전달하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404)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ID 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n, the neighboring terminal 403 transmi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2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404, and responds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1)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404 At least one of the content may be recei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501)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한 신호 감도 이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step 501, i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y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dicating a signal sensitivity abnormality set in advance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이웃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with the user terminal.

단계(50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step 502,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nd display at least one piece of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verage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601)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step 60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store and manage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단계(602)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step 602,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search for content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그리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전달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웃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search for content by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Alternativel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search for content by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user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have.

단계(603)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검색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603,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the search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control the display of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101: 무선 통신 장치
102: 무선 통신 장치
103: 사용자 단말
104: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1: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2: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user terminal
104: content providing system

Claims (12)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이웃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ing the receiv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Receiv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deliver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not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y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한 신호 감도 이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xhibiting a signal sensitivity abnormality set in advance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ing the receiv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Receiv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transmitt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neighboring terminal of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who is in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with the first user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ing step,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 coverage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전달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웃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user terminal;
Searching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earch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searching for content by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terminal,
Content providing method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삭제delete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제1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이웃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user terminal;
Searching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earch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neighboring terminal of a first user of a user terminal located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user who has a social network relationship to search for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Storing and managing content corresponding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terminal,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190080784A 2019-07-04 2019-07-04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KR102150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84A KR102150800B1 (en) 2019-07-04 2019-07-04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84A KR102150800B1 (en) 2019-07-04 2019-07-04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888A Division KR101998818B1 (en) 2011-11-03 2011-11-03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920A KR20190084920A (en) 2019-07-17
KR102150800B1 true KR102150800B1 (en) 2020-09-01

Family

ID=6751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84A KR102150800B1 (en) 2019-07-04 2019-07-04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8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56B1 (en) 2020-10-26 2021-04-21 이정음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specific event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867A (en)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for providing preselected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location and advertisement ser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56B1 (en) 2020-10-26 2021-04-21 이정음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specific event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920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818B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CN103547333B (en) A kind of advertisement sending method, equipment and system
US8331861B2 (en) Content distribution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and devices
US7474874B2 (en) Local browsing
US20130058321A1 (en) Communication device,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program
CN102932958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time data sharing
TWI441535B (en) Method for using geographic signal fingerprint cluster to implement end-to-end message push
CN103415084A (en) Mobile terminal internet surf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20106292A (en) Wireless terminal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ccess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using quality information of access point by location
CN104754618B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98945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an appropriate wireless connection service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US11224040B2 (en) Clientless method for context driven wireless interactions
CN101674330A (en) Servic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2150800B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sysyem of content providing
KR1016210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zone
KR200901320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using social distance
KR2012007195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KR101361831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service using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for
KR20160089988A (en) A method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mobile handsets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101294772B1 (en) Method of performing service group owner transfer procedur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570934B1 (en) Advertisement Transmission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to which Terminal is Connected
WO2013182153A1 (e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ring false channel in built-in radio of mobile terminal
KR1018543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rvice profile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EP2904825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57879A (en) System for transmitting customer-fit web p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corporation server comprised in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