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42B1 -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42B1
KR102149042B1 KR1020180088307A KR20180088307A KR102149042B1 KR 102149042 B1 KR102149042 B1 KR 102149042B1 KR 1020180088307 A KR1020180088307 A KR 1020180088307A KR 20180088307 A KR20180088307 A KR 20180088307A KR 102149042 B1 KR102149042 B1 KR 10214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wallet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means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00A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퍼
Priority to KR102018008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는, 하드웨어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제1지갑에 대한 개인키(private key)를 저장하는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 및 이동단말기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를 복호화하는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1지갑과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갑과 구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DEVICE FOR CERTIFICATING THE TRANSACTION OF CRYPTOCURRENCY AND CRYPTOCURRENCY WALLET APPLICATION}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암호화폐 거래 시에 사용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는 실물화폐와 달리 직접 화폐를 지갑 내부에 저장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기록을 분산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은 직접 화폐를 저장하는 대신 거래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키를 저장한다. 즉, 본인의 암호화폐 지갑의 개인키로 본인 지갑과 관련된 거래 내용만 별도로 뽑아내면 보유한 암호화폐의 양을 파악할 수 있고, 보유한 암호화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거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자는 보유한 암호화폐량 확인 및 거래 진행을 위해 필요한 개인키를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가 있다.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암호화폐 지갑은 개인키를 내부에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암호화폐의 개인키를 저장하는 방식은 이동단말기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내 또는 이동단말기 내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월렛, 거래를 수행하는 컴퓨팅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저장공간(예를 들어, USB 내 저장공간) 내에 저장하는 하드웨어 월렛(또는 콜드 월렛)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 월렛은 이동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어서 간편하나 보안성이 낮고, 하드웨어 월렛은 인터넷망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보안성이 높지만 컴퓨팅장치로 거래 시에 항상 연결하여야 하여 불편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8444호, 2016.01.22
본 발명은 여러가지 개인키 저장 방식이 적용되어, 복수의 암호화폐 지갑을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성이 낮은 소프트웨어 월렛에 포함된 암호화폐를 보안성이 높은 하드웨어 월렛으로 보안 위험이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 빠르게 암호화폐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는, 하드웨어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제1지갑에 대한 개인키(private key)를 저장하는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 및 이동단말기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를 복호화하는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1지갑과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갑과 구별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카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카드의 제2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 상기 코드를 전송하는 NFC안테나; 및 상기 코드를 저장하며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IC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카드의 제1영역에 컴퓨터에 연결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이동단말기와 근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코드를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유형을 선택하는 조작버튼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조작버튼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근접 시에 상기 제2지갑에서 수행되는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2지갑에 포함된 전체 암호화폐를 상기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암호화폐 보관용 또는 거래용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지갑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모드에서 전체 암호화폐가 이체되는 제1지갑의 공개키가 등록된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 데이터, 전체 암호화폐 지정요청 데이터 및 이체 요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모드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모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지갑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모드에서 이체되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생성되는 코드는, OTP(One-Time Password) 함수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제2지갑은,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동일한 OTP함수를 포함하여,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USB 저장장치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USB 저장장치 내부의 저장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USB 저장장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암호화폐 지갑, 예를 들어 하드웨어 월렛(즉, 제1지갑)과 소프트웨어 월렛(즉, 제2월렛)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이동단말기 내 소프트웨어 지갑(즉, 제2 월렛)으로 거래 시에 소프트웨어 지갑 내 개인키 기반의 거래 승인 또는 개인키 복호화를 수행하고,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즉, 제1월렛)는 내부에 포함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제2 월렛(즉, 소프트웨어 월렛)에 보안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월렛에 대한 암호화폐 전부를 빠르게 보안성이 높은 제1 월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포함된 하나의 장치를 카드 형태 또는 USB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사용자는 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장치의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형태로 제작된 암호화폐 거래 인증장치의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 대한 조작버튼을 더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장치의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를 이용한 거래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암호화폐'는 분산 네트워크형 가상 화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암호화폐 지갑'은, 암호화폐 거래 시에 인증을 위한 데이터(즉, 개인키(Private Key))를 저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지갑'은 인터넷 거래소에 가입하거나 본인의 컴퓨터에 가상 화폐 프로그램을 설치함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지갑'은 인터넷망과 분리된 하드웨어 저장공간으로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개인키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지갑'은 제1 월렛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지갑'은 특정한 이동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암호화폐 보관용 또는 거래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개인키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지갑'은 제2 월렛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키(Private Key)'는 암호화폐 지갑 생성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에 매칭되어 해당 암호화폐 지갑을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키(Key) 데이터를 의미한다. '개인키'는 인터넷망과 분리된 하드웨어 형태의 저장공간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 내부에 저장되거나, 각 사용자의 암호화폐 지갑과 연결된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정한 서버 내에 저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키(Public Key)'는 특정한 암호화폐 지갑의 개인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로서, 외부에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개키'는 특정한 암호화폐 지갑에 부여되는 난수 형태의 고유 코드이다. 예를 들어, A사용자가 B사용자의 암호화폐 지갑으로 암호화폐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A사용자는 B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 지갑의 공개키를 입력하고, A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암호화폐는 B사용자의 공개키가 블록체인 내에 기록됨에 따라 B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 지갑에 대응하는 개인키로만 인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형태로 제작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예시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 및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2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은 하드웨어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제1지갑에 대한 개인키(private key)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은 특정한 개인키(즉, 제1개인키)를 저장하는 제1지갑에 해당한다.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20)은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로 상기 제2지갑(즉, 이동단말기 내에 설치 또는 내장된 소프트웨어 월렛)에 대한 개인키(즉, 제2개인키)로 거래를 승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20)은 이동단말기 내 제2월렛에 포함된 개인키를 복호화하는 코드를 제공하거나 제2월렛 내 개인키에 대한 사용을 허가하는 코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생성되어 제2월렛(즉, 이동단말기)로 제공되는 코드는, OTP(One-Time Password) 함수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제2지갑은,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동일한 OTP함수를 포함하여,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로부터 수신된 코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로 거래를 진행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1지갑과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갑과 구별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여러 개의 암호화폐 지갑을 보유할 수 있고, 보유한 암호화폐를 복수의 지갑에 나누어서 연결하여 둘 수 있다. 따라서, 제1지갑과 제2지갑은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과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20)이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를 보유한 사용자의 것으로서, 구별되는 암호화폐와 연결된 것이다. 제1지갑과 제2지갑은 다른 종류의 암호화폐 종류와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암호화폐 종류 내에서 나누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지갑과 제2지갑의 사용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도 2에서와 같이, 카드 형태로 제작된다. 이 때,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은 상기 카드의 제1영역에 컴퓨터에 연결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카드형태로 구현되고,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10)은 일측에 접을 수 있는 형태로 USB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갑에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를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물리적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1영역에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구비되고 제2영역에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가 카드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카드 긴 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나눌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카드의 제2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 상기 코드를 전송하는 NFC안테나(22); 및 상기 코드를 저장하며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IC칩(21)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2 지갑을 사용하여 암호화폐를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제2영역을 이동단말기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고,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이동단말기와 NFC안테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을 획득하여 구동된다. 그 후,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IC칩(21) 내부에 포함된 코드(예를 들어, IC칩(21) 내부에 포함된 OTP함수에 의해 생성된 OTP코드)를 NFC 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이동단말기와 근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코드를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동단말기 내에 포함된 제2지갑은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코드를 기반으로 암호화폐 거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제1영역에는 접이식 USB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에 해당하는 제1 지갑을 이용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제1영역에서 USB 단자를 노출시켜서 컴퓨팅장치(예를 들어, PC 등의 이동단말기)에 연결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유형을 선택하는 조작버튼(23)을 더 포함한다. 조작버튼(23)은 각각 신호유형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개별버튼(예를 들어, 푸쉬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조작키의 이동에 따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버튼(23)은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의 표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되어 있을 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조작버튼(23)은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 대응되는 제2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조작버튼(23)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근접 시에 상기 제2지갑에서 수행되는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2지갑에 포함된 전체 암호화폐를 상기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암호화폐 보관용 또는 거래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제2지갑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지만 암호화폐 거래에 이용되는 공개키가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됨에 따라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제2지갑이 공개키를 저장하지 않고 공개키가 저장된 외부서버와 연결되는 경우, 해킹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지갑에 해킹 우려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빠르게 안전한 암호화폐 지갑(즉, 인터넷망과 분리된 저장공간에 개인키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지갑)으로 암호화폐를 빠르게 옮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인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버튼(23)을 제1모드로 설정한 후에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20)가 구비된 제2영역을 이동단말기에 근접시킴에 따라 이동단말기 내의 제2지갑에서 수행하고자 입력한 거래가 진행될 수 있다. 보안 위험이 발생하여 제2지갑의 암호화폐를 전부 제1지갑으로 옮겨야 하거나, 주기적으로 제2지갑의 암호화폐를 제1지갑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버튼(23)을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변경함에 따라 간편하게 제2지갑의 암호화폐 전부를 제1지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지갑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모드에서 전체 암호화폐가 이체되는 제1지갑의 공개키가 등록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제2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이체되는 제1지갑을 설정하는 과정을 제2지갑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지갑의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제2지갑에 입력하여, 제2모드에서 암호화폐가 전달되는 암호화폐 지갑으로 설정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 데이터, 전체 암호화폐 지정요청 데이터 및 이체 요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모드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제2지갑 내에 제2모드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암호화폐 지갑의 공개키를 저장하는 대신,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IC칩(21) 내에 제1지갑의 공개키를 저장하고, 이동단말기(즉, 제2지갑)로 제1지갑의 공개키 데이터와 제2지갑 내의 전체 암호화폐의 이체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모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 거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내 제2지갑이 해킹됨에 따라 전체 암호화폐가 이체되어야 하는 제1지갑이 변경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지갑으로 제2지갑 내 전체 암호화폐를 이동시키기 위해 암호화폐 거래량, 제1지갑의 공개키 등을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갑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모드에서 이체되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가 설정된다. 즉,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의 IC칩(21) 내에 제1지갑의 공개키가 저장되어야 하므로,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예를 들어, NFC통신)을 통해 연결된후 이동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1지갑의 공개키를 수신하여 IC칩(21)에 저장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USB 저장장치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USB 저장장치 내부의 저장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USB 저장장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NFC안테나(22)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IC칩(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USB와 같이 소지하고 다닐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를 이용한 거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를 이용한 거래방법은,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 내의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S100);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제2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의 암호화폐 전체를 설정된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 내의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무선통신으로 연결한다(S100).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는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고,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예를 들어, NFC 통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구동된다. 이를 통해,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의 IC칩(21)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제2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200).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근접 시에 상기 제2지갑에서 수행되는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2지갑에 포함된 전체 암호화폐를 상기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에서 조작버튼(23)을 제2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은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으로부터 무선통신(예를 들어, NFC통신)을 통해 제2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즉, 기 설명된 제2모드에 해당하는 신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지갑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의 암호화폐 전체를 설정된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한다(S300). 상기 제1지갑은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 내에 포함된 하드웨어 월렛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안 위험 상황 등에 제2지갑의 암호화폐 전체를 간편하고 빠르게 제1지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1)를 이용한 거래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암호화폐 지갑, 예를 들어 하드웨어 월렛(즉, 제1지갑)과 소프트웨어 월렛(즉, 제2월렛)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이동단말기 내 소프트웨어 지갑(즉, 제2 월렛)으로 거래 시에 소프트웨어 지갑 내 개인키 기반의 거래 승인 또는 개인키 복호화를 수행하고,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즉, 제1월렛)는 내부에 포함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제2 월렛(즉, 소프트웨어 월렛)에 보안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월렛에 대한 암호화폐 전부를 빠르게 보안성이 높은 제1 월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이 포함된 하나의 장치를 카드 형태 또는 USB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사용자는 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하드웨어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제1지갑에 대한 개인키(private key)를 저장하는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
    이동단말기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를 복호화하는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 및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유형을 선택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1지갑과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갑과 구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암호화폐 보관용 또는 거래용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조작버튼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근접 시에 상기 제2지갑에서 수행되는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2지갑에 포함된 전체 암호화폐를 상기 제1지갑으로 이체 요청하는 것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카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카드의 제2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 상기 코드를 전송하는 NFC안테나; 및
    상기 코드를 저장하며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IC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카드의 제1영역에 컴퓨터에 연결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것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이동단말기와 근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코드를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갑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모드에서 전체 암호화폐가 이체되는 제1지갑의 공개키가 등록된 것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 데이터, 전체 암호화폐 지정요청 데이터 및 이체 요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모드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지갑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모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갑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모드에서 이체되는 상기 제1지갑의 공개키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에서 생성되는 코드는,
    OTP(One-Time Password) 함수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제2지갑은,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과 동일한 OTP함수를 포함하여,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 내에 저장된 제2지갑에 대한 개인키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USB 저장장치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USB 저장장치 내부의 저장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호화폐 인증수단은 상기 USB 저장장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인,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KR1020180088307A 2018-07-30 2018-07-30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KR10214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07A KR102149042B1 (ko) 2018-07-30 2018-07-30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07A KR102149042B1 (ko) 2018-07-30 2018-07-30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00A KR20200013300A (ko) 2020-02-07
KR102149042B1 true KR102149042B1 (ko) 2020-08-28

Family

ID=6957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07A KR102149042B1 (ko) 2018-07-30 2018-07-30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504B1 (ko) * 2020-03-16 2022-03-31 주식회사 블로코 북마클릿을 이용한 전자 지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669021B (zh) * 2020-12-31 2024-05-24 北京握奇数据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数字货币硬件钱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71B1 (ko) 2014-07-14 2016-02-29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스마트멀티카드
KR20160024185A (ko) * 2014-08-25 2016-03-04 아이보 (주) SE(Secure element)를 이용한 암호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2943B1 (ko) * 2016-10-06 2018-04-30 디노플러스 (주) 모바일카드를 이용한 실시간 환전서비스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판교테크노밸리 브릴리언츠, MWC2018에서 암호화폐지갑 ‘퓨즈더블유’ 공개‘, 아리랑저널(2018.03.14. 게재)*
‘하드웨어지갑(콜드월렛) 키월렛터치를 출시하였습니다.’, 티스토리(2018.06.27. 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00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026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secure element and electronic system adopting the same
EP30503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fc access control in a secure element centric nfc architecture
US9613377B2 (en) Account provisioning authentication
JP6556145B2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安全性を確保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60217461A1 (en) Transaction utilizing anonymized user data
US20120159612A1 (en) System for Storing One or More Passwords in a Secure Element
US201603356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with mobile devices
US10425821B2 (en) Mobile data storage device with access control functionality
KR102071438B1 (ko) 이동 단말의 결제 인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동 단말
Alattar et al. Host-based card emulation: Development, security, and ecosystem impact analysis
KR101542111B1 (ko) 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WO2017076270A1 (zh) 一种具有动态令牌otp功能的智能卡及其工作方法
KR102149042B1 (ko)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US114496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20071945A (ko) Usim 공인인증서를 유선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1455A (ko) 구매 트랜잭션을 인증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5065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방법
KR102010764B1 (ko) 스마트폰 인증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854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9872148A (zh) 基于tui的可信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20200013494A (ko)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TWI733590B (zh) 採用主動式nfc標籤與代碼化技術之身分識別系統及其方法
TWM627544U (zh) 冷錢包裝置
CN112232467A (zh) 账户切换方法和多频物联卡
KR101415698B1 (ko) 공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