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014B1 -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014B1
KR102148014B1 KR1020190170782A KR20190170782A KR102148014B1 KR 102148014 B1 KR102148014 B1 KR 102148014B1 KR 1020190170782 A KR1020190170782 A KR 1020190170782A KR 20190170782 A KR20190170782 A KR 20190170782A KR 102148014 B1 KR102148014 B1 KR 10214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harcoal
smoke
grill
roun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래
Original Assignee
조봉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래 filed Critical 조봉래
Priority to KR102019017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가 개시된다.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는, 테이블에 거치되며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물받이부와, 물받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삽입부와 연통된 삽입홀이 형성되며 물받이부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기 이격 공간과 연통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링부와, 라운드 링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이 석쇠부와, 라운드 링부의 배출부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연기가 흡입 배출되는 후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CHARCOAL GRILL WITH HOOD FOR BLOCKING SMOKE LEAKAGE}
본 발명은 숯불 구이 과정에서 연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조리물에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일반인들이 대중식당에서 손수 돼지고기의 삼겹살이나 쇠고기의 등심 등을 구워먹는 식문화(食文化)가 발달하였기 때문에, 돼지고기의 삼겹살이나 쇠고기의 등심 등의 고기를 굽기 위한 식당용 구이기도 다종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구운 고기의 식감(食感 :맛)은 일차적으로 구이방식에 따라 다르다. 구이방식은 고기를 석쇠 위에 올려놓고, 석쇠의 밑에서 불을 피워 그 불의 복사열이 직접 고기에 닿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익히는 직화(直火)구이방식과, 밑면이 막힌 금속재 또는 석재로 된 구이판이나 구이팬(PAN) 또는 자갈 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그 구이판, 구이팬 또는 자갈을 가열하여 고기를 익히는 간접가열방식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직화구이 방식으로 구운 고기맛이 간접가열방식으로 구운 고기맛보다 훨씬 좋다.
또한 구이기를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전열식(電熱式) 구이기와 가스버너식 구이기 및 숯불구이기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식당용으로 개발된 전열식 구이기 또는 가스버너식 구이기 중에서 직화구이 방식의 것은, 테이블의 중앙에 대략 직사각형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 전기식 또는 가스버너식 구이기를 장착한 것이다.
이러한 구이기의 상부에 석쇠가 얹혀지는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아래쪽으로 연장한 가상선보다 더 좌우측 내측벽 쪽으로 인입되게 설치된 전열코일 또는 가스로 가열되는 가스코일을 설치하고, 테이블 상부에 그 화력을 조절하는 노브(KNOB)를 구비한 형태의 것이다.
전열코일 또는 가스로 가열되는 가스코일을 석쇠가 얹혀지는 상부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아래쪽으로 연장한 가상선보다 더 좌우의 내측벽 쪽으로 배치하는 까닭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생기는 기름이 열원에 직접 떨어져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고기기름의 낙하영역, 즉 석쇠의 직하방 영역에는 내부에 물을 담아 놓을 수 있는 구조의 대체로 평편한 착탈식 기름받이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숯불구이기는 전형적이고 전통적인 직화구이 방식의 것인데, 테이블에서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서 숯불을 만들어 그 숯불을 담은 이동식 화덕을 테이블로 옮겨와 그 화덕을 테이블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대체로 테이블 상면보다 아래쪽에 장착하고, 테이블의 상면 개구부에 석쇠를 올려놓아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숯불 구이기를 이용한 직화구이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는 천정에 설치되는 닥트와 연결되는 연장 가능한 플렉시블 형상을 갖는 원형상의 후드를 장착하에 외기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조리시에는 플렉시블 형상의 후드를 천정에서 연장 인출하여 숯불의 상단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리를 하고, 취식이 끝나면 후드를 재차 천정으로 원위치시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후드는 숯불 구이 위치의 직상방에 설치되는 바,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숯불 구이 위치로 낙하되어 위생적인 조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후드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가 100%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지 않고 측면으로 누출이 심하여, 실내가 연기에 휩싸이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고기 등을 굽는 과정에서 공간 확보를 위해 후드를 측면으로 기울인 상태로 구원야 하는 바, 굽는 과정에 불편함이 발생되며 연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후드는 연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를 최대한 고기 굽는 석쇠 위로 내리다보니 구우는 과정에서, 후드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기 조각 절단 과정에서 후드의 시야 간섭의 불편함으로 인해, 함부로 후드를 만지게 되어 연기가 실내로 누출이되며, 이 과정에서 후드의 기름이 흔들려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리고, 고기를 뒤집어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숯에 직접 떨어지는 경우 갑자기 많은 연기와 불꽃이 발생되는데 이 경우 굽는자가 크게 놀라는 일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완전 연소된 연기와 불꽃이 발생되어 오히려 고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고기가 검게 그을려져 오히려 맛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름이 숯통의 가장자리 부분이 검게 기름때와 그을음이 생기게 되어 별도로 숯통만을 불에 태워 기름때와 그을름을 제거해야 하는 작업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공보 20-04694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이 조리물의 상부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기름이 숯불 구이 과정에서 조리물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고기의 맛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인 조리가 이루어지며 후드에 의한 시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이블에 거치되며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물받이부와, 물받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삽입부와 연통된 삽입홀이 형성되며 물받이부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기 이격 공간과 연통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링부와, 라운드 링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이 석쇠부와, 라운드 링부의 배출부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연기가 흡입 배출되는 후드부를 포함한다.
물받이부의 삽입부에는 상기 라운드 링부의 이격 공간과 연통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후드부는, 외기와 연통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통이 연결되는 후드 바디와, 후드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며 배출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 바디의 하부에는 기름받이 캡이 결합될 수 있다.
후드 바디의 하부에는 조명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이 조리물의 상부에 위치되지 않고 라운드 링부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기를 흡입 배출 가능한 바, 후드의 흡입관로부터 기름이 음식물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숯불구이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부가 후드 바디에 설치되어 숯불 구이 위치에 조명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숯불 구이 위치에 적절한 조명의 조사가 가능하여,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의 후드부의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의 후드부의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100)는, 테이블(11)에 거치되며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삽입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물받이부(10)와, 물받이부(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삽입부(12)와 연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되며 물받이부(1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22)이 형성된 상태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격 공간(22)과 연통된 배출부(23)가 형성되는 라운드 링부(20)와, 라운드 링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이 석쇠부(30)와, 라운드 링부(20)의 배출부(23)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된 연기가 흡입 배출되는 후드부(40)를 포함한다.
테이블(11)은 식당 등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조리 및 식사를 위해 라운드 형상 또는 사각 평면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11)에는 숯불구이를 위한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된 물받이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받이부(10)는 중앙에 인입된 상태로 조리를 위한 열의 공급을 위한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에는 숯이 삽입된 상태로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다수개의 관통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안정적인 조리를 위한 물이 충진되는 충진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부(10)의 상측에는 라운드 링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라운드 링부(20)는 물받이부(10)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 크기로 형성되어 물받이부(1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라운드 링부(20)는, 물받이부(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물받이부(10)의 삽입부(12)와 연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1)은 라운드 링부(2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부(12)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 링부(20)는 물받이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받이부(1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22)이 형성된 상태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운드 링부(20)는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표면에 기름이 낙하되는 경우 숯불 위치로 기름이 흐르지 않고 외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안정적인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라운드 링부(20)에서 삽입홀(21)의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는 라운드 형상의 컬링부(24)로 마무리되는 바, 설거지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 링부(20)에는 배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23)는 라운드 링부(2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물받이부(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23)가 라운드 링부(20)에 형성되는 것은, 숯에서 발생된 연기가 삽입부(12)의 관통홀(12a)을 통해 이격 공간(22)으로 유입되고 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하는 후드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기는 라운드 링부(20)의 내부에 형성된 이격 공간(22)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배출부(23)에 밀접하게 하강된 후드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연기가 실내로 확산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후드부(40)가 배출부(23) 위치에서 승하강되어 연기를 흡입 배출 가능하여, 사용자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후드부(40)가 고기를 가리지 않도록 시야확보가 용이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배출부(23)는 라운드 링부(20)의 일측에 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원형 또는 라운드 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관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라운드 링부(20)가 숯이 삽입된 삽입부(12)와 구이 석쇠부(3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 공기 와류 현상이 발생되어 연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로 후드부(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라운드 링부(20)의 상측에는 구이 석쇠부(3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이 석쇠부(30)는 숯의 열원으로 조리되는 음식물이 위치되는 것으로서, 라운드 링부(20)에 대응하는 직경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이 석쇠부(30)의 중앙 위치에서 가열된 조리물은, 충분하게 익혀진 상태에서 라운드 링부(2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하여 숯에 의한 직화를 차단하여, 조리물이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후드부(40)는 배출부(23)의 상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드부(40)는, 외기와 연통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통(42)이 연결되는 후드 바디(41)와, 후드 바디(41)의 측면에 연결되며 배출부(2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출부(23)에서 배출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흡입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 바디(41)는 외기와 연통되는 연통(42)이 상부에 연결되고 측면에는 흡입관(43)이 분기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바디(4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 바디(41)의 하부에는 기름받이 캡(45)이 결합될 수 있다.
기름받이 캡(45)은 후드 바디(41)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기름이 자중에 의해 유입되도록 후드 바디(4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름받이 캡(45)을 제거한 상태로 유입된 기름을 제거한 상태로 후드 바디(41)에 재결합하는 바, 용이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후드 바디(41)의 측면에는 흡입관(43)이 하부로 연장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43)은 일측은 후드 바디(41)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라운드 링부(20)에 형성된 배출부(23)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23)에서 배출된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는 흡입관(43)을 통해 유입되어 후드 바디(41)와 연통(42)을 통과하여 외기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관(43)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위치로 설치되지 않고 배출부(23)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43)을 통해 낙하되는 기름 등이 음식물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위생적이고 안정적인 음식물 숯불 구이가 가능하다.
또한 흡입관(43)는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의 측면에서 배출부(23) 위치에서 승강되는 바, 고기를 굽는 위치의 측면에서 승강 가능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시야확보가 용이하다.
아울러, 흡입관(43)는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의 측면에서 배출부(23) 위치에서 승강되는 바, 흡입관(43)에서 고기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고기에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아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름 낙하에 의한 연기와 불꽃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43)이 고기 굽는 측면 위치에 위치되는 바, 고기의 조각 절단시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절단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100)는,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43)이 조리물의 상부에 위치되지 않고 라운드 링부(2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기를 흡입 배출 가능한 바, 흡입관(43)로부터 기름이 음식물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숯불구이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200)의 후드 바디(41)에는 조명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10)는 후드 바디(41)에 설치되어 숯불 구이 위치에 조명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10)는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되어 후드 바디(41)의 측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숯불 구이 위치에 적절한 조명의 조사가 가능하여,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물받이부 11...테이블
12...삽입부 12a..관통홀
13...충진부 20...라운드 링부
21...삽입홀 22...이격 공간
23...배출부 24..컬링부
30...구이 석쇠부 40...후드부
41...후드 바디 42...연통
43...흡입관 110...조명부

Claims (4)

  1. 테이블(11)에 거치되며 중앙에 인입된 상태로 조리를 위해 열의 공급을 위한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삽입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블(11) 상에 설치되는 물받이부(10);
    상기 물받이부(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12)와 연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1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22)이 형성된 상태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 공간(22)과 연통된 배출부(23)가 형성되고, 삽입홀(21)의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는 라운드 형상의 컬링부(24)가 형성되는 라운드 링부(20);
    상기 라운드 링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이 석쇠부(30); 및
    상기 라운드 링부(20)의 배출부(23)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된 연기가 흡입 배출되는 후드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부(10)의 삽입부(12)에는 상기 라운드 링부(20)의 상기 이격 공간(22)과 연통된 다수개의 관통홀(12a)이 형성되며, 삽입부(1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안정적인 조리를 위한 물이 충진되는 충진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부(40)는,
    외기와 연통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통(42)이 연결되는 후드 바디(41);
    상기 후드 바디(41)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23)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흡입관(43);
    상기 후드 바디(41)의 하부에는 결합되는 기름받이 캡(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바디(41)의 하부에는 조명부(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20190170782A 2019-12-19 2019-12-19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214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82A KR102148014B1 (ko) 2019-12-19 2019-12-19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82A KR102148014B1 (ko) 2019-12-19 2019-12-19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014B1 true KR102148014B1 (ko) 2020-08-25

Family

ID=7224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82A KR102148014B1 (ko) 2019-12-19 2019-12-19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0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15Y1 (ko) * 1987-08-28 1991-01-18 최명환 고기구이기의 배연 유도장치
JP2002209758A (ja) * 2001-01-16 2002-07-30 Plaza Chuki:Kk ロースター
KR200298956Y1 (ko) * 2002-09-24 2003-01-03 유팔남 연기흡입 및 연기에 함유된 기름을 저장할 수 있는로스터용 흡/배기장치
JP2004190899A (ja) *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レンジフード
JP2009291622A (ja) * 2008-06-09 2009-12-17 Jun Gyu Park 簡便調理器
KR200469431Y1 (ko) 2013-08-30 2013-10-11 주식회사 한경코퍼레이션 다용도 숯불구이 조리장치
KR20180089238A (ko) * 2017-01-31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15Y1 (ko) * 1987-08-28 1991-01-18 최명환 고기구이기의 배연 유도장치
JP2002209758A (ja) * 2001-01-16 2002-07-30 Plaza Chuki:Kk ロースター
KR200298956Y1 (ko) * 2002-09-24 2003-01-03 유팔남 연기흡입 및 연기에 함유된 기름을 저장할 수 있는로스터용 흡/배기장치
JP2004190899A (ja) *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レンジフード
JP2009291622A (ja) * 2008-06-09 2009-12-17 Jun Gyu Park 簡便調理器
KR200469431Y1 (ko) 2013-08-30 2013-10-11 주식회사 한경코퍼레이션 다용도 숯불구이 조리장치
KR20180089238A (ko) * 2017-01-31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456B1 (ko)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TWM478412U (zh) 組合式的多功能燒烤爐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102024014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10080059A (ko) 다용도 조리용기
CN21098981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WO2018214511A1 (zh) 一种明火烤炉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KR102666497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