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814B1 -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 Google Patents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814B1
KR102147814B1 KR1020190180039A KR20190180039A KR102147814B1 KR 102147814 B1 KR102147814 B1 KR 102147814B1 KR 1020190180039 A KR1020190180039 A KR 1020190180039A KR 20190180039 A KR20190180039 A KR 20190180039A KR 102147814 B1 KR102147814 B1 KR 10214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aker
sound field
support uni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8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호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병원
주식회사 한결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병원, 주식회사 한결헬스케어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8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장검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방음부스에서도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ISO 8253-2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정확한 음장검사가 가능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and small audiometric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본 발명은 음장검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방음부스에서도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ISO 8253-2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정확한 음장검사가 가능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력검사는 소리나 목소리가 잘 들리는지의 여부 등 청각의 예민한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청력 검사를 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의사, 청각사)가 변경할 수 있는 크기와 주파수의 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기인 청력계(Audiometer)를 사용하여 청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검사자의 청력 정도의 진단을 내린다. 보통 청력검사에서는 250Hz에서 8kHz 범위의 주파수에 중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이 범위가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소리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청력 검사할 때 사용되는 청력검사기는 각 주파수별로 큰 소리를 발생시킨 후 점차 그 크기를 감소시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최소 데시벨이 청력도에 기록되고 이렇게 기록된 청력도를 바탕으로 검사자의 청력의 상태를 진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력 검사에서 25dB 이상의 손실이 있을 때 일반적으로 난청이라 하는데 여러 나라의 통계에 의하면 소아의 2~4% , 전 국민의 약 21 %가 난청 증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난청 인구는 더 늘어나 70세 이상이 되면 81% 정도에서 난청을 가지게 된다. 난청환자가 이비인후과 방문환자들 중에 약 25%에 달하므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도의 청력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난청 환자에 있어서 일반적인 보청기나 이식형 보청기, 인공와우 이식 등과 같은 청력보조 장치를 착용하여 청력개선 효과를 기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한 청력 보조 장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존 음장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청력검사는 방음 부스 안에 각각 피검자의 좌우 45도 각도에서 1 m 앞에 스피커를 위치시키고 방음 부스 밖에서 청력검사 기기를 이용하여 소리(순음 또는 어음)를 제시하여 피검자가 이를 감지하는지 보는 검사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음장 검사시스템은 고정된 큰 스피커를 피검자의 1 m 전방에 위치 시켜야 하기 때문에 주로 2 x 2 m 크기의 큰 방음 부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현재 대다수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은 방음 부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검자의 앉은키에 따라 귀의 높이가 달라지는데 1 m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커로는 피검자의 귀 높이에서 적절하게 소리를 전달 할 수 없어 검사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소리가 먼 곳에서부터 오기 때문에 어음 검사시 어음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도 1c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소형방음부스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를 개발하고, 특허 등록번호 제10-1991425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 개시된 음장검사시스템은 스피커와 피검사자의 귀가 평행하고 최소 1m의 간격을 두 개 되어 있는 ISO 8253-2의 기준을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형방음부스에서 사용 가능하면서도 ISO 8253-2의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의 음장검사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91425호
본 발명자는 다수의 연구결과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형방음부스에서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장검사의 기준이 되는 ISO 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 점과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음장검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장검사의 기준이 되는 ISO 8253-2기준에 따라 정확한 음장검사가 가능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지지유닛;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유닛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길이유닛;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가로길이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스피커지지유닛과 40도에서 50도 범위에 속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타단부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전면이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스피커유닛의 정면과 평행하게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타단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장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 중심부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는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유닛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제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길이유닛, 상기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을 따라 상기 가로길이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헤드유닛과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높이가 동시에 조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길이는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길이보다 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 중심부와 상기 헤드유닛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는 1 m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형방음부스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 m이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은 상기 소형방음부스의 문과 대향되는 벽에 지지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소형방음부스의 대각선상에 헤드유닛과 스피커유닛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에 의하면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형방음부스에서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장검사의 기준이 되는 ISO 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 점과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에 의하면, 음장검사의 기준이 되는 ISO 8253-2기준에 따라 정확한 음장검사가 가능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소형방음부스는 대형 병원이 아닌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이빈후과 의원에 설치되어 청력보조장치를 착용한 피검자의 청력검사를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하므로 환자의 편리성 향상은 물론 개원의의 경제적 수익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기존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의 서로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의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에서 헤드유닛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방음부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며, 도 5c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내부공간을 이루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m 내외인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음장검사를 위한 ISO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 점과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있다.
즉, 본 발명자들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되어 음장검사가 가능하도록 안출한 도 1c에 도시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은 스피커를 소형화하고 이동 가능한 구조를 통해 소형방음부스에서도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 높이에 위치하는 구조를 구현하였으나, ISO 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충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은 지면과 수직한 z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지지유닛;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유닛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길이유닛;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가로길이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스피커지지유닛과 40도에서 50도 범위에 속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타단부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전면이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상술된 음장검사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상기 소형방음부스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 m이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의 서로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의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음장검사시스템에서 헤드유닛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방음부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며, 도 5c는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의 구현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100)은 지지유닛(110), 가로길이유닛(120), 스피커지지유닛(130), 스피커유닛(140) 및 헤드유닛(150)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켈리브레이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110)은 지면과 수직한 z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1개 이상의 일정폭을 갖는 1m 이하의 길이부재를 그 길이방향으로 벽면에 고정 설치하고 그 전면에 고정되는 구성요소 즉 가로길이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기술적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유닛(110)을 구성하는 길이부재의 개수 및/또는 길이부재의 폭은 지지유닛(110)이 벽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그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길이유닛(120)과 가로길이유닛(120)에 연결되는 스피커지지유닛(130), 스피커유닛(140) 및 헤드유닛(15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지지유닛(110)은 2개 내지 4개의 길이부재, 상기 길이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2개 내지 4개의 길이부재를 연결하는 2개의 가로부재 및 상기 길이부재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2개의 길이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2개의 길이부재(111)가 지면과 수직한 z축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벽면에 설치되고, 2개의 가로부재(112)가 상기 길이부재(111)의 상하양단부에 x축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유닛(110)이 벽면에 전체적으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1
와 같이 사각프레임 형으로 설치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3개의 길이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3개의 길이부재(111)가 지면과 수직한 z축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벽면에 설치되고, 2개의 가로부재(112)가 상기 길이부재(111)의 상하양단부에 x축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유닛(110)이 벽면에 전체적으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2
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4개의 길이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4개의 길이부재(111)가 지면과 수직한 z축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벽면에 설치되고, 2개의 가로부재(112)가 상기 길이부재(111)의 상하양단부에 x축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유닛(110)이 벽면에 전체적으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3
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113)는 가로길이유닛(120)이 지지유닛(1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가로길이유닛(120)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길이부재(111)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부재(111) 전면 중간부에서 상부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3)는 길이부재(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개로 형성되어 길이부재(111)의 전면에 부착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가로길이유닛(120)은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지지유닛(110)을 따라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유닛(1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후면에 지지유닛(110)을 구성하는 길이부재(111)의 개수에 따라 지지유닛(110)과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2개의 길이부재(111)로 형성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2개의 길이부재(111)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4
와 같이 형성되면, 가로길이유닛(120)의 좌우 양단부측 후면에 2개의 길이부재(111)와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부가 각각 2개 형성되어 지지유닛(110)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3개의 길이부재(111)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5
와 같이 형성되면, 가로길이유닛(120)의 중심부 후면 측으로 3개의 길이부재(11)와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부가 각각 3개 형성되거나, 중심부의 길이부재(111)를 제외한 2개의 길이부재(111)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2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지지유닛(110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이 4개의 길이부재(111)로
Figure 112019136290960-pat00006
와 같이 형성되면, 가로길이유닛(120)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4개의 길이부재(11)와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부가 각각 4개 형성되거나 양단에 형성된 2개의 길이부재(111)를 제외한 중심부에 형성된 2개의 길이부재(111)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각각 2개 형성되어 지지유닛(110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길이유닛(120)은 일정폭과 1m 미만의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일 수 있는데, 그 후면에 형성되는 지지유닛(110)과의 결합부는 가로길이유닛(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지지유닛(110)의 전면에 지지유닛(110)과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로길이유닛(120)은 지지유닛(110)을 따라 z축방향 즉 상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지지유닛(110)의 길이부재(111) 및 가이드부재(113)와 가로길이유닛(120)의 결합부의 고정설치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걸림부 등 공지된 구조를 활용하여 수동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하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을 설치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제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지지유닛(130)은 가로길이유닛(120)의 일단부측에서 가로길이유닛(120)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1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데, 지지암부는 1m미만의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가로길이유닛(120)과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채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지지유닛(130)을 구성하는 1개의 지지암부는 그 일단부는 가로길이유닛(120)과 수직하게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스피커유닛(140)을 구성하는 스피커가 장착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지지유닛(130)을 구성하는 지지암부의 길이는 1m미만으로서 대략 70~90c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지지암부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피커유닛(140)의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에 자리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약 1 m 가 되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140)은 스피커지지유닛(130)과 40도에서 50도 범위에 속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스피커지지유닛(130)의 단부 즉 지지암부 타단부에 부착되는 1개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소형 스피커로서 스피커의 정면 중심부가 헤드유닛(150)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스피커지지유닛(130)의 타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피커의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과 스피커지지유닛(130)의 지지암부가 이루는 각도가 거의 45도를 이룰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스피커유닛(140)은 스피커지지유닛(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헤드유닛(150)은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특히 음장검사를 위해 앉았을 때 피검사자의 귀가 음장검사를 위해 설치된 스피커의 중심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기준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피검사자의 머리가 좌우, 앞뒤로 움직일 가능성을 배제하여 정확한 음장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가로길이유닛(120)의 타단부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전면이 스피커유닛(140)의 전면과 대향되게 일체로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150)은 연장부재(151), 곡면부재(152),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전면거치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151)는 가로길이유닛(120)의 일단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스피커지지유닛(130)의 일단부에 장착된 스피커유닛(140)의 전면과 연장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는 곡면부재(152)가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는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로길이유닛(120)의 타단부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가로길이유닛(120)의 타단부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짧은 길이부재일 수 있다.
곡면부재(152)는 피검사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그 중심부가 스피커유닛(140)의 전면 중심부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부재(151)의 전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적어도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했을 때 귀 부분이 가려지지 않는 정도의 곡면공간(152a)이 형성된 부재이기만 하면 형상 및 재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로서 곡면부재(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공간(152a)의 수평단면이 초승달 또는 하현달 정도의 형상을 갖는 곡면을 이루고, 그 양측부분은 전면거치부재(154)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는 곡면부재(152)의 중심부 또는 전면거치부재(154)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1개가 설치되어 켈리브레이터(16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음장검사시스템(100)이 소형방음부스(1)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커유닛(140)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켈리브레이터(160)와 함께 제거된다.
전면거치부재(154)는 곡면부재(152)가 연장부재(151)에 설치된 상태에서 곡면부재(152)의 중앙부 전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를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켈리브레이터(160)는 헤드유닛(150)의 곡면부재(152)의 중앙부 또는 전면거치부재(154)에 설치되는 1개의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에 설치되어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를 보정하는 구성요소로서, 1개의 켈리브레이터를 포함하는데, 공지된 구성의 켈리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 및/또는 전면거치부재(154)가 곡면부재(152)의 전면 중심부에 1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한 경우 그 양단부에 2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음장검사시스템(100)에서 특히 가로길이유닛(120)과 가로길이유닛(1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130) 및 헤드유닛(150)은 일체로 결합되고, 지지유닛(110)을 따라 가로길이유닛(120)을 이동시켜 헤드유닛(150)과 스피커지지유닛(130)의 높이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가로길이유닛(120)의 길이와 스피커지지유닛(130)의 길이는 가로길이유닛(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피커지지유닛(130)의 일단부에 장착된 스피커유닛(140)의 전면중심부와 가로길이유닛(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헤드유닛(150)의 전면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1m이상이 되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는데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일 구현예로서 소형방음부스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기는 하지만 가로길이유닛(120)의 길이는 스피커지지유닛(1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음장검사시스템(100)을 구성하게 되면, 내부공간을 이루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m 내외인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음장검사를 위한 ISO 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 점과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즉 지지유닛(110), 가로길이유닛(120), 스피커지지유닛(130) 및 헤드유닛(150)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구현되면 스피커지지유닛(130)의 전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의 전면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1 m 이상이 되어 스피커와 피검사자 사이의 간격이 1 m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기준이 자연스럽게 충족되고, 성인과 어린이의 키 차이에 따른 피검사자의 머리위치와 헤드유닛(150)의 위치 차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10)을 따라 가로길이유닛(120)을 이동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머리위치와 헤드유닛(150)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것으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m이내이지만 종래 공지된 음장검사시스템과는 달리 상술된 구성의 음장검사시스템을 설치하게 되면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ISO 8253-2기준이 요구하는 스피커가 피검사자의 귀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 점과 피검사자의 귀와 스피커 사이의 거리가 1 m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면서도,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어 공간이 협소한 개인병원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를 활용하여 음장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청기 등 청력보조장치 착용 환자가 큰 대학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이비인후과 개원의들에 의해 음장검사를 시행 받고 보청기 등이 잘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시 조정을 통하여 보청기 등이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소형방음부스 100 : 음장검사시스템
110 : 지지유닛 120 : 가로길이유닛
130 : 스피커지지유닛 140 : 스피커유닛
150 : 헤드유닛 151 : 연장부재
152: 곡면부재 152a : 곡면공간
153 :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

Claims (9)

  1.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지지유닛;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유닛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길이유닛;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가로길이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스피커지지유닛과 40도에서 50도 범위에 속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타단부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전면이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스피커유닛의 정면과 평행하게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타단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장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 중심부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2 m이내인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 중심부와 상기 헤드유닛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는 1 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는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유닛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길이유닛, 상기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을 따라 상기 가로길이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헤드유닛과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높이가 동시에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길이유닛의 길이는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장검사시스템이 내부에 설치되고,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 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은 상기 소형방음부스의 문과 대향되는 벽에 지지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소형방음부스의 대각선상에 헤드유닛과 스피커유닛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
KR1020190180039A 2019-12-31 2019-12-31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KR10214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039A KR102147814B1 (ko) 2019-12-31 2019-12-31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039A KR102147814B1 (ko) 2019-12-31 2019-12-31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814B1 true KR102147814B1 (ko) 2020-08-25

Family

ID=7229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80039A KR102147814B1 (ko) 2019-12-31 2019-12-31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8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262A (ja) * 2004-11-02 2006-05-25 Yamaha Corp 室内音響生成装置
KR101991425B1 (ko)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262A (ja) * 2004-11-02 2006-05-25 Yamaha Corp 室内音響生成装置
KR101991425B1 (ko)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425B1 (ko)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Killion Revised estimate of minimum audible pressure: Where is the’’missing 6 dB’’?
Stenfelt et al. Bone-conducted sound: phys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AU200324157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ducting multiple diagnostic hearing tests
EP2208367B1 (en)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Reinfeldt et al. Estimation of bone conduction skull transmission by hearing thresholds and ear-canal sound pressure
Stenfelt Bilateral fitting of BAHAs and BAHA® fitted in unilateral deaf persons: Acoustical aspects Adaptación bilateral de BAHA y adaptación de BAHA en sorderas unilaterales: Aspectos acústicos
Keefe et al. Pressure transfer function and absorption cross section from the diffuse field to the human infant ear canal
Stenfelt et al. Air versus bone conduction: an equal loudness investigation
Walker et al. Sound field audiometry: Recommended stimuli and procedures
US8634567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fitting hearing aid
JP2003535528A (ja) 埋込型中耳補聴器の性能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223983B2 (en) Fitting and verification procedure for direct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s
Berger et al. Comparison of the noise attenuation of three audiometric earphones, with additional data on masking near threshold
Clemis et al. Clinical use of an insert earphone
Ballachanda Theoretical and applied external ear acoustics.
Hawkins et al. Examination of two issues concerning functional gain measurements
Heywood et al. Comparison of hearing thresholds obtained with Baha preoperative assessment tools and those obtained with the osseointegrated implant
Stone et al. A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occlusion effect for frequencies below 125 Hz
Gazia et al. Real ear measurement (REM) and auditory performances with open, tulip and double closed dome in patients using hearing aids
Popelka et al. Middle-ear function at high frequencies quantified with advanced bone-conduction measures
KR102147814B1 (ko) 한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Dirks et al. Speech audiometry: earphone and sound field
Green et al. The effect of a conventional versus a nonoccluding (CROS-type) earmold upon the frequency response of a hearing aid
CN214070135U (zh) 带有头带高度调节支架的骨导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