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87B1 - 도봉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도봉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287B1
KR102147287B1 KR1020190045800A KR20190045800A KR102147287B1 KR 102147287 B1 KR102147287 B1 KR 102147287B1 KR 1020190045800 A KR1020190045800 A KR 1020190045800A KR 20190045800 A KR20190045800 A KR 20190045800A KR 102147287 B1 KR102147287 B1 KR 102147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passage
guid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겸
Original Assignee
김호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겸 filed Critical 김호겸
Priority to KR102019004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의 소문에 연통되도록 벌통에 결합되어 토봉을 보호하는 도봉 방지기구로서;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하판과 마주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측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2 측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2 측판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제2 측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는 소문으로 연통되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과 제3 측판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2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판에는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측판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3 측판에 결합되어 제2 통로로 연통된 하나 이상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안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봉 방지기구{A Protection Device For Native Bee}
본 발명은 도봉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벌통의 출입문인 소문에 설치되어 도봉이 벌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봉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육되는 꿀벌은 양봉과 토종꿀벌("토봉"이라 함)로 대별된다.
종래의 벌통은 가운데가 빈 나무통을 돌이나 판재와 같은 받침대 위에 세우고 상면에 덮개를 덮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벌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벌통은 받침대(10)와, 벌통몸체(20)와, 덮개(4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는 판형상을 이루어 벌통몸체(20)를 안전하게 지지하며, 받침대(1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벌통몸체(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에 적치되는 벌통몸체(20)는 상하면이 개구된 통체로써 하부에 벌 출입용 소문(21)을 형성하여 벌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덮개(40)는 벌통몸체(20)를 덮어 외부로부터 폐쇄한다. 상기 덮개(40)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손가락홈(41)을 형성하여 덮개(40)를 열고 닫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양봉은 토봉에 비해 몸집이 크나 몸집의 차이가 크지 않아 양봉이 토봉 벌통을 도봉하거나, 양봉이 다른 양봉 벌통을 도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양봉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양봉과 토봉이 서로 마주하는 횟수나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친화되어 양봉이 토봉 벌통 내부로 침입하여 도봉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5117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7044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봉과 토봉이 모두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면서도 출입 과정에서 양봉과 토봉이 서로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어 친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양봉끼리의 도봉이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봉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벌통의 소문에 연통 되도록 벌통에 결합되어 도봉을 방지하는 도봉 방지기구로서;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하판과 마주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측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2 측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2 측판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제2 측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는 소문으로 연통되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과 제3 측판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2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판에는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측판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제3 측판에 결합되어 제2 통로로 연통된 하나 이상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안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통로에는 제2 측판공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는 출구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출구부재는 상판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판은 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하향 경사진 상판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판연장부는 출구부재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판연장부의 단부는 출구부재의 안내면의 전방 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통로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토종벌의 날개를 펼친 넓이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되어, 안내통로로 진입한 벌은 안내통로에서 기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봉 방지기구는 양봉끼리의 도봉이 벌통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봉과 토봉의 출입 과정에서 서로 마주하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친화되는 것을 차단하며 도봉이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벌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벌통의 소문에 본 발명에 따르는 도봉 방지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어 토봉을 보호하는 도봉 방지기구로서,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판을 제거한 도봉 방지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상판에 구비되는 방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도봉 방지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벌통의 소문에 본 발명에 따르는 도봉 방지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어 토봉을 보호하는 도봉 방지기구로서,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판을 제거한 도봉 방지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상판에 구비되는 방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서 C1 방향을 상하 방향, C2 방향을 폭 방향, C3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도 2의 좌측 방향을 전방으로 우측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봉 방지기구(100)는 벌통의 받침대(10) 상부로 구비되며 벌통몸체(20)에 형성된 소문(21)에 연통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봉 방지기구(100)는 소문(21)의 전방으로 받침대(10) 상부에서 벌통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도봉 방지기구(100)는 하판(110)과, 상판(150)과,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과, 제3 측판(140)과, 안내부(170)와, 출구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110)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판(110)은 벌통의 소문(21)의 전방으로 받침대(1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판(110)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150)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판(150)은 상기 하판(11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하판(110)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판(150)과 하판(110) 사이의 간격은 소문(21)의 상하 방향 간격보다 크다. 상기 상판(150)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150)의 전방에는 상판연장부(15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51)는 상기 상판(150)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51)는 하판(110)의 전방 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1 측판(120)은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측판(120)의 후방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측판플랜지(1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측판플랜지(121)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제1 측판설치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측판설치공(121a)에는 결합수단(나사 등)이 관통되며 제1 측판(120)이 벌통본체(20)의 전방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2 측판(130)은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측판(130)은 상기 제1 측판(12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측판(130)의 후방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측판플랜지(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측판플랜지(131)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제2 측판설치공(1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판설치공(131a)에는 결합수단(나사 등)이 관통되며 제2 측판(130)이 벌통본체(20)의 전방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 사이의 간격은 벌통의 소문(21)의 폭 방향 너비보다 크다. 상기 제1 측판(120), 제2 측판(130), 상판(150), 하판(110) 사이에는 소문(21)으로 연통되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1 통로(10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01)의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105)는 벌통의 소문(21)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개구부(105)의 단면적은 소문(2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측판(140)은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측판(140)은 상기 제2 측판(130)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120)과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측판(140)은 상기 제2 측판(13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측판(130)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 측판(14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제2 측판플랜지(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측판(140)은 제2 측판(130)과 결합되어 전방으로 개구되고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측판(130)과 제3 측판(140)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2 통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측판(130)에는 상기 제1 통로(101)와 제2 통로(103)를 연통시키는 제2 측판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판공(133)은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측판공(133)은 안내부(17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170)는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제3 측판(14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170)는 상기 제2 통로(103)로 연통된 하나 이상의 안내통로(170a)를 형성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부재(17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통로(170a)는 전후방으로 나란하게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171)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171)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171)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안내통로(170a) 또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통로(170a)는 토종벌이 날개를 펼친 넓이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통로(170a)의 간격은 0.5 ~ 1 ㎝범위로 형성된다.
가장 후방에 위치한 안내부재(171)는 상기 제3 측판(140)을 지나 제2 측판(130)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가 제2 측판(130)에 연결된 안내연장부(17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연장부(171-1)는 벌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안내통로(170a)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제2 측판공(133)보다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벌은 안내통로(170a)를 지나고, 제2 통로(103)를 지나야 제2 측판공(133)에 이를 수 있다.
상기 안내통로(170a)로 들어온 벌은 날개를 접고 안내통로(170a)를 따라 기어서 이동하며, 계속해서 제2 통로(103)를 따라 이동하며, 제2 측판공(133)을 통과하여 제1 통로(101)에 이르게 된다. 제1 통로(101)에는 외부 벌의 침입을 막는 토봉들이 대기 상태로 있다. 또한, 소문(21)으로부터 나와 외부로 가려는 토봉들이 있을 수 있다. 양봉이 들어오는 과정에서 안내통로(170a) 및 제2 통로(103)에서는 양봉의 앞뒤로 토봉이 있어 전후에서 공격을 당하고, 제2 측판공(133)을 통과하여 제1 통로(101)에 이르면 외부 벌 침입을 막으려고 대기하는 토봉(방어벌)들에게 공격을 당하게 되어, 소문(21)으로 들어가는 것이 차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70)가 구비되면, 안내부(170)의 전후방으로 위치하는 'A 영역'과 'B 영역'에서 상판(150)과 하판(110)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로(103)의 전방 단부에는 제2 통로(103)를 폐쇄하는 제2 통로폐쇄부재(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폐쇄부재(190)는 제2 측판공(133)의 전방으로 구비된다. 제2 통로폐쇄부재(19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도봉뿐만 아니라 토봉 또한 제2 통로(103)를 통하여 나가게되나, 상기 제2 통로폐쇄부재(190)가 구비됨으로써 벌은 상기 제2 측판공(133)을 통해서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통로폐쇄부재(190)는 제2 통로(103)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제2 측판공(133)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로폐쇄부재(190)가 제2 통로(103)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 제2 통로폐쇄부재(190)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D 영역'의 상판(150)과 하판(11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160)는 상기 제1 통로(101)에 구비된다. 상기 출구부재(160)는 상기 제2 측판공(133)보다 전방으로 위치한다. 상기 출구부재(160)는 안내면(163)과 경사면(1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면(163)은 상판(15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안내면(163)은 폭 방향 양측이 각각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161)은 상기 안내면(16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161)은 폭 방향 양측이 각각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통로(103)에는 상기 제1 통로(101)에 구비되는 출구부재(160)와 나란하게 제2 통로(103)에도 출구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103)에 구비되는 출구부재는 폭 방향 양측이 각각 제2 측판(130)과 제3 측판(14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안내통로(170a)로 들어온 벌은 날개를 접고 안내통로(170a)를 기어서 이동하며, 계속해서 제2 통로(103)를 따라 이동하며, 양봉이 들어오는 과정에서 안내통로(170a) 및 제2 통로(103)에서는 양봉의 앞뒤로 토봉이 있어 전후에서 공격을 당하고, 양봉은 외부 침입을 막기 위해 토봉들이 대기하고 있는 제1 통로(101)로 제2 측판공(133)을 통하여 들어가지 않고 계속 제2 통로(103)를 따라 이동하여 제2 통로(103)에 구비되는 출구부재를 지나 외부로 다시 탈출하게 된다. 제2 통로(103)에 통로폐쇄부재(190)가 구비된 경우 제1 통로(101)에서 방어벌을 만나 출구부재(160)를 지나 외부로 나오게 된다.
상기 출구부재(160)는 안내면(163)의 전방 단부의 높이(H2)가 상기 상판연장부(151)의 단부의 높이(H1)보다 높게 구비된다. 즉, 상판(150)과 안내면(163) 사이의 높이(H)는 상판연장부(151)의 폭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51)는 제2 통로(103)에 구비된 출구부재에 대해서도, 안내면의 전방 단부의 높이(H2)는 상판연장부(151)의 단부의 높이(H1)보다 높게 구비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51)에 의해 제1 통로(101)와 제2 통로(103)가 가려져 벌이 외부로부터 안내면(163)과 상판(150) 사이의 공간으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안내통로(170a)를 통해서만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한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하판(110)의 전방 단부가 상판(150)의 전방 단부와 상판연장부(151)의 전방 단부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판연장부(151)의 전방 단부와 일치하는 경우에도 도봉이 하판(110)에 앉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제1 통로(101) 내로 들어올 수 없다.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제1 통로(101)에는 제2 측판공(133)의 전방으로 보조부재(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180)는 일측 단부가 제2 측판공(133)의 전방으로 제2 측판(130)에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조부재(180)의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1 측판(110) 사이에 벌이 나갈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므로, 보조부재(180)에 의하여 출구의 폭(W)은 좁아지게 된다. 상기 보조부재(180)가 형성될 경우 출구부재(160)는 보조부재(180)와 제1 측판(110) 사이에서 양측이 보조부재(180)와 제1 측판(11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조부재(180)가 구비되는 경우 'C 영역'의 상판(150)과 하판(11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180)가 구비됨으로써 출구의 간격(W)이 좁아지게 된다. 출구의 간격(W)이 좁아짐으로써 좁아진 출구를 통하여 벌이 몰려나오게 되므로 도봉이 안내면(163)에 착륙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출구로 나오는 벌에 의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로(101)에는 상기 보조부재(180)의 후방으로 상기 제2 측판(130)과 나란한 제4 측판(13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판(130-1)은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 단부가 제2 측판(130)을 향하여 절곡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4 측판(130-1)의 후방 단부는 상기 상판(150)과 하판(110)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4 측판(130-1)은 상기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4 측판(130-1)은 상기 제2 측판(13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측판(130)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4 측판(130-1)의 절곡된 전방 단부는 상기 제2 측판공(133)의 전방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4 측판(130-1)이 구비되면 상기 제1 통로(101)는 제1 측판(120)과 제4 측판(130-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130)과 제4 측판(130-1)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4 통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제4 통로(107)는 상기 제2 측판공(133)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토봉은 상기 안내통로(170a)로 들어와 제2 통로(103)를 따라 이동하며, 제2 측판공(133)을 통하여 제4 통로(107)를 거쳐 벌통으로 들어가게 된다. 제4 통로(107)가 형성됨으로써 벌통으로 들어가는 벌과 나오는 벌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판(150)과 하판(110)이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도봉 방지기구(100)의 내부는 어둡게 유지된다. 벌통 내에서 살고 있는 벌의 경우에는 도봉 방지기구(100) 내부가 어두워도 통로를 찾을 수 있어 출입이 가능하지만, 도봉의 경우에는 내부가 어두우면 길을 찾지 못해 벌통 내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판(150)에는 방지부재(1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153)는 안내통로(170a)가 형성된 안내부(170)와 제1 통로(101)에 구비된다. 상기 제1 통로(101)에 구비되는 방지부재(153)는 상기 제4 측판(130-1)의 후방 단부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부재(153)는 설치부(153-1)와 창살(15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153-1)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53-1)에는 하향 개구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은 설치부(153-1)의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창살(153-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창살(153-3)은 상기 설치부(153-1)의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창살(153-3)은 상단이 설치홈에 각각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판(150)에는 상기 안내통로(170a)와 제1 통로(101)가 형성된 위치에 방지부재(153)의 창살(153-3)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01)에 형성되는 홀은 개구부(105)와 제2 측판공(13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방지부재(153)는 창살(153-3)이 상판(150)의 상부에서 하향하여 관통되고, 설치부(153-1)의 하면이 상판(150)의 상면에 걸리어 구비된다.
상기 안내통로(170a)가 형성된 안내부(170)에 구비되는 방지부재(153)의 창살(153-3) 사이의 간격은 숫벌이 통과하지 못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01)에 구비되는 방지부재(153)의 창살(153-3) 사이의 간격은 일벌은 통과 가능하고 여왕벌은 통과하지 못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재(153)가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숫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벌통 내 여왕벌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0 : 도봉 방지기구
110 : 하판 120 : 제1 측판
130 : 제2 측판 140 : 제3 측판
150 : 상판 160 : 출구부재
170 : 안내부 180 : 보조부재
190 : 제2 통로폐쇄부재

Claims (5)

  1. 벌통의 소문에 연통 되도록 벌통에 결합되어 토봉을 보호하는 도봉 방지기구로서;
    하판(110)과, 상기 하판(11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하판(110)과 마주하는 상판(150)과,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측판(120)과,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제2 측판(12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판(130)과,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제2 측판(130)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120)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제2 측판(13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측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 사이에는 소문으로 연통되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1 통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130)과 제3 측판(140)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제2 통로(10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판(130)에는 제1 통로(101)와 제2 통로(103)를 연통시키는 제2 측판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110)과 상판(150) 사이에서 제3 측판(140)에 결합되어 제2 통로(103)로 연통된 하나 이상의 안내통로(170a)를 형성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부재(171)로 이루어진 안내부(1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01)에는 제2 측판공(133)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는 출구부재(1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출구부재(160)는 상판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안내면(163)과, 상기 안내면(16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1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50)은 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하향 경사진 상판연장부(15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연장부(151)는 출구부재(16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판연장부(151)의 단부는 출구부재(160)의 안내면(163)의 전방 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100).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170a)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토종벌의 날개를 펼친 넓이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되어, 안내통로(170a)로 진입한 벌은 안내통로(170a)에서 기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봉 방지기구(100).
KR1020190045800A 2019-04-19 2019-04-19 도봉 방지기구 KR102147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00A KR102147287B1 (ko) 2019-04-19 2019-04-19 도봉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00A KR102147287B1 (ko) 2019-04-19 2019-04-19 도봉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87B1 true KR102147287B1 (ko) 2020-08-24

Family

ID=7223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800A KR102147287B1 (ko) 2019-04-19 2019-04-19 도봉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492A (ko) 2021-11-05 2023-05-12 김동욱 토종벌통용 도봉 방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147A (ko)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KR200451173Y1 (ko) 2008-04-30 2010-11-30 고상인 토봉용 벌통
KR20110024884A (ko) * 2009-09-03 2011-03-09 김주홍 꿀벌보호장치
KR200470440Y1 (ko) 2012-03-13 2013-12-16 대한민국 벌 사양용 벌통
KR101797933B1 (ko) * 2015-11-07 2017-11-17 대한민국 도봉 방지 및 화분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73Y1 (ko) 2008-04-30 2010-11-30 고상인 토봉용 벌통
KR20090013147A (ko)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KR20110024884A (ko) * 2009-09-03 2011-03-09 김주홍 꿀벌보호장치
KR200470440Y1 (ko) 2012-03-13 2013-12-16 대한민국 벌 사양용 벌통
KR101797933B1 (ko) * 2015-11-07 2017-11-17 대한민국 도봉 방지 및 화분 회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492A (ko) 2021-11-05 2023-05-12 김동욱 토종벌통용 도봉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WO2017128936A1 (zh) 多功能蜂王宫
KR102147287B1 (ko) 도봉 방지기구
KR100966794B1 (ko) 양봉용 보호장치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1979301B1 (ko)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102288342B1 (ko) 도봉방지장치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KR101927724B1 (ko) 작은벌집 딱정벌레 예방 및 퇴치를 위한 벌통받침대
KR102367609B1 (ko)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KR101829584B1 (ko) 말벌 차단 장치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KR200372161Y1 (ko) 말벌 지킴이
JP7085575B2 (ja) 分蜂捕獲器。分蜂群を捕獲し新巣箱へ移動する分蜂捕獲器。
GB2586263A (en) Beehive entrance apparatus
KR102686586B1 (ko)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KR20200037153A (ko) 말벌방지망
KR102373654B1 (ko)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KR100552350B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240107595A (ko) 도봉 차단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양봉 장치
KR102656416B1 (ko) 봉군 소멸 피해방지를 위한 여왕벌 격리통
KR102451477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양봉 및 말벌 진입 차단 장치
TWM460525U (zh) 養蜂箱之巢門組件
KR102513825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