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88B1 -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88B1
KR102145788B1 KR1020180129952A KR20180129952A KR102145788B1 KR 102145788 B1 KR102145788 B1 KR 102145788B1 KR 1020180129952 A KR1020180129952 A KR 1020180129952A KR 20180129952 A KR20180129952 A KR 20180129952A KR 102145788 B1 KR102145788 B1 KR 10214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uct
shaft
differential pressur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179A (ko
Inventor
길용식
강기남
조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과 샤프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다수의 차단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에 각각 구비되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상기 차단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Pressure-difference Reducer System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라인 디퓨져에 샤프트를 관통하는 덕트를 큰 설계 없이 설치하여 연돌효과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발전과 인구 도시집중화의 영향으로 고층건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의 내부에는 수직이동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경로인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유사하게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인 바,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는 연돌효과(stack effect)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실온으로 유지되고, 외기의 온도와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기구가 더운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저층부는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저층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연통하는 엘리베이터 홀(엘리베이터 출입문이 구비된 건물 복도를 의미함)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가 빨려들면 실내의 기압이 건물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침기현상(infiltration)이 발생되며, 실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난방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드는 과정이 되풀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돌효과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층부는 상승기류에 의하여 압력이 높아져 저층부와는 달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엘리베이터 홀을 향하여 공기가 빨려든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로 공기가 유입되면 실내의 공기도 압력이 상승하여 건물의 외부로 실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누기현상(exfiltration)이 발생된다.
건물의 저층부에서의 침기현상과 건물의 상층부에서의 누기현상이 반복되는 이러한 연돌효과는 모두 건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데, 특히 실내외 온도차이가 심한 겨울철 고층건물에서 그 정도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연돌효과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여 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첫째, 침기현상 및 누기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와 외기 사이의 지속적인 순환에 따른 과도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원하지 않는 외기가 강하게 유입됨에 따라 거주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고층건물의 저층부에서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고속의 기류가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로 유입되고, 고층부에서는 반대방향의 고속 기류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침기현상 및 누기현상에 따라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여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연돌효과에 따라 발생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상승기류를 타고 각종 냄새와 기타 오염물질이 건물 내부에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층별 실내 온도/습도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일곱째,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저층부의 침기현상과 상층부의 누기현상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기류상승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단지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풍실 설치 및 엘리베이터 홀 별도 구획 등 밀실시공이 이루어져 왔으나, 외기 유입 차단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출입구의 개폐에 의한 외기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회전문을 시공하고 있으나, 회전문의 효과 또한 제한적이며, 시공비가 많이 들고, 사용이 불편하며, 각종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홀과 샤프트의 압력 차를 줄여 연돌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탑승자에게 연돌효과에 의한 도어의 이상을 경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과 샤프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다수의 차단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에 각각 구비되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상기 차단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조덕트와, 상기 공조덕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장덕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조덕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상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라인 디퓨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라인 디퓨져는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개방홀과, 상기 유입덕트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가 접하는 위치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 2개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샤프트를 형성하는 벽체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공조덕트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제 1댐퍼와, 상기 연장덕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와 교차하며 개폐되는 제 2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 및 압력을 수신받는 통신부와, 상기 측정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은 연돌효과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장치에서 엘리베이터 홀과 샤프트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의 압력 차이에 따라 차단장치를 조작하는 단계; (c) 공조덕트에 제 1댐퍼는 폐쇄하고, 연장덕트에 구비되는 제 2댐퍼는 개방하는 단계; (d) 탑승자에게 차압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의 차압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 1댐퍼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댐퍼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조덕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상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라인 디퓨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라인 디퓨져는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개방홀과, 상기 유입덕트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가 접하는 위치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 2개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샤프트를 형성하는 벽체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공조덕트에 샤프트와 구획되는 벽체를 관통하는 연장덕트가 구비됨에 따라 라인 디퓨져를 통해 압력차를 줄여 연돌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압에 의하여 연돌효과에 의한 도어의 이상을 엘리베이터 내부의 탑승자에게 경고음 및 경고등으로 경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30) 차압 저감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홀(10)의 천장(50)과 샤프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덕트(100)와, 상기 덕트(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10)과 상기 샤프트(20)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다수의 차단장치(200)와, 상기 엘리베이터 홀(10)과 상기 샤프트(20)에 각각 구비되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300)와, 상기 차단장치(20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6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어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30) 차압 저감 시스템은 동절기에 연돌효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60)에 과도하게 발생하는 압력(차압)으로 인한 기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30)와 엘리베이터(30)가 승하강하는 샤프트(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연돌효과의 발생 예방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덕트(100)는 상기 덕트(100)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10)의 천장(50)에 설치되는 공조덕트(110)와, 상기 공조덕트(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20)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장덕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조덕트(110)는 엘리베이터(30)를 탑승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홀(10)의 천장(5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상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200)가 구비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와 상기 연장덕트(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10)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라인 디퓨져(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엘리베이터 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천장(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조덕트(110)를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여도 무관하다 할 수 있으며, 천장(5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홀(10)의 공기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 홀(10)의 공기가 쾌적하게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라인 디퓨져(130)는 상기 본체(120)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천장(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공조덕트(110)를 통해 외부로 공기 및 이물질이 방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라인 디퓨져(130)는 상기 공조덕트(110)와 상기 연장덕트(140)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31)와, 상기 유입덕트(13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홀(10)의 천장(5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개방홀(132)과, 상기 유입덕트(131)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조덕트(110)와 상기 연장덕트(140)가 접하는 위치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 2개방홀(1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덕트(131)는 상기 공조덕트(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형성되나 상기 공조덕트(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천장(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덕트(131)에는 필터(142) 및 방충망 등이 형성되어 덕트(100)를 통해 벌레 및 이물질이 엘리베이터 홀(1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덕트(131)의 하단에는 필터(142)가 구비되어 기준치 보다 부피가 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개방홀(132)과 제 2개방홀(133)은 상기 공조덕트(110) 및 연장덕트(14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 및 이물질의 흐름이 공조덕트(110) 및 연장덕트(140)로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개방홀(132)과 제 2개방홀(133)에 각각 차단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200)는 공조덕트(110) 및 연장덕트(140)의 내부 및 타단부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공조덕트(110) 및 연장덕트(140)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2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덕트(140)는 상기 샤프트(20)를 형성하는 벽체(40)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200)가 구비되는 케이스(141)와, 상기 케이스(1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1)는 엘리베이터(30)가 승하강하는 샤프트(20)와 엘리베이터 홀(10)을 구분하는 벽체(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조덕트(110)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벽체(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라인 디퓨져(1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샤프트(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41)는 상기 공조덕트(110)와 동일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필터(142)는 상기에서 라인 디퓨져(130)에 구비되는 필터(14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라인 디퓨져(130) 또는 케이스(141)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2)에 의하여 샤프트(2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200)는 상기 공조덕트(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400)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제 1댐퍼(210)와, 상기 연장덕트(14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4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210)와 교차하며 개폐되는 제 2댐퍼(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댐퍼(210)는 공조덕트(110)의 내부 및 일단부에 구비되어 제어장치(40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댐퍼(220)와 교차하면 개폐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공조덕트(110) 및 연장덕트(140)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댐퍼(210)는 엘리베이터 도어(6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 2댐퍼(220)가 닫히게 되므로 공조된 공기의 흐름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댐퍼(220)는 상기 연장댐퍼의 내부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댐퍼(210)와 동일하게 제어장치(40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이 때, 제 2댐퍼(220)가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도어(60)의 전후 공기 흐름의 바이패스(By-Pass) 역할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장치(400)는 샤프트(20)와 엘리베이터 홀(10)의 압력 차에 따라 제 1댐퍼(210)와 제 2댐퍼(220)를 각각 개폐하여 연돌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장치(200)는 방화댐퍼로 적용하여 비상 화재 발생시 차압 및 엘리베이터 도어(60) 작동과 무관하게 제 1댐퍼(210)와 제 2댐퍼(22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300)는 상기 엘리베이터(30)의 도어(60)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도어(60)가 개방되기 전에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하여 상기 측정장치(300)는 압력장치 및 온도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측정장치(300)에서 측정된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을 수신받는 통신부(410)와, 상기 측정장치(300)에 의하여 수신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30) 탑승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리는 알림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0)는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 차를 연산하는 연산부(430)와, 상기 차단장치(200)를 제어하는 조작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0은 측정장치(300)에서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300)는 상기 엘리베이터(30)의 도어(60)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도어(60)가 개방되기 전에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하여 상기 측정장치(300)는 압력장치 및 온도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1200은 측정장치(300)에서 측정한 정보를 제어장치(400)에서 수신받아 차압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측정장치(300)에서 측정된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을 수신받는 통신부(410)와, 상기 측정장치(300)에 의하여 수신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30) 탑승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리는 알림부(420)와,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압력 차를 연산하는 연산부(430)와, 상기 차단장치(200)를 제어하는 조작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 S1300은 엘리베이터 홀(10)과 샤프트(20)의 차압이 기준치 이하 및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40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10)과 상기 샤프트(20)의 차압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 1댐퍼(210)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댐퍼(220)는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 S150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10)과 상기 샤프트(20)의 차압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제 2댐퍼(220)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댐퍼(210)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 1댐퍼(210)는 공조덕트(110)의 내부 및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댐퍼(220)는 상기 연장덕트(14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4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210)와 교차하며 개폐될 수 있다.
단계 S1600은 단계 S1400에서 제 2댐퍼(220)의 개방으로 인해 차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엘리베이터(3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연돌효과에 의한 도어(60)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부(420)는 엘리베이터(30) 내부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발생시켜 탑승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차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고를 중단하고 도어(6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홀 20: 샤프트
30: 엘리베이터 100: 덕트
110: 공조덕트 120: 본체
130: 라인디퓨져 140: 연장덕트
200: 차단장치 210: 제 1댐퍼
220: 제 2댐퍼 300: 측정장치
400: 제어장치

Claims (12)

  1.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과 샤프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다수의 차단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에 각각 구비되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상기 차단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조덕트와, 상기 공조덕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장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공조덕트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제 1댐퍼와, 상기 연장덕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와 교차하며 개폐되는 제 2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상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라인 디퓨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디퓨져는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개방홀과,
    상기 유입덕트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가 접하는 위치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 2개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샤프트를 형성하는 벽체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 및 압력을 수신받는 통신부와,
    상기 측정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엘리베이터 탑승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8. 연돌효과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장치에서 엘리베이터 홀과 샤프트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의 압력 차이에 따라 차단장치를 조작하는 단계;
    (c) 공조덕트에 제 1댐퍼는 폐쇄하고, 연장덕트에 구비되는 제 2댐퍼는 개방하는 단계;
    (d) 탑승자에게 차압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홀과 상기 샤프트의 차압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 1댐퍼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댐퍼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상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라인 디퓨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디퓨져는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홀의 천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개방홀과,
    상기 유입덕트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연장덕트가 접하는 위치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 2개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샤프트를 형성하는 벽체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상기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방법.

KR1020180129952A 2018-10-29 2018-10-29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214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52A KR102145788B1 (ko) 2018-10-29 2018-10-29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52A KR102145788B1 (ko) 2018-10-29 2018-10-29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79A KR20200048179A (ko) 2020-05-08
KR102145788B1 true KR102145788B1 (ko) 2020-08-19

Family

ID=7067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52A KR102145788B1 (ko) 2018-10-29 2018-10-29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6220B (zh) * 2022-04-02 2023-08-25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空调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00B2 (ja) * 1995-04-26 2001-05-08 株式会社東芝 貯蔵庫の扉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6-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KR100731328B1 (ko) * 2006-04-28 2007-06-21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물의 샤프트 냉각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56B1 (ko) * 2010-05-13 2012-10-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JP3162600U (ja) * 2010-06-25 2010-09-09 潤弘精密工程事業股▲分▼有限公司 建築物用のガス交換構造
KR101291661B1 (ko) * 2011-06-23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00B2 (ja) * 1995-04-26 2001-05-08 株式会社東芝 貯蔵庫の扉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6-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KR100731328B1 (ko) * 2006-04-28 2007-06-21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물의 샤프트 냉각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79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30130693A (ko) 정상 상황 및 화재 상황에서 터널 환풍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574682B1 (ko) 실내 급배기 연계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KR102248807B1 (ko)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1800638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45788B1 (ko)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US5003865A (en) Pressure controlled fresh air supply ventilation system soil gas pressure as a reference, and method of use
KR102119098B1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0785400B1 (ko)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EP3189195A1 (de) Hochhaus mit einer anzahl von n etagen und mit einem abströmschacht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KR100640146B1 (ko)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KR20010113079A (ko)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JP2502193B2 (ja) エレベ―タ昇降路装置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240826B1 (ko) 지하철 환기구의 자동 환기 시스템
CN112393397B (zh) 电梯井道通风控制***
JP2014047606A (ja) 自然換気システムおよび自然換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