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64B1 -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64B1
KR102145764B1 KR1020200060807A KR20200060807A KR102145764B1 KR 102145764 B1 KR102145764 B1 KR 102145764B1 KR 1020200060807 A KR1020200060807 A KR 1020200060807A KR 20200060807 A KR20200060807 A KR 20200060807A KR 102145764 B1 KR102145764 B1 KR 10214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functional material
oil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나스
Priority to KR102020006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코올 60중량% 내지 80중량%; 향미성분 15중량% 내지 35중량%; 및 기능성 물질 2중량% 내지 8중량%가 함유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FRAGRANC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료는 방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의 일상생활에 기여하는 유익한 향기를 내는 물질로서, 향수, 비누, 화장품, 식료품, 추잉검, 치약, 담배, 과자, 및 의약품 등 생활용품의 향내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향료로 이용되는 물질은 상온에서 휘발성이 뛰어나며, 그 종류는 수백 종에 이른다. 향료는 장미·레몬 등에서 얻는 천연향료, 값이 싼 천연향료 및 콜타르 등의 원료로부터 분리, 정제한 단리향료, 화학반응을 거쳐 합성시킨 합성향료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단리향료와 합성향료를 합하여 인조향료라고도 한다. 또한, 용도별로는 화장품 향료와 식품 향료로 구별되는데, 화장품 향료는 단지 향기 부여를 목적으로 하지만 식품 향료는 냄새에 맛을 가미한 플레이버를 주체로 한다.
한편, 휘발성 물질들이 주요 성분들로 구성된 향수의 경우 향의 무게감 및 지속성을 크게 증가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단순히 고농도로 향료물질을 첨가 시 향 지속성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제품 산화에 의한 변색, 변질 문제가 대두되며 나아가 에탄올 냄새 발현 등의 이취에 의한 후각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수 등 향료제품의 변색과 변질 문제를 극복함과 동시에 향 지속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코올 60중량% 내지 80중량%; 향미성분 15중량% 내지 35중량%; 및 기능성 물질 2중량% 내지 8중량%가 함유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이고, 상기 향미성분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Butylphenyl Methylpropional), 헥사메틸인다노피란 (Hexamethylindanopyran),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및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향미성분에는 상기 향미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이 15중량% 내지 25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2중량% 내지 8중량% 및 페네틸알코올이 2중량% 내지 8중량% 함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이 70중량% 내지 85중량%, 상기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이 5중량% 내지 2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상기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외의 기타 기능성 물질이 5중량% 내지 25중량% 더 함유되며,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은 i) 꽈리열매추출물, 바다포도추출물, 해삼추출물, 스피루리나추출물 및 상백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천연추출물과, ii) 멘톨, 민트, 초콜릿, 감초, 시트러스, 바닐린, 에틸 바닐린, 에틸바닐린 글루코사이드, 감마 옥타락톤, 살리실산메틸, 리날롤, 라즈베리케톤, 피라진, 메톡시 아세토페논, 감마 언디케락톤,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시나믹 산, 미리스트 산, 베르가못 오일, 제라늄 오일, 아니스 오일, 레몬 오일, 생강 오일, 시나몬 오일, 레몬 오일 및 오렌지 오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기타 향미성분과, iii)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구연산, 아스파탐, 페닐알라닌, 스테비오사이드 및 로스팅 커피 추출액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이 20~40 중량%, 상기 기타 향미성분이 10~15중량%, 상기 첨가제가 20~4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향료 조성물 본연의 깊은 향 발현에 의해 발향 효과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향 지속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향료 조성물 내 향미성분이 고농도로 첨가되더라도 제품 산화에 따른 변질과 이취발현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향수의 관능특성 평가 결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알코올 베이스에 향미성분 및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향미성분이 15중량% 이상 첨가된 고농도 향료 조성물로서 발향 효과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향 지속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향료 조성물에는 알코올(예를 들어, 에탄올)이 약 60중량% 내지 80중량%(예를 들어, 약 75중량%), 후술할 향미성분이 약 15중량% 내지 35중량%(예를 들어, 약 20중량%), 후술할 기능성 물질이 2중량% 내지 8중량%(예를 들어, 약 5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향미성분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Butylphenyl Methylpropional), 헥사메틸인다노피란 (Hexamethylindanopyran),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및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미성분은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헥사메틸인다노피란, 벤질 살리실레이트 및 페네틸알코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향미성분에는 상기 향미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이 10중량% 내지 30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이 10중량% 내지 30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이 10중량% 내지 30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1중량% 내지 15중량% 및 페네틸알코올이 1중량% 내지 10중량%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향미성분에는 상기 향미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이 15중량% 내지 25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2중량% 내지 8중량% 및 페네틸알코올이 2중량% 내지 8중량%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향미성분에는 상기 향미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이 약 20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이 약 20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이 약 20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약 5중량% 및 페네틸알코올이 약 5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이 상기한 조성으로 상기 향미성분들을 포함할 경우 발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향 지속성이 더욱 증진되고, 향료의 관능특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조성에 따른 실험 결과 상기한 조성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향 특성이 약화되거나 특정 성분의 압도적 발향에 의해 해당 성분 외 다른 성분들의 발향성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고농도 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단순히 향미성분의 조성비를 높이기만 할 경우, 제품 산화에 의한 변색 및/또는 변질 문제가 발생하며, 나아가 에탄올 냄새 발현 정도가 커지는 등 이취문제, 후각 피로도 증가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향미성분을 포함함과 동시에,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은 에탄올 이취 발현을 억제하고, 상기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은 향수조성물 내 포함된 성분들의 산화 및 자유라디칼 형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료 조성물은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톨루엔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이 약 70중량% 내지 85중량%, 상기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이 약 5중량% 내지 25중량%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약 4%의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약 1%의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의 후각 피로도 감소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의 첨가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자,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 외의 기타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기능성 물질은 후술할 천연추출물, 기타 향미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은, 상기 향수 조성물이 적용될 제품의 컨셉, 추구성향 등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상기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외의 기타 기능성 물질이 약 1중량%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내지 25중량% 더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꽈리열매추출물, 바다포도추출물, 해삼추출물, 스피루리나추출물 및 상백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꽈리열매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향미성분들을 더욱 균일하게 배합시키며 상기 향수에 조성된 프로필렌 글라이콜의 특유 냄새를 잡아줄 수 있는 첨가물이다.
상기 바다포도추출물은 녹조류 중 옥덩굴과(Caulerpa) 해초로 깊은 바다에서 자생, 기온이 높은 열대성 해역에서만 서식하며, 미네랄, 비타민 등을 흡수하며 성장하는 바다포도로부터 추출된다. 바다포도추출물은 알칼리성 성질이며,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알긴산 등을 함유하여 에탄올 및 BHT 등의 화학성분에 의한 이취를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상기 해삼추출물은 시스테인(cysteine), 히스티딘(histidine), 루이신(lysine) 등 아미노산(amino acid)과 철(Fe), 인(P), 타우린(Taurine)을 함유하고 있어 인체로의 향미성분 흡수 및 발현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뽕나무, 산봉나무, 노상나무 등 동속 식물들의 뿌리껍질부분들을 지칭하는 상백피로부터 추출된 상백피추출물은 향수의 보관 유통 중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에 도움이 된다.
상기 기타 향미성분은 멘톨, 페퍼민트 및 스피어민트와 같은 민트, 초콜릿, 감초, 시트러스, 바닐린, 에틸 바닐린, 에틸바닐린 글루코사이드, 감마 옥타락톤(gamma octalactone), 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 리날룰 (linalool), 라즈베리케톤, 피라진, 메톡시 아세토페논, 감마 언디케락톤,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시나믹 산, 미리스트 산,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제라늄 오일(geranium oil), 아니스 오일, 레몬 오일, 생강 오일, 시나몬 오일, 레몬 오일 및 오렌지 오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물질일 수 있으며, 상기한 물질들을 통해 향료 조성물의 후각 피로도 감소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구연산, 아스파탐, 페닐알라닌, 스테비오사이드 및 로스팅 커피 추출액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물질로서, 상기 첨가제의 물질 및 조성에 따라 베이스 향료 고유의 향 특성을 유지하며 제품 라인업별 개성을 자연스럽게 입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로스팅 커피 추출액은 해발 1,500m 내지 3,000m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되어 습식법에 의해 수확되되, 수분 함량이 3% 내지 5%인 커피 원두를 풀시티(full city) 로스팅 방식으로 수행한 후 추출된 에스프레소액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로스팅 커피 추출액이 일정량 첨가될 경우 향미성분들 고유의 향 발현을 저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커피향을 가미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이 약 10~60 중량%, 상기 기타 향미성분이 약 5~40중량%, 상기 첨가제가 약 10~6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이 약 20~40 중량%, 상기 기타 향미성분이 약 10~15중량%, 상기 첨가제가 약 20~4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의 조성보다 각 구성성분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간 경우, 각 구성성분에 의한 효과가 발현되기 힘들고,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간 경우,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향료 조성물 고유의 향 발현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향수 외에도, 다양한 향료 화장료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피부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화장품(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 색조 화장품(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 쉐도우, 립글로즈, 립스틱, 립밤 등), 손발톱용 메이크업(메니큐어, 영양제, 강화제, 탑코트 등), 세정용 화장품(폼클린싱, 클린싱 오일, 클린싱 로션, 클린싱 크림, 클린싱 젤, 팩, 마스크, 비누, 클린싱 티슈 등), 선 케어 화장품, 바디용 화장품(바디로션, 샤워젤, 바디크림, 바디오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발에 있어서도 샴푸, 린스, 트린트먼트, 헤어팩, 헤어 에센스, 왁스, 젤, 스프레이 등의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섬유 유연제, 액상 세제, 분말 세제, 시트형 세제, 섬유 염색제, 섬유트리트먼트, 섬유린스, 표백제, 부분오염 처리제, 섬유 스타일링제, 다림질보조제, 의류 보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약 20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약 20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 약 20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 약 5중량% 및 페네틸알코올 약 5중량%를 포함하는 향미성분을 제조 후, 에탄올 약 75중량%, 상기 향미성분 약 20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약 4%,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 약 1%를 배합하여 약 8~13℃의 조화실에서 2주간 숙성된 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약 3~5℃의 조화실에서 2주간 숙성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약 16~20℃의 조화실에서 2주간 숙성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프로필렌 글라이콜이 약 5% 배합되되,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이 첨가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향수를 제조 및 숙성하였다.
비교예 4
프로필렌 글라이콜이 약 3% 배합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향수를 제조 및 숙성하였다.
비교예 5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약 15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약 20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 약 20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 약 5중량%, 페네틸알코올 약 5중량% 및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약 5중량%를 포함하는 향미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향수를 제조 및 숙성하였다.
실험예 1: 향수의 변색 및 향 변질 평가
향료 조성물의 조성 및 숙성방식에 따른 향수의 변색 및 향 변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 및 숙성된 향수들 각각을 약 60일간 상온조건에서 저장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한편, 비교예 2의 경우 비교예 1과 달리 균일하게 혼합되었으나, Lab색차값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였고 향 특성 또한 당초 설계된 것과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3 또한 비교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색차값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이와 달리 실시예 1의 향수는 변색 및 향 변질 이슈가 발생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에탄올 및 기타성분의 산화 및 휘발 정도가 비교예들 대비 유의미한 정도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관능평가
실시예 1, 비교예 4 및 5에 따른 향수들의 향 강도, 향 지속성, 향 만족도, 이취미, 자극성 및 체취 마스킹 정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도 1에 나타냈다. 관능 특성 평가는 제조 후 60일이 경과된 실시예별 향수들을 이용하여 총 18명의 평가 패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7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향수들의 관능 특성 평가 결과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향수가 모두에서 비교예 4 또는 5에 따른 향수들 대비 우수한 향 강도, 향 지속성, 향 만족도, 이취미, 자극성 및 체취 마스킹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향수는 비교예 4에 따른 향수와 유사한 수준의 향 지속성 및 체취 마스킹 특성을 보였으나, 향 강도 및 향 만족도 특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이취미 및 자극성 감소 효과 측면에서는 실시예 1의 향수가 비교예 4 대비 탁월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5에 따른 향수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향수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성향이 나타났으나, 향 지속성 및 향 만족도 특성에서는 실시예 1의 향수가 비교예 5 대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알코올 60중량% 내지 80중량%;
    향미성분 15중량% 내지 35중량%; 및
    기능성 물질 2중량% 내지 8중량%가 함유되되,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이고,
    상기 향미성분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Butylphenyl Methylpropional), 헥사메틸인다노피란 (Hexamethylindanopyran),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및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이 70중량% 내지 85중량%, 상기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이 5중량% 내지 25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성분에는 상기 향미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이 15중량% 내지 25중량%, 헥사메틸인다노피란이 15중량% 내지 25중량%,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2중량% 내지 8중량% 및 페네틸알코올이 2중량% 내지 8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상기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외의 기타 기능성 물질이 5중량% 내지 25중량% 더 함유되며,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은 i) 꽈리열매추출물, 바다포도추출물, 해삼추출물, 스피루리나추출물 및 상백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천연추출물과, ii) 멘톨, 민트, 초콜릿, 감초, 시트러스, 바닐린, 에틸 바닐린, 에틸바닐린 글루코사이드, 감마 옥타락톤, 살리실산메틸, 리날롤, 라즈베리케톤, 피라진, 메톡시 아세토페논, 감마 언디케락톤,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시나믹 산, 미리스트 산, 베르가못 오일, 제라늄 오일, 아니스 오일, 레몬 오일, 생강 오일, 시나몬 오일, 레몬 오일 및 오렌지 오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기타 향미성분과, iii)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구연산, 아스파탐, 페닐알라닌, 스테비오사이드 및 로스팅 커피 추출액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에는 상기 기타 기능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이 20~40 중량%, 상기 기타 향미성분이 10~15중량%, 상기 첨가제가 20~4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KR1020200060807A 2020-05-21 2020-05-21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07A KR102145764B1 (ko) 2020-05-21 2020-05-21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07A KR102145764B1 (ko) 2020-05-21 2020-05-21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64B1 true KR102145764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07A KR102145764B1 (ko) 2020-05-21 2020-05-21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KR102592584B1 (ko) * 2022-05-25 2023-10-23 (유)그랑핸드 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128A (ja) * 1993-09-09 1995-03-28 Kanebo Ltd 香料組成物
CN102304427A (zh) * 2011-03-17 2012-01-04 广州市澳键丰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甜香气的烟草加料香精配方
KR20140108054A (ko) * 2013-02-28 2014-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석곡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8522882A (ja) * 2015-06-29 2018-08-1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ムスク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128A (ja) * 1993-09-09 1995-03-28 Kanebo Ltd 香料組成物
CN102304427A (zh) * 2011-03-17 2012-01-04 广州市澳键丰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甜香气的烟草加料香精配方
KR20140108054A (ko) * 2013-02-28 2014-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석곡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8522882A (ja) * 2015-06-29 2018-08-1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ムスク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KR102592584B1 (ko) * 2022-05-25 2023-10-23 (유)그랑핸드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0060B1 (fr) Composition parfumee
JP2008289899A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145764B1 (ko)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546192B2 (ja) 香料組成物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5108092A1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
KR102415442B1 (ko) 감 착즙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N105496857A (zh) 柠檬香花露水
JP2013512867A (ja) 局所フレグランスを経口フレグランスと組み合わせる付香方法、付香キット
JP4711336B2 (ja) 香粧品用香料組成物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KR102675492B1 (ko) 장미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1434B1 (ko)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2675474B1 (ko) 장미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04096B (zh) 香味和芳香配制物(ii)
KR102517640B1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5973B1 (ko)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75467B1 (ko) 장미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2514B1 (ko) 석창포 향료의 사용방법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KR102016035B1 (ko)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JP2018068730A (ja) 塩基性悪臭用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