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680B1 -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680B1
KR102145680B1 KR1020190012725A KR20190012725A KR102145680B1 KR 102145680 B1 KR102145680 B1 KR 102145680B1 KR 1020190012725 A KR1020190012725 A KR 1020190012725A KR 20190012725 A KR20190012725 A KR 20190012725A KR 102145680 B1 KR102145680 B1 KR 10214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information
access
conne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5086A (en
Inventor
황민웅
정창용
김지황
송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1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8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자동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및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ireless LAN automatic connection method is disclosed. In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includes accessing a first access point; Receiving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Connecting to a second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Description

무선랜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WLAN automatic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자동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wireless LAN (WLAN), for example, to a technology related to a Wi-Fi service.

무선랜(WLAN: Wireless LAN)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무선랜 기술은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하고 있다. 무선랜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근거리 지역에서 이동하면서도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무선랜은 일반적으로 암호로 보호되어 있지만, 대역 내에 위치한 어느 장치라도 무선랜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도 가능하다. 무선랜은 설치가 용이하고 그 활용도가 높아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Wireless LAN (WLAN) is a technology that connects two or more devices using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method. Most wireless LAN technologies are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Using wireless LAN technology, users can continuously access the network while moving in a local area. Wireless LANs are generally password-protected, but they can also be opened so that any device located in the band can access resources of the wireless LAN network. Wireless LAN is widely used on a daily basis due to its easy installation and high utilization.

와이파이(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WLAN)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는 무선 통신 표준 기술 중 하나인 IEEE 802.11에 기반한 서로 다른 장치들간의 데이터 전송 규약이다.Wi-Fi is a technology that allows electronic devices to connect to a wireless LAN (WLAN). Wi-Fi is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different devices based on IEEE 802.11,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echnologies.

무선랜의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무선랜은 홈 네트워크, 기업의 무선 네트워크, 및 핫 스팟(Hot Spot, 스마트폰을 휴대폰 공유기로 만드는 기능)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무선랜 기술 및 무선랜 제품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As the use of wireless LANs increases, wireless LANs are being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ome networks, corporate wireless networks, and hot spots (a function that makes a smartphone into a mobile phone sharer), and wireless LAN technology and wireless LAN products. The demand for is steadily increasing.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기존에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던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의 존재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전달받은 디바이스가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를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사용자가 취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by a device that is already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or has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to deliver access information. In addition,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vice receiving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esses an access poi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take an action to connect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access the access point,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됨-;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first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device in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Receiving,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ransmitted from a server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provide the user information Mapped to-; Accessing a second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device may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by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device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to the serv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may be mapped and managed by the serv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may include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 결과에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may include: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around the first device;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Transmitting a signal requesting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And receiving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device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access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access to the first access point; Alternatively, it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비교 및 조합하여 생성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access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and comb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access to the first access point.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내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다른 디바이스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다.In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first device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 communication unit that searches for nearby access points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and server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accesses the first access point; Receiving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ransmitted from a server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Accessing a second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transmit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and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to the user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내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저장부;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다른 디바이스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고,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다.In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that searches for nearby access points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and server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gisters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a server; Creating a second access poi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automatically access the first access point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and store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in the storage uni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is stored in the second access point. It is provided to the first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device,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cess poi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하는 서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한다.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communication serv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and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and maps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to the user informa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제 2액세스 포인트에 제1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irst device accessing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ed by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configurations of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implemen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10), 제2 디바이스(120), 및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무선랜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의 단말로,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 중이거나,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도 무선랜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의 단말로, 제2 디바이스(120)는 아직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해 있지 않으며,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도 알지 못하는 단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may include a first device 110, a second device 120, and a first access point (AP) 130. The first device 110 is a terminal of a user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function, and may be a terminal that is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130 or store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The second device 120 is also a terminal of a user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function, and the second device 120 is not yet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and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is also provided. It may be an unknown terminal.

제1 디바이스(110) 및 제2 디바이스(120)는 제1 액세스 포인트(130) 혹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블릿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type)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으나, 제2 디바이스(12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제2 액세스 포인트(125)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10)가 제2 액세스 포인트(125)에 접속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110) 및 제2 디바이스(120)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evice 110 and the second device 120 can access the Internet 140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130 or another access point, and can use various types such as tablets and smartphones. Can include.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econd device 120 may generate the second access point 125 by software, and the first device 110 connects to the second access point 125 by the first device 110. ) And the second device 1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1 액세스 포인트(130)는 자신에게 접속한 디바이스를 인터넷(140)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중계 장치로서, 예를 들어 무선 공유기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130)는 인터넷(140)을 통하여 서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150)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디바이스 정보, 사용자가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등 무선랜 자동 연결을 위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인터넷(140)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장치(apparatus)일 수 있다.The first access point 130 is a relay device that connects a device connected to itself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140,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such as a wireless router and a smart phone. The first access poin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50 through the Internet 140. The server 15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for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such as user information, user device information,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nd is an apparatus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devices through the Internet 140. I can.

이하, 제1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와 제2 디바이스(120)의 사용자는 사용자 A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디바이스(110)는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를 저장하므로, 사용자 A는 제1 디바이스(110)를 통하여 인터넷(140)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정보(160)는 제1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서버(150)의 관리정보(170) 중 사용자 A가 사용하는 접속정보인 액세스 포인트 A1(180)에 해당되어, 제1디바이스(110)와 전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디바이스(120)는 아직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도 저장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A가 제2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인터넷(140)을 이용하려면 제2 디바이스(120)를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Hereinafter, the user of the first device 110 and the user of the second device 120 may be the same as user A.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or stores the access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the user A is the first device 110 Through the Internet 140 can be used. Here, the access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device 110 or access point A1 (access information used by user A amo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170 of the server 150) 180), all or part of the first device 110 may be shared. However, since the second device 120 is not yet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and does not stor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the user A can use the second device 120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140, a process of connecting the second device 12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mus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디바이스(120)로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를 전달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120)를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자동으로 접속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디바이스(120)로 전달되는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는 제1디바이스(110)가 미리 저장한 접속 정보 전체이거나, 또는 서버(150)의 관리정보(170) 중 사용자 A가 사용하는 접속 정보인 액세스 포인트 A1(180) 및 제1디바이스(110)가 미리 저장한 정보를 비교 및 조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ransfers the connection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from the first device 110 to the second device 120, thereby providing the second device 120 )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may provide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access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120 is all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by the first device 110 or amo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170 of the server 150 It can be created by comparing and combin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access point A1 180 and the first device 110, which is the access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가 제1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디바이스(120)로 전달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제1 디바이스(110) 및 제2 디바이스(120) 상호간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접속 정보들이 교환되는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mbodiments in which connection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110 to the second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emplary, and can be appli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to a scenario in which access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110 and the second device 120. have.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신규하게 추가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의 관리정보(170)를 참조하면, 사용자 A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a1 및 디바이스 a2와 관련하여, 디바이스 a1은 액세스 포인트 A1(180)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디바이스 a2는 신규하게 추가된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포인트 A1(180)에 접속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one or more devices are newly added.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170 of the server 150, with respect to the device a1 and the device a2 corresponding to the user A, the device a1 is a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access point A1 180, and the device a2 Is a newly added device and may be a device that wants to access the access point A1 180.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유실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의 관리정보(170)를 참조하면, 사용자 B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b1 및 디바이스 b2와 관련하여, 디바이스 b1은 액세스 포인트 B1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디바이스 b2는 액세스 포인트 B1으로의 접속 정보를 유실한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포인트 B1에 접속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device loses access information to an access point.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170 of the server 150, with respect to the device b1 and the device b2 corresponding to the user B, the device b1 is a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access point B1, and the device b2 is the access point. A device that has lost access information to B1 and wants to access the access point B1.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디바이스(120)가 시스템에 신규하게 추가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은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가 제2 디바이스(120)로부터 제1 디바이스(110)로 전달되는 시나리오, 또는 제1 디바이스(110) 및 제2 디바이스(120) 상호간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접속 정보들이 교환되는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mbodiments in which the second device 120 is newly added to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emplary, and the embodiments are a scenario in which connection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120 to the first device 110, or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scenario in which connecti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110 and the second device 120.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디바이스(120)가 신규하게 시스템에 추가되면, 제2 디바이스(120) 또는 시스템 운영자는 서버(150)에 제2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정보 및 제2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한다. 제2 디바이스(120) 또는 시스템 운영자는 유선 상으로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하거나, 제1 액세스 포인트(130)와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제3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함으로써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운영자는 실제 사람이거나 관리시스템 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device 120 is newly added to the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the second device 120 or the system operator can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vice 120 to the server 150.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vice 120 is registered. The second device 120 or the system operator registers information with the server 150 over a wire, or connects to an access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access point 130 (eg, a third access point).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the server 150 in various ways, such as registering information in ). Here, the system operator may be a real person or a management system.

서버(150)는 제1 디바이스(110)와 제2 디바이스(120)를 동일한 사용자 정보에 매핑하여 관리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정보 및 제1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정보는 미리 서버(150)로 전송되었을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접속함으로써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하거나, 유선 상으로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버(150)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 server 150 maps and manages the first device 110 and the second device 120 to the sam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11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110 may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server 150 in advance. The first device 110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server 150 by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130, or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server 150 over a wire. You can register.

서버(150)는 제2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제1 액세스 포인트(130)를 통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알림을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125)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액세스 포인트(125)는 제2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12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액세스 포인트이다.The server 15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120 to the first device 110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130 or in another manner. The first device 110 may receive a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50 and generate a signal requesting acce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125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120. . 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point 125 is an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in the second device 120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120.

제1 디바이스(110)는 제2 액세스 포인트(125)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2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제1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1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제1 디바이스(1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제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제2 디바이스(120)로부터 전송된 승인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125)에 접속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10 may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125 to the second device 120. The second device 120 may generate a signal that approves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device 110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110. The second device 120 may transmit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device 110 to the first device 110. The first device 110 may connect to the second access point 125 by receiving an author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120.

제1 디바이스(110)는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를 제2 액세스 포인트(125)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제1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의 접속 정보(160)에 기초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130)로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10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to the second device 120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125. The second device 120 may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160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110.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기존에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던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의 존재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자동 연결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전달받은 디바이스가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를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사용자가 취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by a device that is already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or has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to deliver access information. In addition,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automatic wireless LA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vice receiving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esses an access poi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take an action to connect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access the access point,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제1 디바이스(11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제2 디바이스(12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한다. 서버(15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5를 통하여 후술한다.More detai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More detai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More detai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1 디바이스는 도 6의 저장부(610), 도 6의 통신부(620), 및 도 6의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저장부(610)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620)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다른 디바이스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한다. 제어부(630)는 저장부(610) 및 통신부(620)를 제어한다.The first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610 of FIG. 6, a communication unit 620 of FIG. 6, and a control unit 630 of FIG. 6. The storage unit 610 store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communication unit 620 searches for nearby access points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and servers. The control unit 630 controls the storage unit 6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20.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210). 제1 디바이스는 도 1의 제1 디바이스(11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210은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부(631)는 저장부(610)에 포함되는 AP 접속 정보 저장부(611)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device accesses a first access point (210). The first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first device 110 of FIG. 1. Operation 21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631 included in the controller 630. For example, the device control unit 631 may access the first access poin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611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610.

제1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220). 제2 디바이스는 도 1의 제2 디바이스(12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는 도 1의 제1 액세스 포인트(130)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는 경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고, 제1 디바이스는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20은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서버 통신 수신부(62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from the server (220). The second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device 120 of FIG. 1, and the first access point may correspond to the first access point 130 of FIG. 1. Specifically, wh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to the same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the first dev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You can receive it. Step 220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communication receiver 622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230).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단계 230은 적어도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AP 스캔부(623),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 및 디바이스간 통신 수신부(621)에 의하여 더 수행될 수 있다(자세한 것은 도 3을 통하여 후술).The first device connects 230 to a second access point created by the second device. The second access point is an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Step 230 may be performed at least by the device control unit 63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30, and according to the design, the AP scan unit 623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4, and the device It may be further performed by the inter-communication receiver 621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단계 230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More details related to step 2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제1 디바이스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40).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는 저장부(610)에 포함되는 AP 접속 정보 저장부(611)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는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서버 통신 수신부(622)에 의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수신된 접속 정보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device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611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610 to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4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device may receiv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by the server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622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In this case, the first device may transmit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by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4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단계 210 내지 단계 240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저장부(610) 및 통신부(620)는 제어부(63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 접속 정보 저장부(611) 및 AP 스캔부(623)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디바이스간 통신 수신부(621) 및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는 디바이스간 통신 제어부(63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서버 통신 수신부(622)는 서버 통신 제어부(63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6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20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steps 210 to 24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30. Specifically,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611 and the AP scan unit 623 may be controll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631, and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ceiver 621 and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ransmitter 624 may communicate between devices. 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32,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receiver 622 may be controlled by the ser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633.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제 2액세스 포인트에 제1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irst device accessing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ed by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310).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범위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반경을 가지며 제1 디바이스를 그 중심으로 하는 구의 내부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범위는 제1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구현 가능한 최대 범위에 대응하는 길이의 반경을 가지며 제1 디바이스를 그 중심으로 하는 구의 내부일 수 있다. 단계 310은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AP 스캔부(62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fte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from the server, the first device may search for a nearby access poin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arch range of the access point may have a radius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inside a sphere centered on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arch range of the access point may have a radius of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range that can be physically implemented by the first device, and may be inside a sphere centered on the first device. Step 310 may be performed by the AP scan unit 623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제1 디바이스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결과에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0). 단계 320은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결과에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AP 스캔부(623)에 의하여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계속해서 탐색할 수 있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반복하여 탐색할 때, 탐색 주기를 가변하여 초기에는 짧은 주기로 탐색을 하다가 주기를 점차 늘릴 수 있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결과에 제2 액세스 포인트가 계속하여 포함되지 않는 경우, 탐색을 멈추고 서버로 제2 디바이스 검색에 계속하여 실패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이상 상황 보고를 보낼 수도 있다.The first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a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a result of searching for a nearby access point (320). Operation 32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631 included in the controller 630. If the second access point is not included in the result of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the first device may continue to search for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by the AP scan unit 623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When searching for a neighboring access point repeatedly, the search period may be varied so that the search period is initially performed with a short period and then the period may be gradually increased. If the second access point is not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result of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the search may be stopped and an abnormal situation report including the content that the search for the second device continues to fail may be sent to the server.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결과에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330).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searching for a nearby access point, the first device generates a signal requesting acce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by the device control unit 63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30. I can. The first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by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4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330).

제2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340).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신호이다. 단계 340은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수신부(62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device approves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device, the first device may receive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340 ). The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is a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Step 340 may be performed by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receiver 621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device, which receives the signal to approve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can access the second access point generated by the second device, which is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63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30. Can be don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2 디바이스는 도 6의 저장부(610), 도 6의 통신부(620), 및 도 6의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통신부(620)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다른 디바이스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한다. 제어부(630)는 저장부(610) 및 통신부(620)를 제어한다.The second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610 of FIG. 6, a communication unit 620 of FIG. 6, and a control unit 630 of FIG. 6. The communication unit 620 searches for nearby access points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and servers. The control unit 630 controls the storage unit 6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20.

도 4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운영자는 서버에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한다(410). 단계 410은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서버 통신 송신부(62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device or system operator registers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the server (410). Step 410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5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를 생성한다(420). 단계 420은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generates a second access point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420). Operation 42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631 included in the controller 630.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430).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부(62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수신부(621)에 의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제2 디바이스는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에 의하여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receives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430). Specifically, the second device receives a signal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from the first device by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receiver 621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620, an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Thus,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device may be generated by the device controller 631 included in the controller 630. Thereafter, the second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first device by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ransmitter 624.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440). 단계 440은 제어부(6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부(610)에 포함되는 AP 접속 정보 저장부(611)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first access point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440). Operation 44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631 included in the controller 630. In some cases, the second device may stor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n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611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610.

단계 410 내지 단계 440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저장부(610) 및 통신부(620)는 제어부(63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 접속 정보 저장부(611)는 디바이스 제어부(63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디바이스간 통신 수신부(621) 및 디바이스간 통신 송신부(624)는 디바이스간 통신 제어부(63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서버 통신 송신부(625)는 서버 통신 제어부(63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6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20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steps 410 to 44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30. Specifically,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611 may be controll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631, and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ceiver 621 and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4 are controlled by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ontrol unit 632. The server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625 may be controlled by the ser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633.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서버는 도 7의 저장부(710), 도 7의 제어부(720), 및 도 7의 통신부(730)를 포함한다. 저장부(710)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통신부(730)는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한다. 제어부(720)는 저장부(710) 및 통신부(730)를 제어한다.The server includes a storage unit 710 of FIG. 7, a control unit 720 of FIG. 7, and a communication unit 730 of FIG. 7. The storage unit 710 stores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and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communication unit 73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other devices. The control unit 720 controls the storage unit 7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730.

도 5를 참조하면, 서버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510). 단계 510은 통신부(7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통신 수신부(73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erver receives user information of a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510). Operation 51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731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730.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경우, 서버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를 동일한 사용자 정보에 매핑하여 관리한다(520). 이 경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미리 수신되었을 수 있다. 단계 520은 저장부(710)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711) 및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71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correspond to the same user, the server maps and manages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to the same user information (520). In this case,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may have been previously received. Operation 520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711 and the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712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710.

서버는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한다(540). 단계 540은 통신부(7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통신 송신부(73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erver transmits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the first device (540). Operation 54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732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730.

설계에 따라, 서버는 저장부(710)에 포함되는 AP 접속 정보 저장부(713)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530). 단계 530은 통신부(73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통신 송신부(73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우, 단계 530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 및 서버에 저장된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비교 또는 조합하여 온전한 제1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the server may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713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710 to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530). Operation 530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732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730. When the first device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step 530 may be omitted. Alternatively, the first device compares or combines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first device and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stored in the server to transfer the complet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Can be transmitted.

단계 510 내지 단계 540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저장부(710) 및 통신부(730)는 제어부(7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 저장부(711),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712), 및 AP 접속 정보 저장부(713)는 정보 매핑 관리부(721), 신규 정보 등록부(722), 및 갱신 정보 등록부(72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디바이스 통신 수신부(731) 및 디바이스 통신 송신부(732)는 디바이스 통신 제어부(72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7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730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steps 510 to 54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20. Specifically,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711, the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712, and the AP access information storage unit 713 include an information mapping management unit 721, a new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722, and an updat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723. The devic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731 and the device communication transmitting unit 732 may be controlled by the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unit 724.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24)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WLAN: Wireless LAN)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A wireless LAN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P),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 In a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device in a WLAN: Wireless LAN) system,
Connecting to the first access point;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mapped to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from a server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at least one access point searched 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And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Including,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to the user information,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연결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device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to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매핑되어 관리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are mapped and managed in the server,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Containing,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 결과에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around the first device;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Transmitting a signal requesting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And
Receiving a signal to approve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Containing,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Further comprising,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에 대응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를 비교 및 조합하여 생성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and combining
How to operate the first device.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WLAN: Wireless LAN) 시스템 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고,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제1 디바이스.
A wireless LAN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P),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 In the first device in the WLAN: Wireless LAN) system,
A memory for stor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ccess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mapped to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from a server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access point found in,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if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accesses the second access point,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Including,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to the user informatio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연결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by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The first device to transmit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to the ser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매핑되어 관리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device, wherein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are mapped and managed by the ser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In order to access the first access point,
A first device that connects to the Interne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 결과에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In order to access the second access point,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around the first device;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to receive a signal to approve the connection request sent from the second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A first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에 대응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한 정보;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를 비교 및 조합하여 생성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제1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first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and combining.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WLAN: Wireless LAN) 시스템 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하는
제2 디바이스.
A wireless LAN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P),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 In the second device in the WLAN: Wireless LAN) system,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a server; Creating a second access poi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from the first device mapped to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t least one processor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access point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And
A memory for stor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Including,
The second access poi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mapped to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from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access point searched 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if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The first device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Second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매핑되어 관리되는, 제2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9,
The second device, wherein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re mapped and managed by the serv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속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cessor is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from the first device; Generating a signal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request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The second device,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first device to approve the connection request.
제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랜(WLAN: Wireless LAN) 시스템과 통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에 매핑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하는
서버.

A wireless LAN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P), a first devic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a second device not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 In a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a WLAN: Wireless LAN) system,
A memory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nd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device;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Mapping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to the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to the first device mapped with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Including,
The first device
Accessing the first access point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mapped to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from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access point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at least one access point searched 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accessing the second access point if the second access point is included; The first device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access point.
server.

삭제delet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22,
The processor is
The serv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access point.

KR1020190012725A 2019-01-31 2019-01-31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145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25A KR102145680B1 (en) 2019-01-31 2019-01-31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25A KR102145680B1 (en) 2019-01-31 2019-01-31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86A KR20200095086A (en) 2020-08-10
KR102145680B1 true KR102145680B1 (en) 2020-08-18

Family

ID=7204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725A KR102145680B1 (en) 2019-01-31 2019-01-31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27B1 (en) * 2016-10-06 2017-06-16 주식회사 엔비레즈 System for registrating additional user f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740A (en) * 2007-11-01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KR102025754B1 (en) * 2012-11-0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on wifi network
KR101885500B1 (en) * 2013-08-29 2018-08-03 애플 인크. Porting wifi sett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27B1 (en) * 2016-10-06 2017-06-16 주식회사 엔비레즈 System for registrating additional user f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86A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784B2 (en) Method for smart device to access network, mobile terminal, cloud server, device, and system
WO2016101729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830940B1 (en) Porting wifi settings
US20210266226A1 (en) Soft configuration and data exchange for in-home devices
WO2019011203A1 (en) Device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18166323A (en) Network service configuration method and network management device
TW202007221A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WO20181075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JP2021184308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CN111371817A (en) Equipment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3100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local area network based on WIFI between devices in a private cloud
JP2017514410A (en) Discriminating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KR102145680B1 (en)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and apparatus thereof
US20160212140A1 (en) Zeroconf profile transferring to enable fast roaming
CN110943962B (en) Authentica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authentication server and forwarding equipment
KR20210015088A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and access point
KR102071281B1 (en) Method for intergraged authentication thereof
KR102119160B1 (en) Method for generating of access controllr based of virtualization annd server thereof
US117855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rolling a wireless access point into a map wireless network
KR102021837B1 (en) Method for onboarding iot devices in cloud servic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Lee Non-connection wireless IoT network control using WiFi and bluetooth beacon
KR101806439B1 (en)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JP2019154028A (en) Dynamic data package access for mobile device
Chang et al. Intelligent adaptation for UEC video/voice over IP with access control
US20230007083A1 (en)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