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24B1 - 접착 테이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24B1
KR102144724B1 KR1020187030126A KR20187030126A KR102144724B1 KR 102144724 B1 KR102144724 B1 KR 102144724B1 KR 1020187030126 A KR1020187030126 A KR 1020187030126A KR 20187030126 A KR20187030126 A KR 20187030126A KR 102144724 B1 KR102144724 B1 KR 10214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adhesive tape
tape
cov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775A (ko
Inventor
가즈노리 하마자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고,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21)과, 접착 필름(22)과, 커버 필름(2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20)와, 접착 테이프(20)와 연결하며, 접착 테이프(20)의 커버 필름(2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커버 필름(23)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완전히 제거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필름(22)의 단부에 공극부(22a)를 갖는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 구조체
본 기술은 접착 필름이 연결되어, 장척화된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6년 5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2016-101689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 다양한 전자 부품 등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 필름으로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NCF(Non Conductive Film)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착 필름은, 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에 협지되고, 협폭이며 장척의 접착 테이프의 상태로 릴에 권취되어, 보존, 보관, 운반 등이 행해진다.
최근 몇년간, 하나의 릴에 권취 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하는 소위 「장척화」가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연결 테이프를 통해 접착 테이프를 접속하여 장척화함과 함께,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과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부착 장치를 사용하여 피착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접착 필름을 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8632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장척화에서는, 예를 들어 권취수 증가에 따른 권취압의 부하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큰 연결 테이프와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 커버 필름이 박리될 때에 접착 필름도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버려, 블로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기술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고,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기술에 관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와, 상기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 연결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적어도 일부 제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기술에 관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는 제거 공정과, 상기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의 방향을 정렬시켜, 원단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원단 연결 테이프로 연결하고, 복수의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하는 연결 공정과, 상기 연결된 원단 접착 테이프와 원단 연결 테이프를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절단된 접착 테이프와 연결 테이프를, 상기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이 되도록 릴에 권취하는 권취 공정을 갖는다.
본 기술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 단부가 적어도 일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고,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접착 필름을 접속 부재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구체예 1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구체예 2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구체예 3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구체예 4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구체예 5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구체예 6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구체예 7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구체예 8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구체예 9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구체예 10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구체예 11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구체예 12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구체예 13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구체예 14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구체예 15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구체예 16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구체예 17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하기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부착 장치
2. 접착 테이프 구조체
3. 구체예
<1.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부착 장치>
도 1은, 접착 필름을 접속 부재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장치는 접착 테이프(1)를 갖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권취된 릴(2)을 장착하는 권출 축(3)과,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감는 롤러(4a 내지 4e)와, 커버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롤러(5)와, 접착 필름을 소정 길이로 커트하는 커터부(6)와,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부착부(7)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a)과, 접착 필름(1b)과, 커버 필름(1c)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1)가 연결 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릴의 빈번한 교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50 내지 5000m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릴(2)로부터 인출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롤러(4a 내지 4e)에 의해 감겨, 우선 박리 롤러(5)에 의해 커버 필름(1c)이 박리되고, 커버 필름(1c)이 권취된다. 이어서, 커터부(6)에 의해 베이스 필름(1a)은 절단하지 않고 접착 필름(1b)만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하프컷이 행해진다. 그리고, 부착부(7)의 열 압착 헤드가 접착 테이프(1)를 베이스 필름(1a)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스테이지(8) 상의 부착 대상물(9)에 소정 길이의 접착 필름(1b)이 전착된다. 접착 필름(1b)이 전착된 접착 테이프(1)는, 베이스 필름(1a)만이 되어 권취된다.
또한, 부착 장치는, 연결 테이프가 열 압착 헤드로 압박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연결 테이프를 비투과성으로 하고, 커터부(6)의 광 센서에 의해 연결 테이프를 검지함으로써, 연결 테이프가 하프컷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열 압착 헤드에 의해 압박되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반송을 제어한다.
<2. 접착 테이프 구조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제1 접착 테이프(10)와, 제2 접착 테이프(20)와, 제1 접착 테이프(10)와 제2 접착 테이프(20)를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제1 접착 테이프(10) 및 제2 접착 테이프(20)는, 각각 베이스 필름(11, 21)과, 접착 필름(12, 22)과, 커버 필름(13, 2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 테이프(30)는,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착 테이프(10)의 베이스 필름(11)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연결 기재(31)의 단부는,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에 의해 접착되고, 제2 접착 테이프(20)의 베이스 필름(21)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연결 기재(31)의 단부는, 제2 베이스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필름(11, 21)과 연결 기재(31)가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는,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에 의해 접착되고, 제2 접착 테이프(20)의 커버 필름(23)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는, 제2 커버측 접착 부재(52)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13, 23)과 박리 필름(3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측 접착 부재(41, 42) 및 커버측 접착 부재(51, 52)는, 기재 상에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층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그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10, 20)와 연결 테이프(30)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접착력을 갖고, 또한 접합시의 작업성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10 내지 100mm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 테이프]
접착 테이프(10, 20)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베이스 필름(11, 21) 상에 접착 필름(12, 22)과 커버 필름(13, 23)이 순차 설치된 3층 구조이다. 접착 테이프(10, 20)는 연결 테이프(30)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구성되며, 각 접착 테이프(10, 20)의 길이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접착 테이프(10, 2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사용시의 연결 테이프(30)의 스킵의 횟수를 적게 하는 것, 및 접착 테이프(10, 20)의 도포 설비의 최대 도포 길이를 고려하면, 10 내지 1000m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 21)은 테이프상으로 성형되며, 접착 필름(12, 22)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이다. 베이스 필름(11, 21)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PET(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OPP(배향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PMP(폴리-4-메틸펜텐-1(Poly-4-methylpentene-1)),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1, 21)은, 적어도 접착 필름(12, 22)측의 면이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에 의해 박리 처리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 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재료 강도의 확보와 권취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1, 21)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각종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덮는 관점에서는 20 내지 2000㎛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접착 필름(12, 22)으로서는, 전자 부품을 회로 기판 등에 실장하는 COG(Chip On Glass) 실장이나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FOG(Film On Glass) 실장 등에 사용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rtropic Conductive Film), 접착제 필름(NCF: Non Conductive Film), 태양 전지의 전극과 탭 선을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 필름 등이 예시된다. 접착 필름(12, 22)의 바인더로서는, 통상의 접착용 테이프의 접착제에 사용하는 수지, 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 필름(12, 2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각종 전자 부품의 높이에 변동이 있는 단자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 필름(13, 23)은, 접착 필름(12, 22)을 보호하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박리되는 것이다. 커버 필름(13, 23)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베이스 필름(11, 21)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13, 23)은, 적어도 접착 필름(12, 22)측의 면이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에 의해 박리 처리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버 필름(13, 2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재료 강도의 확보와 권취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 테이프]
연결 테이프(30)는, 연결 기재(31) 상에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순차 설치된 3층 구조이다. 연결 테이프(30)는, 접착 테이프(10, 20)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며, 각 연결 테이프(30)의 길이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연결 테이프(3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광 센서에 의한 센싱이 가능하며, 또한 라인의 반송 속도를 가능한 한 낮추지 않는 관점에서 50 내지 1000mm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 기재(31)는 테이프상으로 성형되며, 점착 필름(32)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이다. 연결 기재(31)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베이스 필름(11, 21)과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기재(31)로서는, 광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한 비투광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하는 수지 중에 흑색의 필러를 분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센서에 의해 연결 테이프(30)를 검출할 수 있으며, 연결 테이프(30)가 하프컷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열 압착 헤드에 의해 압박되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반송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 기재(31)의 두께 및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원활한 권취, 인출 및 주행을 행하는 관점에서 접착 테이프(10, 20)의 베이스 필름(11, 21)과 동등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32)은 박리 필름(33)을 원활하게 박리시키기 위한 것이며, 본래적으로 피착체에 대하여 전사되지 않고, 스킵되는 부분이다. 점착 필름(32)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접착 테이프(10, 20)의 접착 필름(12, 22)과 조성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경화계의 수지 또는 경화 후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의 박리력은, 접착 필름(12, 22)과 커버 필름(13, 23)의 박리력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박리 필름(33)을 박리할 때에, 반송 속도가 일시적으로 변화되어 제조 라인의 반송 속도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필름(3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필름(12, 22)과 동등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33)은 점착 필름(32)을 보호하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커버 필름(13, 23)과 일체가 되어 박리된다. 박리 필름(33)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커버 필름(13, 23)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필름(3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원활한 권취, 인출 및 주행을 행하는 관점에서, 접착 테이프(10, 20)의 커버 필름(13, 23)과 동등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구체예>
구체예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와,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연결하며, 복수의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 연결 테이프를 구비하고,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적어도 일부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도 2에 도시하는 제2 접착 테이프(20)에 있어서, 연결 테이프(30)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적어도 일부 제거되어 구성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23)의 박리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23)의 박리시에 접착 필름(22)이 베이스 필름(21)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는 제거 공정과,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의 방향을 정렬시켜, 원단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원단 연결 테이프로 연결하고, 복수의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하는 연결 공정과, 연결된 원단 접착 테이프와 원단 연결 테이프를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절단된 접착 테이프와 연결 테이프를,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이 되도록 릴에 권취하는 권취 공정을 갖는 것이다.
이하,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 즉 제2 접착 테이프(20)가 연결 테이프(30)와 연결되는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 즉 제1 접착 테이프(10)가 연결 테이프(30)와 연결되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와 마찬가지인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예 1]
도 3은, 구체예 1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21)과, 접착 필름(22)과, 커버 필름(2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20)와, 접착 테이프(20)와 연결되며, 접착 테이프(20)의 커버 필름(2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커버 필름(23)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완전히 제거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필름(22)의 단부에 공극부(22a)를 갖는다. 즉,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커버 필름(23)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제거되어 있다. 접착 필름(22)의 단부의 제거 길이, 즉 공극부의 길이는, 지나치게 짧으면 비어져 나옴 억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지나치게 길면 접착 필름(22)의 사용 가능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1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완전히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23)의 박리시에 접착 필름(22)이 베이스 필름(21)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제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1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제거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2]
도 4는, 구체예 2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1과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2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일부 제거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필름(22)의 단부의 일부에 공극부(22b)를 갖는다. 즉,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커버 필름(23)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접착제부(22c)를 가진 후, 소정 길이의 공극부(22b)를 갖는다. 공극부(22b)의 길이는, 지나치게 짧으면 블로킹 억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지나치게 길면 접착 필름(22)의 사용 가능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1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23)의 박리 방향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일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접착제부(22c)에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에도 공극부(22b)를 갖기 때문에, 커버 필름(23)의 박리시에 접착제(22c)만이 베이스 필름(21)으로부터 박리되게 되어, 박리 방향의 접착 필름(22)이 베이스 필름(21)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제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남기고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2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접착제부를 가진 후, 소정 길이의 공극부를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3]
도 5는, 구체예 3의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3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1과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2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20)는, 커버 필름(23)의 박리 방향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완전히 제거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편면 접착 테이프(22d)로 베이스 필름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예 3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23)의 박리 방향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22)의 단부가 제거되고, 또한 편면 접착 테이프(22d)로 베이스 필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23)의 박리시에 접착 필름(22)이 베이스 필름(21)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예 3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제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완전히 제거하고, 접착 필름의 단부를 편면 접착 테이프로 베이스 필름에 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3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완전히 제거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필름의 단부가 편면 접착 테이프로 베이스 필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4]
도 6은, 구체예 4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연결 테이프(3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필름(32)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커버 필름(13)에 걸쳐서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가 부착되어 있다. 박리 필름(33)의 단부의 연장 길이는, 지나치게 짧아도 지나치게 길어도 박리 용이성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2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의 단부에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에도 커버 필름(13)의 박리시에 강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원단 연결 테이프의 한쪽의 점착 필름의 단부를 제거하고,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거된 점착 필름의 단부의 박리 필름을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 상에 겹쳐서 연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4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4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커버 필름의 단부가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5]
도 7은, 구체예 5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4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연결 테이프(3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a)로 커버 필름(13) 상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a)는, 박리 필름(32)의 단부로부터 커버 필름(13)에 걸쳐서 부착되며,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a)의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단부가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 상에 있다.
구체예 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의 단부에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에도 커버 필름(13)의 박리시에 강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a)의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단부가,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 상에 있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10)의 종단부측의 단부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원단 연결 테이프의 한쪽의 점착 필름의 단부를 제거하고,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거된 점착 필름의 단부의 박리 필름을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 상에 겹쳐, 원단의 제1 커버측 접착 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5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2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커버 필름의 단부가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커버 필름의 단부가 제1 커버측 접착 부재로 박리 필름 상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6]
도 8은, 구체예 6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4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연결 테이프(3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가 양면 접착 테이프(33a)로 접합되고, 박리 필름(32)의 단부로부터 커버 필름(13)에 걸쳐서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가 부착되어 있다.
구체예 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의 단부에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에도, 커버 필름(13)의 박리시에 강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가 양면 접착 테이프(33a)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에서 커버 필름(13)으로부터 박리 필름(32)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예 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원단 연결 테이프의 한쪽의 점착 필름의 단부를 제거하고,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거된 점착 필름의 단부의 박리 필름을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 상에 겹쳐, 원단의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6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6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커버 필름의 단부가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커버 필름과 박리 필름의 중첩부가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접합되고, 커버 필름의 단부로부터 박리 필름에 걸쳐서 제2 커버측 접착 부재를 부착하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7]
도 9는, 구체예 7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7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4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연결 테이프(3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가 양면 접착 테이프(33b)로 접합되어 있다.
구체예 7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가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 상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의 단부에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 경우에도, 커버 필름(13)의 박리시에 강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박리 필름(32)과 커버 필름(13)의 중첩부에서 커버 필름(13)으로부터 박리 필름(32)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높은 양면 접착 테이프(33b)를 사용함으로써, 박리 필름(32)의 단부로부터 커버 필름(13)에 걸쳐서 부착하는 제1 커버측 접착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구체예 7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6과 마찬가지로 원단 연결 테이프의 한쪽의 점착 필름의 단부를 제거하고,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거된 점착 필름의 단부의 박리 필름을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 상에 겹쳐, 원단의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7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7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커버 필름의 단부가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 상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커버 필름과 박리 필름의 중첩부가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접합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8]
도 10은, 구체예 8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8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제1 접착 테이프(10)의 베이스 필름(11)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연결 기재(31)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와, 제1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b)를 구비한다.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b)의 두께는,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의 두께보다도 작다.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b)의 구체적인 두께로서는, 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8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b)가 얇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받는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8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의 두께보다도 작은 두께를 갖는 원단의 제1 커버측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의 단부와 원단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를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8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구체예 1 내지 3에 있어서, 제2 커버측 접착 부재(52)의 두께가 제2 베이스측 접착 부재(42)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받는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커버 필름(23)이 접착 필름(2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8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9]
도 11은, 구체예 9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9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양면 접착 테이프(61)를 구비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61)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12)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점착 필름(32)의 단부를 제1 접착면(61a)에서 접속하고,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제2 접착면(61b)에서 접속한다.
구체예 9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가 양면 접착 테이프(61)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응력이 가해져도,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9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0]
도 12는, 구체예 10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0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9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연결 테이프(30)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양면 접착 테이프(62)를 구비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62)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을 접착한다.
구체예 10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가 양면 접착 테이프(62)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응력이 가해져도,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0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한 후, 원단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원단 연결 테이프로 연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1]
도 13은, 구체예 11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제1 접착 테이프(10)의 베이스 필름(11)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연결 기재(31)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와, 제1 접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0)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c)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c)의 길이는,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의 길이보다도 크다.
구체예 1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제1 커버측 접착 부재(51c)의 길이가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41)의 길이보다도 크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받는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1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의 길이보다도 큰 길이를 갖는 원단의 제1 커버측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의 단부와 원단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를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예 11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접착 테이프의 시단부측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즉, 구체예 1 내지 3에 있어서, 제2 커버측 접착 부재(52)의 두께가 제2 베이스측 접착 부재(42)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받는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커버 필름(23)이 접착 필름(2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11에 있어서,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2]
도 14는, 구체예 12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편면 접착 테이프(63)를 구비한다.
편면 접착 테이프(63)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12)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점착 필름(32)의 단부를 접착면(63a)에서 접속한다. 또한, 접착면(63a)의 반대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1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편면 접착 테이프(63)와 커버 필름(13) 사이의 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 필름(12)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편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3]
도 15는, 구체예 13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2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12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편면 접착 테이프(64)를 구비한다.
편면 접착 테이프(64)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접착면(64a)에서 접속한다. 또한, 접착면(64a)의 반대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13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편면 접착 테이프(64)와 접착 필름(12) 사이의 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 필름(12)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3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편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4]
도 16은, 구체예 14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12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되며, 양면 박리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양면 박리 테이프(65)를 구비한다.
구체예 1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양면 박리 테이프(65)와 접착 필름(12) 사이, 및 양면 박리 테이프(65)와 커버 필름(13) 사이의 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 필름(12)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14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양면 박리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5]
도 17은, 구체예 15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편면 접착 테이프(66)를 구비한다.
편면 접착 테이프(66)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13)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점착 필름(32)의 단부를 접착면(66a)에서 접속하고, 편면 접착 테이프(66)의 중심부는 연결 테이프(30) 내에 있다. 또한, 접착면(66a)의 반대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1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편면 접착 테이프(66)와 커버 필름(13) 사이의 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 필름(12)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면 접착 테이프(66)의 중심부가 연결 테이프(30) 내에 있기 때문에, 접착 필름(12)의 사용 잔류물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구체예 15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편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6]
도 18은, 구체예 16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구체예 15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양면 접착 테이프(67)를 구비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67)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12)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점착 필름(32)의 단부를 제1 접착면(67a)에서 접속하고,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제2 접착면(67b)에서 접속한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67)는, 제1 접착면(67a)과 접착 필름(12)의 접착력이 제2 접착면(67b)과 커버 필름(13)의 접착력보다도 작다.
구체예 1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의 사이가 양면 접착 테이프(67)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응력이 가해져도,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67)는, 제1 접착면(67a)과 접착 필름(12)의 접착력이 제2 접착면(67b)과 커버 필름(13)의 접착력보다도 작기 때문에, 접착 필름(12)의 사용 잔류물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구체예 1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예 17]
도 19는, 구체예 17의 접착 테이프의 종단부측 연결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예 17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11)과,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접착 테이프(10)와, 연결 기재(31)와,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0)와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에 삽입된 양면 접착 테이프(68)를 구비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68)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필름(12)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점착 필름(32)의 단부를 제1 접착면(68a)에서 접속하고,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커버 필름(13)의 단부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박리 필름(33)의 단부를 제2 접착면(68b)에서 접속한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68)의 중심부에는, 절입(68c)이 들어가 있다.
구체예 16으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 의하면,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종단부측의 접착 테이프(10)의 단부의 접착 필름(12)과 커버 필름(13) 사이, 및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연결 테이프(30)의 단부의 점착 필름(32)과 박리 필름(33) 사이가 양면 접착 테이프(68)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의 롤러에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굴곡되었을 때에 응력이 가해져도, 커버 필름(13)이 접착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68)의 중심부에 절입(68c)을 갖기 때문에, 접착 필름(12)의 사용 잔류물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구체예 17로서 나타내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상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원단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 및 원단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점착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 접착 테이프, 2: 릴, 3: 권출 축, 4a 내지 4e: 롤러, 5: 박리 롤러, 6: 커터부, 7: 부착부, 8: 스테이지, 10: 제1 접착 테이프, 11: 베이스 필름, 12: 접착 필름, 13: 커버 필름, 20: 제2 접착 테이프, 21: 베이스 필름, 22: 접착 필름, 22a: 공극부, 22b: 공극부, 22c: 접착제, 22d: 편면 접착 테이프, 23: 커버 필름, 30: 연결 테이프, 31: 연결 기재, 32: 점착 필름, 33: 박리 필름, 33a: 양면 접착 테이프, 41: 제1 베이스측 접착 부재, 42: 제2 베이스측 접착 부재, 51, 51a, 51b: 제1 커버측 접착 부재, 52: 제2 커버측 접착 부재, 61: 양면 접착 테이프, 62: 양면 접착 테이프, 63: 편면 접착 테이프, 64: 편면 접착 테이프, 65: 양면 박리 테이프, 66: 편면 접착 테이프, 67: 양면 접착 테이프

Claims (5)

  1.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와,
    상기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된 연결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적어도 일부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1mm 내지 10mm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제거되고, 당해 접착 필름의 단부가 편면 접착 테이프로 베이스 필름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의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의 선단으로부터 박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접착제부를 가진 후, 1mm 내지 10mm의 공극부를 갖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
  5. 베이스 필름과, 접착 필름과, 커버 필름이 이 순서대로 설치된 원단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접착 필름의 단부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는 제거 공정과,
    상기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의 방향을 정렬시켜, 원단 접착 테이프의 사이를 원단 연결 테이프로 연결하고, 복수의 원단 접착 테이프의 커버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하는 연결 공정과,
    상기 연결된 원단 접착 테이프와 원단 연결 테이프를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절단된 접착 테이프와 연결 테이프를, 상기 적어도 일부 제거된 접착 필름의 단부가 커버 필름 박리 방향의 시단부측이 되도록 릴에 권취하는 권취 공정
    을 갖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87030126A 2016-05-20 2017-05-08 접착 테이프 구조체 KR102144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1689 2016-05-20
JP2016101689A JP6783552B2 (ja) 2016-05-20 2016-05-20 接着テープ構造体
PCT/JP2017/017425 WO2017199781A1 (ja) 2016-05-20 2017-05-08 接着テープ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775A KR20180120775A (ko) 2018-11-06
KR102144724B1 true KR102144724B1 (ko) 2020-08-14

Family

ID=6032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126A KR102144724B1 (ko) 2016-05-20 2017-05-08 접착 테이프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4459B2 (ko)
JP (1) JP6783552B2 (ko)
KR (1) KR102144724B1 (ko)
CN (1) CN109072025B (ko)
MY (1) MY193855A (ko)
WO (1) WO2017199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1773B (zh) * 2019-08-19 2024-02-13 泛泰大西(常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边挖孔胶带的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017A (ja) * 2003-01-08 2004-07-29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テープ、接着剤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の圧着方法
JP2015086325A (ja) 2013-10-31 2015-05-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JP2015113382A (ja) * 2013-12-10 2015-06-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3568A (en) * 1966-11-14 1970-03-31 Eastman Kodak Co Attaching tape
US4917753A (en) * 1986-11-07 1990-04-17 Ferm & Torgerson Two-sided adhesive tape
JPH0520524Y2 (ko) * 1987-10-28 1993-05-27
US6863945B2 (en) * 2001-12-31 2005-03-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able splice for a stabilized absorbent
CN100548840C (zh) * 2002-07-30 2009-10-14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粘接材料带连接体及粘接材料带的连接方法
JP4434281B2 (ja) * 2008-01-11 2010-03-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テープの接続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接続体
US9076833B2 (en) * 2010-10-15 2015-07-0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ape for processing wafer, method for manufacturing tape for processing waf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5731080B2 (ja) * 2013-03-28 2015-06-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ウエハ加工用テープ
JP2015212359A (ja) * 2014-04-17 2015-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US10328670B2 (en) * 2015-09-17 2019-06-25 Intertape Polymer Corp. Carton sealing security t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017A (ja) * 2003-01-08 2004-07-29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テープ、接着剤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の圧着方法
JP2015086325A (ja) 2013-10-31 2015-05-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JP2015113382A (ja) * 2013-12-10 2015-06-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2025B (zh) 2020-08-11
CN109072025A (zh) 2018-12-21
MY193855A (en) 2022-10-28
JP6783552B2 (ja) 2020-11-11
KR20180120775A (ko) 2018-11-06
US20190071590A1 (en) 2019-03-07
US10934459B2 (en) 2021-03-02
WO2017199781A1 (ja) 2017-11-23
JP2017206657A (ja)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601B1 (ko) 접착 테이프 구조체 및 접착 테이프 수용체
CN101683934B (zh) 粘接剂带卷
KR101180619B1 (ko)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KR102286222B1 (ko) 접착 테이프 구조체 및 접착 테이프 수용체
JP6313575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KR102144724B1 (ko) 접착 테이프 구조체
JP6696827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96828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96826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89135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68164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TWI774850B (zh) 接著帶和接著帶捲繞捲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