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607B1 - 소둔로용 노 머플 - Google Patents

소둔로용 노 머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607B1
KR102144607B1 KR1020157035990A KR20157035990A KR102144607B1 KR 102144607 B1 KR102144607 B1 KR 102144607B1 KR 1020157035990 A KR1020157035990 A KR 1020157035990A KR 20157035990 A KR20157035990 A KR 20157035990A KR 102144607 B1 KR102144607 B1 KR 10214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furnace
muffle
actuator
furnace mu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261A (ko
Inventor
토마스 프로뵈제
Original Assignee
산드빅 마테리알스 테크놀로지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마테리알스 테크놀로지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산드빅 마테리알스 테크놀로지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1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5/10Mu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5/18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 F27B9/0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heated through chamber walls
    • F27B9/082Muffl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Devices for monitoring thermal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소둔로용 노 머플로서, 가열될 용적을 한정하도록 설정되는 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 머플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기본체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상기 액츄에이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상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힘 또는 길이에서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기본체에 가해진 힘을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둔로용 노 머플 {FURNACE MUFFLE FOR AN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될 용적 (volume) 을 한정하도록 배열된 기본체를 가진 소둔로용 노 머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노 머플을 구비한 소둔로에 관한 것이다.
실제 생성 또는 제조 후의 가공물들을 제어된 방식으로 재료 특성들을 개선시키는 가열에 노출시키도록 소둔로들이 사용된다.
특히, 냉간 성형, 즉 예를 들어 냉간 필거링 또는 냉간 인발에 의해 제조된 스테인리스 강 튜브들은 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소둔로에서 성형한 후에 소둔된다. 강 튜브들을 소둔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소둔로는 거의 어떠한 형상으로 될 수 있는 다른 값싼 이용가능한 재료 또는 금속으로부터 제조되는 노 머플 기본체를 포함하면 충분하다.
하지만, 노 머플들 자체의 기본체들은 이들에 의해 한정된 용적의 가열로 인해 상당한 변형을 받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들이 연속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일시적으로 오프 전환되기 때문에 그리고 노들이 이 기간 동안 냉각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은 추가로 증가된다. 이러한 냉각 및 가열 사이클들로 인해, 노 머플의 명확한 변형들이 발생한다.
노 머플 또는 이들의 기본체들의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서, 머플은 증가된 마모를 받게 되고 그리고 새로운 머플로 곧 교체되어야 한다. 추가로, 머플 자체가 외부에서 가열되는, 즉 머플의 기본체가 이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을 가열하기 위한 복사 소스로서 사용되는 노들에서, 노 머플의 변형은 노의 용적 가열을 불균일하게 만들고 그리고 재료의 탬퍼링 또는 소둔은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문제점은, 소둔로의 가열 및 냉각 동안 발생되는 바와 같이, 가열 동안 및/또는 현저한 온도차들에도 불구하고 기본체가 과도한 변형을 받지 않는 노 머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는, 기본체가 가열될 용적을 한정하도록 설정되는 기본체를 가진 소둔로용 노 머플에 의해 해결되고, 상기 노 머플은 :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기본체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기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액츄에이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상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힘 또는 길이에서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기본체에 가해진 힘을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외부로부터 제어된 힘 인가에 의해, 즉 적합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노 머플의 기본체의 열적으로 유발된 변형에 대응 (counteract) 하는 것이다. 기본체의 형상 및 팽창이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면, 그 후 노 머플의 마모는 상당히 저감될 수 있다.
노 머플의 기본체의 이러한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서, 센서에 의해 기본체의 초기 변형을 검출한 후, 센서에 의해 검출된 변형에 대한 값 또는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변형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는, 변형 동안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 및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써 또는 추가로, 센서는 길이에서의 변경, 즉 노 머플의 가열 또는 냉각 동안 기본체의 수축 또는 팽창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그 후에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진 힘이 센서에 의해 검출된, 노 머플의 가열 또는 냉각 동안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진 힘은, 노 머플의 가열 또는 냉각 동안 기본체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고 그리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힘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한다.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그에 따라서 노 머플의 작동 동안 기본체에 인장력 및/또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정 및 배열된다.
노 머플의 기본체가 가열되면, 그 후에 기본체의 재료의 인장이 변경되고 그리고 기본체는 예를 들어 소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된다. 이는 기본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서 기본체의 변형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기본체가 일부 섹션들에서 원형의 일부 형상으로 되는 단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관형 형상을 가지면, 그 후에 소성 변형성은 또한 종종 상부측 또는 기본체의 커버의 붕괴 (collapse) 를 유도한다. 그 후, 상부측이 처진다 (slags). 기본체의 이러한 붕괴 또는 처짐은 기본체에 인장력들을 가함으로써 유리하게 대응될 수 있다. 기본체의 붕괴 또는 처짐은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서 또는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으로서 이의 단부들에서 검출될 수 있다.
적합한 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 머플의 작동 동안, 가열 또는 냉각 동안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으로부터 또는 가열 또는 냉각 동안 기본체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힘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질 힘에 대한 목표값을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기본체에 가해진 힘의 실제값이 상기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다.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진 힘을 제어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커버에 가해진 힘의 실제값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진 힘의 실제값에 대한 프록시 (proxy) 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일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본 출원의 면에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기본체에 작용하도록 기본체의 열적 변형에 대하여 보상하는 힘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어떠한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들의 실시예들은 전자기계식 드라이브, 선형 드라이브들, 스핀들 드라이브들 및 피에조 액츄에이터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또한 실린더에서 안내되는 피스톤이 기본체에 인장력 및/또는 또한 압축력을 가할 수 있는 특히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하지만, 기본체의 최대 변형들이 노 머플의 가열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액츄에이터가 기본체에 조절가능한 인장력을 가하는데 적합한 일 실시형태를 사용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을 검출하는 용어 센서를 참조하면, 그 후에 상기 용어는 특히 힘 센서, 예를 들어 피에조 요소 또는 노 머플의 기본체에 배열된 변형 게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변형, 특히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는 광학 센서들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자체는 또한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실시예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서 안내되는 피스톤을 가진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이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의 압력은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어 밸브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츄에이터는 추가로 실린더내의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인코더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은 기본체, 예를 들어 기본체의 일 코너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는, 피스톤의 실제 위치에 따라서 실린더의 내부에서 목표 압력을 산출하고 그리고 제어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실린더 내부에서 목표 압력을 설정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실린더 내부에서의 일정한 압력에서, 피스톤의 위치는 기본체에 의해 실린더에 가해진 힘 또는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에 대하여 직접적인 측정이다.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 특히 기본체의 처짐으로 인한 기본체의 단축은, 실린더에서의 일정한 압력에서, 위치 인코더에 의해 검출되고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에 발행되는 피스톤의 위치에서의 변경을 유도한다. 후속의 단계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피스톤의 위치 변경으로부터, 기본체의 변형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목표힘을 산출한다. 이러한 목표힘은 실린더 내부에서 유압 유체 또는 공압 가스의 목표 압력에 대응하고 그리고 실린더 내부에서의 상기 목표 압력은 액츄에이터의 제어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설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유리하게는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압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 및 설정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이 목표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제어 밸브를 조절하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형태들에서는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액츄에이터의 제어 또는 조절을 설명하여,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질 힘은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에 따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 또는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에 직접 따르고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힘을 위한 프록시를 구성하는 파라미터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하지만, 노 머플의 기본체, 특히 강으로 제조된 기본체의 인장 강도는 명확하게 이의 온도를 따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머플의 기본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진 힘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체의 온도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노 머플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온도 센서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노 머플의 기본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배열 및 설정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힘 및 상기 기본체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기본체에 가해질 힘 (목표힘) 을 설정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질 힘이 기본체에 의해 센서에 가해진 힘 또는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에 비례하도록 설정된다. 하지만, 액츄에이터에 의해 노 머플의 기본체에 가해질 최대 힘은 여기에서 기본체의 온도에 따라서 한정된다.
본 출원의 면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특히 고정-배선 (hard-wired)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제어 회로를 포함하지만 또한 제어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인터페이스들을 가진 다목적 컴퓨터를 포함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체는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서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으로 제조된다.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 머플의 기본체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이고, 액츄에이터는 입방체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 또는 하나의 에지에 연결된다.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 머플은 컨베이어 노의 일부이고, 기본체는 소둔될 가공물용 유입구를 가진 제 1 단부 및 유입구에 대면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액츄에이터는, 노 머플의 작동 동안, 기본체의 제 1 단부 또는 제 2 단부에만 힘을 가하도록 배열된다.
원칙적으로, 기본체의 대면하는 측면들, 에지들 또는 코너들에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액츄에이터들을 가진 노 머플의 기본체의 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 노 머플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기본체가 일측에 클램핑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의 어택 지점은 클램프에 대면하는 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체의 제 1 단부 또는 제 2 단부를 부동의 머플 홀더에 부착하는 것이 유리하고, 액츄에이터는, 노 머플의 작동 동안, 머플 홀더에 대면하는 기본체의 단부에 힘, 바람직하게는 인장력를 가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머플 홀더는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서 냉각된다.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 머플은 다수의 액츄에이터들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한다. 기본체의 제 1 단부가 부동형 머플 홀더에 부착되는 노 머플의 변형예에 있어서, 다수의 액츄에이터들은 기본체의 대면 단부에 유리하게 배열된다. 여기에서, 3 개의 액츄에이터들은, 어떠한 변형을 실질적으로 피하도록 머플의 기본체를 다시 신장시키고 그리고 기본체의 붕괴에 대응하는데 충분하다.
실질적으로 입방형 기본체에서 정확하게 4 개의 액츄에이터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액츄에이터들은, 노 머플의 작동 동안, 기본체의 코너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기본체의 일측 표면 중 4 개의 코너들에서 힘을 각각 가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기본체는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최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기본체를 열적으로 유발된 변형에 반대하여 신장시킬 수 있도록, 기본체가 이들의 2 개의 대면 단부들 또는 측면들에서 가열되지 않은 강성 부착 플랜지를 포함하면 유리하다. 여기에서, "가열하지 않는다" 는 표현은, 플랜지가 충분히 냉각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플랜지는, 한편으로는 머플 홀더에 기본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2 개 이상의 액츄에이터들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2 개의 플랜지들 사이에서, 기본체는 클램핑되고 신장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플랜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된다.
본원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 1 액츄에이터의 제 1 위치 인코더의 위치값으로부터 그리고 제 2 액츄에이터의 제 2 위치 인코더의 위치값으로부터 위치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리고 제 1 위치 인코더 및 제 2 위치 인코더의 업데이트된 위치값들이 산출된 위치 평균값과 동일하도록 제 1 액츄에이터에 의해 그리고 제 2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본체에 가해진 힘을 설정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 머플의 기본체는 균일하게 신장될 수 있다. 본원의 제 1 실시형태에서, 노 머플은 추가로 가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이 가열 디바이스는,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섹션들에서 기본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노 머플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체의 제 1 단부는, 예를 들어 기본체를 머플 홀더에 부착시킴으로써 부동화되는 반면, 머플 홀더에 대면하는 기본체의 제 2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인장력들에 노출될 수 있는 반면, 부동화된 단부에서 시작하여 섹션들에서 기본체를 작동 온도가 되도록 하여 제 2 단부에 인접한 기본체의 일 섹션이 마지막에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술한 문제는, 추가로,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노 머플을 포함하는 소둔로에 의해 해결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소둔로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서 기본체까지 연장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가진 컨베이어 노이고, 그리하여 가공물,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튜브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기본체안으로 또한 그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머플의 기본체가 가공물을 노의 안으로 도입하기 위해 또한 노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각각 사용되는 단일의 개구를 가진 이러한 컨베이어 노의 실시형태들을 상정할 수 있지만, 유리한 실시형태는 컨베이어 노가 연속로인 것이다. 이러한 연속로의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는 기본체를 통하여 연장되어, 소둔로의 작동 동안, 가공물은 벨트의 단일의 운반 방향으로 소둔로 안으로 다시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체는 2 개의 개구들을 가지고 이 개구들을 통하여 가공물은 기본체 안으로 그리고 외부로 이송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둔로의 이러한 일 실시형태는, 생성 프로세스에서 가공물이 생성 홀 (production hall) 에서의 로직들 (logistics) 을 향상시키는 재료 유동의 고정 방향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전술한 문제는, 소둔로용 노 머플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고, 상기 노 머플은, 기본체가 가열될 용적을 한정하도록 설정되는 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가진 상기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 기본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기본체에 힘을 가하는 단계, 및 제어 디바이스를 가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힘에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기본체에 가해진 힘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원의 상기 양태들은 본원에 따른 노 머플 또는 본원에 따른 소둔로 면에서 개시된 정도로, 이들은 또한 노 머플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본원에 따른 방법에 적용된다. 본 방법은 본원에 따른 노 머플에 의해 실시되는 정도로, 상기 머플은 또한 상기 목적을 위해서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원에 따른 노 머플의 실시형태들은, 특히 전술한 방법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특징들 및 적용 가능성들은 일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 기초하여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원에 따른 노 머플을 가진 소둔로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노 머플의 기본체의 유입측 단부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냉간 필거 압연 밀 트레인에서 도 1 의 소둔로의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표시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노 머플 (51) 의 디자인을 가진 컨베이어 노 (6) 로서 구성되는 소둔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컨베이어 노 (6) 의 코어는 기본체 (62) 에 의해 둘러싸인 노 중 온도 제어된 용적 (50), 즉 가열될 용적이다. 기본체 (62) 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 (50) 에 있어서, 가공물, 본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강 튜브 (52) 는 소둔된다. 이러한 소둔은 1080℃ 의 온도에서 발생한다.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는 특히 커버 (62) 및 측벽들에 의해 온도 제어될 용적을 둘러싼다.
여기에서 소둔 프로세스는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즉 튜브 (52) 는 (좌측으로부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노 (6) 안으로 도입되어, 1080℃ 의 공칭 온도로 서서히 가열되며, 이 튜브는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를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 후, 이는 (노 머플 (51) 의 우측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노 (6) 를 다시 나온다. 이는, 노 머플 (51) 내에서 튜브 (52) 의 일부가 공칭 온도에 도달하는 동안, 노 머플 (51) 의 튜브 외부의 다른 부분들이 여전히 노 머플 (51) 이전에 또는 이미 노 머플 (51) 이후에 있을 수 있다.
기본체 (62) 는 노의 연속 작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유입구 (53) 와 유출구 (54) 를 구비한다. 가열될 그리고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에 의해 둘러싸이는 용적 (50) 에서 불필요한 열 손실들을 방지하도록, 잠금 챔버들 (55, 56) 은 유입구 (53) 와 유출구 (54) 이전에 각각 제공되고, 이 유입구와 유출구는 온도-제어된 용적 (50) 의 대류 손실들을 가능한 낮게 유지하도록 가스성 수소로 플러싱된다. 추가로, 잠금 챔버들 (55, 56) 에서 플러싱하는 수소는, 가능한 한 적은 주변 공기가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에 유입하고 그리고 이 소둔 프로세스는 보호성 가스 분위기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보장해준다. 본 경우에 있어서, 기본체 (62) 에서의 소둔은 수소 환경에서 실시된다.
스테인리스 강 튜브들 (52) 을 노 (6) 안으로 그리고 외부로 연속 유입 및 배출하도록, 노 (6) 는 컨베이어 노로서 구성되고, 즉 폐쇄 벨트로서, 노를 통하여 튜브들 (52) 의 연속 선형 운동을 허용하는 컨베이어 벨트 (57) 를 구비한다. 추가로, 컨베이어 벨트 (57) 는 회전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2 개의 롤러들 (58, 59) 사이에 클램핑된다. 롤러 (58) 가 모터 구동되기 때문에, 롤러 (58) 의 회전 운동은 컨베이어 벨트 (57) 의 순환 (circulating) 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컨베이어 벨트 (57) 의 제 1 섹션 (63) 은 노 머플 (51) 을 통하여 연장된다. 컨베이어 벨트 (57) 의 추가의 섹션 (65) 은 제 1 섹션 (63) 의 운동 방향으로부터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이동한다. 컨베이어 벨트 (57) 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메시 벨트이다.
도 1 에서, 노 머플 (51) 이 총 4 개의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이 중 2 개의 액츄에이터들 (60, 67) 이 도 1 에 도시됨) 을 포함하는 것을 개략도에서 알 수 있다. 이들은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와 결합하고 그리고 이들은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의 변형에 대응하는 것을 보조한다.
가열 동안, 기본체 (62) 는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에 의해 신장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기본체 (62) 는 플랜지 플레이트 (81) 에 의해서 제 2 유출구측 단부에서 머플 홀더 (76) 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기본체의 상기 단부는 부동형이고 그리고 노의 작동 동안 이동될 수 없다. 부동형 플랜지 플레이트 (81) 의 변형에 대응하도록, 이 플랜지 플레이트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냉각된다.
기본체 (62) 의 제 1 유입구측 단부는 또한 플랜지 플레이트 (81) 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는 각각의 경우에 4 개의 코너들 (68, 69, 70, 71) 에서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연결된다.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플랜지 플레이트 (80) 및 그에 따른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에 인장력들을 가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배열되는 공압식 액츄에이터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츄에이터들은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를 신장시킨다.
도 1 의 측면도에서,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의 가열 동안, 가열 동안 소성 변형 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는 기본체 (62) 의 벽들이 붕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에 의해 가해진 인장력들은 기본체의 이러한 열적 변형에 대응한다.
도 2 에서는 노 머플 (51) 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상기 개략도에서, 기본체 (62) 또는 이 기본체의 플랜지 플레이트 (80) 뿐만 아니라 4 개의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유입구측 단부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에서, 단지 도시를 용이하게 개선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은 플랜지 플레이트 (80) 와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지만, 액츄에이터들은 실제로 진행 방향, 즉 기본체 (62) 의 종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랜지 플레이트 (80) 에 인장력들을 가한다.
도 2 의 도시로부터, 4 개의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이 플랜지 플레이트 (80) 의 4 개의 코너들 (68, 69, 70, 71) 에서 결합하는 것이 명백하다.
4 개의 공압식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중 각각은 상기 실린더에 배열된 (압력) 실린더 (72) 와 피스톤 (73) 을 구비한다. 피스톤 (73) 은 플랜지 플레이트 (80) 의 코너 지점 (68, 69, 70, 71) 에 연결된다. 공압 시스템 (도 2 에 비도시) 의 압력 라인에 그리고 제어 라인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 (74)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들 및 제어 및 조절 소프트웨어를 가진 컴퓨터) 에 연결되는 제어 밸브 (77) 에 의해서,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의 압력 및 그로 인해 피스톤 (73) 에 의해 플랜지 플레이트 (80) 상에 가해진 인장력이 설정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실린더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을, 실린더 (72) 의 내부의 압력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결정된 목표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또한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압력의 실제값을 검출하고 이를 측정 라인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 (74) 로 이송하는 압력 센서 (79) 를 구비한다.
추가로, 각각의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측정 라인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 (74) 에 또한 연결되는 위치 인코더 (78) 를 구비한다. 위치 인코더 (78) 는 피스톤의 현재 실제 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를 제어 디바이스 (74) 로 이송한다.
온도 센서 (75) 는 노 머플의 기본체 (62) 에 배열되고 그리고 기본체 (62) 의 온도 (T) 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는 측정 라인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 (74) 에 또한 연결되고 그리고 기본체 (62) 의 온도의 실제값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이송한다.
더욱이, 노 머플 (51) 은 가열 디바이스 (82) (도 1 참조) 를 포함하고, 이는 기본체 (62) 를 이의 종방향을 따른 섹션들에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열 디바이스 (82) 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4 개의 히터들을 구비하고, 이 히터들 각각은 기본체의 일부를 가열한다. 히터들은, 노의 시동시에, 유출구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시작하는 기본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된다. 즉, 노의 시동시에, 기본체의 유입구측 단부가 마지막에 소둔로의 작동 온도에 도달한다.
노 머플 또는 이 노 머플의 기본체를 신장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 메카니즘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상기 메카니즘은 이하 구용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가 가열되면, 그 후에 강으로 제조된 상기 기본체는 소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하는 일관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중력으로 인해, 기본체의 벽들과 커버는 붕괴하기 시작한다.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에 의해 기본체를 신장함으로써 이러한 붕괴에 대응한다.
가능한 가장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신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노의 시동시에,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는 먼저 이의 유출구측 단부에서 가열된 후, 이러한 가열은 유입구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즉 작은 세그먼트들로 지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히터에 의해 규정된 기본체 (62) 의 일 섹션만은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에 의해 신장된다.
기본체 (62) 의 벽들의 초기 붕괴는 먼저 기본체의 일부 단축을 유도한다. 액츄에이터들의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 일정한 공압에서, 기본체 (62) 의 단축은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피스톤들 (73) 이 이의 초기 시작 위치를 나오고 그리고 머플 홀더 (76) 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위치 변경은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위치 인코더들 (78) 에 의해 검출된다.
기본체 (62) 에 의해 가해진 인장력에서의 변경 또한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 둘 다를 위한 직접적인 대처방안인 이러한 위치 변경으로부터, 제어 디바이스 (74) 는 각각의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인장력 및 그로 인한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각각의 실린더 (72) 내의 목표 압력에 대한 새로운 목표값을 산출한다.
하지만,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 압력을 위한 새로운 목표값의 최대는 온도 센서 (75) 에 의해 검출되는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의 온도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한정된다.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의 인장 강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기본체 (62) 의 인열 (tearing) 은 이러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실린더 (72) 내부에서 압력을 위해 산출된 목표값에 따라서, 각각의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제어 밸브 (77) 는, 압력 센서 (79) 에 의해 측정된 실제 압력이 피스톤 (72) 에서의 산출된 목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에 의해 기본체 (62) 를 신장하는 목적은, 일차적으로 이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기본체 (62) 의 벽들의 붕괴에 대응하는 것이다.
머플의 가열 동안,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은 개별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실린더들 (72) 에서의 피스톤들 (73) 의 동일한 위치 변경들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각각의 피스톤 (73) 은 상이한 개별 위치 변경을 받게 되고, 이는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각각의 위치 인코더 (78) 에 의해 검출된다. 본원의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 (74) 는, 위치 인코더들 (78) 에 의해 결정된 피스톤 (73) 의 4 개의 위치 값들로부터, 모든 4 개의 피스톤들 (73) 의 위치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평균값은 그 후에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의 개별 실린더들 (72) 에서 대응하는 실제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산출된 목표 압력으로 설정된다.
해당 액츄에이터에 의해 플랜지 플레이트 (80) 및 그로 인한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 원하는 목표 압력이 어떠한 한계값을 초과하고, 이 한계값은 기본체 (62) 의 온도에 따르면, 그 후 설정될 상기 액츄에이터의 목표 압력은, 액츄에이터의 인장력으로 인해 노 머플 (51) 의 기본체 (62)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계값 이하에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도 3 에 도시된 압연 밀 트레인은, 본원에 따라서 구성된 소둔로 (6) 이외에, 고품질의 스테인리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이하의 처리 스테이션들: 냉간 필거 압연 밀 (1), 튜브의 외부벽을 탈지시키는 디바이스 (2), 튜브를 길이대로 절단하기 위한 분단 디바이스 (3), 튜브 내벽을 탈지할 뿐만 아니라 튜브의 단부들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4), 튜브들을 위한 제 1 버퍼 (5), 튜브들을 위한 제 2 버퍼 (7) 뿐만 아니라 교정 머신 (straightening machine; 8) 을 포함한다.
압연 밀 트레인에서, 중공 쉘의 유동 방향 또는 이송 방향 또는 냉간 필거 압연 밀 이후에 튜브의 유동 방향 또는 이송 방향은, 냉간 필거 압연 밀 (1) 에서부터 교정 머신 (8) 의 유출구까지이다.
냉간 필거 압연 밀 (1) 은 롤들을 가진 압연 스탠드 (16), 보정 압연 맨드릴 뿐만 아니라 압연 스탠드 (16) 를 위한 드라이브 (17) 로 구성된다. 압연 스탠드 (16) 를 위한 드라이브는 푸시 로드, 드라이브 모터 및 플라이휠을 구비한다. 푸시 로드의 제 1 단부는 플라이휠상에서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고정된다. 토크 작용 결과로서, 플라이휠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1 단부를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분리하여 배열한 푸시 로드는, 접선방향 힘에 노출되고 그리고 이 접선방향 힘을 제 2 푸시 로드 단부에 전달한다. 제 2 푸시 로드 단부에 연결된 압연 스탠드 (16) 는 압연 스탠드 (16) 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된 운동 방향 (22) 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된다.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냉간 필거 압연 밀 (1) 에서 냉간 필거링 동안, 방향 (22) 에서 냉간 필거 압연 밀 (1) 안으로 도입되는 중공 쉘, 즉 튜브 블랭크는 압연 맨드릴 쪽 방향으로 또는 상기 압연 맨드릴에 걸쳐 그리고 이를 통과하여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반면, 압연 스탠드 (16) 의 롤들은, 이 롤들이 맨드릴에 걸쳐 그리고 그리하여 중공 쉘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롤들의 수평방향 운동은 압연 스탠드 (16) 자체에 의해 미리 결정되고, 이 압연 스탠드에 롤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연 스탠드 (16) 는 압연 맨드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되는 반면, 롤들 자체는 압연 스탠드 (16) 에 대하여 고정된 랙에 의해 이 롤들의 회전 운동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롤 액슬들에 단단히 연결된 치형 휠들은 이 랙과 결합한다.
맨드릴에 걸쳐 중공 쉘의 공급은 공급 클램핑 캐리지 (18) 에 의해 발생하고, 이 공급 클램핑 캐리지는 압연 맨드릴의 축에 평행한 방향 (16) 으로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압연 스탠드 (16) 에서 상하로 배열된 원뿔형으로 보정된 롤들은 공급 클램핑 캐리지 (18) 의 공급 방향 (16) 에 대하여 회전한다. 롤들에 의해 형성되는 소위 필거링 입구는 중공 쉘을 파지하고, 롤들은, 롤들의 아이들 패스가 완성된 튜브를 배출할 때까지, 롤들의 원활한 패스 (smoothing pass) 에 의해 그리고 압연 맨드릴에 의해 의도된 벽 두께로 신장되는, 외부로부터 소형파 (small wave) 의 재료를 민다. 압연 동안, 롤들이 부착된 압연 스탠드 (16) 는 중공 쉘의 공급 방향 (22) 에 대하여 이동한다. 공급 클램핑 캐리지 (18) 에 의해, 롤들의 아이들 패스에 도달한 후에, 중공 쉘은 추가의 단계에 의해 압연 맨드릴로 진전되는 반면, 롤들은 압연 스탠드 (16) 와 함께 그의 수평방향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중공 쉘은 완성된 튜브의 균일한 형상에 도달하도록 축의 중심으로 회전을 받게 된다. 각각의 튜브 섹션의 반복된 압연으로 인해, 튜브의 균일한 벽 두께 및 진원도 뿐만 아니라 균일한 내경과 외경이 얻어진다.
압연 밀 트레인의 중심의 순차적인 제어 디바이스는 제 1 독립적인 처리 스테이션들에서 모두 제어하여, 냉간 필거 압연 밀 (1) 자체의 드라이브들을 포함한다.
냉간 필거 압연 밀 (1) 로부터 배출 후에, 완성된 압하 튜브는 탈지기 (degreaser; 2) 에서 튜브의 외부 벽에서 탈지된다.
분단 디바이스 (3) 에서 후속의 분단 동안, 선반 (lathe) 공구는 튜브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동시에 튜브상에 또는 튜브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어, 튜브는 분리되고 그리고 2 개의 튜브 섹션들이 형성된다.
분단된 튜브, 즉 설정 길이로 절단된 튜브는, 분단 디바이스 (3) 를 나오고, 튜브의 내부벽을 탈지하기 위해 탈지기 (4) 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의 단부측들의 표면 밀링 (단부들의 처리) 은 또한 탈지기 (4) 에서 발생하여, 상기 단부측들은 여러 개의 튜브 섹션들의 서로에 대한 후속의 궤도 용접 (orbital welding) 에 필요한 평면도 (panarity) 를 나타낸다.
본원에 따라서 구성된 컨베이어 노 (6) 에서, 도 1 및 도 2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튜브 또는 튜브들의 번들은 안정화를 위해 소둔되고, 즉 1080℃ 의 온도가 된다.
소둔로 (6) 에서 높은 온도들로 인해 튜브들은 휘어지고, 그리고, 노를 나온 후에, 튜브들은 그의 종방향 범위에 걸쳐서 특히 파들을 갖는 대신에, 더이상 직선이 아니다는 잠재적인 단점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최종 처리 단계는 그에 따라 소위 크로스 압연-교정 머신 (8) 에 있고, 이 교정 머신에서 노 (6) 를 나오는 튜브들이 교정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교정 머신 (8) 이후에, 평면 연삭을 위한 디바이스가 또한 제공되고, 여기에서 2 개의 회전 플리스 디스크들 (26) 은 연마 효과를 가진 완성된 튜브와 마찰 결합하게 된다.
처음 개시된 목적을 위해서, 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개시되는 바와 같이, 모든 특징들, 도면들 및 청구범위는, 이들이 어떠한 추가의 특징들과 조합해서만 구용적인 용어로 설명되었더라도, 명확하게 배제하는 않은 정도로 또는 기술적 환경들이 이러한 조합들을 불가능하게 또는 비합리적으로 만드는 정도로, 개별적으로 또한 다른 특징들 또는 본원에 개시된 특징들의 그룹들과 어떠한 원하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참조하면 된다. 특징들의 모든 상정가능한 조합들의 포괄적인 명확한 설명은 설명의 간결성 및 판독성을 위해서 본원에서만 생략된다. 본원은 도면들 및 전술한 설명에서 자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이러한 설명은 실시예의 방식으로만 나타나고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원은 개시된 실시형태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다양한 형태들은 도면들,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 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단수의 부정 관사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이한 청구범위들에서 어떠한 특징들이 청구되는 사실만은 이들의 조합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도면부호들은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1 : 냉간 필거 압연 밀
2, 4 : 탈지기
3 : 분단 디바이스
5 : 제 1 버퍼
6 : 소둔로
7 : 제 2 버퍼
8 : 교정 머신
9a, b, c, d, e, f : 롤러 컨베이어
10 : 피동 롤러
11, 12, 13 : 컨베이어 디바이스들
14 : 브리지 파지부
15 : 레일들
16 : 압연 스탠드
17 : 드라이브
18 : 공급 클램핑 캐리지
19 : 흡인 벤치
20 : 저장 벤치들
21 : 컨베이어 벨트
22 : 압연 밀 (1) 에서 운반 방향
23 : 바닥 흡인
24 : 롤
25 : 홀
26 : 플리스 디스크들
50 : 가열된 용적
51 : 노 머플
52 : 스테인리스 강 튜브
53 : 유입구
54 : 유출구
55, 56 : 잠금 챔버들
57 : 컨베이어 벨트
58, 59 : 롤러들
60, 61, 66, 67 : 액츄에이터
62 : 노 머플의 기본체
63 : 컨베이어 벨트 (57) 의 제 1 섹션
64 : 컨베이어 벨트 (57) 의 제 2 섹션
65 :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57) 의 섹션
68, 69, 70, 71 : 플랜지 플레이트 (80) 의 코너들
72 : 액츄에이터의 실린더
73 : 액츄에이터의 피스톤
74 : 제어 디바이스
75 : 온도 센서
76 : 머플 홀더
77 : 공압식 제어 밸브
78 : 액츄에이터의 위치 인코더
79 : 액츄에이터의 압력 센서
80, 81 : 플랜지 플레이트
82 : 가열 디바이스

Claims (15)

  1. 소둔로 (6) 용 노 머플 (51) 로서,
    가열될 용적 (volume; 50) 을 한정하도록 설정되는 기본체 (62) 를 구비하고,
    상기 노 머플 (51) 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적어도 하나의 센서 (78), 및 제어 디바이스 (74)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피스톤 (73) 이 실린더 (72) 내에서 안내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이고, 상기 피스톤 (73) 은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가 상기 기본체 (62) 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72) 의 내부의 압력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에 연결되는 제어 밸브 (77) 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78) 는 상기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피스톤 (73) 의 실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에 연결된 위치 인코더 (78) 이며,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에 연결된 압력 센서 (79)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79) 는 상기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 및 설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연결되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피스톤 (73) 의 실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의 목표 압력을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 (77) 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압력 센서 (79) 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이 상기 목표 압력과 동일하도록 상기 실린더 (72) 의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을 설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이 워밍 (warming) 또는 냉각 동안 상기 센서 (78)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에 대하여 또는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 (62) 에 의해 상기 센서 (78) 에 가해지고 그리고 상기 센서 (78) 에 의해 검출되는 힘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센서 (78)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으로부터 또는 상기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노 머플 (51) 에 의해 가해지고 상기 센서 (78) 에 의해 검출되는 힘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질 힘에 대한 목표값을 산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의 실제값이 상기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머플 (51) 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에 연결되는 온도 센서 (75)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기본체 (62) 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배열 및 설정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본체 (62) 의 길이에서의 변경 또는 힘 및 상기 기본체 (62) 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질 힘을 산출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기본체 (62) 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정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머플은 컨베이어 노를 위한 노 머플 (51) 이고, 상기 기본체 (62) 는 소둔될 가공물을 위한 유입구 (53) 를 가진 제 1 단부 및 상기 유입구 (53) 에 대면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기본체 (62) 의 제 1 단부 또는 제 2 단부에만 힘을 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 (62) 의 제 1 단부 또는 제 2 단부는 머플 홀더 (76) 에 부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는,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머플 홀더에 대면하는 상기 기본체 (62) 의 단부에 힘을 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머플 (51) 은 여러 개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 (62) 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노 머플 (51) 은, 상기 노 머플의 작동 동안, 상기 기본체 (62) 의 코너들 (68, 69, 70, 71) 중 하나에 힘을 각각 가하도록 배열되는 4 개의 액츄에이터들 (60, 61, 66, 67)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는, 제 1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제 1 위치 인코더 (78) 의 위치값으로부터 및 제 2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제 2 위치 인코더 (78) 의 위치값으로부터, 위치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 인코더 및 상기 제 2 위치 인코더 (78) 의 업데이트된 위치값들이 산출된 위치 평균값과 동일하도록 제 1 액츄에이터에 의해 또한 제 2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을 설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머플 (51) 은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기본체 (62) 를 섹션들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가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디바이스는 상기 기본체 (62) 가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머플 홀더 (76) 에 부착된 상기 제 1 단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섹션들에서 작동 온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한 상기 기본체의 섹션은 마지막에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머플 (5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 머플 (51) 을 가진 소둔로 (6) 로서,
    상기 소둔로 (6) 는 컨베이어 벨트 (57) 를 가진 컨베이어 노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57) 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57) 상의 가공물이 상기 기본체 (62) 안으로 또한 그 외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섹션들에서 상기 노 머플 (51) 의 상기 기본체 (62) 안으로 연장되는, 소둔로 (6).
  14. 기본체 (62) 가 가열될 용적 (50) 을 한정하도록 설정되는, 상기 기본체 (62) 를 가진 소둔로 (6) 를 위한 노 머플 (51) 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기 기본체 (62) 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78) 를 가진 상기 기본체의 길이에서의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
    실린더 (72) 내에서 안내되는 피스톤 (73)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힘을 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스톤 (73) 은 상기 노 머플 (51) 의 작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가 상기 기본체 (62) 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상기 실린더 (72) 내에서 안내되는 피스톤 (73)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힘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서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을 제어 디바이스 (74) 로 제어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서의 위치 인코더 (78) 에 의해 검출된 상기 피스톤 (73) 의 실제 위치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실린더 (72) 내부에서의 목표 압력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 (72)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 (74) 에 연결된 제어 밸브 (77) 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의 압력 센서 (79) 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실린더 (72) 내부에서의 실제 압력이 상기 목표 압력과 동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60, 61, 66, 67) 에 의해서 상기 기본체 (62) 에 가해진 힘을 제어 디바이스 (74) 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 머플 (51) 을 작동시키는 방법.
  15. 삭제
KR1020157035990A 2013-05-31 2014-05-15 소둔로용 노 머플 KR102144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5628.8 2013-05-31
DE102013105628.8A DE102013105628A1 (de) 2013-05-31 2013-05-31 Ofenmuffel für einen Glühofen
PCT/EP2014/059989 WO2014191221A1 (en) 2013-05-31 2014-05-15 Furnace muffle for an annealing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261A KR20160015261A (ko) 2016-02-12
KR102144607B1 true KR102144607B1 (ko) 2020-08-13

Family

ID=5073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990A KR102144607B1 (ko) 2013-05-31 2014-05-15 소둔로용 노 머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54047B2 (ko)
EP (1) EP3004769B1 (ko)
JP (1) JP6475229B2 (ko)
KR (1) KR102144607B1 (ko)
CN (1) CN105264321B (ko)
DE (1) DE102013105628A1 (ko)
ES (1) ES2838373T3 (ko)
WO (1) WO2014191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4806A1 (de) * 2013-05-08 2014-11-13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Bandofen
DE102013105628A1 (de) * 2013-05-31 2014-12-04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Ofenmuffel für einen Glühofen
DE102016106035A1 (de) * 2016-04-01 2017-10-05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Kaltpilgerwalz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ohres
KR101968025B1 (ko) 2017-12-15 2019-04-10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 열처리장치
JP7225394B2 (ja) * 2019-06-12 2023-02-20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熱処理設備用の監視装置及び熱処理設備並びに熱処理設備の監視方法及び製造方法
EP4204752A1 (en) * 2020-10-02 2023-07-05 Metix (Pty) Limited Binding system for a furn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269A (ja) * 1998-07-08 2000-01-28 Chugai Ro Co Ltd 竪型マッフル炉の炉内マッフル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4288A (en) * 1959-05-06 1961-08-01 Harbison Walker Refractories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trol of refractory furnace roofs
KR0140210B1 (ko) * 1989-03-30 1998-06-01 추네오 나카하라 석영모재 제조용 소결로
JP2993094B2 (ja) * 1990-10-15 1999-12-20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マッフルチューブタイプ加熱炉
JP3072162B2 (ja) * 1991-10-25 2000-07-31 大阪瓦斯株式会社 処理装置における被処理物の搬送装置
SE9602835D0 (sv) 1996-07-22 1996-07-22 Hoeganaes Ab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iron-based powder
JPH116001A (ja) * 1997-06-17 1999-01-12 Tamagawa Mach Kk 焼結炉
KR100778745B1 (ko) * 2001-12-24 2007-11-23 주식회사 포스코 머플 변형 감지장치
KR100983894B1 (ko) * 2003-06-18 2010-09-27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의 머플 위치 교정장치
DE102004011032A1 (de) * 2003-08-29 2005-04-07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Sandwichgehäuse für einen Antennenverstärker
JP2006342406A (ja) * 2005-06-10 2006-12-21 Takasago Tekko Kk 連続雰囲気焼鈍炉出入口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設備
KR100879842B1 (ko) * 2007-10-22 2009-01-22 주식회사 포스코 머플 변형 감지장치
DE102009060826A1 (de) * 2009-12-29 2011-06-30 SMS Siemag AG, 40237 Regelung der Seitenführung eines Metallbandes
EP3470012B1 (de) * 2011-07-25 2021-04-07 Ivoclar Vivadent AG Dentalofen
DE102013105628A1 (de) * 2013-05-31 2014-12-04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Ofenmuffel für einen Glühof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269A (ja) * 1998-07-08 2000-01-28 Chugai Ro Co Ltd 竪型マッフル炉の炉内マッフル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2382A (ja) 2016-07-28
DE102013105628A1 (de) 2014-12-04
WO2014191221A1 (en) 2014-12-04
EP3004769A1 (en) 2016-04-13
KR20160015261A (ko) 2016-02-12
US10254047B2 (en) 2019-04-09
ES2838373T3 (es) 2021-07-01
CN105264321A (zh) 2016-01-20
JP6475229B2 (ja) 2019-02-27
EP3004769B1 (en) 2020-10-07
CN105264321B (zh) 2018-02-09
US20160123671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607B1 (ko) 소둔로용 노 머플
US831668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ent product and an apparatus and a continuous line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45610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льной трубы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JP5209191B2 (ja) 金属材の熱間曲げ加工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熱間曲げ加工製品の製造方法、熱間曲げ加工製品
AU2009310951A1 (en) Method and of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nt product
KR102214875B1 (ko) 튜브 셸을 튜브로 성형하는 냉간 필거 롤링 밀 및 방법
JP5804015B2 (ja) 補正機能を有する屈曲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屈曲部材の製造方法
JP2012197488A (ja) 熱処理鋼材又は曲げ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110269086A1 (en) Chamber furnace with overtemperature
JP4013269B2 (ja) 長尺部材の変形矯正方法
JP2007007676A (ja) 厚板圧延ラインにおける被圧延材の冷却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厚板圧延方法
KR101620936B1 (ko) 정밀 공차의 챔버 치수를 갖는 금속 섹션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5728537A (zh) 一种不均匀加热铝合金热旋压开坯方法
RU2709067C1 (ru) Способ термоси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осесимметричных дета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74022C1 (ru) Способ правки короткомерных труб
JPH07216456A (ja) 管状部材の焼入れ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46634A (ko)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JPH1119724A (ja) 冷間矯正における予熱装置および予熱方法
JP5469354B2 (ja) 管加工装置及び管加工方法
Meng et al. Feasibility study on straightening process of rotating bend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shaft and pipe parts
JP2003305515A (ja) 形鋼の矯正装置
CN203380188U (zh) 一种卡盘式在线加热轧辊装置
PL243113B1 (pl) Sposób prostowania smukłych wyrobów o przekroju rurowym, zwłaszcza luf broni palnej i zespół do prostowania smukłych wyrobów o przekroju rurowym, zwłaszcza luf broni palnej
JP2003305514A (ja) 形鋼の矯正装置および矯正方法
CN116099902A (zh) 一种非接触式矫正装置及其矫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