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196B1 -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196B1
KR102143196B1 KR1020190043874A KR20190043874A KR102143196B1 KR 102143196 B1 KR102143196 B1 KR 102143196B1 KR 1020190043874 A KR1020190043874 A KR 1020190043874A KR 20190043874 A KR20190043874 A KR 20190043874A KR 102143196 B1 KR102143196 B1 KR 10214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obile terminal
user
content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2517A (en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욱 filed Critical 이강욱
Priority to KR102019004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96B1/en
Publication of KR2019004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여 광고에 활용하고, 또한 일반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리뷰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자 포인트를 부여받아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easily producing and distributing advertisement content by an individual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can easily create and manage advertisement content and use it for advertisement, and a general user can maximize advertisement effect by receiving electronic points by sharing review information on advertisements.

Figure R1020190043874
Figure R1020190043874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Mobile terminal and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it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that enables an individual to easily produce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On-Line)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는 다방면의 산업분야에 걸쳐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비즈니스 방법들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인해 이에 따른 광고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포맷의 광고가 생산 및 배포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line e-commerce is implementing almost all business methods that occur off-line across various industrial fields. Due to the activation of online e-commerce, the size of the advertising market is also increasing, and advertisements in various formats are being produced and distributed.

특히, 최근에는 UCC(User Created Contents)와 같이 개인이 소지한 전자정보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적인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광고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종래 대비 매우 낮은 제작비만으로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personal digital content can b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shooting videos using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s owned by individuals such as UCC (User Created Contents), and various types of online advertising methods using this have been proposed. . This is an example in which effective advertising content can be provided with a very low production cost compared to the prior art.

그러나, 여전히 온라인 상의 광고방법은 개인이나 자영업자와 같은 광고주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However, the online advertisement method still acts as a burden on advertisers such as individuals or self-employed, and it is not easy to post advertisements for products or services owned online.

특히, 전술한 개인이 제작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광고 콘텐츠로 이용하는 방식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와 같이 광고 콘텐츠가 광고전문 업체에 의해 판매 및 제공되는 형태로만 거래되고 있으며, 개인이 자신의 업체에 직접 이용하기 위한 광고 제작을 시도하더라도 전문지식이 없는 개인이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the biggest reason wh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using images or videos created by individuals as advertising content cannot be activated is that advertising content is only sold and provided by advertising companies, such as digital content transactions. This is because even if an individual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attempts to produce advertisements for use directly with their own companies, there is a limit to producing cont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한국공개특허 10-2014-0109561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4-010956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an individual operating a company to easily create and utilize advertisement content using his or her mobile terminal, and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 have a task.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 제작된 하나이상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 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 및 하나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that provides an editing tool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any one of a photographed image and a video; An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addition and deletion of one or more 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s; An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that generates and shares review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online, and provides a list of the shared review information; And a data storage module in which one or more 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s are stored.

상기 광고 생성모듈은,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 광고 생성을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광고제작을 수행하는 광고 제작부; 상기 편집 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 및 메인 서버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하나이상의 소스를 다운로드하는 스토어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includes: a member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member information including a profile of a user who is a producer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points assigned to the user; A menu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menu for selecting one or more functions for generating advertisements; An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 that produces an advertisement on a GUI-based editing tool based on any one of the image and the video; An editing tool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editing tool; And it may include a store connection for downloading one or more sources for advertising content production from the main server.

상기 광고 관리모듈은,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추가 삭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ent configuration unit for setting an arrangement and playback order of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an additional deletion unit that allocates a plurality of slots for sto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adds or deletes advertisement contents on the slots.

상기 광고 공유모듈은, 메인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 제공부;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연동하여 메인서버에 제공하는 리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includes: a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providing a search window for searching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registered in the main server; A lis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list of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it may include a review linking unit that provides the main server by linking the review information written on the advertising content.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review information is provided, the main server may assign electronic points to the user's account.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n advertis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photographing an image or a video through the mobile terminal; Setting one or more layouts and graphic effects provided by an editing tool of an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Editing an advertisement design on the editing tool; And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ing result.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후, 광고 생성모듈이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편집툴 상에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capturing an image or video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ntrolling the camera device and uploading the image or video on the editing tool.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는, 광고 생성모듈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 및 그래픽 효과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one or more layouts and graphic effects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of the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inputs the text for the advertisement on the screen for the image or video. Receiving step; And receiving, by the advertisement generating module, a plurality of layout samples and graphic effect icons from a user and reflecting them on the screen.

상기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slots allocated according to user righ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생성기능과 광고 관리 기능 및 광고공유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여 광고에 활용하고, 또한 일반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리뷰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자 포인트를 부여받아 광고 효과가 극대화되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can easily create and manage advertisement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that implements an advertisement generation function, advertisement management function, and advertisement sharing function is recorded and used for advertisement. In addition, general users are given electronic points by sharing review information on advertisements, thereby maximizing advertisem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제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편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리뷰 공유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each showing a structure of modules constitu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producing an advertis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F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during advertisement produc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editing an advertis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sharing an advertisement review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when a part in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equip" or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Means that there i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example" means serving as an illustration, exampl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n example. In addition, "comprising", "having", "having" and other similar terms are used, but when used in the claims, as an open transition word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other elements, " It is used generically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comprising".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where appropriate, with a combination of both.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Module", "System" are likewise a computer-related entity,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It can be treated as equivalent to software at the time of execution. For example, a program module may be composed of one component and equivalent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application programs and hardware executed in a server or a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 a module unit, and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a recording mediu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업체내 설치되는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광고 콘텐츠를 일반인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일반인들은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리뷰정보를 공유하여 포인트를 획득하는 형태의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operating a company can produce pre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 using his or her mobile terminal, and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public through a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company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 The general public discloses a service method in the form of acquiring points by sharing review information for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ir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탑재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그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메인 서버(200)에 등록한 후, 업체에 구비된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 등을 통해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n image or video using a mounted camera device, generates advertisement content based there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fter registration in the main server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losed through a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300 provided in a company.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서버(200)에 회원등록된 사용자가 자신의 업체에서 셀프(Self)형태의 광고로서 이용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메인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메인서버(200)와 연동하여 광고 콘텐츠를 업로드(Upload)하며, 공유된 타 광고 콘텐츠들에 대한 리뷰정보를 작성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팅 장치이다.In detail,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camera devi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which a user registered as a member in the main server 200 can take an image or video for use as a self-type advertisement in his/her company. It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ain server 200, uploading advertisement contents in connection with the main server 200, and writing review information on other shared advertisement contents. It i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computer, or workstation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such functions is installed.

메인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회원정보를 관리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해당 업체의 단말기(미도시) 및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업체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main server 200 manages memb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 is transferred to a terminal (not shown) of a corresponding company and a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300 It plays the role of transmitting to the user to play their advertising content in the company.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메인 서버(20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관리, 광고 콘텐츠 등록 및 전송기능과 리뷰정보 입력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 세서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서버(200)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업체가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101)와 로컬(local)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se functions smoothly, the main server 200 stores a high-spec microprocessor and a large amount of data so that member management for multiple users, registration and transmission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request for input of review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without delay. It is preferably a computing device with space. In addition, the main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101 for management by an operating company operating the system through local or Internet.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각 업체에 설치되어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재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제어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DID, KIOSK, LED 전광판 및 보조간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300 is installed in each company and plays a role of playing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main server 200 according to a set period,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control device and display, and includes DID, KIOSK, and LED billboards. And an auxiliary signboard.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직접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기초하여 하나이상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메인서버(200)에 등록하여 업체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one or more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an image or video directly captured by an individual operating a company, and registers it with the main server 200. It can be played through the company's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 및 관리를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모바일 단말기는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functions for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dvertisement content is recorded, and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l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application progra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110),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표시 배열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120),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 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130) 및, 하나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110 providing an editing tool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any one of a captured still image and a video, and a plurality of An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20 for setting the display arrangement order of advertisement contents of, an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130 for generating and sharing review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vertisement contents online, and providing a list of the shared review information, and , It may include a data storage module 140 that stores one or more produced advertising content.

광고 생성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고 생성모듈(110)은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내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GUI 방식의 편집툴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툴 상에서 아이콘 선택 및 텍스트 입력 등을 통해 자신이 의도한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110 serves to generate pre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an image or video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110 provides a GUI-type editing tool that enables the insertion of text and images in the image or video, and the user selects an icon and inputs text on the editing tool. You can create advertising content.

광고 관리모듈(120)은 광고 생성모듈(120)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원권한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가 제작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개수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정해진 권한내에서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제작된 광고 콘텐츠에 새로운 광고 콘텐츠들을 추가하거나,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20 serves to allow a user to manag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generated through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120. Depending on the membership rights, the number of advertisement contents that can be produced by one user may be limited, and the user can create multiple advertisement contents within a set authority, and add new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existing advertisement contents or save them. You can delete advertising content.

또한, 광고 관리모듈(120)은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300)에서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재생될 때 그 재생주기 및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20 may include a function that enables a user to set a reproduction period and order of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when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re reproduced in th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300 in FIG. 1 ).

광고 공유모듈(130)은, 사용자가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메인서버(200)상에서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하거나 또는, 타 사용자가 공유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그 리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130 serves to share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to other users on the main server 200 or to input review information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shared by other user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작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이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타 사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이 만든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공유된 타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들에 대하여 리뷰정보를 작성하여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행위에 대한 이득으로서 전자 포인트를 적립 받음으로써 본 발명의 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user simply creates and us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ut also the content created by the user by sha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with other users. You can receive an evaluation of, and you can write and evaluate review information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s of other users that are shared, and you can motivate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ccumulating electronic points as a benefit for such actions. There is a characteristic.

데이터 저장모듈(140)은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모듈(1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140 serves to stor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odule 140 ma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required as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개인 사용자가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자신의 업체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들간의 간접적 교류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평가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individual user to easily create advertisement content, use it in his/her own company, and evaluate his or her content through indirect exchange between other users.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3A to 3C are diagrams each showing a structure of modules constitu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생성모듈(110)은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111), 광고 생성을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112),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광고제작을 수행하는 광고 제작부(113, 114), 상기 편집 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115) 및, 메인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하나이상의 소스를 다운로드하는 스토어 접속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3A,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er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member information including a profile of a user who is a producer of advertisement content and points assigned to the user. (111), a menu providing unit 112 providing a menu for selecting one or more functions for generating advertisements, and an advertisement producing unit 113 performing advertisement production on a GUI-type editing tool based on any one of the image and video , 114), an editing tool providing unit 115 that provides the editing tool, and a store connection unit 116 that downloads one or more sources for advertisement content production from the main server 200.

회원정보 제공부(111)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로그인 과정을 통해 메인서버(200)에 등록된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회원정보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폐에 갈음하여 이용되는 전자 포인트를 포함하며, 이러한 회원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시 제공되는 화면의 상부에 사용자의 전자 메일 주소 등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member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1 serves to receive and display me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ain server 200 through a login process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member information includes an electronic point us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e of money, and such memb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 user's e-mail address on the top of a screen provided when an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메뉴 제공부(112)는 광고 제작, 편집 및 공유를 위한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탭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하위 구성요소들을 실행하게 된다.The menu providing unit 112 provides a menu tab so that the user can select functions for creating, editing and sharing advertisements, and executes sub-element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미지 광고 제작부(113)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160)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인 이미지에 기초하여 광고 제작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image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 113 serves to perform an advertisement production process based on an image, which is a stil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160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또한, 동영상 광고 제작부(114)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160)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인 이미지에 기초하여 광고 제작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동영상 광고 제작부(114)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시 재생중지 상태의 초기 프레임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재생에 따라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가 특정 프레임에 원하는 광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ideo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 114 serves to perform an advertisement production process based on an image, which is a stil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160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Here, the video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 114 displays an initial frame in a playback stop state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produced, and sequentially plays each frame according to the user's playback so that the user can input desired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a specific frame. .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광고 제작부(113, 114)는 광고 제작 과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편집 툴상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고 제작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The image and video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s 113 and 114 upload an image or a video on an editing tool and perform an advertisement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the advertisement production process.

편집 툴 제공부(115)는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광고 제작부(113, 114)에 GUI 방식의 편집 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편집 툴에 포함된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 문구 또는 그래픽 아이콘 등을 삽입하고, 그래픽 효과를 줄 수 있다.The editing tool providing unit 115 serves to provide a GUI-type editing tool to the image and video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s 113 and 114. The user may insert text phrases or graphic icons, etc. using icons included in the editing tool, and give a graphic effect.

스토어 접속부(116)는 편집 툴이 제공하는 기본 디자인 도구뿐만 아니라, 확장된 다양한 형태의 글꼴, 이미지, 아이콘 및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확장된 디자인 도구는 메인서버(200)에 저장되며 유료로 판매될 수 있다.The store connection unit 116 serves to provide not only basic design tools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but also extended various types of fonts, images, icons, and graphic effects. These extended design tools are stored in the main server 200 and may be sold for a fee.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관리모듈(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관리모듈(130)은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121)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123)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123)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추가 삭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3B shows an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30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B,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ent configuration unit 121 for setting an arrangement and playback order of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a plurality of slots 123 for sto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an additional deletion unit 122 for adding or deleting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slot 123.

광고 콘텐츠 구성부(121)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그 다수의 광고 콘텐츠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struction unit 121 serves to manage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s a user can produc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의 회원권한에 따라 그 제작 및 저장 개수가 한정될 수 있으며, 그 범위내에서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 및 저장 등의 콘텐츠 관리를 실행하게 된다.The number of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limited according to the user's membership rights, and within that range, the user manages contents such as production and storage of advertisement contents.

특히, 광고 콘텐츠 구성부(121)는 저장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의 재생 순서 및 주기 설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배치순서를 바꾸어 상기 재생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figuration unit 121 may include a function for setting a playback order and period of a plurality of stored advertisement contents, and a user may change the playback order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rder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s.

추가 삭제부(122)는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기본 슬롯(123) 뿐만 아니라, 회원권한에 따라 확장된 슬롯(123)을 추가 제공하거나,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광고 콘텐츠는 할당된 각 슬롯(123)의 개수만큼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권한변경에 따라 더욱더 많은 슬롯(123)을 할당받아 다수의 광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The additional deletion unit 122 serves to additionally provide or delete an expanded slot 123 according to membership rights as well as a basic slot 123 for storing advertisement content.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stored as many as the number of allocated slots 123, and a user may be allocated more and more slots 123 according to a change in authority to stor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공유모듈(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공유모듈(130)은 메인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 제공부(131),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132) 및,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메인서버에 제공하여 연동하는 리뷰 연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3C shows an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130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the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131 providing a search window for searching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registered in the main server, and a list of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It may include a list providing unit 132 to provide, and a review linking unit 133 for linking by providing review information written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main server.

검색창 제공부(131)는 메인서버(200)에 저장된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여 타 사용자들의 공유된 광고 콘텐츠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검색창 제공부(131)가 제공하는 검색창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창 제공부(131)는 메인서버(200)로부터 검색된 광고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The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131 serves to provide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dvertisement contents shared by other users, including their own advertisement contents stored in the main server 200. When a user enters a desired keyword in the search box provided by the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131, the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13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arched advertisement contents from the main server 200.

*리스트 제공부(132)는 메인서버(200)부터 수신된 검색결과에 따른 광고 콘텐츠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광고 콘텐츠 리스트에서 원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광고 정보를 확인하고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The list providing unit 132 serves to classify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200 by category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The user can check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write review information by selecting desired advertisement contents from the advertisement contents list.

리뷰 연동부(133)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리뷰 정보를 입력받고, 그 리뷰정보를 해당 광고 콘텐츠와 연동하여 메인서버(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으며, 그 리뷰정보는 메인서버(200)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메인서버(200)는 리뷰정보 입력에 대한 전자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게 된다. The review linking unit 133 serves to receive review information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 the review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200 in association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user can write review information for desire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review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ain server 200, and the main server 200 grants electronic points for inputting the review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account. .

전술한 리스트 제공부(132) 및 리뷰 연동부(133)에서 이용된 광고 콘텐츠 들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저장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Information on advertisement contents used in the list providing unit 132 and the review linking unit 133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14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의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광고 생성모듈 및 그 구성부가 된다.Hereinafter,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xecution subject of each step becomes the above-described advertisement generating module and its constituent par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producing an advertis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S110),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S120), 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S130) 및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vertis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the step of photographing an image or video through the mobile terminal (S100), the mobile terminal Setting one or more layouts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of the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S110), setting the graphic effect (S120), editing the advertisement design on the editing tool (S130) And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 result (140).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초기화면에서 광고 제작 기능을 선택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상기 초기화면에는 회원정보 제공부에 의한 회원정보창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tep (S100) of capturing an image or video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s the user manipulates the mobile terminal to run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lects an advertisement production function on the initial screen, the camera device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s This is the stage of filming a video. The initial screen may include a member information window by a member information providing unit.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S110)는, 광고 생성모듈이 편집툴상에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S120)는 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S130)는 광고 생성 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편집툴이 제공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삽입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S110) of setting one or more layouts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of the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S110),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uploads the image or video photographed on the editing tool, In the step of setting the layou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step of setting the graphic effect (S120) is a step in which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applies a graphic effect to the image or video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ubsequently, in the step of editing the advertisement design on the editing tool (S130), the advertisement generating module inserts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into the image or video according to a user's input.

이후, 편집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광고 생성모듈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eps S110 to S13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editing is completed, and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 text for an advertisement on the screen for the image or video.

그리고,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140)는, 사용자의 완료 입력에 따라 광고 생성모듈이 편집결과를 반영하여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140 of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 result,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generates one advertisement content by reflecting the edit result according to the user's completion input.

여기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게 된다. Here,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slots allocated according to user righ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별 GUI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화면 및 창들은 전술한 광고 생성모듈, 광고 관리모듈 및 광고 공유모듈과 그의 구성부에 의해 구현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of a GUI for each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ach of the screens and windows is implemented by the above-described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and configuration unit thereof.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제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5A to 5F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during advertisement produc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itial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s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상기 초기화면의 화면구성을 설명하면, 상측으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로그인된 사용자의 회원정보 창(W110), 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탭(W120) 및 현재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활성화창(W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explaining the screen composition of the initial screen, the member information window W110 of the logged-in user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 menu tab W120 for selecting each function, and an activation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function ( W130).

회원정보 창(W1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전자메일 주소가 기재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지급된 전자 포인트(W111)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포인트(W111)는 사용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메인서버(도 1의 200)에서 지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광고를 제작하거나 현재 서비스중인 광고에 대하여 리뷰정보를 공유할 때 부여될 수 있고, 추후 서비스 이용시 화폐에 갈음하여 이용될 수 있다.The member information window W110 inclu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service provider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ID and e-mail address of the currently logged in user, and an electronic point W111 paid to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Here, the electronic point (W111) is paid by the main server (200 in Fig. 1)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record, and may be given when creating multiple advertisements or sharing review information for advertisements currently in service. When using the service, it can be used in lieu of money.

메뉴탭(W120)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주요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메뉴탭(W120)에 포함된 '광고 만들기' 아이콘(W121), '내 광고' 아이콘(W122) 및 '광고 세상' 아이콘(W1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제작, 광고 편집 및 리뷰 공유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선택된 기능은 활성화창(W130)에 표시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광고 만들기' 아이콘(W121)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The menu tab W120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main function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can select the'creating advertisement' icon (W121) and the'my advertisement' icon included in the menu tab (W120). An advertisement production, advertisement editing, and review sharing function may be executed by selecting any one of (W122) and the'advertising world' icon (W123), and the selected function is displayed on the activation window (W130). In the drawing, a screen is exemplified when the'create advertisement' icon W121 is selected.

활성화창(W130)은 현재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광고 제작에 대한 하위메뉴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광고 제작기능의 하위메뉴로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 제작기능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이미지 광고 만들기' 버튼(W131) 및 '동영상 광고 만들기' 버튼(W132), 광고 제작시 편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광고 편집하기'버튼(W133) 및 미리 만들어진 샘플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광고 제작에 이용하기 위한 '디자인 스토어'버튼(W134)이 있다.The activation window W130 serves to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function. In the drawing, a sub-menu for advertisement production is illustrated, and as a sub-menu of this advertisement production function, a'Create Image Advertisement' button (W131) and'Create a video advertisement' for executing advertisement production functions using still images and videos, respectively. There is a 'button W132, a'editing advertisement' button (W133) for executing an editing function during advertisement production, and a'design store' button (W134) for downloading a pre-made sample and using it for advertisement production. .

사용자는 전술한 버튼(W131 ~ W1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5a의 '이미지 광고 만들기' 버튼(W131)의 선택에 따라 정지영상을 이용한 광고 제작기능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화면창(W135)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의 구동에 따라 현재 촬영중인 영상이 표시되며, 그 하부로는 편집기능을 선택을 위한 기능창(W140)이 표시되게 된다. The user may proceed with advertisement production by selecting any one of the buttons W131 to W134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5B, an execution screen of an advertisement production function using a still image is shown by a user when a user selects the'create image advertisement' button W131 of FIG. 5A, and the screen window W135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s the mounted camera device is driven, an image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is displayed, and a function window W140 for selecting an editing function is displayed below the image.

기능창(W140)에는 화면 촬영 버튼(W141),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 및 효과 설정버튼(W143)이 배치된다. 화면 촬영 버튼(W141)은 현재 화면창(W135)에 표시된 촬영화면(img)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고,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의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하는 기능을 하며, 효과설정버튼(W143)은 광고 콘텐츠의 그래픽 효과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In the function window W140, a screen photographing button W141, a layout selection button W142, and an effect setting button W143 are disposed. The screen shooting button W141 stores the shooting screen img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W135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and the layout selection button W142 sets the layout of advertisement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It functions, and the effect setting button W143 functions to set the graphic effec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사용자가 화면촬영 버튼(W141)을 선택하면, 촬영화면(img)은 모바일 단말기내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편집툴 상에 업로드(upload)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screen photographing button W141, the photographing screen img is stored as an image file in the mobile terminal, and is uploaded on an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도 5c를 참조하면, 편집툴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화면의 일 예로서, 편집화면(W150)상에서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구, 이미지 또는 뱃지 등을 입력하는 입력란(W151)과,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샘플창(W152)이 활성화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샘플을 설정하여 광고 콘텐츠의 화면크기, 글자 배치 및 아이콘 배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a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diting the layout of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editing tool, on the editing screen W150, an input field W151 for inputting a phrase, image or badge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a layout sele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button W142, it is possible to check a state in which the layout sample window W152 including a plurality of layout samples is activated. The user can set one or more layout samples to set the screen size, text arrangement, and icon arrangement of advertisement contents.

또한, 도 5d를 참조하면 편집툴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그래픽 효과를 편집하는 화면의 일 예로서, 편집화면(W160)상에서 그래픽 효과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효과 설정버튼(W143)을 선택하여 효과 설정창(W161)에 포함된 다수의 그래픽 효과를 삽입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내 텍스트, 이미지 및 아이콘 등에 대하여 원색, 강한색 및 흐린색 등의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D, a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diting the graphic effect of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editing tool, the graphic effect can be set on the editing screen W160, and the user selects the effect setting button W143 to the effect setting window. A number of graphic effects included in the (W161) can be inserted, and visual effects such as primary colors, strong colors, and blurred colors can be given to text, images, and icons in advertisement content.

도 5e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편집툴 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디자인을 편집하는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편집화면(W170) 상에서 영역을 설정하여 광고에 필요한 정보를 영역창(W171)을 통해 입력하고, 편집툴이 제공하는 아이콘창(W172)내 다수의 아이콘(stmp)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편집화면(W170)의 일 영역(W173)상에 배치할 수 있다.5E is an illustration of a form of editing the design of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ets an area on the editing screen W170 to disp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advertisement in the area window ( W171),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stmp) in the icon window W172 provided by the editing tool may be selected and disposed on the one area W173 of the editing screen W170.

도 5f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편집툴을 이용하여 제작된 광고 콘텐츠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제작완료된 광고 콘텐츠 화면(W180)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상에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을 삽입하여 제작된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5F illustrates a screen of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using an editing too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 screen W180 is produced by inserting text and icons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can easily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n his/her possession. Can be produc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 편집 기능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dvertisement editing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편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editing an advertis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초기화면에서 메뉴탭(W120)의 '내 광고' 아이콘(W122)이 선택되면, 단말기내 저장되어 있는 미리제작된 광고 콘텐츠들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W200)을 제공할 수 있다.6A,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my advertisement' icon W122 of the menu tab W120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pre-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An editing screen W200 for editing files may be provided.

편집화면(W200)의 상부로는 회원정보창(W110)이 표시되며, 이러한 회원정보창(W110)에는 해당 사용자가 제작한 광고의 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뉴탭(W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활성화창(W210)에는 '내 광고' 아이콘(W122)이 선택됨에 따라, 편집을 위한 광고 콘텐츠 들의 리스트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그 리스트를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편집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집과정은 광고 콘텐츠의 제작시 이용된 편집툴 기능 뿐만 아니라, 광고 콘텐츠들의 서비스시 그 표시 배열순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게 된다.A member information window W110 is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edit screen W200, and the total number of advertisements produced by a corresponding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member information window W110. In addition, as the'my advertisement' icon W122 is selected in the activation window W210 disposed under the menu tab W120, a list of advertisement contents for editing is displayed. The user can perform the editing process by selec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be edited through the list. In this case, the editing process includes not only the editing tool function use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produced, but also a function of setting the display arrangement orde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serviced.

상세하게는, 도 6b를 참조하면 무료 회원의 권한을 갖는 경우 편집화면(W200)에서 광고 편집을 실행하면, 활성창(W210)에는 광고편집을 위한 프로필 및 자신이 제작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그 아이콘을 클릭하여 광고 콘텐츠 자체의 내용을 편집툴을 호출하여 편집하거나, 타 광고 콘텐츠들과 연계하여 광고의 표시시 그 표시 순서배열을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료 회원의 경우는 한정된 갯수의 슬롯을 제공함으로써 그 개수만큼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6B, when ad editing is executed in the editing screen W200 when the user has the authority of a free member, a profile for ad editing and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crea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in the active window W210. It is displayed in a form, and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tself by calling an editing tool by clicking the icon, or reset the display order arrangement when the advertisement is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other advertisement contents. Here, in the case of a free member, a limited number of slots is provided so that the number of advertisement contents can be produced and edited.

또한, 편집화면(W200)에서 사용자는 유료회원의 권한을 갖는 경우, 그 등급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도 있으며, 활성창(W210)의 하부로 배치되는 추가창(W220)을 통해 활성창(W210)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한정된 슬롯 이외에도, 추가창(W220)의 추가 슬롯상에 제공되는 슬롯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editing screen W200, when the user has the rights of a paid member, a greater number of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cre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grade, and an additional window W220 disposed under the active window W210 In addition to the limited slots provided by default in the active window W210, more advertisement content can be produced and stored using a slot provided on an additional slot of the additional window W22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 리뷰 공유 기능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dvertisement review sharing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리뷰 공유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7A to 7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sharing an advertisement review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초기화면에서 메뉴탭(W120)의 '광고 세상' 아이콘(W123)이 선택되면, 메인 서버(도 1의 200)에 자신이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when the'advertising world' icon W123 of the menu tab W120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ds itself to the main server (200 of FIG. 1). You can share the created advertising content and write review information about it.

편집화면(W300)의 상부로는 검색창(W310)이 표시된다. 상기 검색창(W310) 타 회원등록된 사용자들이 공유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검색기능으로서, 사용자는 메인 서버에(도 1의 200)에 저장된 자신의 광고 콘텐츠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들의 광고 콘텐츠를 검색하여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 search window W310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edit screen W300. The search window (W310) is a search function for advertisement contents shared by other registered users, and the user searches not only his advertisement contents stored in the main server (200 in Fig. 1) but also advertisement contents of other users. You can check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검색창(W310)의 하부로는 메뉴탭(W120)이 배치되고, 사용자가 메뉴탭(W120)에서 '광고 세상' 아이콘(W123)을 선택하면, 하부의 활성화창(W320)에는 메인서버에 공유된 다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가 카테고리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그 리스트에서 광고정보를 확인하거나 광고 리뷰를 작성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A menu tab W120 is disposed under the search window W310,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advertising world' icon W123 in the menu tab W120, the activation window W320 at the bottom is shared with the main server. A list of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is displayed divided by category. The user can check advertisement information from the list or select advertisement content for which advertisement reviews are to be written.

사용자에 의해 리스트상에서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원정보창(W311) 및 광고 콘텐츠 리스트창(W330)이 광고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중 어느 하나의 광고 콘텐츠(W331)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광고 정보 및 리뷰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When one category is selected on the list by the user, as shown in FIG. 7B, the member information window W311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list window W330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By selecting (W331), detailed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review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are displayed.

도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광고 콘텐츠 선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부화면에는 선택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소개창(W312)이 표시되고, 그 하부의 활성화창(W332)에는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가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활성화창(W332)에 광고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광고 형식, 생성일자 및 용량 등의 광고정보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7C,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one advertisement content, an introduction window W312 for the selected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ctivation window W332 below the mobile terminal 100. Advertising content is displayed. In the drawing,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dvertisement content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format, a creation date, and a capacity are included in the activation window W332 is shown.

이후, 도 7d를 참조하면, 소개창(W313)의 하부에 표시된 '리뷰정보' 아이콘(W341)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활성화창(W340)에 포함된 리뷰정보창(W342)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7D, when the user selects the'review information' icon W341 display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troduction window W313, the contents of the review information window W342 included in the activation window W340 can be written. .

이에 따라, 도 7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화면은 리뷰 정보 입력화면으로 전환되어 상부에는 리뷰 광고창(W314)이 표시되고, 활성화창(W350)에는 광고 콘텐츠와 리뷰정보에 입력에 대한 결과가 표시되게 된다. 특히, 활성화창(W350)에는 리뷰 정보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로의 전자 포인트 내역창(W351)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E, the current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verted to a review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a review advertisement window W314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nd advertisement content and review information are input in the activation window W350. The result for is displayed. In particular, the activation window W350 may include an electronic point description window W351 to a user according to input of review inform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a clear fact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모바일 단말기 101 : 관리자 단말기
200 : 메인서버 300 :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100: mobile terminal 101: administrator terminal
200: main server 300: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Claims (1)

탑재된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
제작된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
메인 서버를 통해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 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 및
하나 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되어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광고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리뷰정보를 작성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하고,
상기 광고 생성모듈은,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
광고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텍스트 및 이미지를 삽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텍스트 문구 또는 그래픽 아이콘 등을 삽입하고, 그래픽 효과를 설정하여 광고제작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재생에 따라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특정 프레임에 원하는 광고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제작부;
상기 편집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 및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확장된 글꼴, 이미지, 아이콘 및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된 디자인 도구를 다운로드하는 스토어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공유모듈은,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 제공부;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제공하는 리뷰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관리모듈은,
생성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 및
회원권한에 따라 개수가 결정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추가 삭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며, 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한 후,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이후, 광고 생성모듈이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편집툴 상에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 하며,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 및 그래픽 효과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모바일 단말기.
An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that provides an editing tool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any one of images and videos captured by the mounted camera device;
An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addition and deletion of one or more 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s;
An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for generating and sharing review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online through a main server, and providing a list of the shared review information; And
It i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ata storage module in which one or more produced advertising content is stored,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main server and provided to an advertisement display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review information is provided, the main server gives electronic points to the account of the user who wrote the review information,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A member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member information including a profile of a user who is a producer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points assigned to the user;
A menu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menu for selecting one or more functions for generating advertisements;
Text phrases or graphic icons are inserted on a GUI-type editing tool that provides the function of inserting text and images into the image or video, and advertising production is performed by setting graphic effects, but fram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layback. An advertisement production unit for playing back and inputting desired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a specific frame;
An editing tool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diting tool; And
A store connection unit for downloading one or more extended design tools providing extended fonts, images, icons, and graphic effects for advertisement content production from the main server,
The advertisement sharing module,
A search window providing unit providing a search window for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produced by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main server;
A lis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list of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Including a review linking unit that provides the main server by linking the review information written on the advertising content,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An advertisement content configuration unit for setting an arrangement and playback order of the generated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Allocating a plurality of slots for sto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number of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rights, and including an additional deletion unit for adding or deleting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slot,
The main server, when the review information is provided, gives electronic points to the user's account,
The mobile terminal photographs an image or video, sets one or more layouts and graphic effects provided by an editing tool of an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edits the advertisement design on the editing tool. ,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editing result, and after the image or video is captured,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controls the camera device, uploads the image or video on the editing tool, and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Alternatively, text for an advertisement is input on a screen for a video, and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ule receives a plurality of layout samples and graphic effect icons from a user and reflects it on the screen,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user authority. A mobile terminal that i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lots.
KR1020190043874A 2019-04-15 2019-04-15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3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74A KR102143196B1 (en) 2019-04-15 2019-04-15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74A KR102143196B1 (en) 2019-04-15 2019-04-15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508A Division KR20180067111A (en) 2016-12-12 2016-12-12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17A KR20190042517A (en) 2019-04-24
KR102143196B1 true KR102143196B1 (en) 2020-08-10

Family

ID=6628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74A KR102143196B1 (en) 2019-04-15 2019-04-15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79A (en)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큐브릭코퍼레이션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08B1 (en) * 2019-11-07 2021-10-01 조재범 Review making system
KR102149035B1 (en) * 2020-01-10 2020-08-28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Advertising page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ance marke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93B1 (en) * 2014-11-05 2015-07-22 권오형 Advertisement insertion apparatus using an image editing in a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61A (en) 2013-03-04 2014-09-16 오승열 Method for providing production service of self advertisement
KR20140119298A (en) * 2013-03-28 2014-10-10 최현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KR20150063295A (en) * 2014-03-06 2015-06-09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KR101753325B1 (en) * 2015-04-29 2017-07-03 전승준 Exclusive contents management and playback system for on-line store
KR101694462B1 (en) * 2015-05-08 2017-01-09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review-sharing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93B1 (en) * 2014-11-05 2015-07-22 권오형 Advertisement insertion apparatus using an image editing in a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79A (en)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큐브릭코퍼레이션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17A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uinn MoJo-Mobile JournalisM in the asian region
US7697040B2 (en) Method for digital photo management and distribution
JP4866739B2 (en) Website for publishing and selling images
US7478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ultimedia content and for facilitating third party representation of an object
US20160300594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KR102143196B1 (en)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16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active systems with social networks and media playback devices
US20150082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ers to comment on television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using a web browser
KR20100100867A (en) Trade card services
Appan et al. Communicating everyday experiences
US20090210512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nd sharing digital image output data across a network
CN108573391A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f promotional content, apparatus and system
US20130125023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JP2008139948A (en) Contribution image evaluation device, contribution image evaluation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101242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user participation-type game by using real-time flash-mob
US20130198012A1 (en) Process for creating, for use over the Internet or other public communications network, an electronic sales advertisement with a voiceover incorporating a choice of various styles and languages
JP200519661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30060186A (en) Simple advertising image production and sending system.
JP5444409B2 (en) Image display system
KR20180067111A (en)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produced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01219A (en) Digital book service method and digital book using the method
CN112199553A (en) Information resourc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728141B1 (en) Server, progra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nt
JP5506872B2 (en) Posted image evaluation apparatus, posted image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504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