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327B1 -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327B1
KR102142327B1 KR1020190022180A KR20190022180A KR102142327B1 KR 102142327 B1 KR102142327 B1 KR 102142327B1 KR 1020190022180 A KR1020190022180 A KR 1020190022180A KR 20190022180 A KR20190022180 A KR 20190022180A KR 102142327 B1 KR102142327 B1 KR 10214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icles
cancer
disease
derived
acinetob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964A (ko
Inventor
김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Priority to PCT/KR2019/0023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68329A1/ko
Publication of KR2019010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2Disease subtyping, staging or class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정상인에 비하여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등의 악성질환,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 등의 환자에서 유래한 임상 샘플에서 상기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상기 소포는 병원성 소포에 의한 염증매개체 분비를 유의하게 억제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마우스 암모델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등의 악성질환,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의 진단방법, 및 상기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Nanovesicles derived from Acinetobacter bacteria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서 유래하는 나노소포를 이용한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등의 악성질환,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의 진단방법, 및 상기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과거 전염병으로 인식되던 급성 감염성질환의 중요성이 덜해지는 반면, 인간과 마이크로바이옴과의 부조화에 의해 발생하는 면역기능 이상을 동반한 만성질환이 삶의 질과 인간 수명을 결정하는 주요 질환으로 질병패턴이 바뀌었다. 21세기 난치성 만성질환으로서, 암,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및 신경-정신질환 등이 국민보건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 난치성 만성질환은 면역기능 이상을 동반한 만성염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염증(Inflammation)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인 방어기작으로, 주로 면역계를 이루는 체액성 매개체(humoral mediator)가 직접 반응하거나, 국부적 또는 전신적 작동 시스템(effector system)을 자극함으로써 일어나는 연쇄적인 생체반응에 의해 유발된다. 주요 염증성 질환으로는 위염, 염증성 장염 등의 소화기질환, 치주염 등의 구강 질환,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비염 등의 호흡기질환, 아토피 피부염, 탈모, 건선 등의 피부질환,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관절염; 및 비만, 당뇨병, 간경화증 등의 대사질환이 포함된다.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은 100조에 이르러 인간 세포보다 10배 많으며, 미생물의 유전자수는 인간 유전자수의 100배가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생물총(microbiota 혹은 microbiome)은 주어진 거주지에 존재하는 진정세균(bacteria), 고세균(archaea), 진핵생물(eukarya)을 포함한 미생물 군집(microbial community)을 말한다.
우리 몸에 공생하는 세균 및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은 다른 세포로의 유전자, 저분자화합물, 단백질 등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소포(vesicle)를 분비한다. 점막은 200 나노미터(nm) 크기 이상의 입자는 통과할 수 없는 물리적인 방어막을 형성하여 점막에 공생하는 세균인 경우에는 점막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세균 유래 소포는 크기가 100 나노미터 크기 이하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점막을 통하여 상피세포를 통과하여 우리 몸에 흡수된다. 국소적으로 분비된 세균 유래 소포는 점막의 상피세포 혹은 피부 각질세포를 통해 흡수되어 국소 염증반응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 흡수되어 각 장기로 분포하여 흡수된 장기에서 면역 및 염증반응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대장균(Eshcherichia coli)와 같은 병원성 그람음성세균에서 유래하는 소포는 혈관으로 흡수된 경우에 혈관 내피세포 염증반응을 통해 전신적인 염증반응 및 혈액응고를 촉진시키고, 또한 인슐린이 작용하는 근육세포 등에 흡수되어선 인슐린저항성과 당뇨병을 유발한다. 반면, 유익한 세균에서 유래하는 소포는 병원성 소포에 의한 면역기능 및 대사기능 이상을 조절하여 질병을 조절할 수 있다.
세균에서 유래하는 소포 등의 인자에 대한 면역반응은 IL-17 사이토카인 분비를 특징으로 하는 Th17 면역반응이 발생하는데, 이는 세균 유래 소포에 노출 시 IL-6가 분비되고, 이는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Th17 면역반응에 의한 염증은 호중구 침윤을 특징으로 하고, 염증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대식세포 등과 같은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TNF-alpha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Acinetobacter spp.)은 호기성 그람음성간균으로서 자연계에 널리 퍼져있고, 토양, 물, 및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다. 이 중에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원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통해 암,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및 신경-정신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한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Choi YW et al., Gutmicrob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duce insulin resistance, thereby impairing glucos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Scientific Reports, 2015.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정상인에 비하여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 환자 유래 샘플에서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 확인하였다. 또한,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 속하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에서 소포를 분리하여 대식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 소포에 의한 TNF-alpha 분비를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마우스 암모델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한 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정상인 및 피검자 샘플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한 DNA에 대하여 16S r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서열에 기초하여 제작한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후, 각각의 PCR 산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상인에 비하여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으로 분류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a) 정상인 및 피검자 샘플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한 DNA에 대하여 16S r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서열에 기초하여 제작한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후, 각각의 PCR 산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상인에 비하여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으로 판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a) 단계에서의 샘플은 대변, 혈액, 또는 소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b) 단계에서의 프라이머쌍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흡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부비동염,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염증성 콜라겐 혈관질환, 사구체신염, 뇌염,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패혈증, 패혈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골관절염, 공피증, 골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병(Lyme disease), 보렐리아증(Borreliosis), 신경성-보렐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루프스, 동창성 루프스, 결핵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론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키슨병, 및 다발성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또는 종양괴사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의,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소포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200 n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소포는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서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유래 소포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세균인 경우에는 체내에 흡수되지 않지만, 세균 유래 소포인 경우에는 상피세포를 통해 체내에 흡수되어, 전신적으로 분포하고, 콩팥, 간, 폐를 통해 체외로 배설됨을 확인하였고, 환자 대변, 혈액, 또는 소변 등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 환자의 대변, 혈액, 또는 소변에 존재하는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정상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의 한 종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를 체외에서 배양하여 소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염증세포에 투여하였을 때, 병원성 소포에 의한 염증매개체 분비를 유의하게 억제시킴을 관찰하였고, 마우스 암모델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에 대한 진단방법, 및 상기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에 대한 예방용 혹은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마우스에 세균과 세균 유래 소포 (EV)를 구강으로 투여한 후, 시간별로 세균과 소포의 분포양상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1b는 구강으로 투여한 후 12시간째에, 혈액, 콩팥, 간, 및 여러 장기를 적출하여, 세균과 소포의 체내 분포양상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위암 환자 및 정상인 대변 및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대장암 환자 및 정상인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유방암 환자 및 정상인 혈액 및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난소암 환자 및 정상인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6은 방광암 환자 및 정상인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7은 심근경색 환자 및 정상인 혈액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8은 심근병증 환자 및 정상인 혈액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9는 당뇨병 환자 및 정상인 혈액 및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0은 뇌졸중 환자 및 정상인 혈액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1은 파킨슨병 환자 및 정상인 소변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2는 치매 환자 및 정상인 혈액에 존재하는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3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세포사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소포를 대식세포(Raw264.7)에 투여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14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병원성 소포인 대장균 소포 (E. coli EV) 처리 전에 아시네토박터균 유래 소포를 전처리하여, 대장균 소포에 의한 염증매개체인 IL-6 및 TNF-α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5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암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마우스에 투여한 실험프로토콜이다.
도 16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암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소포를 복강(IP) 또는 경구(PO)로 투여하여, 암세포에 의한 종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암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소포를 복강(IP) 또는 경구(PO)로 투여하여, 암세포에 의한 종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종양사진이다.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정상인에 비하여 암,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및 신경-정신질환 환자의 임상 샘플에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상기 질병을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로부터 소포를 분리하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기 균주 유래 소포가 병원성 소포에 의한 면역기능 이상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정상인 및 피검자 샘플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한 DNA에 대하여 16S r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서열에 기초하여 제작한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후, 각각의 PCR 산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상인에 비하여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또는 파킨슨병으로 분류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이란 넓은 의미로는 환자의 병의 실태를 모든 면에 걸쳐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단의 내용은 병명, 병인, 병형, 경중, 병상의 상세한 양태, 합병증의 유무, 및 예후 등이다. 본 발명에서 진단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및 파킨슨병의 발병 여부 및 질환의 수준 등을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대변, 혈액, 또는 소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타게놈이란 군유전체라고도 하며, 흙, 동물의 장 등 고립된 지역 내의 모든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을 포함하는 유전체의 총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배양이 되지 않는 미생물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열분석기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많은 미생물을 동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유전체의 개념으로 쓰인다. 특히, 메타게놈은 한 종의 게놈, 유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 환경단위의 모든 종의 유전체로서 일종의 혼합유전체를 말한다. 이는 오믹스적으로 생물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한 종을 정의할 때 기능적으로 기존의 한 종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완전한 종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나온 용어이다. 기술적으로는 빠른 서열분석법을 이용해서, 종에 관계없이 모든 DNA, RNA를 분석하여, 한 환경 내에서의 모든 종을 동정하고, 상호작용, 대사작용을 규명하는 기법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경구용 조성물, 또는 흡입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분무제 또는 비강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은, 포유동물 체내의 염증 반응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부비동염,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염증성 콜라겐 혈관질환, 사구체신염, 뇌염,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패혈증, 패혈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골관절염, 공피증, 골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병(Lyme disease), 보렐리아증(Borreliosis), 신경성-보렐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루프스, 동창성 루프스, 결핵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론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키슨병, 및 다발성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기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기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나노소포(Nanovesicle)혹은 소포(Vesicle)란, 다양한 세균에서 분비되는 나노크기의 막으로 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 유래 소포, 또는 외막 소포(outer membrane vesicles, OMVs)는 내독소(lipopolysaccharide) 뿐만 아니라 단백질, 저분자화합물, 및 세균 DNA와 RNA도 가지고 있고,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 유래 소포는 단백질, 저분자화합물, 핵산 외에도 세균의 세포벽 구성성분인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과 리포테이코산(lipoteichoic acid)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소포 혹은 소포는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거나 또는 인공적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20 내지 100 nm의 평균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소포는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원심분리, 초고속 원심분리, 고압처리, 압출, 초음파분해, 세포 용해, 균질화, 냉동-해동, 전기천공, 기계적 분해, 화학물질 처리, 필터에 의한 여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프리-플로우 전기영동, 및 모세관 전기영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의 제거를 위한 세척, 수득된 소포의 농축 등의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피부, 비강, 기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치매, 파킨슨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제 조성물에서는 유효성분을 흡입제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치료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IL-6 또는 TNF-α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 이외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와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아미노벤조산(파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균 및 세균 유래 소포를 마우스 경구로 투여하여 세균 및 소포의 체내 흡수, 분포, 및 배설 양상을 관찰한 바, 세균인 경우에는 장점막을 통해 흡수되지 않는데 비해 세균 유래 소포는 투여 5분 이내에 흡수되어 전신적으로 분포하고, 신장, 간 등을 통해 배설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파킨슨병, 및 치매 등의 환자에 연령과 성별을 매칭한 정상인의 대변, 혈액, 또는 소변에서 분리한 소포를 이용하여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샘플에 비하여, 위암,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당뇨병, 파킨슨병, 및 치매 등의 환자의 샘플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내지 1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결과를 바탕으로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 속하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더욱 연구한 결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를 배양하여 이로부터 분비된 소포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평가하였는데, 다양한 농도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질환 원인인자인 대장균 유래 소포를 처리하여 염증매개체 분비를 평가한 결과, 병원성 소포인 대장균 유래 소포에 의한 IL-6 및 TNF-α 분비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가 효율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를 배양하여 이로부터 분비된 소포가 항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암세포주를 피하로 주사하여 암모델을 만들었고,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암세포주 처리 4일전부터 마우스에 경구 또는 복강으로 투여한 후 20일간 암조직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상기 소포를 경구로 투여한 경우에, 대조군에 비하여 암조직의 크기가 감소하였다(실시예 16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장내 세균 및 세균 유래 소포의 체내 흡수, 분포, 및 배설 양상 분석
장내 세균과 세균 유래 소포가 위장관을 통해 전신적으로 흡수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위장에 형광으로 표지한 장내세균과 장내 세균 유래 소포를 각각 50 μg의 용량으로 위장관으로 투여하고 0분, 5분, 3시간, 6시간, 12시간 후에 형광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전체 이미지를 관찰한 결과,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균인 경우에는 전신적으로 흡수되지 않았지만, 세균 유래 소포인 경우에는, 투여 후 5분에 전신적으로 흡수되었고, 투여 3시간 후에는 방광에 형광이 진하게 관찰되어, 소포가 비뇨기계로 배설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포는 투여 12시간까지 체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도 1a 참조).
장내세균과 장내 세균 유래 소포가 전신적으로 흡수된 후, 여러 장기로 침윤된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형광으로 표지한 50 μg의 세균과 세균 유래 소포를 상기의 방법과 같이 투여한 후, 투여 12시간 후에 혈액, 심장, 간, 신장, 비장, 지방, 근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조직에서 형광을 관찰한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균 유래 소포가 혈액, 심장, 폐, 간, 콩팥, 비장, 지방, 근육, 신장에 분포하였으나, 세균은 흡수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1b 참조).
실시예 2. 임상샘플에서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대변, 혈액, 및 소변 등의 임상샘플을 먼저 10 ml 튜브에 넣고 원심분리법(3,500 x g, 10min, 4℃)으로 부유물을 가라앉히고 상등액만을 새로운 10 ml 튜브에 옮겼다. 0.22㎛ 필터를 사용하여 세균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센트리프랩튜브 (centripreigugal filters 50 kD)에 옮겨서 1500 x g,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50 kD 보다 작은 물질은 버리며 10 ml 까지 농축 시켰다. 다시 한 번 0.22㎛ filter를 사용하여 박테리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Type 90ti 로터로 150,000 x g, 4℃에서 3시간동안 초고속원심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덩어리진 pellet을 생리식염수(PBS)로 녹였다.
상기 방법으로 분리한 소포 100㎕를 100℃에서 끓여서 내부의 DNA를 지질 밖으로 나오게 하고 그 후 얼음에 5분 동안 식혔다. 그리고 남은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00 x g,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만을 모았다. 그리고 Nanodrop을 이용하여 DNA 양을 정량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된 DNA에 세균 유래 DNA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16s rDNA primer로 PCR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된 유전자에 세균 유래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rimer 서열 서열번호
16S rDNA 16S_V3_F 5'-TCGTCGGCAGCGTCAGATGTGTATAAGAGACAGCCTACGGGNGGCWGCAG-3' 1
16S_V4_R 5'-GTCTCGTGGGCTCGGAGATGTGTATAAGAGACAGGACTACHVGGGTATCTAATCC-3 2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DNA를 상기의 16S r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을 한 다음 시퀀싱을 수행하고 (Illumina MiSeq sequencer), 결과를 Standard Flowgram Format (SFF) 파일로 출력하고 GS FLX software (v2.9)를 이용하여 SFF 파일을 sequence 파일 (.fasta)과 nucleotide qualityscore파일로 변환한 다음 리드의 신용도 평가를 확인하고, window (20 bps) 평균 base call accuracy가 99% 미만 (Phred score <20)인 부분을 제거하였다. Operational Taxonomy Unit (OTU) 분석을 위해서는 UCLUST와 USEARCH를 이용하여 시퀀스 유사도에 따라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genus는 94%, family는 90%, order는 85%, class는 80%, phylum은 75% 시퀀스 유사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하고 각 OTU의 phylum, class, order, family, genus 레벨의 분류를 수행하고, BLASTN와 GreenGenes의 16S RNA 시퀀스 데이터베이스 (108,453 시퀀스)를 이용하여 속 수준에서 97% 이상의 시퀀스 유사도 갖는 세균을 프로파일링 하였다 (QIIME).
실시예 3. 위암환자 대변 및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위암환자 67명의 대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98명의 대변을 대상으로, 대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대변에 비하여 위암환자의 대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2 및 도 2 참조).
대변 대조군 위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134 0.0222 0.0063 0.0073 <0.0001 0.47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위암환자 61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20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위암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3 및 도 2 참조).
소변 대조군 위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776 0.1128 0.0338 0.0407 0.0007 0.44
실시예 4. 대장암환자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대장암환자 52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83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대장암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4 및 도 3 참조)
소변 대조군 대장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1683 0.1396 0.0172 0.0138 <0.0001 0.10
실시예 5. 유방암환자 혈액 및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유방암환자 96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92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유방암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5 및 도 4 참조).
혈액 대조군 유방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390 0.0328 0.0160 0.0228 <0.0001 0.41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유방암환자 127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220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유방암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6 및 도 4 참조).
소변 대조군 유방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761 0.1046 0.0198 0.0264 <0.0001 0.26
실시예 6. 난소암환자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난소암환자 136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36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난소암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7 및 도 5 참조).
소변 대조군 난소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816 0.1097 0.0338 0.0223 <0.0001 0.41
실시예 7. 방광암환자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방광암환자 95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57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방광암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8 및 도 6 참조).
소변 대조군 방광암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583 0.1003 0.0162 0.0132 0.0001 0.28
실시예 8. 심근경색환자 혈액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심근경색환자 57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63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심근경색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9 및 도 7 참조).
혈액 대조군 심근경색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343 0.0391 0.0109 0.0254 <0.0001 0.32
실시예 9. 심근병증환자 혈액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심근병증환자 72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63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심근병증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0 및 도 8 참조).
혈액 대조군 심근병증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343 0.0391 0.0162 0.0208 <0.0001 0.47
실시예 10. 당뇨병환자 혈액 및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당뇨병환자 61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22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당뇨병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1 및 도 9 참조).
혈액 대조군 당뇨병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369 0.0442 0.0003 0.0003 <0.0001 0.01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당뇨병환자 60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34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당뇨병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2 및 도 9 참조).
소변 대조군 당뇨병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564 0.0928 0.0157 0.0157 <0.0001 0.28
실시예 11. 뇌졸중환자 혈액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뇌졸중환자 115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09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뇌졸중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3 및 도 10 참조).
혈액 대조군 뇌졸중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594 0.0803 0.0280 0.0573 <0.0001 0.47
실시예 12. 파킨슨병환자 소변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파킨슨병환자 39명의 소변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76명의 소변을 대상으로, 소변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소변에 비하여 파킨슨병환자의 소변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4 및 도 11 참조).
소변 대조군 파킨슨병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690 0.1047 0.0020 0.0022 <0.0001 0.03
실시예 13. 치매환자 혈액 세균 유래 소포 메타게놈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치매환자 67명의 혈액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70명의 혈액을 대상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소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한 후,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혈액에 비하여 치매환자의 혈액에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소포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5 및 도 12 참조).
혈액 대조군 치매 t-test
Taxon Mean SD Mean SD p-value Ratio
g__Acinetobacter 0.0400 0.0380 0.0190 0.0190 <0.0001 0.48
실시예 14.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 배양 및 소포 분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 baumannii) 균주를 배양한 후 이의 소포를 분리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를 37℃ 호기성 챔버에서 흡광도(OD 600)가 1.0~1.5가 될 때까지 NB(Nutrient broth) 배지에서 배양한 후 LB(Luria Bertani broth) 배지에 sub-culture 하였다. 이후 균주가 포함되어 있는 배지 상등액을 회수하여 10,000 g, 4 ℃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후, 균주를 제거하고 0.22μm 필터에 여과하였다. 여과한 상등액을 100 kDa Pellicon 2 Cassette 필터 멤브레인(Merck Millipore, US)으로 MasterFlex pumpsystem(Cole-Parmer, US)를 이용하여 microfiltration을 통해 50 ㎖ 부피로 농축하였다. 농축시킨 상등액을 다시 한 번 0.22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BCA assay를 이용해 단백질을 정량하였고, 얻어진 소포에 대하여 하기 실험들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염증 효과
염증세포에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세포사멸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A. baumannii EV)를 다양한 농도(0.1, 1, 10 ㎍/㎖)로 처리한 후, 세포 생존력 측정(Cell viability test)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48-well 세포 배양 플레이트 안에 4 x 104 개씩 분주한 Raw 264.7 세포에 DMEM 무혈청 배지를 넣은 다양한 농도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처리하여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에 EZ-CYTOX (Dogen, Korea)를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SpectraMax M3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es, USA)를 이용해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대식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0.1, 1 ㎍/㎖의 농도에서는 세포사멸이 유도되지 않았으나, 10 ㎍/㎖의 농도에서는 약 10%의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도 13 참조).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0.1, 1, 10 ㎍/㎖)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대식세포주에 12시간 전처리한 후, 병원성 소포인 대장균 유래 소포 1 ㎍/㎖을 처리하고 12시간 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ELISA로 측정하였다.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Capture 항체를 PBS에 희석시켜 96 well polystyrene 플레이트에 작용 농도에 맞게 50 μl 씩 분주한 후 4 ℃에서 overnight 반응시켰다. 이후 PBST(0.05 % tween-20이 들어있는 PBS) 용액 100 μl로 세 번씩 씻어준 후, RD(1 % BSA 가 들어있는 PBS) 용액 100 μl을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하였다. 샘플 및 standard를 농도에 맞게 50 μ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T 100 μl로 세 번 씻어준 후, detection 항체를 RD에 희석시켜 작용 농도에 맞게 50 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T 100 μl로 세 번 씻어준 후, Streptavidin-HRP (R&D system, USA)를 RD에 1/40으로 희석시켜 50 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PBST 100 μl로 세 번 씻어준 후, TMB substrate(SurModics, USA) 50 μl를 분주하고 5분에서 20분 후 발색이 진행되었을 때, 1 M 황산용액을 50 μl씩 분주해 반응을 멈추고 SpectraMax M3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해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전처리한 경우, 대장균 유래 소포에 의한 IL-6 및 TNF-α의 분비가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도 14 참조). 특히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전처리에 의한 TNF-α의 분비 억제효과가 유용미생물 대조군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유래 소포의 전처리에 의한 TNF-α의 분비 억제효과보다 현저하게 큼을 확인하였다 (도 14 참조). 상기 결과는 대장균 유래 소포와 같은 병원성 소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가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6.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암 효과
상기 실시예를 바탕으로, 나아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 유래 소포를 6 주령 C57BL/6 수컷 마우스에 복강주사 또는 경구로 투여하고, 투여 4일째에 암세포주 (CT26 cell)를 피하로 주사하여 암모델을 만들었다. 암세포주를 투여한 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분리균주 유래 소포를 복강주사 또는 경구로 매일 투여하며 24일째까지 암조직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도 15 참조). 그 결과, 암조직의 크기는 대조군인 생리식염수 경구 투여군에 비하여 상기 소포를 경구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암조직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복강으로 투여한 경우에는 암조직의 크기가 오히려 증가하였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유래 소포를 점막으로 투여했을 때 암조직의 성장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MD Healthcare Inc. <120> Nanovesicles derived from Acinetobacter bacteria and Use thereof <130> MP19-006 <150> KR 10-2018-0024892 <151> 2018-02-28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_V3_F <400> 1 tcgtcggcag cgtcagatgt gtataagaga cagcctacgg gnggcwgcag 50 <210> 2 <211> 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_V4_R <400> 2 gtctcgtggg ctcggagatg tgtataagag acaggactac hvgggtatct aatcc 55

Claims (17)

  1. (a) 정상인 및 피검자 샘플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한 DNA에 대하여 16S r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서열에 기초하여 제작한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후, 각각의 PCR 산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상인에 비하여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속 세균 유래 소포의 함량이 낮을 경우 하나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발병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으로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샘플은 혈액, 대변, 또는 소변이고,
    상기 (a) 단계에서의 샘플이 혈액일 경우, 상기 질환은 당뇨병, 심근경색, 심근병증, 뇌졸중 및 치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이며,
    상기 (a) 단계에서의 샘플이 대변일 경우, 상기 질환은 위암이고,
    상기 (a) 단계에서의 샘플이 소변일 경우, 상기 질환은 위암, 대장암, 난소암, 방광암, 파킨슨병 및 당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2. 삭제
  3.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에서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흡입제 조성물.
  16.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17.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유래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흡입제 조성물.
KR1020190022180A 2018-02-28 2019-02-26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4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2343 WO2019168329A1 (ko) 2018-02-28 2019-02-27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4892 2018-02-28
KR1020180024892 2018-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964A KR20190103964A (ko) 2019-09-05
KR102142327B1 true KR102142327B1 (ko) 2020-08-07

Family

ID=6794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80A KR102142327B1 (ko) 2018-02-28 2019-02-26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725B1 (ko) * 2020-12-30 2023-10-26 서울대학교병원 난소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9916A1 (en) 2007-08-17 2011-09-22 The University Of Akron Nanofibers with high enzyme loading for highly sensitive biosensors
KR101361730B1 (ko) 2013-06-18 2014-02-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이의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다형성 마커
KR101833348B1 (ko) * 2016-12-26 2018-03-0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유방암 진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2685A1 (en) * 2005-11-04 2007-05-09 De Ruiter Seeds R&D B.V. Disease resistant cucumber plants
DK2733217T3 (en) * 2009-01-26 2016-08-01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A method of detecting moisture-damaged urine test strips
KR101856841B1 (ko) * 2016-05-12 2018-05-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 고정화된 글루코스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9916A1 (en) 2007-08-17 2011-09-22 The University Of Akron Nanofibers with high enzyme loading for highly sensitive biosensors
KR101361730B1 (ko) 2013-06-18 2014-02-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이의 품종을 식별하기 위한 다형성 마커
KR101833348B1 (ko) * 2016-12-26 2018-03-0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유방암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964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692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18197B1 (ko) 마이크로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242196B1 (ko) 스핀고모나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18203B1 (ko) 코프로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463399B1 (ko) 락토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18987B1 (ko) 모르가넬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85981B1 (ko) 스트렙토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85983B1 (ko) 콜린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42327B1 (ko)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250596B1 (ko) 비피도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US20230287517A1 (en) Nanovesicles derived from collinsella sp. bacteria, and use thereof
KR102118199B1 (ko) 아토포비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85985B1 (ko) 알로이오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85982B1 (ko) 슈도모나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24794B1 (ko) 지오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223406B1 (ko)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72607A1 (ko) 코프로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20200086638A (ko) 데이노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